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910B1 -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910B1
KR100593910B1 KR1020040039093A KR20040039093A KR100593910B1 KR 100593910 B1 KR100593910 B1 KR 100593910B1 KR 1020040039093 A KR1020040039093 A KR 1020040039093A KR 20040039093 A KR20040039093 A KR 20040039093A KR 100593910 B1 KR100593910 B1 KR 100593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current
terminal
camera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3939A (ko
Inventor
김형석
김용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910B1/ko
Priority to US10/935,360 priority patent/US7236697B2/en
Priority to JP2004270502A priority patent/JP4015654B2/ja
Publication of KR2005011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6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G03B2215/0567Solid-state light source, e.g. LED, la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또는 휴대폰 등의 소형 카메라에 사용되는 플래쉬용 LED를 두가지 모드로 구동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LED; 상기 LED에 상기 LED의 정격전류 이하의 전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저전류 연속구동부; 상기 LED에 상기 LED의 정격전류보다 높은 전류를 소정 시간 간격 동안 공급하는 고전류 펄스구동부; 및 상기 LED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저전류 연속구동부 및 상기 고전류 펄스구동부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전류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LED의 신뢰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밝은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LED, 플래쉬(flash), 펄스전류

Description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 장치{APPARATUS FOR LED FOR FLASH IN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 장치의 동작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례를 도시한 블럭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적용례를 도시한 블럭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LED 12 : 바이어스 회로부
13 : 저전류 연속구동부 14 : 스위칭회로제어부
15 : 스위칭회로부 16 : 모드 선택부
본 발명은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촬상용 플래쉬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휴대폰 등의 소형 카메라에 사용되는 플래쉬용 LED를 두가지 모드로 구동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디지털 카메라의 대중화와 더불어 휴대폰을 비롯한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에 소형 디지털 카메라를 내장시켜 판매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 및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등에는 야간 촬상시 필요로 하는 광량을 제공하기 위한 플래쉬가 함께 내장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플래쉬는 크세논관을 발광소자로 사용한 스트로보가 이용된다. 크세논관은 사전에 메인 콘덴서에 충전해 둔 전력이 트리거 신호에 응답하여 공급됨으로써 발광한다. 한편 메인 콘덴서의 충전은 카메라의 전원을 온시킨 직후 또는 스트로보를 발광시킨 후에 실시되고 있는데, 그 충전에 수초간의 대기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크세논관을 이용하는 스트로보에서는 상기 대기 시간에 촬영을 할 수 없으며, 상기 메인 콘덴서가 대형이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소형기기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갖는 크세논관을 대체하는 광원으로서 LED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LED는 대형의 메인콘덴서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기기의 소형화에 적합하고 대기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카메라 플래쉬용 LED는, 촬상에 필요한 광량을 지속적으로 발광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즉, 사용자가 촬상을 위해 구도를 잡는 동안에도 촬상에 필요한 광량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따라서, 매우 어두운 환경에서 촬상을 하기 위해서는, 촬상에 필요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LED에 높은 전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었다. 이와 같은 구동 방식은 촬상 순간에 필요한 광량을 계속 LED에 공급하게 되므로, 전류의 소비가 증가하게 되고 필요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 LED의 정격전류보다 높은 전류를 LED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동방식은 불필요한 전류의 소비로 인해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에서는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과다한 전류가 LED에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LED의 신뢰성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카메라 플래쉬용 LED를 저전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모드와 고전류가 일시적으로 공급되는 모드의 두가지 구동모드로 구분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전류의 소비를 감소시키고, LED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LED; 상기 LED에 상기 LED의 정격전류 이하의 전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저전류 연속구동부; 상기 LED에 상기 LED의 정격전류보다 높은 전류를 소정 시간 간격 동안 공급하는 고전류 펄스구동부; 및 상기 LED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저전류 연속구동부 및 상기 고전류 펄스구동부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전류 펄스구동부가 제공하는 전류는 LED의 정격전류의 4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정 시간 간격은 10m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전원에 일단이 연결된 LED;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 중 하나를 접지와 연결하는 모드 선택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LED의 타단에 양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전류 연속구동부; 및 상기 LED의 타단을 소정 시간 간격 동안 접지와 연결하는 스위칭회로부와, 상기 제2 단자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시간 간격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스위칭회로부에 제공하는 스위칭회로제어부를 포함하는 고전류 펄스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전류 연속구동부는 양단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LED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항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회로제어부는, 일단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저항과, 일단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의 타단과 상기 제2 단자에 양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RC 충전회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회로는, 전원에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저항의 타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되는 PNP 트랜지스터 및 상기 LED의 타단에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상기 PNP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접지에 에미터단이 연결되는 NPN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 및 본 발명의 적용례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는, 상기 LED(11)에 상기 LED(11)의 정격전류 이하의 전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저전류 연속구동부(13)와, 상기 LED(11)에 상기 LED(11)의 정격전류보다 높은 전류를 소정 시간 간격 동안 공급하는 고전류 펄스구동부(14, 15) 및 상기 LED(11)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저전류 연속구동부(13) 및 상기 고전류 펄스구동부(14, 15)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LED(11)는 그 일단이 전원(V+)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저전류 연속구동부(13) 및 고전류 펄스구동부(15)와 연결된다. 상기 LED(11)는 플래쉬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하나의 고휘도 백색 LED일 수 있으며, 백색광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LED(11)와 전원 사이에는 바이어스 회로부(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이어스 회로부(12)는 저항기(R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16)는, 제1 단자(A)와 제2 단자(B)를 가지며 상기 제1 단자(A)와 제2 단자(B) 중 하나를 접지와 연결한다.
상기 저전류 연속구동부(13)는 상기 제1 단자(A)와 상기 LED(11)의 타단에 양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되는 저전류 연속구동부(13)는 상기 제1 단자(A)와 상기 LED(11)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항기(R2)일 수 있다.
상기 고전류 펄스구동부(14, 15) 상기 LED(11)의 타단을 소정 시간 간격 동안 접지와 연결하는 스위칭회로부(15)와, 상기 제2 단자(B)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시간 간격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스위칭회로부(15)에 제공하는 스위칭회로제어부(14)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스위칭회로제어부(14)는, 일단이 전원(V+)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단자(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저항(R3)과, 일 단이 전원(V+)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저항(R4) 및 상기 제2 저항(R4)의 타단과 상기 제2 단자(B)에 양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패시터(C1)를 포함하는 RC 충전회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회로부(15)는, 전원(V+)에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저항(R4)의 타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되는 PNP 트랜지스터(T1); 및
상기 LED(11)의 타단에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상기 PNP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접지에 에미터단이 연결되는 NPN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의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형태는 두가지 모드로 구동한다. 어두운 환경에서 피사체를 촬상할 때, 지속적으로 LED를 발광시켜 피사체를 조명함으로써 촬상의 구도를 잡을 수 있는 저전류 연속구동 모드와, 상기 저전류 연속구동 모드에서 구도를 잡은 후 상기 LED를 짧은 시간 간격동안 매우 밝은 빛을 방출시키도록 하여 피사체를 촬상하는 고전류 펄스구동 모드가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용 LED는, 촬상의 구도를 잡기 위해 저전류 연속구동 모드에서 지속적으로 빛을 피사체에 조명한 후, 실제 카메라에서 영상이 촬상될 때에는 고전류 펄스구동 모드에서 섬광을 피사체에 조명하도록 구동된다.
먼저, 카메라의 사용자는 셔터 등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저전류 연속구동 모드를 선택하면, 도 1의 모드 선택부(16)는 접지와 제1 단자(A)를 연결한다. 이 경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바이어스 회로부(12)의 저항기(R1)을 거쳐 LED(11)에 공급되고 저전류 연속구동부(13)의 저항기(R2)를 지나 접지로 빠져나간다. 이와 같은 전류의 흐름을 통해 LED에는 지속적으로 전류가 공급되며, 공급되는 전류의 값은 저전류 연속구동부(13)인 저항기(R2)의 저항값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이 때, 공급되는 전류는 상기 LED(11)의 정격전류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LED(11) 구동의 정격전류가 100mA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류 연속구동 모드가 시작되면(A 지점), 고전류 펄스구동 모드가 시작(B 지점)되기 이전까지 지속적으로 LED에 100mA를 공급한다.
이어, 카메라의 사용자가 저전류 연속구동 모드에서 촬상의 구도를 잡은 후, 촬상을 위해 스위치 등을 통해 고전류 펄스구동 모드를 선택하면, 도 1의 모드 선택부(16)는 제2 단자(B)를 접지와 연결하게 된다. 상기 제2 단자(B)가 접지에 연결되는 순간, 스위칭회로제어부(14)의 RC 충전회로의 저항기들(R3, R4) 및 캐패시터(C1)의 시정수에 따라 캐패시터(C1)가 충전되기 시작한다. 상기 캐패시터(C1)가 충전되기 시작하는 순간에는 스위칭회로부(15)의 PNP 트랜지스터(T1)가 온되고, NPN 트랜지스터(T2)도 온된다. 이 경우 전원(V+)에서 공 급되는 전류는 바이어스 회로부(12)의 저항기(R1)을 거쳐 LED(11)에 공급되고 접지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스위칭회로제어부(14)의 RC 충전회로의 저항기들(R3, R4) 및 캐패시터(C1)의 시정수에 따라 캐패시터(C1)가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PNP 트랜지스터(T1)가 오프되고, NPN 트랜지스터(T2)도 오프된다. 따라서, LED(11)에 공급되는 전류는 차단된다. 즉, 스위칭회로제어부(14)의 RC 충전회로의 저항기들(R3, R4) 및 캐패시터(C1)의 시정수에 따라 캐패시터(C1)의 충전시간이 결정되므로, 상기 저항기들(R3, R4)의 저항값 및 캐패시터(C1)의 용량값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충전시간을 조절하면 상기 LED(11)에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LED(11)에 공급되는 전류는 바이어스 회로부(12)의 저항기(R1)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저전류 연속구동 모드에서는 전류가 저전류 연속구동부(13)의 저항기(R2)에 의해 감소되나, 고전류 펄스구동 모드에서는 전류가 바이어스 회로부(12)의 저항기(R1) 이외의 소자를 거치지 않으므로 저전류 연속구동에서보다 높은 전류가 LED(11)에 공급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저전류 연속구동 모드에서 고전류 펄스구동 모드로 전환하면(B 지점), 저전류 연속구동 모드에서 보다 높은 전류를 소정 시간간격 동안 LED에 제공하게 된다. LED의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서, LED에 공급되는 전류는 LED 구동 정격 전류의 최대 4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 간격은 10mse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에 의하면, 촬상의 구도를 잡는 동안 LED에 저전류를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구동시키고, 촬상이 이루어지는 짧은 시간 간격 동안 LED에 고전류를 제공하여 펄스 구동시키는 두가지의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촬상의 구도를 잡는 동안 촬상에 필요한 고휘도의 빛을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LED의 신뢰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특히, 일시적으로 LED에 고전류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많은 광량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밝은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실제 디지털 카메라 및 휴대폰용 카메라에 본 발명이 적용된 적용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는 MPU(Micro Processing Unit)(43)과 LED 구동부(44)에 그 구성요소가 분리되어 적용된다. 상기 MPU(43)에는 본 발명의 모드 선택부가 포함되며, LED 구동부에는 본 발명의 저전류 연속구동부 및 고전류 펄스구동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조명이 어두운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해 저전류 연속구동 모드를 선택한다. 사용자의 선택은 카메라의 셔터(4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셔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가지 모드로 동작하는 셔터, 즉 반누름 및 완전누름의 두가지 동작을 하는 셔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셔터의 반누름 상태(SW1)는 저전류 연속구동 모드를 선택하고 셔터의 완전누름 상태(SW2)는 고전류 펄스구동 모드를 선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셔터(42)를 반누름 상태(SW2)로 작동시키면, MPU(43)에서는 메모리(47)에 사전 저장된 저전류 연속구동 모드에서의 전류값을 읽어들여 LED 구동부에 전달한다. LED 구동부는 MPU(43)로부터 전달된 저전류 연속구동 모드에 해당하는 전류를 LED에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렌즈(46)를 통해 입력되는 빛의 양이 렌즈제어구동부(45)에서 판독되고, 이 값이 상기 MPU(43)으로 전달된다. 상기 MPU(43)는 전달되는 빛의 양에 해당하는 조리개 개방시간을 메모리(47)로부터 읽어들인다.
이어, 사용자가 촬상하고자 하는 영상의 구도를 잡은 후 촬상을 위해 셔터(42)를 완전누름 상태(SW2)로 작동하면, 상기 MPU(43)는 조리개 개방시간을 렌즈 제어구동부(45)로 전달하여 렌즈(46)의 조리개를 구동하여 원하는 영상을 촬상한다. 상기 조리개 개방시간에 동기되어 LED(41)가 동작하도록 LED 구동부(44)에 상기 조리개 개방시간 및 메모리(47)에 저장된 고전류 펄스구동 모드에서의 LED 공급 전류값을 전달하면, 상기 LED 구동부(44)에서는 상기 MPU(43)로부터 전달받은 조리개 개방시간 동안 고전류 펄스구동 모드에서의 LED 공급 전류값만큼 전류를 LED(41)에 공급한다. 이로써, 상기 LED(41)는 영상이 촬상되는 시간간격 동안 LED(41)를 섬광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 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는 카메라용 DSP(Digital Signal Processor)(54)와 LED 구동부(55)에 그 구성요소가 분리되어 적용된다. 도 5에 도시된 휴대폰의 블록구성도와 도 4를 비교하면, 휴대폰에는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용 프로세서(54)가 추가된다. 휴대폰의 메인 프로세서(53)는 카메라 제어 이외의 통화 및 문자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카메라용 프로세서(54)를 추가하여 사용한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53)는 셔터 입력(핸드폰에서는 키패드 입력이 될 수도 있음)을 카메라용 DSP(54)에 전달하는 역할만 수행한다.
도 5에 도시된 휴대폰 카메라에서 LED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도 4에서 MPU(43)의 동작을 카메라용 DSP(54)가 수행한다는 차이만 있을 뿐 동작을 흐름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디지털 카메라의 LED 동작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에 의하면, 촬상의 구도를 잡는 동안 LED에 저전류를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구동시키고, 촬상이 이루어지는 짧은 시간 간격 동안 LED에 고전류를 제공하여 펄스 구동시키는 두가지의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촬상의 구도를 잡는 동안 촬상에 필요한 고휘도의 빛을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LED의 신뢰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의 구도를 잡는 동안 LED에 저전류를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구동시키고, 촬상이 이루어지는 짧은 시간 간격 동안 LED에 고전류를 제공하여 펄스 구동시키는 두가지의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LED의 신뢰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밝은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LED;
    상기 LED에 상기 LED의 정격전류 이하의 전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저전류 연속구동부;
    상기 LED에 상기 LED 정격전류보다 크고 상기 LED 정격전류의 4배 이하의 값을 갖는 전류를 소정 시간 간격 동안 공급하는 고전류 펄스구동부; 및
    상기 LED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저전류 연속구동부 및 상기 고전류 펄스구동부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간격은 10m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
  4. 전원에 일단이 연결된 LED;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 중 하나를 접지와 연결하는 모드 선택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LED의 타단에 양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전류 연속구동부; 및
    상기 LED의 타단을 소정 시간 간격 동안 접지와 연결하는 스위칭회로부와, 상기 제2 단자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시간 간격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스위칭회로부에 제공하는 스위칭회로제어부를 갖는 고전류 펄스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선택부가 제1 단자와 접지를 연결한 경우 상기 저전류 연속구동부에 의해 상기 LED에 상기 LED의 정격전류 이하의 전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모드 선택부가 제2 단자와 접지를 연결한 경우 상기 소정 시간 간격동안 상기 고전류 펄스구동부에 의해 상기 LED에 정격전류 보다 큰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류 연속구동부는 양단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LED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회로제어부는,
    일단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저항;
    일단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의 타단과 상기 제2 단자에 양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RC 충전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회로는,
    전원에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저항의 타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되는 PNP 트랜지스터; 및
    상기 LED의 타단에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상기 PNP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접지에 에미터단이 연결되는 NPN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장치.
KR1020040039093A 2004-05-31 2004-05-31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 장치 KR100593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093A KR100593910B1 (ko) 2004-05-31 2004-05-31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 장치
US10/935,360 US7236697B2 (en) 2004-05-31 2004-09-08 Device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for flash of camera
JP2004270502A JP4015654B2 (ja) 2004-05-31 2004-09-16 カメラフラッシュ用led制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093A KR100593910B1 (ko) 2004-05-31 2004-05-31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939A KR20050113939A (ko) 2005-12-05
KR100593910B1 true KR100593910B1 (ko) 2006-06-30

Family

ID=3542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093A KR100593910B1 (ko) 2004-05-31 2004-05-31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36697B2 (ko)
JP (1) JP4015654B2 (ko)
KR (1) KR100593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291B1 (ko) 2006-11-14 2008-09-03 삼성전기주식회사 가변 플래쉬를 갖는 휴대 카메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4314A1 (en) * 2004-11-19 2006-06-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icture/video telephony for a push-to-talk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7414370B2 (en) 2006-02-03 2008-08-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creasing reliability of operation of light emitting diode arrays at higher operating temperatures and its use in the lamps of automobiles
US7634191B2 (en) * 2006-06-21 2009-12-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flash having a LED ignition device
DE602007010154D1 (de) * 2007-09-28 2010-12-09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aximieren des persistenten Flashs einer tragbaren elektronischen Vorrichtung
US7777809B2 (en) 2007-09-28 2010-08-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the sustainable flash of a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90127342A1 (en) * 2007-11-20 2009-05-21 Symbol Technologies, Inc. Imaging Bar Code Reader with Illumination Control System
TWI386748B (zh) 2008-07-18 2013-02-21 E Pin Optical Industry Co Ltd Camera with an array of light emitting diode (LED) flash
US7829831B2 (en) * 2008-09-05 2010-11-0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ntrol of output voltage provided to a flash unit
EP2395393A4 (en) * 2009-02-09 2013-06-05 Nec Corp PORTABLE DEVICE WITH CAMERA FUNCTION, FLASH CONTROL METHOD AND FLASHLIGHT CONTROL PROGRAM
US8698949B2 (en) * 2010-01-08 2014-04-15 Hand Held Products, Inc. Terminal having plurality of operating modes
KR101421963B1 (ko) * 2010-01-25 2014-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led 플래쉬 모듈 및 카메라 장치
US8771085B1 (en) 2010-08-06 2014-07-08 Arthur C. Clyde Modular law enforcement baton
TWI750216B (zh) * 2016-08-30 2021-12-21 美商Macom技術方案控股公司 具分散式架構之驅動器
WO2019009670A1 (ko) 2017-07-06 2019-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합재
US10996543B2 (en) * 2018-09-24 2021-05-04 Light & Motion Industries Combination high power LED strobe and continuous light
CN112767872A (zh) 2019-11-01 2021-05-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芯片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0412A (en) * 1988-12-27 1991-04-23 The Boeing Company High frequency, low power light source for video camera
US4912499A (en) 1989-01-17 1990-03-27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apparatus
JPH0463161A (ja) 1990-06-29 1992-02-28 Suzuki Motor Corp 塗装装置
JPH0463161U (ko) * 1990-10-04 1992-05-29
JPH07140377A (ja) 1993-11-18 1995-06-02 Olympus Optical Co Ltd 測距装置を有するカメラ
JP2000147615A (ja) 1998-11-16 2000-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
JP2000275707A (ja) 1999-03-24 2000-10-06 Fuji Photo Film Co Ltd ストロボ装置
JP2003174587A (ja) 2001-12-07 2003-06-20 Seiko Precision Inc 撮像装置および携帯電子機器
JP4144029B2 (ja) 2002-02-15 2008-09-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の発光装置
JP4040358B2 (ja) 2002-03-15 2008-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影機能を有した携帯電話機
JP4394359B2 (ja) * 2003-02-17 2010-01-06 Hoya株式会社 内視鏡の光源装置
JP2004309710A (ja) * 2003-04-04 2004-11-04 Stanley Electric Co Ltd 写真撮影用光源装置
US7071633B2 (en) * 2003-07-10 2006-07-04 Trafcon Industries, Inc. Burst pulse circuit for signal light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291B1 (ko) 2006-11-14 2008-09-03 삼성전기주식회사 가변 플래쉬를 갖는 휴대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65709A1 (en) 2005-12-01
JP2005346027A (ja) 2005-12-15
JP4015654B2 (ja) 2007-11-28
KR20050113939A (ko) 2005-12-05
US7236697B2 (en) 200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3910B1 (ko)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 장치
US7085489B2 (en) Mobile device and mobile telephone device having imaging function
KR101124243B1 (ko) 휴대기기용 디지털 카메라
US20220187684A1 (en) External light source for mobile devices
KR10058819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
KR100464802B1 (ko) 스트로보 및 플래쉬용 발광 회로
JP2006148272A (ja) 電子カメラ
JP5047465B2 (ja) 携帯機器用デジタルカメラ
US4214825A (en) Shutter control means with auto strobo for electrical shutter camera
KR100693565B1 (ko) 발광 다이오드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26501B1 (ko) 플래시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원의 소모를 줄이는장치 및 방법
KR100559693B1 (ko) 단말기의 발광 장치
KR910005442B1 (ko) 고정초점식 자동 노출 카메라의 근접 및 역광 촬영장치
JPH0961893A (ja) ストロボ装置
JP2005109805A (ja) 携帯通信端末
KR20060034496A (ko) 사진 촬영 모드에 따라 플래쉬 발광 정도를 조절하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4240085A (ja) 発光制御装置
KR20050075625A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디케이터를 이용한플래쉬 장치 및 방법
JPH0618982A (ja) カメラ操作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060078145A (ko) 다중 발광소자를 이용한 적정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