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349B1 -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8349B1 KR102568349B1 KR1020220131610A KR20220131610A KR102568349B1 KR 102568349 B1 KR102568349 B1 KR 102568349B1 KR 1020220131610 A KR1020220131610 A KR 1020220131610A KR 20220131610 A KR20220131610 A KR 20220131610A KR 102568349 B1 KR102568349 B1 KR 1025683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floors
- reducing noise
- weight
- part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9362 perli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451 per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5822 acrylic bind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75065 polyvinyl acet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WOBHKFSMXKNTIM-UHFFFAOYSA-N Hydroxyeth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O WOBHKFSMXKNTI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VVQNEPGJFQJSBK-UHFFFAOYSA-N Meth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OC(=O)C(C)=C VVQNEPGJFQJSB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CQEYYJKEWSMYFG-UHFFFAOYSA-N butyl acrylate Chemical group CCCCOC(=O)C=C CQEYYJKEWSMYF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883 coal as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228 polyisocya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5056 polyisocya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50008882 polysorb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136 polysorb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 oc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70 gener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RGSFGYAAUTVSQA-UHFFFAOYSA-N Cyclopentane Chemical compound C1CCCC1 RGSFGYAAUTVSQ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20 waste ty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MEGYFMYUHOHGS-UHFFFAOYSA-N heptamethylene Natural products C1CCCCCC1 DMEGYFMYUHOH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62 pear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4—Sound-absorbing elements block-shap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4—Minerals of vulcanic origin
- C04B14/18—Perli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23—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52—Nitrogen containing polymers, e.g. polyacrylamides, polyacrylonitri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chitectur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몸체구멍(120); 및, 상기 몸체구멍(120)과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좌우 양측 표면 각각에 형성되는 절개홈(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브와 접하는 벽체 하단부를 따라 발포성 합성수지 재질의 벽면진동절연시트(200)를 부착하는 제1단계; 엠보싱 시트(300)를 펼쳐서 슬라브의 상부면을 덮는 제2단계;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눕혀 몸체구멍(120)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엠보싱 시트(300)의 상부면을 덮는 제3단계;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상부면에 몰탈(500)을 타설하여 양생하는 제4단계; 및, 양생이 완료된 몰탈(500) 상부면에 바닥마감재(600)를 시공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층간 소음 저감용 패널과는 달리 블록의 중앙부를 따라 빈 공간이 형성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층간 소음을 흡수 저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대의 도시 건축물은 토지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다수의 공간을 상하로 분리 구획하는 다층구조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다수의 공간을 분리 구획하는 벽체와 슬라브는 이들 각각의 공간이 독립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요건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요건 가운데 중요한 것은 어느 한 공간 내부의 온도와 그 내부에서 발생한 소음이 벽체 또는 슬라브를 통하여 이웃하는 다른 공간으로 전파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슬라브의 경우 우리나라 주거공간의 특성상 대상 공간에 대하여 온도를 전달하기 위한 온수배관이 매설되고, 벽체 등 다른 구조물에 비교하여 바닥충격음 등 소음의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다층구조의 건축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슬라브는 열손실 및 층간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각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이미 형성된 슬라브의 상부에 일정 두께의 차음층을 형성하고, 온수배관을 시설한 후 차음층과 온수배관의 상부를 다시 마감 모르타르로 포설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시행된 차음층의 구성은, 각종 차음성 소재를 접착제 또는 수지류를 이용하여 슬라브와 마감 모르타르 사이에서 고착시키거나 차음성 소재로 이루어진 매트 형식의 것(층간 소음재)을 슬라브 위에 깔고 그 상부를 마감 모르타르로 메우는 형태의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렇게 사용되는 종래의 층간 소음재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에 사이클로펜테인(cyclopentane) 등의 휘발성 발포제 등을 사용한 것으로 경량화와 단열성 및 음의 전도를 줄이도록 한 것인데, 이러한 종래의 층간소음재는 경량화와 단열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는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층간소음의 저감이라는 관점에서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더구나, 폐타이어 또는 폐합성수지 등 환경오염 물질을 재활용하고 있어 그에 따른 이차적인 피해의 위험도 있다.
아울러, 환경오염 물질을 재활용하지 않고 자연친화적인 황토나 펄라이트, 천연솜 등이 융합된 흡음재 패드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단순 평면 형상이거나 평면의 일측면에 엠보싱이 형성된 정도에 불과하여 층간소음 해소에 한계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 제10-1565152호
등록특허 제10-1549921호
등록특허 제10-2227181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블록의 중앙부를 따라 빈 공간이 형성되어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블록의 배열 방식에 따라 바닥 전체에 시공할 수도 있고, 슬라브와 벽체의 경계부를 따라 시공할 수도 있는 새로운 구조의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몸체구멍(120); 및, 상기 몸체구멍(120)과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좌우 양측 표면 각각에 형성되는 절개홈(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브와 접하는 벽체 하단부를 따라 발포성 합성수지 재질의 벽면진동절연시트(200)를 부착하는 제1단계; 엠보싱 시트(300)를 펼쳐서 슬라브의 상부면을 덮는 제2단계;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눕혀 몸체구멍(120)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엠보싱 시트(300)의 상부면을 덮는 제3단계;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상부면에 몰탈(500)을 타설하여 양생하는 제4단계; 및, 양생이 완료된 몰탈(500) 상부면에 바닥마감재를 시공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엠보싱 시트(300)를 펼쳐서 슬라브의 상부면을 덮는 제1단계; 슬라브와 접하는 벽체 하단부를 따라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세워 몸체 구멍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제2단계; 평판 형상의 흡음재(400)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엠보싱 시트(300) 상부면을 덮는 제3단계; 흡음재(400)의 상부면에 몰탈을 타설하여 양생하는 제4단계; 및, 양생이 완료된 몰탈(500) 상부면에 바닥마감재를 시공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은 몸체부(110)의 중앙부를 따라 다수의 몸체구멍(120)이 형성되어 블록 자체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음 흡수 및 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건물 자체의 하중을 경감하고 빈 공간의 에에층이 형성되어 단열 및 흡음 효과가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을 수평으로 눕혀 슬라브 영역에 시공할 경우 다층 건물의 바닥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하부층으로 전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슬라브 내부에 공간 형성을 위하여 별도의 시공이 불필요하다.
셋째,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을 수직으로 세워 슬라브와 벽체의 경계부를 따라 시공할 경우 슬라브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벽체를 통하여 다른 세대로 전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넷째, 폐타이어 또는 폐합성수지 등 환경오염 물질을 재활용하지 않고 황토나 펄라이트, 천연솜 등을 사용하여 거주 공간을 환경친화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인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a) 몸체부(110)의 중앙부를 따라 몸체구멍(120)이 형성되는 경우, 및 (b) 몸체부(110)의 전체 영역에 몸체구멍(120)이 분포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도2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른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데,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수평으로 눕혀 슬라브 영역에 시공한 경우이다.
도3은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른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데,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수직으로 세워 슬라브와 벽체의 경계부를 따라 시공한 경우이다.
도4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른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데,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슬라브 영역과 벽체 영역을 따라 시공한 경우이다.
도2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른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데,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수평으로 눕혀 슬라브 영역에 시공한 경우이다.
도3은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른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데,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수직으로 세워 슬라브와 벽체의 경계부를 따라 시공한 경우이다.
도4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른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데,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슬라브 영역과 벽체 영역을 따라 시공한 경우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도1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부(110), 몸체구멍(120) 및 절개홈(130)으로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주된 몸체를 구성한다.
몸체구멍(120)은 몸체부(11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는데, 도1(a)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부(110)의 중앙부를 따라 다수 구비될 수도 있고, 도1(b)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부(110)의 전체 영역에 분포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절개홈(130)은 몸체구멍(120)과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몸체부(110)의 좌우 양측 표면 각각에 형성된다.
따라서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연속적으로 배열될 경우 몸체부(110)가 서로 맞닿아 2개의 절개홈(130)이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몸체부(110)의 크기(길이/폭/높이)나 몸체구멍(120)의 직경과 수량, 절개홈(130)의 크기 등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며, 특정 수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펄라이트, 솜, 황토 및 결합제가 혼합된 조성물로 제조되는데, 펄라이트 15 내지 40 중량부, 솜 5 내지 25 중량부, 황토 5 내지 15 중량부, 결합제 10 내지 2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된다.
아울러, 이러한 조성물에는, 펄프 5 내지 15 중량부 및, 잡초 5 내지 15 중량부, 탄재(coal ash) 10 내지 15 중량부, 시멘트 1 내지 9 중량부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성물에는, 경화제로 폴리이소시안네이트(polyisocianate) 0.1 내지 1.0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0.01 내지 0.05 중량부, 기제로서 카본블랙워터(carbon black water) 0.1 내지 1.0 중량부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첨가될 수도 있다.
솜은 천연섬유, 합성섬유, 카본섬유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결합제는 아크릴계 결합제, 우레탄계 결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데, 아크릴계 결합제는 부틸 아크릴산에스트(Buthyl Acrylate),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 메타아크릴 아마이드(2-hydroxy Ethyl Methacrylate), 폴리초산비닐(PVAc: PolyVinyl-Acetate),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l Pyrrolidone)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혼합비에 맞추어 준비하고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조성물을 1차 건조하여 겔(gel) 상태로 만드는 단계, 겔(gel) 상태의 혼합물을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형상으로 성형하는 몰드에 넣고 가압 성형하는 단계, 및 가압 성형 후 2차 건조하는 단계로 제작될 수 있으며,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제10-1565152호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관련된 내용 가운데 준비과정(ST100), 혼합 과정(ST110), 건조과정(ST120), 가압성형과정(ST130, 몰드(금형)의 형상은 서로 다름), 2차 건조과정(ST140)의 내용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을 이용한 시공은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도2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수평으로 눕혀 슬라브 영역에 시공한 경우의 단면 구조이다.
도2에 도시된 시공 단면 구조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1) 제1단계
슬라브와 접하는 벽체 하단부를 따라 발포성 합성수지 재질의 벽면진동절연시트(200)를 부착하는 과정이다.
벽면진동절연시트(200)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진 띠 형상의 부재로서 발포 폴리스틸렌(PS,polystyrene)이나 스폰지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양면 테이프, 에폭시,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벽체 하단부를 따라 부착한다.
이러한 벽면진동절연시트(200)는 바닥면에서 발생한 소음이 벽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2) 제2단계
엠보싱 시트(300)를 펼쳐서 슬라브의 상부면을 덮는 과정이다.
엠보싱 시트(300)는 폴리에틸렌(PE)나 폴리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표면 전체 영역을 따라 다수의 엠보싱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두께나 전체 높이는 특정 수치로 한정되지 않으나, 개략 재질의 두께 1mm 내외, 엠보싱을 포함한 전체 높이 1.5 내지 3mm 정도되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3) 제3단계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눕혀 몸체구멍(120)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엠보싱 시트(300)의 상부면을 덮는 과정이다.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도2에 도시된 것처럼 눕혀 몸체구멍(120)과 절개홈(130) 들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슬라브 전체 영역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한다.
이러한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은 바닥면에서 발생한 소음이 하층부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흡수하여 차단하는 역할과 함께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4) 제4단계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상부면에 몰탈(500)을 타설하여 양생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몰탈(500)은 벽면진동절연시트(200)의 상단부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높이)까지 타설한다.
몰탈(500)의 타설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제품을 선택하고 이미 알려진 일반적인 과정을 통하여 시공하면 된다.
몰탈(500) 타설이 이루어지기 전에 온수 파이프의 설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5) 제5단계
양생이 완료된 몰탈(500) 상부면에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바닥마감재(600) 가운데 적절한 제품을 선택하여 이미 알려진 일반적인 시공 방법으로 시공하면 된다.
도3은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수직으로 세워 슬라브와 벽체의 경계부를 따라 시공한 경우의 바닥 단면 구조이다.
도3의 시공 단면 구조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1) 제1단계
엠보싱 시트(300)를 펼쳐서 슬라브의 상부면을 덮는 과정이다.
엠보싱 시트(300)는 폴리에틸렌(PE)나 폴리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표면 전체 영역을 따라 다수의 엠보싱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두께나 전체 높이는 특정 수치로 한정되지 않으나, 개략 재질의 두께 1mm 내외, 엠보싱을 포함한 전체 높이 1.5 내지 3mm 정도되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2) 제2단계
슬라브와 접하는 벽체 하단부를 따라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세워 몸체구멍(120)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과정이다.
도2의 경우와는 달리 도3의 경우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세워 몸체구멍(120)과 절개홈(130)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슬라브와 접하는 벽체 하단부를 따라서만 설치하고, 슬라브 전체 영역을 덮도록 설치되지 않는다.
이러한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은 바닥면에서 발생한 소음이 벽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함께 단열 기능을 한다.
(3) 제3단계
평판 형상의 흡음재(400)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엠보싱 시트(300) 상부면을 덮는 과정이다.
평판 형상의 흡음재(400)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과 같이 펄라이트, 솜, 황토 및 결합제가 혼합된 조성물을 혼합하여 평판 형상으로 압축 성형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과는 그 형상만 다를 뿐 구성 성분이 동일하며 기본적인 기능도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흡음재(400)는 바닥면에서 발생한 소음이 하층부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흡수하여 차단하는 역할과 함께 단열 기능을 수행한다.
(4) 제4단계
흡음재(400)의 상부면에 몰탈을 타설하여 양생하는 과정이다.
몰탈(500)은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상단부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높이)까지 타설된다.
몰탈(500)의 타설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제품을 선택하고 이미 알려진 일반적인 과정을 통하여 시공하면 된다.
몰탈(500) 타설이 이루어지기 전에 온수 파이프의 설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5) 제5단계
양생이 완료된 몰탈(500) 상부면에 바닥마감재(600)를 시공하는 과정이다.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다양한 바닥마감재(600) 가운데 적절한 것을 선택하고 일반적인 시공 방법에 따라 시공하면 된다.
도4의 시공 단면 구조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1) 제1단계
엠보싱 시트(300)를 펼쳐서 슬라브의 상부면을 덮는 과정이다.
엠보싱 시트(300)는 폴리에틸렌(PE)나 폴리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표면 전체 영역을 따라 다수의 엠보싱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두께나 전체 높이는 특정 수치로 한정되지 않으나, 개략 재질의 두께 1mm 내외, 엠보싱을 포함한 전체 높이 1.5 내지 3mm 정도되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2) 제2단계
슬라브와 접하는 벽체 하단부를 따라 엠보싱 시트(300) 상부면에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슬라브와 벽체의 경계부를 따라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이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3) 제3단계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눕혀 몸체구멍(120)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엠보싱 시트(300)의 나머지 상부면 전체를 덮는 과정이다.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도4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구멍(120)과 절개홈(130) 들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슬라브 전체 영역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한다.
이러한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은 바닥면에서 발생한 소음이 하층부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흡수하여 차단하는 역할과 함께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4) 제4단계
슬라브와 접하는 벽체 하단부를 따라 설치된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상부 벽체를 따라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추가 적층하는 과정이다.
추가 적층되는 높이는 벽체의 전체 영역을 덮을 수도 있고, 일부 영역만 덮는 높이까지 적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슬라브와 벽체의 경계부 및 벽체를 따라 설치되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몸체구멍(120)은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브 전체 영역을 덮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몸체구멍(120)과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게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시공할 수도 있고,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슬라브와 벽체의 경계부 및 벽체를 따라 설치되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몸체구멍(120)과는 달리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2단계, 제3단계 및 제4단계는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순서를 달리하여 시공될 수도 있고, 함께 병행하여 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바닥을 형성하는 슬라브와 함께 벽체에도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이 설치됨으로써 바닥과 벽체 사이의 소음 전달을 극소화할 수 있고, 슬라브 및 벽체의 단열 효과 및 흡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5) 제5단계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상부면에 몰탈(500)을 타설하여 양생하는 과정이다.
몰탈(500)의 타설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제품을 선택하고 이미 알려진 일반적인 과정을 통하여 시공하면 된다.
몰탈(500) 타설이 이루어지기 전에 온수 파이프의 설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6) 제6단계
양생이 완료된 몰탈(500) 상부면에 바닥마감재(600)를 시공하는 과정이다.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다양한 바닥마감재(600) 가운데 적절한 것을 선택하고 일반적인 시공 방법에 따라 시공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110:몸체부
120:몸체구멍
130:절개홈
200:벽면진동절연시트
300:엠보싱 시트
400:흡음재
500:몰탈
600:바닥마감재
110:몸체부
120:몸체구멍
130:절개홈
200:벽면진동절연시트
300:엠보싱 시트
400:흡음재
500:몰탈
600:바닥마감재
Claims (10)
-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몸체구멍(120); 및,
상기 몸체구멍(120)과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좌우 양측 표면 각각에 형성되는 절개홈(130);
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110)는,
펄라이트, 솜, 황토 및 결합제가 혼합된 조성물로 제조되되,
펄라이트 15 내지 40 중량부, 솜 5 내지 25 중량부, 황토 5 내지 15 중량부, 결합제 10 내지 2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조성물에는,
펄프 5 내지 15 중량부 및, 잡초 5 내지 15 중량부, 탄재(coal ash) 10 내지 15 중량부, 시멘트 1 내지 9 중량부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 제1항에서,
상기 솜은 천연섬유, 합성섬유, 카본섬유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제는 아크릴계 결합제, 우레탄계 결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아크릴계 결합제는 부틸 아크릴산에스트(Buthyl Acrylate),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 메타아크릴 아마이드(2-hydroxy Ethyl Methacrylate), 폴리초산비닐(PVAc: PolyVinyl-Acetate),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l Pyrrolidone)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에는,
경화제로 폴리이소시안네이트(polyisocianate) 0.1 내지 1.0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0.01 내지 0.05 중량부,
기제로서 카본블랙워터(carbon black water) 0.1 내지 1.0 중량부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엠보싱 시트(300)를 펼쳐서 슬라브의 상부면을 덮는 제1단계;
슬라브와 접하는 벽체 하단부를 따라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세워 몸체 구멍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제2단계;
평판 형상의 흡음재(400)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엠보싱 시트(300) 상부면을 덮는 제3단계;
흡음재(400)의 상부면에 몰탈(500)을 타설하여 양생하는 제4단계; 및,
양생이 완료된 몰탈(500) 상부면에 바닥마감재(600)를 시공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을 이용한 시공 방법. - 제4항에서,
상기 제4단계에서,
몰탈(500)은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상단부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높이) 이내까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을 이용한 시공 방법. -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엠보싱 시트(300)를 펼쳐서 슬라브의 상부면을 덮는 제1단계;
슬라브와 접하는 벽체 하단부를 따라 엠보싱 시트(300) 상부면에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제2단계;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눕혀 몸체구멍(120)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엠보싱 시트(300)의 나머지 상부면 전체를 덮는 제3단계;
슬라브와 접하는 벽체 하단부를 따라 설치된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상부 벽체를 따라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을 추가 적층하는 제4단계;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100)의 상부면에 몰탈(500)을 타설하여 양생하는 제5단계; 및,
양생이 완료된 몰탈(500) 상부면에 바닥마감재(600)를 시공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을 이용한 시공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1610A KR102568349B1 (ko) | 2022-10-13 | 2022-10-13 |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1610A KR102568349B1 (ko) | 2022-10-13 | 2022-10-13 |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8349B1 true KR102568349B1 (ko) | 2023-08-21 |
Family
ID=8784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1610A KR102568349B1 (ko) | 2022-10-13 | 2022-10-13 |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8349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2586Y1 (ko) * | 2003-11-22 | 2004-02-18 | 주식회사 익성 Bmi |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
KR20090013228U (ko) * | 2008-06-23 | 2009-12-31 | 이강식 | 층간 소음 방지 및 축열 겸용 건축용 패널 |
KR20140131309A (ko) * | 2014-10-23 | 2014-11-12 | 이진구 | 층간소음 저감기능을 갖는 건축용 바닥판재 |
KR20170060768A (ko) * | 2015-11-25 | 2017-06-02 | 김택영 | 소음 저감용 패널의 제조방법 |
KR20210004583A (ko) * | 2019-07-05 | 2021-01-13 | 주식회사 하나에코텍 |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슬라브 시공구조체 |
-
2022
- 2022-10-13 KR KR1020220131610A patent/KR1025683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2586Y1 (ko) * | 2003-11-22 | 2004-02-18 | 주식회사 익성 Bmi |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
KR20090013228U (ko) * | 2008-06-23 | 2009-12-31 | 이강식 | 층간 소음 방지 및 축열 겸용 건축용 패널 |
KR20140131309A (ko) * | 2014-10-23 | 2014-11-12 | 이진구 | 층간소음 저감기능을 갖는 건축용 바닥판재 |
KR20170060768A (ko) * | 2015-11-25 | 2017-06-02 | 김택영 | 소음 저감용 패널의 제조방법 |
KR20210004583A (ko) * | 2019-07-05 | 2021-01-13 | 주식회사 하나에코텍 |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슬라브 시공구조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7337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시공방법 | |
KR20120007999A (ko) | 완충 및 제진 성능을 갖는 복합 바닥 구조 | |
KR100848576B1 (ko) | 충격흡수용 차음재 | |
KR102295294B1 (ko) | 복층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구조 | |
KR20180029335A (ko) |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 | |
KR101324261B1 (ko) | 공동주택의 층간바닥구조 | |
KR101764160B1 (ko) | 조립식 온돌패널 | |
KR102568349B1 (ko) | 층간 소음 저감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
KR200287084Y1 (ko) | 공동주택의 층간 단열 및 소음방지 뜬바닥구조 | |
KR100995303B1 (ko) | 방진매트를 이용한 공동주택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 | |
KR100966730B1 (ko) | 층간 소음 방지 패널 | |
KR102220518B1 (ko) |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423219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으로 사용되는 고무·섬유구조체 및 그 이용방법 | |
KR20180025420A (ko) | 차음 및 흡음 성능이 향상된 복합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공법 | |
KR20070099349A (ko) | 충격흡수용 차음재 | |
KR100756415B1 (ko) |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 |
KR100647476B1 (ko) |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및 그 제조방법 | |
KR101001590B1 (ko) |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0191867B1 (ko) | 건축용 방진판의 시공방법 | |
KR20030017026A (ko) | 뜬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KR20040075120A (ko) | 건축물용 층간 방진재 적층구조 | |
KR101565152B1 (ko) | 층간소음재 조성물, 층간소음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건축물 층간의 소음 저감용 패널 | |
CN215330901U (zh) | 一种建筑用植物生态保温复合板 | |
KR100505142B1 (ko) | 차음재 | |
KR20030054755A (ko) | 바닥충격음 바닥구조 시공방법 및 바닥충격음 차단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