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5599A -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5599A
KR20200085599A KR1020190001938A KR20190001938A KR20200085599A KR 20200085599 A KR20200085599 A KR 20200085599A KR 1020190001938 A KR1020190001938 A KR 1020190001938A KR 20190001938 A KR20190001938 A KR 20190001938A KR 20200085599 A KR20200085599 A KR 20200085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ower layer
noise
buffer member
lay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498B1 (ko
Inventor
백정호
민경자
Original Assignee
백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호 filed Critical 백정호
Priority to KR102019000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4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8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슬래브(10)에 설치되어 상부에서 가해지는 층간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고 단열을 구현하도록 설치되는 층간소음방지차음재에 있어서 상기 층간소음방지차음재는 상기 바닥슬래브의 상부에 배치된 완충부재(100);와 상기 완충 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차폐 부재(20);와 상기 차폐 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마감 모르타르 층(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완충부재는 사각면체 형상이되 일정크기와 두께를 가지면서 상층을 구성하는 상층부재(110);와 상기 상층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하층을 구성하는 하층부재(120);가 적층된 상태이고 또한 상기 상층부재와 하층부재가 맞닿는 면에는 제1공기층(300)이 형성되고 상기 상층부재와 하층부재의 외면에는 제2공기층(310)이 형성됨에 따라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되, 상기 제1공기층에서 흡수되지 않은 층간소음 및 진동을 제2공기층에서 흡수함으로써 건물의 상층에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면서 상기 완충부재의 측면에는 각각의 완충부재(100)를 연결하는 연결핀(400);과 상기 연결핀이 수용되는 연결홈(150);이 더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완충부재가 밀리지 않도록 밀착 결합되며, 상기 완충 부재(100)의 상면과 상기 차폐 부재(20)의 하면이 맞닿도록 배치될 때 상기 상층부재(110)의 돌출부(140)와 상기 상층부재의 테두리부(130)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으로 차폐부재가 채워짐으로써 접촉면적을 늘림에 따라 상기 완충 부재와 상기 차폐부재가 견고하게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Noise Suppression}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 슬래브에 설치되는 층간설치부재에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복층 건물의 상층으로부터 발생 된 진동 및 소음을 완충 및 흡음하고 설치가 용이한 층간설치부재에 관한 것이다.
근래 다세대 주택이나 다가구주택,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건물 구조체에 있어서 사람의 보행, 문의 개폐, 기물의 이동 등에 따른 충격의 원인이 공기 전달음으로 전환되어 주변의 사람들 귀에 들리게 될 때, 소음으로 인식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층식 다층 건물의 해당 층 내부에서 발생 되는 소음, 충격으로 인한 진동은 건물 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킴에 따라 층간 슬래브를 통하여 바로 아래층으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층간소음문제가 공동주택에서 심각하게 대두되며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과 같은 복층건물을 건축하는 경우, 바닥 콘크리트 시공 시 바닥을 일정두께 이상으로 시공하고, 반드시 층간소음 저감재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종래의 층간소음 저감재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5-0002779호와 같이 여러 수지를 발포시킨 후 다른 재질을 접착 또는 합체하여 제조된 층간소음 저감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차폐층은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 등의 소음을 제대로 흡수하거나 차단하지 못하고 있으며, 차폐 슬래브 면에 밀착되어 깔려 있어 그 효과가 크지 않아 흡음 되지 못한 생활상에서 발생 되는 진동 및 소음은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분쟁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의 바닥슬래브(10)에 설치되어 상부에서 가해지는 층간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는 사각판형상의 층간소음방지차음재에 있어서 상기 층간소음방지차음재는 상기 바닥슬래브의 상부에 배치된 완충부재(100);와 상기 완충 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차폐 부재(20);와 상기 차폐 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마감 모르타르 층(30);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제1공기층(300)과 제2공기층(310)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공기층에서 흡수되지 않은 잔여 소음 및 진동을 상기 제2공기층에서 흡수함으로써 상하층간에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층간소음방지 차음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슬래브(10)에 설치되어 상부에서 가해지는 층간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고 단열을 구현하도록 설치되는 층간소음방지차음재에 있어서 상기 층간소음방지차음재는 상기 바닥슬래브의 상부에 배치된 완충부재(100);와 상기 완충 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차폐 부재(20);와 상기 차폐 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마감 모르타르 층(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사각면체 형상이되 일정크기와 두께를 가지면서 상층을 구성하는 상층부재(110);와 상기 상층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하층을 구성하는 하층부재(120);가 적층된다.
또한 상기 상층부재와 하층부재가 맞닿는 면에는 제1공기층(300)이 형성되고 상기 상층부재와 하층부재의 외면에는 제2공기층(310)이 형성되되, 상기 상층부재의 상면과, 하층부재의 바닥면이 외측면(100a)이고 상층부재와 하층부재가 맞닿는 방향의 면이 내측면(100b)일 때, 상기 제1공기층(300)은 상기 하층부재의 외측면을 외주면으로 하면서 상기 하층부재의 내측면을 내주면으로 하는 파이프형상의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공기층(300)이 형성되는 통로는 상기 내측면(100b)을 중심으로 일측끝단에서 타측끝단까지 수평 형성되되 상기 상층부재(110)와 하층부재(120)에 각각 동일한 지름을 갖는 반구형상의 통로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상층부재와 하층부재가 적층되었을 때 파이프형상의 통로가 된다.
또한 상기 제1공기층(300)은 상기 완충부재(100)를 내려다보았을 때, 상기 완충부재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가로관통공과 상기 완충부재를 세로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세로관통공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가로관통공과 세로관통공은 횡단면의 형상이 동일하고, 수직으로 연통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00)의 외측면(100a)에는 외측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 된 테두리부(130);와 상기 가로관통공과 세로관통공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완충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돌출부(1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테두리부와 돌출부는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기층은 건물의 바닥슬래브(10)의 상면에 상기 하층부재(120)의 외측면(100a)이 맞닿도록 배치될 때, 상기 하층부재(120)의 돌출부(140)와 상기 하층부재의 테두리부(130)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의 측면에는 각각의 완충부재(100)를 연결하는 연결핀(400);과 상기 연결핀이 수용되는 연결홈(150);이 더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완충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에서 연결핀(400)은 두 개의 원기둥의 일측면이 서로 맞닿은 형상이되, 상기 연결핀은 윗면의 단면적(400a)과 밑면의 단면적(400b)이 동일하거나 또는 밑면의 단면적이 윗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원기둥이다.
또한 상기 완충 부재(100)의 상면과 상기 차폐 부재(20)의 하면이 맞닿도록 배치될 때 상기 상층부재(110)의 돌출부(140)와 상기 상층부재의 테두리부(130)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으로 차폐부재가 채워져 밀착됨으로써 접촉면적을 늘림에 따라 상기 완충 부재와 상기 차폐부재가 견고하게 결속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층간설치부재에 완충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상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제1공기층과 제2공기층을 형성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완충부재는 사각면체 형상이되 일정크기와 두께를 가지면서 상층을 구성하는 상층부재(110);와 상기 상층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하층을 구성하는 하층부재(120);가 적층된 상태이고 또한 상기 상층부재와 하층부재가 맞닿는 면에는 제1공기층(300)이 형성되고 상기 상층부재와 하층부재의 외면에는 제2공기층(31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공기층에서 흡수되지 않은 층간소음 및 진동을 제2공기층에서 흡수함으로써 건물의 상층에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완충부재의 측면에는 각각의 완충부재(100)를 연결하는 연결핀(400);과 상기 연결핀이 수용되는 연결홈(150);이 더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완충부재가 밀리지 않도록 밀착 결합되어 층간설치부재 시공 시에 완충부재의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완충 부재(100)의 상면과 상기 차폐 부재(20)의 하면이 맞닿도록 배치될 때 상기 상층부재(110)의 돌출부(140)와 상기 상층부재의 테두리부(130)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으로 차폐부재가 채워짐으로써 접촉면적을 늘림에 따라 상기 완충 부재와 상기 차폐부재가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건물의 바닥슬래브에 설치된 층간소음방지차음재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를 기울여 내려다 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완충부재를 상부에서 내려다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3의 A-A'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상기 도3의 B-B'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완충부재의 내측면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수의 완충부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복수의 완충부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건물의 바닥슬래브에 설치된 층간소음방지차음재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건물의 바닥슬래브(10)에 설치되어 상부에서 가해지는 층간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고 단열을 구현하도록 설치되는 층간소음방지차음재에 있어서 상기 층간소음방지차음재는 상기 바닥슬래브의 상부에 배치된 완충부재(100);와 상기 완충 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차폐 부재(20);와 상기 차폐 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마감 모르타르 층(30);으로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를 기울여 내려다 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완충부재(100)는 사각면체 형상이되 일정크기와 두께를 가지면서 상층을 구성하는 상층부재(110);와 상기 상층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하층을 구성하는 하층부재(120);가 적층된 상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층부재와 하층부재가 맞닿는 면에는 제1공기층(300)이 형성되고,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상층부재와 하층부재의 외면에는 제2공기층(3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공기층(310)은 건물의 바닥슬래브(10)의 상면에 상기 하층부재(120)의 외측면(100a)이 맞닿도록 배치될 때, 상기 하층부재(120)의 돌출부(140)와 상기 하층부재의 테두리부(130)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완충부재를 상부에서 내려다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완충부재(100)의 외측면(100a)에는 외측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 된 테두리부(130);와 상기 가로관통공과 세로관통공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완충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돌출부(140);가 더 구비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에서 테두리부의 폭은, 상기 상층부재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완충 부재(100)의 상면과 상기 차폐 부재(20)의 하면이 맞닿도록 배치될 때, 상기 상층부재(110)의 돌출부(140)와 상기 상층부재의 테두리부(130)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으로 차폐부재가 채워져 밀착됨으로써 접촉면적을 늘림에 따라 상기 완충 부재와 상기 차폐부재가 견고하게 결속된다.
첨부된 도 4는 상기 도3의 A-A'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층부재의 상면과, 하층부재의 바닥면이 외측면(100a)이고 상층부재와 하층부재가 맞닿는 방향의 면이 내측면(100b)일 때,
상기 제1공기층(300)은 상기 하층부재의 외측면을 외주면으로 하면서 상기 하층부재의 내측면을 내주면으로 하는 통로이되, 상기 상층부재(110)와 하층부재(120)에 각각 동일한 지름을 갖는 반구형상의 통로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상층부재와 하층부재가 적층되었을 때 원형의 파이프형상의 통로가 된다.
첨부된 도 5는 상기 도3의 B-B'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공기층(300)이 형성되는 통로는 상기 내측면(100b)을 중심으로 일측끝단에서 타측끝단까지 수평 형성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관통공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가로관통공과 세로관통공이 교차되어 연통되는 지점에는 완충부재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에서 완충부재(100)의 외측면(100a)에 구비된 상기 테두리부와 돌출부는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완충부재의 내측면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공기층(300)은 상기 완충부재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가로관통공과 상기 완충부재를 세로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세로관통공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로관통공과 세로관통공은 횡단면의 형상이 동일하고, 수직으로 연통되어있되, 상기 가로관통공과 세로관통공이 교차되어 연통되는 지점에는 상기 완충부재의 외측면에 돌출부(140)가 형성된다.
첨부된 도 7과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복수의 완충부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완충부재의 측면에는 각각의 완충부재(100)를 연결하는 연결핀(400);과 상기 연결핀이 수용되는 연결홈(150);이 더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완충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연결핀(400)은 수직으로 세워진 두개의 원기둥의 일측면이 서로 맞닿은 형상이되 상기 각각 하나의 원기둥은 상기 완충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홈에 수용됨에 따라 각각의 완충부재를 고정 결합한다.
또한 상기 연결핀은 윗면의 단면적(400a)과 밑면의 단면적(400b)이 동일하거나 또는 밑면의 단면적이 윗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원기둥이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바닥슬래브 20 차폐 부재
30 마감 모르타르 층 100 완충 부재
100a 외측면 100b 내측면
110 상층부재 120 하층부재
130 테두리부 140 돌출부
150 연결홈 300 제1공기층
310 제2공기층 400 연결핀
400a 윗면의 단면적 400b 밑면의 단면적

Claims (6)

  1. 건물의 바닥슬래브(10)에 설치되어 상부에서 가해지는 층간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고 단열을 구현하도록 설치되는 사각판형상의 층간소음방지차음재에 있어서
    상기 층간소음방지차음재는 상기 바닥슬래브의 상부에 배치된 완충부재(100);와
    상기 완충 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차폐 부재(20);와
    상기 차폐 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마감 모르타르 층(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차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사각면체 형상이되
    일정크기와 두께를 가지면서 상층을 구성하는 상층부재(110);와
    상기 상층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하층을 구성하는 하층부재(120);가 적층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차음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재와 하층부재가 맞닿는 면에는 제1공기층(300)이 형성되고
    상기 상층부재와 하층부재의 외면에는 제2공기층(310)이 형성되되,
    상기 상층부재의 상면과, 하층부재의 바닥면이 외측면(100a)이고
    상층부재와 하층부재가 맞닿는 방향의 면이 내측면(100b)일 때,
    상기 제1공기층(300)은 상기 하층부재의 외측면을 외주면으로 하면서 상기 하층부재의 내측면을 내주면으로 하는 파이프형상의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층(300)이 형성되는 통로는 상기 내측면(100b)을 중심으로 일측끝단에서 타측끝단까지 수평 형성되되
    상기 상층부재(110)와 하층부재(120)에 각각 동일한 지름을 갖는 반구형상의 통로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상층부재와 하층부재가 적층되었을 때 파이프형상의 통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층(300)은 상기 완충부재(100)를 내려다보았을 때,
    상기 완충부재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가로관통공과
    상기 완충부재를 세로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세로관통공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가로관통공과 세로관통공은 횡단면의 형상이 동일하고, 수직으로 연통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100)의 외측면(100a)에는
    외측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 된 테두리부(130);와
    상기 가로관통공과 세로관통공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완충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돌출부(1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테두리부와 돌출부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KR1020190001938A 2019-01-07 2019-01-07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KR102237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938A KR102237498B1 (ko) 2019-01-07 2019-01-07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938A KR102237498B1 (ko) 2019-01-07 2019-01-07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599A true KR20200085599A (ko) 2020-07-15
KR102237498B1 KR102237498B1 (ko) 2021-04-12

Family

ID=7160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938A KR102237498B1 (ko) 2019-01-07 2019-01-07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4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566A (ko) 2020-12-02 2022-06-09 박근우 층간소음방지 차음재
KR102630034B1 (ko) * 2022-11-23 2024-01-29 최영근 층간소음 방지 바닥 시공방법 및 그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34Y1 (ko) * 2000-04-19 2000-09-15 주식회사덕우엔프라스 차음판넬
KR200394587Y1 (ko) * 2005-06-07 2005-09-05 (주)재현 건물의 층간차음재
KR101454900B1 (ko) * 2013-06-17 2014-11-03 양동을 층간차음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34Y1 (ko) * 2000-04-19 2000-09-15 주식회사덕우엔프라스 차음판넬
KR200394587Y1 (ko) * 2005-06-07 2005-09-05 (주)재현 건물의 층간차음재
KR101454900B1 (ko) * 2013-06-17 2014-11-03 양동을 층간차음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566A (ko) 2020-12-02 2022-06-09 박근우 층간소음방지 차음재
KR102630034B1 (ko) * 2022-11-23 2024-01-29 최영근 층간소음 방지 바닥 시공방법 및 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498B1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566776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890416B1 (ko) 층간 소음 방지 패드
KR20200085599A (ko)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KR200386633Y1 (ko) 다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용 방음패드
KR100653596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형 다층부상구조
KR101356556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장치
KR200480368Y1 (ko) 해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층간 소음방지 패드
KR20200076321A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방진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200394587Y1 (ko) 건물의 층간차음재
KR102295294B1 (ko) 복층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구조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200399606Y1 (ko) 건축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
KR100803350B1 (ko) 층간 소음방지용 패널
KR101092992B1 (ko)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KR200385010Y1 (ko) 층간차음재
KR102517122B1 (ko) 층간소음 차단판
KR102194835B1 (ko) 이중 뜬바닥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KR200378892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20180131126A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슬라브 상,하면의 시공방법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TWI694200B (zh) 多層樓地板
KR20200097916A (ko) 층간설치부재
KR102615129B1 (ko) 건축용 층간소음방지매트
KR20040105679A (ko) 다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용 방음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