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590B1 -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590B1
KR101001590B1 KR1020100083315A KR20100083315A KR101001590B1 KR 101001590 B1 KR101001590 B1 KR 101001590B1 KR 1020100083315 A KR1020100083315 A KR 1020100083315A KR 20100083315 A KR20100083315 A KR 20100083315A KR 101001590 B1 KR101001590 B1 KR 101001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rtar
concrete
vertica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Priority to KR102010008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 바닥에 소음 저감구조를 두어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주고, 소음저감구조에 의하여 바닥의 안정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건축물의 슬래브콘크리트(1) 상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1차몰탈(10); 합성수지 재질로 두께 0.5mm ~ 0.8mm의 수평판(21)을 형성하고, 수평판(21)의 저면과 상면에 같은 수직선상으로 수직돌기(22)가 다수개 형성되며, 수직돌기(22)는 4 ~ 6mm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수직돌기(22)는 수평판(21)에서 각각 3 ~ 5 mm의 높이로 형성되며, 1차몰탈(10)이 도포된 상태에서 수평판(21)의 저면에 형성된 수직돌기(22)가 1차몰탈(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돌기판(20); 하부돌기판(20)의 수평판(21) 상면에 형성된 수직돌기(22) 사이에 그라우팅되되 수직돌기(22) 4 ~ 7칸 간격으로 그라우팅되는 발포우레탄(30); 하부돌기판(20)과 동일한 재질과 형상으로 수평판(41)과 수직돌기(42)가 형성되고, 수평판(41) 저면에 형성된 수직돌기(42)가 하부돌기판(20)의 상면에 형성된 수직돌기(32) 사이에 삽입되어 서로 견고하게 지지되며, 하부돌기판(20)의 상부에 적층되어 발포우레탄(30)이 굳으면서 서로 고정되는 상부돌기판(40); 상부돌기판(40)의 상면에 타설되어 양생되는 2차몰탈(50); 2차몰탈(50)의 상면에 배관(2)이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는 마감콘크리트(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
본 발명은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에 소음 저감구조를 두어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주고, 소음저감구조에 의하여 바닥의 안정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 등의 2층 이상 건축물의 통상적인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슬래브(slab)를 건물의 층수에 따라 시공하여 기초공사를 완료한 다음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난방 배관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자갈과 시멘트 몰탈을 소정두께로 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아파트, 고층빌딩 등과 같은 적층식 다층 건물의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slab)는 콘크리트만으로 시공됨에 따라 건물의 해당층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 층간 슬래브를 통하여 바로 아래층으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의 건물 구조체에 가해지는 충격음은 사람의 보행, 문의 개폐, 기물의 이동이나 설비기기의 가동 혹은 정지 등이 충격의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고체 전달음이 사방으로 전달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건물 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킴은 물론 공기 전달음으로 전환되어 주변의 사람들 귀에 들리게 될 때, 소음으로 인식되게 된다.
예를 들어, 물건의 낙하 등의 충격이 바닥에 가해지거나 의자를 옮기는 소리 등은 고체 전달음을 발생시키고, 이 고체 전달음이 바닥 슬래브를 통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층간소음이라 한다.
요즘에는, 이러한 층간소음문제가 공동주택에서 심각하게 대두되어 정부에서는 층간소음유발행위에 대해 경범죄처벌법의 인근 소란죄를 적용하여 범칙금을 부과하겠다고 발표하고, 심지어 층간소음으로 이웃간에 난투극이 벌어지는 사회 문제로 대두되어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더욱 강화, 개정되기에 이르렀다.
상기 규정에는 각 층간의 바닥충격음이 경량충격음은 58데시벨(dB)이하이어야 하고, 중량충격음은 50데시벨(dB)이하이거나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표준바닥구조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심각하게 대두되는 층간소음을 줄여 최소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기준으로 상부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이 형성되고, 그 상단으로 난방 배관과 마감용 몰탈층이 형성되며, 그 위에 모노륨이나 원목, 타일 등의 장식재로 된 바닥장식층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위의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이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고 있으나,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 등 소음을 제대로 흡수하거나 차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의 바닥구조로 건물을 시공한 경우, 예컨대 위층에서 아이들이 뛰어다니는 행위에 의해서 바닥에 가해진 충격으로 유발된 소음과 진동은 곧장 아래층으로 전달되고, 그 결과 건물의 쾌적성이 크게 저하되게 된다.
이로 인해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이나 충격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와 경량기포 콘크리트 사이에 층간소음 방지재를 형성하는 시공방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층간소음 방지재는 통상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공기층을 형성하는 뜬바닥 구조를 제공하는데,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의 경도가 40 이하이거나 80 이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의 경도가 20에서 40정도이므로 매우 유연하고, 신축성이 뛰어나 실제로 공동주택의 슬래브면에 기존의 상기 층간소음 방지재를 깔고 그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마감 몰탈을 타설하면 경량 콘크리트와 몰탈의 무게(1m×1m 당 170㎏)에 눌려져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가 슬래브면에 붙어버려 공기층이 전혀 형성되지 못하여, 진동과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이 상실되어 버려 소음차단 효과가 매우 경미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이러한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의 경도가 80 이상인 경우 공기층은 형성할 수 있으나, 돌기가 슬래브면에 붙어 있어 소음이 경도가 강한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를 통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공기층이 확보한 소음차단 효과를 상쇄시켜 버린다.
그 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층간소음 방지재도 매우 종류가 많고 다양하지만 모두가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슬래브면에 밀착되어 깔려 있음으로서 소음 차단 효과가 크지 않다. 예를 들면 기존의 층간소음 방지재는 주로 스티로폼 단열재나 기타 합성수지 발포 시트를 공동주택의 슬래브면에 깔고 그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몰탈을 타설하는 형태이므로 소음이 차단되지 못하고 전달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소음을 차단하는 구조에서 차음재로 유연한 재질의 것을 사용할 경우 바닥의 안정성을 해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층간 바닥에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구조를 두되, 설치가 간편하면서 바닥면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게 구성되고, 공기층이 형성되어 진동이나 소음의 전달이 용이하지 않게 구성한 진동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슬래브콘크리트(1) 상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1차몰탈(10); 합성수지 재질로 두께 0.5mm ~ 0.8mm의 수평판(21)을 형성하고, 수평판(21)의 저면과 상면에 같은 수직선상으로 수직돌기(22)가 다수개 형성되며, 수직돌기(22)는 4 ~ 6mm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수직돌기(22)는 수평판(21)에서 각각 3 ~ 5 mm의 높이로 형성되며, 1차몰탈(10)이 도포된 상태에서 수평판(21)의 저면에 형성된 수직돌기(22)가 1차몰탈(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돌기판(20); 하부돌기판(20)의 수평판(21) 상면에 형성된 수직돌기(22) 사이에 그라우팅되되 수직돌기(22) 4 ~ 7칸 간격으로 그라우팅되는 발포우레탄(30); 하부돌기판(20)과 동일한 재질과 형상으로 수평판(41)과 수직돌기(42)가 형성되고, 수평판(41) 저면에 형성된 수직돌기(42)가 하부돌기판(20)의 상면에 형성된 수직돌기(32) 사이에 삽입되어 서로 견고하게 지지되며, 하부돌기판(20)의 상부에 적층되어 발포우레탄(30)이 굳으면서 서로 고정되는 상부돌기판(40); 상부돌기판(40)의 상면에 타설되어 양생되는 2차몰탈(50); 2차몰탈(50)의 상면에 배관(2)이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는 마감콘크리트(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슬래브콘크리트(1)의 상면에 5mm의 두께로 균일하게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래브콘크리트 상부에 1차몰탈 타설 단계(100); 1항의 하부돌기판(20)을 1차몰탈(10)이 타설된 위에 적층한 후에 20kg 이상의 판체를 위에 올려놓고 1차몰탈(10)을 양생하는 하부돌기판 적층 단계(200); 발포우레탄(30)을 하부돌기판(20)의 상면의 수직돌기(22) 4 ~ 7칸 간격으로 그라우팅하는 발포우레탄 그라우팅 단계(300); 1항의 상부돌기판(40)을 그라우팅된 발포우레탄(30)과 하부돌기판(20)의 상부에 적층한 뒤에 20Kg 이상의 판체를 위에 올려놓고 발포우레탄(30)을 고화시키는 상부돌기판 적층 단계(400); 상부돌기판(40)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2차몰탈 타설 단계(500); 양생된 2차몰탈(50)의 위에 보일러 배관을 포함한 배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배관 및 마감콘크리트 작업 단계(600);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하부돌기판과 상부돌기판이 겹쳐진 사이에 공기가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부에 의하여 진동과 소음이 전달되는 것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1차몰탈과 2차몰탈에 의해 하부돌기판과 상부돌기판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1차몰탈과 2차몰탈은 경량기포콘크리트로 형성하여 진동과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하부돌기판과 상부돌기판이 겹쳐진 구조는 건축물의 바닥면을 견고하게 지탱하면서 공기층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규격범위에서 비용대비 가장 견고하고 효율적인 소음 저감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의 하부돌기판과 상부돌기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시공방법을 도시한 작업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시공방법에서 슬래브콘크리트 상부에 1차몰탈이 타설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시공방법에서 1차몰탈 위에 하부돌기판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시공방법에서 하부돌기판의 상면 여러곳에 발포우레탄이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시공방법에서 하부돌기판의 상부에 상부돌기판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시공방법에서 상부돌기판 상면에 2차몰탈이 타설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시공방법에 의하여 바닥구조가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콘크리트(1)를 기존의 슬래브콘크리트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고, 슬래브콘크리트(1)의 위에 1차몰탈(10)을 도포하고, 1차몰탈(10) 위에 하부돌기판(20)을 적층하며, 하부돌기판(20) 위에 발포우레탄(30)을 일정 간격마다 그라우팅하여 상부돌기판(40)을 적층하고, 상부돌기판(40) 위에 2차몰탈(50)을 타설하여 양생하며, 2차몰탈(50) 위에 마감콘크리트(60)로 마감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1차몰탈(10)은 건축물의 슬래브콘크리트(1) 상면에 5mm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되어 형성된다. 1차몰탈(10)은 경량기포콘크리틀 사용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면서 하부돌기판(20)을 고정한다.
하부돌기판(20)은 내열과 강성이 유지되는 합성수지 재질로 두께 0.5mm ~ 0.8mm의 수평판(21)을 형성하고, 수평판(21)의 저면과 상면에 같은 수직선상으로 수직돌기(22)가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돌기(22)는 같은 수직선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그재그로 형성할 수도 있다.
수직돌기(22)는 4 ~ 6mm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수직돌기(22)는 수평판(21)에서 각각 3 ~ 5 mm의 높이로 형성되며, 1차몰탈(10)이 도포된 상태에서 수평판(21)의 저면에 형성된 수직돌기(22)가 1차몰탈(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1차몰탈(10)이 완전히 양생되면, 하부돌기판(20)의 상면에 형성된 수직돌기(22)의 사이에 발포우레탄(30)을 그라우팅한다. 발포우레탄(30)은 수직돌기(22) 4 ~ 7칸 간격으로 그라우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4 ~ 7칸 간격으로 발포우레탄(30)이 형성되므로 발포우레탄(30)은 하부돌기판(20)과 상부돌기판(40) 사이의 고정역할과 소음과 진동 전달 저감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상부돌기판(40)은 하부돌기판(20)과 동일한 재질과 형상으로 수평판(41)과 수직돌기(42)가 형성되고, 수평판(41) 저면에 형성된 수직돌기(42)가 하부돌기판(20)의 상면에 형성된 수직돌기(32) 사이에 삽입되어 서로 견고하게 지지된다.
동일한 길이의 수직돌기(42)가 하부돌기판(20)의 수직돌기(22) 사이에 위치하면서 하부돌기판(20)의 수평판(21)을 지지하므로 2중의 지지효과가 발생한다.
상부돌기판(40)은 하부돌기판(20)의 상부에 적층되어 발포우레탄(30)이 굳으면서 서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부돌기판(40)의 상면에 2차몰탈(50)이 타설되어 양생된다. 2차몰탈(50)은 1차몰탈과 마찬가지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타설한다.
2차몰탈(50)의 상면에 보일러 등의 배관(2)이 설치되고 마감콘크리트(60)가 타설되어 양생되면서 마감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의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의 시공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차몰탈 타설단계(100)에서 슬래브콘크리트(1)의 상면에 5mm의 두께로 균일하게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고, 1차몰탈(10)이 완전히 굳기전에 하부돌기판 적층 단계(200)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 전술한 하부돌기판(20)을 1차몰탈(10)이 타설된 위에 적층한 후에 20kg 이상의 판체를 위에 올려놓고 1차몰탈(10)이 완전히 굳을 때까지 방치한다.
발포우레탄 그라우팅 단계(300)에서 발포우레탄(30)을 하부돌기판(20)의 상면의 수직돌기(22) 4 ~ 7칸 간격으로 그라우팅하고, 그 위에 상부돌기판(40)을 적층하여 하부돌기판(20)과 고착화하는 상부돌기판 적층단계(400)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 전술한 상부돌기판(40)을 그라우팅된 발포우레탄(30)과 하부돌기판(20)의 상부에 적층한 뒤에 20Kg 이상의 판체를 위에 올려놓고 발포우레탄(30)을 고화시킨다. 이때 발포우레탄(30)은 열가소발포성을 가진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2차몰탈 타설단계(500)에서 상부돌기판(40)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2차몰탈(500)은 상부돌기판(40)의 수직돌기(42)를 완전히 덮을 정도의 높이로 타설한다.
이와 같은 소음 저감구조위에 보일러 등의 배관(2)을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배관 및 마감콘크리트 작업 단계(600)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1 : 슬래브콘크리트 2 : 보일러배관
10 : 1차몰탈 20 : 하부돌기판
21 : 수평판 22 : 수직돌기
30 : 발포우레탄 40 : 상부돌기판
41 : 수평판 42 : 수직돌기
50 : 2차몰탈 60 : 마감콘크리트
100 : 슬래브콘크리트 상부에 1차몰탈 타설 단계
200 : 하부돌기판 적층 단계
300 : 발포우레탄 그라우팅 단계
400 : 상부돌기판 적층 단계
500 : 2차몰탈 타설 단계
600 : 배관 및 마감콘크리트 작업 단계

Claims (2)

  1. 건축물의 슬래브콘크리트(1) 상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1차몰탈(10);
    합성수지 재질로 두께 0.5mm ~ 0.8mm의 수평판(21)을 형성하고, 수평판(21)의 저면과 상면에 같은 수직선상으로 수직돌기(22)가 다수개 형성되며, 수직돌기(22)는 4 ~ 6mm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수직돌기(22)는 수평판(21)에서 각각 3 ~ 5 mm의 높이로 형성되며, 1차몰탈(10)이 도포된 상태에서 수평판(21)의 저면에 형성된 수직돌기(22)가 1차몰탈(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돌기판(20);
    하부돌기판(20)의 수평판(21) 상면에 형성된 수직돌기(22) 사이에 그라우팅되되 수직돌기(22) 4 ~ 7칸 간격으로 그라우팅되는 발포우레탄(30);
    하부돌기판(20)과 동일한 재질과 형상으로 수평판(41)과 수직돌기(42)가 형성되고, 수평판(41) 저면에 형성된 수직돌기(42)가 하부돌기판(20)의 상면에 형성된 수직돌기(32) 사이에 삽입되어 서로 견고하게 지지되며, 하부돌기판(20)의 상부에 적층되어 발포우레탄(30)이 굳으면서 서로 고정되는 상부돌기판(40);
    상부돌기판(40)의 상면에 타설되어 양생되는 2차몰탈(50);
    2차몰탈(50)의 상면에 배관(2)이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는 마감콘크리트(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2. 슬래브콘크리트(1)의 상면에 5mm의 두께로 균일하게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래브콘크리트 상부에 1차몰탈 타설 단계(100);
    1항의 하부돌기판(20)을 1차몰탈(10)이 타설된 위에 적층한 후에 20kg 이상의 판체를 위에 올려놓고 1차몰탈(10)을 양생하는 하부돌기판 적층 단계(200);
    발포우레탄(30)을 하부돌기판(20)의 상면의 수직돌기(22) 4 ~ 7칸 간격으로 그라우팅하는 발포우레탄 그라우팅 단계(300);
    1항의 상부돌기판(40)을 그라우팅된 발포우레탄(30)과 하부돌기판(20)의 상부에 적층한 뒤에 20Kg 이상의 판체를 위에 올려놓고 발포우레탄(30)을 고화시키는 상부돌기판 적층 단계(400);
    상부돌기판(40)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2차몰탈 타설 단계(500);
    양생된 2차몰탈(50)의 위에 보일러 배관을 포함한 배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배관 및 마감콘크리트 작업 단계(600);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시공방법.
KR1020100083315A 2010-08-27 2010-08-27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01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315A KR101001590B1 (ko) 2010-08-27 2010-08-27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315A KR101001590B1 (ko) 2010-08-27 2010-08-27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590B1 true KR101001590B1 (ko) 2010-12-17

Family

ID=4351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315A KR101001590B1 (ko) 2010-08-27 2010-08-27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5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980B1 (ko) 2020-03-13 2020-07-23 나홍남 건축물의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21119B1 (ko) 2020-08-12 2021-02-26 윤이중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KR102383131B1 (ko) 2021-08-25 2022-04-08 윤이중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6422A (ja) 2005-07-05 2007-01-25 Daiwa House Ind Co Ltd 遮音壁の構造
KR100686210B1 (ko) 2006-02-22 2007-02-26 김용일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0734182B1 (ko) 2007-02-16 2007-07-03 (주)진아건축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6422A (ja) 2005-07-05 2007-01-25 Daiwa House Ind Co Ltd 遮音壁の構造
KR100686210B1 (ko) 2006-02-22 2007-02-26 김용일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0734182B1 (ko) 2007-02-16 2007-07-03 (주)진아건축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980B1 (ko) 2020-03-13 2020-07-23 나홍남 건축물의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21119B1 (ko) 2020-08-12 2021-02-26 윤이중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KR102383131B1 (ko) 2021-08-25 2022-04-08 윤이중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5259A (en) Sound rated floor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KR101548985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바닥 구조물
KR101000406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KR101324261B1 (ko) 공동주택의 층간바닥구조
KR100770004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200480368Y1 (ko) 해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층간 소음방지 패드
KR101001590B1 (ko)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98282B1 (ko) 층간 소음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KR20180029335A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
KR100908920B1 (ko)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구조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1429754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KR101828708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50890B1 (ko) 층간소음 방지재와 측벽소음 방지재 및 이들을 이용한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100721850B1 (ko) 에어홀을 갖는 층간 차음시트
KR20210058593A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차음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011949B1 (ko) 보일러배관이 일체화된 건축물의 소음 저감 층간 바닥 구조
KR20200018884A (ko) 주택 건축물의 층간소음 바닥패널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70794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KR101207288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61318B1 (ko) 건물 바닥 층간 소음방지패널 구조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100758599B1 (ko) 건축바닥 층간 소음차단 시설구조
KR100817253B1 (ko) 층간소음 방지재의 지지대 결합 구조
KR20180092043A (ko) 층간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