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7754A - 촬상 장치 및 휴대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휴대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7754A
KR20030047754A KR1020020076772A KR20020076772A KR20030047754A KR 20030047754 A KR20030047754 A KR 20030047754A KR 1020020076772 A KR1020020076772 A KR 1020020076772A KR 20020076772 A KR20020076772 A KR 20020076772A KR 20030047754 A KR20030047754 A KR 20030047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d
image
release swi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토아키라
세키요이치
나카노요이치
오쿠야마히로부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프리씨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프리씨존 인크. filed Critical 세이코 프리씨존 인크.
Publication of KR2003004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7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도 촬영자가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을 점등하는 촬상 장치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한다.
릴리즈 스위치(12)가 조작되기 까지의 기간, 제어부(1)는 정지화 촬영에 필요하게 되는 광량 이하로 LED(9)를 발광시키고, 릴리즈 스위치(12)가 조작되면 정지화 촬영에 필요하게 되는 광량으로 LED(9)를 발광시킨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휴대 전자 기기{Image Pick-up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휴대전화기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사체를 조명 가능한 촬상 장치 및 휴대전화기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CCD 등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가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카메라 동작의 온 설정에 수반하여 이미지 센서가 촬상한 화상을 LCD 등의 표시부에서 표시(스루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확인한 후에 릴리즈 버튼을 눌러서 촬영을 행함으로써, 자기가 의도한 구도의 촬영을 행한다. 이와 같은 사용 방법은 은염(銀鹽) 카메라에는 없는 디지털 카메라 특유의 사용 방법이다
그러나, 상술한 사용 방법은 주위가 밝으면 좋지만 주위가 어두우면 표시부의 표시가 어둡게 되어 실현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촬영자의 눈으로 봄에 의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 경우도 주위가 지나치게 어두우면 촬영자도 눈으로 볼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카메라 동작의 온 설정으로부터 촬영 종료까지 조명을 계속 점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동안에 촬영시에 필요한 밝기로 조명을 계속 점등하면 소비 전력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라도 촬영자가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을 점등하는 촬상 장치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데 있다.
제 1 발명은, 정지화 촬영을 행하게 하는 릴리즈 스위치와, 피사체 상을 촬상함과 함께 촬상한 상기 피사체 상에 따라 화상 정보를 상기 릴리즈 스위치가 조작될 때까지 갱신하면서 출력하고,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정지화 촬영할 때에 촬상한 상기 피사체 상에 따라 상기 화상 신호를 정지 화상 정보로서 출력하는 촬상부와, 상기 피사체를 조명하는 발광부와, 상기 릴리즈 스위치가 조작되기 까지의 기간과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정지화 촬영시에 상기 발광부의 광량을 전환하는 광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지화 촬영시에는 정지화 촬영에 필요한 만큼의 광량을 조사하고, 정지화 촬영 전에는 정지화 촬영에 필요하게 되는 광량 이하로 촬영자가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는 광량으로 발광부를 발광 가능하게 되어, 항상 촬영에 필요한 만큼의 광량을 조사하는 경우보다도 전력 절약화가 도모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상기 광량 제어부가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정지화 촬영시의 상기 발광부의 광량을 상기 릴리즈 스위치가 조작되기 까지의 기간의 상기 발광부의 광량보다 크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릴리즈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정지화 촬영시의 발광부의 광량을 릴리즈 스위치가 조작되기 까지의 기간의 발광부의 광량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3 발명은, 상기 촬상부가 출력하는 상기 화상 정보에 따라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효과에 더하여, 릴리즈 스위치가 조작되기 까지의 기간 주위가 어두운 때라도 촬영자는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확인 가능하게 되고, 확인 후에 릴리즈 버튼을 조작하여 정지화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4 발명은, 상기 발광부가 LED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효과에 더하여, 구성의 소형화가 도모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상기 촬상 장치가 일체로 장비되어 있는 휴대 전자 기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 효과를 갖는 휴대 전자 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2는 도 1의 CCD 카메라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동작 설명을 위한 타이밍 차트.
도 5는 도 1의 동작 설명을 위한 타이밍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량 제어부4 : 촬상부
6 : 표시부9 : 발광부
12 : 릴리즈 스위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휴대 전자 기기로서의 휴대전화기에 촬상 장치를 마련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휴대전화기의 전기적인 구성을 기능 블록도로서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광량 제어부로서의 제어부(1)는 CPU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무선 통신부(2), 음성 입출력부(3), 촬상부로서의 CCD 카메라(4), 키 패드(5), 표시부로서의 컬러 LCD(6), 외부기기 접속 인터페이스(7), 메모리(8), 피사체를 조명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로서의 백색 LED(9)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10), LED(9)의 발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발광 모드 설정부(11), 정지화 촬영 시작을 지시하는 릴리즈 신호를 출력시키는 릴리즈 스위치(12) 및 전원 스위치를 겸한 동작 모드 설정부(13)가 접속되어 있다.무선 통신부(2)에는 안테나(14)가 접속되어 있고, 음성 입출력부(3)에는 마이크(15) 및 리시버(16)가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15)는 송화 음성을 입력하면, 입력한 송화 음성을 음성 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송화 신호를 생성하고, 그 송화 신호를 음성 입출력부(3)에 출력한다. 음성 입출력부(3)는 마이크(15)로부터 송화 신호가 주어지면, 그 송화신호에 대해 증폭 처리 및 A/D 변환 처리 등을 실행하고, 제어부(1)를 통하여 무선 통신부(2)에 송화 신호를 출력한다.무선 통신부(2)는 음성 입출력부(3)로부터 제어부(1)를 통하여 송화 신호가 주어지면, 그 송화 신호에 대해 베이스 밴드 처리 및 무선 처리 등을 실행하고, 안테나(14)로부터 광대역 통신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을 이용한 무선 통신에 할당된 통신 주파수 대역)의 송신 전파로서 방사한다.
무선 통신부(2)는 안테나(14)가 상기 광대역 통신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수신 전파로서 포착하면, 그 포착된 전파에 대해 무선 처리 및 베이스 밴드 처리 등을 실행하여 수화 신호를 생성하고, 그 수화 신호를 제어부(1)를 통하여 음성 출력부(3)출력한다. 음성 입출력부(3)는 무선 통신부(2)로부터 제어부(1)를 통하여 수화 신호가 주어지면, 그 주어진 수화 신호에 대해 D/A 변환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을 실행하고, 리시버(16)로 출력한다.리시버(16)는 음성 입출력부(3)로부터 수화 신호가 주어지면, 그 수화 신호를 전기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수화 음성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수화 음성을 출력한다.
CCD 카메라(4)는 피사체 상을 촬상하고, 촬영한 상에 따라 전기적인 화상 정보를 생성(이른바, 광전 변환)하여 제어부(1)에 출력한다.
키 패드(5)는 통화 시작키, 리다이얼키, 통화 종료키, 「0」 내지 「9」의 숫자키, *(애스터리스크)키, #(샤프)키 및 F(펑션)키 등의 각종의 키가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고, 어느 하나의 키를 조작시키면, 그 키 조작에 따라 키 조작 신호를 제어부(1)에 출력한다. 제어부(1)는 키 패드(5)로부터 키 조작 신호가 주어지면,그 키 조작 신호를 해독하고, 해독한 결과에 따라 처리를 실행한다.
LCD(6)는 제어부(1)로부터 표시 신호가 주어지면, 그 주어진 표시 신호에 따라 표시 정보를 표시한다. 외부기기(17)는 CCD 카메라(4)와 마찬가지로, 화상 정보를 촬영하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이고, 외부기기 접속 인터페이스(7)는 휴대전화기(1)와 외부기기(17)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외부기기(17)가 촬영한 화상 정보를 입력하고, 그 입력한 화상 정보를 제어부(1)에 출력한다. 또한, 표시부는 컬러 LCD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제어부(1)와 협동하여 제어 수단을 구성하는 메모리(8)는 플래시 메모리, ROM, RAM 및 VRAM(비디오 RAM) 등의 기억 소자를 구비하고, ROM에 실행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고, 제어부(1)는 이 실행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여러가지 동작을 실행한다. 메모리(8) 내의 플래시 메모리는 릴리즈 스위치(12) 동작시에 CCD 카메라(4)로부터 입력한 화상 정보나 외부기기 접속 인터페이스(7)로부터 입력한 화상 정보를 기억한다. 메모리(8) 내의 VRAM은 LCD(6)에 표시시키는 CCD 카메라(4)로부터 입력한 화상 정보나 외부기기 접속 인터페이스(7)로부터 입력한 화상 정보를 기억한다. 메모리(8) 내의 RAM은 여러가지 처리에 이용된다.
발광부로서의 LED(9)는 피사체를 조명하기 위한 LED로서, 본 예에서는 백색의 광을 조사하는 백색 LED를 이용한다. 백색 LED로서는, 예를 들면 일아화학공업(주)제의 고휘도 백색 LED(형번: NSPW510BS) 등을 이용한다. 또한, 도 1에서는LED(9)를 2개 채용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LED의 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CCD 카메라(4)에 이용되는 CCD(이미지 센서)의 검출 특성에 따라 조명용으로 필요한 광량이 다르기 때문에 조명용으로서 큰 광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LED(9)의 수를 늘려 광량을 늘리고, 조명용으로서 큰 광량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수의 LED로 하는 등의 변경이 가능하다.
구동 회로(10)는 제어부(1)로부터 출력되는 LED(9)의 발광 광량을 지시하는 광량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LED(9)를 구동한다. 또한, 제어부(1)로부터 출력되는 광량 제어 신호는 백색 LED(9)의 발광량을 지정하는 정보면 좋기 때문에 적색 LED와 녹색 LED와 청색 LED를 이용하여 백색을 발광하는 발광부의 광량을 제어하는 경우와 같이 백색 밸런스를 고려한 제어가 불필요하게 되어, 광량 제어 신호의 간략화가 도모될 수 있다.
발광 모드 설정부(11)는 LED(9)의 발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예에서는 피사체 휘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LED(9)의 발광 및 발광량을 제어하는 자동 발광 모드, LED(9)의 발광을 금지하는 발광 금지 모드를 설정 가능하게 하고, 예를 들면 1회 조작될 때마다 자동 발광 모드와 발광 금지 모드가 전환되도록 한다. 제어부(1)는 발광 모드 설정부(11)에서 설정된 모드 등에 따라 LED(9)의 발광을 제어함과 함께 설정되어 있는 모드를 LCD(6)에 표시시킨다.
동작 모드 설정부(13)는 전원을 끈 상태(오프 모드), 전화의 송수신을 행하는 상태(전화 모드), 메모리(8)에 기억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뷰 모도), 카메라 촬영 가능한 상태(촬영 모드) 및 LED(발광부)(9)를 소정의 광량(밝기)으로 계속적으로 발광시키는 상태(라이트 모드)를 택일적으로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예를 들면 1회 조작될 때마다 오프 모드, 전화 모드, 뷰 모도, 촬영 모드, 라이트 모드로 모드가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1)는 동작 모드 설정부(13)에서 설정된 모드 등에 따라 여러가지의 동작을 제어함과 함께 설정되어 있는 모드를 LCD(6)에 표시한다. 또한, 오프 모드 이외에서는 착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CCD 카메라(4)와 제어부(1) 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촬영 렌즈(401)에 의해 수광면에 피사체의 광학상이 결상된 촬상 소자인 CCD(402)는 광학상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광전 변환을 행하고, 전하를 어레이 모양으로 전송하는 고체 촬상 소자로, 본 예에서는 2차원의 광학 정보를 시계열(시리얼 열)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른바 고체 이미지 센서로서 이용한다.
CCD에 관해 보충하면, CCD는 다수의 광전 변환 소자를 어레이 모양으로 나열한 광전 변환부와, 광전 변환 소자의 출력 전하를 축적하는 전하 축적부와, 전하 축적부에서 축적된 전하를 소정의 방식으로 판독하는 전하 판독부를 구비하고, 광전 변환 소자의 하나하나가 화소가 된다. 또한, 본 예의 CCD(402)는 컬러 CCD로 한다. 일반적으로 CCD의 화소 정보 그 자체는 색 정보를 갖지 않기 때문에 컬러 CCD에서는 전면에 색 필터(광의 삼원색을 이용한 원색 필터나 색의 삼원색을 이용한 보색 필터)를 장착한다.
수평·수직 드라이버(403)와 타이밍 발생기(TG)(404)는 CCD(402)의 판독에 필요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CCD(402)의 각 렬을 차례차례 지정하면서 행 단위로 화소의 정보를 전송하는(판독하는) 구동 신호, 즉 화소 정보를 시리얼로 판독하기 위한 수평·수직 각각의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샘플 홀드 회로(405)는 CCD(402)로부터 판독된 시계열의 신호(이 단계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CCD(402)의 해상도에 적합한 주파수로 샘플링 한다. 또한, 샘플링 후에 자동 이득 조정(AGC)을 행하여도 좋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406)는 샘플링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컬러 프로세스 회로(407)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406)의 출력으로부터 화상 정보로서의 휘도·색차 멀티플렉스 신호(이하「YUV 신호」라고 한다)를 생성한다. YUV 신호의 신호 포맷은 휘도 신호와 2개의 색차 신호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포함하는 "컴포넌트"라고 불리는 고정 길이의 3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컴포넌트의 길이(비트 수)의 비를 컴포넌트비라고 한다.
DMA 컨트롤러(408)는 컬러 프로세스 회로(407)와 DRAM(410)(정확하게는 DRAM 인터페이스(409))와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부(1)의 개재 없이 행하는 것으로, 이른바 다이렉트 메모리 전송(DMA; direct memory access)을 행한다.
DRAM 인터페이스(409)는 DRAM(410)과 DMA 컨트롤러(408) 사이의 신호 인터페이스 및 DRAM(410)과 제어부(1) 사이의 신호 인터페이스를 취한다.
도 3은 본 예의 휴대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구성의 것에는 동일 부호가 붙여 있다. 촬영 렌즈(401), CCD(402) 및 LED(9)는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고, 축(5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CCD 카메라(4)를 이용하여 사용자 자신을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광부로서 LED를 이용한 촬상 장치를 휴대전화기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발광부로서 크세논 관을 사용한 경우보다도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고, 소형화가 도모될 수 있고,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발광부로서 백색 LED를 이용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적색 LED와 녹색 LED와 청색 LED를 이용하여 백색 발광하는 것에 비해 구성의 간략화가 도모될 수 있고, 부품 개수의 삭감이 도모될 수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동작 모드 설정부(13)에서 전화 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1)는 무선 통신부(2), 음성 입출력부(3), 안테나(14), 마이크(15) 및 리시버(16) 등을 이용한 휴대전화 기능을 동작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는 보통의 휴대전화로서 사용 가능하게 된다.
동작 모드 설정부(13)에서 뷰 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1)는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정보에 따라 표시 신호를 LCD(6)에 주어서 화상 정보에 따라 화상을 LCD(6)에 표시시킨다.
동작 모드 설정부(13)에서 라이트 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1)는 LED(9)를 소정의 광량(밝기)으로 발광시킨다. 따라서, 라이트 모드가 설정된 경우, 휴대전화기를 조명 장치로서도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촬영에 사용하는 LED(발광부)(9)를 조명용으로 겸용하기 때문에 구성의 간략화가 도모될 수 있고, 발광부로서 LED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더욱 구성의 소형화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라이트 모드에서는 키 패드(5)의 조작에 의해 LED(9)의 광량을 조절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동작 모드 설정부에서 촬영 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1)는 CCD 카메라(4)를 동작시켜 CCD 카메라(4)가 리얼 타임으로 촬영하여 출력하는 피사체 상에 따라 화상 정보를 받아들이고, 메모리(8)의 VRAM 등을 통하여 LCD(6)에 보내고, LCD(6)에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이 상태인 때에 LCD(6)를 보면서 구도를 결정하는 작업을 행한다. 이 때, 제어부(1)는 발광 모드 설정부(11)에서의 설정을 확인한다.
발광 모드 설정부(11)에서 자동 발광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1)는 CCD 카메라(4)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LED(9)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는 CCD 카메라(4)로부터 입력하는 화상 정보에 포함되는 휘도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 회로(10)에 출력하는 광량 제어 신호를 변경함으로써 LED(9)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휘도 신호가 어두운 상태를 나타내면 나타낼수록, LED(9)의 발광량을 많게 하여 강한 광을 조사시키도록 제어한다. 한 예로서는, 제어부(1)가 휘도 신호에 의거하여 LCD(6)에 표시되는 화상이 소정치(1)보다 밝다고 판단한 경우는 LED(9)의 점등을 억제하고, 제어부(1)가 휘도 신호에 의거하여 LCD(6)에 표시되는 화상이 소정치(1)보다 어둡고 소정치(2)보다 밝다고(단, 소정치(1)는 소정치(2)보다 휘도가 높은 것으로 하고, 이들의 값은 미리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판단한 경우는 LED(9)를 제 1 광량으로 점등시키고, 제어부(1)가 휘도 신호에 의거하여 LCD(6)에 표시되는 화상이 소정치(2)보다 어둡다고 판단한 경우는 LED(9)를 제 1 광량보다 광량이 큰 제 2 광량으로 점등시킨다.
또한, 상기에서는 LED(9)의 광량을 3단계로 제어하도록 하였지만, 3단계에한정되지 않고 화상 정보(휘도 신호)에 따라 3단계보다 적게 하여도 좋고 3단계보다 많게 하여도 좋다.
LED(9)에 의한 발광은 촬영 모드하에서 자동 발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인 때 계속적으로 행하여도 좋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CCD(402)로부터 전하를 판독하고 있는 기간(전하 전송중)을 제외한 CCD(402)가 전하를 축적하고 있는 기간만 행하여도 좋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CD(402)로부터 전하를 판독하고 있는 기간(전하 전송중)의 일부의 기간만 소등하게 하는 점등으로 하여도 좋다. 도 4와 같이 CCD(402)로부터 전하를 판독하고 있는 기간을 제외한 CCD(402)가 전하를 축적하고 있는 기간만 LED(발광부)(9)를 점등하도록 하면, CCD(402)가 피사체 상을 검출하지 않는 때에 LED(9)(발광부)를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 상 검출에 필요가 없는 광을 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전력 절약화가 도모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CCD(402)로부터 전하를 판독하고 있는 기간의 일부의 기간만 소등하도록 하면, 계속적으로 LED(9)를 점등시키는 경우에 비해 LED(발광부)(9)의 불필요한 동작을 적게 할 수 있어서 전력 절약화가 도모될 수 있고, 또한, CCD(402)로부터 전하를 판독하고 있는 기간 전부에 걸쳐 LED(9)의 발광을 정지한 경우에 비해, LED(발광부)(9)로부터의 광을 피사체로서 사람이 받는 경우에 LED(발광부)(9)의 간헐 발광에 의해 불쾌하게 느껴질 가능성이 있는 어른거리는 느낌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예에서는, 이와 같은 LED(9)의 발광 제어를 행할 때, CCD(402)의 판독 타이밍을 규정하는 타이밍 발생기(404)의 출력에 의거하여 제어부(1)가 LED(9)의 발광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CCD(402)의 판독 타이밍과 LED(9)의 발광 제어 타이밍을 공통의 출력에 의거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타이밍 동기가 용이하게 취하여지고, 또한, 공통의 출력에 의거하여 CCD(402)의 판독 타이밍과 LED(9)의 발광 타이밍을 제어하기 때문에 타이밍 결정용이 출력의 겸용화가 도모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즉 릴리즈 스위치가 조작되기 까지의 기간의 LED(9)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은 정지화 촬영에 필요하게 되는 광량 이하에서 촬영자가 눈으로 보거나 LCD(6)에 의한 표시를 분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광량으로 한다.
사용자는, 이 상태, 즉 CCD 카메라(4)가 촬상하고 있는 화상을 거의 리얼타임으로 LCD(6)에 표시하고 있는 상태(스루 촬영 상태)에서 휴대전화기나 CCD 카메라(4)의 방향을 바꾸면서 LCD(6)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구도를 변화시키고, 소망하는 구도가 얻어진 시점에서 릴리즈 스위치(12)를 조작하여 정지 화상 촬영을 행한다.
제어부(1)는 릴리즈 스위치(12)의 조작에 따라 LED(9)의 발광량을 릴리즈 스위치(12)의 조작 전의 상태로 바꾼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는 LED(9)의 발광량을 릴리즈 스위치(12)의 조작 전보다 릴리즈 스위치(12)의 조작 직후, 즉 정지화 촬영시의 쪽을 크게 하는 광량 제어 신호, 구체적으로는 정지화 촬영에 필요한 만큼의 광량을 지시하는 광량 제어 신호를 구동 회로(10)에 출력하여 LED(9)의 광량을 올린다. 이 경우, 릴리즈 스위치(12)를 2단 스위치로 하여, 릴리즈 스위치(12)의 조작에 의해 제 1 단째의 스위치가 온 한 때에 릴리즈 스위치가 조작되기 까지 기간의 LED(9)의 발광량보다 LED(9)의 발광량을 크게 하고, 계속되는 릴리즈 스위치(12)의 조작에 의해 제 2 단째의 스위치가 온 한 때에 DRAM(410)에 보존된 YUV 신호를 고정하고 상술한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릴리즈 스위치(12)의 조작에 따라 정지 화상 촬영시는 LED(발광부)(9)로부터 정지화 촬영에 필요한 밝기를 공급하는 광량을 발할 수 있음과 함께 릴리즈 스위치(12)가 조작되기 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구도인 때에 필요 이상으로 LED(9)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필요없는 전력을 소비하는 것을 회피 가능하게 되어 전력 절약화가 도모될 수 있다.
또한, 광량 제어 방식으로서는 LED를 복수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점등시키는 LED(9)의 수를 바꾸도록 하여도 좋고, 동일한 LED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를 광량에 따라 바꾸도록 제어하여도 좋고, 이들을 조합시켜도 좋다. LED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를 바꿈으로서 LED로부터의 광량을 제어하는 구성의 경우, 동일한 LED로 광량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LED가 복수이고 LED의 구동 수를 바꿈으로서 LED로부터의 광량을 제어하는 구성인 경우, 적어도 LED의 수에 따라 광량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광량의 크기도 LED가 단수인 경우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릴리즈 스위치(12)의 조작에 수반하여 LED(9)의 광량이 증가하면, 제어부(1)는 LED(9)가 광량을 늘린 후에 DRAM(410)에 보존된 YUV 신호를 고정함과 함께 고정된 YUV 신호를 DRAM 인터페이스(409)를 통하여 받아들이고, 또한 LCD(6)의 표시를 고정된 YUV 신호에 따라 화상으로 고정한다. 제어부(1)는 받아들인 YUV 신호를 예를 들면, JPEG 부호화 한 후, 메모리(8)의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한다.
이와 같이, 피사체를 조명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로서 LED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발광부의 소형화가 도모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LED는 크세논관과 달리 점등 제어가 용이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어두운 때 촬영의 스토로보광 이외의 사용 방법, 예를 들면 주위가 어두운 때에 사용자가 구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피사체를 조명하는 사용 방법도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의 사용하기 편리함이 넓어진다. 또한, 크세논관과 달리 구동 전압으로서 수 100V의 전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 고전압에 기인하는 노이즈를 적게 할 수 있고, 노이즈에 의한 설계의 제약을 종래보다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CCD 카메라(4)가 출력하는 화상 정보로부터 구하여지는 휘도가 어두운 경우에 LED(9)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을 크게 하여 화상 정보의 휘도를 올리거나, CCD 카메라(4)가 출력하는 화상 정보로부터 구하여지는 휘도가 너무 밝은 경우에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을 작게 하여 화상 정보의 휘도를 내리는 제어를 제어부(1)가 행함으로써, 화상 정보의 휘도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LED(9)에 의해 조명된 피사체의 상에 따라 화상을 LCD(6)가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부를 보면서 구도를 정할 때(스루 촬영시)에 조명광을 조사 가능하게 되어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도, 사용자가 표시부를 보면서 구도를 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발광부가 스루 촬영시의 보조광과 릴리즈 스위치 조작시의 촬영용의 이른바 스토로보 광을 겸하기 때문에 구성의 간략화가 도모될 수 있다.
동작 모드 설정부에서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 발광 모드 설정부(11)에서 발광 금지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1)는 LED(9)를 발광시키지 않고 상술한 촬영 동작을 행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촬상부로서 CCD를 이용한 구성을 채용하였지만,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CMOS 센서 등의 이미지 센서이면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휴대 전자 기기로서의 휴대전화기에 촬상 장치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휴대 전자 기기는 휴대전화기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이른바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나 정보 휴대 단말 등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릴리즈 스위치가 조작되기 까지의 기간과 릴리즈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정지화 촬영시에서 발광부의 광량을 전환하기 때문에 정지화 촬영시에는 정지화 촬영에 필요한 만큼의 광량을 조사하고, 정지화 촬영 전에는 촬영에 필요하게 되는 광량 이하에서 촬영자가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는 광량으로 발광부를 발광 가능하게 되어, 항상 촬영에 필요한 만큼의 광량을 조사하는 경우보다도 전력 절약화가 도모될 수 있다.

Claims (5)

  1. 정지화 촬영을 행하게 할 수 있는 릴리즈 스위치와,
    피사체 상을 촬상함과 함께 촬상한 상기 피사체 상에 따라 화상 정보를 상기 릴리즈 스위치가 조작될 때까지 갱신하면서 출력하고,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정지화 촬영할 때에 촬상한 상기 피사체 상에 따라 상기 화상 신호를 정지 화상 정보로 출력하는 촬상부와,
    상기 피사체를 조명하는 발광부와,
    상기 릴리즈 스위치가 조작되기 까지의 기간과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정지화 촬영시에서 상기 발광부의 광량을 전환하는 광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제어부는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정지화 촬영시의 상기 발광부의 광량을 상기 릴리즈 스위치가 조작되기 까지의 기간의 상기 발광부의 광량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가 출력하는 상기 화상 정보에 따라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가 일체로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20020076772A 2001-12-07 2002-12-05 촬상 장치 및 휴대 전자 기기 KR200300477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4026A JP2003174587A (ja) 2001-12-07 2001-12-07 撮像装置および携帯電子機器
JPJP-P-2001-00374026 2001-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754A true KR20030047754A (ko) 2003-06-18

Family

ID=1918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772A KR20030047754A (ko) 2001-12-07 2002-12-05 촬상 장치 및 휴대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107656A1 (ko)
EP (1) EP1318670A1 (ko)
JP (1) JP2003174587A (ko)
KR (1) KR20030047754A (ko)
CN (1) CN121462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69078C (zh) * 2005-04-15 2009-03-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利用外部光源的节能手机
KR20200029413A (ko) * 2012-09-14 2020-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4623B2 (ja) * 2002-03-15 2006-08-30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影機能を有した携帯電話機
JP4040358B2 (ja) * 2002-03-15 2008-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影機能を有した携帯電話機
JP3814622B2 (ja) * 2002-03-15 2006-08-30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影機能を有した携帯電話機
JP3686416B2 (ja) * 2002-03-15 2005-08-24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影機能を有した携帯電話機
JP2004153571A (ja) * 2002-10-30 2004-05-27 Nec Access Technica Ltd 照明付き携帯電話、その照明制御方法及び照明制御プログラム
JP2004194083A (ja) * 2002-12-12 2004-07-08 Nec Saitama Ltd カメラおよび補助ライト付き携帯電話機
WO2004105384A1 (ja) * 2003-05-23 2004-12-02 Fujitsu Limited 撮像装置、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撮像方法、撮像プログラム
JP3833646B2 (ja) * 2003-09-25 2006-10-18 ローム株式会社 画像撮影装置
JP2005128145A (ja) * 2003-10-22 2005-05-19 Pentax Corp 撮影用照明装置
JP4118231B2 (ja) * 2003-12-17 2008-07-16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KR20050081722A (ko) * 2004-02-16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플래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21007B1 (ko) * 2004-02-19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124243B1 (ko) * 2004-02-26 2012-03-27 펜탁스 리코 이메징 가부시키가이샤 휴대기기용 디지털 카메라
GB2413392B (en) * 2004-04-23 2007-07-25 Sendo Int Lt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th camera and flash illumination
KR100593910B1 (ko) 2004-05-31 2006-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 장치
US7379117B2 (en) * 2004-09-15 2008-05-27 Avago Technologies Ecbu Ip Pte Ltd Flash module, camera, and method for illuminating an object during flash photography
JP4254672B2 (ja) 2004-09-21 2009-04-15 株式会社ニコン 携帯型情報機器
JP4433959B2 (ja) * 2004-09-21 2010-03-17 株式会社ニコン 携帯型情報機器
WO2006033360A1 (ja) * 2004-09-21 2006-03-30 Nikon Corporation 携帯型情報機器
EP1675438A1 (en) * 2004-12-06 2006-06-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biasing light emitting elements and electrical device
JP4866558B2 (ja) 2005-03-10 2012-02-01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画像撮影用照明装置
JP4772357B2 (ja) * 2005-03-31 2011-09-1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撮像装置
DE102005039792A1 (de) * 2005-08-22 2007-03-01 Elwa Klaus Warzog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JP2007206237A (ja) * 2006-01-31 2007-08-16 Fujifilm Corp 撮影装置用補助光照射装置
JP2007221218A (ja) * 2006-02-14 2007-08-30 Fujifilm Corp 撮像装置
DE602006012231D1 (de) * 2006-08-10 2010-03-25 Research In Motion Ltd Vorrichtung zur Leistungssteuerung in einer elektronischen Vorrichtung
US7697062B2 (en) * 2006-11-08 2010-04-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amera and method in a camera
US8194146B2 (en) 2008-01-11 2012-06-05 Mediatek Inc. Apparatuses for capturing and storing real-time images
US8207973B2 (en) 2008-01-11 2012-06-26 Media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signal and data transmission between various types of electronic modules
US7937520B2 (en) * 2008-01-11 2011-05-03 Mediatek Inc. General purpose interface controller of resoure limited system
US8474723B2 (en) * 2008-03-26 2013-07-02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optimizing auto-exposure performance of an imaging device
JP2015028918A (ja) 2013-06-27 2015-02-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カメラ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4427A (ja) * 1989-10-30 1991-06-19 Olympus Optical Co Ltd 閃光発光装置
JPH04250432A (ja) * 1991-01-28 1992-09-07 Sharp Corp 赤外線カメラの制御方法
JPH1010598A (ja) * 1996-06-25 1998-01-16 Minolta Co Ltd カメラ
JPH1198385A (ja) * 1997-09-22 1999-04-09 Casio Comput Co Ltd 電子ファインダ付撮像装置およびファインダ表示方法
JPH11298793A (ja) * 1998-04-09 1999-10-29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H11305297A (ja) * 1998-04-17 1999-11-05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0121924A (ja) * 1998-10-20 2000-04-28 Olympus Optical Co Ltd 自動焦点調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37455A1 (de) * 1982-10-15 1984-04-19 Olympus Optical Co., Ltd., Tokio/Tokyo Endoskopisches photografiegeraet
JP3050574B2 (ja) * 1990-05-24 2000-06-1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撮像装置
JPH04112233U (ja) * 1991-03-13 1992-09-30 株式会社ニコン 電子閃光装置を有するカメラ
US5485201A (en) * 1992-08-28 1996-01-1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Fill-in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still video camera
US6067422A (en) * 1995-07-28 2000-05-23 Canon Kabushiki Kaisha Flash photography system
US6069659A (en) * 1997-06-03 2000-05-30 Olympus Optical Co., Ltd. Strobe device that prevents the flicker of flashlight and flashing method thereof
JPH1184489A (ja) * 1997-09-09 1999-03-26 Olympus Optical Co Ltd ストロボ装置
US6095661A (en) * 1998-03-19 2000-08-01 Ppt Vis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L.E.D. flashlight
EP1061407B1 (en) * 1999-06-15 2006-02-08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Strobe flash photographic illumination
US6532035B1 (en) * 2000-06-29 2003-03-11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ation of close-up imaging capability in a mobile imaging system
JP4288553B2 (ja) * 2000-07-25 2009-07-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のストロボ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4427A (ja) * 1989-10-30 1991-06-19 Olympus Optical Co Ltd 閃光発光装置
JPH04250432A (ja) * 1991-01-28 1992-09-07 Sharp Corp 赤外線カメラの制御方法
JPH1010598A (ja) * 1996-06-25 1998-01-16 Minolta Co Ltd カメラ
JPH1198385A (ja) * 1997-09-22 1999-04-09 Casio Comput Co Ltd 電子ファインダ付撮像装置およびファインダ表示方法
JPH11298793A (ja) * 1998-04-09 1999-10-29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H11305297A (ja) * 1998-04-17 1999-11-05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0121924A (ja) * 1998-10-20 2000-04-28 Olympus Optical Co Ltd 自動焦点調節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69078C (zh) * 2005-04-15 2009-03-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利用外部光源的节能手机
KR20200029413A (ko) * 2012-09-14 2020-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4622C (zh) 2005-08-10
EP1318670A1 (en) 2003-06-11
US20030107656A1 (en) 2003-06-12
JP2003174587A (ja) 2003-06-20
CN1426225A (zh)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7754A (ko) 촬상 장치 및 휴대 전자 기기
JP4282610B2 (ja) カメラ、当該カメラを備えた携帯通信機器、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269203A1 (en) Image-taking system and image-taking apparatus
JP200730054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30047747A (ko) 촬상 장치 및 휴대 전자 기기
JP2003179808A (ja) 撮像装置および携帯電子機器
KR100819243B1 (ko) 카메라 폰에서 이미지 촬영 및 저장방법
KR1005811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카메라 제어 방법
KR100723060B1 (ko) 플래시 광량 조절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3941742B2 (ja) 発光部付き撮像装置
JP2003158676A (ja) 撮像装置および携帯電子機器
KR20010056621A (ko) 카메라폰에서 반투과형 엘씨디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그방법
JP3988511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00600991B1 (ko) 플래시 자동 제어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JP2003289368A (ja) 移動端末及び照明方法
JPWO2004054239A1 (ja) 電子機器および当該電子機器を用いた撮影方法
JP2003158675A (ja) 撮像装置および携帯電子機器
KR20070070822A (ko) 촬영 장치 및 카메라 제어 방법
JP4042805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5117187A (ja) 固体撮像装置
JP2006279744A (ja) 通信端末
JP7352034B2 (ja) 撮像装置、撮像指示方法、及び撮像指示プログラム
KR20060032821A (ko)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연속촬영시 색조명효과 표시 방법
KR20060035833A (ko) 플래쉬의 광도 조절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103106A (ko) 플래시 광량 자동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