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481A -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481A
KR20210120481A KR1020200037231A KR20200037231A KR20210120481A KR 20210120481 A KR20210120481 A KR 20210120481A KR 1020200037231 A KR1020200037231 A KR 1020200037231A KR 20200037231 A KR20200037231 A KR 20200037231A KR 20210120481 A KR20210120481 A KR 20210120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noise reduction
epp
manufacturing
bat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269B1 (ko
Inventor
김영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37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26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29C44/3426Heating by introducing steam in the moul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8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 material
    • B29K28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8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10Building elements, e.g. bricks, blocks, tiles, panels, posts, beams
    • B29L2031/104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 또는 화장실에 설치되는데, 타일을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발포 성형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욕실 또는 화장실의 실내와 설치면 사이에 타일이 단열재 역할을 하기에 겨울철, 사용자가 타일에 직접 접촉해도 타일 자체가 차갑지 않아 욕실 또는 화장실의 사용이 편안하면서 편리하고, 상기 타일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횡과 종열로 다수개의 절단선이 교차 형성됨으로써, 욕실 또는 화장실에 설치된 급수구, 배수구 등에 맞춰 절단선을 따라 타일의 중앙부 또는 일부를 부분적으로 탈락시킨 뒤 설치면 전체에 설치할 수 있어 설치가 편리하며, 그에 따른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이 저감되고, 상기 타일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동시에 지압 효과가 있어 안전성 및 건강이 증진되며, 상기 타일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받침돌기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타일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타일을 통해 소음 및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도 저감시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Tile for insulation and noise redu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 또는 화장실에 설치되는데, 타일을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발포 성형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욕실 또는 화장실의 실내와 설치면 사이에 타일이 단열재 역할을 하기에 겨울철, 사용자가 타일에 직접 접촉해도 타일 자체가 차갑지 않아 욕실 또는 화장실의 사용이 편안하면서 편리한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주택, 학교, 종교건물, 공공건물, 호텔, 기숙사, 병원, 상가건물 등의 건물에는 건물의 품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벽면에 타일이나 대리석과 같은 장식 마감재를 부착 시공하고 있으나, 장식 마감재(타일, 대리석)의 시공 작업에 고도의 숙련을 필요로 하고, 시공시간이 길어지며, 장식 마감재의 부착강도도 만족할만한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여 수시로 보수를 필요로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특히 욕실을 조립식으로 구축함에 있어서, 패널에 타일을 부착시키고 조립식 구조 프레임을 갖게 함으로써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타일이 부착된 패널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패널은 특히 우수한 경량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패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 조립식 욕실용의 폴리우레탄 패널은 일반적으로 타일과, 폴리우레탄폼 층 그리고 구조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95-0000611호에서는 이와 같은 타일이 부착된 폴리우레탄 패널의 제조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조립식 욕실용의 폴리우레탄 패널은 타일과, 폴리우레탄폼 층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폴리우레탄폼 층에 타일을 부착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작업시간 증가 및 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고, 하자보수시에도 많은 비용과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0061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욕실 또는 화장실에 설치되는데, 타일을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발포 성형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욕실 또는 화장실의 실내와 설치면 사이에 타일이 단열재 역할을 하기에 겨울철, 사용자가 타일에 직접 접촉해도 타일 자체가 차갑지 않아 욕실 또는 화장실의 사용이 편안하면서 편리한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타일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횡과 종열로 다수개의 절단선이 교차 형성됨으로써, 욕실 또는 화장실에 설치된 급수구, 배수구 등에 맞춰 절단선을 따라 타일의 중앙부 또는 일부를 부분적으로 탈락시킨 뒤 설치면 전체에 설치할 수 있어 설치가 편리하며, 그에 따른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이 저감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타일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동시에 지압 효과가 있어 안전성 및 건강 증진에 효과가 있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타일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받침돌기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타일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타일을 통해 소음 및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도 저감시키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욕실 또는 화장실의 설치면에 설치되는 타일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발포 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실내와 설치면 사이를 단열시키고,
상기 타일의 상부면에는 횡과 종열로 다수개의 절단선이 교차 형성되고, 상기 타일의 하부면에는 상부면의 절단선과 동일 선상 및 개수로 다수개의 절단선이 교차 형성됨으로써, 상기 타일의 중앙부 또는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단선을 따라 탈락시킨 뒤 설치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의 상부면에는 사용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기는 타일의 상부면 중 교차 형성되는 절단선들의 사이 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의 하부면에는 타일과 설치면과의 접촉면을 줄이기 위해 받침돌기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돌기의 끝단부는 설치면에 점 접촉되어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되며, 상기 받침돌기는 타일의 하부면 중 교차 형성되는 절단선들의 사이 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의 내측에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는 타일에 교차 형성되는 절단선들의 사이인 타일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의 4면 끝단부에는 다른 타일과 연결되도록 연결부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타일의 4면 끝단부 중 2면의 끝단부에 타일의 중앙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타일의 4면 끝단부 중 2면의 끝단부에 타일의 중앙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부는 타일의 4면 끝단부에 2면씩 나눠서 타일의 중앙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돌출되어 다른 타일과 대칭되는 연결부에 상호 연결되고, 상기 다른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의 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부면에는 타일 본체의 상부 형태에 맞춰 성형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성형홈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EPP(발포 폴리프로필렌)의 원료가 주입되는 EPP 주입구와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 주입구가 형성되는 상부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상부금형의 성형홈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성형홈의 내부를 밀폐하고, 상기 타일 본체의 하부 형태에 맞춰 상부면이 형성되는 하부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상부금형의 성형홈에 하부금형을 설치한 뒤, EPP 주입구를 통해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주입하고, 상기 스팀 주입구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여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발포 스팀 성형하여 타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욕실 또는 화장실에 설치되는데, 타일을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발포 성형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욕실 또는 화장실의 실내와 설치면 사이에 타일이 단열재 역할을 하기에 겨울철, 사용자가 타일에 직접 접촉해도 타일 자체가 차갑지 않아 욕실 또는 화장실의 사용이 편안하면서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타일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횡과 종열로 다수개의 절단선이 교차 형성됨으로써, 욕실 또는 화장실에 설치된 급수구, 배수구 등에 맞춰 절단선을 따라 타일의 중앙부 또는 일부를 부분적으로 탈락시킨 뒤 설치면 전체에 설치할 수 있어 설치가 편리하며, 그에 따른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타일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동시에 지압 효과가 있어 안전성 및 건강 증진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타일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받침돌기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타일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타일을 통해 소음 및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나타낸 상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나타낸 하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의 연결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철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의 사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나타낸 상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나타낸 하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의 연결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철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의 사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100)은 욕실 또는 화장실의 설치면에 설치되는 타일(100)로써, 상기 설치면이라는 것은 욕실 또는 화장실의 바닥면, 벽면을 뜻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타일(100)은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재질로써, 발포 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욕실 또는 화장실의 실내와 욕실 또는 화장실의 설치면 사이를 단열한다.
또한, 상기 타일(100) 본체(타일 자체임)의 상부면에는 도 1 및 도 3에서처럼, 횡과 종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단선(10)이 교차 형성되는데, 상기 절단선(10)은 횡방향으로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횡과 종으로 형성되는 절단선(10)은 상호 간에 교차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타일(100) 본체의 하부면에는 도 2 및 도 3에서처럼, 상부면의 절단선(10)과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타일(100) 상부면에 형성된 절단선(10)과 동일 선상 및 개수로 다수개의 절단선(10)이 교차 형성된다.
상기 절단선(10)은 도 3에서처럼, 수직 단면상 "V"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에 압력을 가하면 절단선(10)의 바닥면(꼭지점부위) 중앙부을 따라 절단되고, 그렇기에 상기 타일(100)의 중앙부 또는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단선(10)을 따라 탈락시킨 뒤 욕실 또는 화장실의 설치면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절단선(10)과 절단선(10)의 간격은 다양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욕실 또는 화장실 이외에도 대중목욕탕 등 다양한 곳에 본 발명의 타일(100)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타일(100)은 기존 욕실 또는 화장실의 설치면보다 면적이 큰 하나의 타일(100)로 제조되어 설치될 욕실 또는 화장실의 설치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타일(100)의 중앙부 또는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단선(10)을 따라 탈락시킨 뒤 설치면에 설치하거나 도 7에서처럼, 욕실 또는 화장실의 설치면에 타일(100)을 설치한 뒤 욕실 또는 화장실에 필요한 배수구, 급수구, 온수구 등이 위치한 부위의 타일을 절단선을 따라 탈락시켜 배수구, 급수구, 온수구 등에 배관 또는 구조물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타일(100) 본체의 상부면에는 도 1과 도 3에서처럼, 사용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용 돌기(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기(20)는 타일(100)의 상부면 중 교차 형성되는 절단선(10)들의 사이 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기(20)는 절단선(10)들의 사이 면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절단선(10)을 따라 탈락하는 타일(100)이 있어도 미끄럼 방지용 돌기(20)는 빠짐없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기(20)는 사용자의 미끄럼을 방지뿐만 아니라 지압효과도 있기에 사용자가 밟을 수록 건강까지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기(20)는 도 3에서처럼, 반구형으로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발포 성형시 용이하게 제작(제조)이 가능하면서 사용자 지압에도 큰 무리가 없다.
상기 타일(100) 본체의 하부면에는 도 2 내지 도 3에서처럼, 타일(100)과 설치면과의 접촉면을 줄이기 위해 받침돌기(30)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돌기(30)의 끝단부는 설치면에 점 접촉되어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돌기(30)는 타일(100)의 하부면 중 교차 형성되는 절단선(10)들의 사이 면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절단선(10)을 따라 탈락하는 타일(100)이 있어도 받침돌기(30)는 빠짐없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돌기(30)는 본 발명에서 역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욕실 또는 화장실의 설치면과 점 접촉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받침돌기(30)의 형태는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타일(100)의 내측에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는 공간부(4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40)는 타일(100)에 교차 형성되는 절단선(10)들의 사이인 타일(100)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타일(100)은 하나의 큰 형태로 형성되어 욕실 또는 화장실의 설치면 한면 전체에 설치할 수 있는 크기인데, 타일(100)을 제조하는 금형틀에도 한계가 있기에 대충목욕탕과 같은 큰 평수의 실내에 타일(100)을 설치할 때는 다수개의 타일(100)을 상호 연결하여 설치하는데, 그렇기 위해 도 5 내지 도 6에서처럼, 상기 타일(100)의 4면 끝단부에는 다른 타일과 연결되도록 연결부(50)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50)는 타일(100)의 4면 끝단부 중 2면의 끝단부에 타일(100)의 중앙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다른 연결부(50)는 타일(100)의 4면 끝단부 중 2면의 끝단부에 타일(100)의 중앙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측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타일(100)의 중앙 수평선이란 타일(100)의 수직 단면으로 봤을 때 수직과 직교되는 수평선으로 그 중 타일(100)의 중앙부의 수평선을 뜻하고, 상기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나눠서 기술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50)는 타일(100)의 4면 끝단부에 2면씩 나눠서 타일(100)의 중앙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돌출되어 다른 타일과 대칭되는 연결부(50)에 상호 연결된다. 즉, 상기 타일(100)의 4면 중 2면에는 상측 연결부(50)가 형성되고, 다른 2면에는 하측 연결부(50)가 형성되며, 또 다른 타일에도 동일하게 연결부(50)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타일(100)의 4면에 각각의 타일(10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0)와 타일(100) 본체 사이에도 절단선(10)이 형성되어 욕실 또는 화장실의 구조에 따라 연결부(50)가 필요 없을 시에 연결부(50)의 부위를 탈락시키고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50)와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50)의 일면에는 요철부(60)가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는 구조인데, 상기 요철부(60)는 타일(100)의 중앙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측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50)에는 돌기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타일(100)의 중앙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측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50)에는 요철부(60)가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철부(60)는 연결부(50)에 돌기 형태, 홈 형태가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상측 연결부(50)에는 홈 형태의 요철부(60)가, 상기 하측 연결부(50)에는 돌기 형태의 요철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철부(60)는 도 6에서처럼, 평면상 "8", "눈사람" 등으로 형성되어 상,하 수직으로는 탈부착이 가능하지만 수평으로는 결착시 쉽게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100)과는 다른 실시예의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100)로 욕실 또는 화장실의 설치면에 설치된다.
상기 타일(100)은 상부면에 횡과 종열로 다수개의 절단선(10)이 교차 형성되는 상부타일(110)과; 상기 상부타일(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면에는 상부타일(110)의 절단선(10)과 동일 선상 및 개수로 다수개의 절단선(10)이 교차 형성되는 하부타일(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타일(110)과 하부타일(120)은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발포 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실내와 설치면 사이를 단열시키고, 상기 상부타일(110)과 하부타일(120)이 결합된 타일(100)의 중앙부 또는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단선(10)을 따라 탈락시킨 뒤 설치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타일(110)과 하부타일(120)이 접촉되는 면에는 상호 간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미도시)가 더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요철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부타일(110)과 하부타일(120)이 상호 간에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타일(110)의 일면과 하부타일(120)의 일면에는 횡과 종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단선(10)이 교차 형성되는데, 상기 절단선(10)은 횡방향으로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횡과 종으로 형성되는 절단선(10)은 상호 간에 교차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타일(110)의 일면과 하부타일(12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절단선(10)은 동일선상(수직으로) 및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단선(10)은 상기의 일실시예에서 기술한 절단선(10)과 동일한 구성, 구조 및 기능이기에 별도의 기술은 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상부타일(110)의 상부면에는 사용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용 돌기(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타일(120)의 하부면에는 타일(100)과 설치면과의 접촉면을 줄이기 위해 받침돌기(30)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기(20)와 받침돌기(30)는 상기의 일실시예에서 기술한 미끄럼 방지용 돌기(20) 및 받침돌기(30)와 동일한 구성, 구조 및 기능이기에 별도의 기술은 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타일(100)의 내측에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는 공간부(4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40)는 타일(100)에 교차 형성되는 절단선(10)들의 사이인 타일(100)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부(40)는 도 4에서처럼, 상부타일(110)의 하부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타일(120)의 상부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타일(110)의 홈 형태의 공간부(40)와 하부타일(120)의 홈 형태의 공간부(40)는 상호 간에 대칭됨으로써, 하나의 공간부(40)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타일(100)의 4면 끝단부에는 다른 타일과 연결되도록 연결부(50)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50)는 상부타일(110)의 4면 끝단부 중 2면의 끝단부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50)는 하부타일(120)의 4면 끝단부 중 2면의 끝단부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타일(110)과 하부타일(120)의 결합시 연결부(50)가 상호 간에 겹쳐지지 않게 결합시킨다. 그래야 다른 타일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50)는 설치위치 이외에 상기의 일실시예에서 기술한 연결부와 동일한 구성, 구조 및 기능이기에 별도의 기술은 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타일(100)의 제조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의 제조방법은 상부금형을 제작하는 단계(S100), 하부금형을 제작하는 단계(S200), 발포 스팀 성형하여 타일(100)을 제조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상부금형을 제작하는 단계(S100)는 상부금형의 하부에 타일(100)의 형태에 맞춰 성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의 상부에는 성형홈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EPP(발포 폴리프로필렌)의 원료가 주입되는 EPP 주입구와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 주입구가 형성되도록 상부금형을 제작한다. 이때, 상기 성형홈은 상부금형의 하부면에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홈에 맞춰 EPP 주입구와 스팀 주입구가 각각 연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금형의 성형홈에는 타일(100)의 상부면 형상에 따라 홈이 더 형성되는데, 즉, 상기 성형홈의 내부면은 타일(100)의 상부면의 형태에 맞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EPP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원료는 알갱이로 이루어진 EPP 원료로써, 많은 EPP 알갱이가 EPP 주입구를 통해 상부금형의 성형홈과 하부금형 사이에 주입되고, 상기 스팀 주입구를 통해 스팀이 상부금형의 성형홈과 하부금형 사이에 주입되면서 많은 EPP 알갱이는 발포 성형시켜 상부금형의 성형홈과 하부금형에 채워지고, 그러면서 상부금형의 성형홈과 하부금형의 형태에 따라 타일(100)가 제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EPP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원료는 상부금형의 성형홈과 하부금형 사이를 완벽하게 채우도록 상부금형의 성형홈과 하부금형 사이를 채우는 중에 EPP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면서 상부금형의 성형홈과 하부금형 사이를 완벽하게 채우는 것이다.
이에 상기 EPP 배출구는 EPP 주입구와 한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성형홈에 맞춰 한 쌍씩 형성된다.
상기 하부금형을 제작하는 단계(S200)는 상부금형의 성형홈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성형홈 내부를 밀폐하고, 상기 타일(100)의 하부면 형태에 맞춰 돌출 형성되도록 하부금형을 제작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면(상부금형의 성형홈과 대응되는 면)에는 타일(100)의 후면 형태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발포 스팀 성형하여 타일(100)를 제조하는 단계(S300)는 상부금형의 성형홈에 하부금형을 설치한 뒤, EPP 주입구를 통해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원료(EPP 알갱이)를 상부금형의 성형홈과 하부금형 사이에 주입하고, 상기 스팀 주입구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여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발포 스팀 성형함으로써, 타일(100)를 제조한다.
10 : 절단선 20 : 미끄럼 방지용 돌기
30 : 받침돌기 40 : 공간부
50 : 연결부 60 : 요철부
100 : 타일 110 : 상부타일
120 : 하부타일

Claims (7)

  1. 욕실 또는 화장실의 설치면에 설치되는 타일(100)에 있어서,
    상기 타일(100)은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발포 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실내와 설치면 사이를 단열시키고,
    상기 타일(100)의 상부면에는 횡과 종열로 다수개의 절단선(10)이 교차 형성되고, 상기 타일(100)의 하부면에는 상부면의 절단선(10)과 동일 선상 및 개수로 다수개의 절단선(10)이 교차 형성됨으로써, 상기 타일(100)의 중앙부 또는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단선(10)을 따라 탈락시킨 뒤 설치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100)의 상부면에는 사용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용 돌기(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기(20)는 타일(100)의 상부면 중 교차 형성되는 절단선(10)들의 사이 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100)의 하부면에는 타일(100)과 설치면과의 접촉면을 줄이기 위해 받침돌기(30)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돌기(30)의 끝단부는 설치면에 점 접촉되어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되며, 상기 받침돌기(30)는 타일(100)의 하부면 중 교차 형성되는 절단선(10)들의 사이 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100)의 내측에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는 공간부(4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40)는 타일(100)에 교차 형성되는 절단선(10)들의 사이인 타일(100)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100)의 4면 끝단부에는 다른 타일과 연결되도록 연결부(50)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50)는 타일(100)의 4면 끝단부 중 2면의 끝단부에 타일(100)의 중앙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50)는 타일(100)의 4면 끝단부 중 2면의 끝단부에 타일(100)의 중앙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0)는 타일(100)의 4면 끝단부에 2면씩 나눠서 타일(100)의 중앙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돌출되어 다른 타일과 대칭되는 연결부(50)에 상호 연결되고, 상기 다른 연결부(50)와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50)의 일면에는 요철부(60)가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7.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10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부면에는 타일(100) 본체의 상부 형태에 맞춰 성형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성형홈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EPP(발포 폴리프로필렌)의 원료가 주입되는 EPP 주입구와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 주입구가 형성되는 상부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상부금형의 성형홈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성형홈의 내부를 밀폐하고, 상기 타일(100) 본체의 하부 형태에 맞춰 상부면이 형성되는 하부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상부금형의 성형홈에 하부금형을 설치한 뒤, EPP 주입구를 통해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주입하고, 상기 스팀 주입구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여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발포 스팀 성형하여 타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의 제조방법.
KR1020200037231A 2020-03-27 2020-03-27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5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231A KR102445269B1 (ko) 2020-03-27 2020-03-27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231A KR102445269B1 (ko) 2020-03-27 2020-03-27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481A true KR20210120481A (ko) 2021-10-07
KR102445269B1 KR102445269B1 (ko) 2022-09-20

Family

ID=7811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231A KR102445269B1 (ko) 2020-03-27 2020-03-27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2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611A (ko) 1993-06-04 1995-01-03 박원배 타일이 부착된 판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00170360A (ja) * 1998-09-30 2000-06-20 Sumika Plastech Co Ltd 合成薄畳用芯材、合成薄畳用畳床及び合成薄畳
KR200212946Y1 (ko) * 2000-08-22 2001-02-15 주식회사생활낙원 미끄럼 방지 타일
KR20030042005A (ko) * 2000-10-12 2003-05-27 요세프 흐로바쓰 타일
KR200340980Y1 (ko) * 2003-10-31 2004-02-05 신동현 요철부가 양면에 형성된 방음재
KR20100002893A (ko) * 2008-06-30 2010-01-07 박연준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611A (ko) 1993-06-04 1995-01-03 박원배 타일이 부착된 판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00170360A (ja) * 1998-09-30 2000-06-20 Sumika Plastech Co Ltd 合成薄畳用芯材、合成薄畳用畳床及び合成薄畳
KR200212946Y1 (ko) * 2000-08-22 2001-02-15 주식회사생활낙원 미끄럼 방지 타일
KR20030042005A (ko) * 2000-10-12 2003-05-27 요세프 흐로바쓰 타일
KR200340980Y1 (ko) * 2003-10-31 2004-02-05 신동현 요철부가 양면에 형성된 방음재
KR20100002893A (ko) * 2008-06-30 2010-01-07 박연준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269B1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964B1 (ko) 단열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마감구조
KR101709663B1 (ko) 욕실용 세면기 일체형 하부장
US20040226230A1 (en) Decorative ceiling, wall, and floor structure
KR102445269B1 (ko)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09752A (ko) 건물내실의 모서리부위의 구조물
CN101240653B (zh) 建筑物装饰用人造石模塑的制造方法及其使用的金属模具
KR100259010B1 (ko) 조립식 프리 사이즈 방수판(욕실 바닥 파넬)
US20070157538A1 (en) Modular curb assembly of pre-cast pre-finished components
KR20080065944A (ko) 한옥형 공동주택의 시공방법
JPH08289852A (ja) 組立式浴室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3778885B2 (ja) トレーラーハウス
US10299635B2 (en) Pre-formed shower pan systems and methods
KR0167719B1 (ko) 조립식욕실의 방수판 하부에 조립되는 발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욕실의 시공방법
KR200178339Y1 (ko) 조립식 난방패널
GB2047529A (en) An assembly element for the installation of a bath tub or shower basin
KR200279317Y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판넬
KR100438878B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판넬
KR20090078685A (ko) 욕조 겸용 샤워부스
JPH0420920Y2 (ko)
CN215520150U (zh) 一种预制装配式公厕
KR200325139Y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JPH0941684A (ja) 浴室ユニット
CN214329725U (zh) 一种干湿分离地砖铺设结构
JP3297873B2 (ja) 組立式浴室の施工方法
KR102573166B1 (ko)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