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005A - 타일 - Google Patents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005A
KR20030042005A KR10-2003-7004896A KR20037004896A KR20030042005A KR 20030042005 A KR20030042005 A KR 20030042005A KR 20037004896 A KR20037004896 A KR 20037004896A KR 20030042005 A KR20030042005 A KR 20030042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tiles
support plate
plate
decorat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세프 흐로바쓰
후고 렌하르트-바크하우스
Original Assignee
요세프 흐로바쓰
후고 렌하르트-바크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T0031701A external-priority patent/AT414001B/de
Priority claimed from AT0031801A external-priority patent/AT414145B/de
Priority claimed from AT5832001A external-priority patent/AT411914B/de
Application filed by 요세프 흐로바쓰, 후고 렌하르트-바크하우스 filed Critical 요세프 흐로바쓰
Publication of KR20030042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00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16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94Flooring consisting of a number of elements carried by a non-rollable common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1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layer of wood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04F15/043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layer of wood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the lower layer being of organic plastic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04F15/087The lower layer being of organic plastic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oor Finish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된 공간에 설치하기 위한 타일에 관한 것이지만, 특히 목욕탕, 화장실, 지하실과 같은 이른바 습윤 공간에 설치될 뿐만아니라 현관 입구, 온실 및 베란다에도 설치할 수 있는 타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은 적어도 하나의 장식판(2) 및 이 장식판 상에 발포 성형되거나 부착된 지지판(3)을 구비하며, 이 지지판(3)은 적어도 일측에서 장식판(2)의 윤곽선 뒤로 후퇴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지지판은 반대측에서 거의 같은 치수로 장식판 너머로 돌출하고 있고, 또 지지판은 반대측에서도 장식판의 윤곽선 뒤로 후퇴하고 있는데, 이 경우 결합 레일이 자유 공간을 실질적으로 충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실시 형태는 가장자리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변형 형태는 장식판 (2)과 지지판(3)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평탄한 가열 부재(5), 특히 전기적인 가열 매트가 배치된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타일{TILE}
이러한 종류의 타일은 폐쇄된 공간에 설치하는 데에 주로 사용되지만, 특히 목욕탕, 화장실, 지하실과 같은 이른바 습윤 공간, 그러나 현관 입구, 온실 및 베란다, 바닥 뿐만 아니라 벽에도 설치하는 데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그 밖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타일은 DE 76 17 129 U 및 FR 2 570 116A로부터 공지되어 있는데, 이들 두 문헌에 따르면 지지판과 단일의 장식판이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단지 서로 경사지게 변위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타일을 설치할 때에 중첩하게 되고, 이는 기계적인 강도를 증가시키고, 계단 형성이 방지된다. 설치하는 것 자체가 항상 타일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하며, 수평 배열에 대해, 그리고 무엇보다도 타일들 사이의 접합 홈이 일직선으로 연장하는 것에 대해 주의가 기울여야 한다.
건물의 내부에 타일을 설치하는 경우에 작업량과 이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아직까지 특별한 대비가 전혀 없었다. 여전히 바닥에는 포장재가 부착되거나, 석판(石板)이 마찬가지로 바닥에 조각 단위로 부착되거나, 박층, 중간층 또는 후층으로 설치된다. 전기적인 바닥 가열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매트 및/또는 와이어가 바닥 상면에 설치되는데, 타일을 적절하게 설치한 경우라도 손상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어느 경우이든 가열 부재가 타일 대신에 바닥에 위치하는 경우, 이것은 가열 장치의 효율을 크게 저하시킨다.
자갈층에서 판재를 설치하는 것은 예컨대 AT 403 813 B에 공지되어 있고, 발포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된 지지판 상에 복수의 세라믹 덮개판 또는 절단된 석판이 부착되고, 이러한 타일을 자갈층 속에 설치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판이 2개의 측면에서 장식판 위로 돌출하고, 방수(防水) 및 부동(不凍)의 전기적인 접합 스트립을 가진 돌출부를 덮고, 개개의 설치 장식판의 압축을 최적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판은 옥외의 자갈층에 설치되는 경우에 실질적으로 유효하지만, 서두에 언급한 용도의 경우에는 유효하지 못하다. 이것은 장식판이 지지판 상에 부착되는 것에 원인이 있는데, 이러한 작업은 비록 설치 장소에서 보다는 그러한 것에 맞게 조정된 제조 공간에서 더욱 쉽게 실시될 수 있지만, 플레이트 자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어떤 장점도 생기지 않는다. 돌출한 지지판을 구비한 실시 형태는 절연 테이프를 가진 덮개의 필요성으로 인해 시각적 및 기계적으로 좋지 않다.
본 발명은 지지판과 적어도 하나의 장식판을 구비한 타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장식판과 지지판의 윤곽선을 타일의 둘레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다양하게 연장한 타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변형 형태에 따른 타일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형태이고,
도 3 및 도 4는 다른 실시 형태이고,
도 5 내지 도7은 타일의 다양한 구성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 8 내지 도 10은 일체형 가열 부재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을 보여주고 있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변형 형태에 따른 타일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변형 형태의 실시 형태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변형 형태의 실시 형태의 상세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특히 바람직한 2개의 실시 형태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 형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 타일
2, 32, 52 : 장식판
3, 33, 53 : 지지판
5, 35 : 가열 부재
10, 40, 49, 50 : 결합 레일
12, 13, 24, 25, 42, 43 : 위치 조정 부재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타일을 제공하는 데에목적을 두고 있고, 이 타일은 시각적으로 적당하고, 기계적으로 견고하고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고, 일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가열 수단의 설치를 경감시키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이제까지 공지된 타일보다 더 쉽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장식판이 지지판 상에 발포 성형되거나 부착되며, 지지판이 그 두께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지지판 후방의 적어도 일측에서 후퇴하거나 돌출하며, 지지판이 반대측에서 장식판 너머로 동일한 양으로 돌출 및 후퇴하거나, 지지판이 반대측에서 동일하게 장식판 후방으로 후퇴 및 돌출하며, 결합 레일이 그렇게 형성된 빈 공간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충전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식판을 설치할 대응되는 몰드 속에서 제조하는 동안 잔존하는 공간을 만충 발포 성형할 수 있고, 장식판은 지지판 상에 발포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공정에 의해 건물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정확도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변형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의 돌출부(사각형의 타일인 경우)가 2개의 인접한 측면에, 그리고 장식판의 동일한 돌출부가 2개의 다른 측면에 형성되고, 설치시에 건축업에서 허용하는 바닥의 비평탄도에 대한 적응을 통해 유연성이 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광학 특성 또는 완성된 바닥의 기계적인 부하 지탱력이 손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일의 설치 및 조정이 서로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제2 변형 형태에 의하면, 장식판의 유일한 돌출부는 밑바닥 상에 배치 및 부착되고, 필요에 따라서 형상 결합하고, 타일을 유지 및 지탱하는 결합레일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의해 타일의 설치 및 조정은 서로에 대해 현저하게 단순화된다. 마지막으로, 타일과 결합 레일 사이의 결합이 가역적으로 또는 적어도 쉽게 분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한 보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변형 형태의 역전(逆轉)에 따르면, 지지판의 유일한 돌출부는 다수의 타일 너머의 방향으로 적어도 통과하는 레일을 장식판들 사이에 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설치 및 조정이 용이하고, 타일의 기계적 강도가 전체적으로 향상된다.
이들 변형 형태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판의 측면 가장자리가, 예컨대 레일 모양의 돌기와 홈 모양의 오목부로 이루어지거나, 계단 모양으로 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에 의해 한편으로는 설치가 더욱 쉽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계적인 부하 지탱력이 추가로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장식판의 배면에 가열 매트 또는 가열선, 그리고 가열 호스와 같은 가열 부재를 배치하고, 이 가열 부재를 장식판과 지지판의 결합 중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고, 여기에서 지지판의 대응하는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커넥터와 접점, 그리고 적합한 장착구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2 변형 형태의 경우에, 전기 또는 유체 결합부 또는 접속부를 결합 레일 내부 또는 상부로 안내하여 자유롭게 배치된 케이블, 호스 등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1)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 타일은 실질적으로 장식판(2)과 지지판(3)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지지판(3)은 장식판(2)에 발포 성형되며, 다시 말해서 장식판과 발포 성형된 지지판 사이의 결합은 지지판을 제조하는 동안에 이루어진다. 사용된 재료에 따라서 장식판(2)과 이에 후속하는 지지판(3)과의 사이의 접촉면이 추가의 접착제 등으로 분사 또는 분무되면, 보강 및 성형된 지지판(3)을 장식판(2)의 배면에 부착하는 것을 개선하거나 가속시킨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지지판(3)의 하측면에는 돌기(4)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것은 필요에 따라 타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타일(1)을 설치하는 것을 경감시킨다.
또한, 도 1을 보면, 도면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지지판(3)이 너비(B) 만큼 장식판(2)의 가장자리 너머로 돌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면의 좌측 가장자리에서는 장식판(2)이 재차 동일한 양(B) 만큼 지지판 너머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맞대기 설치를 행하는 경우 개개의 타일(1) 사이의 조인트는 타일의 수평면에 대해 거의 법선 방향으로 형성되지 않고, 적어도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부하 지탱력과 설치시의 전술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지지판(3)의 돌출 가장자리(3′)가 장식판(2)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판의 일부분보다 얇게 실시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장식판이 지지판 너머로 돌출해 있는 돌출 영역(2´)에서는 지지판의 얇은 영역(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얇은 영역은 돌출 영역의 장식판과 치수에 따라 맞춰진다. 이 경우, 지지판의 영역(3´ 또는 3˝)의 두께는 장식판(2)의 하부에 있는 주된 영역에서와 같이 전부 합해서 동일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선택된다.
도 3에는 다른 변형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지지판(3)의 돌출 영역(3´)의 두께는 외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경사져 있고, 이에 대응하여 그 반대측에서는 장식판의 돌출 영역(2´)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판의 얇은 영역(3˝)은 가장자리로부터 연속적으로 두께가 증가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는 것도 자명하다. 따라서, 지지판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 돌기와 홈이 선택될 수 있는데, 이것들은 홈(9´)과 돌출편(tongue; 9)이라는 특정 형상에 근접하고, 나아가 그러한 구성을 가지기도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이 타일의 구조는 사람들이 장식판에 대하여 지지판의 변위를 인식하고, 또 지지판 상에 다수의 장식판을 결합시키는 것(도 6 참조)이 분명히 가능하다는 결론에서 생겨 났다. 장식판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선 경계를 갖는 윤곽선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에, 이 장식판은 지지판이 적절하게 직선으로 경계를 갖는 경우라도 설치 및 유지하는 데에 유리하다.
도 7로부터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디형 가장자리를 가진 지지판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단지 2장의 타일만을 회전시키고, 하측에서 관찰해 보면 다음을 상상하게 된다. 마디와 노치는 서로 문제없이 맞물리게 되고, 특히 표면이 큰 경우라면 타일을 쉽게 설치하고 조정하는 데에 기여하게 된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제 명료성으로 인하여 많은 경우에 이 도면과 같이 되어 있으며, 지지판은 적어도 장식판과 실질적으로 합동하면서 단지 적절하게 변위되지만, 이것은 결코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을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는 덮힐 표면의 가장자리에서 장식판이 돌출해 있는 타일의 측면들 중의 하나로 시작하고, 필요에 따라 중공 공간을 피하기 위해 장식판의 하부에 위치한 영역을 포움 재료의 스트립 및 사용된 접착제로 채울 수 있다. 그 다음에, 후속하는 타일이 제1 플레이트와 그러한 형태로 이미 설치된 타일의 제1 열에 대한 적합한 배치 방향으로 밀리고, 필요에 따라 토대와 접착되며, 마지막으로 반대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타일이 톱 또는 타일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적합하게 절단되고 나서 마지막으로 설치되는데, 이것은 필수적이다.
장식판으로서는, 세라믹 소재, 절단된 석판, 인조석, 목재, 알루미늄, NIRO, 귀금속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지지판용 재료로서는 발포 플라스틱(특히, 수지)과, 여기에서는 특히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및 폴리스티롤 (및 이들의 수지)가 이용되지만, 셀룰로스 섬유 및/또는 석면을 함유한 발포 성형 가능한 물질도 이용된다. 특히, 이른바 경질 인테그럴 포움, 경질 엘라스틱 포움, RIM 소재(반응 사출 몰딩)와, 이른바 "코팅 계열(coating-system)", 그러나 수지 침투 가공재 계열(prepreg-system), 습윤 라미네이팅 계열도 적합하다. 특히, 습윤 공간에서는 전술한 재료가 바람직한데, 이는 경화된 상태에서는 어떠한 수분도 흡수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구조에 의하면, 이 타일에는 간단하면서도 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전기 또는 유체 가열 장치가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개개의 지지판 속에 또는 개개의 지지판과 이에 속한 장식판 사이의 결합 영역 속에 가열 부재(모세관 시스템)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이가열 부재와 부착하거나 발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열 부재는 평탄한 특성, 예컨대 실질적으로 지지판의 표면에 상당하는 가열 매트, 또는 직선 특성을 구비할 수 있고, 뱀 모양 또는 유사한 모양으로 설치된 저항선, 모세관 등도 중요하다.
개별적으로 그렇게 제조된 가열 부재를 쉽게 설치하고 결합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형태의 플레이트의 연결부가 있는 적합한 위치에 커넥터와 장착구가 마련되는 것이 필수적이고, 이들 커넥터와 장착구는 개개의 지지판을 통상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도 9 및 도 10에는 그러한 배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커넥터의 배치 구성을 보여주는데, 이 구성에서는 2개의 커넥터(6´, 6˝)가 접점을 폐쇄하기 위해 거의 수평으로 서로 밀려 있는데, 이것은 마치 나란하게 위치한 타일의 가장자리의 구성에 상당한다. 또한, 도 8에서는 각기 커넥터(6´, 6˝)에서 종결하는 가열선(5)과 가열 매트가 마찬가지로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는 가장자리의 구성에 있어서 도 2의 타일의 그것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타일이 커넥터(7´, 7˝)를 구비하며, 이들 커넥터는 2개의 타일이 이동하는 경우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 폐쇄된다. 이러한 배열은 도 8에 도시된 타일이 지지판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데, 이 지지판은 두께가 감소하고 적어도 반대측 가장자리에서도 두께가 감소해서 장식판의 가장자리까지 도달하는 경우에 적어도 도시된 가장자리에서 장식판 너머로 돌출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은 커넥터(7´, 7˝)가 발포 성형되거나 부착될 수 있는 지지판(3)의 두 가장자리 영역에 존재한다.
도 10에는 가장자리들이 경사지게 연장하는 경우에 선택될 수 있는 변형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변형 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이 가장자리의 모든 구성 형태와 관련하여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2장의 타일(1)의 결합 이음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절단한 본 발명의 제2 변형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장식판(2)이 양측면에서 지지판(3) 너머로 돌출하고, 여기에서는 물론 각 지지판의 얇은 영역이 장식판의 가장가리까지 도달하는 것도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기계적인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결합 레일(10) 상에 돌기(12)를 제공하고, 지지판(3)의 적당한 지점에 오목부(13)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개개의 타일(1)을 서로에 대해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2)는 레일의 형태(이 경우에, 오목부는 홈의 형태로 된다)로 제공될 수 있거나, 원추 형상, 원뿔대 형상 또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돌기는 결합 레일(10)의 종축의 방향으로 조정 기능을 수행한다.
돌기(12)와 오목부(13)에 추가하여 경량의 전기 접점(그리고, 유체 가열 장치용 장착구)가 탄성 금속 스트립, 핀 등의 형태로 구비하여 장식판과 지지판의 전기적인 저항 가열을 위한 전기 접속 수단(미도시 됨)을 형성하는 것도 자명하다. 이 전기 접속 수단은 커넥터와 기계적으로 대응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경우에 이 접점은 돌기(12)와 오목부(13)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유리하지 않다.
결합 레일(10)에 오목부를 제공하고, 지지판의 얇은 영역에 돌기를 제공하는 것도 자명하며, 이 경우 단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합 레일(10)은 바람직하게는 소정 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길이는 여러장의 타일보다 길고, 이에 의해 기계적인 안정성과 조정성이 추가로 개선된다. 이 길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은 적절하게 짧게 형성된다(타일이 다른 가장자리에서 절두형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제1 변형 형태에 따라 종결하는 경우).
타일이 더 이상 바닥에 위치하지 않고, 전적으로 결합 레일 상에 위치하는 정도로 높게 결합 레일(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특히 타일의 평탄한 장착을 위해 평탄하지도 않으면서도 부적당한 바닥일 때 유리하다. 특히, 이 경우에는 결합 레일을 타일의 측방 가장자리보다 확실히 짧게 형성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거의 점 모양의 밑바닥 접촉부 상에 위치시켜야 한다. 이 경우, 개개의 결합 레일을 타일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하는 것은 기계적인 안정성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 레일은 바람직하게는 "열십자"로 형성되는데, 다시 말해서 결합 레일과 이와 교차하는 결합 레일은 각각 비교적 짧은 범위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단편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4장의 타일 각각은 그 모서리 영역에 유지된다. 특별한 경우에, 예컨대 벽 타일을 제공하는 경우, 결합 레일의 정확한 격자를 형성하여 전체로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결합 레일에 관한 설명에서 언급한 것에 준용하여 격자의 각 세그먼트(SEGMENTS)에 적용된다.
타일과 결합 레일의 결합은 돌기에 의해서도 역시 수행될 수 있는데, 이 돌기가 탄성적으로 또는 탄성 변형에 의해 타일을 토대 또는 결합 레일과 어떠한 접착 결합도 형성하지 않도록 오목부에 유지된다. 이것은 타일의 수선을 현저하게 덜어준다. 이 경우, 결합 레일/타일의 돌기/오목부 부분이 될 수 있거나, 그 속으로 삽입된 유지 부분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결합이 단지 파괴되어 분해될 수 있고, 그때 이러한 유지 부분은 대체되어야 한다. 따라서, 여러번 분해될 유지 부재와 관련하여 단지 약간의 비용 상승으로 최선의 유지력이 얻어진다.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커넥터와 접점(장착구)가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와 접점에 대해서는 어떠한 상세한 설명도 필요하지 않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가르침 내에서 이들 커넥터와 접점을 바닥 난방 분야의 숙련자가 산업 제품으로부터 쉽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오목부를 형성하는 커넥터들(6´, 7´, 8´)은 그러한 접촉면을 구비하며, 이들 커넥터는 타일을 설치하는 경우에 직면하는 큰 경사 조정과 부정확도를 인접한 플레이트의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전기적인 접촉을 상실하는 일없이 극복하도록 되어 있다.
타일의 열이 가장 인접한 열로 이행하는 경우, 접속 케이블(접속 도관)이 이용될 수 있고, 또 배전 케이블을 통해 타일의 개개의 열이 개별적으로 분배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하면, 가열 부재는 직접 장식판에 장착되는 것(도면에서는 이것이 명료성 때문에 파도 모양으로 과장되어 있고, 장식판의 구간 내에 도시되어 있다.)도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열적으로 차단된 거품 상에 보존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의해 가열 효과와 무엇보다 가열 제어 속도가 종래 기술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가열 부재를 구비한 타일을 제조하는 경우, 우선 몰드 내에 위치한 타일 상에 가열 부재를 정확하게 고정시켜 정확한 위치를 보장하고, 그 다음에 지지판을 발포 성형하거나 이미 발포 성형된 지지판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미리 준비한 지지판을 이용하는 경우, 이 지지판 상에 가열 부재를 고정하고, 다음에 이렇게 준비한 유닛을 타일과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열 부재를 단지 올려놓고 나서, 공정 중에 지지판의 발포와 가열 부재 및 타일과의 결합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도 자명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타일(21)의 지지판(22)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지지판은 모든 방향으로 장식판(23) 너머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의 측방 가장자리는 통상적인 직선으로 경계를 형성하고 있지 않지만,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측면에 2개의 삼각형 돌기(24) 또는 2개의 삼각형 홈(25)이 형성되어 있다. 타일(21)을 조립하는 경우, 도 12에서 쉽게 알 수 있듯이, 각각의 돌기(24)는 홈(25)의 영역 속으로 들어가서, 인접한 타일의 위치를 양방향 화살표(F 또는 F´)의 방향으로 확실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사각형으로 사용된 설치 용도의 경우) 서로 연결되는 4장의 타일의 4개의 모서리는 가능한 한 하나의 점으로 모아지게 되는 문제 영역(26)에서 이제까지 복잡하면서도 단지 숙련자에 의해 실시되는 설치 능력을 요구하는 일없이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형상이 유지된다.
도 13에는 변형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단순함 때문에 2가지 종류의 타일(21´, 21˝)의 외측 윤곽선만이 완전히 좁혀져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재차 삼각형으로 도시된 돌기(24)와 홈(25)을 갖는 제2 종류의 타일, 도시된 예에서는 원형의 원반(21´)이 이를 둘러싸고 있는 타일(21˝)에 대해 정확하게 배향하여 배치되도록 서로 맞춰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타일(21´) 상에 위치하는 장식물이 정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형상 결합하는 위치 조정 부재(24, 25)는 타일들(21˝) 사이에서 정확한 위치를 서로에 대해 보장하고, 그 결과 타일(21´)은 어떤 경우에도 정확하게 원형의 오목부에 배치되며, 종래 기술에서 종종 일어나는 경우와 같이 서로 변위된 4개의 사분면 원호로 이루어진 오목부에 배치되지 않는다.
형상 결합하는 위치 조정 부재(24, 25)가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지 않다는 것은 자명하며, 여기에서는 원호 모양의 돌기 또는 홈을 선택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특히, 이것은 대응하는 지지판이 발포되는 몰드의 제조를 위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서리가 있는 구조물의 형태로서 쉽게 실시될 수 있는 경우이다. 또한, 도면에는 둥근 모양 등의 형태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는데, 이것은 타일 분야에 대한 숙련자에게는 상세한 설명없이도 역시 자명한 것으로 간주된다.
특히, 발포 성형된 특유한 위치 조정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이 위치 조정 부재는 위치 조정을 위해 타일의 평면에 대해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위치 조정 부재의 높이만이 동일하게 되고, 수직 방향으로의 변위를 서로 방해하도록 경계가 형성된다.
도 12 및 도 13은 어떠한 가열 수단도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이것은 도시된 다른 변형 형태에서와 같이 마찬가지로 쉽게 예상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특히 바람직한 본 발명의 변형 형태를 보여주고 있고, 이 변형 형태에 의하면, 타일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특히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일반 바닥 또는 시멘트 바닥 또는 밑바닥(30) 상에 장착 레일(40, 49)이 예컨대 도시된 볼트(41)에 의해 고정된다. 이들 장착 레일(40, 49)은 돌기(42, 43)를 지지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미 도시됨) 오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들 장착 레일(40, 49)은 보상층(50)에 의해 바닥(30)에 접촉한다. 이러한 보상층에 의해 평탄한 접촉과, 이에 따라 가능한 한 동일한 양의 힘 전달이 달성된다. 이 보상층은 연약한, 예컨대 펠트 형태 또는 발포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이것은 또한 인성 재료 또는 다른 장착 레일(40, 49)으로부터 분리 장착되는 다른 재료일 수 있으며, 이것은 잔업 및 주변 환경의 오염 위험으로 인하여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될 수도 있다.
예정된 거리로 장착 레일(40, 49)을 구비한 바닥(30) 상에, 개개의 타일(31)이 장착된다. 이 타일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지지판(33)과 지지판당 적어도 하나의 장착판(32)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단순함 때문에 각각의 타일(31)에 대해 단지 하나의 장식판(32)이 제공되어 있다.
지지판(33)은 장착 레일(40)의 돌기(42, 43) (또는 오목부와 연동하는 돌기)와 연동하고, 장착 레일(40)에 대해 타일(31)의 위치를 확정하여 유지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타일이 하나씩 정확하게 바닥에 조정된 상태로 부착되거나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필수적이지 않지만, 미리 설치된 장착 레일(40, 49) 상에 삽입하거나 장착 레일 사이에 형성된 타일(31)의 영역에 삽입되는 것은 가능하다. 이 경우, 부착은 장착 레일(40, 49)과 함께, 또는 타일을 통상적으로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항상 바닥(30)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도 14의 좌측 부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치 조정 부재(43)는 전류를 지지판(33) 속에 마련된 가열 수단(35)으로 전도하기 위한 커넥터와 접점으로서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하나 이상의 길이 방향 전도선(44)을 통해 장착 레일(40) 내부로 흐를 수 있으며, 이 길이 방향 전도선은 이에 부속된 돌기(43)의 접점과 맞춰져 접속된다. 이 접점은 장착 레일(40)용 몰드를 제조하는 동안 매우 복잡한 형상을 형성하지 않도록 돌기(43)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자명하다.
장착 레일(40, 49)은 진하게 발포된 PU 포움 또는 다른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지지판의 재료와 유사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위치 조정 부재, 돌기(42, 43) 그리고 오목부(미도시됨)는 바람직하게는 장착 레일(40)을 제조할 때와 동일하게 공정 중에 형성될 수 있지만, 그러한 형태의 형상물을 중간 생성물 상에 장착하는 것과 중간 생성물로부터 제조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물론, 목재 또는 금속을 장착 레일(40, 49)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도 15에는 광폭의 장착 레일, 즉 장착 레일(49)이 사용되는 변형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 형태는 장식판(32)의 영역에서 장식 레일(45)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표면의 시각적인 외관을 위한 추가의 가능성으로 이어진다. 이 경우, 장착 레일(45)은 오로지 장착 레일(49)의 높이에 의해서만 현저하게 감소된 지지층(46)을 구비한다. 타일과 장착 레일(45, 49)의 기타 구조는 동일한데, 변형 형태로서는 도 15의 좌측 부분에 도시되어 있는 전류 공급원(47)이 장착 레일 자체의 내부가 아니라 장착 레일의 바닥 영역의 오목부에서 존재하는 것이 단지 도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14 뿐만 아니라 도 15에서, 상면 영역 내에, 따라서 장식면(32, 45) 영역 내에 있는 조인트에 각각의 밀봉부(48)가 제공되며, 이 밀봉부는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이용된 재료에 따라 상이한 시점에 장착된다. 따라서, 비가황 처리된 실리콘 고무를 연속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이러한 밀봉부를 형성하지만, 분리된 밴드를 밀봉부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밴드는 타일(31)과 장식 레일(45)을 설치할 때 밀봉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적당하게 압축되고 눌린다. 또한, 도 15에 따른 실시 형태의 경우, 밀봉부(48)를 장식 레일(45)과 견고하게 결합하고, 따라서 유지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것도 자명하다. 또한, 바닥과 벽 타일에 있어서 밀봉 구조로부터 공지된 다른 모든 해결책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도 자명하다.
장착 레일(40, 49)의 길이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개별 설치되는 짧은 횡방향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 레일(40, 49)에 의한 충분한 위치 조정을 통해 짧은 횡방향 레일은 지지 및 지탱 기능을 타일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제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착 레일(40, 49)과 같이 상당히 정확하게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타일도 이용될 수 있으며, 이 타일에는 2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에만 도 14 및 도 15에 보여주는 바와 같은 지지판(33)의 구성이 제공되고, 양자가 다르게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에는 직선 조인트가 제공되며, 그 결과 횡방향 레일을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는 않게 된다. 또한, 장착 레일(40, 49)에는 횡방향 레일용 조정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는 것도 자명하며, 이에 따라 횡방향 레일은 높은 정밀도로, 그렇지만 관련 비용없이 설치될 수 있다. 이들 모든 세부 사항과 변형 형태를 타일의 설치 분야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1의 반대 상태를 유사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개략적인 도면은 가열 수단, 타일의 조정을 행하는 돌기/오목부 등과 같은 세부 사항을 도시하지 않고 있다. 타일(51)의 지지판들(53)이 서로 접합하며, 이 지지판들은 장식판(52)의 인접한 가장자리의 조인트를 후퇴시키며, 지지 레일(54)과 장식 레일(55)로 재구성되어 있는 장식 레일(50)용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대응하는 돌기/오목부에 의해 각 부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가열 부재를 개개의 플레이트 속으로 결합하는 것은 레일과 플레이트 사이의 커넥터/접점/장착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밀봉부(58)가 조인트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언급한 다른 모든 특징부와 요소들도 존재할 수 있다.
지지판과 인접하게 대향하는 장식판의 측면에는 흡음 입자, 예컨대 강철 입자를 가령 실크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피복할 가능성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또한, 입자를 라미네이션 또는 다른 얇은 층 상에 피복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층을 다음에 장식판과 부착하거나 다른 것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입자가 본 발명의 가르침에서 단계적 방음 분야의 숙련자가 쉽게 결정할 수 있는 특수한 형태로, 예컨대 대략 모서리에서 모서리까지의 선과 이 선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면서 모서리로부터 가장자리 측의 선에서 원호 모양으로 피복되며, 이 경우 중심의 플레이트 영역은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잔류한다.
또한, 이것은 커넥터와 접점의 구성, 평탄한 가열 부재(35)의 배열 및 이용 가능한 전압 및 전류 세기와 관련된 전기 바닥 난방 분야의 숙련자에게 가치가 있다. 유체 가열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 이러한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발포될 도관과 부재를 확실하고 적절하게 준비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또한, 장착구도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 쉽게 선택될 수 있고, 발포 성형을 위한 몰드 속으로 적절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단지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구성을 고려하여 발명적인 특성을 구비하는 모든 특징과 구성 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마디(4)를 생략할 수도 있고, 또 이 마디를 레일 또는 크게 돌출한 표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마디 또는 레일은 도시된 바와 같이 높게 또는 낮게 구성될 수도 있다.본 발명은 직각형의 타일에 근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에 대한 특별한 경우를 위해 원형 단면 및/또는 다른 선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다른 다각형의 형태와 기타의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지지판을 돌출 및 함몰시켜 항상 대응하는 섹션에 "측면" 대신에 사용되며, 이것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 숙련자에게 쉬운 것이다.
타일의 치수는 실질적으로는 그 취급 능력, 통상의 토대에 대한 설치 가능성, 그리고 당연히 덮힐 표면의 형태 및 크기에 의존하고, 제곱미터의 범위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된 장식판에 따라 개개의 설치자에 의해 문제없이 취급될 수 있는 치수가 바람직한 경우이다.
지지판에는 그 제조와 관련하여 장착부가 기계적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마련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부직재, 그물망 또는 발포된 플레이트의 물질 속에 삽입된 보강 부재(유리 섬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가열 부재가 지지판의 최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청구범위에서는 지지판과 장식판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는 우선 장식판이 몰드 속에 위치하고, 그 위에 가열 부재가 위치하고, 전체가 배면 발포 성형된다. 이 경우에, 가열 부재는 부분적으로는 지지판의 최상부 영역에 있고, 부분적으로는 경계 영역에 잔류한다. 도면에 도시하기 위해서는, 제1 변형 형태가 더욱 적합하고, 이러한 이유로 선택된다.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지지판의 "둘레"가 언급되고 있는데, 이는 지지판의가장자리가 적어도 윤곽선을 가지고, 기계적인 이유로 얇은 영역에 의해 장식판의 가장자리까지 도달하는 것에 세부적으로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 지지판의 둘레라는 정의는 이러한 얇고, 단지 장식판의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지지판의 부분을 의미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기계적인 응력을 수용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일은 시각적으로 적절하고, 기계적으로 견고하고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타일은 가열 수단의 설치를 경감시키고,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타일은 이제까지 공지된 타일보다 더 쉽게 설치될 수 있다.

Claims (31)

  1. 지지판(3, 33, 53)과 적어도 하나의 장식판(2, 32, 52)을 구비하는 타일로서, 특히 습윤 공간을 포함한 폐쇄 공간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타일의 둘레의 일부분 너머로 장식판(2, 32)의 윤곽선이 지지판(3, 33)으로부터 적어도 벗어나 있는 타일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장식판(2, 32)과 이 장식판 상에 발포 성형되거나 부착된 지지판(3, 33)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판(3, 33)은 상기 장식판(들)(2, 32)의 윤곽선 아래의 적어도 일측에서 후퇴하거나 돌출하며, 상기 지지판은 반대측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으로 장식판 너머로 적어도 돌출하고 후퇴하며, 또는 상기 지지판은 상기 장식판(들)(2, 32)의 윤곽선 아래의 반대측에서 후퇴하거나 돌출하며, 결합 레일(10, 40, 49, 50)은 형성된 빈 공간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 33)의 측면 가장자리는 프로파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측면 가장자리는 경사와 계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2, 32)과 상기 지지판(3, 33)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평탄한 가열 부재(5), 특히 전기적인 가열 매트 또는 유체 가열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5. 제 4 항에 있어서, 인접한 지지판(3)의 대응하는 측면 가장자리에, 그리고 지지판(3)과 결합 레일(10, 40, 49, 50)의 대응하는 측면 가장자리에, 가열 부재(5)를 위한 대응하는 커넥터와 장착구(6´, 6˝; 7´, 7˝; 8´, 8˝)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1, 31)은 위치 조정 부재, 특히 오목부(13) 및/또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레일(10, 40, 49)은 대응하는 위치에 마찬가지로 위치 조정 부재, 특히 돌기(12, 42, 43) 및/또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2)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돌기(24) 및 홈(25)와 같이 형상 결합식으로 연동하는 위치 조정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 24, 33, 53)은 경화 가능한 셀룰로스 섬유 및/또는 석면으로 구성된 물질로 구성되고,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스티롤과 그 수지로 구성되고, 특히 이른바 경질 인테그럴 포움, 경질 엘라스틱 포움, RIM-소재(반응 사출 몰딩)와 이른바 "코팅 계열", 그러나 수지 침투 가공재 계열, 습윤 라미네이팅 계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조정 부재(12, 13, 24, 25, 42, 43)는 고유의 구성 요소로서 형성되고, 지지판 상에 발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조정 부재(12, 13, 24, 25, 42, 43)는 고유의 구성 요소로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과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조정 부재(12, 13, 24, 25, 42, 43)는 지지판(22, 33)의 형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조정 부재(12, 13, 24, 25, 42, 43)는 플레이트 수평면에 대해 법선인 방향으로 변할 수 있는 횡방향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레일(10, 40, 49)과 타일(1, 31)의 대응하는 위치 조정 부재(12, 13, 24, 25, 42, 43)는 탄성적으로 형성되고, 탄성 변형에 의해 서로에 대해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14.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레일(10, 40, 49)과 타일(1, 31)의 대응하는 위치 조정 부재(12, 13, 24, 25, 42, 43)는 탄성적으로 형성되고, 탄성 변형에 의해 서로에 대해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15.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부재는 소성 변형에 의해 서로에 대해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타일의 조인트의 영역에 밀봉부(48, 58)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그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장식판이 지지판에 인접하게 대향하는 표면에 충격 소음의 감쇠를 위해 완충 매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매체는 입자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매체는 2500 ㎏/㎥ 이상의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매체는 지지판의 평균 밀도의 적어도 2배의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한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매체는 금속, 특히 강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일용 결합 레일이,
    타일의 위치 조정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 조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레일.
  24.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일용 결합 레일이,
    전기적인 접점과 접속부, 그리고 장착구를 구비하고, 타일(1, 31)의 전기 또는 유체 가열 부재(5, 35)가 전류 또는 전열 매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결합 레일.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개개의 타일의 가장자리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장자리 길이의 배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레일.
  26.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조정 부재(12, 13, 24, 25, 42, 43)은 고유의 구성 요소로서 형성되고, 결합 레일 상에 발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레일.
  27.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조정 부재(12, 13, 24, 25, 42, 43)은 고유의 구성 요소로서 형성되고, 결합 레일과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레일.
  28.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조정 부재(12, 13, 24, 25, 42, 43)은 결합 레일의 형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레일.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부재는 원추형, 원뿔대형, 또는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레일.
  30.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일용 결합 부재가,
    제 23 항 내지 제 29 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결합 레일의 세크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부재.
  31. 제 30 항에 있어서, 격자형, 특히 사각형 격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부재.
KR10-2003-7004896A 2000-10-12 2001-10-12 타일 KR200300420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17452000 2000-10-12
ATA1745/2000 2000-10-12
ATA318/2001 2001-02-28
AT0031701A AT414001B (de) 2001-02-28 2001-02-28 Belagsplatte
ATA317/2001 2001-02-28
AT0031801A AT414145B (de) 2001-02-28 2001-02-28 Belagsplatte
ATA583/2001 2001-04-11
AT5832001A AT411914B (de) 2000-10-12 2001-04-11 Belagsplatte
PCT/AT2001/000329 WO2002031290A1 (de) 2000-10-12 2001-10-12 Belagsplat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005A true KR20030042005A (ko) 2003-05-27

Family

ID=2742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896A KR20030042005A (ko) 2000-10-12 2001-10-12 타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327038A1 (ko)
JP (1) JP2004511686A (ko)
KR (1) KR20030042005A (ko)
CN (1) CN1240920C (ko)
AU (1) AU2001293465A1 (ko)
IL (1) IL155309A0 (ko)
NO (1) NO20031695L (ko)
WO (1) WO200203129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821B1 (ko) * 2001-12-24 2006-08-02 포르보-귀비아스코 에스에이 하드 타일
KR20210120481A (ko) *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8603A (ko) * 2021-08-19 2023-03-0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ol-Gel 코팅 세라믹 타일 모듈 및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10336D0 (en) * 2002-05-04 2002-06-12 Metex Flooring Systems Ltd Non slip sealed stainless steel flooring tiles
US20060096210A1 (en) * 2002-06-07 2006-05-11 Sicis S.R.L. Wall and/or floor ti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production
AT414002B (de) * 2003-02-26 2006-08-15 Hrovath Josef Dipl Ing Eckenjustierung
DE20314719U1 (de) * 2003-09-23 2005-02-10 Hülsta-Werke Hüls Gmbh & Co. Kg Bodenplatte
AT414253B (de) * 2003-10-01 2006-10-15 Lenhard Backhaus Hugo Dipl Ing Bodenbelag aus belagsplatten
AT501449B1 (de) * 2004-12-21 2011-02-15 Hrovath Josef Dipl Ing Verbindungseinrichtung zum verbinden von bauteilen
DE202006011742U1 (de) * 2006-07-28 2006-11-16 Moletherm Holding Ag Elektrisch betreibbare Wandheizplatte zur Verwendung in einem Seitenwandaufbau eines Gebäuderaums
ITTO20060570A1 (it) * 2006-07-31 2008-02-01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pa "pannello riscaldante modulare"
PL2095683T3 (pl) * 2006-11-10 2017-07-31 Kronoplus Technical Ag Ogrzewalny system okładzinowy
US7984600B2 (en) * 2007-02-02 2011-07-26 Mohawk Carpet Corporation Groutless tile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T505636B1 (de) * 2007-08-29 2009-03-15 Payer Int Technologies Gmbh Einrichtung zum kontaktieren von elektrischen heizelementen
EP2116778B1 (de) * 2008-05-09 2016-03-16 Kronoplus Technical AG Beheizbares Belagsystem
CA2776765C (en) * 2011-05-10 2021-06-08 Nunzio Consiglio Interlocking heated patio stone and system
CN102518282B (zh) * 2011-12-26 2014-10-08 广州易福诺木业有限公司 一种桑拿地板的制备方法
DE102012112831A1 (de) * 2012-12-21 2014-06-26 Arsratio Holding Gmbh Bauelement für die Bildung eines Boden- oder/und Wandbelags
ITPN20130010A1 (it) * 2013-02-15 2014-08-16 M & C S R L Sistema radiante modulare a pavimento o parete in legno con sistema riscaldante integrato
DE102013113538A1 (de) * 2013-12-05 2015-06-11 Volker Queck Bodenplatte
DE202014105404U1 (de) * 2014-11-11 2015-02-25 Markus Schuster Systemverlegeplatte und zugehöriger Systemflächenbelag
WO2016079578A1 (en) * 2014-11-21 2016-05-26 Mezzalira Stefano Heating sandwich panel
CN104631757A (zh) * 2015-01-04 2015-05-20 温岭市华广建设有限公司 一种透气防潮地板
EP3173291B1 (en) * 2015-11-26 2018-06-20 Volvo Car Corporation Tolerance gap flag
CN105544847B (zh) * 2016-01-19 2019-01-18 林红建 一种塑料墙板
CN105971217A (zh) * 2016-07-01 2016-09-28 法狮龙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装饰板及复合装饰板和公母口配件组件
CN106049794A (zh) * 2016-07-28 2016-10-26 法狮龙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装饰板无缝拼接结构
CN106121204B (zh) * 2016-07-28 2018-06-19 青岛集好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灌注式墙、地面快速铺装系统及其铺装方法
CN106088523A (zh) * 2016-08-16 2016-11-09 安徽优胜美塑胶有限公司 一种防错位加热pvc地板
SE542133C2 (en) * 2017-05-22 2020-03-03 Heat Click Company Ab Heat panel, heating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ystem
WO2019137824A1 (de) 2018-01-15 2019-07-18 Josef Stengel Anordnung zur herstellung einer wandverkleidung oder eines bodenbelags
DE202018000206U1 (de) 2018-01-15 2019-04-17 Dieter Preissing Belagplatte, insbesondere zur Verwendung als Bodenbelag oder als Wandverkleidung
DE102018000253A1 (de) 2018-01-15 2019-07-18 Dieter Preissing Belagplatte, insbesondere zur Verwendung als Bodenbelag oder als Wandverkleidung
WO2020074096A1 (de) 2018-10-12 2020-04-16 Josef Hrovath Belagsplatte für einen bodenbelag
CN109915899A (zh) * 2019-04-24 2019-06-21 武汉江生热力科技有限公司 一种整体式电热装置
CN114165017B (zh) * 2021-12-06 2023-12-01 祐樘(南京)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地暖用覆盖板材及其安装方法
WO2024136739A1 (en) * 2022-12-21 2024-06-27 Heat Click Company Ab A panel and an electrical connector
DE102023105391A1 (de) * 2023-03-06 2024-09-12 New Ventures GmbH Beheizbarer Flächenbela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617129U1 (de) 1976-05-28 1976-10-14 Gebr. Knauf Westdeutsche Gipswerke, 8715 Iphofen Mehrschichtige trockenestrich-bauplatte mit keilkantenausfuehrung
SE420629C (sv) * 1979-11-19 1985-09-30 Larsson Jan E Ljuddempande matta och sett for dess framstellning
DE3317731A1 (de) * 1983-05-16 1984-11-22 Horst 4939 Steinheim Hinterneder Bodenplatte
FR2570116B1 (fr) 1984-09-07 1989-02-10 Rocamat Sa Dallage a joints minces en pierre ou marbre
AT403813B (de) 1994-05-30 1998-05-25 Wegricht Heinz Belagsplatte
US5937612A (en) * 1996-09-20 1999-08-17 Jeda/America, Inc. Reversible decorative tile and method finishing same in situ
SE512313E (sv) * 1998-06-03 2004-03-16 Valinge Aluminium Ab Låssystem samt golvskiva
SE514645C2 (sv) * 1998-10-06 2001-03-26 Perstorp Flooring Ab Golvbeläggningsmaterial innefattande skivformiga golvelement avsedda att sammanfogas av separata sammanfogningsprofiler
DE19962812A1 (de) * 1999-12-23 2001-06-28 Norton Sipro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ließen von Fug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821B1 (ko) * 2001-12-24 2006-08-02 포르보-귀비아스코 에스에이 하드 타일
KR20210120481A (ko) *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8603A (ko) * 2021-08-19 2023-03-0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ol-Gel 코팅 세라믹 타일 모듈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31290A1 (de) 2002-04-18
CN1240920C (zh) 2006-02-08
AU2001293465A1 (en) 2002-04-22
JP2004511686A (ja) 2004-04-15
NO20031695D0 (no) 2003-04-11
NO20031695L (no) 2003-05-15
IL155309A0 (en) 2003-11-23
CN1469958A (zh) 2004-01-21
EP1327038A1 (de)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2005A (ko) 타일
US6925764B2 (en) Tile
AU2004284204B2 (en) Building component for forming a floor or wall coverings
CN111868342B (zh) 具有粘合到绝缘物的至少一个固化胶结层的预制绝缘建筑面板
CA2639591C (en) Heating wire support mesh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heated surface with same
JP4954893B2 (ja) 構造部品、特に床材パネルを連結するための保持手段
US9003736B2 (en) System for a floor covering
KR100698848B1 (ko) 바닥패널
US8671637B2 (en) Structural insulating core for concrete walls and floors
KR101216549B1 (ko) 단열재와 섬유시트가 결합된 복합단열패널 및 그 복합단열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CN114375358A (zh) 地板或墙壁覆盖件
KR20130086879A (ko) 조립식 욕실용 저소음형 벽판넬 설치 구조
KR200480225Y1 (ko) 열차단성능이 우수한 외장패널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외장패널 결합구조
WO1993006319A1 (en) Flooring and edging member for use therein
GB2437370A (en) Floor for wet area
KR200418758Y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JPH09112029A (ja) ポリスチレン系発泡体製断熱パネル
JP3330317B2 (ja) 排水溝を有する防水構造
KR100677703B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CN110424575A (zh) 用于建筑外墙保温集成系统的施工方法
KR100354718B1 (ko) 폴리우레탄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200398407Y1 (ko) 바닥패널
CN209883992U (zh) 一种防水卫浴底盘及整体卫浴
US20170167162A1 (en) Free-Standing Modular Fence System
JP2008502832A (ja) 発泡プラスチック材料に基づいた建築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