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049Y1 -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049Y1
KR200142049Y1 KR2019960004284U KR19960004284U KR200142049Y1 KR 200142049 Y1 KR200142049 Y1 KR 200142049Y1 KR 2019960004284 U KR2019960004284 U KR 2019960004284U KR 19960004284 U KR19960004284 U KR 19960004284U KR 200142049 Y1 KR200142049 Y1 KR 200142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ring
display device
terminal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090U (ko
Inventor
박종균
Original Assignee
김명준
우리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준, 우리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명준
Priority to KR2019960004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049Y1/ko
Publication of KR9700540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0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0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9/00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자동차 연료량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기위해 프레임(1)의 중앙부에 부착 고정되는 절연케이스(3)의 상부홈에는 지시계(15)가 연결된 전선(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5)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단자(5)와 접속되는 프린트배선(7)이 상단에 형성됨과 동시에 경고등(2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인트배선(8)이 상기 프린트배선(7)과 분리되어 하부에 형성되는 기판(6)이 상기 절연케이스(3)내에 설치되며, 상기 프린트배선(7)및 포인트배선(8)과 점접촉되는 가동부재(9)는 미도시된 스프링을 통해 상기 프레임(1)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접지단자(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플로트(19)가 설치된 지지대(17)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1)의 하부에서 상기 가동부재(9), 접지단자(11) 및 프레임(1)을 관통하여 고정부재(13)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전선
3 : 절연케이스 5 : 단자
11 : 접지단자 6 : 기판
7 : 프린트배선 8 : 포인트배선
9 : 가동부재 13 : 고정부재
15 : 지시계 17 : 지지대
19 : 플로트 21 : 고정지지대
23 : 더미스터 25 : 커버
27 : 경고등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저장되는 연료량을 지시계로 나타내고, 연료량의 부족시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연료량 표시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전면 중앙부에 부착·고정되는 절연케이스(3)의 상부 홈에 지시계(15)가 연결된 전선(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5)가 설치되고, 상기 단자(5)와 접촉되는 프린트배선(7)이 형성된 기판(6)이 상기 절연케이스(3)의 중앙부에 삽임 고정되며, 상기 절연케이스(3)의 아래에 설치되는 접지단자(11)는 미도시된 스프링을 통해 상기 프린트배선(7)과 점접촉되는 가동부재(9)와 연결되고, 플로트(19)가 설치된 지지대(17)의 한쪽이 상기 가동부재(9), 접지단자(11) 및 프레임(1)을 관통하여 고정부재(13)에 의해 상기 프레임(1)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1)의 이면 하단에 부착 고정되는 고정지지대(21)의 단부에 커버(25)로 감싸여진 더미스터(23)가 설치되고, 상기 더미스터(23)에 경고등(27)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연료량 표시장치는,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량의 변화에 따라 플로트(19)가 상하로 동작되어 고정부지(13)에 의해 고정된 가동부재(9)가 지지대(17) 상하동작에 의해 좌우로 동작되므로, 지시계(15)와 연결된 전선(2)을 통해 단자(5)에 인가된 전원이 프린트배선(7)과 점접촉된 가동부재(9) 및 접지단자(11)로 흐르는 것에 의해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량을 지시계(15)에 나타내고, 또 연료량이 부족한 경우 더미스터(23)가 공기중에 노출되어 자기발열에 의해 고유의 저항값이 낮아지게 되어 경고등(27)이 점등된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량 표시장치는 지시계를 통해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량을 나타내고, 경고등의 점등을 통해 연료량의 부족을 운전자에게 경고하지만, 더미스터의 이상에 의해 경고등이 점등 및 소등되지 않고, 더미스터의 설치에 따라 구성이 복잡하며, 또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미스터를 제거한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경고등을 점등 및 소등시킬 수 있는 자동차 연료량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1)의 중앙부에 부착 고정된 절연케이스(3)의 상부 홈에는 지시계(15)가 연결된 전선(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5)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단자(5)와 접속되는 프린트배선(7)이 상단에 형성됨 동시에, 경고등(2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인트배선(8)이 상기 프린트배선(7)과 분리되어 하부에 형성된 기판(6)이 상기 절연케이스(3)내에 설치되며, 상기 프린트배선(7) 및 포인트배선(8)과 점접촉되는 가동부재(9)는 미도시된 스프링을 통해 상기 프레임(1)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접지단자(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플로트(19)가 설치된 지지대(17)의 일단이 상기 프레임(1)의 하부에서 상기 가동부재(9), 접지단자(11) 및 프레임(1)을 관통하여 고정부재(13)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연료가 채워지면 플로트(19)가 연료량의 증가에 따라 상승되면서 지지대(17)가 동작되어 고정부재(13)에 고정된 가동부재(9)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지시계(15)와 전선(2)을 통해 단자(5)에 인가된 전류가 프린트배선(7), 상기가동부재(9), 미도시된 스프링 및 접지단자(11)로 흐르는 것에 의해 현재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량을 지시계(15)에 나타내고, 연료탱크의 연료량 감소에 따라 플로(19)가 낮아지게 되면서 가동부재(9)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연료량이 감소되는 것을 지시계(15)에 나타내어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있다.
또한, 연료탱크에서 연료량의 감소가 일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우측으로 이동하는 가동부재(9)의 중앙부분과 포인트배선(8)이 점접촉하게 되고, 상기 포인트배선(8)에 연결된 경고등이 점등하게 되며, 다시 연료가 채워져 가동부재(9)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경고등이 소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료탱크에 저장되는 연료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지시계로 나타내고, 또 연료량의 부족시 간단한 포인트배선을 기판에 형성하여 경고등을 점등 및 소등시키므로 더미스터의 설치시보다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자동차 연료량 표시장치에 있어서, 프레임(1)의 중앙부에 부착 고정되는 절연케이스(3)의 상부 홈에는 지시계(15)가 연결된 전선(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5)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단자(5)와 접속되는 프린트배선(7)이 상단에 형성됨과 동시에, 경고등(2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인트배선(8)이 상기 프린트배선(7)과 분리되어 하부에 형성된 기판(6)이 상기 절연케이스(3)내에 설치되며, 상기 프린트배선(7) 및 포인트배선(8)과 점접촉되는 가동부재(9)는 미도시된 스프링을 통해 상기 프레임(1)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접지단자(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플로트(19)가 설치된 지지대(17)의 일단이 상기 프레임(1)의 하부에서 상기 가동부재(9), 접지단자(11) 및 프레임(1)을 관통하여 고정부재(13)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
KR2019960004284U 1996-03-08 1996-03-08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 KR200142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284U KR200142049Y1 (ko) 1996-03-08 1996-03-08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284U KR200142049Y1 (ko) 1996-03-08 1996-03-08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090U KR970054090U (ko) 1997-10-13
KR200142049Y1 true KR200142049Y1 (ko) 1999-06-01

Family

ID=1945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284U KR200142049Y1 (ko) 1996-03-08 1996-03-08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0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090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32334U (ko)
US5140303A (en) Submersible electronic fuel level signal damper
KR200142049Y1 (ko)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
US6384538B1 (en) Control apparatus for a light unit for vehicles
KR100387777B1 (ko) 자동차의 연료잔량센서 설치구조
US4680575A (en) Liquid level detecting device
JPH0569777A (ja) 自動車用標識灯
US3701904A (en) Vehicle headlight switch with time delay
KR100535455B1 (ko) 오일 레벨 센서
KR0127927Y1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량 감지장치
JPH0316305Y2 (ko)
JP2875300B2 (ja) ランプ装置
KR200199332Y1 (ko) 세라믹 기판의 도체구조
KR0162998B1 (ko) 오일압력 센더 및 스위치 복합구조
KR200141614Y1 (ko) 차량의 연료량 표시장치
US3024327A (en) Pedal operated power control device
KR100410219B1 (ko) 라디에이터 리저버 탱크의 냉각 수량 감지 장치
US2683783A (en) Fluid level signal
JPH0419481Y2 (ko)
JPH04136525U (ja) 液面レベル検出装置
KR200148215Y1 (ko) 자동차 연료 감지장치의 경고등 지연회로
US3118304A (en) Brake system
JPH0138948Y2 (ko)
JPH0743190A (ja) 残量警告機能付燃料計
KR19980049204A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