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587Y1 - 건물의 층간차음재 - Google Patents

건물의 층간차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587Y1
KR200394587Y1 KR20-2005-0016179U KR20050016179U KR200394587Y1 KR 200394587 Y1 KR200394587 Y1 KR 200394587Y1 KR 20050016179 U KR20050016179 U KR 20050016179U KR 200394587 Y1 KR200394587 Y1 KR 200394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insulation
sound insulating
interlay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태
Original Assignee
(주)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현 filed Critical (주)재현
Priority to KR20-2005-0016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5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조가 간단하고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하여 공사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비중을 갖는 2개의 스티로폼을 적층하되, 2개의 스티로폼이 적층되는 접합면에 원형의 차음 홈을 형성하고 바닥면에 완충차음구조를 마련하여 소음 및 충격음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물의 층간차음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건물의 층간차음재는, 경량의 스티로폼으로 마련되고 하면에 차음구조가 형성된 제1부재(10)와; 상기 제1부재(10)의 상면에 적층되되 상기 제1부재(10)에 비해 비중이 큰 중량의 스티로폼으로 마련되며 제1부재와 접합되는 하면에 차음 홈들이 형성된 제2부재(2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건물의 바닥슬래브에 설치하는 층간차음재의 제조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고, 층간차음재의 바닥면에 형성된 완충차음 돌기라든가, 비중이 다른 층간차음재를 구성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 그 접합면에 형성된 차음 홈은 물론 제1부재 하면의 차음 홈들로 인해 층간소음이 확실하게 최소화되어 줄어들음으로써, 하층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에게 심한 소음에 의한 스트레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건물의 층간차음재{BOARD FOR NOISE REDUCTION USED IN BUILDING}
본 고안은 공동주택의 층간바닥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층간 충격음을 차폐하는 층간차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차음재를 서로 다른 비중을 갖는 2개의 발포성 스티로폼을 적층하여 구성하되, 상기 2개의 스티로폼 사이에 차음 홈들을 형성하고, 바닥면에 돌기 또는 홈 등의 차음구조를 마련하여 소음이나 충격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물의 층간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의 건물 구조체에 가해지는 충격음은 사람의 보행, 문의 개폐, 기물의 이동이나 설비기기의 가동 혹은 정지 등이 충격의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고체전달음이 사방으로 전달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건물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킴은 물론 공기전달음으로 전환되어 주변의 사람들 귀에 들리게 될 때, 소음으로 인식되게 된다.
예를 들어, 물건의 낙하 등의 충격이 바닥에 가해지거나 의자를 옮기는 소리 등은 고체전달음을 발생시키고 이 고체전달음은 바닥슬래브와 벽체를 통해 인접한 다른 방들로 전달되되 특히 바닥슬래브를 통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층간소음이라 한다. 요즘에는 이러한 층간소음문제가 공동주택에서 심각하게 대두됨에 따라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더욱 강화 개정되기에 이르렀다. 상기 규정에는 각 층간의 바닥충격음이 경량충격음은 58데시벨(dB)이하이어야 하고, 중량충격음은 50데시벨(dB)이하이거나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표준바닥구조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심각하게 대두되는 층간소음을 줄여 최소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 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슬래브(1)를 기준으로 상부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이 형성되고, 그 상단으로 난방용 배관(3)과 마감용 몰탈층(4)이 형성되며, 그 위에 모노륨이나 원목, 타일 등의 장식재로 된 바닥장식층(5)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의 층간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1) 상부에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이 충격음이나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이나 충격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와 경량기포콘크리트 사이에 층간충격음 완충재를 형성하는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예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329917호에 '다중구조의 소음 및 진동차폐층을 갖는 공동주택 바닥구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상/하 층간소음 및 진동을 차폐시키기 위해 바닥과 벽체에 각각 설치된 소음 및 진동차폐층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바닥구조에서 상기 바닥의 소음 및 진동차폐층이 일측에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소음 및 진동차폐재를 포함하되, 상기 소음 및 진동차폐재들을 서로 적층시켜 상기 소음 및 진동차폐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벽체의 소음 및 진동차폐재에 덮어 씌워지는 플라스틱 캡을 더 포함하되 마감몰탈층이 상기 플라스틱 캡의 상면과 일치되도록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315852호에 '층간충격음 완충재용 스티로폼'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하나의 스티로폼 내에 수평방향으로 폐쇄된 셀들을 갖는 저밀도 조직부와 연속된 셀층을 갖는 고밀도 조직부가 형성된 것과, 상기 저밀도 조직부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으면서 저밀도 조직부와 고밀도 조직부의 표면적 비율이 1:0.3 내지 1:4 인 것과, 상기 저밀도 조직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342633호에 '건물의 층간 단열 및 소음저감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일측면에 일정패턴으로 다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암연결부가 형성되는 A-판상체와, 상기 A-판상체와 짝을 이루도록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수연결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일정패턴으로 다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B-판상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A-판상체와 B-판상체의 오목부가 건물의 바닥슬래브와 마주하도록 그 암연결부와 수연결부가 맞물려 일정면적의 바닥슬래브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들은, 모두 층간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건물의 바닥슬래브 상단에 별도의 소음차단재를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층간의 소음차단재들의 소재가 서로 다르고 고가의 것이며 그 소재들이 비교적 하드(hard) 또는 소프트한 것으로 중량충격음과 경량충격음 중의 어느 하나의 음을 차폐하는 것일 뿐이어서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 모두를 유효적절하게 층간소음을 차폐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층간소음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그 구조가 단순하지 못하고 복잡하여 생산단가는 물론 시공비의 증대를 가져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건물의 소음을 차폐하는 수단인 층간차음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제조가 간단하고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하여 공사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비중을 갖는 2개의 스티로폼을 적층하되, 2개의 스티로폼이 적층되는 접합면에 차음 홈을 형성하고 바닥면에 차음구조를 마련하여 소음 및 충격음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층간차음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건물의 층간차음재는, 경량의 스티로폼으로 마련되고 하면에 완충, 차음을 위한 완충차음구조가 마련된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상면에 적층되되 상기 제1부재에 비해 비중이 큰 중량의 스티로폼 재질로 마련되며 제1부재의 상면과 접하는 하면에 차음 홈들이 형성된 제2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제2부재의 차음 홈은 일방향이 아닌 직교하는 형상, 즉 바둑판형상으로 마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음 홈의 깊이를 동일할 수 있으나 보다 향상된 차음을 위해 길이방향의 차음 홈은 깊고 폭 방향의 차음 홈은 길이방향의 차음 홈 깊이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의 상면에도 제2부재 하면의 차음 홈과 대응하여 각각 통합된 하나의 공간인 차음 홈을 이루도록 차음 홈들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부재의 상면에도 완충차음구조를 부가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차음구조는 사각형의 돌기를 일정간격으로 돌출시키거나 차음 홈과 같이 일정간격을 갖고 서로 직교하는 형상, 즉 바둑판형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건물의 층간차음재는, 건물의 바닥슬래브에 설치하는 층간차음재의 제조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고, 층간차음재의 바닥면에 형성된 완충차음구조는 물론, 층간차음재를 구성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접합면에 형성된 차음 홈들에 의해 층간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하층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에게 심한 소음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이거나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건물의 층간차음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인 건물의 층간차음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층간차음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층간차음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층간차음재는, 경량의 스티로폼으로 형성된 제1부재(10)와, 이 제1부재(10)의 상면에 적층되어 접합되되 상기 제1부재(10)에 비해 비중이 큰 중량의 스티로폼 재질로 형성된 제2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경량 스티로폼이라 함은 단위체적당 5~12㎏/㎥이고, 중량스티로폼이라 함은 단위체적당 12~20㎏/㎥인 것을 말한다.
상기 제1부재(10)는 바닥면에는 완충차음 구조인 완충차음 돌기(11)가 형성되되, 이는 바닥면에서 하부로 일정높이 만큼 돌출되고 균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2부재(20)는 하면에 차음 홈(21)들이 일렬로 일정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부재(10)의 바닥면에 균등간격으로 형성된 완충차음 구조인 완충차음 돌기(11)는 상기 제1부재(10)의 바닥면과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할 수 있고, 또는 발포성형기에서 성형시 상기 제1부재(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층간차음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1, 제2부재(10,20)의 접합면에 형성되는 차음 홈(21)을 일방향이 아닌 직교하는 형상, 즉 바둑판형상으로 마련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층간차음재의 하면에 마련된 완충차음 돌기(11)는 물론 제1, 제2부재(10,20)의 접합부위에 차음 홈(21)이 서로 직교하는 바둑판형상으로 마련되므로 소음 및 충격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 감쇄시키고 이로 인하여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위와 같이 제1, 제2부재(10,20)의 접합면에 차음 홈(21)을 형성한 경우에는 차음 홈이 없는 층간차음재를 시공한 경우에 비해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이 더욱 감쇠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제2부재(10,20)의 접합면에 차음 홈(21)을 형성하되 제2부재(20)의 폭 방향으로는 그 깊이를 3~5㎜로 낮게 형성하고 제2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는 그 깊이를 6~8㎜로 좀 더 깊게 형성하면 고체전달음으로부터 파생된 공기전달음을 교란에 의해 보다 효과적인 차음이 이루어지며, 차음 홈이 없는 층간차음재를 시공한 경우에 비해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이 더욱 감쇠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부재(20)의 상면에도 완충차음 구조를 마련할 수 있고 이 완충차음 구조는 도 6과 같이 제2부재(20)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차음 홈(23)이 서로 직교하는 형상, 즉 평면상 바둑판형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특히,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부재(20)의 접합면인 제1부재(10)의 상면과 제2부재(20)의 하면에 각각 차음 홈(12,21)들이 형성되되 이 차음 홈(12,21)들은 서로 대응하여 각각 하나의 통합된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10)의 하면에도 차음 홈(13)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층간차음재에 의하면, 제2부재(20)의 하면에만 차음 홈(21)을 형성한 경우보다 제1, 제2부재(10,20)의 접합양면에 통합된 하나의 차음 홈(A)으로 형성한 경우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이 보다 더 떨어지고, 여기에 제1부재(10)의 하면에도 차음 홈(13)이 형성되었을 때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이 좀 더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차음 홈들은 상기에서 언급하였듯이 그 깊이를 달리하면 고체전달음과 공기전달음을 효과적으로 교란시켜 상쇄시키므로 보다 향상된 차음이 이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층간차음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경량의 스티로폼의 제1부재(10) 하면에 균등간격으로 차음 홈(12)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1부재(10)에 비해 비중이 큰 중량의 스티로폼인 제2부재(20)의 하면에 균등간격으로 차음 홈(21)들을 형성한다. 상기 제1부재(10)의 상면에 상기 제2부재(20)의 차음 홈(21)들이 형성된 하면을 서로 접합하여 적층하고, 상기 적층단계에 의해 서로 적층된 제1부재(10)와 제2부재(10)를 소정압력으로 가압하면서 건조하여 마무리한다.
상기에서 제1부재(10)를 마련할 때, 제1부재(10)의 바닥면에는 균등간격으로 완충차음 돌기(11)를 형성하거나 부착하는 단계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제조과정에서 제1부재(10)의 차음 홈(12,13)과, 제2부재(20)의 차음 홈(21)은, 시트상의 제1, 제2부재(10,20)를 마련하고 그 상면에 등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열선을 이용하여 형성하거나 발포시킨 비드를 발포성형기의 금형에 의해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제2부재(10,20)에 형성되는 차음 홈(12,21)의 깊이는, 대략 4㎜~8㎜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음 홈을 제1, 제2부재(10,20)의 접합양면에 형성하는 경우, 깊이가 4㎜ 이하일 경우엔 제1, 제2부재(10,20)의 한쪽에 가공되는 홈 깊이가 2㎜이하로 너무 낮아 열선으로의 가공이 곤란하고, 8㎜ 이상일 경우엔 제1, 제2부재(10,20)의 두께에 비해 차음 홈이 상대적으로 너무 커서 구조적으로 강도가 취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 제2부재(10,20)는 위와 같이 차음 홈(12,21)을 마련하고 제1부재(10)의 완충차음 돌기(11)를 마련하는 것을 별도의 공정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발포비드를 소정배율로 발포 성형하는 발포성형기의 금형에 형성하여 발포성형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층간차음재는, 제1부재(10)와 제2부재(20)를 적층하여 이들을 서로 접합한 후 작업현장에서 바로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제1부재(10)와 제2부재(20)를 각각 구비하여 작업현장에서 바닥슬래브 상단에 상기 제1부재(10)를 깔은 후, 제1부재(10)의 상면에 제2부재(20)를 적층시켜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바닥슬래브의 상면에 본 고안인 건물의 층간차음재를 시공할 경우, 층간차음재를 구성하는 제1부재(10)의 바닥에 균등간격으로 형성된 완충차음 돌기(11)에 의해 층간차음재의 바닥 전체가 바닥슬래브에 접하지 않고 일부가 뜬 상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물건이 떨어졌을 때의 충격음이나 또는 아이들이 뛸 때의 소음 등이 바닥슬래브에 바로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하층에 소음이 전달되는 것이 최소한 줄어들게 된다.
더욱이, 상기 제1, 제2부재(10,20)의 하면에 형성된 차음 홈(13,21)과 제1, 제2부재(10,20)의 접합양면에 형성된 차음 홈(A)에 의해 충격음이나 소음이 분산 내지 소멸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에 따라, 하층에 전달되는 소음이 확실하게 줄어들어 최소화된다.
상기 차음 홈(12,21,23,A)의 형상은 상하로 긴 장방형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반원형, 타원형, 사각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비교예>
단위체적당 8㎏/㎥인 경량스티로폼이나 단위체적당 15㎏/㎥인 중량스티로폼의 단일체로 그 두께가 30㎜인 층간차음재를 마련하고 그 상면이나 하면은 아무런 돌기 내지 요홈이 없는 민판으로 형성하였다. 층간소음방지재의 시공단면기준에 따라 슬래브, 층간소음방지재, 경량기포콘크리트, 몰탈로 이루어진 바닥구조에서 슬래브의 두께 180㎜이고, 이 슬래브 위에 상기 층간차음재를 적층하고, 경량기포콘크리트와 몰탈을 40㎜로 시공하여 마무리한 다음, 충분히 양생시킨 후에 충격음을 측정하였다.
주택건설기준에 관한 규정(dB)이하 중량스티로폼 경량스티로폼
경량충격음(dB) 58 50 49
중량충격음(dB) 50 54 53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요구하는 충격음 중에서 경량충격음은 중량 및 경량스티로폼 모두 규정치 이하의 측정값을 얻었고, 중량충격음은 규정치보다 높아 상기 규정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 예>
먼저, 상기의 비교 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층간소음방지재의 시공단면기준과 동일하게 시공하되, 단지 층간차음재에 변화를 주었다. 상기 층간차음재는 제1부재가 단위체적당 8㎏/㎥인 경량스티로폼을 1㎝의 두께로 하고, 제2부재는 단위체적당 15㎏/㎥인 중량스티로폼을 2㎝의 두께로 하여 접착하되, 그 접합면에만 바둑판 형상으로 차음 홈을 형성한 경우와, 제1부재의 하면에 바둑판 형상으로 차음 홈을 형성한 경우 및 경량스티로폼과 중량스티로폼의 접합면은 물론 제1부재의 하면에도 바둑판 형상으로 차음 홈을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측정하였다. 이때, 차음 홈의 깊이는 제1, 제2부재의 길이방향의 것은 7㎜이고 폭 방향의 것은 4㎜로 하였다.
경량충격음(dB) 중량충격음(dB)
주택건설기준에 관한 규정(dB)이하 58 50
접합면에 바둑판으로 차음 홈을 형성한 경우 43 49
제1부재의 하면에 바둑판으로 차음 홈을 형성한 경우 42 49
접합면 및 제1부재의 하면에 바둑판으로 차음 홈을 형성한 경우 33 47
상기 실시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접합면에 제1, 제2차음 홈을 형성한 경우에는 단일의 경량 또는 중량스티로폼으로 된 층간차음재를 시공한 경우에 비해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이 5~11dB 더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접합면은 물론 바닥면에도 반원형의 차음 홈을 형성한 경우에는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접합면에 차음 홈을 형성한 경우보다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이 2~9dB 더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층간차음재는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요구하는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 모두 규제치 이하로서 상기 규정에 적합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건물의 층간차음재에 의하면, 건물의 바닥슬래브에 설치하는 층간차음재의 제조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고, 층간차음재의 바닥면에 형성된 완충차음 돌기라든가, 층간차음재를 구성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접합면에 형성된 차음 홈은 물론 제1부재 바닥면의 차음 홈들로 인해 층간소음이 확실하게 최소화되어 줄어들음으로써, 하층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에게 심한 소음에 의한 스트레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종래 건물의 바닥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층간차음재를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건물의 층간차음재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층간차음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인 건물의 층간차음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인 건물의 층간차음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부재
11: 완충차음 돌기
12,13,21,A: 차음 홈
20: 제2부재

Claims (8)

  1. 경량의 스티로폼으로 마련되고 하면에 완충, 차음을 위한 완충차음구조가 형성된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상면에 적층되되 제1부재에 비해 비중이 큰 중량의 스티로폼으로 마련되고 제1부재와 접하는 하면에 차음 홈들이 형성된 제2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차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부재의 접합부위에 형성되는 차음 홈은 평면상 일방향이 아닌 직교하는 형상, 즉 바둑판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차음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차음구조는 제1부재의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차음 홈이 서로 직교하는 형상, 즉 평면상 바둑판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차음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차음 홈이 서로 직교하는 형상, 즉 평면상 바둑판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차음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 홈은 제1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차음 홈과 대응하여 하나의 통합된 공간인 차음 홈을 형성하도록 제1, 제2부재의 접합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차음재.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 홈은 제1, 제2부재의 폭 및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깊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차음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완충차음구조는 바닥면에서 돌출되고 균등간격으로 배열된 소정형상의 완충차음 돌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차음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고 균등간격으로 배열된 소정형상의 완충차음 돌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차음재.
KR20-2005-0016179U 2005-06-07 2005-06-07 건물의 층간차음재 KR200394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79U KR200394587Y1 (ko) 2005-06-07 2005-06-07 건물의 층간차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79U KR200394587Y1 (ko) 2005-06-07 2005-06-07 건물의 층간차음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586A Division KR100729871B1 (ko) 2005-04-20 2005-05-30 건물의 층간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587Y1 true KR200394587Y1 (ko) 2005-09-05

Family

ID=4369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179U KR200394587Y1 (ko) 2005-06-07 2005-06-07 건물의 층간차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58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238B1 (ko) 2005-10-04 2006-05-26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실전용 방음패널
KR100686211B1 (ko) * 2006-02-22 2007-02-26 김용일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0686210B1 (ko) * 2006-02-22 2007-02-26 김용일 충격흡수용 차음재
KR20200085599A (ko) * 2019-01-07 2020-07-15 백정호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KR20200097916A (ko) * 2019-02-11 2020-08-20 백정호 층간설치부재
KR20230008474A (ko) * 2021-07-07 2023-01-16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이중공기층이 구비된 바닥충격음 저감용 복합완충구조
KR20230011071A (ko) * 2021-07-13 2023-01-2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바닥충격음 저감용 바닥구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238B1 (ko) 2005-10-04 2006-05-26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실전용 방음패널
KR100686211B1 (ko) * 2006-02-22 2007-02-26 김용일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0686210B1 (ko) * 2006-02-22 2007-02-26 김용일 충격흡수용 차음재
KR20200085599A (ko) * 2019-01-07 2020-07-15 백정호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KR102237498B1 (ko) 2019-01-07 2021-04-12 주식회사 보온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KR20200097916A (ko) * 2019-02-11 2020-08-20 백정호 층간설치부재
KR102393043B1 (ko) * 2019-02-11 2022-05-02 주식회사 보온 층간설치부재
KR20230008474A (ko) * 2021-07-07 2023-01-16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이중공기층이 구비된 바닥충격음 저감용 복합완충구조
KR102531106B1 (ko) * 2021-07-07 2023-05-1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이중공기층이 구비된 바닥충격음 저감용 복합완충구조
KR20230011071A (ko) * 2021-07-13 2023-01-2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바닥충격음 저감용 바닥구조
KR102495825B1 (ko) * 2021-07-13 2023-02-06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바닥충격음 저감용 바닥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4587Y1 (ko) 건물의 층간차음재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208230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절곡형 벽면 완충재 및 그 시공 방법
KR100686210B1 (ko)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101324261B1 (ko) 공동주택의 층간바닥구조
KR100718701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100683839B1 (ko) 공동주택 온돌바닥의 중량충격음 소음방지재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238631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에서의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KR100723970B1 (ko)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0998282B1 (ko) 층간 소음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KR20220005881A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KR100729871B1 (ko) 건물의 층간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25180B1 (ko) 한지가 적용된 건축물의 바닥구조물
KR100750890B1 (ko) 층간소음 방지재와 측벽소음 방지재 및 이들을 이용한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20070099349A (ko) 충격흡수용 차음재
KR200342586Y1 (ko)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KR20100046842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200018884A (ko) 주택 건축물의 층간소음 바닥패널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70104824A (ko)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경량패널 및 이를 이용한차음바닥구조
KR200378892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454900B1 (ko) 층간차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