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529A -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529A
KR19980025529A KR1019960043669A KR19960043669A KR19980025529A KR 19980025529 A KR19980025529 A KR 19980025529A KR 1019960043669 A KR1019960043669 A KR 1019960043669A KR 19960043669 A KR19960043669 A KR 19960043669A KR 19980025529 A KR19980025529 A KR 19980025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esistance value
oil level
floater
lev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평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43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529A/ko
Publication of KR19980025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529A/ko

Links

Landscapes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엔진실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운전 중에서 오일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적으로 유량 상태를 계기 하여 오일 레벨 점검의 번거로움을 제거하는 오일 레벨 센서를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에 내주를 둘러싸는 자석을 갖는 환형의 플로우터와, 내측으로는 세로로 긴 가변 저항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플로우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가 형성되어 상기 환형 플로우터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하는 게이지 봉과, 상기 게이지 봉의 가변 저항 값을 입력받아 그 값에 따라 타이머를 작동시켜 오일 부족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변 저항으로부터의 저항값 변환에 따라 현재 오일의 양을 계기하는 계기판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오일의 부족함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 등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변 저항을 이용하여 주행중 엔진 오일의 유량 변화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전자적으로 계기 함으로써 오일점검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기관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그 작동이 기관의 수명을 다할 때까지 오래 유지하기 위하여 운동 마찰 부분에 기관 오일을 공급하며, 실린더와 피스톤, 혹은 실린더와 피스톤 링 등과 같은 기관의 각 접동 부분에서 발생한 쇳가루나 또는 연소에 의해 발생된 카본 등을 오일 여과기로 여과해서 오일을 항상 깨끗이 유지한다.
또한 오일이 부족하면 각 기관의 운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므로 엔진 효율이 저하되고 심한 경우 엔진이 소착될 수 있으므로 오일 레벨 게이지, 즉 유량계를 이용하여 오일의 양을 측정하도록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오일 레벨 게이지는 오일 팬 내부의 유량을 외부에서 측정하도록 눈금이 새겨진 강철 막대로서, 실린더 블록의 옆부분에서 크랭크 케이스에 꽂혀 있다.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는 설치 및 구성이 간단하고 정확히 유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오일이 더러워진 것도 알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유량 계측 방법은 운전자의 무관심으로 정기적인 확인 점검이 이루어지지지 않는 경우 엔진 소착의 가능이 있고, 오일 레벨 게이지를 확인할 때 매번 엔진 후드를 열고 육안으로 눈금을 읽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엔진 룸에 오일 레벨 게이지의 게이지 파이프를 위한 별도의 설치 공간을 할애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운전중 오일이 누설되는 경우 차의 실내에서 운전을 하고 있는 운전자가 오일의 누설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이를 경고할 만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운전중의 오일 누설에 의한 기관의 손실을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실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운전 중에 오일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적으로 유량 상태를 계측하고 오일이 부족한 경우 운전석의 경고등을 점등함으로써 오일 레벨 점검의 번거로움을 제거하는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내주를 둘러싸는 자석을 갖는 환형의 플로우터와, 내측으로는 세로로 긴 가변 저항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플로우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가 형성되어 상기 환형 플로우터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하는 게이지 봉과, 상기 게이지 봉의 가변 저항 값을 입력받아 그 값에 따라 타이머를 작동시켜 오일 부족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변 저항으로부터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현재 오일의 양을 계기하는 계기판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오일의 부족함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 등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플로우터의 높낮이에 따른 가변 저항 값의 관계 곡선.
도 3은 오일 레벨 센서의 시스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오일 팬110 : 플로우터
111 : 자석120 : 게이지 봉
121 : 가변 저항122 : 스톱퍼
200 : 제어부210 : 타이머
310 : 경고등320 : 계기판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레벨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오일 팬(100)의 내부에 설치될 환형의 플로우터(110)와, 내측으로는 세로로 긴 가변 저항(121)이 설치되어 상기 환형 플로우터(11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게이지 봉(120)이 나타나 있다.
상기 플로우터(110)는 항상 오일의 유면에 떠서 오일의 양에 플로우터(110)의 높낮이가 결정되도록 하며, 플로우터(110)의 내부에는 환형 플로우터(110)의 내주를 둘러싸는 자석(1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환형 플로우터(110)의 중심은 내부에 가변 저항(121)이 설치되어 있는 게이지 봉(120)이 관통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게이지 봉(120)의 하단에는 플로우터(110)가 하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지 봉(120)의 상단은 상기 게이지 봉(120) 내부의 가변 저항(121)과 전원 및 제어부, 그리고 운전석 측의 계기 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게이지 봉(120)의 가변 저항(121)은 게이지 봉(12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세로로 길게 구성되어, 전원을 공급받은 경우 임의의 높이에서 게이지 봉(120)을 둘러싸고 있는 플로우터(110) 내부의 자석(111)에 의해 저항 값이 가변 되도록 하고 그 가변 저항 값을 제어부 및 계기판 등으로 전달함으로써 현재의 오일 레벨을 감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현재 오일 팬(100) 내부의 오일 양에 따라 플로우터(110)의 높낮이 위치가 바뀌게 되고 플로우터(110) 내부의 자석(111)이 전류가 흐르고 있는 가변 저항(121) 주위에서 상하의 위치 변동을 함에 따라 가변 저항 값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오일의 양에 따른 가변 저항 값을 얻어낼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도 2는 내부에 자석(111)이 설치되어 있는 플로우터(110)의 높낮이 위치, 즉 오일 레벨 변화에 따른 가변 저항(121)의 저항 값 변화량을 나타내는 관계 곡선이다.
상기 가변 저항(121)의 관계 곡선은 가로축의 플로우터(110) 높이가 증가할수록 세로축의 저항 값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으며 따라서 오일의 양이 많아질수록 저항이 커지게 됨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가변 저항 특성을 갖는 오일 레벨 센서는 게이지 봉(120) 내부의 가변저항 값을 제어부로 전달한다. 도 3은 상술한 가변 저항(121) 및 오일의 양에 따른 본 발명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200)는 플로우터(110)의 위치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전달받아 오일양의 기준치 이하 여부 및 기준치 이하인 경우의 경고등(310) 점등 여부 등을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200)에는 엔진 오일의 최저 임계치에 해당하는 저항 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가변 저항 값이 발생하고 그 값이 제어부(200)로 전달되면, 제어부(200)는 미리 설정된 임계 저항 값과 현재 입력받은 저항 값을 비교 연산을 통하여 대조하고 현재 입력 저항 값이 임계 저항 값보다 큰 경우에는 그 값을 운전석의 계기판(320)에 계기하도록 한다.
운전석에 장착되어질 계기판(320)은 차종이나 운전자들의 보편적인 선호에 따라 이미 공지된 기술에 의하여 디지털 혹은 아날로그로 모두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 저항 값과 현재의 입력 저항 값을 비교한 결과, 현재의 입력 저항 값이 임계치와 같거나 더 작다면 운전석에 장착되어 있는 경고등(310)을 점등하여 되도록 빠른 시간 내에 엔진 오일을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운전자에게 인지시킨다.
특히 상기 경고등(310) 점등과 관련하여 제어부(200)는 30초, 혹은 1분 등과 같이 임의로 설정된 시간동안 타이머(210)를 작동시키게 되며, 이것은 주행중 차체의 요동이나 기타의 주행 조건 변화에 의하여 오일 팬 내부의 유면의 높낮이 변화가 극심한 경우, 유면의 흔들림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플로우터(110)에 의해 실제의 오일 레벨과는 무관한 잘못된 가변 저항 정보를 입력하게 되는 것으로 인한 경고등(310)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자석으로 이루어진 플로우터(110)와 가변 저항(121)이 설치되어 있는 게이지 봉(120)에 의한 가변 저항 값이 제어부(200)로 입력되고 제어부(200)는 입력 저항값을 비교 연산하거나 혹은 타이머(210)에 의한 임의의 시간 안에 가변 저항 값의 변화 등을 체크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측정된 현재의 오일 레벨 수준을 운전석에 장착되어 있는 계기판(320)에 계기 하거나 혹은 오일이 한계치 이하일 경우 오일 보충을 경고하는 경고 등(310)을 점등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오일 레벨 센서는 가변 저항 및 자석으로 구성되어 오일 팬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엔진실에 별도의 설치 공간을 요하지 않으며, 가변 저항에 의한 오일 레벨의 감지 결과에 따라 엔진 오일의 양이 임계 수준에 이르면 이를 운전석의 계기판에 점등하여 경고하므로 차량의 주행 중에도 운전자가 오일의 부족을 식별할 수 있고 따라서 정기적인 점검의 번거로움이 제거되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엔진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에 있어서,
    내부에 내주를 둘러싸는 자석을 갖는 환형의 플로우터와, 내측으로는 세로로 긴 가변 저항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플로우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가 형성되어 싱기 환형 플로우터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하는 게이지 봉과, 상기 게이지 봉의 가변 저항 값을 입력받아 그 값에 따라 타이머를 작동시킬 오일 부족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변 저항으로부터의 저항 값 변화에 따라 현재 오일의 양을 계기하는 계기판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오일의 부족함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
KR1019960043669A 1996-10-02 1996-10-02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 KR19980025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669A KR19980025529A (ko) 1996-10-02 1996-10-02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669A KR19980025529A (ko) 1996-10-02 1996-10-02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529A true KR19980025529A (ko) 1998-07-15

Family

ID=6632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669A KR19980025529A (ko) 1996-10-02 1996-10-02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55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138B1 (ko) * 2000-04-18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레벨 측정용 센서와 이 센서를 이용한 오일레벨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138B1 (ko) * 2000-04-18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레벨 측정용 센서와 이 센서를 이용한 오일레벨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7687A (en) Oil level sensor system
JPH09507919A (ja) すべての種類の液体容積および液体レベル状態の測定装置
US4762000A (en) Fluid level indicating apparatus
US6318332B1 (en) Method for monitoring adequate oil lubric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200401789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gnition and engine conditions
US4734682A (en) Low fluid level warning system
KR19980025529A (ko)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
US5019800A (en) System for measuring the oil level of an oil pan of the crankca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5875104A (zh) 油位测量设备
KR200152946Y1 (ko)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측정장치
KR0139091Y1 (ko)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
KR0170917B1 (ko) 차량내 소모품의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
JPS63162916A (ja) エンジンオイルのオイル状態検出装置
KR200145352Y1 (ko) 오일 레벨게이지
US20020014957A1 (en) Oil proper amount informing apparatus for engine
KR19990016959U (ko) 차량용 엔진오일의 오염 측정장치
KR100412807B1 (ko) 자동차용 엔진 오일 레벨 검출 장치
KR960005069Y1 (ko) 자동차의 엔진오일량 표시장치
KR20030043539A (ko) 자동차 엔진오일 레벨센서 겸용 드레인 플러그
KR100212779B1 (ko) 엔진오일 교환시기 경보장치
KR19980030303U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탱크 감지 장치
KR20040079298A (ko) 주행시 검출형 엔진오일 레벨 스위치
KR20060018356A (ko) 자동차의 엔진 에어필터 교체 경보장치
KR19990026672U (ko) 자동차용 엔진 오일 교환 지시 장치
KR950003839Y1 (ko) 엔진 기관등의 오일 점도 및 유량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