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893A -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 Google Patents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893A
KR20100002893A KR1020080062947A KR20080062947A KR20100002893A KR 20100002893 A KR20100002893 A KR 20100002893A KR 1020080062947 A KR1020080062947 A KR 1020080062947A KR 20080062947 A KR20080062947 A KR 20080062947A KR 20100002893 A KR20100002893 A KR 20100002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buffer layer
building floor
separation space
laye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6365B1 (ko
Inventor
박연준
Original Assignee
박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준 filed Critical 박연준
Priority to KR102008006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3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는, 평평한 판 형태의 평판부와, 평판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평판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되 일정한 배열로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부와; 분리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고,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된 완충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마감모르타르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로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또는 콘크리트바닥층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진동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중공부를 형성하고, 중공부 형성을 위해 완충돌기부를 형성하되, 완충돌기부 인근의 평판부에서 진동 차단 성능이 떨어지는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평판을 형성하는 부분의 일부에 홈을 형성하거나 절개함으로써 완충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평판부에서도 동탄성계수를 낮추어 바닥충격음 저감 효과가 증대된다.
건물, 바닥, 진동, 완충층, 동탄성계수, 중공부, 가진력

Description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SHOCK-ABSORBING STRUCTURE WITH SEPARATION SPACE FOR BUILDING BOTTOM}
본 발명은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에 관한 것으로, 완충층에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완충층 전체의 동탄성계수를 낮춰 진동 차단 성능을 향상시키되, 상대적으로 완충 성능이 약해지는 평판 일부에 홈을 형성하거나 절개함으로써 완충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평판부에서도 동탄성계수를 낮추어 바닥충격음 저감 효과를 증대시킨,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완충층 구조에 관한 기술로, 본 발명의 발명자가 발명한 '방진용 고무발포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방진용 고무발포체'(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4148호)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공동주택과 같이 바닥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다수의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진동전달율을 낮춰 완충 효과를 갖도록 하였다.
위와 같은 기술은 도 1 또는 도 2와 같은 형태로 시공되어 왔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경우 콘크리트바닥층(10) 위에 완충층을 시공하되 완충층은 지지판(50)과 완충재(40)를 상하로 적재한 형태로 형성하고, 완충층의 상부에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높이고, 그 위에 난방배관(31)을 설치한 후 마감모르타르층(30)을 타설하여 바닥을 시공하였다.
또, 도 2의 경우 콘크리트바닥층(10)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도 1에서와 같은 구조의 완충층을 형성하고, 그 위로 난방배관(31)을 설치한 후 마감모르타르층(30)을 형성하여 바닥을 시공하였다.
위와 같은 형태로 완충층이 설치된 바닥 구조는 완충층이 설치되기 전의 바닥 구조에 비해 진동 차단 효과가 상승했다.
또한, 지지판(50)을 설치하여 탄성이 낮은 완충재 시공시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이나 마감모르타르층(30)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형태로 완충재를 설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진동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 '층간 중량충격 저감 바닥구조'(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7-0000350)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바닥층(10) 상부에 마운트(60)를 설치하고, 마운트(60) 위에 경화성 판재와 같은 지지판(50)을 설치한 후, 그 위에 합성수지패드와 같은 완충재(40)를 설치하고, 그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을 형성한 후, 난방배관(31)을 설치하고, 마감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바닥을 시공한 기술이다.
위와 같은 기술은 동탄성계수가 40MN/㎥ 범위의 합성수지패드를 사용하여 경량충격 및 중량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외부에서 작용하는 가진력이 마운트가 설치된 부분에서 큰 반면, 마운트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단위면적당 가진력이 낮아 진동 차단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 바닥 구조의 특성상 완충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기 어려워 마운트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없는 바, 충분한 완충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효 두께가 얇아 충분한 진동 차단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때, 마운트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완충층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했다.
또, 단위면적당 가진력을 높이기 위하여 돌출부의 접촉 단면적을 과도하게 적게 하면 돌기부에 힘이 집중되는 부분에서 완충재가 과도하게 압축되어 오히려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어 이 역시 바람직하지 못했다.
본 발명의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완충돌기부와 연결되거나 접촉된 부분의 평판부에 홈을 형성하거나 절개하여 분리부를 형성함으로써 일정한 단면적의 공간 분리를 형성하게 되고 그 결과, 완충돌기부 뿐만 아니라 평판부에서도 단위면적당 작용력을 높임으로써 동탄성계수를 낮추어 바닥충격음 저감효과를 증대시키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완충층 전체의 두께는 충분히 얇게 하면서 평판부에서도 작용력을 높여 평면상에서 전체 완충층의 진동 차단 효과를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평평한 판 형태의 평판부와, 평판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평판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되 일정한 배열로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부와; 분리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된 완충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마감모르타르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로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또는 콘크리트바닥층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완충층은 다수 개를 상하로 적층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하부의 완충층은 상부 완충층의 완충돌기부를 지지하는 평판부에 보조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평판부, 분리부, 완충돌기부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합성수지 중 선택된 1 내지 10종을 원료로 하여 성형된 성형체이거나,
천연고무, 합성고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합성수지 중 선택된 1 내지 10종을 원료로 한 발포체이거나,
천연고무, 합성고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합성수지 중 선택된 1 내지 10종의 성형체 또는 발포체의 분쇄물을 혼합하여 성형한 혼합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평판부, 분리부는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완충돌기부는 평판부 및 분리부와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일체 또는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분리부 하부와 완충돌기부 사이에 하중분산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하중분산판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1 내지 5종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하중분산판은 일측으로 접촉하는 돌기부 단면보다 크면서, 타측으로 접촉하는 분리부 단면과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완충돌기부는 접촉하는 분리부의 직경 또는 폭 대비하여 1 ~ 3 배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완충돌기부의 상단이 인접한 분리부 하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충층 상부에 지지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충돌기부의 하부 또는 전체 완충층의 바닥면에 고무나 합성수지재 필름 또는 시트 재질의 적외선 차단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외선 차단층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금속박막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완충돌기부와 연결되거나 접촉된 부분의 평판부에 홈을 형성하거나 절개한 분리부를 형성함으로써 일정한 단면적의 공간 분리를 형성하게 되고 그 결과, 완충돌기부 뿐만 아니라 평판부에서도 단위면적당 작용력을 높임으로써 동탄성계수를 낮추어 바닥충격음 저감효과가 증대된다.
이로 인해, 완충층 전체의 두께는 충분히 얇게 하면서 평판부에서도 작용력을 높여 전체 완충층의 진동 차단 효과가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의 기본 구성은, 평평한 판 형태의 평판부(110)와,
평판부(11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평판부(11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되 일정한 배열로 절개홈(130)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부(120)와;
상기 분리부(12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된 완충돌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마감모르타르층(30)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로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 또는 콘크리트바닥층(1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4의 완충층(100)은 마감모르타르층(30)의 하부,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의 상부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완충층(100)은 경량기포콘크리층(20) 의 하부, 콘크리트바닥층(10)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에 평판부(110), 그 밑으로 절개홈(130)이 일정한 배열로 형성된 분리부(120), 분리부(120)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완충돌기부(140)가 형성되고, 완충돌기부(140) 사이로 중공부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분리부(120)의 절개홈(130)은 제단에 의해 가공되거나 직접 홈 가공을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의 평판부(110), 분리부(120)는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의 완충돌기부(140)는 평판부(110), 분리부(120)와 다른 재질로 형성하였다.
이때, 완충돌기부(140)의 단면은 상부의 분리부(120)에서 절개홈(130)에 의해 독립된 일 단면적의 크기에 비해 작게 형성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완충돌기부(140)와 분리부(120)가 접촉하는 부분의 단면에서의 직경 또는 폭의 크기는 분리부(120)가 완충돌기부(140)에 비해 1 ~ 3배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분리부(120)가 지나치게 크게 형성될 경우 분리부(120)에서의 단위면적당 가진력의 작용이 낮아져 바닥충격음 차단효과가 떨어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절개홈(130)의 깊이는 평판부(110) 및 분리부(120) 전체 두께 대비 95 % 이내로 형성하되, 가능한 한 절개홈(130)을 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같이 평판부(110), 분리부(120), 완충돌기부(140)를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도시된 것처럼 분리부(120) 하부에 완충돌기부(140)가 하향되게 형성된 단일층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완충층(100)을 다수 적층시켜 형성하되 완충돌기부(140)가 수직 방향에서 일치되게 형성하는 방법, 어긋나게 형성하는 방법 등이 적용되거나, 평판부(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분리부(120) 및 완충돌기부(140)를 형성하되 완충돌기부(140)의 위치가 상하로 일치되게 형성하는 방법, 서로 어긋나게 형성하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일체 성형에 있어서도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방법 외에도 완충돌기부(140)를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평판부(110), 분리부(120)를 완충돌기부(140)와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 외에도 분리형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분리형 구조의 경우에도 평판부(110), 분리부(120)에 대하여 완충돌기부(140)를 동일 재질로 형성하거나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의 구성은 분리부(120)를 형성함에 있어서, 완충돌기부(140)와 연결되는 부분은 내측으로 패인 형태로 형성한 예이다.
이 경우에는 분리형으로 형성할 때 완충돌기부(140)의 설치가 용이해지는 장 점이 있으며, 완충돌기부(14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전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동 차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은 도 5 내지 도 7의 경우와 반대로 완충돌기부(140) 및 분리부(120)가 평판부(110) 대비하여 상부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경우는 그 자체로 마감모르타르층(30)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를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이는 그리 바람직하지 않으며, 도 10과 같이 상부에 지지판을 설치하여 지지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의 실시 예는 상부와 하부 모두에 분리부(120) 및 완충돌기부(140)를 형성한 예를 도시하였다.
도 9에는 상부의 분리부(120) 및 하부의 분리부(120)에 형성된 절개홈(130)이 일치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각 각의 깊이를 깊게 해주지 못하는 문제와, 상부 하중으로부터 상부의 절개홈(130) 및 하부의 절개홈(130)을 잇는 방향으로 마감 몰탈층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가능한 한 상부의 절개홈(130)과 하부의 절개홈(130)이 서로 불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완충층(100)을 2층으로 적층하여 설치한 예를 도시하였다.
그런데, 도면에서 살펴보면 하부의 완충층(100)의 평판부(110) 상부에 보조 절개홈(1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보조절개홈(150)은 상부의 완충돌기부(140)가 인접하는 부분의 주변에 형성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절개홈(150)을 형성하게 되면, 하부 완충층(100)의 상부에 형성된 보조절개홈(150)에 의해 형성된 분리공간에서 단위면적당 작용력이 높아져, 그 결과 전체적인 동탄성계수를 낮추어 진동 차단 성능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완충돌기부(140)는 평판부(110) 및 분리부(120)의 끝 단면에서 돌출되거나 평판부(110) 및 분리부(120) 내측의 임의의 위치에서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완충돌기부(140)의 형상은 반구형, 원추형, 원통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 및 스트립 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 형상은 분리부(120)의 단면 형상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평판부(110), 분리부(120), 완충돌기부(140)의 재질은 천연고무, 합성고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합성수지 중 선택된 1 내지 10종을 원료로 하여 성형된 성형체로 형성하거나,
천연고무, 합성고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합성수지 중 선택된 1 내지 10종을 원료로 한 발포체이거나,
천연고무, 합성고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합성수지 중 선택된 1 내지 10종의 성형체 또는 발포체의 분쇄물을 혼합하여 성형한 혼합성형체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상부 하중이 인가될 때 완충돌기부(140)에 압축력이 가해지는데 이때 완충돌기부(140)와 접한 분리부(120)가 압축력에 의하여 과대하게 함몰되는 경향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2는 분리부(120)와 완충돌기부(140) 사이에 하중분산판(160)을 설치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완충돌기부(140)의 단면보다 큰 하중분산판(160)을 준비한 후 분리부(120)와의 사이에 설치하게 되면 분리부(120)에서 하중을 분산시켜 분리부(120)가 내부로 과대하게 함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하중분산판(160)은 완충돌기부(140)의 단면보다는 크면서, 접촉하는 부분의 분리부(120)와 동일할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하중분산판(160)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선택된 1 내지 5종을 혼합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하중분산판(160)은 판 외에도 두꺼운 필름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시멘트 모르타르, 도자기, 금속산화물과 같은 모든 무기물은 절대온도인 0°K 이상의 온도에서 적외선을 복사하며, 복사되는 적외선 에너지는 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약 20℃(293°K)정도의 상온에서는 콘크리트바닥층(10)으로부터 대단히 많은 양의 적외선이 복사하게 된다.
이때 복사되는 적외선의 파장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2 ㎛이상이며, 2 ~ 20 ㎛범위의 파장대역이 유기물(PE, PP, Urethane, EVA등)에 흡수되면 유기물에 열적작용을 하게 되어, 유기물을 경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유기물이 발포되어 탄성을 가지는 경우, 열적 경화가 발생되고 탄성계수가 증가하게 되는 악영향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완충돌기부(140)의 하부 또는 전체 완충층(100)의 바닥면에 고무나 합성수지재 필름 또는 시트 재질의 적외선 차단층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적외선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차단층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금속박막을 코팅하여 적외선 차단효과를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적외선 차단층은 발포성 유기물에 외부로부터의 적외선이 유입 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적 경화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부터 완충층(100)의 장기적인 수명을 보장하게 된다.
<실험예> 동탄성 계수 실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완충층(100) 구조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두 종류의 샘플을 제조하여 성능을 측정하였다.
먼저, 비교 대상으로 가로 세로 200 mm, 두께 15 mm, 폴리에틸렌 재질의 완충재을 준비하고, 가로 세로 25 mm, 두께 5 mm의 발포고무로 된 완충돌기를 준비하여 균일한 간격으로 완충재 하부에 부착하였다.
또, 실험대상으로 비교 대상과 동일하게 준비한 후 완충돌기가 설치된 부분에 각 완충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완충재의 내측으로 깊이 12 mm의 절개홈(130)을 형성하여 분리부(120)를 형성하였다.
준비된 비교대상과 실험대상에 인가 하중 90 kg/㎡을 가하여 동탄성 계수를 측정하여 하기와 같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동탄성 계수 측정결과.
동탄성계수(MN/㎥) 비고
측정값 기준
비교대상 5.4 5 절개홈 비형성
실험대상 4.8 5 절개홈 형성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완충재에 절개홈(130)을 형성한 경우, 절개홈(130)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동탄성계수가 11 %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어 절개홈(130)에 의한 진동 전달 차단 효과가 증대되며,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는 한정된 두께 내에 완충층(100)을 설치해야 하는 조건 및 신규한 재질의 변화 없이 이룩한 것으로써 11 %의 개선은 상당히 큰 것이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는 비단 바닥 구조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기계구조물의 진동차단과 같은 다양한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완충층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완충층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완충층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완충돌기부가 이질 재질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와 같이 구성하되 완충돌기부가 사각박스 형상을 갖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도 5와 같이 구성하되 완충돌기부가 분리부 내측으로 함몰되어 두껍게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완충돌기부가 평판부의 상부에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완충돌기부가 평판부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완충돌기부의 상부에 지지판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두 개의 완충층이 적층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완충돌기부와 분리부 사이에 하중분산판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금속산화물의 분광복사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수지별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콘크리트바닥층 20 : 경량기포콘크리트층
30 : 마감모르타르층 31 : 난방배관
40 : 완충재 50 : 지지판
60 : 마운트 100 : 완충층
110 : 평판부 120 : 분리부
130 : 절개홈 140 : 완충돌기부
150 : 보조절개홈 160 : 하중분산판

Claims (14)

  1.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에 있어서,
    평평한 판 형태의 평판부(110)와,
    평판부(11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평판부(11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되 일정한 배열로 절개홈(130)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부(120)와;
    상기 분리부(12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된 완충돌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마감모르타르층(30)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로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 또는 콘크리트바닥층(1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100)은 다수 개 적층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의 완충층(100)은 상부 완충층(100)의 완충돌기부(140)를 지지하는 평판부(110)에 보조절개홈(1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110), 분리부(120), 완충돌기부(140)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합성수지 중 선택된 1 내지 10종을 원료로 하여 성형된 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110), 분리부(120), 완충돌기부(140)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합성수지 중 선택된 1 내지 10종을 원료로 한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110), 분리부(120), 완충돌기부(140)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폴 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합성수지 중 선택된 1 내지 10종의 성형체 또는 발포체의 분쇄물을 혼합하여 성형한 혼합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110), 분리부(120)는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완충돌기부(140)는 평판부(110) 및 분리부(120)와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일체 또는 분리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120) 하부와 완충돌기부(140) 사이에 하중분산판(16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판(160)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1 내지 5종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판(160)은 일측으로 접촉하는 완충돌기부(140) 단면보다 크면서, 타측으로 접촉하는 분리부(120) 단면과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부(140)는 접촉하는 분리부(120)의 직경 또는 폭 대비하여 1 ~ 3 배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부(140)의 상단이 인접한 분리부 하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 상부에 지지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13. 제 1항에 있어서,
    완충돌기부(140)의 하부 또는 전체 완충층(100)의 바닥면에 고무나 합성수지재 필름 또는 시트 재질의 적외선 차단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차단층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금속박막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1020080062947A 2008-06-30 2008-06-30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100986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947A KR100986365B1 (ko) 2008-06-30 2008-06-30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947A KR100986365B1 (ko) 2008-06-30 2008-06-30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93A true KR20100002893A (ko) 2010-01-07
KR100986365B1 KR100986365B1 (ko) 2010-10-08

Family

ID=4181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947A KR100986365B1 (ko) 2008-06-30 2008-06-30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3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5524A (zh) * 2012-01-18 2012-07-04 北京工业大学 建筑用复合型多频段隔振沟
CN104314283A (zh) * 2014-11-17 2015-01-28 苏州瑞邦塑胶有限公司 塑胶隔热地板
CN108222413A (zh) * 2012-06-01 2018-06-29 尤尼林有限公司 用于形成地板覆盖物的面板
KR20210120481A (ko) *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73B1 (ko) * 2017-03-20 2020-05-14 아신씨엔티 주식회사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8575B2 (en) * 2000-12-13 2003-04-15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High temperature underfilling material with low exotherm during use
KR200246941Y1 (ko) 2001-03-12 2001-10-29 이선일 온돌판과 벽체 사이의 충격방지용 완충재
KR100482090B1 (ko) * 2002-06-29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KR200403134Y1 (ko) 2005-08-10 2005-12-08 (주)비엠아이건설 차음을 위한 층간 바닥재
KR100686210B1 (ko) 2006-02-22 2007-02-26 김용일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0798873B1 (ko) 2007-05-18 2008-01-29 (주)세진에스엠 건축물의 바닥 충격음 차단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5524A (zh) * 2012-01-18 2012-07-04 北京工业大学 建筑用复合型多频段隔振沟
CN102535524B (zh) * 2012-01-18 2014-04-02 北京工业大学 建筑用复合型多频段隔振沟
CN108222413A (zh) * 2012-06-01 2018-06-29 尤尼林有限公司 用于形成地板覆盖物的面板
CN108222413B (zh) * 2012-06-01 2021-07-23 尤尼林有限公司 用于形成地板覆盖物的面板
US11840850B2 (en) 2012-06-01 2023-12-12 Unilin, Bv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CN104314283A (zh) * 2014-11-17 2015-01-28 苏州瑞邦塑胶有限公司 塑胶隔热地板
KR20210120481A (ko) *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단열 및 소음저감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6365B1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520B1 (ko) 튜브형완충재를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100986365B1 (ko)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101530822B1 (ko) 공동주택용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KR101459381B1 (ko) 공동주택의 저주파수대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바닥구조 및 이를 위한 완충용 금속패널
KR20090084179A (ko) 다중 적층 방식의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102370085B1 (ko)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100987212B1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용 완충재 및 이를 구비한 바닥충격음 흡수 패널
KR20090084182A (ko) 단열재를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100398073B1 (ko) 충격음 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뜬바닥 시공방법
KR100986446B1 (ko) 상부 표면보호층이 구비된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101428590B1 (ko)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0966393B1 (ko) 중공부에 단열재가 채워진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102417250B1 (ko) 난연 및 내화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KR100980143B1 (ko) 건물 바닥용 완충층의 방수구조
KR20090084181A (ko) 중공부를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20090084180A (ko) 중앙에 중공부를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101786166B1 (ko) 단열성능과 층간소음 차단 성능이 우수한 다공성 폴리우레탄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물의 바닥 구조
KR100499822B1 (ko) 건축물용 층간 방진재 적층구조
KR200452855Y1 (ko) 지지판 연결부재를 이용한 인접한 완충층의 연결구조
KR200312358Y1 (ko) 건축물용 층간 방진재 적층구조
KR101774493B1 (ko) 층간차음재
KR101774494B1 (ko) 층간차음재
KR100964929B1 (ko) 스파이크 구조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KR102176072B1 (ko) 건축물용 바닥 완충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