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586Y1 -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 Google Patents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586Y1
KR200342586Y1 KR20-2003-0036536U KR20030036536U KR200342586Y1 KR 200342586 Y1 KR200342586 Y1 KR 200342586Y1 KR 20030036536 U KR20030036536 U KR 20030036536U KR 200342586 Y1 KR200342586 Y1 KR 200342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absorbing
absorbing material
synthetic resin
constru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익성 Bmi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익성 Bmi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익성 Bmi
Priority to KR20-2003-0036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5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2Gratings; Grid-lik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의 층간 바닥구조에 있어서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적용을 통해 마감 모르타르층과 층간 바닥구조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충격에 의한 층간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에 시공되는 알루미늄 은박과 합성수지재 시트로 이루어진 단열 보온재, 단열 보온재의 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제 1 흡음재, 제 1 흡음재의 상부로 시공되어 뜬 구조를 이루는 합성수지재의 충격흡수용 차음재,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제 2 흡음재, 제 2 흡음재의 상부로 시공되는 경질 고무재의 차음판, 경질 고무재의 차음판 상부로 시공되는 스티로폼, 스티로폼의 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차음시트, 차음시트의 상부로 시공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과 마감 모르타르층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Noise prevention sheet structure between floor useing the said}
본 고안은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빌라 등 다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마감 모르타르층과 콘크리트 슬래브층 사이에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 및 흡음재를 다층으로 적층되게 설치하여 층간의 충격 및 소음은 물론 벽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으로 축조되는 빌라나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는 층간 발생되는 충격이나 소음이 하층 또는 상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음으로부터 각 거주자의 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층간 바닥구조에 관하여 높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287084호, 제290830호 및 제297962호에 의하여 층간소음 및 충격음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층간 바닥구조를 통해 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충격음이 하층 또는 벽체를 따라 상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기술들은 마감 모르타르층과 그 위에 설치되는 바닥재(딱딱한 마루 또는 대리석 등)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의 역작용에 의하여 층간 소음이 더 증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현재 제안된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층으로부터 마감모르타르층에 이르는 방진·방음구조를 통한 층간소음의 저감 및 차단을 꾀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조는 바닥구조의 최상층인 마감 모르타르층과 그 위에 최종적으로 설치되는 바닥재(딱딱한 마루 또는 대리석 등)가 상호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소음이 증폭되어 실내 또는 하층으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층간 바닥구조에 있어서 마감 모르타르층은 미장 평활도가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다소 굴곡 및 상하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딱딱한 마루 또는 대리석 등의 바닥재를 설치할 경우 그 사이에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들뜸 현상에 의하여 충격 및 소음이 발생됨은 물론이고, 바닥재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더구나, 마감 모르타르층 상에 단순히 바닥재만을 깔아 구성한 경우 실내에서 뛰거나 걸을시 바닥재와 마감 모르타르층의 딱딱한 충격이 발을 통하여 신체로 직접 전달됨으로써 연약한 신체구조를 갖는 여성노약자 또는 어린이에게 신체적 충격과 압박에 의한 통증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온돌 마루 바닥재에 폴리에틸렌수지(PE)의 발포제품이 부착된 기술이 제공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소재 자체에 탄성이 거의 없고, 두께가 2mm정도에 불과하며, 열적 안정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어 충격흡수기능 및 평활도의 보상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의 층간 바닥구조에 있어서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적용을 통해 마감 모르타르층과 층간 바닥구조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충격에 의한 층간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마감 모르타르층의 고르지 못한 평활도를 보상하여 그 상층에 설치되는 층간 바닥구조의 들뜸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층간 바닥의 충격 및 소음을 방지하고 바닥재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들 이외에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를 통해 마감 모르타르층과 층간 바닥구조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실내에서 뛰거나 걸을 경우 발을 통하여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도 3 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도 5 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콘크리트 슬래브층 102. 벽면 구조체
110. 단열 보온재 120, 120a. 흡음재
130, 230, 330. 층격흡수용 차음재 140. 차음판
150. 스티로폼 160. 차음시트
170. 기포 콘크리트층 180. 마감 모르타르층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는 빌라나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 등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인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부로부터의 충격 흡수와 층간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층간 바닥구조에 있어서, 알루미늄 은박에 합성수지재 시트가 부착 구성되어지되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에 시공되어 단열을 통해 보온성을 제공하는 단열 보온재; 단열 보온재의 상부로 시공되어 상부로부터의 소음을 흡음하는 합성수지재의 제 1 흡음재; 제 1 흡음재의 상부로 시공되어지되 제 1 흡음재와의 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저감시키는 것을 통해 충격음을 차단시키는 뜬 구조를 이루는 합성수지재의 충격흡수용 차음재;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상부로 시공되어 상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소음을 흡음하는 합성수지재의 제 2 흡음재; 제 2 흡음재의 상부로 시공되어 상부로부터의 소음을 차단시키는 경질 고무재의 차음판; 차음판의 상부로 시공되어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단열을 통해 보온성을 제공하는 일정두께의 스티로폼; 스티로폼의 상부로 시공되어 상부로부터의 소음을 차단시키는 합성수지재의 차음시트; 및 차음시트의 상부로 시공되어 바닥을 마감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와 마감 모르타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뜬 구조를 이루는 합성수지재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는 수평면을 이루는 합성수지재의 베이스판; 및 베이스판의 하부에 컵의 형태로 탄성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지되 그 하단이 제 1 흡음재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베이스판과 제 1 흡음재 사이에 공기층의 뜬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컵형 공간형성돌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뜬 구조를 이루는 합성수지재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는 상하로 관통된 구조의 격자가 일정하게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지지판; 및 지지판의 격자 각각의 하부에 일정길이로 탄성 가능하게 형성되어지되 그 하단이 제 1 흡음재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지지판과 제 1 흡음재 사이에 공기층의 뜬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형성 지지솔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합성수지재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로써 인조잔디와 같은 구성을 본 고안의 뜬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뜬 구조를 이루는 합성수지재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 이외에 그물망의 형태로 형성된 난자포장재를 교호로 다수 개 적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층간 바닥구조에서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벽면 구조체에는 합성수지재의 흡음재와 차음시트가 더 구성되어 이웃간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슬래브층(100)의 상부에 구성되어 층간 충격을 완충시킬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한 소음이나 기타의 소음을 흡음 및 차단시켜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층간 충격이나 이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뜬 구조의 층간 바닥 구성으로써 본 고안은 콘크리트 슬래브층(100)의 상부에 시공되는 알루미늄 은박(110a)과 합성수지재 시트(110b)로 이루어진 단열 보온재(110), 단열 보온재(110)의 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제 1 흡음재(120), 제 1 흡음재(120)의 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충격흡수용 차음재(130), 충격흡수용 차음재(130)의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제 2 흡음재(120a), 제 2 흡음재(120a)의 상부로 시공되는 경질 고무재의 차음판(140), 경질 고무재의 차음판(140) 상부로 시공되는 스티로폼(150), 스티로폼(150)의 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차음시트(160), 차음시트(160)의 상부로 시공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70)과 마감 모르타르층(18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는 제 1 흡음재(120)와 제 2 흡음재(120a), 충격흡수용 차음재(130), 차음판(140), 스티로폼(150) 및 차음시트(160)의 구성을 통해 층간 바닥구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음하거나 차음을 통해 저감시킴으로써 하부층으로의 소음 전달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알루미늄 은박(110a)과 합성수지재 시트(110b)로 구성된 단열 보온재(110)는 콘크리트 슬래브층(100)의 단열을 통해 보온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 단열 보온재(110)는 콘크리트 슬래브층(100)의 상부에 시공되어 단열은 물론, 하부층으로부터의 전자파 및 수맥파의 차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단열 보온재(110)는 알루미늄 은박(110a)과 합성수지재 시트(110b)의 구성을 통해 콘크리트 슬래브층(100)을 단열하여 보온성을 제공함은 물론, 알루미늄 은박(110a)을 통해 하부층으로부터의 전자파 및 수맥파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알루미늄 은박(110a)과 합성수지재 시트(110b)로 이루어진 단열 보온재(110)는 롤의 형태로 제공되어 콘크리트 슬래브층(100)의 전체 면적에 시공됨으로써 단열을 통해 바닥구조인 콘크리트 슬래브층(100)을 보온 유지하게 된다.
제 1 흡음재(120) 및 제 2 흡음재(120a)는 상부로부터 충격이나 소리에 의한 소음을 흡음하기 위한 것으로, 이 흡음재(120, 120a)는 단열 보온재(110)의 상부로 시공되어 상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이에 따른 소음 및 기타의 소리에 의한 소음을 흡음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흡음재(120, 120a)는 통상 확학섬유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부직포와 같은 화학섬유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흡음재(120, 120a)는 소음을 흡음하여 하부층으로의 소음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은박(110a)과 합성수지재 시트(110b)로 이루어진 단열 보온재(110)의 구성에 더하여 바닥구조의 보온을 유지하는 기능도 겸하게 된다.
충격흡수용 차음재(130)는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충격흡수용 차음재(13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흡음재(120)의 상부로 시공되어지되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32)과 베이스판(132)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컵형 공간형성돌기(13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충격흡수용 차음재(13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을 이루는 베이스판(132) 및 베이스판(132)의 하부에 컵의 형태로 탄성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컵형 공간형성돌기(13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베이스판(132)과 컵형 공간형성돌기(134)는 합성수지재의 동일 재질로써 일체로 성형되어 어느 정도의 탄성이 가능하고, 컵형 공간형성돌기(134)는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그 내부가 빈 공간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132)과 컵형 공간형성돌기(13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용 차음재(130)는 제 1 흡음재(120)의 상부면으로 시공되어 컵형 공간형성돌기(134)에 의해 차음판(140)과 제 1 흡음재(120) 사이에 공기층(136)의 뜬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처럼 제 1 흡음재(120)의 상부로 충격흡수용 차음재(130)의 시공에 의해 차음판(140)과 제 1 흡음재(1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136)은 바닥구조의 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한편,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하부층으로의 충격을 저감시키며, 또한 공기층(136)을 통해 상부로부터의 소음이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130)의 하부면에 형성된 컵형 공간형성돌기(134)는 상부로부터 베이스판(132)의 상부면으로 충격이 전달되어지면 다수의 컵형 공간형성돌기(134)를 통해 그 충격을 사방으로 분산 완충시켜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저감시키게 된다.
차음판(140)은 상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소음이나 기타의 소음을 차음하기 위한 것으로, 이 차음판(140)은 경질 고무재로 이루어져 충격흡수용 차음재(130)의 상부로 시공되는 제 2 흡음재(120a)의 상부로 시공되어진다. 이때, 차음판(140)은 쿠션이 거의 없는 조직이 치밀한 구조의 경질 고무재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티로폼(styroform: 150)은 층간 바닥구조의 보온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티로폼(150)은 차음판(140)의 상부로 시공되어 본 고안의 층간 바닥구조에 보온성을 제공함은 물론,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하여 하부로 전달되는 충격이 어느 정도 저감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음판(140)의 상부로 시공되어 층간 바닥구조의 보온성을 제공하는 한편, 충격을 흡수하여 저감시키는 스티로폼(150)의 두께는 20mm 내외의 두께로 한다. 시중에서는 특호, 1호, 2호 또는 특수공정에 의한 스티로폼에 해당하는 제품이다.
차음시트(160)는 상부측의 소음을 차음하기 위한 것으로, 이 차음시트(160)는 스티로폼(150)의 상부로 시공되어 상부측으로부터의 충격에 따른 소음 및 기타의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차음시트(160)는 통상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그 두께는 1∼2mm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이때, 차음시트(160)는 흡음재(120, 120a)와 같은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그 주된 목적은 상부로부터의 차음에 있다.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70)은 주택의 바닥 단열층 형성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의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70)은 층간 바닥의 단열층 형성은 물론, 단열 보온재(110), 제 1 흡음재(120), 충격흡수용 차음재(130), 제 2 흡음재(120a), 차음판(140), 스티로폼(150) 및 차음시트(160)의 상부를 마감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70)의 구성과 함께 마감 모르타르층(180)이 더 형성된다. 이 마감 모르타르층(180)은 층간 바닥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70)의 상부로 시공되어 바닥을 마감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마감 모르타르층(180)은 시멘트와 물을 일정 중량비로 배합한 시멘트 모르타르를 통해 타설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182는 바닥의 난방수단인 온수 배관을 보인 것이다.
한편, 단열 보온재(110), 제 1 흡음재(120), 충격흡수용 차음재(130), 제 2 흡음재(120a), 차음판(140), 스티로폼(150), 차음시트(160),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70) 및 마감 모르타르층(180)이 구성하는 층간 바닥구조와 벽면 구조체(102) 사이에는 이웃간 벽면구조체(102)로부터의 충격이나 소음을 저감시켜 이웃간의 소음을 차음하기 위한 합성수지재의 흡음재(190)와 차음시트(192)가 시공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벽면구조체(102)로부터의 충격이나 소음을 저감시켜 이웃간의 소음을 차음하기 위한 합성수지재의 흡음재(190)와 차음시트(192)는 층간 바닥구조에서의 흡음재(120, 120a)나 차음시트(160)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되는 본 고안의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70)과 마감 모르타르층(180)을 제외하고 통상 30∼40mm 범위의 두께로 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와 같이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의 구성을 통해 상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충격에 의한 소음 및 기타의 소음 발생시 이를 효과적으로 흡수 및 차음하여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70)과 마감 모르타르층(180)의 시공시 그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충격흡수용 차음시트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의 구성을 통해 층간 바닥구조 전체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도 3 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의 층간 바닥구조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슬래브층(100)의 상부에 시공되는 알루미늄 은박(110a)과 합성수지재 시트(110b)로 이루어진 단열 보온재(110), 단열 보온재(110)의 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제 1 흡음재(120), 제 1 흡음재(120)의 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충격흡수용 차음재(230), 충격흡수용 차음재(230)의 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제 2 흡음재(120a), 제 2 흡음재(120a)의 상부로 시공되는 경질 고무재의 차음판(140), 경질 고무재의 차음판(140) 상부로 시공되는 스티로폼(150), 스티로폼(150)의 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차음시트(160), 차음시트(160)의 상부로 시공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70)과 마감 모르타르층(18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 예의 층간 바닥구조에서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베이스판(132)과 컵형 공간형성돌기(134)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용 차음재(130)나 대신에 지지판(232)과 공간형성 지지솔(234)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용 차음재(230)를 적용한 것이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격흡수용 차음재(23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하로 관통된 구조의 격자(232a)가 일정하게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지지판(232) 및 지지판(232)의 격자(232a) 각각의 하부에 일정길이로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 분산시켜 완충시키는 공간형성 지지솔(23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판(232)과 공간형성 지지솔(234)는 합성수지재의 동일 재질로써 일체로 성형되어 어느 정도의 탄성이 가능하고, 공간형성 지지솔(234)이 이루는 내부는 빈 공간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된다.
전술한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의 층간 바닥구조에서 사용되는 지지판(232)과 공간형성 지지솔(23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용 차음재(230)는 제 1 흡음재(120)와 차음판(140) 사이에 시공되어 제 1 흡음재(120)와 차음판(140) 사이에 공기층(236)의 뜬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흡음재(120)의 상부로 충격흡수용 차음재(230)의 시공에 의해 차음판(140)과 제 1 흡음재(1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236)은 바닥구조의 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한편,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 완충시켜 하부층으로의 충격을 저감시키며, 또한 공기층(236)을 통해 상부로부터의 소음을 상쇄시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음재(230)의 하부면에 형성된 공간형성 지지솔(234)은 상부로부터 지지판(232)의 상부면으로 충격이 전달되어지면 다수의 공간형성 지지솔(234)을 통해 그 충격을 사방으로 분산 완충시켜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저감시키게 된다.
미설명 부호 182는 바닥의 난방수단인 온수 배관을 보인 것이고, 미설명 부호 190, 192는 이웃간 벽면구조체(102)로부터의 충격이나 소음을 저감시켜 이웃간의 소음을 차음하기 위한 합성수지재의 흡음재와 차음시트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도 5 에 따른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의 층간 바닥구조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슬래브층(100)의 상부에 시공되는 알루미늄 은박(110a)과 합성수지재 시트(110b)로 이루어진 단열 보온재(110), 단열 보온재(110)의 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제 1 흡음재(120), 제 1 흡음재(120)의 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충격흡수용 차음재(330), 충격흡수용 차음재(330)의 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제 2 흡음재(120a), 제 2 흡음재(120a)의 상부로 시공되는 경질 고무재의 차음판(140), 경질 고무재의 차음판(140) 상부로 시공되는 스티로폼(150), 스티로폼(150)의 상부로 시공되는 합성수지재의 차음시트(160), 차음시트(160)의 상부로 시공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70)과 마감 모르타르층(18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 예의 층간 바닥구조에서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베이스판(132)과 컵형 공간형성돌기(134)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용 차음재(130)나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32)과 공간형성 지지솔(234)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용 차음재(230) 대신에 그물망의 형태로 형성된 난자포장재를 교호로 다수 개 적층하여 이루어진 충격흡수용 차음재(330)를 사용하였다.
전술한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 예의 층간 바닥구조에서 사용되는 그물망의 형태로 형성된 난자포장재를 교호로 다수 개 적층하여 이루어진 충격흡수용 차음재(330)는 제 1 흡음재(120)와 차음판(140) 사이에 시공되어 제 1 흡음재(120)와 차음판(140) 사이에 공기층(336)의 뜬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그물망의 구조이기 때문에 빈 공간은 공기층(336)으로 형성된다. 이때, 난자포장재는 쿠션으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부면으로 충격이 전달되어지면 그 충격이 난자포장재의 사방으로 분산 완충되어 상부로부터의 충격이 저감된다. 물론,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하부층으로의 충격을 저감시키며, 또한 공기층(336)을 통해 상부로부터의 소음을 상쇄시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은 당연하다.
미설명 부호 182는 바닥의 난방수단인 온수 배관을 보인 것이고, 미설명 부호 190, 192는 이웃간 벽면구조체(102)로부터의 충격이나 소음을 저감시켜 이웃간의 소음을 차음하기 위한 합성수지재의 흡음재와 차음시트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층간 바닥구조는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130, 230, 330)를 통해 차음판(140)과 제 1 흡음재(120) 사이의 뜬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층간 충격이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아파트나 빌라 등의 층간 바닥구조에 있어서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적용을 통해 마감 모르타르층과 층간 바닥구조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충격에 의한 층간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마감 모르타르층의 고르지 못한 평활도를 보상하여 그 상층에 설치되는 층간 바닥구조의 들뜸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층간 바닥의 충격 및 소음을 방지하고 바닥재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를 통해 마감 모르타르층과 층간 바닥구조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실내에서 뛰거나 걸을 경우 발을 통하여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빌라나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 등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인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부로부터의 충격 흡수와 층간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층간 바닥구조에 있어서,
    알루미늄 은박에 합성수지재 시트가 부착 구성되어지되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에 시공되어 단열을 통해 보온성을 제공하는 단열 보온재;
    상기 단열 보온재의 상부로 시공되어 상부로부터의 소음을 흡음하는 합성수지재의 제 1 흡음재;
    상기 제 1 흡음재의 상부로 시공되어지되 상기 제 1 흡음재와의 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저감시키는 것을 통해 충격음을 차단시키는 뜬 구조를 이루는 합성수지재의 충격흡수용 차음재;
    상기 충격흡수용 차음재의 상부로 시공되어 상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소음을 흡음하는 합성수지재의 제 2 흡음재;
    상기 제 2 흡음재의 상부로 시공되어 상부로부터의 소음을 차단시키는 경질 고무재의 차음판;
    상기 차음판의 상부로 시공되어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단열을 통해 보온성을 제공하는 일정두께의 스티로폼;
    상기 스티로폼의 상부로 시공되어 상부로부터의 소음을 차단시키는 합성수지재의 차음시트; 및
    상기 차음시트의 상부로 시공되어 바닥을 마감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와 마감 모르타르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뜬 구조를 이루는 합성수지재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는 수평면을 이루는 합성수지재의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컵의 형태로 탄성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지되 그 하단이 상기 제 1 흡음재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제 1 흡음재 사이에 공기층의 뜬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컵형 공간형성돌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뜬 구조를 이루는 합성수지재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는 상하로 관통된 구조의 격자가 일정하게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격자 각각의 하부에 일정길이로 탄성 가능하게 형성되어지되 그 하단이 상기 제 1 흡음재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판과 제 1 흡음재 사이에 공기층의 뜬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형성 지지솔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뜬 구조를 이루는 합성수지재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는 그물망의 형태로 형성된 난자포장재를 교호로 다수 개 적층하여 이루어진 것을특징으로 하는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벽면 구조체에는 합성수지재의 흡음재와 차음시트가 더 구성되어 이웃간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KR20-2003-0036536U 2003-11-22 2003-11-22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KR200342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536U KR200342586Y1 (ko) 2003-11-22 2003-11-22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536U KR200342586Y1 (ko) 2003-11-22 2003-11-22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586Y1 true KR200342586Y1 (ko) 2004-02-18

Family

ID=4942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536U KR200342586Y1 (ko) 2003-11-22 2003-11-22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58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357B1 (ko) 2006-02-01 2006-09-15 한본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KR101085753B1 (ko) 2011-02-18 2011-11-21 김두환 실내 내벽 마감구조
KR20160044687A (ko) * 2014-10-15 2016-04-26 주식회사 포스코 댐핑패널과 바닥구조물 및 댐핑패널의 제조방법
KR20160049132A (ko) * 2014-10-24 2016-05-09 주식회사 포스코 바닥구조물
KR101854878B1 (ko) 2018-01-03 2018-05-09 (주)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20230031575A (ko) * 2021-08-27 2023-03-07 (주)대진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완충구조
KR102568349B1 (ko) * 2022-10-13 2023-08-21 (주)동영산업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357B1 (ko) 2006-02-01 2006-09-15 한본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KR101085753B1 (ko) 2011-02-18 2011-11-21 김두환 실내 내벽 마감구조
WO2012111941A2 (ko) * 2011-02-18 2012-08-23 Kim Doo Whan 실내 내벽 마감구조
WO2012111941A3 (ko) * 2011-02-18 2012-12-13 Kim Doo Whan 실내 내벽 마감구조
CN102933779A (zh) * 2011-02-18 2013-02-13 金斗焕 室内内壁组件
KR20160044687A (ko) * 2014-10-15 2016-04-26 주식회사 포스코 댐핑패널과 바닥구조물 및 댐핑패널의 제조방법
KR101674737B1 (ko) * 2014-10-15 2016-11-10 주식회사 포스코 바닥구조물
KR20160049132A (ko) * 2014-10-24 2016-05-09 주식회사 포스코 바닥구조물
KR101854878B1 (ko) 2018-01-03 2018-05-09 (주)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20230031575A (ko) * 2021-08-27 2023-03-07 (주)대진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완충구조
KR102541323B1 (ko) * 2021-08-27 2023-06-12 (주)대진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완충구조
KR102568349B1 (ko) * 2022-10-13 2023-08-21 (주)동영산업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437337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시공방법
KR101656794B1 (ko) 공동주택의 평면분할 차음구조 및 시공방법
KR100653596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형 다층부상구조
KR200406673Y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KR200342586Y1 (ko)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KR20060021933A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플로팅 플로어 시스템
KR20090035125A (ko)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KR100683839B1 (ko) 공동주택 온돌바닥의 중량충격음 소음방지재
KR100695613B1 (ko) 층간의 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
KR200378667Y1 (ko) 공동주택의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바닥구조
KR100721850B1 (ko) 에어홀을 갖는 층간 차음시트
KR100931511B1 (ko) 건물용 방음 및 단열 조립체
KR100698410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KR20100001719U (ko) 층간소음차단용 소음 방지 조립체
KR102546126B1 (ko)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KR200406912Y1 (ko) 공동주택 층간 차음 바닥재
KR200324664Y1 (ko) 충격흡수용 차음시트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KR102383131B1 (ko)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KR200393594Y1 (ko) 진동량 저감을 위한 바닥층 댐핑부재
KR101183908B1 (ko) 층간차음바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층간차음구조
KR101207288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74885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KR20060125044A (ko) 공동 주택의 바닥 마감 모르타르 자재를 갖는 층간 충격음차단구조
KR20060078348A (ko)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 다중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