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917B1 - 차량내 소모품의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내 소모품의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917B1
KR0170917B1 KR1019930032026A KR930032026A KR0170917B1 KR 0170917 B1 KR0170917 B1 KR 0170917B1 KR 1019930032026 A KR1019930032026 A KR 1019930032026A KR 930032026 A KR930032026 A KR 930032026A KR 0170917 B1 KR0170917 B1 KR 017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sumable
consumables
exchange
re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471A (ko
Inventor
박대장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32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917B1/ko
Publication of KR95001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소모품의 교환 시기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콘트롤 유니트는 소모품의 기설정 교환 거리를 RPM센서로 부터의 RPM 신호로부터 계산된 차량의 실제 주행 거리와 비교하여 상기 기설정 교환 거리와 실제 주행 거리가 일치할 때 운전자에게 소모품을 교환할 시기임을 알리는 표시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한다. 또한, 소모품이 가혹 조건하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거리는 압력 센서로 부터의 압력 신호로부터 계산되며 가혹조건에 대응하는 기설정 교환거리와 비교됨으로써 가혹 조건하에서 사용된 소모품의 교환 시점을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내 소모품의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모품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압력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파형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소모품 교환 감지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3도(a)는 소모품 교환 감지부의 단면도, 제3도(b)는 소모품 교환 감지부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소모품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트롤 유니트 12 : RPM 센서
14 : 압력 센서 30 : 하우징
40 : 노브
본 발명은 차량의 소모품 교환 및 점검 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통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행시 차량의 원만한 작동을 위하여, 소모품, 예를 들면, 엔진오일, 변속기오일, 연료 필터등을 일정 기간에 맞추어 교환 및 점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차량 운전자가 상술한 소모품의 교환시기를 일일이 주지하고 있기가 곤란하며 그 교환시기를 지나쳐버리는 경우 차량에 무리가 뒤따를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소모품의 교환 시점을 자동적으로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모품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에 따르면, 콘트롤 유니트는 소모품의 기설정 교환 거리를 RPM센서로부터의 RPM신호로부터 계산된 차량의 실제 주행 거리와 비교하여 상기 기설정 교환 거리와 실제 주행 거리가 일치할 때 운전자에게 교환할 시기임을 알리는 표시를 디시플레이상에 표시한다. 또한, 소모품이 가혹 조건하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거리는 압력센서로부터의 압력 신호로부터 계산되며 상기 계산된 주행거리를 가혹 조건에 대응하는 기설정 교환 거리와 비교함으로써 가혹 조건하에서 사용된 소모품의 교환시점을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모품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통보 시스템은 통상의 엔진 회전 속도(RPM)센서(12), 압력 센서(14)와 P.V.C밸브(16) 및 소모품 교환 감지부(18)와 콘트롤 유니트(E.C.U: Electronics Control Unit)(10) 및 디스플레이(20)로 구성되어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소모품의 교환시기에 맞추어 운전자에게 통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각종 소모품의 교환은 차량의 주행 거리에 맞추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모품의 교환에 알맞은 기설정된 주행 거리에 이르렀을 때, 그 시기를 통보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엔진 회전속도(RPM)센서(12)는 차량의 운행중 엔진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여 콘트롤 유니트(10)로 RPM출력을 제공한다. 콘트롤 유니트(10)는 내부에 프로그램된 하기 식에 따라서 본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의 주행 거리(D)를 측정한다.
상기식(1)에서 r은 RPM값이고, ℓ은 타이어 원주를 나타낸다. 상기 식에 따르면, 주행 거리는 RPM 값과 타이어의 원주를 곱하여 적분한 것으로서 계산될 수 있다. 콘트롤 유니트(10)는 계산된 주행거리를 기설정 교환거리와 비교하여 주행거리가 기설정교환 거리에 도달했을 때 해당 소모품의 교환 적기임을 디스플레이(20)상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엔진 오일의 경우, 차량 출고후 교환 시기는 5000㎞때이며, 그 이후의 시기는 매 10,000㎞ 마다 교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변속기 오일의 경우는 차량 출고후 20,000㎞ 때 처음 교환하고 그 이후는 매 40,000㎞ 마다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연료 필터의 경우는 매 20,000㎞ 마다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엔진 오일의 교환에 있어서, 잦은 비포장도로 운행, 장기간의 공회전상태 유지, 빈번한 단거리 운행 및 장기 주차와 같은 가혹 조건하에서는 그 교환시기가 최초 2000㎞ 때 그리고 그 이후에는 매 5,000㎞ 마다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주행 거리의 판단에 따라 소모품을 교환하는 것 이외에도 가혹 조건을 판단하고 가혹 조건하에서 운행된 거리에 맞추어 엔진 오일을 교환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상술한 가혹 조건을 검출하기 위하여, 압력 센서(14)는 엔진 배기 제어시스템에 장착되는 블로바이(blow-by)가스 환원 장치(또는 P.C.V장치)(도시안됨)와 연관된 P.C.V밸브(16)의 오프시 실린더 블록내 압력을 측정한다. 이 압력센서(14)는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압력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고 블로바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센서내의 다이어프램의 변위를 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블로바이 가스의 압력의 측정값은 콘트롤 유니트(10)로 전달된다. 제2도에는 P.C.V밸브의 오프시 압력 센서(14)에 의해 감지되는 실린더 블록내의 압력이 맥동파로서 도시된다. 콘트롤 유니트(10)는 압력 센서(14)로부터의 측정된 값으로부터 엔진의 과부하 상태(제2도의 D1) 여부와 일반 상태(제2도의 D2)를 판단한다.
제2도에 도시된 시간(t)축과 맥동파에 의해 형성되는 면적을 시간(t)축을 따라 각기 적분하면, 가혹 상태에서의 주행 거리가 계산될 수 있으며 일반 상태에서의 주행 거리는 상기 식(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이렇게 계산되는 가혹 조건하에서의 주행 거리가 기설정교환 거리에 도달했을 때 엔진오일의 교환시기를 운전자에게 통보해줄 수 있다.
소모품인 엔진 오일, 변속기 오일, 연료 필터의 교환시 콘트롤 유니트(10)에서 계산되는 주행거리는 다음번의 교환 시기를 알려주기 위하여 제로로 리셋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모품을 교환한 경우 다음회의 교환을 위한 주행 거리를 리셋시키기 위하여 제3도에 도시된 교환 감지부(18)를 채택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 감지부(18)는 상단에 구멍을 가지며, 그 내측에 접점(42)을 갖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내에서 그의 축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32)과, 상기 스프링내에 삽입되어 상기 구멍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한 로드(34)와 상기 로드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내 접점과 동일 직선상에 접점(38)을 갖는 플랜지(36)와, 상기 플랜지(36)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0)의 구멍을 따라 상기 로드와 함께 상하 이동되는 노브(40)로 구성된다.
상기 교환 감지부(18)의 노브(40)상에 상술한 소모품의 교환과 각기 관련되는 엔진 오일 필터, 변속기 드레인 플러그 또는 연료 필터가 안장될 때 상기 하우징내 접점(42)과 상기 플랜지(36)의 접점(38)이 서로 이격되며, 상기 엔진 오일, 변속기 오일 및 연료 필터의 교환을 위해 엔진 오일 필터, 변속기 드레인 플러그 또는 연료필터가 이탈될 때 상기 두 접점(42) 및 (38)이 접촉한다. 따라서, 두 접점의 접촉시 발생되는 스위치 신호가 콘트롤 유니트(10)로 전달되어 소모품의 교환 여부를 알게되며, 주행 거리를 제로로 리셋시킨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소모품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의 작동을 제4도(a), (b) 및(c)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a)는 엔진 오일의 교환 시기를 통보하는 흐름도이고, 제4도(b) 및 (c)는 각기 변속기 오일 및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를 통보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4도(a)에 있어서, 엔진 오일은 차량의 초기 운행시와 그 이후의 운행시를 감안하여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상술한 식(1)로부터 차량의 주행 거리가 계산된다. 차량의 가혹 상태시의 기설정 교환거리(S1)를 2000㎞ 이라 하고 차량의 일반상태시의 기설정 교환거리(S2)를 5000㎞ 라고 하면, 가혹 상태시 차량의 주행거리는 상기 압력 센서(14)로부터의 압력 신호로부터 계산되어 상기 S1과 비교되며 일반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거리는 상기 식(1)에 의해 계산되어 상기 S2와 비교된다.
따라서, 비교결과, 서로 일치한다면 콘트롤 유니트(10)는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상에 엔진오일 교환시기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해주며, 엔진 오일이 교환된다면, 교환 감지부(18)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주행 거리를 제로로 리셋시키고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 오일을 처음 교환한 이후의 교환시에는, S1 및 S2의 값이 각기 5,000㎞ 와 10,000㎞ 로 세트될 것이며 상술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이 반복된다.
제4도(b)에 있어서 변속기 오일의 교환시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교환시기와 그 이후의 교환시기로 나누어지며 상기 식(1)로부터 계산된 차량 주행거리가 기설정 교환 거리(최초 20,000㎞ 또는 최초이후 40,000㎞)와 비교됨으로써 변속기 오일 교환 여부가 통보됨을 알 수 있다.
제4도(c)에 있어서,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매 20,000㎞ 마다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식(1)로부터 계산된 차량의 주행 거리와 연료 필터의 기설정 교환거리(20,000㎞)가 비교됨으로써 그 교환 여부가 통보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소모품의 교환 시기를 차량의 주행 거리와 기설정 교환 거리와의 비교에 의해 차량 운전자에게 통보해줌으로써 차량 운전자는 정확한 교환 시점을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Claims (2)

  1. 차량내 소모품의 교환 시기를 통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엔진의 출력을 그의 회전속도 신호(RPM)로 발생하는 RPM 센서와; 블로우바이가스 환원장치의 밸브가 오프될 때 엔진의 실린더 블록내 과부하 상태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RPM신호와 상기 측정된 압력으로부터 각기 제1 및 제2의 차량 운행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1 및 제2운행 거리를 상기 소모품의 제1 및 제2의 기설정 교환 거리와 각기 비교하고, 상기 제1 및 제2운행 거리가 상기 제1 및 제2교환 거리와 각기 일치할 때 상기 소모품의 교환 통보 신호를 발생하는 콘트롤 유니트와; 상기 콘트롤 유니트로부터 발생된 상기 소모품 교환 통보 신호에 따라 차량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표시를 발생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모품의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이 교환되었을 때를 감지하는 교환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환 감지부는 상단에 구멍을 가지며 그 내측에 접점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그의 축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내에 삽입되며 상기 구멍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한 로드와, 상기 로드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내 접점과 동일 직선상의 접점을 갖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소모품의 착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구멍을 따라 상기 로드와 함께 상하 이동되는 노브로 구성되는 소모품의 교환시기 통보시스템.
KR1019930032026A 1993-12-31 1993-12-31 차량내 소모품의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 KR017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2026A KR0170917B1 (ko) 1993-12-31 1993-12-31 차량내 소모품의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2026A KR0170917B1 (ko) 1993-12-31 1993-12-31 차량내 소모품의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71A KR950017471A (ko) 1995-07-20
KR0170917B1 true KR0170917B1 (ko) 1999-02-18

Family

ID=19374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2026A KR0170917B1 (ko) 1993-12-31 1993-12-31 차량내 소모품의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09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71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6714A (en) Engine oil level sensor
US4866982A (en) On-board tire pressure sensing system
JPH0665844B2 (ja) 車両用潤滑油交換警告装置
US7449995B1 (en) Oil change meter
JPH07279734A (ja) 車両の悪路走行検出装置及び車両用エンジンの失火検出装置
US6208245B1 (en) Engine oil change indicator system
KR0170917B1 (ko) 차량내 소모품의 교환시기 통보 시스템
JPH02199212A (ja) 内燃機関のオイル不良検知装置
RU192439U1 (ru) Датчик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енны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моторного масла
JPH06297966A (ja) 自動車の燃料タンクに配置された差圧センサの作動方法
JPH06347245A (ja) タンク圧力センサを用いた悪路区間の識別方法
KR930011101B1 (ko) 모니터 회로
JPS63162916A (ja) エンジンオイルのオイル状態検出装置
KR100264240B1 (ko) 자동차소모품교환 자동경보장치
KR19980077943A (ko) 자동차의 엔진오일 교환시기 표시장치
EP0198947A1 (en) Liquid level checking system for vehicles
KR100212779B1 (ko) 엔진오일 교환시기 경보장치
KR100986509B1 (ko) 자동차의 엔진 에어필터 교체 경보장치
JPS61272410A (ja) 車両用潤滑油交換時期警告装置
US20020014957A1 (en) Oil proper amount informing apparatus for engine
KR19980025529A (ko) 자동차의 오일 레벨 센서
KR960005069Y1 (ko) 자동차의 엔진오일량 표시장치
JPH0674872A (ja) 故障診断装置
KR19980025495U (ko) 차량의 연료량 감지장치
KR100748563B1 (ko)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