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210B1 - 충격흡수용 차음재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차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210B1
KR100686210B1 KR1020060017036A KR20060017036A KR100686210B1 KR 100686210 B1 KR100686210 B1 KR 100686210B1 KR 1020060017036 A KR1020060017036 A KR 1020060017036A KR 20060017036 A KR20060017036 A KR 20060017036A KR 100686210 B1 KR100686210 B1 KR 100686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sound
sound insulating
absorbing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일
Original Assignee
김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일 filed Critical 김용일
Priority to KR102006001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차음재에 관한 것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의 층간 바닥구조에 있어서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 적용을 통해 마감 모르타르층과 층간 바닥구조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충격에 의한 층간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일정두께로 성형되어 쿠션·단열·방음 특성을 갖는 평판 상의 단열재와 평판 상의 단열재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 일방향으로 등간격의 직사각형 형태로 일정높이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쿠션재 및 쿠션재의 길이 방향 중심과 이에 직교하는 횡방향에 등간격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는 충격음 분산홈이 구비된 제 1 차음재와 제 2 차음재를 쿠션재 상호가 대향되도록 접착제를 통해 상하로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측에 설치하는 경우 상부로부터 전달된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상부로부터의 수직충격음을 공기층과 충격음 분산홈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분산시켜 충격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콘크리트 슬래브, 마감 모르타르, 층간소음, 충격, 흡음재, 차음재

Description

충격흡수용 차음재{Noise prevention goods for shock absorp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보인 제 1 배열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 은 도 1 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결합 종단면도.
도 4 는 도 1 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설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보인 제 2 배열의 분리 사시도.
도 6 은 도 5 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콘크리트 슬래브층 100, 200. 충격흡수용 차음재
110, 210. 제 1 차음재 120, 220. 제 2 차음재
112, 122, 212, 222. 단열재 114, 124, 214, 224. 쿠션재
116, 126, 216, 226. 공기층
118, 118a, 128, 128a, 218, 218a, 228, 228a. 충격음 분산홈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차음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빌라 등 다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마감 모르타르층과 콘크리트 슬래브층 사이에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설치하여 층간의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수직으로 전달된 소음을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용 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으로 축조되는 빌라나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는 층간 발생되는 충격이나 소음이 하층 또는 상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음으로부터 각 거주자의 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층간 바닥구조에 관하여 높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287084호, 제290830호 및 제297962호에 의하여 층간소음 및 충격음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층간 바닥구조를 통해 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충격음이 하층 또는 벽체를 따라 상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기술들은 마감 모르타르층과 그 위에 설치되는 바닥재(딱딱한 마루 또는 대리석 등)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의 역작용에 의하여 층간 소음이 더 증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현재 제안된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층으로부터 마감 모르타르층에 이르는 방진·방음구조를 통한 층간소음의 저감 및 차단을 꾀하는 것 으로, 이러한 구조는 바닥구조의 최상층인 마감 모르타르층과 그 위에 최종적으로 설치되는 바닥재(딱딱한 마루 또는 대리석 등)가 상호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소음이 증폭되어 실내 또는 하층으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층간 바닥구조에 있어서 마감 모르타르층은 미장 평활도가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다소 굴곡 및 상하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딱딱한 마루 또는 대리석 등의 바닥재를 설치할 경우 그 사이에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들뜸 현상에 의하여 충격 및 소음이 발생됨은 물론이고, 바닥재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더구나, 마감 모르타르층 상에 단순히 바닥재만을 깔아 구성한 경우 실내에서 뛰거나 걸을시 바닥재와 마감 모르타르층의 딱딱한 충격이 발을 통하여 신체로 직접 전달됨으로써 연약한 신체구조를 갖는 여성노약자 또는 어린이에게 신체적 충격과 압박에 의한 통증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온돌 마루 바닥재에 폴리에틸렌수지(PE)의 발포제품이 설치된 기술이 제공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소재 자체에 탄성이 거의 없고, 두께가 2mm정도에 불과하며, 열적 안정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어 충격흡수기능 및 평활도의 보상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의 층간 바닥구조에 있어서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 적용을 통해 마감 모르타르층과 층간 바닥구조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충격에 의한 층간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감 모르타르층의 고르지 못한 평활도를 보상하여 그 상층에 설치되는 층간 바닥구조의 들뜸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층간 바닥의 충격 및 소음을 방지하고 바닥재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들 이외에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를 통해 마감 모르타르층과 층간 바닥구조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실내에서 뛰거나 걸을 경우 발을 통하여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는 빌라나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 등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인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부로부터의 충격 흡수와 층간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충격흡수용 차음재에 있어서, 가교 발포 공정을 통해 일정두께로 성형되어 쿠션·단열·방음 특성을 갖는 평판 상의 단열재와 평판 상의 단열재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 일방향으로 등간격의 직사각형 형태로 일정높이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쿠션재 및 쿠션재의 길이 방향 중심과 이에 직교하는 횡방향에 등간격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는 충격음 분산홈이 구비된 제 1 차음재; 및 가교 발포 공정을 통해 일정두께 로 성형되어 쿠션·단열·방음 특성을 갖는 평판 상의 단열재와 평판 상의 단열재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 일방향으로 등간격의 직사각형 형태로 일정높이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쿠션재 및 쿠션재의 길이 방향 중심과 이에 직교하는 횡방향에 등간격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는 충격음 분산홈이 구비된 제 2 차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 1 차음재의 쿠션재와 제 2 차음재의 쿠션재는 상호 대향되도록 접착제를 통해 상하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부로부터 전달된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상부로부터의 수직충격음을 제 1 차음재와 제 2 차음재의 공기층과 충격음 분산홈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분산시켜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제 1 차음재와 제 2 차음재는 제 1 차음재의 쿠션재와 제 2 차음재의 쿠션재를 동일 방향으로 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제 1 차음재와 제 2 차음재는 제 1 차음재의 쿠션재와 제 2 차음재의 쿠션재를 동일 방향으로 하여 결합하되 제 1 차음재 또는 제 2 차음재의 이웃하는 두 쿠션재 사이에 제 2 차음재 또는 제 1 차음재의 쿠션재 하나가 배열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구성에서 제 1 차음재와 제 2 차음재는 제 1 차음재의 쿠션재와 제 2 차음재의 쿠션재가 상호 교차되도록 결합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구성에서 단열재와 쿠션재로 이루어지는 차음재는 PE 가교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보인 제 1 배열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 은 도 1 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결합 종단면도, 도 4 는 도 1 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설치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설명하기에 앞서 가교 발포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가교 발포 공정을 거치는 대부분의 단열재 생산 공정은 혼합(Mixing : 수지, 발포제, 가교제, 안료 및 첨가제 등의 혼합), 압출(Extruding : 용융, 혼련), 성형(Forming : 모판제조), 발포(Foaming : 가교, 발포), 권취(Winding : 용융, 혼련) 및 포장의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가교 발포 공정을 통해 생산되어 쿠션, 단열 및 방음 특성을 갖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는 빌라나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 등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인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측에 설치하여 쿠션과 단열은 물론 상부로부터의 충격 흡수와 층간 소음을 보다 저감하기 위한 구조가 기존의 충격흡수용 차음재와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100)는 평판 상의 단열재(112)와 평판 상의 단열재(112) 상부면 상에 전후 또는 좌우 일방향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쿠션재(114)가 일정높이 돌출 형성된 구조의 제 1 차음재(110) 및 평판 상의 단열재(122)와 평판 상의 단열재(122) 하부면 상에 전후 또는 좌우 일방향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쿠션재(124)가 일정높이 돌출 형성된 구조의 제 2 차음재(120)가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100)는 평판 상의 단열재(112, 122)와 평판 상의 단열재(112, 122) 상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쿠션재(114, 124)로 이루어진 제 1 차음재(110)와 제 2 차음재(120)의 쿠션재(114, 124) 상호가 대향되도록 하여 접착제를 통해 결합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100)의 구성에서 평판 상의 단열재(112, 122)의 일면에 직사각형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쿠션재(114, 124)는 평판 상의 단열재(112, 122)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 일방향으로 등간격의 직사각형 형태로 일정높이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쿠션재(114, 124)가 평판 상의 단열재(112, 122)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 일방향에 등간격의 직사각형 형태로 일정높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쿠션재(114, 124) 사이에는 공기층(116, 126)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100)의 구성에서 제 1 차음재(110) 및 제 2 차음재(120) 각각의 쿠션재(114, 124) 각각에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재(114, 124)의 길이 방향 중심과 이에 직교하는 횡방향에 등간격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는 충격음 분산홈(118, 118a, 128, 128a)이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쿠션재(114, 124) 각각의 길이 방향 중심과 이에 직교하는 횡방향에 등간격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는 충격음 분산홈(118, 118a, 128, 128a)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쿠션재(114, 124) 각각의 길이 방향 중심에 일정깊이로 전후 방향의 충격음 분산홈(118, 128)이 형성되고,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충격음 분산홈(118, 128)에 직교하는 방향인 좌우 방향의 충격음 분산홈(118a, 128a)이 형성된다. 이때, 전후 방향의 충격음 분산홈(118, 128)에 직교하는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충격음 분산홈(118a, 128a)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쿠션재(114, 124) 각각의 길이 방향 중심에 일정깊이로 전후 방향의 충격음 분산홈(118, 128)이 형성되고, 전후 방향의 충격음 분산홈(118, 128)에 직교하는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충격음 분산홈(118a, 128a)이 형성됨으로써 제 1 차음재(110)와 제 2 차음재(120)를 쿠션재(114, 124) 상호가 대향되도록 결합시키게 되면 충격음 분산홈(118, 118a, 128, 128a)과 공기층(116, 126)이 서로 통하게 되어 상부로부터의 수직충격음이 제 2 차음재(120)를 통해 전달되면 수직충격음은 제 1 차음재(110)와 제 2 차음재(120)의 충격음 분산홈(118, 118a, 128, 128a)과 공기층(116, 126)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분산되어 저감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10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차음재(110)와 제 2 차음재(120)의 결합시 제 1 차음재(110)의 쿠션재(114)와 제 2 차음재(120)의 쿠션재(124) 상호가 대향되도록 접착제를 통해 상하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차음재(110)와 제 2 차음재(120)는 제 1 차음재(110)의 쿠션재(114)와 제 2 차음재(120)의 쿠션재(124)를 동일 방향으로 하여 결합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100)는 하부측 제 1 차음재(110)의 쿠션재(114) 상부에 제 2 차음재(120)의 쿠션재(124)가 동일 방향으로 결합되어 두 쿠션재(114, 124)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충격음 분산홈(118, 128)이 일치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고,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차음재(110)의 쿠션재(114)와 제 2 차음재(120)의 쿠션재(124)를 동일 방향으로 하여 결합하되 제 1 차음재(110) 또는 제 2 차음재(120)의 이웃하는 두 쿠션재(114 또는 124) 사이에 제 2 차음재(120) 또는 제 1 차음재(110)의 쿠션재(124, 114) 하나가 배열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100)의 구성에서 제 1 차음재(110)와 제 2 차음재(120)의 단열재(112, 122)와 쿠션재(114, 124)는 가교 발포 폼 단열재의 제조시 일체로 성형되어 쿠션재(114, 124) 상호가 대향되도록 하여 접착제를 통한 결합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단열재(112, 122) 각각의 일면에 동일 크기의 쿠션재(114, 124)를 접착제를 통해 등간격으로 부착시킨 후 쿠션재(114, 124) 상호가 대향되도록 하여 접착제를 통한 결합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을 통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100)는 제 1 차음재(110)와 제 2 차음재(120)를 구성하는 단열재(112, 122)와 쿠션재(114, 124) 모두 PE 가교 폼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두께로 성형되어 쿠션·단열·방음 특성을 갖는 평판 상의 단열재(112, 122)와 평판 상의 단열재(112, 122)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 일방향으로 등간격의 직사각형 형태로 일정높이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 공기층(116, 126)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쿠션재(114, 124) 및 쿠션재의 길이 방향 중심과 이에 직교하는 횡방향에 등간격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는 충격음 분산홈(118, 118a, 128, 128a)이 구비된 제 1 차음재(110)와 제 2 차음재(120)를 쿠션재(114, 124) 상호가 대향되도록 접착제를 통해 상하로 결합함으로써 이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층(10)의 상부측에 설치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100)는 상부로부터 전달된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상부로부터의 수직충격음을 제 1 차음재(110)와 제 2 차음재(120)의 공기층(116, 126)과 충격음 분산홈(118, 118a, 128, 128a)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분산시켜 충격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100)는 상부로부터의 수직충격음이 발생하는 경우 일차적으로 그 수직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에 따른 소음이 감소되도록 하는 한편, 잔여의 충격음은 제 1 차음재(110)와 제 2 차음재(120)의 공기층(116, 126)을 통해 그 길이 방향으로 분산되면서 쿠션재(114, 124)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 형성된 전후 방향의 충격음 분산홈(118, 128)과 좌우 방향의 충격음 분산홈(118a, 128a)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분산되어 저감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보인 제 2 배열의 분리 사시도, 도 6 은 도 5 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충격흡수용 차음재(200) 역시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격흡수용 차음재(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 5 및 도 6 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충 격흡수용 차음재(200)는 제 1 차음재(210)의 쿠션재(214)와 제 2 차음재(220)의 쿠션재(224)가 상호 교차(직교)되도록 결합 구성되는 점이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격흡수용 차음재(100)와 다른점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200) 역시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용 차음재(100)와 마찬가지로 제 1 차음재(210)와 제 2 차음재(220)를 구성하는 단열재(212, 222)와 쿠션재(214, 224) 모두 PE 가교 폼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그 작용에 있어서도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200) 역시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격흡수용 차음재(100)와 마찬가지로 상부로부터의 수직충격음이 발생하는 경우 일차적으로 그 수직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에 따른 소음이 감소되도록 하는 한편, 잔여의 충격음은 제 1 차음재(210)와 제 2 차음재(220)의 공기층(216, 226)을 통해 그 길이 방향으로 분산되면서 쿠션재(214, 224)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 형성된 전후 방향의 충격음 분산홈(218, 228)과 좌우 방향의 충격음 분산홈(218a, 228a)을 통해 수평방향의 사방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수직충격음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충격흡수용 차음재(200)를 통해 분산되어 저감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차음재(110)와 제 2 차음재(12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100)는 콘크리트 슬래브층(10)에 설치시 그 두께나 설치 조건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적층하여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100, 200)는 상부의 수직방 향으로부터 전달된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수직충격음은 공기층(116, 126, 216, 226)과 충격음 분산홈(118, 118a, 128, 128a, 218, 218a, 228, 228a)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빌라나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 등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파트나 빌라 등의 층간 바닥구조에 있어서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 적용을 통해 마감 모르타르층과 층간 바닥구조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충격에 의한 층간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는 마감 모르타르층의 고르지 못한 평활도를 보상하여 그 상층에 설치되는 층간 바닥구조의 들뜸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층간 바닥의 충격 및 소음을 방지하고 바닥재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를 통해 마감 모르타르층과 층간 바닥구조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실내에서 뛰거나 걸을 경우 발을 통하여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빌라나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 등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인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부로부터의 충격 흡수와 층간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충격흡수용 차음재에 있어서,
    가교 발포 공정을 통해 일정두께로 성형되어 쿠션·단열·방음 특성을 갖는 평판 상의 단열재와 상기 평판 상의 단열재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 일방향으로 등간격의 직사각형 형태로 일정높이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쿠션재 및 상기 쿠션재의 길이 방향 중심과 이에 직교하는 횡방향에 등간격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는 충격음 분산홈이 구비된 제 1 차음재; 및
    가교 발포 공정을 통해 일정두께로 성형되어 쿠션·단열·방음 특성을 갖는 평판 상의 단열재와 상기 평판 상의 단열재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 일방향으로 등간격의 직사각형 형태로 일정높이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쿠션재 및 상기 쿠션재의 길이 방향 중심과 이에 직교하는 횡방향에 등간격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는 충격음 분산홈이 구비된 제 2 차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차음재의 쿠션재와 제 2 차음재의 쿠션재는 상호 대향되도록 접착제를 통해 상하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부로부터 전달된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상부로부터의 수직충격음을 상기 제 1 차음재와 제 2 차음재의 공기층과 충격음 분산홈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분산시켜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차음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음재와 제 2 차음재는 상기 제 1 차음재의 쿠션재와 제 2 차음재의 쿠션재를 동일 방향으로 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차음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음재와 제 2 차음재는 상기 제 1 차음재의 쿠션재와 제 2 차음재의 쿠션재를 동일 방향으로 하여 결합하되 상기 제 1 차음재 또는 제 2 차음재의 이웃하는 두 쿠션재 사이에 제 2 차음재 또는 제 1 차음재의 쿠션재 하나가 배열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차음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음재와 제 2 차음재는 상기 제 1 차음재의 쿠션재와 제 2 차음재의 쿠션재가 상호 교차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차음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PE 가교 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20060017036A 2006-02-22 2006-02-22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0686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036A KR100686210B1 (ko) 2006-02-22 2006-02-22 충격흡수용 차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036A KR100686210B1 (ko) 2006-02-22 2006-02-22 충격흡수용 차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6210B1 true KR100686210B1 (ko) 2007-02-26

Family

ID=3810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036A KR100686210B1 (ko) 2006-02-22 2006-02-22 충격흡수용 차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21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182B1 (ko) 2007-02-16 2007-07-03 (주)진아건축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KR100986365B1 (ko) 2008-06-30 2010-10-08 박연준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101001590B1 (ko) 2010-08-27 2010-12-17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28590B1 (ko) 2012-08-31 2014-08-14 송종근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708791B1 (ko) * 2015-08-12 2017-02-21 최은숙 층간소음 억제 유닛
KR101942048B1 (ko) * 2018-09-19 2019-04-12 정원기계산업(주) 층간 소음방지 구조물
KR102580462B1 (ko) * 2023-02-16 2023-09-20 주식회사 미트하임 항아리형, 원통형 및 요철형 흡음부를 구비한 음파 완충 단열재와 진동 차단 기능을 갖는 댐퍼가 적층된 다층 층간 차음재, 그 제조방법, 건물의 바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87Y1 (ko) * 2005-06-07 2005-09-05 (주)재현 건물의 층간차음재
KR200403134Y1 (ko) * 2005-08-10 2005-12-08 (주)비엠아이건설 차음을 위한 층간 바닥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87Y1 (ko) * 2005-06-07 2005-09-05 (주)재현 건물의 층간차음재
KR200403134Y1 (ko) * 2005-08-10 2005-12-08 (주)비엠아이건설 차음을 위한 층간 바닥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182B1 (ko) 2007-02-16 2007-07-03 (주)진아건축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KR100986365B1 (ko) 2008-06-30 2010-10-08 박연준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101001590B1 (ko) 2010-08-27 2010-12-17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28590B1 (ko) 2012-08-31 2014-08-14 송종근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708791B1 (ko) * 2015-08-12 2017-02-21 최은숙 층간소음 억제 유닛
KR101942048B1 (ko) * 2018-09-19 2019-04-12 정원기계산업(주) 층간 소음방지 구조물
KR102580462B1 (ko) * 2023-02-16 2023-09-20 주식회사 미트하임 항아리형, 원통형 및 요철형 흡음부를 구비한 음파 완충 단열재와 진동 차단 기능을 갖는 댐퍼가 적층된 다층 층간 차음재, 그 제조방법, 건물의 바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210B1 (ko)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0848576B1 (ko)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0723970B1 (ko)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2208230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절곡형 벽면 완충재 및 그 시공 방법
KR200394587Y1 (ko) 건물의 층간차음재
KR100686211B1 (ko) 충격흡수용 차음재
KR20070099349A (ko)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0995303B1 (ko) 방진매트를 이용한 공동주택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
KR100587987B1 (ko) 집합건축물에 사용되는 차음 및 제진 기능을 갖는 층간바닥구조
KR20130094040A (ko) 난방배관용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KR100761332B1 (ko)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0966730B1 (ko) 층간 소음 방지 패널
KR20210058593A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차음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756415B1 (ko)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R101423219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으로 사용되는 고무·섬유구조체 및 그 이용방법
KR101373091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용 층간 차음재
KR101564207B1 (ko)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패널
KR101454900B1 (ko) 층간차음재
KR20230000295A (ko) 친환경 층간 소음 방지용 패널 및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1565049B1 (ko) 차음용 층간 바닥재
KR102343502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차음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729871B1 (ko) 건물의 층간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88233A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KR102310224B1 (ko) 층간소음 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시스템
KR100545877B1 (ko) 건축물 층간바닥 저소음 단열 차음 방진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