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665B1 -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665B1
KR101964665B1 KR1020170171227A KR20170171227A KR101964665B1 KR 101964665 B1 KR101964665 B1 KR 101964665B1 KR 1020170171227 A KR1020170171227 A KR 1020170171227A KR 20170171227 A KR20170171227 A KR 20170171227A KR 101964665 B1 KR101964665 B1 KR 10196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silicon
ball screws
pumping
sil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환
Original Assignee
윤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환 filed Critical 윤기환
Priority to KR1020170171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29C45/1808Feeding measured d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73Means for adjusting or displacing the injection unit into different positions, e.g. for co-operating with different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7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velocity or pressure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92Machine parts driven by an electric motor, e.g. electric servo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주제와 경화제 등의 실리콘 원료를 균등량을 흡입 펌핑하여 타장치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서보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실리콘 원료를 흡입하여 압송하는 과정에서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량이 차등질 경우 피드백 보정하여 균등하게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각각의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2원료공급통이 안착되는 제1,2승강대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 회전수가 가변되는 제1,2서보모터를 구비한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1,2서보모터의 회전 구동력으로 승,하강되는 제1,2볼스크류와, 상기 제1,2볼스크류의 하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2볼스크류의 승강동작에 의해 연동되는 펌핑기구를 갖는 펌핑기와, 상기 펌핑기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제1,2원료공급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펌핑기를 통해 공급된 실리콘 원료를 타장치에 공급하는 공급블록, 및 상기 공급블록 측을 통과하는 실리콘 원료의 압력을 계측하고 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압력센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Silicone uniform feed apparatus using servo-motor}
본 발명은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2서보모터를 이용하여 주제와 경화제를 정량 공급하고,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 공차를 실시간 피드백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주제와 경화제가 담겨진 제1,2원료 공급통의 높이를 각각 감지하고 제1,2원료 공급통의 높낮이 차에 대해 이상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경보 및 피드백 보정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리콘은 규소(硅素, silicon) 라 하며, 특성을 살펴보면 천연고무와 일반 유기고무는 100℃를 초과하면 단시간에 노화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지만 실리콘 고무는 일반적으로 사용온도가 150℃이며 간헐적으로 단시간 사용하는 경우는 300℃까지도 가능한 특성을 갖는다.
아울러, 일반 유기계 고무의 포화점이 -20℃ ~ -40℃인데 비해 실리콘 고무는 -60℃ ~ -70℃이어서 일반 유기계 고무가 파괴되는 저온에서도 거의 변함없이 탄성을 유지함으로써 모든 종류의 고무 중에서도 내한성이 가장 우수한 성질을 갖는다.
또한, 실리콘 고무는 다른 유기고무와는 달리 분자 구조 내 대기중의 산소, 오존, 자외선 등과 반응하여 균열을 발생케 하는 이중결합이 없기 때문에 내후성이 매우 양호하고, 불소고무를 제외한 일반 유기고무들이 사용할 수 없는 고온에서의 내유성이 뛰어나다.
실리콘 고무는 내약품성이 뛰어나 산, 알칼리 등의 극성 유기화합물에 의해서 거의 침해를 받지 않는다. 그러나 강산이나 강알칼리에는 침해를 받을 수도 있으므로 이들과 접촉하여 사용되는 경우 반드시 시험후 사용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실리콘 고무의 내방사성은 유기고무와 비교하여 특히 우수하다고 할 수 없지만 내열성 등을 가미한 경우 우수한 특성을 보이며 특히 메틸 페닐 실리콘 고무가 뛰어나다.
또한, 실리콘 고무는 불소고무를 제외한 일반 유기고무들이 사용할 수 없는 고온에서의 내유성이 뛰어나며, 본질적으로 인체 무해하며 혈액응고를 잘 유발하지 않는 등 생리적으로 불활성 물질이기 때문에 식품 및 의료용품 제조에 가장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에서 나열된 바와 같이 실리콘의 특성에 의해 가정용품에서부터 의료기기 및 산업기계 등에 전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광범위한 사용성으로 실리콘을 원료로 제품을 성형하는 기술 또한 다양한 방법이 제공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출성형방식에 의해 제품을 성형함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 실리콘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실리콘 공급장치를 주안점으로 설명한다.
종래의 실리콘 공급장치는 사출성형장치에 구성된 금형의 상방에 실리콘원액A와 B를 저장하는 각각의 저장통이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저장통에서 공급되는 실리콘원액 A와 B를 각각 토출시켜 이를 혼합한 후 하방의 금형으로 투입 및 성형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처럼 금형의 상방에 실리콘원액 A와 B 각각의 저장통이 설치될 경우 저장통에서 금형까지의 이송거리가 짧아 실리콘원액 A와 B의 토출 및 믹싱시간의 제한으로 실리콘 원액 A와 B의 혼합 불균형으로 실리콘제품의 성형이 불가능하여, 제품 불량률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정시간 경과 후 실리콘원액 A와 B의 보충을 위해 각각의 저장통을 사출장치에서 분리하여야되는 바, 사출장치의 일측에 구성된 실리콘 공급장치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출장치를 분리해야되는 분리작업이 복잡하고, 그에 따른 작업공정 시간이 추가 및 지연으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실리콘 공급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6201호 "실리콘 공급장치"(등록일자 : 2012.09.2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부에 구비된 저장탱크의 공기를 탈취하는 탈포장치,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실리콘을 도포건으로 압송하는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저장된 실리콘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1 및 제 2저장탱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저장탱크의 하단과 제 2저장탱크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관에는 실리콘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1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 2저장탱크 상단과 탈포장치를 연결하는 연결관에는 제 2저장탱크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탈취하도록 제 2체크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저장부의 하단과 공급부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공급부의 상단과 도포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에는 실리콘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제 3 및 제4체크밸브가 설치되고,상기 제 1 및 제 2저장탱크에는 탱크 내부의 최상부, 하부 및 최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저장된 실리콘의 잔량을 감지하는 제 1 내지 제 3감지부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변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와 도포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에는 실리콘의 압송 여부를 감지하는 플로우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변위센서에서 감지된 실리콘의 잔량 및 상기 플로우 센서에서 감지된 실리콘의 압송 여부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것이다.
기존 실리콘 공급장치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4831호 "실리콘 혼합공급장치"(등록일자 : 2008.10.1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원액 A와 B를 정확한 1 : 1 비율로 혼합시켜 타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실리콘 혼합공급장치에 있어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에 구성되고, 유압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이 구성된 유압부와 상기 유압부의 하방으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이 내부에 삽입되는 중공축, 상기 중공축의 하단에 구성되고, 내부에 토출공이 상기 중공축의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흡입판이 구성된 복수의 유압흡입수단;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에 구성되고, 실리콘원액이 저장된 저장통이 안착된 고정판의 하단으로 상기 고정판을 승강시키도록 공압에 의해 승강되는 절첩봉이 구성되고, 상기 절첩봉의 일측으로 정확한 공압의 제공을 제어하는 공압제어패널이 구성되어, 상기 고정판에 안착된 저장통을 상기 유압흡입수단의 흡입관에 밀착되도록 하는 복수의 승강수단;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유압흡입수단의 흡입관 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복수의 실리콘액의 토출 이송을 유도하는 복수의 토출관로가 구성된 토출수단; 및 상기 복수의 토출관로의 끝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토출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실리콘원액을 혼합시켜 타장치에 공급하도록 실리콘원액 A와 B가 혼합된 실리콘을 이송되는 이송관로가 구성된 믹싱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유압흡입수단이 유압에 의해 작동되므로 의료용이나 클린룸 등에 사용되는 실리콘 공급장치일 경우에는 오일의 누유로 인해 환경 오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리콘원액 A와B의 균등한 공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실리콘원액 A와 B의 1 : 1 균등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실리콘 제품의 성질이 달라지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실리콘 원료의 압송과정에서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량 차이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피드백할 수 없는 단점으로 인해 응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공압을 이용한 흡입수단은 압축성이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되어 승강 거리에 따른 정밀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6201호 "실리콘 공급장치"(등록일자 : 2012.09.2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4831호 "실리콘 혼합공급장치"(등록일자 : 2008.10.16)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의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주제와 경화제 등의 실리콘 원료를 균등량을 흡입 펌핑하여 타장치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서보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실리콘 원료를 흡입하여 압송하는 과정에서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량이 차등질 경우 피드백 보정하여 균등하게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각각의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2원료공급통이 안착되는 제1,2승강대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 회전수가 가변되는 제1,2서보모터를 구비한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 구동력이 볼너트를 구비한 운동전환가이드를 통해 상,하 승강 운동력으로 전환되어 승,하강되는 제1,2볼스크류와, 상기 제1,2볼스크류의 하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2볼스크류의 승강동작에 의해 연동되는 펌핑기구를 갖는 펌핑기와, 상기 펌핑기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제1,2원료공급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펌핑기를 통해 공급된 실리콘 원료를 타장치에 공급하는 공급블록, 및 상기 공급블록 측을 통과하는 실리콘 원료의 압력을 계측하고 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승강수단은 제1,2원료공급통의 높이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제2포텐셜 미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1,2서보모터의 구동기어와 제1,2볼스크류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2서보모터의 회전력을 제1,2볼스크류에 전달하는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의 유격 발생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제1포텐셜 미터 및 상기 제1,2서보모터에 장착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제1,2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코더를 구비한다.
상기 운동전환가이드는 하부에 볼트로 고정되고, 몸체가 운동전환가이드의 내부에 베어링으로 공회전되게 수용되어 벨트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2볼스크류에 상,하 승강력으로 전환시키는 볼너트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승강수단은 공압에 의해 승강동작되는 공압실린더인 것이다.
상기 가압판은 외주면 둘레에 기밀을 위한 씰링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공압이나 유압이 아닌 제1,2서보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펌핑기의 펌핑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오일 누설에 의한 오염 없이 실리콘 원료인 주제와 경화제를 균등한 양으로 정량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리콘 원료의 공급압력을 압력센서로 감지하여 이상 감지시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으며 자동으로 실시간 피드백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포텐셜 미터를 이용하여 원료 공급중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측으로 이상 정보를 출력하고, 제어부에서 신속하게 피드백 보정하여 실시간 피드백할 수 있으며, 이상 발생시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A"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본 발명 펌핑기의 동작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각각의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2원료공급통(10,20)이 안착되는 제1,2승강대(210,22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마련되고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 회전수가 가변되는 제1,2서보모터(310,320)를 구비한 회전수단(300)과, 상기 회전수단(300)의 회전 구동력이 볼너트(450)를 구비한 운동전환가이드(115)를 통해 상,하 승강 운동력으로 전환되어 승,하강되는 제1,2볼스크류(410,420)와, 상기 제1,2볼스크류(410,420)의 하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2볼스크류(410,420)의 승강동작에 의해 연동되는 펌핑기구(510)를 갖는 펌핑기(500)와, 상기 펌핑기(500)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수단(600)에 의해 승강되는 제1,2원료공급통(10,20)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압판(550)과, 상기 가압판(55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펌핑기(500)를 통해 공급된 실리콘 원료를 타장치에 공급하는 공급블록(530), 및 상기 공급블록(530) 측을 통과하는 실리콘 원료의 압력을 계측하고 이를 제어부(700)측으로 출력하는 압력센서(535)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는 제1,2승강대(210,220)가 마련된 하부와, 지지대(110)를 매개로 하부와 구분되며 제1,2서보모터(310,320)가 지지대(110) 상에 탑재된 상부로 구분된다.
상기 지지대(110)에는 제1,2서보모터(310,320)를 지지하는 지지판(112)과, 상기 지지판(112)을 지지대(110)의 상측에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봉(114)이 구비된다.
상기 제1,2서보모터(310,320)는 상기 지지판(112)의 하측에 볼트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벨트부재(330)의 궤도 회전력을 직선운동인 상,하 승강운동력으로 전환시켜 제1,2볼스크류(410,420)측에 전달하는 운동전환가이드(115)가 지지판(112) 상에 탑재된다.
상기 운동전환가이드(115)는 벨트부재(330)의 회전력으로 상기 제1,2볼스크류(410,42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에 고정되고 베어링에 의해 공회전되는 볼너트(450)가 구비된다.
상기 볼너트(450)는 플랜지가 운동전환가이드(115)의 하부에 볼트로 고정되고, 몸체가 운동전환가이드(115)의 내부에 베어링으로 공회전되게 수용되어 벨트부재(33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제1,2볼스크류(410,420)에 상,하 승강력으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수단(300)은 상기 제1,2서보모터(310,320)의 구동기어와 제1,2볼스크류(410,42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2서보모터(310,320)의 회전력을 제1,2볼스크류(410,420)에 전달하는 벨트부재(330)와, 상기 벨트부재(330)의 유격 발생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700)측으로 출력하는 제1포텐셜 미터(350), 및 상기 제1,2서보모터(310,320)에 장착되어 제어부(700)의 신호에 따라 제1,2서보모터(310,3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코더(36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1,2볼스크류(410,420)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벨트부재(330)를 통해 제1,2서보모터(310,320)의 회전 구동력을 제1,2볼스크류(410,420)에 전달하는 벨트풀리(3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2볼스크류(410,420)는 상기 제1,2서보모터(310,320)의 정,역방향 구동에 따라 상,하 승강동작되면서 펌핑기구(510)를 같이 승강동작시켜 제1,2원료공급통(10,20) 내의 주제와 경화제를 타장치로 송출하는 펌핑 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1포텐셜 미터(350)는 벨트부재(330)의 회전시 벨트풀리(340)와의 유격 발생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700)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엔코더(360)는 제1,2서보모터(310,320)에 각각 장착되어 제어부(700)의 신호에 따라 제1,2서보모터(310,3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상기 제1,2서보모터(310,320) 및 승강수단(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판넬이 구비된다.
상기 압력센서(535)는 상기 공급블록(530) 측에 마련되어 펌핑기(500)를 통해 펌핑된 실리콘 원료의 압력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700)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어부(700)는 실리콘 원료의 공급 압력 이상을 감지하여 장치의 이상을 경보장치를 통해 외부에 알릴 수 있으며 제어부(700)에서 제1,2서보모터(310,32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PLC 제어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핑기(500)의 내부에는 펌핑기구(510)의 승강동작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된다.
상기 제1,2승강대(210,220)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된 승강수단(600)에 의해 승강동작되며, 상부에 제1,2원료공급통(10,20)이 안착되도록 안착판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600)인 공압실린더는 제1,2원료공급통(10,20)의 안착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신축 가능한 복수단으로 구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승강대(210)에 안착되는 제1원료공급통(10)의 내부에 실리콘 원료인 주제가 담겨질 경우, 제2승강대(220)에 안착되는 제2원료공급통(20)의 내부에는 실리콘 원료인 경화제가 담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600)은 제1,2원료공급통(10,20)의 높낮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700)측으로 출력하는 제2포텐셜 미터(6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포텐셜 미터(620)는 상기 제1,2원료공급통(10,20)의 높낮이 차가 발생할 경우, 승강수단(6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어부(700)측으로 제1,2원료공급통(10,20)의 높낮이 정보를 제어부(700)측으로 출력하여 실시간 피드백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가압판(550)은 제1,2원료공급통(10,2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원반 형태로 구성되고, 외주 둘레에 실리콘 원료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씰링재(552)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제1,2승강대(210,220)에 제1,2원료공급통(10,20)을 안착시키고, 승강수단(600)을 이용하여 제1,2승강대(210,220)를 상승시켜 제1,2원료공급통(10,20)의 내부로 가압판(550)이 수용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1,2원료공급통(10,20) 내의 실리콘 원료가 압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압판(550)과 제1,2승강대(210,220)에 의해 실리콘 원료가 제1,2원료공급통(10,20) 내에서 압축된 상태에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서보모터(310,320)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됨에 따라 볼너트(450)을 구비한 운동전환가이드(115)에 의해 운동이 직선 상,하운동으로 전환된 제1,2볼스크류(410,420)가 동일 속도로 상,하 승강동작되면서 펌핑기(500)의 펌핑기구(510)를 승강시켜 펌핑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제1,2볼스크류(410,420)는 하강동작시 도 4b에서와 같이 펌핑기(500)의 펌핑기구(510)를 하강동작시키게 되고, 상승동작시 도 4a에서와 같이 상측으로 복귀되면서 펌핑기(500)의 펌핑기구(510)를 상승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판(550)은 고정된 정위치에서 상기 승강수단(600)에 의해 제1,2원료공급통(10,20)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제1,2원료공급통(10,20) 내에 수용되면서 제1,2원료공급통(10,20) 내의 실리콘 원료에 가압력을 유지시킴과 아울러, 제1,2원료공급통(10,20)의 내주면에 씰링재(552)가 접촉됨에 따라 승강수단(600)에 의해 승강되는 제1,2원료공급통(10,20) 내의 실리콘 원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벨트부재(330)와 벨트풀리(340)의 회전시 마모로 인한 유격 발생시 상기 제1포텐셜 미터(350)에서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700)측으로 출력하여 제어부(700)에서 엔코더(360)측으로 제어신호를 제1,2서보모터(310,3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므로, 실시간 피드백 응답이 가능하게 되어 응답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2승강대(210,220)의 승강동작시 제1,2원료공급통(10,20)의 높낮이를 제2포텐셜 미터(620)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700)측으로 출력하여 상기 제어부(700)가 제1,2원료공급통(10,20)의 높낮이 차가 발생할 경우, 승강수단(6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시간 피드백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압이나 유압이 아닌 제1,2서보모터(310,320)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펌핑기(500)의 펌핑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오일 누설에 의한 오염 없이 실리콘 원료인 주제와 경화제를 균등한 양으로 정량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리콘 원료의 공급압력을 압력센서(535)로 감지하여 이상 감지시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으며 자동으로 실시간 피드백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포텐셜 미터를 이용하여 원료 공급중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700)측으로 이상 정보를 출력하고, 제어부(700)에서 신속하게 피드백 보정하여 실시간 피드백할 수 있으며, 이상 발생시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20 : 제1,2원료공급통 100 : 본체
110 : 지지대 112 : 지지판
114 : 지지봉 115 : 운동전환가이드
210,220 : 제1,2승강대 300 : 회전수단
310,320 : 제1,2서보모터 330 : 벨트부재
340 : 벨트풀리 350 : 제1포텐셜 미터
360 : 엔코더 410 : 제1볼스크류
420 : 제2볼스크류 450 : 볼너트
500 : 펌핑기 510 : 펌핑기구
530 : 공급블록 535 : 압력센서
550 : 가압판 552 : 씰링재
600 : 승강수단 620 : 제2포텐셜 미터
700 : 제어부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각각의 승강수단(60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2원료공급통(10,20)이 안착되는 제1,2승강대(210,22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마련되고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 회전수가 가변되는 제1,2서보모터(310,320)를 구비한 회전수단(300)과,
    상기 회전수단(300)의 회전 구동력이 볼너트(450)을 구비한 운동전환가이드(115)를 통해 상,하 승강 운동력으로 전환되어 승,하강되는 제1,2볼스크류(410,420)와,
    상기 제1,2볼스크류(410,420)의 하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2볼스크류(410,420)의 승강동작에 의해 연동되는 펌핑기구(510)를 갖는 펌핑기(500)와,
    상기 펌핑기(500)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수단(600)에 의해 승강되는 제1,2원료공급통(10,20)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압판(550)과,
    상기 가압판(55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펌핑기(500)를 통해 공급된 실리콘 원료를 타장치에 공급하는 공급블록(530), 및
    상기 공급블록(530) 측을 통과하는 실리콘 원료의 압력을 계측하고 이를 제어부(700)측으로 출력하는 압력센서(535)를 구비하되,
    상기 승강수단(600)은 제1,2원료공급통(10,20)의 높이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700)측으로 출력하는 제2포텐셜 미터(62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수단(300)은 상기 제1,2서보모터(310,320)의 구동기어와 제1,2볼스크류(410,42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2서보모터(310,320)의 회전력을 제1,2볼스크류(410,420)에 전달하는 벨트부재(330)와,
    상기 벨트부재(330)의 유격 발생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700)측으로 출력하는 제1포텐셜 미터(350), 및
    상기 제1,2서보모터(310,320)에 장착되어 제어부(700)의 신호에 따라 제1,2서보모터(310,3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코더(3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환가이드(115)는 하부에 볼트로 고정되고, 몸체가 운동전환가이드(115)의 내부에 베어링으로 공회전되게 수용되어 벨트부재(33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2볼스크류(410,420)에 상,하 승강력으로 전환시키는 볼너트(4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600)은 공압에 의해 승강동작되는 공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550)은 외주면 둘레에 기밀을 위한 씰링재(55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
KR1020170171227A 2017-12-13 2017-12-13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 KR10196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227A KR101964665B1 (ko) 2017-12-13 2017-12-13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227A KR101964665B1 (ko) 2017-12-13 2017-12-13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665B1 true KR101964665B1 (ko) 2019-04-03

Family

ID=6616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227A KR101964665B1 (ko) 2017-12-13 2017-12-13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6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738B1 (ko) * 1997-08-22 1999-12-01 정몽규 연료량 계측 장치
KR100864831B1 (ko) 2007-01-11 2008-10-23 흥화기계공업주식회사 실리콘 혼합공급장치
KR101186201B1 (ko) 2010-02-16 2012-10-08 이연 실리콘 공급장치
JP5811490B2 (ja) * 2013-03-06 2015-11-11 株式会社ASCe 無針型液体注入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738B1 (ko) * 1997-08-22 1999-12-01 정몽규 연료량 계측 장치
KR100864831B1 (ko) 2007-01-11 2008-10-23 흥화기계공업주식회사 실리콘 혼합공급장치
KR101186201B1 (ko) 2010-02-16 2012-10-08 이연 실리콘 공급장치
JP5811490B2 (ja) * 2013-03-06 2015-11-11 株式会社ASCe 無針型液体注入装置及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75185A1 (en) Mixing device
JP2012180837A (ja) ポンプのための誤差容積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777409B1 (ko) 배관류 및 피팅류 자동 교정장치
CN108482768B (zh) 罐装食品的食品罐气密性自动检测系统
US7335003B2 (en) Precision dispense pump
CN110431104A (zh) 用于粘性物料的清空装置以及相关方法
KR100225842B1 (ko) 정량토출장치 및 정량토출방법
KR101964665B1 (ko) 서보모터를 이용한 실리콘 정량 공급장치
JP2016061169A (ja) ダイアフラムポンプシステム
KR102481703B1 (ko) 점성 재료 이송 장치 및 방법
US5304041A (en) Method and device for dosing pumping
JP2011084324A (ja) ロータリ式充填設備の非常停止制御方法およびロータリ式充填設備
CN207964221U (zh) 一种罐装食品的食品罐气密性自动检测系统
JP5629277B2 (ja) 液体調合装置
WO2005017356A1 (en) Dispensing pump having servo driven linear actuator
JP4927444B2 (ja) 液体調合装置
CN101266501B (zh) 一种全自动静态混合器
US65434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liquid containers
WO2022153816A1 (ja) 充填装置
CN105613647A (zh) 一种一键式操作控制自动压面机
KR20070008139A (ko) 에어실린더 유니트의 오동작 감지장치
CN210464838U (zh) 一种单片机控制的产品气密检测装置
CN110160703A (zh) 一种基于造压系统的砝码加载机构
CN207524061U (zh) 一种灌装封尾机
KR100975978B1 (ko) 턴디쉬 노즐용 통기량 자동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