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090B1 -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090B1
KR100482090B1 KR10-2002-0037494A KR20020037494A KR100482090B1 KR 100482090 B1 KR100482090 B1 KR 100482090B1 KR 20020037494 A KR20020037494 A KR 20020037494A KR 100482090 B1 KR100482090 B1 KR 100482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oil
sensor
vehicle
substrate
slid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3134A (ko
Inventor
강성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7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090B1/ko
Publication of KR20040003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오일센서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1a)를 구비한 센서본체(1)와, 상기 커넥터(1a)와 반대되는 센서본체(1)의 타면에 각각의 일단이 센서본체(1)의 내부로 압입되면서 고정되는 접지선(2) 및 전원판(3)과, 이 전원판(3)의 선단부 저면에 일단이 용접결합으로 설치되는 케이스수단(30)과, 이 케이스수단(30)과 접지선(2)을 연결하도록 용접결합되는 와이어(41)와, 상기 케이스수단(30)내에 설치되면서 엔진오일(13)의 유면높이에 따라 클러스터의 경고등을 점등시키거나 또는 소등시키도록 작동되는 스위칭수단(50)으로 구성되어져, 엔진오일(13)이 정상상태로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급경사로상에 정차되었다가 재차 시동이 온(ON)될 때 오작동되는 것이 예방되게 됨으로써, 차량에 대한 신뢰성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소비자의 선호도가 향상되면서 상품성이 증가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엔진오일센서{engine oil sens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오일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경사로에서의 차량 출발시 오작동되는 것을 예방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엔진오일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엔진오일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커넥터(1a)를 구비한 센서본체(1)와, 상기 커넥터(1a)와 반대되는 센서본체(1)의 타면에 각각의 일단이 센서본체(1)의 내부로 압입되면서 고정되는 접지선(2) 및 전원판(3)과, 이 전원판(3)과 순차적으로 중첩되면서 리벳(4)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절연판(5) 및 PCB기판(6 ; Printed Circuit Substrate ;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전원판(3)의 저면에 서로 이격되면서 용접결합되는 리드케이스(7) 및 가이드축(8)과, 중심부는 상기 리드케이스(7)에 의해 관통되고 일측은 상기 가이드축(8)에 의해 지지되면서 엔진오일의 양에 따라 상기 리드케이스(7) 및 가이드축(8)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부력부재(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선(2)의 선단은 와이어(11)의 일단과 납용접되어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11)의 타단은 PCB기판(6)상에 납용접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판(3)은 센서본체(1)의 플랜지(1b)와 볼트(3a)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판(5)의 선단측 저면에는 니은자(ㄴ)모양의 걸림돌기(5a)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걸림돌기(5a)는 전원판(3)의 선단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드케이스(7)의 상세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축(8)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상단측이 상기 전원판(3)의 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이중구조의 유리관(7a)과, 이 유리관(7a)의 저면에 결합되는 밀봉덮개(7b)와, 일단이 상기 PCB기판(6)상에 납용접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PCB기판(6)과 절연판(5) 및 전원판(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소정길이의 음극기판(7c)과, 일단이 상기 밀봉덮개(7b)상에 용접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음극기판(7c)의 선단과 일정부분 중첩되도록 직립되는 양극기판(7d)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부재(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오일상에 떠있을 정도의 무게를 가지면서 그 무게중심부에는 상기 유리관(7a)에 의해 관통되는 중심구멍(9a)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축(8)을 둘레방향으로 포함할 수 있는 소정크기의 가이드홈(9b)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부재(9)의 중심구멍(9a)에는 그 둘레면을 따라 원형자석(12)이 일체로 압입되어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오일(13)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량으로 채워져 있으면 부력부재(9)는 엔진오일(13)의 유면높이만큼 리드케이스(7)의 유리관(7a) 및 가이드축(8)을 따라 상승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이때 상기 리드케이스(7)를 구성하는 음극기판(7c) 및 양극기판(7d)의 선단은 원형자석(12)의 인력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음극기판(7c) 및 양극기판(7d)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서 운전석에 장착된 클러스터의 경고등(도시않됨)은 점등되지 않게 되고, 운전자는 점등되지 않은 경고등을 보고 엔진오일(13)의 양이 정상상태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엔진오일(13)의 양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량 이하로 존재하게 되면, 부력부재(9)는 엔진오일(13)의 유면높이만큼 리드케이스(7)의 유리관(7a) 및 가이드축(8)을 따라 하강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이때 상기 리드케이스(7)를 구성하는 음극기판(7c) 및 양극기판(7d)의 선단은 원형자석(12)의 인력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됨으로써 서로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음극기판(7c) 및 양극기판(7d)의 선단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운전석에 장착된 클러스터의 경고등이 점등되게 되고, 이때 운전자는 점등된 경고등을 보고 엔진오일(13)의 양이 비정상상태임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엔진오일센서는 경사각도가 25°이상되는 급경사로상에 차량을 정차시킨 후 재차 시동을 온(ON)시켜 주행을 할 경우, 엔진오일(13)의 양이 정상상태로 채워져 있더라도 클러스터의 경고등이 점등되는 오작동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경사각도가 25°이상되는 급경사로상에 차량을 정차시키게 되면 부력부재(9)는 도 5에 도시된 실선 및 점선과 같이 엔진오일(13)의 유면과 동일한 경사각도로 존재하게 된다.
이후, 운전자가 이그니션스위치를 온(ON)시켜 경사로를 벗어나 평지주행을 하게 되면 엔진오일(13)의 유면은 도로와 동일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상기 부력부재(9)는 유리관(7a) 및 가이드축(8)에 의해 걸려져서 수평상태로 복귀되지 못하고 계속해서 경사상태로 존재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엔진오일(13)의 양이 정상상태로 채워져 있더라도 음극기판(7c)과 양극기판(7d)상에 자석(12)의 인력이 작용하지 못하게 되어 클러스터의 경고등이 점등되게 되고, 운전자는 점등된 경고등을 보고 엔진오일(13)의 양이 부족하다는 오판을 하게 되어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리관(7a) 및 가이드축(8)에 의해 걸려져서 경사지게 존재하는 부력부재(9)는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충격력이 전달될 때 유면의 높이와 동일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부력부재(9)가 수평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점등되었던 클러스터의 경고등이 꺼져 점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엔진오일센서는 상기 부력부재(9)가 수평상태로 복귀하게 되더라도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시키지 않는 한 계속해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운전자의 오판결정에도 도움을 주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사각도가 25°이상되는 급경사로상에 차량을 정차시킨 후 재차 시동을 온(ON)시켜 차량을 주행시킬 때 엔진오일이 정상상태로 채워져 있는 상태라면 오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클러스터의 경고등이 점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에 따른 운전자의 오판을 미리 에방하고 아울러 안전운행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엔진오일센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엔진오일센서는, 커넥터를 구비한 센서본체와, 상기 커넥터와 반대되는 센서본체의 타면에 각각의 일단이 센서본체의 내부로 압입되면서 고정되는 접지선 및 전원판과, 이 전원판의 선단부 저면에 일단이 용접결합으로 설치되는 케이스수단과, 이 케이스수단과 접지선을 연결하도록 용접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케이스수단내에 설치되면서 엔진오일의 유면높이에 따라 클러스터의 경고등을 점등시키거나 또는 소등시키도록 작동되는 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오일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오일센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커넥터(1a)를 구비한 센서본체(1)와, 상기 커넥터(1a)와 반대되는 센서본체(1)의 타면에 각각의 일단이 센서본체(1)의 내부로 압입되면서 고정되는 접지선(2) 및 전원판(3)과, 이 전원판(3)의 선단부 저면에 일단이 용접결합으로 설치되는 케이스수단(30)과, 이 케이스수단(30)과 접지선(2)을 연결하도록 용접결합되는 와이어(41)와, 상기 케이스수단(30)내에 설치되면서 엔진오일(13)의 유면높이에 따라 클러스터의 경고등을 점등시키거나 또는 소등시키도록 작동되는 스위칭수단(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수단(30)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형상의 관통구멍(31a)이 형성되면서 전원판(3)의 저면에 용접결합으로 설치되는 상단커버(31)와, 상기 접지선(2)과 연결되는 와이어(41)의 일단이 용접결합으로 연결되는 전도체의 하단커버(32)와, 원통형의 그물망으로 형성되면서 양단이 상기 상하단커버(31,32)와 각각 용접결합되어 설치되는 중간커버(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수단(5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하단커버(32)상에 용접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단커버(31)의 관통구멍(31a)을 통과하여 전원판(3)의 윗면에 탄력적으로 걸려져 설치되며 상기 하단커버(32)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는 양측면부에는 가이드플랜지(51a)가 측면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플랜지(51a)에는 슬롯형상의 안내구멍(51b)이 각각 종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양극기판(51)과, 상기 안내구멍(51b)으로 끼워지는 안내돌기(52a)가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52a)와 직교되는 둘레면에는 PCB기판(52b)이 압입되며 엔진오일(13)의 유면높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부재(52)와, 상기 양극기판(51)에 결합된 슬라이더부재(52)의 전면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단이 상단커버(31)에 용접결합되어 설치되는 절연판(53)과, 일단은 상기 절연판(53)의 선단과 중첩을 이루고 타단은 상기 하단커버(32)상에 용접결합으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부재(52)의 하강이동시 PCB기판(52b)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양극기판(51)과 연결되는 음극기판(54)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원판(3)에는 상단커버(31)의 관통구멍(31a)과 종축방향으로 연결되는 조립구멍(3a)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극기판(51)은 그 상단측이 상단커버(31)의 관통구멍(31a)과 전원판(3)의 조립구멍(3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전원판(3)의 윗면에 탄력적으로 걸려질 수 있는 기역자(ㄱ)의 모양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부재(52)에 구비된 PCB기판(52b)은 상기 슬라이더부재(52)가 가이드플랜지(51a)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에 상관없이 항상 양극기판(51)과 접촉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극기판(54)은 엔진오일(13)의 유면에 따라 슬라이더부재(52)가 하강이동되는 과정상에서 상기 슬라이더부재(52)가 절연판(53)으로부터 분리될 때 PCB기판(52b)과 접촉되는 구조로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엔진오일(13)의 유면이 수평상태이고 PCB기판(52b)이 음극기판(54)과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차량의 자세변화로 인해 상기 엔진오일(13)의 유면이 경사지게 변화하더라도 PCB기판(52b)과 음극기판(54)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엔진오일센서의 동작과정에 대해 도 9와 도 10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엔진오일(13)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량으로 채워져 있으면 슬라이더부재(52)는 엔진오일(13)의 유면높이만큼 양극기판(51)의 가이드플랜지(51a)를 따라 상승되어 상기 양극기판(51)과 절연판(53)사이에 존재하게 되고, 이때 상기 슬라이더부재(52)에 장착된 PCB기판(52b)은 음극기판(54)과의 접촉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PCB기판(52b)과 음극기판(54)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서 운전석에 장착된 클러스터의 경고등(도시않됨)은 점등되지 않게 되고, 운전자는 점등되지 않은 경고등을 보고 엔진오일(13)의 양이 정상상태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엔진오일(13)의 양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량 이하로 존재하게 되면, 슬라이더부재(52)는 엔진오일(13)의 유면높이만큼 양극기판(51)의 가이드플랜지(51a)를 따라 하강되어 양극기판(51)과 음극기판(54)사이에 존재하게 되고, 이때 상기 슬라이더부재(52)에 장착된 PCB기판(52b)은 그 양단이 양극기판(51) 및 음극기판(54)과 각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양극기판(51) 및 양극기판(54)이 PCB기판(52b)에 의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운전석에 장착된 클러스터의 경고등이 점등되게 되고, 이때 운전자는 점등된 경고등을 보고 엔진오일(13)의 양이 비정상상태임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엔진오일(13)의 양이 정상상태로 채워진 상태에서 차량을 경사각도가 25°이상되는 급경사로상에 정차시키게 되면 슬라이더부재(5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오일(13)의 유면과 동일한 경사각도로 존재하려는 움직임을 갖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슬라이더부재(52)의 모서리부가 양극기판(51)과 절연판(53)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부재(52)에 장착된 PCB기판(52b)이 음극기판(54)과 서로 접촉되는 것이 예방된다.
한편, 엔진오일(13)의 양이 정상상태로 채워진 상태에서 차량을 경사각도가 25°이상되는 급경사로상에 정차시키게 되면 슬라이더부재(5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오일(13)의 유면과 동일한 경사각도로 존재하려는 움직임을 갖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슬라이더부재(52)의 모서리부가 양극기판(51)과 절연판(53)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부재(52)에 장착된 PCB기판(52b)이 음극기판(54)과 서로 접촉되는 것이 예방된다.
이와 같이, 차량을 경사각도가 25°이상되는 급경사로상에 정차시키더라도 슬라이더부재(52)에 장착된 PCB기판(52b)이 음극기판(54)과 서로 접촉되지 않으면, 운전자가 재차 시동을 온(ON)시켰을 때 운전석에 장착된 클러스터의 경고등이 점등되지 않게 됨으로써, 엔진오일센서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오일센서를 사용하였을 때 오작동의 발생되지 않게 되면, 차량에 대한 신뢰성이 증대되면서 소비자의 선호도가 향상되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엔진오일센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센서와 비교하여 볼 때 부품수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공수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설치공간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여유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도 있게 된다.
한편, 차량이 급경사로상에 정차할 때 슬라이더부재(52)가 그 모서리부에 의해 양극기판(51)과 절연판(53)사이에 걸려져 있던 구속상태는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충격력이 전달될 때 해방되면서 재차 유면의 높이와 동일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엔진오일센서는, 엔진오일이 정상상태로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급경사로상에 정차되었다가 재차 시동이 온(ON)될 때 오작동되는 것이 예방되게 됨으로써, 차량에 대한 신뢰성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소비자의 선호도가 향상되면서 상품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의 엔진오일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오일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및 분리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오일센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센서본체 1a - 커넥터
2 - 접지선 3 - 전원판
13 - 엔진오일 30 - 케이스수단
31 - 상단커버 32 - 하단커버
33 - 중간커버 41 - 와이어
50 - 스위칭수단 51 - 양극기판
52 - 슬라이더부재 53 - 절연판
54 - 음극기판

Claims (6)

  1. 커넥터(1a)를 구비한 센서본체(1)와, 상기 커넥터(1a)와 반대되는 센서본체(1)의 타면에 각각의 일단이 센서본체(1)의 내부로 압입되면서 고정되는 접지선(2) 및 전원판(3)과, 상기 전원판(3)의 선단부 저면에 일단이 용접결합으로 설치되는 케이스수단(30)과, 상기 케이스수단(30)과 접지선(2)을 연결하도록 용접결합되는 와이어(41)와, 상기 케이스수단(30)내에 설치되면서 엔진오일(13)의 유면높이에 따라 클러스터의 경고등을 점등시키거나 또는 소등시키도록 작동되는 스위칭수단(50)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스위칭수단(50)은
    일단은 상기 하단커버(32)상에 용접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단커버(31)의 관통구멍(31a)을 통과하여 전원판(3)의 윗면에 탄력적으로 걸려져 설치되며 상기 하단커버(32)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는 양측면부에는 가이드플랜지(51a)가 측면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플랜지(51a)에는 슬롯형상의 안내구멍(51b)이 각각 종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양극기판(51)과,
    상기 안내구멍(51b)으로 끼워지는 안내돌기(52a)가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52a)와 직교되는 둘레면에는 PCB기판(52b)이 압입되며 엔진오일(13)의 유면높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부재(52)와,
    상기 양극기판(51)에 결합된 슬라이더부재(52)의 전면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단이 상단커버(31)에 용접결합되어 설치되는 절연판(53)과,
    일단은 상기 절연판(53)의 선단과 중첩을 이루고 타단은 상기 하단커버(32)상에 용접결합으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부재(52)의 하강이동시 PCB기판(52b)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양극기판(51)과 연결되는 음극기판(54)
    으로 구성되는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수단(30)은 슬롯형상의 관통구멍(31a)이 형성되면서 전원판(3)의 저면에 용접결합으로 설치되는 상단커버(31)와, 상기 접지선(2)과 연결되는 와이어(41)의 일단이 용접결합으로 연결되는 전도체의 하단커버(32)와, 원통형의 그물망으로 형성되면서 양단이 상기 상하단커버(31,32)와 각각 용접결합되어 설치되는 중간커버(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B기판(52b)은 슬라이더부재(52)가 가이드플랜지(51a)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에 상관없이 항상 양극기판(51)과 접촉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기판(54)은 엔진오일(13)의 유면에 따라 슬라이더부재(52)가 하강이동되는 과정상에서 상기 슬라이더부재(52)가 절연판(53)으로부터 분리될 때 PCB기판(52b)과 접촉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오일(13)의 유면이 수평상태이고 PCB기판(52b)이 음극기판(54)과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차량의 자세변화로 인해 상기 엔진오일(13)의 유면이 경사지게 변화하더라도 PCB기판(52b)과 음극기판(54)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KR10-2002-0037494A 2002-06-29 2002-06-29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KR100482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494A KR100482090B1 (ko) 2002-06-29 2002-06-29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494A KR100482090B1 (ko) 2002-06-29 2002-06-29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134A KR20040003134A (ko) 2004-01-13
KR100482090B1 true KR100482090B1 (ko) 2005-04-13

Family

ID=3731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494A KR100482090B1 (ko) 2002-06-29 2002-06-29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365B1 (ko) * 2008-06-30 2010-10-08 박연준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3623A (ja) * 1988-11-14 1990-05-22 Unitika Ltd 嵩高加工糸の製造方法
JPH0650123A (ja) * 1992-07-31 1994-02-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エンジンオイルの油量検出装置
KR19980049719A (ko) * 1996-12-20 1998-09-15 김영귀 차량용 연료 탱크의 레벨 게이지 구조
KR19990015147A (ko) * 1997-08-02 1999-03-05 정몽규 연료탱크내의 유량 측정장치
KR19990017207A (ko) * 1997-08-22 1999-03-15 정몽규 연료량 계측 장치
KR100411066B1 (ko) * 2000-12-28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 레벨 센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3623A (ja) * 1988-11-14 1990-05-22 Unitika Ltd 嵩高加工糸の製造方法
JPH0650123A (ja) * 1992-07-31 1994-02-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エンジンオイルの油量検出装置
KR19980049719A (ko) * 1996-12-20 1998-09-15 김영귀 차량용 연료 탱크의 레벨 게이지 구조
KR19990015147A (ko) * 1997-08-02 1999-03-05 정몽규 연료탱크내의 유량 측정장치
KR19990017207A (ko) * 1997-08-22 1999-03-15 정몽규 연료량 계측 장치
KR100411066B1 (ko) * 2000-12-28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 레벨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134A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84867A (ja) スイッチ
CN1763876A (zh) 电路收纳用容器
JP2008014866A (ja) 液位検出装置
KR100482090B1 (ko)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US7408277B2 (en) Step-by-step motor able to carry out up-and-down motion
US6610945B2 (en) Seesaw type switch
JP3121485U (ja) 電気ウキ
JP2005197154A (ja) 照光スイッチ
KR100412590B1 (ko) 차량용 오일 수준 감지장치
JP3052359B2 (ja) プリント基板用操作機器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5436417A (en) Gravity actuated electrical switch and lamp assembly
US4680575A (en) Liquid level detecting device
JPH0517780Y2 (ko)
KR101876080B1 (ko) 도어 스텝 트림의 조명 시스템 및 방법
KR100411066B1 (ko) 오일 레벨 센서
KR100670022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20040048646A (ko) 오일 레벨 센서
KR100535455B1 (ko) 오일 레벨 센서
KR20030021390A (ko) 오일 레벨 센서
KR200408903Y1 (ko) 밤 낚시용 전자찌
KR100326675B1 (ko) 파킹 브레이크 스위치
KR20230007131A (ko)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KR200142049Y1 (ko)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
JPH0421077Y2 (ko)
KR20040046729A (ko) 오일 레벨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