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747A -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747A
KR20220150747A KR1020210058103A KR20210058103A KR20220150747A KR 20220150747 A KR20220150747 A KR 20220150747A KR 1020210058103 A KR1020210058103 A KR 1020210058103A KR 20210058103 A KR20210058103 A KR 20210058103A KR 20220150747 A KR20220150747 A KR 20220150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ing member
vehicle
mirror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욱
전병수
Original Assignee
제일전자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자공업(주) filed Critical 제일전자공업(주)
Priority to KR102021005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747A/ko
Publication of KR2022015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는 미러 헤드부; 및 상기 미러 헤드부와 차량의 전방에 형성되는 윈드 쉴드 및 차량의 차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조립체는, 상기 윈드 쉴드 및 상기 차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부착되는 고정 부재와; 양측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보유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연결 몸체;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연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미러 헤드부와 상기 고정 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A apparatus of inside mirr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어 후방 시야를 확보하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결합 지점을 보유한 투 볼 타입의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자동차의 운전석이 위치한 앞좌석에는 주행시에 전면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을 차단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차내 유입을 방지하면서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윈드실드 글래스가 장착 되어 있고, 이 윈드실드 글래스를 비롯하여 앞좌석 측면의 윈도우 글래스에는 운전자의 후방시야와 측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인사이드 미러(inside mirror)와 아웃사이드 미러(outside mirror)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사이드 미러 장치는 이너미러(inner mirror) 또는 룸미러(room mirror)라고도 하며,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거나 좌우회전 또는 유턴을 하기 전에 후방의 상황을 살피기 위하여 주시하는 것으로, 상기 인사이드 미러를 통해 전후방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사이드 미러 장치는 윈드실드 글래스의 차실 내측 면의 상부에 부착됨으로써, 주행 시에 운전자가 후속 차량의 동태와 차간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전에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인사이드 미러는 소형 및 중형 자동차에 있어서 하우징 하부에 설치된 레버를 조작하여 야간에 차량의 운행시 후방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빛의 반사를 막을 수 있도록 해주고, 고급 대형 자동차에 있어서는 ECM 미러가 장착되어 후방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ECM 미러가 조절하여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운전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인사이드 미러는 사용기능에 따라 DN(DAY & NIGHT), ECM(Electrochromic Mirror), HOME LINK 등으로 분류된다.
이때, 상기 인사이드 미러는, 미러가 수용되는 미러 헤드와 차체를 연결하면서, 인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테이 조립체의 구조에 따라 원 볼(One ball) 타입과 투 볼(Two ball ball) 타입으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인사이드 미러의 안전기술 법규에도 만족하면서도 조작성,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한 투 볼 타입의 인사이드 미러가 주로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 투 볼 타입의 인사이드 미러의 경우, 투 볼 타입의 스테이 조립체를 사용 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 볼 타입의 인사이드 미러를 구성하는 미러 헤드와의 결합이 불가능하여, 상기 스테이 조립체와 대응되는 형상을 보유한 미러 헤드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덧붙여, 상기 인사이드 미러용 스테이 조립체는 부품수가 많아 내부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나쁘고, 재료비 증가와 더불어, 차체와의 지지력 및 위치 고정력 확보를 위한 금속 소재로 제작되는 클램프 등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부품 중량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153102 Y1 (1999.08.02) '미러 스테이와의 볼결합을 위한 아웃사이드 미러의 틸팅 인서트 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종래의 원 볼 타입의 인사이드 미러 장치에 적용되는 미러 헤드와도 결합이 가능하여 현저히 향상된 범용성을 보유한 투 볼 타입의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은 스테이 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을 사출 성형 가능한 소재로 제작하여, 보다 경량화된 투 볼 타입의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는 미러 헤드부; 및 상기 미러 헤드부와 차량의 전방에 형성되는 윈드 쉴드 및 차량의 차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조립체는, 상기 윈드 쉴드 및 상기 차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부착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미러 헤드부와 상기 고정 부재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면서, 양측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보유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연결 몸체;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연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미러 헤드부와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연결 몸체에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미러 헤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연결 몸체내에 삽입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연결 몸체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전방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제 1 결합 부재; 및 전방 단부가 상기 연결 몸체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연결 몸체 내측을 향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 및 제 2 결합 부재는, 전방 단부의 형상이 구 형상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최전방에 배치되는 미러 헤드부측으로, 상호 동일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미러 헤드부는, 후방에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전방 단부가 삽입되어 억지끼움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헤드측 클램핑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조립체는, 상기 연결 몸체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제 2 결합 부재의 전방 단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 보조 부재; 및 상기 연결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면서,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후방 단부와, 상기 결합 보조 부재의 전방 단부를 동시에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보조 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 몸체 내에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상기 헤드측 클램핑부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후방 단부의 직경이 상기 연결 몸체의 전방 단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 부재는, 상기 제 2 결합 부재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상기 제 1 결합 부재와 제 2 결합 부재를 수용하는 결합 몸체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제 1 탄성 부재 수용부와; 상기 연결 몸체의 내벽면과 소정 면적이 접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홈이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결 몸체와의 내벽면과 접촉되는 구역의 형상이 격자 형상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는 안착 지지부; 및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내측을 향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 보조 부재는, 상기 결합 보조 부재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탄성 부재 수용부와; 상기 결합 보조 부재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2 결합 부재의 돌출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결합 부재 클램핑부; 및 상기 결합 보조 부재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내측을 향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 2 탄성 부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 보조 부재는, 상기 결합 보조 부재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탄성 부재 수용부; 및 상기 결합 보조 부재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2 결합 부재의 돌출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결합 부재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결합 부재는, 상기 제 2 결합 부재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와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쐐기 형상을 보유한 고정 부재 클램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 부재는,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한 사출 성형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는, 복수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연결 조립체를 통해, 미러 헤드부의 회전 반경을 현저히 확장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보다 향상된 후방 시계 확보를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 형상을 보유한 돌출부의 형성을 통해, 인사이드 미러 장치의 가동 범위를 확장시킴으로써, 보다 유연한 위치 조정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들을 통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후방에 체결홈이 형성된 원 볼 타입의 미러 헤드부와도 체결이 가능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향상된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 몸체 내에서의 상기 제 1 결합 부재와 제 2 결합 부재의 위치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차량의 주행 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인사이드 미러의 위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결합 부재의 돌출부는 미러 헤드부와 체결되도록 마련되고, 제 2 결합 부재의 돌출부는 결합 몸체와 상호 체결되는 구조를 확보하면서,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결합 몸체 내에서 탄성 지지되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결합 몸체 내에서의 제 1 결합 부재의 위치 고정을 위한 별도의 결합 보조 부재를 적용하지 않아도 견고한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의 제조 단가를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에 의한 추가적인 결합 보조 부재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음에 따라, 연결 조립체의 축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어,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제공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 부재는 탄성 부재를 통해 탄성 지지되어 연결 몸체 내부에서 견고한 위치 고정이 진행될 수 있어, 제 1 결합 부재의 위치 고정을 위한 추가적인 결합 보조 부재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음에 따라,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의 제조 단가를 현저히 저감할 수 있고, 연결 조립체의 축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어,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제공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금속소재로 제작되는 결합 부재 제작시,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한 사출 성형 가능한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보다 현저히 경량화된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상방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구성하는 헤드측 클램핑부와 연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의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구성하는 제 1 결합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구성하는 결합 보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상방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 헤드부(100), 연결 조립체(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미러 헤드부(100)는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어,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 조립체(200)와 억지끼움결합을 통해 상호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미러 헤드부(100)의 후방에는 상기 연결 조립체(200)와의 결합을 진행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조립체(200)는 차량의 전방에 형성되는 윈드 쉴드 및 차량의 차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와 상기 미러 헤드부(100)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연결 조립체(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 조립체(200)는, 고정 부재(210), 연결 몸체(220) 및 결합 부재(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고정 부재(210)는 상기 윈드 쉴드 및 차량의 차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부착되도록 마련되며, 판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몸체(220)는 상기 미러 헤드부(100)와 상기 고정 부재(21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양측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보유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 몸체(220)는 상기 결합 부재(230)를 구성하는 세부 구성들이 수용된 이후에, 양 단부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몸체(220)는 알루미늄을 포함한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부재(230)의 수용 이후에, 양단 외주연 둘레를 따라 가압을 진행하여 직경을 축소시켜, 상기 결합 부재(230)가 상기 연결 몸체(220)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 부재(230)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연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미러 헤드부(100)와 상기 고정 부재(210)를 상기 연결 몸체(22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230)는 상기 연결 몸체(220)에 의해 그 위치가 구속되어, 상기 미러 헤드부(100)와 상기 고정 부재(21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 부재(230)는, 상기 미러 헤드부(100)측으로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고정 부재(21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덧붙여, 상기 미러 헤드부(100)는 상기 결합 부재와의 억지끼움결합을 진행하기 위해, 헤드측 클램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측 클램핑부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결합 부재(230)는 제 1 결합 부재(231) 및 제 2 결합 부재(2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는, 상기 연결 몸체(220)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미러 헤드부(100)와 억지끼움결합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몸체(210)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소정 범위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는 상기 고정 부재(210)와 연결되면서, 상기 연결 몸체(220)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소정 범위가 상기 연결 몸체(220)의 내측을 향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 및 제 2 결합 부재(232)를 통해, 연결 지점을 다각화 하여, 상기 미러 헤드부(100)의 가동 범위를 현저히 확장 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보다 향상된 후방 시계 확보를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 및 제 2 결합 부재(232)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는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한 사출 성형 가능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소재는, 폴리아미드(PA, Polyamide), 폴리아세탈(POM, Polyacetal),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Polyphenyleneoxid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rnate)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 부재 제작 시,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한 사출 성형 가능한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종래의 금속 소재로 제작되는 결합 부재를 사용한 인사이드 미러 장치보다 현저히 경량화된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 조립체(200)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으로, 고정 부재(210), 연결 몸체(220), 결합 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몸체(220) 내에 수용되어 상기 결합 부재(230)의 위치를 구속하도록 마련되는 결합 보조 부재(240) 및 탄성 부재(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 부재(230)는 제 1 결합 부재(231) 및 제 2 결합 부재(232)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는 상기 미러 헤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연결 몸체내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는 상기 연결 몸체(220)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의 전방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의 전방 단부에는 구 형상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23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는 후방 단부의 직경이 상기 연결 몸체(220)의 전방 단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 몸체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술할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연결 몸체(220)로부터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는 상기 연결 몸체(220)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연결 몸체(220) 내측을 향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전방 단부가 상기 연결 몸체(220) 내측을 향해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전방 단부에는 구 형상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23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구 형상을 보유한 돌출부(231a, 232a)의 형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인사이드 미러 장치의 가동 범위를 확장시킴으로써, 보다 유연한 위치 조정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는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 몸체(22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는 상기 연결 몸체(220)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전방 단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의 후방 단부는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전방에 형성되는 돌출부(232a)를 감싸는 형상을 보유하도록 형성되어 안정적인 체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250)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와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 부재(250)는 상기 연결 몸체(210)의 내부에 내장되면서,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의 후방 단부와,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의 전방 단부를 동시에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결합 보조 부재(231)와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250)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의 후방 단부 직경이 축소됨에 따라,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가 감싸는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돌출부(232a)와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간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술한 탄성 부재(250)를 통해, 상기 연결 몸체(210) 내에서의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와 제 2 결합 부재(232)의 위치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차량의 주행 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인사이드 미러의 위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250)는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소재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구성하는 헤드측 클램핑부와 연결 조립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구성하는 헤드측 클램핑부와 연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의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구성하는 제 1 결합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구성하는 결합 보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측 클램핑부(110)는 앞서 설명한 미러 헤드부(미도시)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연결 조립체(200)의 억지끼움결합을 진행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 면적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연결 조립체(200)를 구성하는 제 1 결합 부재(231)의 전방에 형성되는 돌출부(231a)가 억지끼움결합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는 고정 부재 클램핑부(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 클램핑부(232b)는 상술한 차체 및 윈드 쉴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부착되는 고정 부재(미도시)와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간의 결합을 진행하기 위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 부재 클램핑부(232b)는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부재 클램핑부(232b)는 상기 고정 부재와 체결될 수 있도록, 쐐기 형상을 보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와,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전방 단부는 상호 동일한 가상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 몸체(22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연결 몸체는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의 직경은 상기 연결 몸체의 중심부가 보유한 직경보다 좁은 직경을 보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와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231a)와,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232a)는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각각의 상기 돌출부들(231a, 231b)은 최전방에 배치되는 헤드측 클램핑부(110)를 향해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들(231a, 231b)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와 제 2 결합 부재(232)를 통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후방에 체결홈이 형성된 원 볼 타입의 미러 헤드부와도 체결이 가능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향상된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는 상기 탄성 부재(250)에 의해 상기 연결 몸체 내에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231a)는 상기 헤드측 클램핑부(110)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헤드측 클램핑부(110)와 억지끼움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250)의 중심축이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의 돌출부(231a)와 상기 제 2 결합 부재의 돌출부(232a)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과 중심축을 상호 공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탄성 부재(250)가 상술한 배치구조를 보유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250)를 통해,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와,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돌출부(231a, 232a)의 위치 고정을 진행하는 결합 보조 부재(240) 측으로 보다 안정적인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의 돌출부(231a)는 상기 미러 헤드부(100)와 체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돌출부(232a)는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를 통해 상기 결합 몸체(220)와 상호 체결되며, 상기 탄성 부재(250)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와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위치를 견고하게 구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의 위치 고정을 위한 추가적인 결합 보조 부재를 적용하지 않아도 견고한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의 제조 단가를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는 도 6,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 부재 수용부(231b), 안착 지지부(231c) 및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부(23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 수용부(231b)는 상기 탄성 부재(250)의 상기 연결 몸체(220) 내에서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여, 상기 탄성 부재(250)가 보유한 탄성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와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 측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 1 탄성 부재 수용부(231b)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탄성 부재 수용부(231b)는 상기 탄성 부재(250)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후방 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안착 지지부(231c)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는 제 1 결합 부재(231)가 상기 연결 몸체(220)의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 지지부(231c)는 상기 연결 몸체(220)의 내벽면과 소정 면적이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의 경량화를 위해,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의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안착 지지부(231c)의 형성을 통해, 탄성 지지되어 연결 몸체 내부에서 견고한 위치 고정이 진행될 수 있어, 제 1 결합 부재의 위치 고정을 위한 추가적인 결합 보조 부재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음에 따라,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의 제조 단가를 현저히 저감할 수 있고, 연결 조립체의 축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어,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제공 가능하다.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홈(H)이 상기 안착 지지부(231c)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함몰홈(H)은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의 외주연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홈(H)은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보유한 상기 함몰홈(H)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에 소요되는 원재료 투입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안착 지지부(231c)가 형성하는 면적의 형상이 격자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될 수 있어, 상기 연결 몸체(220)의 내벽면과 충분한 접촉면적을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부(231d)는 상기 탄성 부재(25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 부재(25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250)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부(231d)의 최외곽 둘레의 형상은 상기 탄성 부재(250)의 내측 둘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부(231d)의 최외곽 둘레는 상기 탄성 부재의 내측 둘레보다 작거나 같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결합 몸체 내에서 탄성 지지되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결합 몸체 내에서의 제 1 결합 부재의 위치 고정을 위한 별도의 결합 보조 부재를 적용하지 않아도 견고한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의 제작에 필요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종래 투볼 타입의 인사이드 미러 장치에 소요되는 제조 비용에 비해, 현저하게 상기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232a)는 상기 결합 몸체(220)의 내측에 그 위치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와 억지끼움결합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는 제 2 탄성 부재 수용부(241), 결합 부재 클램핑부(242) 및 제 2 탄성 부재 가이드부(2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제 2 탄성 부재 수용부(241)는 상기 탄성 부재(25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탄성 부재(250)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탄성 부재 수용부(241)는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부재 클램핑부(242)는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232a)에 대한 파지를 진행하기 위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앞서 설명한 양단의 직경이 중심부의 직경보다 좁도록 형성되는 연결 몸체(250) 내에서, 상기 탄성 부재(250)를 통해,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결합 부재 클램핑부(242)의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의 돌출부(232a)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 부재 클램핑부(242)의 원활한 직경 축소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결합 부재 클램핑부(242)가 형성되는 구역에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탄성 부재 가이드부(243)는 상기 탄성 부재(25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 부재(25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250)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 탄성 부재 가이드부(243)의 최외곽 둘레의 형상은 상기 탄성 부재(250)의 내측 둘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탄성 부재 가이드부(243)의 최외곽 둘레는 상기 탄성 부재의 내측 둘레보다 작거나 같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미러 헤드부
110 : 헤드측 클램핑부
200 : 연결 조립체
210 : 고정 부재
220 : 연결 몸체
230 : 결합 부재
231 : 제 1 결합 부재
231a : 돌출부
231b : 제 1 탄성 부재 수용부
231c : 안착 지지부
231d :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부
H : 함몰홈
232 : 제 2 결합 부재
232a : 돌출부
232b : 고정 부재 클램핑부
240 : 결합 보조 부재
241 : 제 2 탄성 부재 수용부
242 : 결합 부재 클램핑부
243 : 제 2 탄성 부재 가이드부
250 : 탄성 부재

Claims (10)

  1.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는 미러 헤드부(100); 및
    상기 미러 헤드부와 차량의 전방에 형성되는 윈드 쉴드 및 차량의 차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조립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조립체(200)는,
    상기 윈드 쉴드 및 상기 차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부착되는 고정 부재(210);
    상기 미러 헤드부와 상기 고정 부재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면서, 양측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보유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연결 몸체(220);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연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미러 헤드부와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연결 몸체에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합 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230)는,
    상기 미러 헤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연결 몸체내에 삽입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연결 몸체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전방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제 1 결합 부재(231); 및
    전방 단부가 상기 연결 몸체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연결 몸체 내측을 향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 결합 부재(2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230)는,
    전방 단부의 형상이 구 형상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231a, 23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31a, 232a)는,
    최전방에 배치되는 미러 헤드부측으로, 상호 동일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헤드부(100)는,
    후방에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전방 단부가 삽입되어 억지끼움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헤드측 클램핑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조립체(200)는,
    상기 연결 몸체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제 2 결합 부재의 전방 단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 보조 부재(240); 및
    상기 연결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면서,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후방 단부와, 상기 결합 보조 부재의 전방 단부를 동시에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보조 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 부재(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 몸체 내에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상기 헤드측 클램핑부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후방 단부의 직경이 상기 연결 몸체의 전방 단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는,
    상기 제 2 결합 부재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상기 제 1 결합 부재와 제 2 결합 부재를 수용하는 결합 몸체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 부재(231)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제 1 탄성 부재 수용부(231b);
    상기 연결 몸체의 내벽면과 소정 면적이 접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홈이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결 몸체와의 내벽면과 접촉되는 구역의 형상이 격자 형상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는 안착 지지부(231c); 및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내측을 향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부(23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보조 부재(240)는,
    상기 결합 보조 부재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탄성 부재 수용부(241);
    상기 결합 보조 부재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2 결합 부재의 돌출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결합 부재 클램핑부(242); 및
    상기 결합 보조 부재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내측을 향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 2 탄성 부재 가이드부(2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 부재(232)는,
    상기 제 2 결합 부재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와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쐐기 형상을 보유한 고정 부재 클램핑부(232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한 사출 성형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KR1020210058103A 2021-05-04 2021-05-04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KR20220150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03A KR20220150747A (ko) 2021-05-04 2021-05-04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03A KR20220150747A (ko) 2021-05-04 2021-05-04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747A true KR20220150747A (ko) 2022-11-11

Family

ID=8404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103A KR20220150747A (ko) 2021-05-04 2021-05-04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7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102Y1 (ko) 1996-12-16 1999-08-02 양재신 미러 스테이와의 볼결합을 위한 인사이드 미러의 틸팅 인서트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102Y1 (ko) 1996-12-16 1999-08-02 양재신 미러 스테이와의 볼결합을 위한 인사이드 미러의 틸팅 인서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980B2 (en) Interior rearview mirror
JPH0628358Y2 (ja) バックミラー
KR20010092305A (ko)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US6682200B2 (en) Vehicle mirror device
CN107264408B (zh) 视觉辨认装置的视觉辨认角度调整机构
JP2005508778A (ja) 自動車の機器モジュール
KR100558839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US6481863B2 (en)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JP3888655B2 (ja) 自動車用前照灯
JP3217213B2 (ja) エーミングスクリューの支持構造
JP2001351407A (ja)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4667004B2 (ja) コネクタ
US6270227B1 (en) Remote-controlled mirror apparatus for vehicles
KR20220150747A (ko)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US7393229B2 (en) Connecting mechanism for a connector
US10293754B2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JP2014234112A (ja) 車両用ドアミラーの鏡面調整ユニット構造
JP4222905B2 (ja) 自動車用前照灯
JP5351968B2 (ja) 特に実用車用外装バックミラーの取り付け台用の保持ヒンジ部品、及びこの保持ヒンジ部品を備える実用車用外装バックミラー
JP2008221873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4442901B2 (ja) 車輌用前照灯のレベリング装置
CN112124484A (zh) 接收驾驶员的操作输入的手柄开关装置
JP2003095018A (ja) 自動車用室内灯
US20240117657A1 (en) Vehicle hood stay support structure
EP1805061B1 (en) A pivot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