KR0131761Y1 -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 - Google Patents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761Y1
KR0131761Y1 KR2019950049789U KR19950049789U KR0131761Y1 KR 0131761 Y1 KR0131761 Y1 KR 0131761Y1 KR 2019950049789 U KR2019950049789 U KR 2019950049789U KR 19950049789 U KR19950049789 U KR 19950049789U KR 0131761 Y1 KR0131761 Y1 KR 0131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coupled
fixed
fa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9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4035U (ko
Inventor
하용철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9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761Y1/ko
Publication of KR970034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40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7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식 도어 백 미러의 일측 동일 평면상에 차내에서 레버로 수동조작되는 사각 미러를 구성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스위치 조작으로 간단하게 차량 후방부의 사각지대를 파악할 수 있는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백 미러를 구성시킴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 브라켓(32)상에 결합되는 백 미러 하우징(30); 상기 백 미러 하우징(30)내에 고정·결합되어 원거리 미러 작동 스위치 (26)에 의해 상하좌우로 각도조절되는 원거리 미러 액튜에이터(24); 상기 원거리 미러 액튜에이너(24)에 고정·결합되는 원거리 미러 홀더(22); 상기 원거리 미러 홀더(22)에 끼움·고정되는 원거리 미러(20); 상기 원거리 미러(20)와 동일 평면상에 차량의 내측으로 딴몸형성된 사각 미러(10); 상기 사각 미러(10)가 고정·결합되는 사각 미러 홀더(12); 및 일측은 상기 사각 미러 홀더(12) 후면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차내에 돌출·형성되어 사각 미러 홀더(12)를 상하좌우로 각도조절시키는 사각 미러 작동부(1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
제1도는 본 고안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제2도는 그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각 미러 12 : 사각 미러 홀더
14 : 사각 미러 작동부 20 : 원거리 미러
22 : 원거리 미러 홀더 24 : 원거리 미러 액튜에이터
26 : 원거리 미러 작동스위치 30 : 백 미러 하우징
32 : 고정 브라켓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식 도어 백 미러의 일측 동일 평면상에 차내에서 레버로 수동조작되는 사각 미러를 구성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수동조작으로 간단하게 차량 후방부의 사각지대를 파악할 수 있는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중에 차선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변경코자하는 차선의 후방을 사이드 미러를 통해서 확인하고, 또한 사이드 미러에 잡히지 않는 사각지대의 차량의 유무를 확인한 다음, 후방 차량과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비로소 차선을 변경하게 된다.
그러나 두차선 이상을 계속해서 변경하려 할 경우에, 운전자는 전방차량과의 간격을 적당히 계속 유지하면서, 또한 사이드 미러상으로는 후방 차량의 상황을 계속 주시하며 차선의 변경을 시도하여야 된다.
이렇게 여러 차선을 변경하고자 할 때 특히, 운전자가 빠른 속도를 내며 주행하게 되는 추월차선 측으로 차선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빠른 속도로 차선을 변경하면서 차량의 속도를 급가속하므로서 빠른 속도로 주행중인 추월차선에서 전방차량과 후방차량과의 간격을 적당하게 유지해 주어야 된다.
이때, 급속히 추월차선 측으로 차선을 변경하여 진행하기 위해서 운전자는, 사이드 미러 상의 와이드 미러(WIDE MIRROR)를 장착하여 미러 상으로 확인하며 차선을 변경하면 되지만, 와이드 미러가 없는 대다수의 차량들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몸을 좌측으로 틀어서 추월차선 측에 위치한 후방차량들의 진행상황을 확인하며 차선변경을 시도해야 되었다.
이런 이유로 차선변경을 할 때마다 운전자의 운전 자세는 흐트러질 수 밖에 없어 좋지 못한 운전 자세 및 습관이 몸에 배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동식 도어 백 미러의 일측 동일 평면 상에 레버로 수동 조작되는 사각 미러를 구성시킴으로써, 운전자가 간단히 레버의 수동 조작으로 간단하게 차량 후방부의 사각 지대를 파악할 수 있는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를 제공함에 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를 구성시킴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에 결합되는 백 미러 하우징과, 상기 백 미러 하우징 내에 고정·결합되어 원거리 미러 작동 스위치에 의해 상하좌우로 각도조절되는 원거리 미러 액튜에이터와, 상기 원거리 미러 액튜에이터에 고정·결합되는 원거리 미러 홀더와, 상기 원거리 미러 홀더에 끼움·고정되는 원거리 미러와, 상기 원거리 미러와 동일 평면상에 차량의 내측으로 딴몸 형성된 사각 미러와, 상기 사각 미러가 고정·결합되는 사각 미러 홀더와, 일측은 상기 사각 미러 홀더 후면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차내에 돌출·형성되어 사각 미러 홀더를 상하좌우로 각도조절시키는 사각 미러 작동부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고, 제2도는 그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즉,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를 구성시킴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 브라켓(32)상에 결합되는 백 미러 하우징(30)과, 상기 백 미러 하우징(30) 내에 고정·결합되어 원거리 미러 작동 스위치(26)에 의해 상하좌우로 각도조절되는 원거리 미러 액튜에이터(24)와, 상기 원거리 미러 액튜에이터(24)에 고정·결합되는 원거리 미러 홀더(22)와, 상기 원거리 미러 홀더(22)에 끼움·고정되는 원거리 미러(20)와, 상기 원거리 미러(20)와 동일 평면상에 차량의 내측으로 딴몸 형성된 사각 미러(10)와, 상기 사각 미러(10)가 고정·결합되는 사각 미러 홀더(12)와, 일측은 상기 사각 미러 홀더(12) 후면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차내에 돌출·형성되어 사각 미러 홀더(12)를 상하좌우로 각도조절시키는 사각 미러 작동부(14)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전에 작동빈도가 높은 원거리 미러(20)를 원거리 미러 작동 스위치(26)로 적당하게 조절하고 후방부의 사각 지대는 사각 미러(10)의 작동 빈도가 적으므로 차내에서 수동으로 사각 미러 작동부(14)로 한번만 조절해 놓으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동식 도어 백 미러의 일측 동일 평면상에 레버조작되는 사각 미러를 구성시킴으로써, 운전자가 레버의 수동 조작으로 간단하게 차량 후방부의 사각지대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도어 백 미러를 구성시킴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 브라켓(32) 상에 결합되는 백 미러 하우징(30); 상기 백 미러 하우징(30) 내에 고정·결합되어 원거리 미러 작동 스위치(26)에 의해 상하좌우로 각도조절되는 원거리 미러 액튜에이터(24); 상기 원거리 미러 액튜에이터(24)에 고정·결합되는 원거리 미러 홀더(22); 상기 원거리 미러 홀더(22)에 끼움·고정되는 원거리 미러(20); 상기 원거리 미러(20)와 동일 평면상에 차량의 내측으로 딴몸형성된 사각 미러(10); 상기 사각 미러(10)가 고정·결합되는 사각 미러 홀더(12); 및 일측은 상기 사각 미러 홀더(12) 후면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차내에 돌출·형성되어 사각 미러 홀더(12)를 상하좌우로 각도조절시키는 사각 미러 작동부(1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
KR2019950049789U 1995-12-28 1995-12-28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 KR0131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789U KR0131761Y1 (ko) 1995-12-28 1995-12-28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789U KR0131761Y1 (ko) 1995-12-28 1995-12-28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035U KR970034035U (ko) 1997-07-26
KR0131761Y1 true KR0131761Y1 (ko) 1998-12-15

Family

ID=1944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9789U KR0131761Y1 (ko) 1995-12-28 1995-12-28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7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035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761Y1 (ko)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
US20050047160A1 (en)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KR0131787Y1 (ko)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
US3692387A (en) Anti-glare rear view mirror with housing molded of plastic material
KR0131762Y1 (ko)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수동식 도어 백 미러
KR200441836Y1 (ko)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구조
US5993013A (en) Automatic tilting side view mirror
KR100250087B1 (ko) 차량용 아웃 사이드 리어뷰 미러
CN215850986U (zh) 一种后视镜装置及车辆
JPH0419521Y2 (ko)
KR0160078B1 (ko) 아웃사이드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구조
KR0181240B1 (ko) 백 미러 일체식 실내등
KR19990029220U (ko) 사각지대 보상용 가변식 사이드 미러
JPH1199882A (ja) フロントミラー
KR0136534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용 보강재
KR100427334B1 (ko) 자동차용 메모리 인사이드 미러
KR200140945Y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0146222B1 (ko) 사각 뷰 미러가 내장된 자동차의 사이드 뷰 미러
KR0139642Y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KR200146069Y1 (ko) 자동차의 수동식 아웃사이드미러
KR19990011449U (ko) 차량용 아웃 사이드 리어뷰 미러
US7325950B2 (en) Headlight antiglare device
KR920005584Y1 (ko) 반사범위가 자동으로 확대 조정되는 자동차용 백미러
JP2000118305A (ja) 上下する死角確認補助ミラー
KR200217308Y1 (ko)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