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155Y1 -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155Y1
KR200308155Y1 KR20-2002-0039111U KR20020039111U KR200308155Y1 KR 200308155 Y1 KR200308155 Y1 KR 200308155Y1 KR 20020039111 U KR20020039111 U KR 20020039111U KR 200308155 Y1 KR200308155 Y1 KR 200308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automobile
indicator
box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9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수
Original Assignee
이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수 filed Critical 이인수
Priority to KR20-2002-0039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1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0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fus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퓨즈의 단선상황을 즉시 감지하여 주야간을 불문하고 누구나 쉽게 알아 보도록, 단선된 위치까지 표시해 주는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퓨즈박스(2)내 퓨즈삽입구(6)의 한 쪽 단자(8)와 다른 쪽 단자(8)사이의 공간(10)에 손쉽게 삽입 장착되어 있다가, 퓨즈(4)단선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즉시 감지, 당해 퓨즈 위치의 공간(10)에서 점등하므로써 이 위치의 퓨즈 기능에 이상이 있음을 알려주는 감지겸 표시기(도2)이며, 퓨즈(4) 교환시 소모되거나, 퓨즈박스(2)의 개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 {Automobile fuse disconnection indicater}
본 고안은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타의 장소에서 퓨즈의 단선, 또는 유사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위치의 표시기가 즉시 점등함으로써, 이 위치의 퓨즈 기능에 이상이 있음을 알려 주는 퓨즈단선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퓨즈의 단선은 사전 감지가 어려운 반면에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예고 없이 발생하며, 자동차의 이동 특성상, 운전자의 우선 자구조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특히 야간과 같이 조명이 나쁜 환경 하에서는 그 위치의 확인조차 어려워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차량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퓨즈박스(2)에 퓨즈(4)만을 장착한 채로 운행되고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 분야에 관련해서는 퓨즈(4)자체에 감지장치가 장착되거나, 퓨즈박스(2)의 개조, 또는 논리회로화를 하는 등의 출안 들이 있었지만, 퓨즈(4)교체시 감지장치까지 같이 교체되어야 하는 등의 비경제적인 측면 이외에 비록 본 안과 같은비용일지라도 자동차의 제작시점에서 부터 적용되어야 하는 등, 사용자로서의 난제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가 불시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퓨즈박스를 간단히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퓨즈 교체의 필요 유무를 누구나 빠르게 판단하여 단시간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퓨즈박스를 도시한 정면도 및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의 사시도
도 3의 a,b,c,d,e는 상기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퓨즈박스 : 본체
4. 퓨즈 : 퓨즈박스에 장착된 상태
6. 퓨즈삽입부
8. 퓨즈 고정단자
10. 공간 : 한 쪽 단자와 다른 쪽 단자 사이의 공간
12. LED (Light Emitting Diode)
14. LED 리드선(Lead - in Wire)
16. 전구
18. 전극 : 선상(線狀) 또는 판상(板狀)의 탄성을 가진 도체(導體)
20. 저항기(Resistor)
22. 저항 페이스트 : 페이스트상(Paste 狀)의 전기 저항체를 인쇄 처리한 저항기
24. 베이스(Base) : 인쇄회로기판 또는 수지로 성형된 부도체(不導體)
26. 퓨즈단선표시기 : 본 안에 의하여 장착된 퓨즈단선표시기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용 퓨즈(4)의 단선으로 전기회로가 차단되었을 때, 휴즈박스(2)의 단자(6)간 공간(10)에 사전에 장착되어져 퓨즈 고정단자(8)와 접촉되어 있던 퓨즈단선표시기(도2)의 전극(18)을 통하여 미량의 전기가 흐르도록 회로가 자동 재구성되어 발광체인 LED(12), 또는 전구(16)를 점등시키므로써, 퓨즈가 단선 되었음을 표시하며, 정상적인 퓨즈로 교체하면 앞서 재구성되었던 회로가 자동 해지되면서 소등되는 또, 삽입형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단선표시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스(24)에 LED(12), 저항기(20) 및 2개의 전극(18)을 실장한 것으로, 전기회로의 구성은 한 쪽 전극(18) - 저항기(20) - LED(12) - 다른 쪽 전극(18) 또는, 그 역순이 된다. 퓨즈박스(2)에 장착시에는 퓨즈(4)가 제거된 상태에서 단자간의 공간(10)에 퓨즈단선표시기의 베이스(24)가 안쪽이 되도록, 또, 2개의 전극(18)이 양쪽 퓨즈 고정단자(8)와 각기 접촉하여 LED(12)가 점등하는지를 확인하면서 밀어 넣는다. 이때 점등되지 않으면 LED(12)의 극성(極性)이 맞지 않는 것이므로 반대방향 즉, LED(12)가 점등되는 전극방향으로 삽입하고, 끝으로 퓨즈(4)를 끼운다.
도. 3a는, 도2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을 가지나, 전극(18)만을 판상으로 대체한 것이며, 기능상으로는 앞서와 같다.
도. 3b는, LED(12)와 2개의 선상 전극(18)을 베이스(24) 위에 실장하면서 저항기를 생략한 반면에, 베이스(24)의 밑면에서 LED 리드선(14)의 선단과 전극(18)의 한 선단 사이에 저항페이스트(22)를 후막인쇄 처리하여 저항기의 기능을 가지도록 한 것이며, 기능상으로는 앞서와 같다.
도. 3c는, 도3b와 같은 구성을 가지나, 전극(18)을 판상으로 대체한 것이며, 기능상으로는 앞서와 같다.
도. 3d는, 소형 전구(16)와 2개의 전극(18)을 베이스(24)에 실장한것으로, 전기적으로는 한 쪽 전극(18) - 전구(16) - 다른 쪽 전극(18)의 회로를 구성토록 한 것이다.
도. 3e는, 도3d와 같은 구성을 가지나, 전극(18)을 판상으로 대체한 것이며, 기능상으로는 앞서와 같다.
도. 4는, 기존 퓨즈박스(2)의 공간(10)에 본 안에 의한 퓨즈단선표시기(26)를 장착하여 점등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장착방법은, 도2의 설명과 같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퓨즈단선에 의한 자동차 고장발생시 어떠한 환경 하에서도, 퓨즈박스를 간단히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누구나 퓨즈 교체의 필요 유무를 빠르게 판단하여 적의 조치를 취함으로써, 불필요한 시간적, 경제적인 낭비요소를 배제할 수 있으며, 한 번의 장착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장착 또한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사용이 편리한 퓨즈단선표시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자동차용 퓨즈박스(2)내에 장착되어, 퓨즈(4)의 단선과 동시에 전기적 회로를 구성,점등으로 표시함에 있어서, 전극(18)과 발광체(12,16),베이스(24), 저항기(20,22) 등으로 된 구성체로, 퓨즈박스(2)의 공간(10)에 삽입, 내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단선표시기.
KR20-2002-0039111U 2002-12-31 2002-12-31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 KR200308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111U KR200308155Y1 (ko) 2002-12-31 2002-12-31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111U KR200308155Y1 (ko) 2002-12-31 2002-12-31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155Y1 true KR200308155Y1 (ko) 2003-03-19

Family

ID=4940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9111U KR200308155Y1 (ko) 2002-12-31 2002-12-31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1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17540A1 (en) Fuse blow-out dual LED indicator
KR19990072426A (ko) 광원장치및표시장치
GB2189095A (en) Fuse with indicating device
US4178627A (en) Lamp assembly
KR200308155Y1 (ko) 자동차용 퓨즈단선표시기
US5964616A (en) Lighted accessory power supply cord
US20100277931A1 (en) Vehicle lamp with polymer conductors and mounting structures
JP2008103086A (ja) 車両用灯具
CN111381527A (zh) 车辆负载控制电路及方法
CN201282090Y (zh) 带熔断指示的汽车保险丝
US8810420B2 (en) Integrated fuse status indication in an open fuse block
US1188220A (en) Electrical device.
KR200297686Y1 (ko) 타이어 압력 저하 감지 표시 장치
KR100535455B1 (ko) 오일 레벨 센서
JP3151739B2 (ja) 車両用灯具
KR100610227B1 (ko) 차량용 백업스위치
JPS6222436Y2 (ko)
KR19980057571U (ko) 휴즈 단락 검지 테스터
KR200217900Y1 (ko) 자동 삽입용 초소형 램프
JPS6228066Y2 (ko)
KR200412140Y1 (ko) 회전전광판을 구비한 자동차용 위험표시등
JP2019038492A (ja) 車両用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照明システム
US1809434A (en) Control switch circuits for automobiles
KR0167055B1 (ko) 차량용 보조 휴즈박스
KR930001370Y1 (ko) 자동차 배선함용 퓨우즈 플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