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3331A - 휴대 단말에서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에서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3331A
KR20060063331A KR1020040102467A KR20040102467A KR20060063331A KR 20060063331 A KR20060063331 A KR 20060063331A KR 1020040102467 A KR1020040102467 A KR 1020040102467A KR 20040102467 A KR20040102467 A KR 20040102467A KR 20060063331 A KR20060063331 A KR 20060063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ight emitting
distance
emitting means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3331A/ko
Publication of KR20060063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카메라 작동 요청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와, 카메라와, 다수의 발광용 수단들과,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피사체와 카메라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 거리에 따라 구동될 발광용 수단들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개수의 발광용 수단들과,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 flash LED

Description

휴대 단말에서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ness for Camera in Mobile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 촬영시 밝기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에서 카메라는 거의 필수적인 부품이 되었으며, 카메라 화질에 대한 고객의 요구 수준도 높아진 상태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이동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RF 신호 처리부(110)는 안테나로 RF 신호가 수신되면, 중간 주파수 신호로 다운컨버팅하고 디지털 변환하여 제어부(100)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또한 모뎀의 역할을 하여 상기 디지털 변환된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키 입력부(130)는 다수의 다이얼링 키와, 메뉴키 및 송출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표시부(120)는 LCD 및 LED 등으로 구현되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이동 단말의 제어 데이터 및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카메라 제어 모듈(140)은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를 구동시킨다. 그런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은 일반적인 밝기 상태에서는 화질이 양호하지만, 어두운 상태에는 그 화질이 저하된다. 이는 현재의 휴대폰은 피사체의 거리에 상관없이 일정한 조도로 빛을 발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조도시 이를 보안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00)는 플래시(flash) LED(160)로 구동 요청을 한다.
그런데, 현재는 사용자로부터 플래시 설정시, 일정한 강도의 플래시를 발광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플래시의 발광 강도에 맞춰서 일정한 거리를 띄워서 사진 촬영을 하여야만 한다. 피사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거나, 너무 가까울 경우에는 화질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거리에 따라 발광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카메라 작동 요청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와, 카메라와, 다수의 발광용 수단들과,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피사체와 카메라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 거리에 따라 구동될 발광용 수단들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개수의 발광용 수단들과,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사용자로부터의 카메라 작동 요청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와, 카메라와, 다수의 발광용 수단들을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밝기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피사체와 카메라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 거리에 따라 구동될 발광용 수단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개수의 발광용 수단들과,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 동작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 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거리에 따라 발광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를 구현하기 위한 휴대 단말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휴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RF 신호 처리부(210)는 안테나로 RF 신호가 수신되면, 중간 주파수 신호로 다운컨버팅하고 디지털 변환하여 제어부(200)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또한 모뎀의 역할을 하여 상기 디지털 변환된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키 입력부(230)는 다수의 다이얼링 키와, 메뉴키 및 송출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표시부(220)는 LCD 및 LED 등으로 구현되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이동 단말의 제어 데이터 및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카메라 제어 모듈(240)은 제어부(2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250)를 구동시킨다. 이 때, 카메라는(250) 오토 포커싱 기능을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거리를 알아내어 이 값을 카메라 제어 모듈(240)에 전달한다. 그런 후, 상기 카메라 제어 모듈(240)과 연결되어 있는 플래쉬 LED 중 몇 개를 온시킬지를 판단한다.
카메라(250)는 상기 카메라 제어 모듈(2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다수의 플래쉬 LED 1~ N(261,...,26N)은 상기 카메라 제어 모듈(240)으로부터 제어 어 신호에 따라 필요한 개수만큼 온된다.
도 3은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 단말에서 카메라 사용시 밝기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10 단계에서 상기 키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카메라 작동 요청에 따라, 제어부(200)는 카메라 구동 제어 신호를 카메라 제어 모듈(24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카메라 제어 모듈(240)은 카메라 모듈(250)의 오토 포커싱 기능을 이용하여 320 단계에서 상기 카메라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런 후, 상기 카메라 제어 모듈(240)은 330 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정 기준에 의해 구동될 플래쉬 LED의 개수를 결정한다. 상기 카메라 제어 모듈(240)은 340 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개수만큼의 플래쉬 LED들에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조도시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플래시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항상 일정한 밝기의 조도를 유지시켜 선명한 화질의 사진촬영이 가능토록 한다.

Claims (4)

  1.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카메라 작동 요청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와,
    카메라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카메라와,
    다수의 발광용 수단들과,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피사체와 카메라와의 측정 거리를 입력받고, 상기 측정 거리에 따라 구동될 발광용 수단들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개수의 발광용 수단들과,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오토 포커싱 기능을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용 수단은
    발광 다이오드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사용자로부터의 카메라 작동 요청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와, 카메라와, 다수의 발광용 수단들을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밝기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피사체와 카메라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 거리에 따라 구동될 발광용 수단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개수의 발광용 수단들과,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102467A 2004-12-07 2004-12-07 휴대 단말에서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60063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467A KR20060063331A (ko) 2004-12-07 2004-12-07 휴대 단말에서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467A KR20060063331A (ko) 2004-12-07 2004-12-07 휴대 단말에서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331A true KR20060063331A (ko) 2006-06-12

Family

ID=3715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467A KR20060063331A (ko) 2004-12-07 2004-12-07 휴대 단말에서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33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706A (ko) * 2014-10-21 2016-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9068A (ko) * 2015-06-17 201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706A (ko) * 2014-10-21 2016-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64096A3 (en) * 2014-10-21 2017-05-0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942453B2 (en) 2014-10-21 2018-04-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49068A (ko) * 2015-06-17 201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057607B2 (en) 2015-06-17 2021-07-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1257B2 (en) Image quality in cameras using flash
US7414666B2 (en) Portable device having exposure-adjustable image pick-up unit and exposure adjusting device
KR20090018486A (ko) 주·야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US10897577B2 (en) Image capturing system, image capturing apparatus, illumin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7639304B2 (en) Image pickup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exposure control and exposure control based on a user-set valu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such a device
US20030107669A1 (en) Image pick-up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4932170B2 (ja) 画像撮影装置及び発光制御方法、並びに携帯電話端末
JP5311963B2 (ja) 撮影用補助光源装置
US200500885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illumination by using image sensor
KR20060063331A (ko) 휴대 단말에서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US9225911B2 (en) Handheld communications device and adjustment method for flashlight module of handheld communications device
JP3934603B2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のバックライト制御方式とその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602722B1 (ko) 플래시 광량 자동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JP2003289368A (ja) 移動端末及び照明方法
KR20060014843A (ko) 플래쉬 밝기 조절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20003581A (ja) 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照明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11883040B (zh) 一种显示屏的显示效果调节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KR100826380B1 (ko) 광도 조정의 조명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06267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장치및 방법
KR100613567B1 (ko) 플래시 적정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945440B1 (ko) 모바일 카메라의 플래쉬 발광을 제어하는 방법
KR200323618Y1 (ko) 휴대용 정보통신기기의 고휘도 발광소자를 이용한 다기능발광장치
JP2005184470A (ja) カメラ付き携帯型電話機
JP2020003582A (ja) 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照明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0642864B1 (ko) 오토 포커스 기능을 이용한 발광 led 동작 제어 기능을구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