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073B1 -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073B1
KR102111073B1 KR1020170034504A KR20170034504A KR102111073B1 KR 102111073 B1 KR102111073 B1 KR 102111073B1 KR 1020170034504 A KR1020170034504 A KR 1020170034504A KR 20170034504 A KR20170034504 A KR 20170034504A KR 102111073 B1 KR102111073 B1 KR 102111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ayer
finishing material
floor finishing
low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338A (ko
Inventor
유찬호
Original Assignee
아신씨엔티 주식회사
주식회사 그린스마일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신씨엔티 주식회사, 주식회사 그린스마일글로벌 filed Critical 아신씨엔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4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07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는 건축물의 실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재로서, 저면이 상기 바닥의 상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하부 패널; 저면이 상기 하부 패널의 상면과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는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패널을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FLOOR MATERIAL FOR BUILDING}
본 발명은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건축물의 실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과거 단독주택 위주의 생활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으로 주거 환경이 일반화되면서 층간소음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층간소음은 주로 콘크리트면에 직접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발생하는 바닥충격음(고체전달음)에서 기인한다. 예컨대 층간소음은 윗층에서 아이들이 뛰거나 물건이 끌어 옮겨지거나 떨어질 때 발생한다.
이러한 층간소음은 다른 소음공해와 마찬가지로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치며, 이로 인해 이웃 주민간에 많은 문제와 민원 제기등이 발생된다.
이러한 층간소음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88669호(2016.01.2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층간소음을 저감하도록 구성된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축물의 실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마감재로서, 저면이 상기 바닥의 상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하부 패널; 저면이 상기 하부 패널의 상면과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는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패널을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패널은, 상기 실내 공간의 바닥과 마주보며 배치되며, 경량기포콘크리트 재질을 가지는 제1층; 및 상기 제1층 위에 적층되고, 탄성 재질을 가지는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패널은, 상기 제2층과 마주보며 배치되고, 탄성 재질을 가지는 제3층; 및 상기 제3층 위에 적층되고, 경량기포콘크리트 재질을 가지는 제4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마감재는 상기 상부 패널을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 부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간부에는 배관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 패널의 상부에는 상기 배관의 하부가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배관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부 패널에 지지되는 하부 몸체; 상기 상부 패널에 지지되고,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를 상기 하부 몸체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는 아래로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 몸체는 그 상단부가 상기 상부 몸체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상부 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몸체를 상기 하부 몸체에 대해 탄성 지지하고, 상기 상부 몸체는 상기 상부 패널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에 의해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 사이의 공간부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가 설치된 실내 바닥 일부를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를 구성하는 유니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에 배치된 배관의 일 배치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에 배치된 배관의 다른 배치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에 배치된 배관의 또 다른 배치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B부분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 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가 설치된 실내 바닥 일부를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 X축 방향은 바닥 마감재(101)의 길이 방향을, Y축 방향은 바닥 마감재(101)의 폭 방향을, Z축 방향은 바닥 마감재(101)의 두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101)는 건축물의 실내 공간의 바닥(50)에 설치되어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보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101)는 하부 패널(110)과, 상부 패널(130)과, 지지 부재(150)를 포함한다. 하부 패널(110)과 상부 패널(130)을 포함하는 바닥 마감재(101)는 다층 구조를 가진다.
하부 패널(110)은 그 저면이 실내 공간의 바닥(50)의 상면과 마주보며 배치된다. 실내 공간의 바닥(50)은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하부 패널(11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하부 패널(1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다수의 층(110a, 110b)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하부 패널(110)은 두 개의 층(110a, 110b)으로 구성되고, 제1층은(110a)은 실내 공간의 바닥(50)과 마주보며 배치되고, 제2층(110b)은 제1층(110a) 위에 적층된다.
이때, 하부 패널(110)을 구성하는 각 층(110a, 110b)의 재질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패널(110) 중 아래에 위치하는 제1층(110a)의 재질은 경량기포콘크리트이고, 제1층(110a) 위에 적층된 제2층(110b)은 폴리비닐 알코올(PVA)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또는 폴리 우레탄 같은 탄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부 패널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패널(130)은 그 저면이 하부 패널(110)의 상면과 마주보며 이격 배치된다. 즉, 상부 패널(130)은 하부 패널(110)의 위쪽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부 패널(13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부 패널(13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다수의 층(130a, 130b)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부 패널(130)은 두 개의 층(130a, 130b)으로 구성되고, 제3층은(130a)은 하부 패널(110)의 제2층(110b)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제4층(130b)은 제3층(130a) 위에 적층된다.
이때, 상부 패널(130)을 구성하는 각 층(130a, 130b)의 두께 및 재질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패널(130) 중 아래에 위치하는 제3층(130a)은 폴리비닐 알코올(PVA)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또는 폴리 우레탄 같은 탄성 재질을 가질 수 있고, 제3층(130a)의 위에 적층된 제4층(130b)의 재질은 경량기포콘크리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부 패널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150)는 상부 패널(130)을 하부 패널(110)에 대해 지지한다. 이때, 상부 패널(130)은 지지 부재(150)에 의해 하부 패널(11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패널(130)과 하부 패널(110) 사이에 공간부(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부(120)는 공기층을 형성하여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50)의 하단부는 하부 패널(110)(ex. 경량기포콘크리트 재질의 제1층(110a)에 지지되고 지지 부재(150)의 상단부는 상부 패널(130)(ex. 경량기포 콘크리트 재질의 제4층(130b)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15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부재(150)의 개수 및 형성 위치는 상부 패널(130)과 하부 패널(110)의 형상 및 크기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15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50)는 봉 또는 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150)의 측면에는 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51)는 바닥 마감재(101)가 제작되거나 시공되는 과정에서 상부 패널(13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후술한다.
위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101)는 지지 부재(150)에 의해 하부 패널(110)과 상부 패널(130) 사이의 공간부(120)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바닥 마감재(101)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례로, 바닥 마감재(101)는 도 3과 같이 규격화된 크기를 가지는 완제품 형태의 유니트(101a)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를 구성하는 유니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유니트(101a)는 시공 현장에서 실내 공간의 바닥(도 1의 50) 전체에 걸쳐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바닥 마감재(101)는 바닥 마감재(101)의 구성들이 시공 현장에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실내 공간의 바닥(50)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작업자는 실내 공간의 바닥(50) 전체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 패널(110)의 제1층(110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1층(110a) 위에 폴리비닐 알코올(PVA)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또는 폴리 우레탄 같은 탄성 재질의 제2층(110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용융된 탄성 재질(ex. 폴리비닐 알코올(PVA)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또는 폴리 우레탄)의 재료를 제1층(110a) 위에 부어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제2층(110b)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작업자는 탄성 재질(ex. 재료를폴리비닐 알코올(PVA)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또는 폴리 우레탄)의 재료를 규격화된 크기로 제작한 플레이트를 제1층(110a) 전체에 걸쳐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제2층(110b)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패널(11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지지 부재(150)는 하부 패널(1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제1층(110a)이 완전 건조되기 전에 지지 부재(150)의 하단부를 제1층(110a)에 꽂아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지지 부재(150)가 꽂힌 제1층(110a) 위에 제2층(110b)를 형성한다.
하부 패널(110)이 완성된 후 지지 부재(150)는 하부 패널(1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패널(110)이 실내 공간의 바닥(50)에 설치된 후, 작업자는 지지 부재(150)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하부 패널(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15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작업자는 지지 부재(150)를 회전시켜 하부 패널(110)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하부 패널(110)이 완성되고 지지 부재(150)가 하부 패널(110)에 설치된 후, 상부 패널(130)의 탄성 재질(ex. 폴리비닐 알코올(PVA)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또는 폴리 우레탄)의 제2층(110b)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재질(ex. 폴리비닐 알코올(PVA)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또는 폴리 우레탄)의 재료를 규격화된 크기의 플레이트가 제작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지지 부재(150)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그 저면이 지지 부재(150)의 돌출부(151)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150)가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됨으로써, 하부 패널(110)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상부 패널(130)의 제3층(13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층(130a)이 형성된 후, 제3층(130a) 위에 상부 패널(130)의 제4층(130b)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는 제3층(130a)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패널(130)의 제4층(130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3층(130a)에서 위로 노출된 지지 부재(150)의 상단부는 경량기포콘크리트 재질의 제4층(130b)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101)의 내부에는 배관(미도시) 및 케이블(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배관은 난방용 배관이고, 케이블은 전력 케이블 또는 통신 케이블일 수 있다.
일례로, 도 4를 참조하면 배관(P)은 상부 패널(130)과 하부 패널(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에 배치된 배관의 일 배치도이다.
다른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배관(P)은 상부 패널(13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에 배치된 배관의 다른 배치도이다.
이때, 배관(P)은 상부 패널(130) 중 경량기포콘크리트 재질의 제4층(130b)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관(P)은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제3층(130a) 위에 타설하여 제4층(130b)을 형성하는 과정에 제4층(130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배관(P)은 상부 패널(13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에 배치된 배관의 또 다른 배치도이다.
이 경우, 배관(P)은 상부 패널(130)의 제3층(130a)에서 위로 노출된 지지 부재(15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안착 부재(156)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관(P)은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제3층(130a) 위에 타설하여 제4층(130b)을 형성하는 과정에 제4층(130b) 내부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의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102)는 하부 패널(110)과, 상부 패널(130)과, 지지 부재(150)와, 탄성 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170)는 상부 패널(130)을 하부 패널(1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탄성 부재(170)는 도 7과 같이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탄성 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판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탄성 부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탄성 부재(170)는 도 7과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150)는 코일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17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150)는 상부 패널(130) 및 하부 패널(110) 중 어느 하나에 상하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패널(13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50)의 상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131)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탄성 부재(170)는 지지 부재(150)와 별개로 상부 패널(130)과 하부 패널(110) 사이의 공간부(120)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102)는 설치 후 바닥 마감재(102)가 설치된 실내 공간에서 바닥(50)측을 향하여 발생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70)는 상부 패널(130)과 하부 패널(110) 사이의 탄성 운동을 유도하는 역할 외에 바닥 마감재(102)의 제작 또는 시공 과정에서 상부 패널(130)의 제3층(130a)의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탄성 부재(170)는 앞선 실시예의 돌출부(도 2의 1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지지 부재(150)에 돌출부(151)가 형성될 필요가 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바닥 마감재(103)는 하부 패널(110)과, 상부 패널(130)과, 지지 부재(150)와, 탄성 부재(170)를 포함한다.
하부 패널(110)과 상부 패널(130) 사이의 공간부(120)에는 배관(P)이 배치될 수 있다. 배관(P)은 난방용 배관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배관(P)은 실내 공간의 바닥(50)과 수평하게 연장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패널(110)의 상부에는 배관(P)의 하부가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배관 삽입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배관(P)은 배관 삽입홈(113)에 삽입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부 패널(130)의 하부에는 배관(P)의 상부가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배관 삽입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패널(130)에 형성된 배관 삽입홈(133)은 상부 패널(130)이 하부 패널(1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운동하는 과정에서 배관(P)의 상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배관 삽입홈(113, 133)은 상부 패널(130)과 하부 패널(1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120)의 높이가 배관(P)의 직경보다 작을 때 배관(P)이 상부 패널(130)과 하부 패널(110) 사이를 통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패널(110)에는 배관(P)의 측부를 지지하는 배관 지지 부재(180)가 설치된다. 배관 지지 부재(180)는 한 쌍으로 제공되고, 한 쌍의 배관 지지 부재(180)는 배관(P)을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배관 지지 부재(180)의 하단부는 하부 패널(110)에 고정되고 배관 지지 부재(180)의 상단부는 상부 패널(130) 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이때, 배관 지지 부재(180)의 상단부는 도 8과 같이 상부 패널(130)의 저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는 배관 지지 부재(180)의 상단부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부 패널(130)의 저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배관 지지 부재(180)에 의해 상부 패널(130)과 하부 패널(110) 사이의 공간부(120)에 배치되는 배관(P)은 측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배관 지지 부재(180)는 판 스프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배관 지지 부재(180)는 그 하단부가 하부 패널(110)에 고정되고 위쪽으로 가면서 배관(P)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배관 지지 부재(180)의 상단부는 상부 패널(130)의 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판 스프링 구조를 가지는 배관 지지 부재(180)는 배관(P)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부 패널(130)을 하부 패널(110)에 대해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9는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B부분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104)는 하부 패널(110)과, 상부 패널(130)과, 지지 부재(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150')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일례로, 지지 부재(150')는 하부 몸체(151)와, 상부 몸체(153)와, 탄성 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몸체(151)는 하부 패널(110)에 지지된다. 하부 몸체(15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몸체(153)는 상부 패널(130)에 지지된다. 상부 몸체(153)는 하부 몸체(151)의 상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컨대, 상부 몸체(153)는 아래로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몸체(153)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상부 몸체(153)는 상부 패널(130)에 형성된 결합홈(1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몸체(153)는 결합홈(131)에 단순히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부 몸체(153)는 결합홈(131) 안에서 접착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부 몸체(153)는 결합홈(131)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부 몸체(153)는 결합홈(131)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몸체(153)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결합홈(131)의 내주면에는 상부 몸체(153)의 수나사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몸체(151)는 그 상단부가 상부 몸체(153)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상부 몸체(153)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몸체(153)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하부 몸체(151)의 상단부는 상부 몸체(153)의 내부 공간 입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몸체(153)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하부 몸체(151)의 상단부가 상부 몸체(153)의 내부 공간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5)는 상부 몸체(153)를 하부 몸체(151)에 대해 탄성 지지한다. 예컨대, 탄성 부재(155)는 상부 몸체(153)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몸체(153)는 상부 몸체(153)의 내부 공간에서 하부 몸체(151)에 대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지지 부재(150')는 상부 몸체(153)를 하부 몸체(15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부 몸체가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부 몸체가 하부 몸체에 상하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몸체의 내부 공간에는 상부 몸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의 하부 몸체는 조립 과정에서 하부 패널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지지 부재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몸체(153)의 하단부 측면에는 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54)는 바닥 마감재(104)가 제작되거나 시공되는 과정에서 상부 패널(13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습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104)는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 부재(150')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지지 부재(도 7 및 도 8의 150 참조)와 탄성 부재(도 7 및 도 8의 170 참조)를 사용하는 앞선 바닥 마감재(102, 103)와 달리 간단한 구성으로 상부 패널(130)을 하부 패널(110)에 대해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위와 같은 바닥 마감재(104)는 지지 부재(150')의 상부 몸체(153)를 상부 패널(130)에 형성된 결합홈(131)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50 : 바닥
101, 102, 103, 104 : 바닥 마감재
110 : 하부 패널
113 : 배관 삽입홈
120 : 공간부
130 : 상부 패널
131 : 결합홈
133 : 배관 삽입홈
150, 150' : 지지 부재
151 : 하부 몸체
153 : 상부 몸체
155 : 탄성 부재
170 : 탄성 부재

Claims (8)

  1. 건축물의 실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마감재로서, 저면이 상기 바닥의 상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하부 패널; 저면이 상기 하부 패널의 상면과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는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패널을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패널은,
    상기 실내 공간의 바닥과 마주보며 배치되며, 경량기포콘크리트 재질을 가지는 제1층; 및
    상기 제1층 위에 적층되고, 탄성 재질을 가지는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패널은,
    상기 제2층과 마주보며 배치되고, 탄성 재질을 가지는 제3층; 및
    상기 제3층 위에 적층되고, 경량기포콘크리트 재질을 가지는 제4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을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 부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지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는 배관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 패널의 상부에는 상기 배관의 하부가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배관 삽입홈이 형성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부 패널에 지지되는 하부 몸체;
    상기 상부 패널에 지지되고,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를 상기 하부 몸체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는 아래로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 몸체는 그 상단부가 상기 상부 몸체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상부 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몸체를 상기 하부 몸체에 대해 탄성 지지하고,
    상기 상부 몸체는 상기 상부 패널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KR1020170034504A 2017-03-20 2017-03-20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KR102111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504A KR102111073B1 (ko) 2017-03-20 2017-03-20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504A KR102111073B1 (ko) 2017-03-20 2017-03-20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338A KR20180106338A (ko) 2018-10-01
KR102111073B1 true KR102111073B1 (ko) 2020-05-14

Family

ID=6387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504A KR102111073B1 (ko) 2017-03-20 2017-03-20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0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365B1 (ko) 2008-06-30 2010-10-08 박연준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101588669B1 (ko) * 2015-02-13 2016-01-27 안승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충격 흡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125A (ko) * 2007-10-05 2009-04-09 김학원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365B1 (ko) 2008-06-30 2010-10-08 박연준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101588669B1 (ko) * 2015-02-13 2016-01-27 안승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충격 흡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338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182B1 (ko)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JP6409137B2 (ja) 床材
KR101699724B1 (ko) 바닥 충격음 방지 건축물 슬래브
KR20190076174A (ko) 층간소음방지 메쉬에어볼매트
KR20200076321A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방진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2111073B1 (ko) 다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실내 바닥 마감재
KR102077086B1 (ko) 건물 바닥충격음 방지구조체
KR101627670B1 (ko) 공동주택의 건축용 바닥패널
KR200473491Y1 (ko) 층간소음 방지 장치
KR101778245B1 (ko) 층간소음이 방지되는 복층형 공동주택
KR20200029884A (ko) 방음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20060094292A (ko) 층간차음재
WO2018091137A8 (de) Wohnblock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wärmedämmung
KR101674737B1 (ko) 바닥구조물
KR100634178B1 (ko) 건축용 온돌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101488443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흡진기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
JP6969015B2 (ja) 層間騒音を低減し改修及び補修が容易な複層型共同住宅の設計構造
KR101531481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층간 및 벽면 방진용 패널
KR20110110688A (ko)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온돌패널 및 그 조립체
KR102229677B1 (ko) 바닥 충격음 차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1622696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차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
KR101454900B1 (ko) 층간차음재
KR101564509B1 (ko) 소음방지매트
KR101725596B1 (ko) 바닥구조물
KR20100033765A (ko) 소음저감용 돌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