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633A -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633A
KR20050082633A KR1020040011131A KR20040011131A KR20050082633A KR 20050082633 A KR20050082633 A KR 20050082633A KR 1020040011131 A KR1020040011131 A KR 1020040011131A KR 20040011131 A KR20040011131 A KR 20040011131A KR 20050082633 A KR20050082633 A KR 20050082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brightness
control signal
unit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1007B1 (ko
Inventor
조현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007B1/ko
Priority to CNB2004100784176A priority patent/CN100456123C/zh
Publication of KR2005008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의 촬영을 위한 플래쉬 밝기를 자동 및 수동 조정하는 것으로, 촬영된 사물에 대응하는 전기적 영상신호를 제어신호에 의하여 촬영하고 출력하는 촬영부; 촬영부를 제어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동시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플래쉬의 밝기를 조정하는 방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접속되고 촬영되는 사물의 주변 밝기를 자동 감지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제어부에 접속되고 촬영제어명령과 플래쉬 밝기 제어신호를 수동입력하는 키보드부;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방전제어신호에 의하여 충전된 전류를 일시에 출력하는 충전펌프부; 충전펌프부와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를 방전하므로 빛을 방출하는 플래쉬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로 사물을 촬영하는 경우에 플래쉬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촬영과정; 상기 과정에서 플래쉬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수동으로 제어하는 플래쉬과정; 상기 과정에서 설정된 밝기의 플래쉬와 함께 촬영하는 동작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플래쉬의 전류 소모량이 작고,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며, 플래쉬의 열 발생이 작고,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CONTROLLING BRIGHTNESS OF FLASH FOR MULTIMEDIA MOBILE PHON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을 위한 플래쉬 밝기 조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펄스 폭이나 펄스 주기로 제어하여 방전제어신호로 사용하므로, 플래쉬의 밝기를 조정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전류를 작게 소모하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 등록된 것으로, 다수 기지국(BS: BASE STATION)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기 기지국(BS)과 무선접속하여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교환국(MSC)의 스위칭(SWITCHING)과 제어(CONTROL)에 의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휴대단말기(MS)를 직접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즉시 통신하는 장점이 있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은, 초기 또는 제1 세대에서는 음성급 신호를 이용하는 통신방식으로부터, 다음의 제2 세대에서는 문자, 기호, 숫자, 그래픽 이미지 등을 이용하는 문자메시지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발전하고, 현재의 제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급 신호와 메시지 신호에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급 통신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급 통신방식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영상신호를 촬영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으로, 영상신호는 정지영상신호와 동영상신호가 있으나, 통신에 사용하는 경우는 동영상을 사용하고, 통신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 카메라와 같이 정지영상을 촬영하여 기록저장하는데 주로 사용하며, 향후 기술 발전에 의하여 통신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동영상을 촬영하여 기록저장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와 같이 멀티미디어(MULTIMEDIA)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경우, 주변환경이 어두우면 플래쉬를 사용하여 필요한 광량을 공급하고 있으나, 상기 촬영환경에 의하여 필요한 광량에 차이가 있으므로, 플래쉬(FLASH)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휴대단말기(MS)에도 필요한 광량조절을 위하여 플래쉬를 장착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MS)에 장착되는 플래쉬(FLASH)의 광량조절 기술의 개발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플래쉬 제어장치 기능 구성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플래쉬 제어장치는, 휴대단말기 전체의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10)에 의하여 플래쉬(30)의 발광 또는 방전을 제어하는 신호(H)를 출력한다.
상기 플래쉬(30)는 소정의 전압이 필요한 동시에 한꺼번에 많은 량의 전류를 소모하므로, 충전펌프(CHARGE PUMP)부(20)를 필요로 하고, 상기 충전펌프부(20)는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충전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방전제어신호(H)에 의하여 충전된 전류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방전제어신호(H)는 일정한 주기(DURATION)를 갖는 것으로, 상기 충전펌프부(20)의 인에이블(EN: ENABLE) 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충전펌프부(20)는 인에이블(EN) 단자에 방전제어신호(H)가 인가되면, 출력단자와 입력단자(OUT)에 접지단자(IN)에 연결된 플래쉬(30)에 충전된 전압과 전류를 순간적으로 방전(DISCHARGE)시킨다.
상기와 같이 충전펌프부로부터 순간적으로 방전되는 전류를 인가받는 플래쉬(30)는 강렬한 백색계통의 빛을 발생하는 것으로, WHITE FLASH LED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펌프부(2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의하여 발광하는 밝기가 결정된다.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방전제어신호를 입력한 충전펌프부(20)는 충전된 전류를 상기 화이트 엘이디(WHITE LED)로 이루어지는 플래쉬(30)에 출력하므로, 발광하고,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방전제어신호(H)는 일정한 펄스폭(DURATION)으로 출력되므로, 상기 플래쉬(30)의 밝기는 항상 일정하다.
그러나, 촬영되는 주변환경의 변화에 의하여 플래쉬의 밝기를 변경할 필요가 있으나,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방전제어신호(H)의 펄스폭(DURATION)이 항상 일정하므로 플래쉬 밝기를 변경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 플래쉬의 방전을 제어하는 신호 펄스폭(PWM)과 펄스주기 조절에 의하여 플래쉬의 밝기를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촬영된 사물에 대응하는 전기적 영상신호를 제어신호에 의하여 촬영하고 출력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동시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플래쉬의 밝기를 조정하는 방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촬영되는 사물의 주변 밝기를 자동 감지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촬영제어명령과 플래쉬 밝기 제어신호를 수동입력하는 키보드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방전제어신호에 의하여 충전된 전류를 일시에 출력하는 충전펌프부와; 상기 충전펌프부와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를 방전하므로 빛을 방출하는 플래쉬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 사물을 촬영하는 경우에 플래쉬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촬영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플래쉬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수동으로 제어하는 플래쉬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설정된 밝기의 플래쉬와 함께 촬영하는 동작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밝기 조정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밝기 조정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밝기 조정장치는, 촬영된 사물에 대응하는 전기적 영상신호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촬영하고 출력하는 촬영부(100)와,
상기 촬영부(100)를 제어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동시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플래쉬(FLASH)의 밝기를 조정하는 방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키보드부(130)로부터 플래쉬 밝기를 자동제어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해당 방전제어신호를 펄스폭 제어 또는 펄스주기 변경제어에 의하여 출력하고, 상기 키보드부(130)로부터 플래쉬 밝기를 직접 제어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방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되고 촬영되는 사물의 주변 밝기를 자동감지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되고 촬영제어명령과 플래쉬 밝기 제어신호를 수동입력하는 키보드부(130)와,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인가되는 방전제어신호에 의하여 충전된 전류를 일시에 출력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소정 용량 충전하여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인가되는 방전제어신호에 의하여 출력하는 충전펌프부(140)와,
상기 충전펌프부(140)와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를 방전하므로 빛을 방출하는 화이트 엘이디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전압과 전류가 인가되면 일시에 백색 빛을 출력하는 플래쉬(15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는 시시디(CCD) 또는 시모스(CMOS)로 이루어지는 촬영부(100)가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물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촬영부(100)는 주변환경의 밝기에 의하여 영상신호 촬영이 잘 되거나 또는 잘 되지 못하므로, 필요한 조명을 비추어야 하며, 상기 조명을 플래쉬(150)로부터 발생된다.
상기 플래쉬(150)는 화이트 엘이디(WHITE LED)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정한 전압과 많은 전류를 일시에 소모하고, 상기와 같은 플래쉬(15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서는 충전펌프부(140)가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고 충전하며 일정하게 펌프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방전제어신호에 의하여 출력하므로, 상기 플래쉬(150)가 동작한다.
상기 제어부(110)가 출력하는 방전제어신호는, 상기 센서부(120)가 촬영하고자 하는 사물 주변의 밝기를 자동 측정하여 출력하는 해당 제어명령 신호에 의하여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키보드부로부터 수동입력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 중, 하의 해당 제어명령 신호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결정된 플래쉬(150)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펄스폭(PULSE WIDTH)을 제어하거나 또는 펄스의 발생주기를 제어하는 방전제어신호를 상기 충전펌프부(140)에 출력하므로, 상기 플래쉬(150)의 밝기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되는 방전제어신호의 펄스폭 또는 펄스 발생주기에 의하여 상기 플래쉬(150)로부터 출력되는 밝기가 변하는 것으로, 즉, 펄스의 폭이 넓거나 펄스의 발생주기가 빠른 경우에 플래쉬가 밝은 빛을 출력하고, 펄스의 폭이 좁거나 펄스의 발생주기가 늦은 경우에 플래쉬(150)가 밝지 않은 빛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가 동일한 밝기를 출력하여도 펄스신호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전류를 인가 받으므로, 적은 전류 소모로 동일한 밝기를 출력하고, 플래쉬의 수명을 연장하며, 열의 발생이 줄어들고,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의 수명이 길어지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단말기(MS)로 사물을 촬영하는 경우에 플래쉬(FLASH)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로 사물을 촬영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휴대단말기(MS)로 사물을 촬영하는 경우는 플래쉬(FLASH)를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촬영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플래쉬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수동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플래쉬 밝기 선택을 수동으로 할 것인지 자동으로 할 것인지 판단하는 확인과정(S120); 상기 확인과정(S120)에서 판단하여 수동으로 하는 경우는 키보드부(130)로부터 입력되는 강, 중, 약의 선택명령에 의하여 플래쉬의 밝기를 선택 설정하는 과정(S130); 상기 확인과정(S120)에서 판단하여 자동으로 하는 경우는 센서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플래쉬의 밝기를 자동으로 설정(S14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플래쉬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설정된 밝기로 제어된 플래쉬의 동작과 함께 촬영하는 동작과정(S150)과,
상기 촬영과정에서 플래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S110)는 자연광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일반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정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영상신호를 촬영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로 사물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S100), 밝은 조명을 이용하여 사물을 명확하게 촬영하는 플래쉬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한다(S110).
상기 판단(S110)에서 플래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자연광을 이용하여 사물을 촬영하고(S160), 상기 판단(S110)에서 플래쉬를 사용하여 좀더 명확한 사물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는, 플래쉬(150)의 빛 밝기 조정을 자동으로 제어할 것인지 수동으로 제어할 것인지 판단한다(S120).
상기 판단(S120)에서 플래쉬(150)의 빛 밝기를 수동으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키보드부(130)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강, 중, 약 의 밝기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되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입력한 제어부는 해당 펄스폭의 또는 펄스 주기의 방전제어신호를 상기 충전펌프부에 출력한다(S130).
또한, 상기 판단(S120)에서 플래쉬(150)의 빛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주변환경의 밝기를 측정하여 인가되는 해당 제어명령신호를 입력한 상기 제어부(110)는 출력하는 방전제어신호의 펄스폭 또는 펄스 주기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펌프부에 출력한다(S140).
상기와 같이 충전펌프부(140)에 인가되는 펄스폭 또는 펄스의 주기가 결정된 상태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상기 키보드부(130)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되면, 상기 충전펌프부(140)는 플래쉬(150)에 해당 전류를 흘리므로 빛을 발생하고, 상기 촬영부(100)는 상기 플래쉬가 발생하는 빛에 의하여 명료한 사물을 촬영하고 해당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 출력한다(S150).
즉, 촬영하고자 하는 사물의 주변 밝기를 수동으로 정하거나 자동으로 센싱하여 플래쉬(150)의 밝기를 조정하며, 상기 밝기 조정은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폭 또는 주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전류를 항상 소모하지 않고 펄스가 입력되는 동안만 전류를 소모하므로, 전류의 소모가 작으며 휴대단말기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고, 플래쉬(150)는 항상 동작하는 것이 아니고 펄스가 입력되는 동안만 동작하므로 수명(LIFE TIME)이 길어지며 열 발생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는 휴대단말기의 플래쉬를 동작하는데 있어서, 센서부를 이용하여 주변환경의 밝기를 자동으로 측정하거나 수동으로 주변환경의 밝기를 결정하여 플래쉬의 밝기를 제어하므로 휴대단말기로 명료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플래쉬에 인가하는 전류를 펄스 형태로 인가하므로, 전류의 소모량이 작고,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플래쉬가 펄스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므로, 열의 발생이 작으며, 단속 동작하므로 수명이 길어지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플래쉬 제어장치 기능 구성도,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밝기 조정장치 기능 구성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밝기 조정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항 부호 설명 **
100 : 촬영부 110 : 제어부 120 : 센서부
130 : 키보드부 140 : 충전펌프부 150 : 플래쉬

Claims (10)

  1. 촬영된 사물에 대응하는 전기적 영상신호를 제어신호에 의하여 촬영하고 출력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동시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플래쉬의 밝기를 조정하는 방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촬영되는 사물의 주변 밝기를 자동감지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촬영제어명령과 플래쉬 밝기 제어신호를 수동입력하는 키보드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방전제어신호에 의하여 충전된 전류를 일시에 출력하는 충전펌프부와,
    상기 충전펌프부와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를 방전하므로 빛을 방출하는 플래쉬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보드부로부터 플래쉬 밝기를 자동제어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센서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해당 방전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키보드부로부터 플래쉬 밝기를 직접 제어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방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제어신호는, 출력되는 펄스의 폭을 제어하거나 펄스의 주기를 변경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펌프부는,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소정 용량 충전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방전제어신호에 의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는,
    화이트 엘이디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전압과 전류가 인가되면 일시에 백색 빛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장치.
  6. 휴대단말기로 사물을 촬영하는 경우에 플래쉬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촬영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플래쉬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수동으로 제어하는 플래쉬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설정된 밝기의 플래쉬와 함께 촬영하는 동작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과정에서 플래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자연광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일반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과정은,
    휴대단말기로 사물을 촬영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휴대단말기로 촬영하는 경우는 플래쉬를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과정은,
    휴대단말기의 플래쉬 밝기 선택을 수동으로 할 것인지 자동으로 할 것인지 판단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판단하여 수동으로 하는 경우는 키보드부로부터 입력되는 강, 중, 약의 선택명령에 의하여 플래쉬의 밝기를 선택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판단하여 자동으로 하는 경우는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플래쉬의 밝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과정은,
    상기 설정된 밝기로 플래쉬를 제어하고, 촬영과 동시에 플래쉬를 동작시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방법.
KR1020040011131A 2004-02-19 2004-02-19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장치 및 제어방법 KR100621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131A KR100621007B1 (ko) 2004-02-19 2004-02-19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장치 및 제어방법
CNB2004100784176A CN100456123C (zh) 2004-02-19 2004-09-10 一种移动终端的相机闪光灯亮度的调节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131A KR100621007B1 (ko) 2004-02-19 2004-02-19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633A true KR20050082633A (ko) 2005-08-24
KR100621007B1 KR100621007B1 (ko) 2006-09-08

Family

ID=3500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131A KR100621007B1 (ko) 2004-02-19 2004-02-19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1007B1 (ko)
CN (1) CN10045612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06853B (zh) * 2007-08-01 2010-11-03 周耀波 一种摄影灯的充电电路控制方法
CN101414095B (zh) * 2007-10-19 2011-07-06 上海遥薇(集团)有限公司 一种摄像机同步led闪光补光的控制方法
CN102238325A (zh) * 2010-04-30 2011-11-09 安鹏科技股份有限公司 数字成像装置与相关的物件检测系统
CN102761699A (zh) * 2011-04-28 2012-10-31 泰沂科技股份有限公司 于摄影装置撷取影像时同步投射灯光的方法及其装置
KR102145209B1 (ko) 2014-02-12 202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장치,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N103957363A (zh) * 2014-05-16 2014-07-30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闪光拍摄方法和拍摄装置
CN104950555B (zh) * 2015-06-12 2018-11-0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6827694B2 (ja) * 2016-01-27 2021-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発光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CN106211460B (zh) * 2016-07-28 2018-05-1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具有亮度可调的闪光灯电路及其驱动方法、移动终端
CN108429888B (zh) * 2018-04-28 2020-02-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补光的方法和移动终端
CN109618077A (zh) * 2018-11-27 2019-04-12 新野旭润光电科技有限公司 携带电子装置的光学成像镜头
CN111766291A (zh) * 2020-07-08 2020-10-13 浙江富春江环保科技研究有限公司 一种二噁英在线监测系统中的闪光灯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8553B2 (ja) * 2000-07-25 2009-07-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のストロボ装置
JP2003084344A (ja) * 2001-09-14 2003-03-19 Casio Comput Co Ltd 閃光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装置、閃光装置の色温度制御方法
JP2003174587A (ja) * 2001-12-07 2003-06-20 Seiko Precision Inc 撮像装置および携帯電子機器
JP4040358B2 (ja) * 2002-03-15 2008-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影機能を有した携帯電話機
US20030180037A1 (en) * 2002-03-21 2003-09-25 Mathew Sommers LED flash device for camera
JP2004056713A (ja) * 2002-07-24 2004-02-19 Sharp Corp 撮影部を有した携帯機器および露出調整装置
JP2005150774A (ja) * 2002-12-27 2005-06-09 Casio Comput Co Ltd 照明装置及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1007B1 (ko) 2006-09-08
CN1658059A (zh) 2005-08-24
CN100456123C (zh) 200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007B1 (ko)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장치 및 제어방법
CN1249512C (zh) 具有调整曝光的摄影部的便携设备及曝光调整装置
JP2004312742A (ja) 携帯端末機の画面明るさ調節装置及びその方法
CN104597692A (zh) 照明装置、拍摄系统和照明控制方法
KR20060090558A (ko) 포토플래시 제어기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장치 및 그방법
JP4015654B2 (ja) カメラフラッシュ用led制御装置
JP4932170B2 (ja) 画像撮影装置及び発光制御方法、並びに携帯電話端末
KR101124243B1 (ko) 휴대기기용 디지털 카메라
JP2010102208A (ja) 撮影用補助光源装置
JP3934603B2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のバックライト制御方式とその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20220187684A1 (en) External light source for mobile devices
JP2007101689A (ja) 発光装置及び撮影装置
KR10058819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래시 밝기 조절장치
KR100664247B1 (ko) 휴대단말기의 플래시 엘이디 운용장치 및 방법
KR100602722B1 (ko) 플래시 광량 자동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JP2006148272A (ja) 電子カメラ
KR20110067856A (ko)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KR20060014843A (ko) 플래쉬 밝기 조절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421266Y1 (ko) 광량 조절 가능한 촬영용 발광 장치
KR100655968B1 (ko) 촬영모드 자동 전환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4389673B2 (ja) 撮影装置
KR20060028841A (ko) 카메라 플래시 절전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 및 그 절전 방법
KR20050081722A (ko) 카메라 플래시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4328068A (ja) 撮像装置及び携帯電話機
KR20060063331A (ko) 휴대 단말에서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