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190B1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190B1
KR100588190B1 KR1020040020413A KR20040020413A KR100588190B1 KR 100588190 B1 KR100588190 B1 KR 100588190B1 KR 1020040020413 A KR1020040020413 A KR 1020040020413A KR 20040020413 A KR20040020413 A KR 20040020413A KR 100588190 B1 KR100588190 B1 KR 100588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brightnes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5185A (ko
Inventor
서윤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20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1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involving devices which enable the mechanical storing and releasing of energy occasionally, e.g. arrangement of flywheels
    • B62M1/105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involving devices which enable the mechanical storing and releasing of energy occasionally, e.g. arrangement of flywheels using elast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16H21/3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with means for temporary energy accumulation, e.g. to overcome dead-centr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여 화상을 촬영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화상 촬영시에 제어신호에 따라 플래시 발광하는 플래시 회로부와; 상기 플래시 발광시의 발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동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캠코더 모드에서 최대 밝기로 플래시 발광시킨후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된 발열 온도가 일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플래시 발광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상기 플래시 회로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동화상을 촬영하는 캠코더 모드에서 플래시 발광을 하는 경우에 플래시측의 발열 상태를 체크하여 단계적으로 플래시 밝기를 조절하므로 캠코더 모드에서의 촬영시 보다 양호한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Flash Brightnes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
도2는 본 발명에서의 플래시 회로부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온도센서 20; 프로세서
30; 플래시 회로부 31; DC-DC 컨버터
32; 플래시 LED R0∼Rn; 전류 조절용 저항
TR0∼TRn; 스위칭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화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동화상을 촬영하는 캠코더 모드(Camcorder Mode)에서 플래시(Flash) 발광을 하는 경우에 플래시측의 발열 상태를 체크하여 단계적으로 플래시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캠코더 모드에서의 촬영시 보다 양호한 조명을 제공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보급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드와 동화상을 촬영하는 캠코더 모드로 운용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야간에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피사체를 조명하기 위한 프래시를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촬영시에 사용하기 위한 플래시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데, 기존의 제품화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플래시를 살펴보면 100mA 정도의 전류에 밝기가 3∼5cd 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이 정도의 밝기로는 플래시 고유의 기능을 발휘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밝기가 10cd 이상인 플래시를 개발하는 추세에 있으나, 이와 같이 10cd 이상의 밝기를 내기 위해서는 그 만큼 플래시에서의 전력 소모가 많아지며, 그에 따른 플래시에서의 발열도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드에서는 플래시를 순간적으로 사용하기 때 문에 전류 및 발열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플래시를 최대 밝기로 사용할 수 있지만, 동화상을 촬영하는 캠코더 모드에서는 장시간 플래시를 사용해야 함에 기인하여 최대 밝기로 플래시를 사용하면 플래시에서의 발열로 인해 플래시에 고장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캠코더 모드에서 플래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래시에서의 발열을 고려하여 플래시의 전류를 대략 200mA 정도로 맞추어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이 정도의 전류로는 플래시의 밝기가 기존의 플래시와 차이가 없다.
이상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캠코더 모드에 적용하기 위한 아주 밝은 플래시를 개발한다 하더라도 플래시에서의 발열로 인하여 충분히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기존 플래시 이상의 성능을 발휘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동화상을 촬영하는 캠코더 모드에서 플래시 발광을 하는 경우에 플래시측의 발열 상태를 체크하여 단계적으로 플래시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캠코더 모드에서의 촬영시 보다 양호한 조명을 제공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카메라를 구비하여 화상을 촬영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화상 촬영시에 제어신호에 따라 플래시 발광하는 플래시 회로부와; 상기 플래시 발광시의 발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동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캠코더 모드에서 최대 밝기로 플래시 발광시킨후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된 발열 온도가 일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플래시 발광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상기 플래시 회로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플래시 회로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플래시 발광하는 플래시 발광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인에이블되어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상기 플래시 발광 수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 전압으로 조절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플래시 발광 수단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를 다단계로 설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류 조절용 저항과;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 조절용 저항에 대응하여 흐르는 전류를 순차적으로 턴 온시키는 다수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10), 프로세서(20) 및 플래시 회로부(30)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온도센서(10)는 플래시에 의한 발광시에 플래시의 발열을 감지하여 해당 감지정보를 프로세서(20)에게 전송한다. 프로세서(20)는 카메라 모드와 캠코더 모드에서 플래시 회로부(3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프래시 발광을 제어하는데, 캠코더 모드에서 온도센서(10)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정보에 의거하여 플래시 회로부(30) 에서의 플래시 발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0)는 정지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드에서는 신호 출력단(FLASH)을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플래시 회로부(30)에서 플래시를 순간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동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캠코더 모드에서는 신호 출력단(MOD_1)을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플래시 회로부(30)의 플래시를 최대 밝기로 발광시키다가 플래시의 발열이 일정치에 도달하면 신호 출력단(MOD_2∼MOD_n)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플래시 회로부(30)의 플래시 밝기를 단계적으로 낮추어 준다. 또한, 플래시 회로부(30)는 프로세서(20)로부터 신호 출력단(EN)을 통해 인가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프로세서(20)로부터 신호 출력단(FLASH, MOD_1∼MOD_n)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래시 발광을 수행한다.
한편, 플래시 회로부(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DC 컨버터(31), 플래시 LED(32), 다수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TR0∼TRn) 및 다수의 전류 조절용 저항(R0∼Rn)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C-DC 컨버터(31)는 플래시 LED(32)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데, 프로세서(20)로부터 신호 출력단(EN)을 통해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동작 수행하여 배터리 전원(VBATT)을 공급받아 일정 전압을 유지하도록 조절하여 플래시 LED(32) 구동용 전류를 출력한다. 전류 조절용 저항(R0∼Rn)은 플래시 LED(32)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저항(R0)은 카메라 모드에서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플래시 LED(32)에 700mA의 전류를 흘려주고, 저항(R1∼Rn)은 캠코더 모드에서 동화상을 활영하는 경우에 플래시 LED(32)에 전류를 400mA 내지 200mA의 전류를 흘려준다. 그리고, 스위 칭 트랜지스터(TR0∼TRn)는 프로세서(2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래시 LED(32)에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을 스위칭하는데, 스위칭 트랜지스터(TR0)는 프로세서(20)로부터 신호 출력단(FLASH)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턴 온되어 전류 조절용 저항(R0)에 의해 설정된 700mA의 전류가 플래시 LED(32)에 흐를 수 있게 하여 주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R1∼TRn)는 프로세서(20)로부터 신호출력단(MOD_1∼MOD_n)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턴 온되어 저항(R1∼Rn)에 의해 설정된 400mA 내지 200mA의 전류가 플래시 LED(32)에 흐를 수 있게 하여 준다.
그리고, 프로세서(20)가 캠코더 모드에서 신호 출력단(MOD_1)을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플래시 회로부(30)의 플래시를 최대 밝기로 발광시키다가 온도센서(10)에 의해 감지된 플래시 LED(32)의 발열이 일정치에 도달하면 신호 출력단(MOD_2∼MOD_n)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플래시 LED(32)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낮추어 주는데, 해당 신호 출력단(MOD_1∼MOD_n)의 갯수는 플래시 LED(32)에 대하여 400mA 내지 200mA의 전류를 자연스럽게 변화시켜 인가함으로써 플래시 LED(32)의 밝기를 자연스럽게 낮추어 줄 수 있는 만큼으로 설정하면 된다.
이상과 같은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어 정지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에, 프로세서(20)는 신호 출력단(EN)을 통해 인에이블 신호를 플래시 회로부(30)측에 출력하고, 신호 출력단(FLASH)을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플래시 회로부(30)의 DC-DC 컨버터(31)는 신호 출력단(EN)을 통해 인가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배터리 전원(VBATT)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 전압으로 조절하여 출력하며, 플래시 회로부(30)의 스위칭 트랜지스터(TR0)는 신호 출력단(FLASH)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턴 온되어 전류 조절용 저항(R0)에 의해 설정된 700mA의 전류를 플래시 LED(32)에 흘려 줌으로써 플래시 LED(32)를 순간 발광시킨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캠코더 모드가 선택되어 동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캠코더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 먼저, 프로세서(20)는 신호 출력단(EN)을 통해 인에이블 신호를 플래시 회로부(30)측에 출력하고, 신호 출력단(MOD_1)을 통해 플래시 회로부(30)측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31). 이에 따라, 플래시 회로부(30)의 DC-DC 컨버터(31)는 신호 출력단(EN)을 통해 인가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배터리 전원(VBATT)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 전압으로 조절하여 출력하며, 플래시 회로부(30)의 스위칭 트랜지스터(TR1)는 신호 출력단(MOD_1)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턴 온되어 전류 조절용 저항(R1)에 의해 설정된 400mA의 전류를 플래시 LED(32)에 흘려 줌으로써 플래시 LED(32)를 최대 밝기로 발광시킨다(단계 S32). 이와 같이 플래시 LED(32)를 최대 밝기로 발광하는 상태에서, 프로세서(20)는 온도센서(10)를 통해 플래시 LED(32)측의 발열 온도을 체크하여 해당 온도가 미리 설정된 일정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3). 이때, 해당 온도가 일정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프로세서(20)는 신호 출력단(MOD_2∼MOD_n)을 통해 순차적으로 (즉, MOD_2, MOD_3, ....., MOD_n 과 같은 순서로) 플래시 회로부(30)측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프래시 회로부(30)의 스위칭 트랜지스터(TR2∼TRn)는 신호 출력단(MOD_2∼MOD_n)을 통해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턴 온되어 저항(R2∼Rn)에 의해 설정된 200mA 까지의 전류를 플래시 LED(32)에 순차적으로 흘려줌으로써 플래시 LED(32)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낮추어 준다(단계 S34).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 장치에서는 동화상을 촬영하는 캠코더 모드에서 플래시 LED(32)를 400mA로 구동하여 최대 밝기로 발광한 상태에서 온도센서(10)에 의해 플래시 LED(32)의 발열 온도를 체크하여 일정치에 도달한 경우에 플래시 LED(32)에 인가되는 전류를 단계적으로 200mA 까지 줄여 줌으로써 플래시 LED(32)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낮추어 주므로, 처음 부터 200mA의 전류로 플래시 LED를 구동시켜 발광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좀더 밝은 빛으로 촬영케 할 수 있어서 플래시 발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동화상을 촬영하는 캠코더 모드에서 플래시 발광을 하는 경우에 플래시측의 발열 상태를 체크하여 단계적으로 플래시 밝기를 조절하므로 캠코더 모드에서의 촬영시 보다 양호한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2)

  1. 카메라를 구비하여 화상을 촬영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화상 촬영시에 제어신호에 따라 플래시 발광하는 플래시 회로부와;
    상기 플래시 발광시의 발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동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캠코더 모드에서 최대 밝기로 플래시 발광시킨후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된 발열 온도가 일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플래시 발광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상기 플래시 회로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회로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플래시 발광하는 플래시 발광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인에이블되어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상기 플래시 발광 수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 전압으로 조절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플래시 발광 수단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를 다단계로 설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류 조절용 저항과;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 조절용 저항에 대응하여 흐르는 전류를 순차적으로 턴 온시키는 다수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
KR1020040020413A 2004-03-25 2004-03-25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 KR100588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413A KR100588190B1 (ko) 2004-03-25 2004-03-25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413A KR100588190B1 (ko) 2004-03-25 2004-03-25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185A KR20050095185A (ko) 2005-09-29
KR100588190B1 true KR100588190B1 (ko) 2006-06-08

Family

ID=3727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413A KR100588190B1 (ko) 2004-03-25 2004-03-25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093B1 (ko) 2011-11-10 2020-0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온도 제어장치 및 방법
US10899267B2 (en) * 2018-12-26 2021-01-26 Waymo Llc Close-in illumination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185A (ko)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95745B (en) Digital camera with photoflash controller
US7414666B2 (en) Portable device having exposure-adjustable image pick-up unit and exposure adjusting device
US9298063B2 (en) Ligh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861476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power state of a remote device using camera body backlighting control signaling
JP4015654B2 (ja) カメラフラッシュ用led制御装置
JP4144029B2 (ja) カメラの発光装置
KR20050082633A (ko)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58819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
JP4586211B2 (ja) 撮影装置
JP2006119264A (ja) 撮影装置
JP2002357859A (ja) 閃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7086181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94219A (ja) 画像撮影装置
JP5047465B2 (ja) 携帯機器用デジタルカメラ
JP2007121640A (ja) カメラの発光装置及びカメラ
KR20050081722A (ko) 카메라 플래시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8276041A (ja) 撮影装置、撮影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影制御方法
JP2004139075A (ja) ストロボをチャージする方法
KR200323618Y1 (ko) 휴대용 정보통신기기의 고휘도 발광소자를 이용한 다기능발광장치
KR100771945B1 (ko) 촬영 장치의 적목 현상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4328068A (ja) 撮像装置及び携帯電話機
KR20040103090A (ko)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의 플래쉬 제어 방법
KR100464802B1 (ko) 스트로보 및 플래쉬용 발광 회로
JP2004219687A (ja) 撮影用照明装置
JP2006081039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