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207A - 연료량 계측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량 계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207A
KR19990017207A KR1019970040046A KR19970040046A KR19990017207A KR 19990017207 A KR19990017207 A KR 19990017207A KR 1019970040046 A KR1019970040046 A KR 1019970040046A KR 19970040046 A KR19970040046 A KR 19970040046A KR 19990017207 A KR19990017207 A KR 19990017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amount
float
fuel tank
e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3738B1 (ko
Inventor
강화익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0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738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01F23/60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using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연료량 계측 장치가 차량 주행시나 언덕길에 주차할 경우 연료 탱크의 유면이 경사지게 되므로 뜨게의 위치가 변화되어 연료량을 정확하게 계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연료 탱크(50)의 유면상에 위치되고 유면의 유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뜨게(51)와, 상기 뜨게(51)의 수직 위치를 감지하는 리니어 포텐셜미터(52)와, 상기 뜨게(51)의 경사 각도를 감지하는 로터리 포텐셜미터(53)와, 상기 연료 탱크(5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뜨게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54)와, 상기 리니어 포텐셜미터(52)와 로터리 포텐셜미터(53)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연료량을 계산하는 ECU(55)와, 운전석의 계기판에 설치되고 ECU(55)에서 계산된 연료량을 표시하는 연료량 표시기(56)로 구성됨으로써, 자동차의 위치나 흔들림에 관계없이 정확한 연료량을 표시하게 되므로 연료량에 대한 오해로 연료 보충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연료량 계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량 계측 장치
본 발명은 연료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량을 계측하여 표시하는 연료량 계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 탱크에 설치된 뜨게의 위치와 경사 각도를 감지하여 연료량을 연산함으로써 유면이 유동되더라도 정확한 연료량이 표시되어 연료 보충 시기에 맞게 연료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연료량 계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계측하여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많은 방법을 통해 연료량을 감지하여 연료량 표시기에 표시하게 되는데, 주로 전기 저항을 이용하여 연료량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연료량을 표시하는 형식에 따라 두 개의 전자석을 이용한 밸런싱 코일식과, 서머스탯과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연료량을 표시하는 서머스탯-바이메탈식 및 바이메탈의 열변형을 이용하여 연료량을 표시하는 바이메탈 저항식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하의 종래 기술은 밸런싱 코일식 연료량 표시기를 채용한 연료 계측 장치에 관한 설명이다.
종래의 연료량 계측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탱크(10)의 유면상에 위치되고 유면의 유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뜨게(11)와, 상기 뜨게(1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접촉 아암(13)에 의해 저항이 다르게 나타나는 가변 저항(12)과, 연료 계기판(14)의 좌측 부분에 설치된 전자석(15)과, 상기 연료 계기판(14)의 우측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가변 저항(12)에 연결된 가변형 전자석(16)과, 연료 계기판(14)의 지시침(17)과 일체로 형성되어 힌지 고정되고 상기 전자석(15)과 가변형 전자석(16)의 자력 차이를 이용하여 지시침(17)을 회동시키는 가동 철편(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료량 계측 장치는 상기 뜨게(11)의 위치에 따라 가변형 전자석(16)의 자력 크기가 변화되어 지시침(17)을 회동시킴으로써 연료량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연료 탱크(10)에 연료가 조금 있을 경우에는 상기 뜨게(11)가 하강되어 가변 저항(12)의 저항 크기가 커지게 된다. 가변 저항(12)의 저항이 커지게 되면 상기 가변형 전자석(16)의 자력이 약화되므로 상기 가동 철편(18)이 전자석(15) 방향으로 회동되어 지시침(17)이 연료 부족(E) 방향을 향하게 된다.
연료 탱크(10)에 연료가 많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뜨게(11)가 상승되어 가변 저항(12)의 저항 크기가 작아진다. 가변 저항(12)의 저항이 작아지면 상기 가변형 전자석(16)의 자력이 강해지므로 상기 가동 철편(18)이 가변형 전자석(16) 방향으로 회동되어 지시침(17)이 연료 충만(F) 방향을 향하게 된다.
즉, 상기 전자석(15)의 자력 크기는 항상 일정하므로 가변형 전자석(16)의 자력 변화에 따라 상기 가동 철편(18)이 회동되어 지시침(17)의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료량 계측 장치는 차량 주행시나 언덕길에 주차할 경우 연료 탱크(10)의 유면이 경사지게 되므로 뜨게(11)의 위치가 변화되어 연료량을 정확하게 계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연료 탱크(10)의 유면이 경사지게 되면 뜨게(11)는 유면을 따라 이동되므로 그 위치가 변화되고, 뜨게(11)의 위치 변화에 따라 가변 저항(12)의 저항 크기가 변화되므로 가변형 전자석(16)의 자력 크기도 변화되어 상기 지시침(17)을 회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연료 계기판(14)에 표시된 연료량은 실제의 연료량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면의 경사도를 이용하여 연료량을 계산하고 표시함으로써 차량의 상태에 관계없이 정확한 연료량을 계측하여 표시할 수 있는 연료량 계측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료량 계측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량 계측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연료량 계산을 위한 참고용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연료 탱크 51 : 뜨게
52 : 리니어 포텐셜미터 53 : 로터리 포텐셜미터
54 : 가이드 55 : ECU
56 : 연료량 표시기 57 : 경고등
58 : 부저
h : 높이(연료 탱크의) w : 폭(연료 탱크의)
l : 길이(연료 탱크의) a : 가이드까지의 거리
x : 뜨게의 수직 위치(연료 탱크의 상부로부터)
본 발명은 연료 탱크의 유면상에 위치되고 유면의 유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뜨게와, 상기 뜨게의 수직 위치를 감지하는 리니어 포텐셜미터와, 상기 뜨게의 경사 각도를 감지하는 로터리 포텐셜미터와, 상기 연료 탱크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뜨게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리니어 포텐셜미터와 로터리 포텐셜미터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연료량을 계산하는 ECU와, 운전석의 계기판에 설치되고 ECU에서 계산된 연료량을 표시하는 연료량 표시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연료량 계측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탱크(50)의 유면상에 위치되고 유면의 유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뜨게(51)와, 상기 뜨게(51)의 수직 위치를 감지하는 리니어 포텐셜미터(52)와, 상기 뜨게(51)의 경사 각도를 감지하는 로터리 포텐셜미터(53)와, 상기 연료 탱크(5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뜨게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54)와, 상기 리니어 포텐셜미터(52)와 로터리 포텐셜미터(53)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연료량을 계산하는 ECU(55)와, 운전석의 계기판에 설치되고 ECU(55)에서 계산된 연료량을 표시하는 연료량 표시기(5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54)는 연료 탱크(50)의 정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50)의 연료량이 일정 이하일 경우 ECU(55)의 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경고등(57)이나 ECU(55)의 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산하는 부저(58)가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연료량 계측 장치는 상기 ECU(55)가 뜨게(51)의 수직 위치와 경사도를 감지하여 연료량을 계산한 후 연료량 표시기(56)에 표시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료량 V는 유면의 높이와 연료 탱크(50)의 폭 및 연료 탱크(50)의 길이를 모두 곱하여 계산하게 된다. 즉, 상기 리니어 포텐셜미터(52)가 뜨게(51)의 수직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로터리 포텐셜미터(53)가 뜨게(51)의 경사 각도를 감지하면 ECU(55)가 연료량을 계산하게 된다.
이하의 수학식 1은 유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의 연료량 V를 구하는 공식이다.
상기에서 h는 연료 탱크의 높이, a는 일측 벽면으로부터 가이드까지의 거리, b는 다른 벽면으로부터 가이드까지의 거리, l은 연료 탱크의 길이, w는 연료 탱크의 폭, x는 연료 탱크의 상면으로부터 뜨게의 저면 중심까지의 거리, θ는 뜨게의 경사 각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가이드(54)가 연료 탱크(50)의 정중앙에 설치될 경우에는 양측 벽으로부터 가이드(54)까지의 거리가 동일하므로 상기한 수학식 1은 다음의 수학식 2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양측 벽으로부터 가이드까지의 거리 a, b가 서로 동일하므로 뜨게(51)의 경사 각도와는 관계없이 연료량은 단순히 뜨게(51)의 수직 위치에 따라서만 결정된다.
ECU(55)는 상기한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연료량을 계산한 후 연료가 일정량 이하일 경우 경보 회로를 작동시켜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즉, ECU(55)가 연료량이 일정 이하일 경우 경고등(57)을 점등시키거나 부저(58)를 울림으로써 운전자에게 연료 고갈을 알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량 계측 장치는 자동차의 위치나 흔들림에 관계없이 정확한 연료량을 표시하게 되므로 연료량에 대한 오해로 연료 보충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연료 탱크의 유면상에 위치되고 유면의 유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뜨게와, 상기 뜨게의 수직 위치를 감지하는 리니어 포텐셜미터(Linear Potential Meter)와, 상기 뜨게의 경사 각도를 감지하는 로터리 포텐셜미터(Rotary Potential Meter)와, 상기 연료 탱크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뜨게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리니어 포텐셜미터와 로터리 포텐셜미터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연료량을 계산하는 ECU와, 운전석의 계기판에 설치되고 ECU에서 계산된 연료량을 표시하는 연료량 표시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량 계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연료 탱크의 정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량 계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연료량이 일정 이하일 경우 ECU의 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경고등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량 계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연료량이 일정 이하일 경우 ECU의 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산하는 부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량 계측 장치.
KR1019970040046A 1997-08-22 1997-08-22 연료량 계측 장치 KR100233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046A KR100233738B1 (ko) 1997-08-22 1997-08-22 연료량 계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046A KR100233738B1 (ko) 1997-08-22 1997-08-22 연료량 계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207A true KR19990017207A (ko) 1999-03-15
KR100233738B1 KR100233738B1 (ko) 1999-12-01

Family

ID=1951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046A KR100233738B1 (ko) 1997-08-22 1997-08-22 연료량 계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7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066B1 (ko) * 2000-12-28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 레벨 센서
KR20040046729A (ko) * 2002-11-28 200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 레벨 센서
KR100482090B1 (ko) * 2002-06-29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KR100740916B1 (ko) * 2000-07-21 2007-07-20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카드용 전기 커넥터
KR20180130285A (ko) * 2017-05-29 2018-12-07 아시아검정 주식회사 선박용 탱크의 액체용량 측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665B1 (ko) * 2017-12-13 2019-04-03 윤기환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916B1 (ko) * 2000-07-21 2007-07-20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카드용 전기 커넥터
KR100411066B1 (ko) * 2000-12-28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 레벨 센서
KR100482090B1 (ko) * 2002-06-29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오일센서
KR20040046729A (ko) * 2002-11-28 200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 레벨 센서
KR20180130285A (ko) * 2017-05-29 2018-12-07 아시아검정 주식회사 선박용 탱크의 액체용량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3738B1 (ko)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518B1 (ko) 연료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연료량 모니터링 방법
KR100233738B1 (ko) 연료량 계측 장치
US20040261525A1 (en) Device for measuring the volume of fluid in a tank
JPH10193992A (ja) 燃料タンクにおける燃料残量の検出方法及び装置
JP2002062239A (ja) 粘度測定装置
JPS5812111Y2 (ja) 浮子式可変抵抗型液面計の液面検出装置
KR200162521Y1 (ko) 연료게이지의 정확성 향상구조
US6573829B2 (en) Oil proper amount informing apparatus for engine
KR100391415B1 (ko) 차량용 연료 측정장치
SU970119A1 (ru) Уровнемер дл топливного бака
KR200377158Y1 (ko) 홀소자를 이용한 차량의 연료 잔량 측정 장치
KR100227378B1 (ko) 경사로 주행시 연료게이지의 변화 보상장치
KR100187128B1 (ko) 자동차 연료의 평균 유량 게이지
KR100261895B1 (ko) 연료탱크의 액위 검출장치
KR19980063122A (ko) 자동차의 연료 검출장치
KR0139091Y1 (ko)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
KR100221964B1 (ko) 차량 연료계의 센더 구조물
KR0165090B1 (ko) 자동차의 연료샌더 측정용 지그
KR100239643B1 (ko) 연료계의 연결장치
TWI241399B (en) Device for measuring the volume of fluid in a tank
KR100646760B1 (ko) 경사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연료계의 구동 제어방법
JP2894706B2 (ja) 構造物のレベル測定装置
JP2000292244A (ja) 底面基準式液面レベルゲージの取付位置決定方法及びタンク
KR200266373Y1 (ko) 오일 탱크의 유량 측정 장치
KR0135400Y1 (ko) 자동차 연로레벨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