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091Y1 -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091Y1
KR0139091Y1 KR2019960008155U KR19960008155U KR0139091Y1 KR 0139091 Y1 KR0139091 Y1 KR 0139091Y1 KR 2019960008155 U KR2019960008155 U KR 2019960008155U KR 19960008155 U KR19960008155 U KR 19960008155U KR 0139091 Y1 KR0139091 Y1 KR 0139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oil level
oil
level
hollow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8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775U (ko
Inventor
허성재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08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091Y1/ko
Publication of KR9700587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7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0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11/12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lubricant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2250/00Meas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일수준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계기판에 인디케이터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것과 오일팬의 저면 사이에 서로 다른 두쌍의 접점이 구비된 중공관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플로우트가 구비되게 하여서, 오일수준의 변화에 따라 플로우트가 중공관을 따라 슬라이드 유동되면서 선택적으로 접점을 형성하고, 이를 상기 인디케이터에 나타낼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오일수준을 알기 위한 별도의 노력이 없이도 운전석에서 쉽게 오일수준을 알 수 있는 오일수준표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에는 오일팬에 설치된 농도감지센서와 통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고수단과 연결설치되게 하여서, 오일의 수준뿐만 아니라 농도를 보다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
제1도는 종래의 오일수준표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오일수준표시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디케이터 11 : 경고수단
20 : 중공관 21 : 접점
22 : 플로우터 23 : 농도감지기
30 : 오일수준봉 31 : 수준표시부
32 : 패킹
본 고안은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일팬의 저면으로부터 계기판 사이에 서로 다른 위치에서 통전가능하도록 두쌍의 접점이 구비된 중공관을 구비하고, 상기 계기판에는 인디케이터를 설치하여 오일수준이 변화로 선택된 접점에따라 오일수준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중공관의 저부에는 농도감지기를 설치하여 인디케이터와 접속함으로써, 오일부족여부를 운전석에서도 쉽게 알 수 있을뿐만 아니라 오일의 농도를 쉽게 알 수 있는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엔진오일의 수준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일수준봉(30)이 엔진의 측면에 설치되어, 그 끝단이 오일팬의 저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오일수준봉(30)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봉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그 끝단에는 오일량의 수준을 알 수 있도록 수준표시부(3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이것(30)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패킹(32)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오일수준봉(30)을 이용하여 오일수준을 알기 위해서는 후드를 개방하고 다시, 이것(30)을 엔진으로부터 꺼내어 그 수준표시부(31)에 묻은 오일을 보고 그 수준을 파악하게 되고, 오일의 농도는 상기 수준표시부에 묻은 오일을 이용하여 경험치로 파악하여 교환시기를 결정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불편함이 있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계기판에 인디케이터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것과 오일팬의 저면 사이에 서로 다른 두쌍의 접점이 구비된 중공관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플로우트를 구비하여서, 오일수준의 변화에 따라 플로우트가 중공관을 따라 슬라이드 유동되면서 선택적으로 접점을 형성하고, 이를 상기 인디케이터에 나타낼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오일수준을 알기 위한 별도의 노력이 없이도 운전석에서 쉽게 오일수준을 알 수 있는 오일수준표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는 오일팬에 설치된 농도감지센서와 통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고수단과 연결설치되게 하여서, 오일의 수준 뿐만 아니라 농도를 보다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계기판에 설치되는 인디케이터(10)와, 내면의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상하 병렬접속된 두쌍의 접점(21)이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플로우터(22)가 슬라이드 유동하도록 구비된 중공관(20)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인디케이터(10)는 플로우터(22)의 상하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된 접점(21)에 따라 통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디케이터(10)에는 오일팬의 저부에 설치되는 농도감지기(23)와 통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경고수단(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오일수준표시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계기판에 설치되어 오일수준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0)와, 끝단이 오일팬의 저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오일의 수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점(21)을 형성시켜서 오일수준변화에 따른 신호를 상기 인디케이터(10)로 보내주는 중공관(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인디케이터를 나타낸다.
상기인디케이터(10)은 후술하는 중공관(20)에 병렬로 연결된 각 접점(21)이 통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이터(10)의 일측에는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경보수단(11)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중공관(20)의 농도감지기(23)와 통전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인디케이터(10)는 상기 경고수단(11)과 같이 별도의 구성없이도 후술하는 플로우터(22)가 선택된 접접(21) 사이에서 스위치역할을 통하여 통전되게 하고, 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게 하거나 경고 등을 점등시킬 수 있게 하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20은 중공관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중공관(20)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면서 그 상부는 자체 탄력성으로 쉽게 굽혀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중공관(20)은 내면 저부에 두개가 한조를 이루면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두쌍의 접점(21)이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각 접점(21)은 한조를 이루는 두개가 각가 병렬로 접속되고, 이와 같이 접속된 상태에서 그 끝단은 각각 인디케이터(10)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특히, 상하로 설치되는 각 접점(21)의 높이는 오일팬에 제공된 오일의 최고/최저수준과 같은 위치에 맞게 설치하여 오일수준의 증감에 따라 이를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공관(20)의 내부에는 상술된 두쌍의 접점(21)이 서로 통전가능하도록 이것(20)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판체로 이루어진 플로우터(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플로우터(22)는 그 두께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접점(21a) 사이의 거리보다 얇게 하여서, 오일의 표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수준변화에 따라 이것(22)이 중공관(2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유동되면서 두쌍의 접점(21)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접점(21)이 서로 통전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관(20)의 저부 끝단은 상기 플로우터(22)가 이것(20)의 내부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배져 있으며, 구배진 끝단에는 농도감지기(23)가 부착고정되어 있다.
특히, 상기 농도감지기(23)는 상술한 인디케이터(10)의 경고수단(11)과 접속되게 하여서, 감지된 오일의 농도가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 이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중공관(20)은탄력을 갖는 상단부가 상기 인디케이터(10)의 저면과 연결되게 하는 동시에 그 끝단부는 오일팬의 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하여서, 오일수준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부에서 슬라이드 유동되는 플로우터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접속될 수 있도록 두쌍의 접점이 구비된 중공관과, 이것의 선단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각 접점과 연결접속된 인디케이터로 구성하고, 오일의 수준에 따라 플로우터가 한쌍의 접점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접점과 접속되게 함으로써, 운전석에서도 쉽게 오일수준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계기판에 설치되는 인디케이터(10)와, 내면의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상하 병렬접속된 두쌍의 접점(21)이 설치되고 그 사이사이에는 플로우터(22)가 슬라이드 유동가능하도록 구비된 중공관(20)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인디케이터(10)는 플로우터(22)의 상하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된 접점(21)에 따라 통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10)에는 오일팬의 저부에 설치되는 농도감지기(23)와 통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경고수단(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
KR2019960008155U 1996-04-16 1996-04-16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 KR0139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155U KR0139091Y1 (ko) 1996-04-16 1996-04-16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155U KR0139091Y1 (ko) 1996-04-16 1996-04-16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775U KR970058775U (ko) 1997-11-10
KR0139091Y1 true KR0139091Y1 (ko) 1999-03-20

Family

ID=1945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8155U KR0139091Y1 (ko) 1996-04-16 1996-04-16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0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775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9456A (en) Electronic dipstick for indicating the oil level of an engine
US4131773A (en) Apparatus for detecting presence of oil in a body of water
US4476714A (en) Engine oil level sensor
US6408692B1 (en) Liquid level sensor
KR0139091Y1 (ko)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
KR200170993Y1 (ko) 오일팬의 오일량 감지장치
GB1598653A (en) Devices for indicating the level of a liquid in a tank
KR100233738B1 (ko) 연료량 계측 장치
US20060215384A1 (en) [illumination structure of a meter]
US2096411A (en) Gauge
KR0134187Y1 (ko) 엔진 오일 유량지시장치
KR100461204B1 (ko) 자동차 엔진오일 부력차 레벨스위치형 레벨경보장치
US5832621A (en) Dipstick light assembly
JP3041986B2 (ja) 液面検知装置
KR101413247B1 (ko) 차압센서를 구비하는 연료레벨 측정장치
KR19980026780U (ko) 자동차용 연료 경고장치
KR100250345B1 (ko) 연료탱크의 연료잔량 검출장치
US1911555A (en) Liquid level
KR19980049204A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장치
KR19980025529A (ko)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
KR930013691A (ko) 자동차용 엔진오일 소모량 측정장치
KR100314171B1 (ko) 연료 경고위치 감지장치
KR970040224A (ko) 액량 감지 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의 와셔 세정액 탱크
KR890004514Y1 (ko) 엔진용 오일팬의 유량 감지장치
KR0160257B1 (ko) 오일탱크의 유량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