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076B1 -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6076B1 KR101576076B1 KR1020150129435A KR20150129435A KR101576076B1 KR 101576076 B1 KR101576076 B1 KR 101576076B1 KR 1020150129435 A KR1020150129435 A KR 1020150129435A KR 20150129435 A KR20150129435 A KR 20150129435A KR 101576076 B1 KR101576076 B1 KR 1015760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ing
- support
- buffer
- cushioning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405 prev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20 waste ty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monolit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54—Soundproof supporting of building elements, e.g. stairs, floor slabs or beams, on a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14—Sound-absorbing elements with non-planar face, e.g. curved, egg-crate 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온수파이프가 함침되도록 설치되고 상면에 마감층이 위치되며 저면에 완충시트가 배치되고 건축물의 층간을 이루는 슬래부의 상면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시공되는 시멘트 모르타르층; 상기 완충시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매트부재; 상기 매트부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패널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완충작용을 행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완충부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완충부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측 방향으로 변환시켜 분산시키도록 복수 개가 하나의 상기 완충부를 지지하도록 일단부에 지지홈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작동로드 및 제한돌기가 형성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작동로드 및 상기 제한돌기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지지블록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완충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파이프가 설치되는 시멘트 모르타르층과 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시트 및 매트부재에 의해 1차 및 2차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고, 베이스패널, 지지부재 및 완충부의 작동에 의해 3차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며, 지지블록 및 판스프링에 의해 4차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고, 완충블록에 의해 5차 완충작용이 이루어져 슬래브의 상측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하층부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 등의 2층 이상 건축물의 통상적인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슬래브(slab)를 건물의 층수에 따라 시공하여 기초공사를 완료 한 다음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난방 배관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자갈과 시멘트 모르타르를 소정두께로 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아파트, 고층빌딩 등과 같은 적층식 다층 건물의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slab)는 콘크리트만으로 시공됨에 따라 건물의 해당 층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 층간 슬래브를 통하여 바로 아래층으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의 건물 구조체에 가해지는 충격음은 사람의 보행, 문의 개폐, 기물의 이동이나 설비 기기의 가동 혹은 정지 등이 충격의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고체 전달 음이 사방으로 전달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건물 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킴은 물론 공기 전달 음으로 전환되어 주변의 사람들 귀에 들리게 될 때 소음으로 인식되게 된다.
예컨대, 물건 낙하 등의 충격이 바닥에 가해지거나 의자를 옮기는 소리 등은 고체 전달 음을 발생시키고, 이 고체 전달 음이 바닥 슬래브를 통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층간소음이라 한다.
요즘에는 이러한 층간소음문제가 공동주택에서 심각하게 대두되어 정부에서는 층간소음유발행위에 대해 경범죄처벌법의 인근 소란 죄를 적용하여 범칙금을 부과하겠다고 발표하고, 심지어 층간소음으로 이웃 간에 난투극이 벌어지는 사회 문제로 대두되어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더욱 강화, 개정되기에 이르렀다.
상기한 규정에는 각 층간의 바닥충격음이 경량충격음은 58데시벨(dB) 이하이어야 하고, 중량충격음은 50데시벨(dB) 이하이거나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표준바닥구조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심각하게 대두되는 층간소음을 줄여 최소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기준으로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층이 형성되고, 그 상단으로 난방 배관과 마감용 모르타르 층이 형성되며, 그 위에 모노륨이나 원목, 타일 등의 장식재로 된 바닥장식 층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위의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형성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층이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고 있으나,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 등의 소음을 제대로 흡수하거나 차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의 바닥구조로 건물을 시공한 경우, 예컨대 위층에서 아이들이 뛰어다니는 행위에 의해서 바닥에 가해진 충격으로 유발된 소음과 진동은 곧장 아래층으로 전달되고 그 결과 건물의 쾌적성이 크게 저하된다.
이로 인해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이나 충격을 차단하기 위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로 매우 종류가 많고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지만 모두가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슬래브 면에 밀착되어 깔려 있음으로서 소음 차단 효과가 크지 않다.
예를 들면 기존의 층간소음 방지재는 주로 스티로폼 단열재나 기타 합성수지 발포 시트를 공동주택의 슬래브 면에 깔고 그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형태이므로 소음이 차단되지 못하고 전달되는 단점이 있다.
그 외에 폐타이어를 분쇄하여 얻은 고무 칩과 발포 폴리에스텔을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재가 사용되어 있었으나 현실정상 대량생산이 불가능하고 경제성이 없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고무체의 원재료인 폐타이어는 자원재생효과는 물론 구입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 반면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어 수집시 물류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 비이더 와이어(bead wire)로 인한 선별적인 이용률 등으로 고무 칩의 제조원가가 비쌀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 이러한 고무 칩을 층간 소음방지재로서의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타르(tar)를 함침하고 그 일면이나 양면에 적정두께의 발포폴리에스텔을 접착해 주어야 하나 접착시 양 재질의 특성인 기공과 넓은 접착면으로 인하여 접착제가 많이 소요되므로 이 또한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어 비싼 단가로 인하여 일부 고급주택에만 적용될 뿐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제조시설 또한 경제성이 없는 관계로 영세성을 면하지 못하고 있어 대량생산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고무 칩과 발포 폴리에스텔을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재는 기공과 복원력 및 탄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이는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승된 효과를 얻게 되는 구조이므로 주거용으로서 필요한 만큼의 소음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두께가 두꺼울 수밖에 없어 실내공간을 그만큼 더 빼앗기게 되고 이러한 구조의 층간 소음방지재는 재질의 특성상 판재형으로 구분되므로 제조시 길이를 길게 형성해 줄 수 없어 취급 및 보관이 불편하고 짜맞추기식 시공으로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3476호(2013년 10월 31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건물용 층간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는 슬래브와 바닥 마감재 사이에 개재되도록 시공되기 때문에 층간소음을 발생시키는 충격이 가해질 때에 층간소음 방지재가 압축 또는 팽창되는 작용에 의해 충격을 충분이 상쇄시키기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온수파이프가 설치되는 시멘트 모르타르층과 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시트 및 매트부재에 의해 1차 및 2차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고, 베이스패널, 지지부재 및 완충부의 작동에 의해 3차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며, 지지블록 및 판스프링에 의해 4차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고, 완충블록에 의해 5차 완충작용이 이루어져 슬래브의 상측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하층부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온수파이프가 함침되도록 설치되고 상면에 마감층이 위치되며 저면에 완충시트가 배치되고 건축물의 층간을 이루는 슬래부의 상면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시공되는 시멘트 모르타르층; 상기 완충시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매트부재; 상기 매트부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패널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완충작용을 행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완충부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완충부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측 방향으로 변환시켜 분산시키도록 복수 개가 하나의 상기 완충부를 지지하도록 일단부에 지지홈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작동로드 및 제한돌기가 형성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작동로드 및 상기 제한돌기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지지블록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완충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완충부는,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스토퍼와 걸림결합되도록 상면에 상기 기둥부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공간 상단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곡면부가 구비되는 곡면캡부재; 및 상기 스토퍼와 상기 곡면캡부재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완충블록은, 상기 작동로드 및 상기 제한돌기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케이스가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케이스의 단부를 연결하며 압입홈부가 형성되는 바닥프레임; 상기 압입홈부에 삽입되는 압입돌기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면홀부 및 측면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프레임과 결합되는 완충케이스;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케이스의 상단과 상기 완충케이스 상단 저면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면홀부를 통해 출몰되는 탄성블록이 구비되는 상면패널;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상면패널을 지지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가이드케이스의 내벽과 상기 제한돌기 사이에 개재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은, 온수파이프가 설치되는 시멘트 모르타르층과 슬래브 사이에 완충시트, 매드부재, 베이스패널, 지지부재, 지지블록 및 와충블록이 설치되므로 시멘트 모르타르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5차에 걸쳐 완충시킬 수 있어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은, 수직방향으로 베이스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면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블록이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충격을 측 방향으로 분산시키면서 효과적인 완충작용이 이루어져 층간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은, 사각모양으로 형성되는 완충블록 각각의 측면에 지지블록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건축물의 바닥 모양에 따라 다수 개의 완충블록과 다수 개의 지지블록을 다양한 모양으로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구조의 건축물에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의 지지부재, 지지블록 및 완충블록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의 지지부재, 지지블록 및 완충블록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의 지지부재, 지지블록 및 완충블록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의 지지부재, 지지블록 및 완충블록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의 지지부재, 지지블록 및 완충블록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의 지지부재, 지지블록 및 완충블록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의 지지부재, 지지블록 및 완충블록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의 지지부재, 지지블록 및 완충블록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의 지지부재, 지지블록 및 완충블록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은, 복수 개의 온수파이프(7)가 함침되도록 설치되고 상면에 마감층(3)이 위치되며 저면에 완충시트(10)가 배치되고 건축물의 층간을 이루는 슬래부의 상면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시공되는 시멘트 모르타르층(5)과, 완충시트(10)의 저면을 지지하는 돌출부(18a)를 구비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매트부재(18)와, 매트부재(18)의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패널(30)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34), 지지판(34)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기둥부(36) 및 기둥부(3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지지판(34)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완충작용을 행하는 완충부(38)를 포함하는 지지부재(32)와, 완충부(38)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완충부(38)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측 방향으로 변환시켜 분산시키도록 복수 개가 하나의 완충부(38)를 지지하도록 일단부에 지지홈부(5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작동로드(54) 및 제한돌기(56)가 형성되는 지지블록(50)과, 작동로드(54) 및 제한돌기(56)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복수 개의 지지블록(50)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완충블록(70)을 포함한다.
공동주택이나 오피스 빌딩과 같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에는 층간을 형성하는 슬래브(1)가 시공되고, 슬래브(1)의 상면에는 온수파이프(7)가 함침되도록 시멘트 모르타르층(5)이 시공된다.
본 실시예는, 시멘트 모르타르층(5)과 슬래브(1) 사이에 다양한 완충구조가 구비되므로 상측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완충되면서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간 소음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온수파이프(7)는 온수가 공급되는 공급관과 연결되어 실내 바닥에 온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온수파이프(7)와 공급관 사이에는 주름관 등의 유동 가능한 관이 설치되어 온수관이 소량 유동될 때에 온수관과 공급관 사이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완충시트(10)는, 합성수지패드(12), 스티로폼(14)로펌 및 스펀지(16)로 이루어져 시멘트 모르타르층(5)의 저면을 탄성재질의 완충시트(10)로 지지하게 되고, 완충시트(10)의 저면은 돌출부(18a)가 구비되는 매트부재(18)에 의해 지지하게 되므로 시멘트 모르타르층(5)에 가해지는 충격이 1차 및 2차에 의해 완충된다.
매트부재(18)의 저면은 지지판(34)이 밀착되어 지지되고, 매트부재(18)의 저면에는 지지판(34)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지지판(34)과 베이스패널(30)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지지판(34)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기둥부(36)는 완충부(38)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완충부(38)는, 기둥부(36)의 하단에 형성되는 스토퍼(36a)와 걸림결합되도록 상면에 기둥부(36)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공간 상단에 걸림부(38b)가 형성되고 하단에 곡면부가 구비되는 곡면캡부재(38a)와, 스토퍼(36a)와 곡면캡부재(38a)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39)를 포함한다.
기둥부(36)의 하단은 측 방향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스토퍼(36a)가 형성되고, 기둥부(36)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곡면캡부재(38a)의 상단에는 스토퍼(36a)와 걸림결합되는 걸림부(38b)가 형성되며, 곡면캡부재(38a)의 내벽과 기둥부(36)의 하단 사이에는 탄성부재(39)가 개재된다.
따라서 완충시트(10) 및 매트부재(18)에 의해 1차 및 2차 완충된 후에 상쇄되지 않은 충격이 베이스패널(30)에 전달되면 기둥부(36)가 곡면캡부재(38a) 내부로 삽입되면서 탄성부재(39)를 압축시키며 3차 완충작용이 진행된다.
이후에, 상쇄되지 않은 충격은 곡면캡부재(38a)가 하강하면서 다수 개의 지지블록(50)을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충격을 분산시켜 4차 완충작용이 진행된다.
완충블록(70)은, 작동로드(54) 및 제한돌기(56)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케이스(72a)가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중공부(72b)를 형성하고 인접하는 가이드케이스(72a)의 단부를 연결하며 압입홈부(72c)가 형성되는 바닥프레임(72)과, 압입홈부(72c)에 삽입되는 압입돌기(74a)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면홀부(74b) 및 측면홀부(74c)를 구비하며 바닥프레임(72)과 결합되는 완충케이스(74)와, 복수 개의 가이드케이스(72a)의 상단과 완충케이스(74) 상단 저면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면홀부(74b)를 통해 출몰되는 탄성블록(88)이 구비되는 상면패널(86)과, 중공부(72b)에 삽입되고 상면패널(86)을 지지하는 코일스프링(82)과, 가이드케이스(72a)의 내벽과 제한돌기(56) 사이에 개재되는 판스프링(84)을 포함한다.
곡면캡부재(38a)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완충작용에 의해 상쇄되지 않는 충격은 곡면캡부재(38a)가 하강면서 다수 개의 지지블록(50)을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5차 완충작용을 행하게 된다.
이때,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지블록(50)은 가이드케이스(72a) 내부로 삽입되면서 판스프링(84)을 변형시키면서 완충작용을 행하고, 곡면캡부재(38a)의 하강에 의해 상쇄되지 않는 충격은 상며패널이 하강하면서 코일스프링(82)을 압축시킴으로써, 완충작용을 행하게 된다.
이로써, 온수파이프가 설치되는 시멘트 모르타르층과 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시트 및 매트부재에 의해 1차 및 2차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고, 베이스패널, 지지부재 및 완충부의 작동에 의해 3차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며, 지지블록 및 판스프링에 의해 4차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고, 완충블록에 의해 5차 완충작용이 이루어져 슬래브의 상측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하층부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바닥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슬래브 3 : 마감층
5 : 시멘트 모르타르층 7 : 온수파이프
10 : 완충시트 12 : 합성수지매트
14 : 스티로폼 16 : 스펀지
18 : 매트부재 18a : 돌출부
30 : 베이스패널 32 : 지지부재
34 : 지지판 36 : 기둥부
36a : 스토퍼 38 : 완충부
38a : 곡면캡부재 38b : 걸림부
39 : 탄성부재 50 : 지지블록
52 : 지지홈부 54 : 작동로드
56 : 제한돌기 70 : 완충블록
72 : 바닥프레임 72a : 가이드케이스
72b : 중공부 72c : 압입홈부
74 : 완충케이스 74a : 압입돌기
74b : 상면홀부 74c : 측면홀부
82 : 코일스프링 84 : 판스프링
86 : 상면패널 88 : 탄성블록
5 : 시멘트 모르타르층 7 : 온수파이프
10 : 완충시트 12 : 합성수지매트
14 : 스티로폼 16 : 스펀지
18 : 매트부재 18a : 돌출부
30 : 베이스패널 32 : 지지부재
34 : 지지판 36 : 기둥부
36a : 스토퍼 38 : 완충부
38a : 곡면캡부재 38b : 걸림부
39 : 탄성부재 50 : 지지블록
52 : 지지홈부 54 : 작동로드
56 : 제한돌기 70 : 완충블록
72 : 바닥프레임 72a : 가이드케이스
72b : 중공부 72c : 압입홈부
74 : 완충케이스 74a : 압입돌기
74b : 상면홀부 74c : 측면홀부
82 : 코일스프링 84 : 판스프링
86 : 상면패널 88 : 탄성블록
Claims (3)
- 복수 개의 온수파이프가 함침되도록 설치되고 상면에 마감층이 위치되며 저면에 완충시트가 배치되고 건축물의 층간을 이루는 슬래부의 상면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시공되는 시멘트 모르타르층;
상기 완충시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매트부재;
상기 매트부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패널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완충작용을 행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완충부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완충부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측 방향으로 변환시켜 분산시키도록 복수 개가 하나의 상기 완충부를 지지하도록 일단부에 지지홈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작동로드 및 제한돌기가 형성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작동로드 및 상기 제한돌기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지지블록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완충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스토퍼와 걸림결합되도록 상면에 상기 기둥부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공간 상단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곡면부가 구비되는 곡면캡부재; 및
상기 스토퍼와 상기 곡면캡부재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블록은,
상기 작동로드 및 상기 제한돌기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케이스가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케이스의 단부를 연결하며 압입홈부가 형성되는 바닥프레임;
상기 압입홈부에 삽입되는 압입돌기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면홀부 및 측면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프레임과 결합되는 완충케이스;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케이스의 상단과 상기 완충케이스 상단 저면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면홀부를 통해 출몰되는 탄성블록이 구비되는 상면패널;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상면패널을 지지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가이드케이스의 내벽과 상기 제한돌기 사이에 개재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435A KR101576076B1 (ko) | 2015-09-14 | 2015-09-14 |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435A KR101576076B1 (ko) | 2015-09-14 | 2015-09-14 |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6076B1 true KR101576076B1 (ko) | 2015-12-09 |
Family
ID=5487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9435A KR101576076B1 (ko) | 2015-09-14 | 2015-09-14 |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607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0794B1 (ko) * | 2016-05-31 | 2016-11-09 |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
KR101716485B1 (ko) * | 2016-05-31 | 2017-03-15 | (주)한주엔지니어링 | 침하 방지용 맨홀 |
KR101916293B1 (ko) | 2018-06-14 | 2018-11-08 |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 건축물의 바닥패널 설치구조 |
KR102249382B1 (ko) * | 2020-10-12 | 2021-05-07 |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의 난방 바닥 시공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0244B1 (ko) | 2011-08-31 | 2013-05-06 | 안덕원 |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의 시공방법 |
KR101429754B1 (ko) | 2014-03-25 | 2014-08-12 |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
-
2015
- 2015-09-14 KR KR1020150129435A patent/KR1015760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0244B1 (ko) | 2011-08-31 | 2013-05-06 | 안덕원 |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의 시공방법 |
KR101429754B1 (ko) | 2014-03-25 | 2014-08-12 |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0794B1 (ko) * | 2016-05-31 | 2016-11-09 |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
KR101716485B1 (ko) * | 2016-05-31 | 2017-03-15 | (주)한주엔지니어링 | 침하 방지용 맨홀 |
KR101916293B1 (ko) | 2018-06-14 | 2018-11-08 |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 건축물의 바닥패널 설치구조 |
KR102249382B1 (ko) * | 2020-10-12 | 2021-05-07 |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의 난방 바닥 시공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6076B1 (ko) |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 | |
KR101976928B1 (ko) |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 |
KR200480368Y1 (ko) | 해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층간 소음방지 패드 | |
KR101985517B1 (ko) | 공동주택의 층간구조 보강패널 | |
KR101429754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 |
KR101477783B1 (ko) |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 |
KR101865911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737101B1 (ko) | 공동주택의 층간구조 보강패널 | |
KR20110008630A (ko) | 공기층을 가진 건물의 층간 진동소음 차단판 성형방법 | |
KR100770004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 |
KR101855586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 | |
KR102403744B1 (ko) |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20090035125A (ko) |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 |
KR101794095B1 (ko) | 방음 및 완충을 위한 층간구조 | |
KR100977167B1 (ko) | 소음 방지를 위한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79167B1 (ko) |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
KR101526541B1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100995303B1 (ko) | 방진매트를 이용한 공동주택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 | |
KR101670794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 |
KR100750890B1 (ko) | 층간소음 방지재와 측벽소음 방지재 및 이들을 이용한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 |
KR100721850B1 (ko) | 에어홀을 갖는 층간 차음시트 | |
KR100998282B1 (ko) | 층간 소음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 |
KR101705345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 | |
KR101001590B1 (ko) |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20100086226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