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167B1 -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167B1
KR101479167B1 KR20140034947A KR20140034947A KR101479167B1 KR 101479167 B1 KR101479167 B1 KR 101479167B1 KR 20140034947 A KR20140034947 A KR 20140034947A KR 20140034947 A KR20140034947 A KR 20140034947A KR 101479167 B1 KR101479167 B1 KR 101479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ound
layer
slab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관
조재영
Original Assignee
박래관
조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래관, 조재영 filed Critical 박래관
Priority to KR2014003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원은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강철이나 FRP 재질을 이용하여 5~70㎜ 범위의 높이와 폭으로 연속굴곡부를 형성하고 굴곡경사면의 바닥기준으로 1/2~2/3 높이 위치에서 횡으로 일정간격으로 통공(hole)이 뚫려진 구조로 뜬 바닥 구조체를 만들어 저비용구조로 층간소음 저감효과를 도모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본원은 건축물의 상,하층을 구분하는 층간 슬라브 바닥층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으로 상기 구성의 뜬 바닥 구조체를 만들어서 타 층간소음재와 함께 사용됨으로 슬라브 바닥층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는 층간소음 저감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원의 기술구성이 반영된 모델제품의 실험결과로부터 경량충격음 경량충격음 을 얻는 결과를 확인하여 특허출원에 이르게 된 발명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Reduce noise floors and structure reduce noise between floors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단계 또는 보수단계에서 아래층과 윗 층을 구획하는 바닥체를 이루는 슬라브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층간소음저감수단이 강철이나 FRP 재질을 이용하여 5~70㎜ 범위의 높이와 폭으로 연속굴곡부를 형성하고 굴곡경사면의 횡으로 일정간격으로 통공(hole)이 뚫려진 구조로 뜬 바닥 구조체를 만들어서 타 층간소음재와 함께 사용됨으로 슬라브 바닥층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는 구성의 층간소음 저감수단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아파트나 오피스 등의 생활공간에서 층간소음으로 많은 민원이 발생하고 소송문제로 비화하고 있는 현실인바, 일반 건축물의 충격음은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으로 구분하여, "경량충격음"이란 작은 물건이 바닥에 떨어지거나 가구 이동시 바닥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아래층에 전달되는 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중/고 주파수 대역이 다소 높으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소음도가 비슷한 특성을 갖으며, 공동주택 건물인 경우 최근 소음규제 45dB 이하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중량충격음"이란 어린이 등이 뛰거나 달릴 경우, 성인이 걸을 때 발생되는 소리 등을 의미하고 저주파 대역에서 매우 높고 고주파 대역으로 갈수록 소음도가 낮아지는 특성을 가지며, 공동주택 건물의 경우 45 dB 이하로 요구하고 있는바, 본원 발명자가 개시한 층간소음 저감구조에 대하여 얼마 정도의 소음저감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재단법인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KOMERI)에 소음저감효과 측정실험을 요청한 결과에서, Bang machine을 이용한 실험결과로 중량충격음이 44 dB로 측정되었으며, Impact ball에 따른 중량충격음 실험결과에서는 38 dB로 통보되었고, 경량충격음을 확인하기 위해 Tapping machine을 이용하여 경량충격음이 측정된 실험결과는 36 dB로 측정결과가 통보되는 결과를 확인하여 ㅌ특허출원에 이르게 되었다.
건축물의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공법은 크게 구조체를 증가시키는 방법, 마감재를 개선시키는 방법, 바닥구조 내부에 완충재를 삽입하는 방법, 흡음천정구조로 설계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서 일반 건축물에서 경량충격음이나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일 적용예의 기술을 도 1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도 1은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서 적용되는 바닥 슬라브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건물의 위층과 아래층을 구획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층(1)과, 단열을 위해 콘크리트 슬라브층(1)위에 타설되어 단열재 역할을 하기 위한 경량 발포 콘크리트층(2)과, 경량 발포 콘크리트층(2) 상부로 설치되는 소음저감재층(3)과 실내난방용 난방배관(4)이 매설되는 콘크리트몰탈층(5)과, 마감 몰탈층(5) 위에 설치되는 바닥 마감재(6)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면 시공형태로 적용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콘크리트 슬라브 구조는 바닥 마감재(6)와 충돌로 발생되는 바닥 충격음 중 특히 경량충격음은 바닥마감재(6)와 단열재(발포성 연질의 재료 등) 등에 의해 저감되어 아래층으로 전달되더라도 법적 규정치 내의 소음만이 전달되도록 시공하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하나, 충격이 바닥마감재(6)와 충돌로 발생되는 바닥 충격음, 특히 중량 충격음은 아래층의 천정 면에 진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2차 소음(secondary noise)과, 벽체의 떨림(진동을 말함)으로 인한 상층 충격음이 아래층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생활공간을 침해하는 문제로 다양한 민원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민원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층의 천정면 또는 벽체에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충격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층의 두께를 증대시키게 되면 건축물의 전체적인 높이가 증가되고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 외에 건축물의 하중이 증가하여 건축물의 안전관리 문제가 새롭게 대두 되고 있다.
층간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뜬 바닥 구조체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의 일 적용예로 공개특허 2010년 제40983호에서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를 구성하는 주슬래브층과 경량기포큰크리트층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에어백을 이용하여 상부층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빈 공간의 공기층이 바닥구조의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소음이나 진동의 전달을 감소하고자 하는 시도를 갖고 건물의 층간바닥을 형성하는 슬래브층과 상기 슬래브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의 상부에 배치되는 판구조의 상부지지보드와 상부지지보드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에어백 내장형 뜬 바닥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10-0671455호에서는 공동주택건물의 층간소음 방지구조로서,건물의 상층과 하층을 구분하는 층간 슬라브의 상부 바닥층에 빈공간을 형성하여 충격음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뜬 바닥 구조체를 설치하고, 뜬 바닥 구조체 위에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가 깔려 있으며, 단열재 위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량기포콘크리트층 위에는 바닥재가 설치되어 있고, 층간 슬라브의 하부에는 상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차음재가 설치되며 천정 지지목을 설치하기 위한 앙카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벽면과 만나는 외주면에는 슬라브 단열재가 설치되고, 앙카에는 지지목이 부착되어 있으며, 지지목에는 석고보드와 같은 천정재가 고정되어 하층의 천정을 이루도록 제시되는 기술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뜬 바닥구조의 특허기술은 시공비가 많이 소용되면서도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미비하여 크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갖고 부분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원은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강철이나 FRP 재질을 이용하여 5~70㎜ 범위의 높이와 폭으로 연속굴곡부를 형성하고 굴곡경사면에서 횡으로 적정간격으로 통공(hole)이 뚫려진 구조로 뜬 바닥 구조체를 만들어 저비용구조로 층간소음 저감효과를 도모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 발명이다.
본원은 건축물의 상,하층을 구분하는 층간 슬라브 바닥층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상기 구성의 뜬 바닥 구조체를 만들어서 타 층간소음재와 함께 사용됨으로 슬라브 바닥층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는 층간소음 저감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서, 건축물의 상,하층을 구분하는 층간 슬라브 바닥층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으로서, 강철이나 FRP 재질을 이용하여 5~50㎜ 범위의 높이와 폭으로 연속굴곡부를 형성하고 이 뚫려진 구조로 뜬 바닥 구조체를 만들어서 타 층간소음재와 함께 사용됨으로 슬라브 바닥층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도록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사상은 상기의 뜬 바닥 구조체가 사용될 때 슬라브 상부면에 먼저 제진시트나 단열재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가 깔리고 그 상부에 발포스폰지가 깔리며 그 상부에 본원에서 개시되는 뜬 바닥 구조체가 적층되고 또 다시 발포스폰지와 단열재가 깔리는 적층구조를 이룬 후 그 상부에 기포콘크리트층이 깔리고 그 상부로 배관층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바닥재가 깔리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뜬 바닥 구조체가 20㎜ 이상의 높이 규격으로 사용될 때는 뜬 바닥 구조체의 통공(hole) 저부에는 모래나 쇠똥부스러기 등의 중량재가 깔려 사용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건축물의 상,하층을 구분하는 층간 슬라브 바닥층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효과를 도모하도록 제공되는 층간소음저감재로서, 강철이나 FRP, 합성수지, 고무가공제품 중에서 선택되는 재질을 이용을 이용하여 5~70㎜ 범위의 높이와 폭으로 연속굴곡부를 형성하고 굴곡경사면의 바닥기준으로 1/2~2/3 높이 위치에서 횡으로 일정간격으로 통공(hole)이 뚫려진 구조로 뜬 바닥 구조체를 제공하여 저비용 구조로 층간소음 저감효과를 도모하고자 하는 발명으로서 건축물의 슬라브 상부에서 바닥부와 상부층의 중간위치에서 바닥하중을 지탱하며 뜬 바닥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소재는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재질 내부에 철심을 내장하여 뜬 바닥구조를 이루거나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도 이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원의 기술이 구체적으로 적용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 기재에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된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만들어진 샘플제품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슬라브층 두께를 증대시키지 않은 범위에서 건축물의 층간소음 규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지 확인하는 실험에서 건축물의 소음규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결과를 도 5에 제시된 실험성적서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고 최근 층간소음 발생문제를 많은 민원이 발생하는 분쟁문제를 저비용 구조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
도 1 : 종래 건축물에서 층간방음 구조를 이루기 위한 일반 적용예시도.
도 2 :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층간방음 구조를 이루기 위해 적용된 일 예시도.
도 3 :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뜬 바닥 구조체의 예시도.
도 4 : 본원의 기술사상이 층간방음 구조를 이루기 위해 변형되어 적용되는 예시도.
도 5 : 본원의 기술이 적용되어 층간방음구조를 이룬 결과에 대한 소음저감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결과 성적서.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발명의 실시예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원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는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을 제시한 것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며 본원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이루기 위해 슬라브 상부에 뜬 바닥 구조체를 형성하는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건축물의 상 하 구획을 형성하는 슬라브(100)의 상부 면에 제진시트 또는 단열재(10)가 깔리고 단열재(10) 상부에 합성수지 발포폼인 스폰지(20)가 깔리며 스폰지(20) 상부에 본원에서 개시되는 뜬 바닥 구조체로 층간소음차감재(30)가 적층되고 그 상부에 다시 스폰지(20)가 깔리며 스폰지(20) 상부로 단열재(10)가 깔리는 적층구조를 이룬 후 그 상부에 기포콘크리트층(40)이 일정 높이로 깔린 후 그 상부로는 마감몰탈층(50)이 갈리면서 온열배관(1)이 배열되고 마감몰탈층 상부로 바닥재(60)가 깔리는 구성을 이루고 슬라브의 벽체(110)쪽으로는 제진시트(10')가 깔리고 그 내측으로 상기 구조의 적층구조를 이루어서 층간소음 저감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는바, 스폰지(20)의 두께는 5~30㎜ 두께로 제공될 수 있고 스치로폼 단열재의 두께는 10~50㎜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층간소음차감재(30)의 일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a) 도면은 삼각구조로 연속 꺽임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차감재(30)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에서는 삼각형상의 꺽임 모서리에 약간의 단턱부가 형성된 구조의 층간소음차감재(30')로 제공될 수 있음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3c에서는 삼각형이 아닌 수직면 및 수평면 꺽임 구조가 연속되는 형태의 층간소음차감재(3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b)에서는 구멍(31)이 규칙적으로 일렬로 뚫린 구조이나 (c)에서는 구멍(31)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형태로 제공되는 층간소음차감재(30)는 산(H)의 높이가 5~70㎜ 범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층간소음차감재(30)의 경사면 또는 수직면에 뚫리는 구멍(hole)은 경사면 또는 수직면의 바닥기준으로 1/2 내지 2/3 높이 위치에 2~30㎜ 직경 크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구멍(hole)과 구멍 사이의 측면간격은 5~30㎜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층간소음차감재(30)는 강철 재질이나 또는 FRP 재질, 또는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철 구조물을 내장한 고무 등의 탄성재질을 이용하여 연속굴곡부를 형성하고 통공(31)이 뚫려진 구조로 뜬 바닥 구조체를 이룬 층간소음차감재(30)로 제공될 수 있으나 현장에서 건축물 바닥재의 하중을 이기고 높은 강도를 확보하며 저렴한 가격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층간소음차감재(30)의 일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에서는 슬라브(100)의 바닥면에 V홈 컷팅홈(11)이 형성되고 그 상부 면으로 제진시트(10')가 깔리고 제진시트(10') 상부에 합성수지 발포폼인 스폰지(20)가 깔리며 스폰지(20) 상부에 본원에서 개시되는 뜬 바닥 구조체인 층간소음차감재(30)가 적층되고 그 상부에 다시 스폰지(20)가 깔리며 스폰지(20) 상부로 단열재(10)가 깔리는 적층구조를 이룬 후 그 상부에 기포콘크리트층(40)이 일정 높이로 깔린 후 그 상부로는 마감몰탈층(50)이 갈리면서 온열배관(1)이 배열되고 마감몰탈층 상부로 바닥재(60)가 깔리는 구성으로 적용될 때 뜬 바닥 구조체의 일측부에서 예를 들면 5~10㎜ 직경을 갖는 에어벤트 배관(32)을 벽체(110)에 내장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상,하부 구조 사이에서 층간소음을 야기하는 발생음이 층간소음차감재(30) 사이의 통공(31) 및 뜬 바닥 구조에서 상,하부에 채워진 스폰지(20)에 흡수되면서 나머지 흡수되지 않는 잔음은 파이프 배관(3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에서는 벽체(110)에 파이프 배관(32)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적용에서는 벽체 쪽으로 제진시트(10')가 부착되는 부분이고 파이프 배관(32)을 갖는 부분은 일부의 모서리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것에 불과하나 벽체 쪽으로 흡수되지 않는 잔음을 배출하는 파이프 배관(32)을 갖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배관을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층간소음차감재(30)의 타 소음저감재와 함께 사용되는 적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슬라브(100)의 바닥면에 V홈 컷팅홈(11)이 형성되고 그 상부 면으로 제진시트(10')가 깔리고 제진시트(10') 상부에 합성수지 발포폼인 스폰지(20)가 깔리며 스폰지(20) 상부에 뜬 바닥 구조체인 층간소음차감재(30)가 깔리는 구성을 이룰 때 예를 들면 층간소음차감재(30)의 높이(H)가 30㎜ 높이를 갖도록 제공되는 경우 구멍(31)은 상기 높이의 2/3 지점으로 바닥면 기준으로 20㎜ 높이 위치에 구멍이 뚫리는 구조를 이루고, 구멍(31)의 하단부로 바닥면 기준으로 15㎜ 높이 까지의 부위에는 모래(33)가 재치 되어 층간발생 소음원을 모래(여재)가 흡수하는 구성으로 적용되고, 뜬 바닥 구조체 상부에 다시 PU발포폼인 스폰지(20')가 깔리며 스폰지(20') 상부로 단열재(10')가 깔리는 적층구조를 이룬 후 도 2나 도 3과 같이 그 상부로 기포콘크리트층을 갖지 않고 보강구조의 발포단열층(70)이 일정 높이로 깔린 후 그 상부로는 마감몰탈층(50)이 갈리면서 온열배관(1)이 배열되고 마감몰탈층 상부로 바닥재(60)가 깔리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보강구조의 발포단열층(70)은 하중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삼발이 구조체를 내장하고 합성수지를 발포시켜 높은 강도를 갖고 차음 및 단열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용될 수 있는바, 도 2나 도 4a와 같이 본원의 뜬 바닥 구조체인 층간차음재(30)에 기포콘크리트층(40)을 갖는 구조는 습식공법 형태로 적용할 수 있고, 도 4b와 같이 본원의 층간소음차감재(30)에 보강구조의 발포단열층(70)을 갖는 구조는 건식공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시된 층간소음차감재(30)가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에 대하여 얼마 정도의 소음저감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층간소음측정 전문기관인 재단법인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KOMERI)에 소음저감효과 측정실험을 2014.01.17.자로 요청하였으며,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슬라브바닥면에 EPS 단열재 10㎜ + PU발포폼 10mm + 철판으로 절곡되어 제공되는 층간소음차감재(30)의 높이가 10mm + PU발포폼 10mm + EPS 단열재의 적층구조를 이루고 KS F 2810-1(2001), KS F 2810-2(2012), KS F 2863-1(2002), KS F 2863-2(2007) 시험규격에 따른 Bang machine을 이용한 실험결과로 중량충격음이 44 dB로 측정되었으며, Impact ball에 따른 중량충격음 실험결과에서는 38 dB로 통보되었고, 경량충격음을 확인하기 위해 Tapping machine을 이용하여 경량충격음이 측정된 실험결과는 36 dB로 측정결과가 통보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고, 따라서 본원 구성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만들어진 샘플제품이 건축물의 슬라브층 두께를 증대시키지 않은 범위에서 건축물의 층간소음 규제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최근 층간소음 발생문제를 많은 민원이 발생하는 분쟁문제를 저렴한 시공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특허출원에 이르게 되었다.
상기에서 언급된 보강구조의 발포단열층(70)은 등록특허 제811747호에서 개시된 삼발이 구조체를 이용하여 적용하였으며, 제진시트는 동경방음(주)에서 D-40-HS제품으로 폭 40 * 길이 1000 * 두께 3mm 규격으로 제공되는 방진.방음 테이프를 절단하여 실험적으로 사용하여 적용하였다.
10 : 단열재 10' : 제진시트
11 : V홈 컷팅부 20 : 스폰지
30 : 층간소음차감재 31 : 구멍
32 : 에어벤트 배관 33 : 모래
40 : 기포콘크리트층 50 : 마감몰탈층
60 : 바닥재 70 : 보강발포단열층
100 : 슬라브층 110 : 벽체

Claims (4)

  1. 건축물의 상,하층을 구분하는 층간 슬라브 바닥층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있어서,
    강철이나 FRP 재질을 이용하여 5~70㎜ 범위의 높이와 폭으로 연속굴곡부를형성하고 굴곡경사면의 바닥기준으로 1/2~2/3 높이 위치에서 횡으로 5~30㎜ 범위로 통공(hole)이 뚫려진 구조로 뜬 바닥 구조체를 만들어서 타 층간소음재와 함께 사용되어 슬라브 바닥층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고 잔음은 에어벤트 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뜬 바닥 구조체와 함께 사용되는 타 층간소음재는 슬라브 상부면에 먼저 단열재가 깔리고 그 상부에 발포스폰지가 깔리며 그 상부에 뜬 바닥 구조체가 적층되고 뜬 바닥 구조체 상부로 발포스폰지 및 단열재가 깔리는 적층구조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뜬 바닥 구조체가 20㎜ 이상의 높이 규격으로 사용될 때는 뜬 바닥 구조체의 통공(hole) 저부로 모래가 깔려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방법.

  4. 건축물의 상,하층을 구분하는 층간 슬라브 바닥층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효과를 도모하도록 제공되는 층간소음저감재에 있어서,
    강철이나 FRP,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재질을 이용하여 5~70㎜ 범위의 높이와 폭으로 연속굴곡부를 형성하고 굴곡경사면의 바닥기준으로 1/2~2/3 높이 위치에서 횡으로 5~30㎜ 범위로 통공(hole)이 뚫려진 구조로 뜬 바닥 구조체를 이루고 타 층간소음재와 함께 사용되어 슬라브 바닥층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고 잔음은 에어벤트 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적용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저감재.
KR20140034947A 2014-03-25 2014-03-25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1479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4947A KR101479167B1 (ko) 2014-03-25 2014-03-25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4947A KR101479167B1 (ko) 2014-03-25 2014-03-25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167B1 true KR101479167B1 (ko) 2015-01-05

Family

ID=5258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4947A KR101479167B1 (ko) 2014-03-25 2014-03-25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1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31B1 (ko) 2015-05-19 2015-08-06 박래관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956825B1 (ko) * 2018-08-27 2019-03-12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CN111550002A (zh) * 2020-05-29 2020-08-18 南京林业大学 一种高刚度高阻尼的浮筑楼板弹性垫层
CN115158536A (zh) * 2022-07-20 2022-10-11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用消音舱壁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88Y1 (ko) 2004-04-27 2004-08-02 이형기 공동주택용 온돌 바닥의 층간 소음방지패널
KR100598158B1 (ko) * 2005-12-14 2006-07-12 주식회사운하그룹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충격흡수 바닥패널
KR20100001487U (ko) * 2008-07-31 2010-02-10 강승구 방음벽 부재 및 방음벽
KR20120003557A (ko) * 2010-07-05 2012-01-11 김동현 경량 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의 흡수를 위한 층간차음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88Y1 (ko) 2004-04-27 2004-08-02 이형기 공동주택용 온돌 바닥의 층간 소음방지패널
KR100598158B1 (ko) * 2005-12-14 2006-07-12 주식회사운하그룹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충격흡수 바닥패널
KR20100001487U (ko) * 2008-07-31 2010-02-10 강승구 방음벽 부재 및 방음벽
KR20120003557A (ko) * 2010-07-05 2012-01-11 김동현 경량 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의 흡수를 위한 층간차음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31B1 (ko) 2015-05-19 2015-08-06 박래관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956825B1 (ko) * 2018-08-27 2019-03-12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CN111550002A (zh) * 2020-05-29 2020-08-18 南京林业大学 一种高刚度高阻尼的浮筑楼板弹性垫层
CN115158536A (zh) * 2022-07-20 2022-10-11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用消音舱壁结构
CN115158536B (zh) * 2022-07-20 2023-12-22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用消音舱壁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1723976B1 (ko) 소음 차단 이중 슬라브 구조가 적용된 건축물
KR101000406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KR100718701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101929628B1 (ko) 층간소음 차음재
KR101324261B1 (ko) 공동주택의 층간바닥구조
KR102403744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70004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100762925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101828708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29335A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
KR100718698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721850B1 (ko) 에어홀을 갖는 층간 차음시트
KR200433766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998282B1 (ko) 층간 소음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KR20100001719U (ko) 층간소음차단용 소음 방지 조립체
KR100750890B1 (ko) 층간소음 방지재와 측벽소음 방지재 및 이들을 이용한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428590B1 (ko)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001590B1 (ko)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21085Y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KR200378892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