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946Y1 -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946Y1
KR200152946Y1 KR2019960054528U KR19960054528U KR200152946Y1 KR 200152946 Y1 KR200152946 Y1 KR 200152946Y1 KR 2019960054528 U KR2019960054528 U KR 2019960054528U KR 19960054528 U KR19960054528 U KR 19960054528U KR 200152946 Y1 KR200152946 Y1 KR 200152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viscosity
sens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435U (ko
Inventor
반승환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60054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946Y1/ko
Publication of KR199800414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4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11/12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lubricant lev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20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 F01M2011/148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by considering viscos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엔진의 엔진오일은 엔진의 작동과 수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오일의 양과 점성에 대하여 주기적인 점검과 양의 소비 상태를 점검하여야 하며, 유면표시기를 확인하여 보충하고 오일의 점성에 대해서는 오일의 색을 판단하여 엔진상태의 이상유무까지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상기한 오일의 체크는 운전자가 차량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점검을 하여야 하며 자동차 정비에 일반적인 정비지식이 없는 사람은 오일의 교환시기를 정확히 알지 못하여 낭패를 보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3도 내지 제4도에서와 같이 오일팬(30)내부에 오일의 양을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10)와 오일의 질을 감지하는 점도측정센서(12)가 부착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10)와 점도측정센서(12)의 감지된 신호가 전자제어장치(14)에 연결되며, 이 전자제어장치(14)의 제어에 의해서 오일램프(18)와 경보가(20)가 작동되도록 대시보드상에 설치한 자동차의 오일교원시기 측정장치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운전자에게 엔진오일이 정상적인 시기에 교환될 수 있도록 인지 시켜서 엔진의 각 부품들이 최적의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측정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상적인 엔진오일의 양과 질을 측정하여 운전자에게 교환시키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윤활장치는 엔진 내부의 크랭크축이나 캠축베어링 등 각종 습동부로 오일을 공급하여 마찰손실이나 부품의 마멸을 최소로 만들어 기계효율을 높여주는 일을 한다.
즉, 운전 중 엔진 출력의 일부는 마찰열로 소비되며 또 이 마찰열이 베어링의 소결이나 각 부품의 마찰저항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 습동면에 유막을 만들어 마찰력이 큰 고체마찰을 아주 작은 유체마찰로 바꾸는데 이를 윤활이라 하고 여기에 사용되는 오일을 윤활유라 하며, 각 부품의 유막을 유지시켜 주는 장치를 윤활장치라고 한다.
예시도면 제1도는 종래 엔진오일의 윤활장치를 표현한 예시도로서, 엔진(1)의 윤활작용은 각 부품의 접촉면의 유막을 형성시켜 마찰의 감소와 마멸을 방지하고, 실린더 윤활에서는 압축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작용을 하며, 윤활부에 발생하는 마찰열을 흡수하여 냉각시키는 작용과 윤활부의 불순물을 제거해주는 세척작용을 하며, 기타 응력 분산작용과 방청작용을 하는 등 중요한 작용을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중요한 작용을 하는 윤활작용의 오일은 일반적으로 주기적으로 엔진오일을 교환하여야 하며, 적당량의 오일이 엔진(1)의 오일팬(2)에 저장되어 있는 지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유면표시기(3)의 F와 L의 표지눈금을 확인하여 정상적인 오일이 적재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1)의 엔진오일은 엔진(1)의 작동과 수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오일의 양과 질에 대하여 주기적인 점검과 양의 소비 상태를 조사하여야 하며, 오일의 양은 엔진(1)을 기동하여 오일을 순환시키고 나서 상기한 유면표시기(3)로 점검하여 오일을 보충하거나 오일의 질에 대해서는 오일의 색을 판단하여 엔진상태의 이상유무까지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오일의 체크는 운전자가 차량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점검을 하여야 하며 자동차 정비에 일반적인 정비지식이 없는 사람은 오일의 교환시기를 정확히 알지 못하여 낭패를 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상적인 엔진오일의 양과 질을 측정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엔진의 오일팬 내부에 오일의 양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오일의 질을 감지하는 점도측정센서를 부착시키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점도측정센서의 감지된 신호가 전자제어장치에 연결시키며, 이 전자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서 오일램프와 경보기가 작동되도록 대시보드 상에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엔진오일 교환시기 측정장치는 오일팬 내에 위치감지센서와 점도측정센서를 설치하여 오일의 양과 점도를 측정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에 오일램프와 경보기를 작동시켜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로써, 운전자에게 엔진오일이 정상적인 시기에 교환될 수 있도록 인지시켜서 엔진의 각 부품들이 최적의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엔진오일의 윤활 장치를 표현한 예시도.
제2도는 종래 엔진오일을 점검하기 위한 유면표시기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측정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측정장치를 표현한 오일팬의 내부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위치감지센서 12 : 점도측정센서
14 : 전자제어장치(ECU) 16 : 릴레이
18 : 오일램프 20 : 경보기
22 : 가이드레일 24 : 부조
26 : 키스위치 30 : 오일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엔진의 오일팬(30) 내부에 오일의 양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0)와 오일의 질을 감지하는 점도측정센서(12)가 부착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10)와 점도측정센서(12)의 감지된 선호 신호가 전자제어장치(14)에 연결되며, 이 전자제어장치(14)의 제어에 의해서 오일램프(18)와 경보가(20)가 작동되도록 대시보드 상에 설치한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측정장치이다.
예시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측정장치의 구성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측정장치를 표현한 내부예시도로서, 상기 측정장치는 오일의 양과 질을 판단하여 그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장치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점도측정센서(12)는 오일팬(30)의 엔진오일 하단부에 설치하며, 상기 점도측정센서(12)는 엔진오일의 점도를 측정하여 이를 데이터화하여 그 신호를 전자제어장치(14)의 입력단으로 송출하게 된다.
또한, 위치감지센서(10)는 엔진오일의 유면에 설치하여 현 엔진오일의 높이, 즉 엔진오일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14)의 입력단으로 송출하게 된다.
여기서, 위치감지센서(10)는 엔진오일의 유량에 따라 높이가 변동되는 부조(24)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며, 상기 부조(24)는 오일팬(30)의 하단부에서 상단으로 돌설된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상하운동을 한다.
즉, 엔진오일의 양이 정상적인 상태로 충만해 있을 때의 부조(24)는 위치감지센서(10)의 상한점과 하한점 사이를 유지하게 되어 정상상태임이 인지되고, 오일의 양이 부족하여 부조(24)가 하향으로 내려갔을 경우에는 위치감지센서(10)의 발광기와 수광기의 센싱에 의해서 그 신호가 전자제어장치(14)에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제어장치(14)는 위치감지센서(10)와 점도측정센서(12)의 입력신호를 판별하여 오일팬(30)내의 오일이 부족하거나 점도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그 신호를 출력단으로 송출하여 릴레이(16)의 일차측 코일을 자화시키고, 상기 자화에 의해서 이차측의 스위치는 온 상태로 되면서 오일램프(18)와 경보기(20)에 전류를 통전시켜 준다.
또한, 상기 전자제어장치(14)는 오일팬(30)내의 오일이 정상적인 상태로 복원이 되면 상기 릴레이(16)의 스위치부를 오프시켜 오일램프(18)를 소등하고 경보기(20)의 부저음이 멈추게 된다.
상기한, 오일램프(18)와 경보기(20)는 운전자가 오일의 이상유무를 쉽게 판단하기 위하여 대시보드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오일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측정장치는 키스위치(26)의 선택위치가 온 상태가 아닌 오프상태나 에이시시 (Acc)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배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오일 교환시기 측정장치는 오일팬 내에 위치감지센서와 점도측정센서를 설치하여 오일의 양과 질을 측정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에 오일램프와 경보기를 작동시켜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로써, 운전자에게 엔진오일이 정상적인 시기에 교환될 수 있도록 인지시켜서 엔진의 각 부품들이 최적의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오일팬(30) 내부에 오일의 양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0)와 오일의 질을 감지하는 점도측정센서(12)가 장착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10)와 점도측정센서(12)는 전자제어장치(14)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센서(10)와 점도측정센서(12)에서 감지된 신호가 전자제어장치(14)에 전달되며, 이 전자제어장치(14)의 제어에 의해서 오일램프(18)와 경보기(20)가 작동되도록 대시보드 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측정장치.
KR2019960054528U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측정장치 KR200152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528U KR200152946Y1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528U KR200152946Y1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435U KR19980041435U (ko) 1998-09-15
KR200152946Y1 true KR200152946Y1 (ko) 1999-08-02

Family

ID=1948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528U KR200152946Y1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9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612B1 (ko) * 2004-11-30 200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오일 상태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435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199583A (zh) 发动机润滑油消耗和条件监测
JP2012533747A (ja) 流体レベル検知システム
US69145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gnition and engine conditions
KR200152946Y1 (ko)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측정장치
US4683851A (en) Engine oil level indicator
JPH02199212A (ja) 内燃機関のオイル不良検知装置
KR19980039260U (ko) 엔진오일 잔량 체크장치
KR101976083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자동차 소모부품 수명 예지 시스템
KR0157848B1 (ko) 레벨 감지장치
KR19990040808A (ko) 엔진오일적정량 유지장치
KR100418767B1 (ko) 차량의 오일부족 경고장치 그 제어방법
KR20100082398A (ko) 자동차 오일의 오염도 측정장치
KR960008160B1 (ko) 자동차의 윤활유 자동보충장치
JP2005214032A (ja) 異常検出装置
KR19990026732U (ko) 엔진 오일 부족시 경고 장치
KR19980027340A (ko) 자동차 엔진오일 감시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25529A (ko)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
KR20070109643A (ko) 엔진오일센서
JPS63162916A (ja) エンジンオイルのオイル状態検出装置
KR100418768B1 (ko) 차량의 오일 레벨 첵커
KR19980061127U (ko) 자동차의 엔진오일 교환 표시장치
KR19990026646U (ko) 엔진 오일량 저하시 경보 장치
KR100217666B1 (ko) 엔진오일 인디케이터
KR19980034022A (ko) 포토센서를 이용한 엔진오일교환시기 경고장치
KR19990003201U (ko) 엔진오일 교환시기 자동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