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455B1 - 오일 레벨 센서 - Google Patents

오일 레벨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455B1
KR100535455B1 KR10-2003-0019345A KR20030019345A KR100535455B1 KR 100535455 B1 KR100535455 B1 KR 100535455B1 KR 20030019345 A KR20030019345 A KR 20030019345A KR 100535455 B1 KR100535455 B1 KR 100535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oil level
power
termina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348A (ko
Inventor
강성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9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4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4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11/12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lubricant lev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20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 F01M2011/1453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by considering oil qua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길 등에서 엔진이 기울어짐에 따라 오일의 레벨이 부정확하게 측정된 이후에 운전 계기판에 잘못된 정보가 계속해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 레벨 센서에 관한 것으로,
엔진 내에 저장되는 오일의 유면에 따라 상하이동되는 부구로써 운전석 계기판의 오일 경고등이 온/오프될 수 있도록 본체의 외측면에 배터리의 전원 및 이그니션 스위치의 작동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커넥터가 형성되는 오일 레벨 센서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전원과 -전원이 각각 흐르도록 PCB기판이 위치되는 절연판과;
상기 절연판의 끝부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길게 돌출부착되는 원통형상의 망사체와;
상기 망사체의 내부 양측에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끝단은 상기 PCB기판을 통해 흐르는 +전원과 -전원에 연결되는 +단자 및 -단자와;
측면형상이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상기 망사체 내에 수용되며, 그 중간의 최장 지름부에 스위치가 띠형상으로 감기는 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일 레벨 센서{Oil level sensor}
본 발명은 오일 레벨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길 등에서 엔진이 기울어짐에 따라 오일의 레벨이 부정확하게 측정된 이후에 운전 계기판에 잘못된 정보가 계속해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 레벨 센서에 관한 것이다.
오일 레벨 센서는 엔진을 윤활 및 냉각하기 위한 오일이 오일 팬 내에 어느정도 저장되어 있는지를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한 위한 장치이다. 이 오일 레벨 센서에서 측정된 값은 전기신호로 변경되어 운전석에 마련되는 클러스터의 오일 경고등을 점등시키므로서 운전자로 하여금 엔진 오일의 상태를 점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오일 레벨 센서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1)의 일측에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가 입출력되고,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선이 배선되기 위한 컨넥터(12)가 연결되고, 본체(11)의 다른 일측에 마련되는 브라켓(13)에는 +전원이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전원판(14)이 부착된다. 상기 +전원판(14)의 상부측에는 절연판(15)과 -전원이 흐르기 위한 PCB기판(16)이 부착되는데, 상기 -전원이 흐르는 PCB기판(16)에는 그라운드에 접속될 수 있도록 와이어(17)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한 절연판(15)의 하측면에는 상기 +전원판(14)이 일정구간 겹치도록 형성되는데, 이 +전원판(14)의 하측으로는 리드 케이스(20)가 하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리드 케이스(20)는 속이 빈 통형으로 그 내부에는 상기 리드 케이스(20)를 따라 +전원판(14)을 흐르는 +전원이 입력되는 +단자(21)와, 그라운드 역할을 하는 PCB기판(16) 측과 연결되는 -단자(22)가 수용된다. 이 +단자(21)와 -단자(22)의 각 끝단은 리드 케이스(20)의 내부 상측에서 서로 접속된다. 특히, 상기한 +단자(21)의 하측단을 기준으로 그 상단이 소정 각도간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리드 케이스(20)의 외주연에는 오일의 유면 상승에 따라서 부상되는 부구(23)가 마련되는데, 리드 케이스(20)와 부구(23) 사이의 결합공 내주에는 원형의 자석(24)이 매설된다. 이 자석(24)은 상기한 리드 케이스(20) 내의 +단자(21)와 -단자(22)를 단락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한 부구(23)가 양 단자(21,22)의 접합부에 위치되었을 때에, 상기 자석(24)의 자력에 의해서 +단자(21)가 -단자(22)로부터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오일 유면의 낮아 상기 부구(23)가 하향이동된 경우에는 자석(24)의 자력이 미치는 힘이 상기 +단자(21)의 위치를 이동시킬만큼 충분하지 못하게 되므로서 상기 +단자(21)와 -단자(22)의 끝이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상기 부구(23)가 정해진 궤도 내에서 상하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절연판(15)의 하측에는 상기 리드 케이스(20)와 나란한 가이드(18)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리드 케이스(20) 내에 수용된 +단자(21) 및 -단자(22)의 끝단이 접속된 상태가 되면, 상기한 +전원판(14)에서 입력되는 전류가 -단자(22)를 통해 PCB기판(16)로 흐르게 되므로서 전자제어장치에서는 오일의 상태에 이상이 있음을 클러스터의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방법으로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그런데 경사길 등에서 차량이 오랜 시간 정지된 상태에서 엔진의 시동이 꺼지게 되면, 상기한 가이드에 부구의 가이드 홈이 걸리게 되므로서 오일 팬 내에 충분한 오일이 있는 경우라도 오일이 부족한 것으로 인식되어 클러스터의 경고등을 점등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이 경고등이 점등된 상태는 엔진의 시동을 끄지 않는 이상 계속해서 점등이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경사길 등에서 엔진이 기울어짐에 따라 오일의 레벨이 부정확하게 측정된 이후에 운전 계기판에 잘못된 정보가 계속해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 레벨 센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 내에 저장되는 오일의 유면에 따라 상하이동되는 부구로써 운전석 계기판의 오일 경고등이 온/오프될 수 있도록 본체의 외측면에 배터리의 전원 및 이그니션 스위치의 작동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커넥터가 형성되는 오일 레벨 센서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전원과 -전원이 각각 흐르도록 PCB기판이 위치되는 절연판과;
상기 절연판의 끝부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길게 돌출부착되는 원통형상의 망사체와;
상기 망사체의 내부 양측에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끝단은 상기 PCB기판을 통해 흐르는 +전원과 -전원에 연결되는 +단자 및 -단자와;
측면형상이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상기 망사체 내에 수용되며, 그 중간의 최장 지름부에 스위치가 띠형상으로 감기는 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에 적용되는 부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의 요부를 단면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의 저면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오일 레벨 센서를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40은 본 발명에 의한 망사체를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오일 레벨 센서(30)의 본체(31) 내측면에는 엔진의 일측에 부착되기 위한 장착부(32)가 형성되고, 본체(31)의 외측면에는 배터리의 전원 및 이그니션 스위치의 작동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커넥터(33)가 종래의 오일 레벨 센서와 같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31)의 내측으로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판(34)이 길게 돌출형성되는데, 이 절연판(34)의 도중에는 길이방향으로 +전원과 -전원이 흐르도록 하기 위한 PCB기판(35,36)이 각각 배치된다.
한편, 절연판(34)의 끝부의 하면에는 하측방향으로 길게 부착되는 원통형상의 망사체(40)가 형성되는데, 상기 각각의 PCB기판(35,36)의 끝단이 이 망사체(40)의 중간부까지 연결되므로서 +전원 및 -전원이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PCB기판(35,36)과 연결되어 +전원 및 -전원이 상기 망사체(40)의 중간부에는 상기 PCB기판(35,36)의 각 끝단과 연결되는 +단자(35)와 -단자(36)가 상기 망사체(4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단자(35)와 -단자(36) 중 어느 한 단자의 끝단은 망사체(40)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 돌출형성되어 부구(50)가 상기 단자들의 끝단부에 위치되었을 경우 부구(50)의 원주에 마련되는 스위치(52)가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37)와 -단자(38)가 위치되는 망사체(40)의 원통부 양측은 절연체의 가이드(43)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망사체(40)의 내부에는 측면형상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비중이 가벼운 부구(50)가 수용된다. 부구(50)의 외형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한 망사체(40) 내로 유입되는 오일 유면의 움직임과 연동되는 부구(50)가 차체의 기울어짐에 능동적으로 대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부구(50)는 차량이 경사길을 주행한다거나 경사길에 정차 혹은 주차되어 있을 경우에도 상기 망사체(40) 내부의 유면에 그 중심부가 위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므로서 보다 정확한 오일량이 측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마름모꼴로 형성되는 부구(50)의 중간부 외주연에는 상기 +단자(37)와 -단자(38) 간을 온/오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52)가 띠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전도체 물질이 상기 부구(50)의 중간부 외주연을 감싼 상태가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원통형상의 망사체(40)는 그 외주연을 감싸는 외주 망사(41)와, 원통의 하측면을 감싸는 하부 망사(42)로 형성되는데, 상기 외주 망사(41)의 망간격보다 하부 망사(42)의 망간격이 더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이 운전되기 전에 차량이 경사길에 주차되었거나 정차되었던 경우에는 차체 및 엔진이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므로서 엔진 내의 오일은 일측으로 쏠리게 있게 된다. 이 때 오일 팬 내에 오일이 충분하지 않게 되면 계기판에는 오일이 부족한 것을 알리는 경고등이 점등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30)는 차량이 경사지게 위치되어 오일 팬 내의 오일이 일측으로 쏠리게 된 상태라 하더라도, 오일 팬 내에 소정 수준 이상의 오일이 저장된 상태라면 부구(50)가 측방향으로 경사각만큼 누운 상태가 되므로서 잘못된 오일량 측정을 범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되는 작동상태도와 같이 차량이 평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부구(50)가 유면과 수직상으로 서게 되므로서 +단자(37)와 -단자(38)가 접속되지 않게 된다((가)참조). 그리고 오일이 소정수준 이상인 상태에서 차량이 일측으로 기울게 되는 경우에는 부구(50)의 형상이 마름모꼴로 형성되므로서, 그 외주연에 형성된 스위치(52)가 상기 +단자(37)와 -단자(38)을 연결하지 않게 되므로서 운전석에 마련되는 오일 경고등이 점등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나)참조).
한편, 오일 팬 내에 오일이 부족한 상태가 되면 상기한 망사체(40) 내로 유입되었던 오일이 빠지게 되므로서 상기한 부구(50)가 하향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오일 팬 내의 오일의 량이 적정수준 이하가 되면 상기 부구(50)의 외주에 마련된 스위치(52)가 +단자(37)와 -단자(38)를 연결하게 되므로서 계기판의 오일경고등을 점등된다((다)참조).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오일 팬 내의 오일량을 측정하여 운전자에게 이상여부를 알리기 위한 오일 레벨 센서의 부구가 마름모꼴로 형성되므로서 차량이 기울어진 상태인 경우에도 보다 정확한 오일량 측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오일 레벨 센서의 제작공정이 크게 단축되므로서 제작원가가 절감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부정확하게 측정된 오일량을 이유로 운전자에게 부정확한 정보를 표시하지 않게 되므로서 차량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에 적용되는 부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의 요부를 단면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의 저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레벨 센서의 작동상태도.
도 7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오일 레벨 센서 31 : 본체
32 : 장착부 33 : 커넥터
34 : 절연판 35,36 : PCB기판
37 : +단자 38 : -단자
40 : 망사체 41 : 외주 망사
42 : 하부 망사 43 : 가이드
50 : 부구 52 : 스위치

Claims (3)

  1. 엔진 내에 저장되는 오일의 유면에 따라 상하이동되는 부구로써 운전석 계기판의 오일 경고등이 온/오프될 수 있도록 본체의 외측면에 배터리의 전원 및 이그니션 스위치의 작동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커넥터가 형성되는 오일 레벨 센서에 있어서,
    상기 본체(31)의 내측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전원과 -전원이 각각 흐르도록 PCB기판(35,36)이 위치되는 절연판(34)과;
    상기 절연판(34)의 끝부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길게 돌출부착되는 원통형상의 망사체(40)와;
    상기 망사체(40)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끝단은 상기 PCB기판(35,36)을 통해 흐르는 +전원과 -전원에 연결되는 +단자(37) 및 -단자(38)와;
    측면형상이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상기 망사체(40) 내에 수용되며, 그 중간의 최장 지름부에 스위치(52)가 띠형상으로 감기는 부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레벨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망사체(40)는 원통형상의 외주연을 감싸는 외주 망사(41)와 원통형상의 하측면을 감싸는 하부 망사(42)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하부 망사(42)의 망간격은 외주 망사(41)의 망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레벨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자(37)와 -단자(38)가 위치되는 망사체(40)의 원통부 양측은 절연체의 가이드(4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레벨 센서.
KR10-2003-0019345A 2003-03-28 2003-03-28 오일 레벨 센서 KR100535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345A KR100535455B1 (ko) 2003-03-28 2003-03-28 오일 레벨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345A KR100535455B1 (ko) 2003-03-28 2003-03-28 오일 레벨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348A KR20040084348A (ko) 2004-10-06
KR100535455B1 true KR100535455B1 (ko) 2005-12-07

Family

ID=3736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345A KR100535455B1 (ko) 2003-03-28 2003-03-28 오일 레벨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4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348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9456A (en) Electronic dipstick for indicating the oil level of an engine
JPH0288313A (ja) タイヤバルブ
KR100535455B1 (ko) 오일 레벨 센서
CN101947940B (zh) 转向模块
KR101873622B1 (ko) 가요성 조명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의해 조명되는 컴포넌트
US8057067B2 (en) Vehicle lamp with polymer conductors and mounting structures
US3002186A (en) Oil gauge
US4292840A (en) Fuel consumption efficiency gauge
KR101190810B1 (ko) 무접점 방식의 차량용 스위치 장치
JPH0316305Y2 (ko)
US8480253B1 (en) Vehicle exterior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KR200142049Y1 (ko)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
KR200308155Y1 (ko)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
JPH1040479A (ja) 警告装置
US20060214654A1 (en) [conducting structure of a meter]
CN103913188B (zh) 电动机和指示器插孔
US1603281A (en) Oil gauge for automobiles
KR100412590B1 (ko) 차량용 오일 수준 감지장치
KR19980026780U (ko) 자동차용 연료 경고장치
KR100384023B1 (ko) 일체형 오일 압력 센더 및 오일 압력 스위치
JP3011206B1 (ja) 電気接続装置
KR200171222Y1 (ko) 단선진단회로삽입형정션박스
KR20030087678A (ko) 차량용 유턴표시장치
US5335153A (en) Indicator lighting unit
JPH03120879A (ja) 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