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941Y1 - 온돌판과 벽체 사이의 충격방지용 완충재 - Google Patents

온돌판과 벽체 사이의 충격방지용 완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941Y1
KR200246941Y1 KR2020010006625U KR20010006625U KR200246941Y1 KR 200246941 Y1 KR200246941 Y1 KR 200246941Y1 KR 2020010006625 U KR2020010006625 U KR 2020010006625U KR 20010006625 U KR20010006625 U KR 20010006625U KR 200246941 Y1 KR200246941 Y1 KR 200246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ondol
cushioning material
concret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일
Original Assignee
이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일 filed Critical 이선일
Priority to KR2020010006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941Y1/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돌판과 벽체 사이에 매립되는 충격 방지용 완충재로서 방바닥 충격 소음의 전달 차단 및 단열재 로서의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완충재에 비하여 뛰어난 시공성과, 충격소음 전달경로(음교)의 철저한 제거에 뛰어난 효과를 갖게된다. 종래의 완충재와 같이 온돌바닥의 구성층(온돌 바닥몰탈,경량 기포콘크리트등)의 수평 마감 기준선을 제공하여 정밀시공에 기여하게되며, 종래에는 필요한 두께의 차이에 따라 2개의 부재를 별도로 사용하게되었던 것을 1개의 부재로 통합하여 사용인력을 절감 하게되며, 특히 하부의 완충재가 발포포리에치렌으로 바뀌게 되어 그 형태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으며, 그 수용력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완충재의 하단부를 여러개로 절개하여 온돌판 하부단열재와 맞닿는 면의 요철(콘크리트 스라브의 시공오차로 인함) 에 충분히 대응하여 정밀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아울러 그 뒷면에는 접착재를 도포하여 시공성을 극대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돌판과 벽체 사이의 충격방지용 완충재{SHOCK ABSORBER PLATE BETWEEN ONDOL PANEL AND CONCRETE}
본 고안은 온돌판(판넬히팅)과 벽체 사이에 매립 설치되어 온돌 바닥의 충격 소음이 벽체를 통하여 주변의 실내(특히 공동주택의 이웃세대)로 전달되어 지는 것을 차단함을 목적으로 하며, 아울러 온돌 바닥 몰탈로부터 콘크리트 벽체로의 열손실 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완충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돌 바닥 몰탈의 충격 방지용 완충재(110)의 상단 및 하단을 이용하여 온돌 바닥 몰탈과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수평 마감 기준선을 확보할 수 있었으나, 온돌 바닥 몰탈 부분의 완충재(110)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부분의 완충재(100)의 두께가 서로 다르고 그 소재도 상이하여, 별도로 시공하게 됨으로 인한 인력의 낭비가 발생하였으며,
콘크리트 스라브의 시공오차(보통 2-3cm정도이며,심할경우에는4-5cm인경우도 발생) 로 인한 온돌판 하부단열재의 들뜸으로 인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부분의 완충재(100)의 하단부와 온돌판의 하부 단열재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어 충격 소음의 전달 통로(음교)가 온돌 바닥의 하부에 전체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또한, 기존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부분의 완충재(100)는 발포 포리스치렌(스치로폼)으로 되어있어 운반, 가공 및 부착시 부스러지는 등 벽체에 설치 시 조잡 시공이 빈번히 발생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충격 방지용 완충재를 제공하여 건설공사의 정밀 시공과 조잡 시공 방지 및 원가 절감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의 충격 방지용 완충재의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 방지용 완충재의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 방지용 완충재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 방지용 완충재로 시공된 온돌판(판넬히팅)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 방지용 완충재가 설계치수 보다 크게 제작되어 온돌판 하부 단열재를 압축할 경우, 다수개로 절개한 완충재의 하단부가 구부러지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충격 방지용 완충재 210 : 바닥 단열재와의 접합부
220 : 경량 기포콘크리트와의 접합부 230 : 경량 기포콘크리트 마감선
240 : 온돌 바닥몰탈과의 접합부 250 : 온돌 바닥몰탈 마감선
260 : 접착제 도포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온돌판(판넬히팅)과 벽체 사이에 매립되어서 충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아울러 온돌 바닥 몰탈로부터 벽체로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단열재의 역할을 하도록 설치되는 완충재의 설치 목적에 충실하면서도 시공이 간편하도록 2개로 분리되어 시공되어 지던 것을 단면을 계단식으로 구성하여 1개로 통합하였으며, 또한 콘크리트 스라브의 시공오차로 인한 완충재 하부의 틈을 모두 제거 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완충재의 폭은 설계치수 보다 크게 제작하였으며 그 하단부는 설치시에 구부러 지는등, 경량 기포 콘크리트높이의 변화를 흡수 할 수 있는 구조로 하기 위하여 발포 포리에치렌등 유동성이 좋은 소재로 제작함은 물론, 완충재의 하단부를 소정의 깊이만큼 다수패로 절제하여 온돌판 하부 단열재의 높이 변화(콘크리트 스라브의 시공 오차에 의해 발생)에 충분히 대응 하면서도 그 접합부위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충격 방지용 완충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온돌판(판넬히팅)의 최 하부에는 충격 소음방지 및 열 손실방지를 위하여 단열재(3)가 설치되는데, 그 바탕 면인 콘크리트 스라브(1)의 시공 오차가 통상 2-3cm에 달하게 되어 단열재(3)의 상부 면이 수평이 되지 못 하고 울퉁불퉁하게 설치되어 그 상부에 설치되는 충격 방지용 완충재(200)와의 사이에는 항상 들뜸현상이나타나게 된다. 이 들뜸을 보완하기 위해서 충격 방지용 완충재(200)의 폭(220)을 설계치수 보다 소정의 폭 만큼 크게 하고, 그 하단부(210)는 다수개로 소정의 깊이 만큼 절개하여 접합부위에 항상 작용 하게되는 압축 응력을 도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산하여 들뜸 부위를 효과적으로 없앨 경우, 충격 전달 음의 연결통로(음교)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완충재는 그 필요한 용도와 두께에 따라 도1에서 볼 수 있는 바 와 같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100)과 온돌 바닥 몰탈용(110)으로 구분되어져 있던 것을 두께가 다른(계단식 단면을 가진) 하나의 재료로 통합(200)하여 설치 인력의 절감을 예상 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의 소재중 하나인 발포 포리스치렌(스치로폼) 잘 부스러지는 성질이 있어서, 재료의 손망실 및 조잡 시공을 야기 시켰으나, 이를 발포 포리에치렌(아티론 쉬트, 한비론 쉬트등으로 명명됨)으로 대체 하여 가공, 운반 및 설치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충격 방지용 완충재(200)의 온돌 바닥 몰탈과의 접합부(240)의 폭은 온돌 바닥 몰탈의 마감 두께와 같이 하여 그 상단선(250)은 온돌 바닥 몰탈 마감기준선으로 사용 할 수 있으며, 그 중간선(230)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마감기준선으로 사용하게 되어 그 효과를 배가시킨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 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효과를 가지는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것이다. 예를들어 발포 포리에치렌보온재(아티론 쉬트,한비론 쉬트등)과 유사한 물성을 가진 소재를 이용할 경우, 또는 상기 충격 방지용 완충재의 하단부의 절개부분의 개수와 모양의 변화, 그 외에 각 시공회사 또는 설계회사에 따라 그 규격이 상이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충격 방지용 완충재를 사용할 경우, 2개의 부재를 1개의 부재로 통합하여 설치 인건비가 절감되며, 충격 방지용 완충재의 하단부와 온돌판 하부 단열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소음 전달 통로(음교)가 없어지게 되며, 따라서 공동주택의 세대간 소음 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온돌 바닥 몰탈의 마감 기준선과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마감 기준선으로 사용되어 정밀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3)

  1. 온돌판(판넬히팅)과 벽체 사이에 매립 설치되는 충격 방지용 완충재에 있어서,
    발포 포리에치렌 보온재(아티론 쉬트, 한비론 쉬트 등으로 명명됨)를 사용하여 그 길이가 길고 폭이 좁게 형성되면서 그 단면의 형상이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그 상부와 하부의 두께에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용 완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의 단면중 두께가 적은 부분의 폭은 온돌 바닥 몰탈의 두께와 일치하며,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폭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두께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폭을 넓힌 충격 방지용 완충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단부를 소정의 깊이로 다수 개로 절개하여 소재의 유동성을 증가시킨 충격 방지용 완충재.
KR2020010006625U 2001-03-12 2001-03-12 온돌판과 벽체 사이의 충격방지용 완충재 KR200246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625U KR200246941Y1 (ko) 2001-03-12 2001-03-12 온돌판과 벽체 사이의 충격방지용 완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625U KR200246941Y1 (ko) 2001-03-12 2001-03-12 온돌판과 벽체 사이의 충격방지용 완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941Y1 true KR200246941Y1 (ko) 2001-10-29

Family

ID=7309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625U KR200246941Y1 (ko) 2001-03-12 2001-03-12 온돌판과 벽체 사이의 충격방지용 완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9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365B1 (ko) 2008-06-30 2010-10-08 박연준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365B1 (ko) 2008-06-30 2010-10-08 박연준 분리공간을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980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차음층이 구비된 바닥완충구조
KR102031050B1 (ko) 블록형 단열 거푸집
KR100684686B1 (ko) 층간차음재
KR200406673Y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KR101462969B1 (ko) 층간 충격소음 저감을 위한 중공 이중 뜬 바닥 구조
KR101492208B1 (ko) 공동주택의 바닥과 벽체로 전달되는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200311493Y1 (ko) 방진 및 방음 패널
GB2437180A (en) Acoustic Flanking Block
KR200246941Y1 (ko) 온돌판과 벽체 사이의 충격방지용 완충재
KR200385010Y1 (ko) 층간차음재
KR102053497B1 (ko) 바닥재 시공방법
KR100329917B1 (ko) 다중 구조의 소음 및 진동 차폐층을 갖는 공동주택 바닥구조
KR200324664Y1 (ko) 충격흡수용 차음시트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KR102077089B1 (ko) 층간소음 저감재
KR100766335B1 (ko) 건식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KR101761242B1 (ko) 층간소음 저감용 반 건식난방패널
KR20030017026A (ko) 뜬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0692315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JPS62156471A (ja) 乾式防振床
KR102571935B1 (ko) 바닥 소음 저감용 조립체
KR100778659B1 (ko) 건축물의 방음, 방진 바닥재
KR102541093B1 (ko) 바닥 충격음 차단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체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차단 구조
KR200290821Y1 (ko) 온돌바닥 몰탈 과 벽체 사이의 충격방지용 완충재
KR102255185B1 (ko) 내진성능과 단열성능이 향상된 결합어셈블리를 갖는 건축외장재
KR200231438Y1 (ko) 벽체를 통한 상하층간 소음 및 진동의 전달을 차폐시키기 위한 개량된 공동주택 바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