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459Y1 - 자동차의보조전조등반사경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보조전조등반사경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459Y1
KR200250459Y1 KR2019980017790U KR19980017790U KR200250459Y1 KR 200250459 Y1 KR200250459 Y1 KR 200250459Y1 KR 2019980017790 U KR2019980017790 U KR 2019980017790U KR 19980017790 U KR19980017790 U KR 19980017790U KR 200250459 Y1 KR200250459 Y1 KR 200250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pivot
hinge axis
shaf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611U (ko
Inventor
차지헌
Original Assignee
유철진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진,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철진
Priority to KR2019980017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45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6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459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개 또는 우천 주행시 차량의 전조등을 보조하여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돕는 소위 안개등이라고 불리우는 자동차의 보조 전조등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고정된 고정축과 이에 수직한 힌지축으로 이루어진 피봇과, 상기 피봇의 힌지축이 안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고 보조 전조등 반사경의 중앙 상부에 체결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반사경의 중앙 하부의 일정 위치에 접촉되도록 전후 이동되어 반사경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정축으로 구성되어;
두 개의 피봇을 하나의 피봇으로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와 작업공수가 감소되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자동차의 보조 전조등 반사경 조절장치(Fog lamp mirror controller for automobile)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보조 전조등 반사경 조절장치
본 고안은 안개 또는 우천 주행시 차량의 전조등을 보조하여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돕는 소위 안개등이라고 불리우는 자동차의 보조 전조등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되는 부품수를 절감하여 작업성의 향상과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자동차의 보조 전조등 반사경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보조 전조등은 차체에 장착시 상대방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자 그 주광축이 하향으로 조절되도록 법규(자동차 안전기준 38조의 2)로 명시하여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보조 전조등이 하향되도록 조정하기 위해서는 보조 전조등의 반사경이 회전되기 위한 회전 중심점(pivot point)과, 반사경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회전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정점(aiming point)과, 상기 회전 중심점과 조정점을 반사경에 연결시켜 주는 구성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종래의 보조 전조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구(1)가 내측에 설치된 반사경(2) 상부의 두 개의 회전 중심점(2a)에 나사(3)로 상기 반사경(2)의 보스(boss)(2c)에 체결된 두 개의 리테이너(retainer)(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테이너(4)에는 상기 반사경(2)이 상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리테이너(4)에 회전가능토록 삽입된 피봇(pivot)(5)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피봇(5)의 타단은 상기 반사경(2)의 하우징(6)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사경(2) 하부의 조정점(2b)에는 상기 반사경(2)의 회전을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축(7)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정축(7)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반사경(2)은 두 개의 상기 피봇(5)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되므로, 상기 반사경(2)의 상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정축(7)이 전진하게 되면 상기 반사경(2)은 두 개의 상기 피봇(5)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전구(1)에서 발생된 빛이 자동차의 정면을 비추게 되고, 상기 조정축(7)이 후진하게 되면 상기 반사경(2)은 두 개의 상기 피봇(5)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전구(1)에서 발생된 빛이 자동차의 주행시 노면을 비추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조 전조등 반사경 조절장치는 상기 조정축(7)을 하나만 설치하는 경우 상기 피봇(5)의 구조상 상기 반사경(2)이 좌우로 회전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회전되려면 상기 피봇(5)이 필연적으로 두 개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두 개의 피봇(5)을 위하여 소요되는 부품수와 작업공수가 많아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수와 작업공수가 절감되도록 하나의 피봇과 조정축으로 반사경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의 보조 전조등 반사경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반사경에 회전 중심점과 조정점이 도시된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반사경 조절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반사경 조절장치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반사경에 회전 중심점과 조정점이 도시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반사경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반사경 조절장치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반사경 조절장치의 평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A선에 의한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BB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 : 반사경 51a : 보스
52 : 리테이너 52a : 홈
52b : 회전 중심점 52c : 조정점
53 : 나사 54 : 하우징
55 : 전구 60 : 피봇
61 : 고정축 62 : 힌지축
70 : 조정축 80 : 유리 덮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고정된 고정축과 이에 수직한 힌지축으로 이루어진 피봇과, 상기 피봇의 힌지축이 안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고 보조 전조등 반사경의 중앙 상부에 체결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반사경의 중앙 하부의 일정 위치에 접촉되도록 전후 이동되어 반사경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정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반사경에 회전 중심점과 조정점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반사경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반사경 조절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반사경 조절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A선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BB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보조 전조등 반사경 조절장치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51) 상부의 하우징(54)에 체결되도록 일단에 나사(61a)가 형성된 고정축(61)과 상기 고정축(61)의 타단이 중앙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힌지축(62)으로 이루어진 피봇(60)과, 상기 피봇(60)의 힌지축(62)이 압입될 수 있도록 홈(52a)이 형성되고 반사경(51)에 형성된 보스(boss)(51a)에 나사(53)로 체결되는 리테이너(52)와, 상기 반사경(51)이 상기 피봇(60)의 힌지축(62)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반사경(51)의 하부에 연결되는 조정축(7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경(51)의 회전 중심점(51b)은 상기 피봇(60)의 힌지축(62)이 되고, 상기 조정점(51c)은 상기 조정축(70)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보조 전조등 반사경 조절장치의 조립과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리테이너(52)를 반사경(51)에 형성된 보스(51a)에 나사(53)를 사용하여 체결한 후, 상기 피봇(60)의 힌지축(62)을 상기 리테이너(52)의 홈(52a)에 삽입한다. 이후, 상기 피봇(60)의 고정축(61)을 상기 반사경(51)의 하우징(54) 상부에 체결하고, 조정축(70)을 하우징(54)의 하부에 설치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축(70)을 전진시키면 상기 반사경(51)이 상기 피봇(60)의 힌지축(62)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조정축(70)을 후진시키면 상기 반사경(51)이 자중에 의하여 상기 피봇(60)의 힌지축(62)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즉, 상기 조정축(70)을 전 후진시킴으로써 상기 반사경(51)의 각도를 조절하여 전구(55)에서 발생되는 빛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경(51)은 상기 힌지축(62)이 반사경(51)에 연결된 상기 리테이너(52)와 하우징(54)에 고정된 상기 고정축(6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하로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좌우로는 회전이 불가능하다.
미설명부호 80은 유리 덮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보조 전조등 반사경 조절장치는 두 개의 피봇을 하나의 피봇으로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와 작업공수가 감소되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고정된 고정축과 이에 수직한 힌지축으로 이루어진 피봇과, 상기 피봇의 힌지축이 안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고 보조 전조등 반사경의 중앙 상부에 체결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반사경의 중앙 하부의 일정 위치에 접촉되도록 전후 이동되어 반사경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정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보조 전조등 반사경 조절장치.
KR2019980017790U 1998-09-18 1998-09-18 자동차의보조전조등반사경조절장치 KR200250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790U KR200250459Y1 (ko) 1998-09-18 1998-09-18 자동차의보조전조등반사경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790U KR200250459Y1 (ko) 1998-09-18 1998-09-18 자동차의보조전조등반사경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11U KR20000006611U (ko) 2000-04-25
KR200250459Y1 true KR200250459Y1 (ko) 2002-04-22

Family

ID=6951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790U KR200250459Y1 (ko) 1998-09-18 1998-09-18 자동차의보조전조등반사경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4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11U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3131A (en) Headlight mounting and adjustment mechanism
KR930007618Y1 (ko) 자동차용 전조등
GB2279452A (en) Headlamp for vehicles
EP0129922A1 (en) Adjustable headlight which can be at least partially dismantled for motor vehicles
US5707134A (en) Vehicular lamp
JPH03101003A (ja) 自動車の前照灯位置調節装置
KR200250459Y1 (ko) 자동차의보조전조등반사경조절장치
JP3223705B2 (ja) 光軸調整装置を具備した車両用灯具
US5122935A (en) Vehicle headlamp and aiming apparatus
JP2001160307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H10134604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KR930005811Y1 (ko) 전조등 설치장치
KR0138812Y1 (ko) 자동차 안개등
JPH10208510A (ja) 車両用前照灯
KR880003998Y1 (ko) 조사(照射)방향이 조절되는 자동차용 전조등
JP2549505Y2 (ja) 車両用灯具の光軸調整装置
JPS5832164Y2 (ja) 前照灯取付装置
KR100478300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KR100228110B1 (ko) 이중 광학 프리즘을 이용한 빔각도 조절장치
KR200151748Y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조사각 조절구조
KR100486337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JPH0436988Y2 (ko)
KR0149625B1 (ko) 전조등 상하높이 조절장치
KR200171901Y1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JP2002260414A (ja) 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