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980A - 피분석물 분리용 작용화 중합체성 매질 - Google Patents

피분석물 분리용 작용화 중합체성 매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980A
KR20030041980A KR10-2003-7002864A KR20037002864A KR20030041980A KR 20030041980 A KR20030041980 A KR 20030041980A KR 20037002864 A KR20037002864 A KR 20037002864A KR 20030041980 A KR20030041980 A KR 20030041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ized polymer
polymer beads
functional monomer
analyt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5656B1 (ko
Inventor
데오카낸드쿠마브이.
파리나제임스
부스폴에이.
Original Assignee
말린크로트 베이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8572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4198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말린크로트 베이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말린크로트 베이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4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 C08F25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on to poly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259/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on to polymers containing chlorine on to polymers of vinylidene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ionic interaction
    • B01D15/361Ion-exchange
    • B01D15/362Cat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ionic interaction
    • B01D15/361Ion-exchange
    • B01D15/363An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82Porous sorbents
    • B01J20/285Porous sorbents based on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85Coating or impregnation layers comprising different type of functional groups or interactions, e.g. different ligands in various parts of the sorbent, mixed mode, dual zone, bimodal, multimodal, ionic or hydrophobic, cationic or anionic, hydrophilic or 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9/00Cat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cat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cation exchange properties
    • B01J39/26Cation exchangers for chromatograph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1/00An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an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anion exchange properties
    • B01J41/20Anion exchangers for chromatograph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50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54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용화 중합체성 매질을 사용한, 각종 극성, 비극성 및 이온성 피분석물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닐리덴 화합물의 고도로 가교결합된 단독중합체의 예비형성된 경질 입자는, 모노비닐 화합물이 중합을 통해 공유결합되어 있는 잔여 비닐 그룹을 사용하여 작용화된다. 이러한 작용화를 통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체상 추출 등의 분리 적용을 위한 바람직한 표면 특성이 부여된다.

Description

피분석물 분리용 작용화 중합체성 매질{Functionalized polymeric media for separation of analytes}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작용화 중합체성 매질을 사용한, 각종 극성, 비극성 또는 이온성 피분석물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중합체성 매질의 작용화 및 이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중합체 입자의 작용화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체상 추출 등의 분리 적용을 위한 바람직한 표면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수행된다.
발명의 배경
피분석물의 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체상 추출 분리법은 피분석물 용액의 혼합물을 결합상/흡수제로서 또한 공지되어 있는 고체 물질과 접촉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결합상으로의 피분석물의 흡착/탈착(분배)으로 인해 혼합물이 분리된다[참조:Practical HPLC Method Development, L. R. Snyder, J. J. Kirkland, and J. L. Glajch, John Wiley and Sons, 1997;Solid Phase Extraction for Sample Preparation, M. Zief, and R. Kisel, J. T. Baker, Phillipsburg, NJ, 1988]. 본 발명의 배경을 예시하거나 실행에 관한 세부 사항을 추가로 제공하기 위해 본원에 사용된 공보 및 기타 문헌이 참조로 인용되어 있으며, 편의상 첨부된 참조 문헌 목록에 각각 분류되어 있다. 역상 및 이온 교환 등의 각종 메카니즘에 의한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지지물을 변형시킨다. 실리카 입자를 사용하여 역상을 결합상으로 만드는 것은 알려져 있다. 산성 조건 및 염기성 조건에서의 불안정성 등, 실리카와 관련된 몇몇 결점으로 인해, 중합체는 고려 중이다. 가교결합된 공중합체 수지와 관련된 난점들 중 일부는 용매에서의 팽윤 및 감소된 기계적 강도를 포함한다[참조: F. Nevejam, and M. Verzele, J. Chromatography350:145 (1985)]. 따라서, 고도로 가교결합되었으나 다공질인 중합체 입자(이때, 흡착 부위는 피분석물이기 쉽다)를 사용할 필요가 종종 있다. 비작용성 중합체 상의 필요한 선택성은 목적한 선택성을 제공하는 극성 특성과 비극성 특성과의 조합으로 실리카계 결합상을 개질시키면서 이동상을 이루는 용매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수득된다. 따라서, 목적한 선택성과 분리능을 가져올 수 있는, 적합한 작용화 중합체성 물질 및 이의 사용방법이 필요하다.
모노비닐리덴과 폴리비닐리덴 단량체와의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작용화 중합체를 생성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중합체를 설폰화에 의해 이온 교환 수지로 전환시키는 것은 미국 특허 제2,366,00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작용화를 수행할 경우, 중합체 주쇄가 반응하여, 친수성으로 되는 비드의 특성을 변화시켜 균열 또는 분쇄되기 쉬워진다. 또한, 설폰화 등의 벌크 반응을 통한 조절된 작용화가 곤란하다.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매질의 친수성 크로마토그래피 매질로의 전환은 미국 특허 제5,030,352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크로마토그래피 매질은 각종 얇은 친수성 피막을 소수성 중합체 기질(예: 폴리스티렌-DVB) 표면에 적용함으로써 수득된다. 당해 방법은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확장되는 친수성 도메인과의 소수성-친수성 상호작용에 의해 기질상에 소수성 및 친수성 도메인을 갖는 용질의 흡착을 포함한다. 이어서, 분자는 그 위치에서 가교결합된다. 이들 피막 물질은 추가로 유도되어 분리에 유용한 각종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피막은 소수성 지지체 표면상의 박막으로 제한되어 성능을 제한한다. 또한, 지지체의 소수성은 감퇴되어 소수성 피분석물을 흡수하는 데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미국 특허 제4,297,220호[마이쯔너(Meitzner) 및 올린(Oline)]에는, 유기물을 함유하는 유체 혼합물로부터 유기물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의 기공 용적 및 표면적을 수득하기 위해 특정 화합물의 존재하에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와 폴리비닐리덴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형성된 미세망상구조의 공중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882,521호[부비에르(Bouvier) 등]에는, 친수성 단량체를 12 내지 30몰% 갖는 친수성 단량체와 소수성 단량체와의 물 습윤성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용액으로부터 유기 용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은 모노비닐리덴 및 폴리비닐리덴 단량체, 두 가지의 가교결합된 공중합 및 중합체 주쇄의 작용화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선행 기술과는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본 발명은 작용화 비드를 생성하기 위해, 상이한 작용성 단량체를 사용하여 예비형성된 경질 입자의 표면 작용화의 신규한 접근법을 사용한다. 또한, 기재된 작용화 방법은 다른 중합체 주쇄 작용화 방법에 비해, 요구되는 반응 횟수와 반응물 및 용매의 소비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4급 아민 작용기를 갖는 강한 음이온 교환 매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3단계 반응(브롬화 또는 염소화 →아민화 →4급화)이 필요하다. 따라서, 폴리비닐리덴 단량체의 단독중합체인 예비형성된 경질 입자의 작용화에 의해 중합체 주쇄의 물리적 특성이 영향을 받지는 않으나, 유용한 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체상 추출 분리를 허용하고 공중합체와 관련된 단점을 제거하는 결정적인 특성이 표면에 부여된다. 기재된 제조법을 사용함으로써, 폴리비닐리덴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고도로 가교결합된 예비형성된 경질 입자는 입자의 물리적 특성(예: 기계적 강도 및 비팽윤성)을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작용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친수성, 양이온 및 음이온 교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작용화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비닐리덴 화합물의 고도로 가교결합된 단독중합체의 예비형성된 경질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 입자는, 모노비닐 화합물이 중합을 통해 공유결합되어 있는 잔여 비닐 그룹을 사용하여 작용화된다. 따라서, 잔여 비닐 그룹을 함유하는 예비형성된 입자는 친수성이거나 음이온 또는 양이온 교환체로서 유용하다는 등의 목적한 특성을 갖는 모노비닐 화합물의 용액 중에 현탁 및 유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도의 잔여 비닐 그룹을 갖는 경질 입자의 표면에서의 목적한 모노비닐 화합물의 장쇄 중합에 의한 고도의 작용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당히 상이하고 흥미로운 분리 특성이 놀랍게도 작용화 중합체에서 발견되었다. 이들 특성으로 인해, 흡착 및 이온 교환 메카니즘에 의한극성, 비극성 및 이온성 피분석물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체상 추출 분리가 발생한다.
도 1은 탈이온수가 55분 이하 동안 이동상으로서 사용되어 55분 후에 탈이온수에서 메탄올로 변함으로써 메탄올로 용출될 경우, 비작용화 DVB에서의 아세타미노펜의 체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아세타미노펜은, 물이 작업하고 메탄올로 용출시킨 피크가 없는 동안 걸러져서, 불량한 체류를 나타내거나 체류를 나타내지 않는다.
도 2는 탈이온수가 55분 이하 동안 이동상으로서 사용되어 55분 후에 탈이온수에서 메탄올로 변함으로써 메탄올로 용출될 경우, 0.5mmol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실시예 3)로 작용화된 DVB에서의 아세타미노펜의 체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일부 아세타미노펜(대략 30%)은, 물이 35분 후에 작업하고 메탄올로 용출시킨 피크 동안 걸러져서, 비작용화 DVB에 대한 체류에 비해 개선된 체류를 나타낸다.
도 3은 탈이온수가 55분 이하 동안 이동상으로서 사용되어 55분 후에 탈이온수에서 메탄올로 변함으로써 메탄올로 용출될 경우, 1.2mmol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실시예 4)로 작용화된 DVB에서의 아세타미노펜의 체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일부 아세타미노펜(15%)은, 물이 45분 후에 작업하고 메탄올로 용출시킨 피크 동안 훨씬 이후에 걸러져서, 체류에 있어 추가의 개선을 나타낸다.
도 4는 탈이온수가 55분 이하 동안 이동상으로서 사용되어 탈이온수에서 메탄올로 변함으로써 메탄올로 용출될 경우, 1.36mmol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실시예 6)로 작용화된 DVB에서의 아세타미노펜의 체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아주 미량의 아세타미노펜은 작업 및 메탄올로 용출시킨 피크 동안 걸러져서, 체류에 있어서의 추가의 개선 및 메탄올 용출에 의한 양호한 회수를 나타낸다.
도 5는 탈이온수가 55분 이하 동안 이동상으로서 사용되어 55분 후에 탈이온수에서 메탄올로 변함으로써 메탄올로 용출될 경우, 1.5mmol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실시예 5)로 작용화된 DVB에서의 아세타미노펜의 체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아주 미량의 아세타미노펜은 물 작업 및 메탄올로 용출시킨 피크 동안 용해되어, 양호한 체류 및 메탄올 용출에 의한 양호한 회수를 나타낸다.
도 6은 탈이온수가 55분 이하 동안 이동상으로서 사용되어 55분 후에 탈이온수에서 메탄올로 변함으로써 메탄올로 용출될 경우, 1.6mmol 아미노스티렌(실시예 1)으로 작용화된 DVB에서의 아세타미노펜의 체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메탄올로 용출된 피크는 비작용화 DVB의 경우보다 실질적으로 높은 체류를 나타낸다.
도 7은 비작용화 DVB로 채워진 칼럼을 사용한, 타르타르산, 말론산 및 숙신산으로 이루어진 유기산 혼합물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5로부터의 비작용화 DVB로 채워진 칼럼을 사용한, 타르타르산, 말론산 및 숙신산으로 이루어진 유기산 혼합물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5로부터의 작용화 DVB로 채워진 칼럼을 사용한, 말레산(시스 1,2-에틸렌 디카복실산) 및 푸마르산(트랜스 1,2-에틸렌 디카복실산)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비작용화 DVB로 채워진 칼럼을 사용한, 말레산(시스 1,2-에틸렌 디카복실산) 및 푸마르산(트랜스 1,2-에틸렌 디카복실산)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작용화 중합체성 매질을 사용한, 각종 극성, 비극성 또는 이온성 피분석물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친수성과 음이온 및 양이온 교환능 등의 목적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예비형성된 고도로 가교결합된 중합체성 입자의 작용화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피분석물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체상 추출 분리에 관한 것이다.
작용화 가능한 예비형성된 경질 입자는 현탁액 중합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질 또는 비다공질 중합체성 비드를 포함한다. 디비닐벤젠 및 트리비닐벤젠 등의 폴리비닐리덴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고도로 가교결합된 중합체성 비드가 높은 기계적 강도 및 비팽윤성으로 인해 바람직하다. 또한, 디비닐벤젠의 중합 및 이의 자체 가교결합은 모노비닐 화합물을 사용한 표면 작용화에 사용되는 표면 위에 충분한 잔여 비닐 (이중)결합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잔여 이중결합을 갖는 예비형성된 중합체성 비드가 바람직한데, 이는 고도의 작용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넓은 표면적으로 인한 고도의 작용기를 제공하고 작용성 잔기에 접근할 수 있는 미세다공질 입자가 바람직하다.
잔여 비닐 그룹을 갖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모노비닐 화합물)의 후중합에 의한 작용화는 유리 라디칼 개시에 의해 수행된다. 단량체는 극성 또는 양이온 교환체 또는 음이온 교환체 등의 활성 잔기를 갖는 화합물 부류로부터 선택된다. 중합 후, 이러한 활성 잔기를 함유하는 중합체의 장쇄는 표면에 부착되고, 중합체성 장쇄는 중합체 비드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확장된다. 이러한 배열은 기계적 강도, 팽윤성, 및 비드의 중합체성 주쇄의 소수성/친수성 등의 물리적 또는 기계적 특성을 변경시키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활성 잔기를 함유한 단량체를 갖는 조절된 후중합(작용화)에 의해, 활성 부위의 포켓은 중합체 장쇄를 따라 기공에서 형성되나 비드의 중합체 주쇄 위에 소수성 포켓을 보유한다. 이들 특성으로 인해, 실시예에 기재된 극성 피분석물을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후중합 조건은 피분석물을 기공으로 그리고 기공으로부터 확산시켜 목적한 분리 및 피분석물 회수를 달성하도록 하는 미세다공성을 유지하면서 미세다공질 비드의 고도의 중합이 수득되도록 선택된다.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세다공성 중합체성 비드는 통상의 현탁 중합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잔여 비닐 그룹 또는 불포화는 수은 아세테이트 적정법으로 측정된다[참조: Das M. N., Anal. Chem.26: 1086 (1954)]. 따라서, 미세다공성 폴리(디비닐벤젠) 비드가 제조되고 사용되어 작용화 중합체성 입자를 생성한다. 충분한 잔여 비닐 그룹을 갖는 폴리비닐리덴 화합물의 단독중합으로 제조된 중합체 비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폴리비닐리덴 화합물은 디비닐벤젠, 트리비닐벤젠, 디비닐피리딘, 디비닐톨루엔, 디비닐나프탈렌,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 및 N,N-메틸렌-디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한다. 높은 기계적 강도 및 잔여 비닐 그룹으로 인해, 디비닐벤젠으로부터의 중합체 비드가 바람직하다. 중합체 비드의 직경 범위는 3 내지 약 100mm,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50mm일 수 있고, 기공 직경은 약 60 내지 1000Å,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Å(수은 기공도측정기로 측정)일 수 있고, 표면적은 약 70 내지 150m2/g(수은 기공도측정기로 측정)일 수 있고, 표면적은 약 150 내지 800m2/g(질소 흡착으로 측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는 각종 피분석물의 분리를 위한 분리물이다. 분리물은 혐기성 조건하에 유리 라디칼 중합을 사용하여 잔여 비닐 그룹을 갖는 모노비닐 화합물을 후중합시켜 중합체성 비드의 작용화에 의해 제조된다. 적합한 유리 라디칼 촉매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3급 부틸벤조에이트, 카프로일 퍼옥사이드,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아조디이소부티라미드를 포함한다.
한 가지 양태에서, 분리물은 중합체성 비드에 극성을 부여하기 위해 제조된다. 작용화에 적합한 모노비닐 화합물은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아미노스티렌,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및 N-비닐카프로락탐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모노비닐 화합물은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이다. 중합체는 작용화되어 작용화 중합체 1g당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0.5 내지 3mmol을 수득한다. 극성 화합물의 양호한 체류를 제공하는 바람직한 작용화는 작용화 중합체 1g당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1.0 내지 2.0mmmol이다.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0.5mmol에서 1.5mmol로의 작용화 증가는 극성 피분석물의 체류 및 분리능을 증가시킨다.
또 다른 양태에서, 분리물은 중합체성 비드에 이온성을 부여하여 비드가 피분석물의 음이온 및 양이온 교환 분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생성된다. 작용화에 적합한 모노비닐 화합물은 N-(4-비닐벤질)-N,N-디메틸아민, 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4-비닐벤조산, 스티렌 설폰산(또한, N-비닐벤젠 설폰산으로도 불림) 및 메타크릴산을 포함한다. 또한, 잔여 비닐 그룹을 함유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후중합된 중합체 비드는 에틸렌디아민, 디에틸아민, 폴리에틸렌이민, 하이드록시프로필 설폰산, 하이드록시벤젠 설폰산 또는 하이드록시벤조산과 추가로 반응되어 후중합된 중합체 위에 이온성 작용 부위를 형성하여 작용성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작용화 중합체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체상 추출에 의한 피분석물의 분리에 사용된다. 작용화 중합체는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는 다수의 방식에 있어 유용하다. 예를 들어, 아세타미노펜, 니아신아미드 및 레조르시날 등의 극성 유기 피분석물의 회수는 비작용화 DVB 중합체 또는 옥타데실 개질된 실리카(C18결합된 실리카)에서의 회수인 경우보다 극성 그룹의 존재로 인한 작용화 중합체에 있어 실질적으로 더 높다. 또한, 작용화 중합체는, 흡수능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작용화 DVB의 경우, C18회수는 덜 농축된 용액(0.01mg/mL)의 경우보다 아세타미노펜(0.1mg/mL)의 매우 농축된 용액의 경우에 더 낮은 반면, 작용화 DVB 회수는 두 가지 농도 수준 모두에 있어 높은 채로(양적으로) 잔존한다. 또한, 작용화 중합체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내에 채워지고 분리에 사용될 경우, 유기산 뿐만 아니라 유기산의 이성체(시스 및 트랜스)는 순수한 수성 이동상을 사용하여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온성을 갖는 작용화 중합체를 사용할 경우, 피분석물은 이온 교환과 역상 메카니즘과의 병행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하여, 이온성 피분석물과 소수성 피분석물을 보다 양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카복실산 그룹을 함유하는 설린닥 등의 산성 피분석물은 다른 중합체(비이온성 및 비작용화) 및 C18뿐만 아니라 이온성 작용화 중합체에서 보유된다. 그러나, 피분석물은 최초 메탄올 세척액을 사용하여 비이온성 물질로부터 세척되는 반면, 어떠한 피분석물도 최초 메탄올 세척으로는 이온성 작용화 중합체로부터 세척되지 않는다. 1N 염산 등의 산을 사용한 다음, 메탄올(산성화)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 피분석물을 양적으로 회수한다. 이렇게 하여, 소수성 피분석물로부터 산성 피분석물을 분리하기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는 예시를 위함이지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다. 당해 기술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는 표준 기술 또는 다음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기술이 사용된다.
폴리(디비닐벤젠)(DVB) 비드의 제조
DVB 중합체 비드를, 80% DVB, 개시제로서의 벤조일 퍼옥사이드 및 기공 형성제로서의 톨루엔을 사용하여 통상의 현탁 중합법으로 제조한다. 중합체는 0.2meq/g의 잔여 비닐 그룹을 함유한다. 기공 직경은 180Å이고, 수은 기공도측정기로 측정된 표면적은 95m2/g이다. 원소 분석에 따르면 질소는 존재하지 않는다.
실시예 1
깨끗한 건식 1L들이 환저 플라스크에, 물 350g, 폴리비닐 알콜 4g 및 염화나트륨 4g을 가한다. DVB 중합체(15g)를 플라스크에 가한다. 25mL들이 비이커 속에, 아미노스티렌 4g,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3g 및 톨루엔 20g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여 시약을 용해시킨다. 단량체 혼합물을 플라스크에 가한다. 플라스크의 모든 공기를 퍼징시키고, 질소를 첨가하여 불활성 대기를 생성한다. 플라스크를 75EC에서 밤새 가열시킨다. 생성물을 다이넬 클로쓰(dynel cloth)로 여과하고, 탈이온수 200mL로 2회 세척하고, 메탄올 200mL로 1회 세척한다. 생성물을 80EC의 진공 오븐 속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중합체 생성물의 원소 분석에 따르면 질소는 2.4%이다. 이어서, 당해 중합체 생성물을 트리에틸아민(6g)의 존재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0mL 중 아세틸 클로라이드(10g)로 처리한다. 중합체의 원소 분석에 따르면 질소는 2.3%이며, 이는 최종 생성물 1g당 아미노스티렌 1.6mmol에 상응한다.
실시예 2
깨끗한 건식 250mL들이 환저 플라스크에, 에탄올 75g을 가한다. DVB 중합체(15g)를 플라스크에 가한다. 25mL들이 비이커 속에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5g, AIBN 0.2g 및 에탄올 10mL를 가하고, 내용물을 교반하여 시약을 용해시킨다. 단량체 혼합물을 플라스크에 가한다. 플라스크의 모든 공기를 퍼징시키고, 질소를 첨가하고, 내용물을 100rpm에서 교반한다. 회전 플라스크를 75EC에서 밤새 가열시킨다. 생성물을 다이넬 클로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 200mL로 2회 세척하고, 메탄올 200mL로 1회 세척한다. 생성물을 80EC의 진공 오븐 속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중합체 생성물(15g)의 원소 분석에 따르면 질소는 1.9%이며, 이는 최종 생성물 1g당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1.36mmol에 상응한다. 수은 기공도측정기로 측정된 표면적은 126m2/g이고, 기공 직경은 173Å이다.
실시예 3
깨끗한 3구 환저 플라스크에 기계식 교반기, 질소 발포기 및 환류 응축기를 장착시킨다. 당해 플라스크에, 에탄올 200g과 DVB 중합체 40g을 가한다. 교반을 시작하고, 300rpm으로 설정한다. 50mL들이 비이커 속에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10.5g과 AIBN 0.6g을 에탄올 20mL와 함께 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단량체 혼합물을 환저 플라스크에 가한다. 혼합물을 75EC에서 300rpm으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생성물을 다이넬 클로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 200mL로 2회 세척하고, 메탄올 200mL로 1회 세척한다. 생성물을 80EC의 진공 오븐 속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중합체 생성물(42g)의 원소 분석에 따르면 질소는 0.7%이며, 이는 최종 생성물 1g당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0.5mmol에 상응한다.
실시예 4
깨끗한 3구 환저 플라스크에 기계식 교반기, 질소 발포기 및 환류 응축기를 장착시킨다. 당해 플라스크에, 에탄올 200g과 DVB 중합체 45g을 가한다. 교반을 시작하고, 300rpm으로 설정한다. 50mL들이 비이커 속에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20g과 AIBN 0.6g을 에탄올 20mL와 함께 가하고, 교반하여 시약을 용해시킨다. 단량체 혼합물을 환저 플라스크에 가한다. 혼합물을 80EC에서 300rpm으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생성물을 다이넬 클로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 200mL로 2회 세척하고, 메탄올 200mL로 1회 세척한다. 생성물을 80EC의 진공 오븐 속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중합체 생성물(48g)의 원소 분석에 따르면 질소는 1.8%이며, 이는 최종 생성물 1g당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1.2mmol에 상응한다.
실시예 5
깨끗한 3구 환저 플라스크에 기계식 교반기, 질소 발포기 및 환류 응축기를 장착시킨다. 당해 플라스크에, 에탄올 800g과 DVB 중합체 200g을 가한다. 교반을 시작하고, 300rpm으로 설정한다. 250mL들이 비이커 속에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89g과 AIBN 2.68g을 에탄올 100mL와 함께 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단량체혼합물을 환저 플라스크에 가한다. 혼합물을 80EC에서 300rpm으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생성물을 다이넬 클로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 1L로 2회 세척하고, 메탄올 1L로 1회 세척한다. 생성물을 80EC의 진공 오븐 속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중합체 생성물의 원소 분석에 따르면 질소는 2.1%이며, 이는 최종 생성물 1g당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1.5mmol에 상응한다. 당해 중합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밤새 추출하여 작용화 안정성을 측정한다. 원소 분석에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이는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가 DVB에 공유결합되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6
깨끗한 3구 환저 플라스크에 기계식 교반기, 질소 발포기 및 환류 응축기를 장착시킨다. 당해 플라스크에, 에탄올 200g과 DVB 중합체 45g을 가한다. 교반을 시작하고, 300rpm으로 설정한다. 50mL들이 비이커 속에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20g과 AIBN 0.6g을 에탄올 25mL와 함께 가하고, 교반하여 시약을 용해시킨다. 단량체 혼합물을 환저 플라스크에 가한다. 혼합물을 80EC에서 300rpm으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생성물을 다이넬 클로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 1L로 2회 세척하고, 메탄올 1L로 1회 세척한다. 생성물을 80EC의 진공 오븐 속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중합체 생성물(48g)의 원소 분석에 따르면 질소는 1.9%이며, 이는 최종 생성물 1g당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1.36mmol에 상응한다.
실시예 7
깨끗한 3구 환저 플라스크에 기계식 교반기, 질소 발포기 및 환류 응축기를 장착시킨다. 당해 플라스크에, 에탄올 150g과 DVB 중합체 30g을 가한다. 교반을 시작하고, 300rpm으로 설정한다. 50mL들이 비이커 속에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13g과 AIBN 0.4g을 에탄올 20mL와 함께 가하고, 이들을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단량체 혼합물을 환저 플라스크에 가한다. 혼합물을 80EC에서 300rpm으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생성물을 다이넬 클로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 200mL로 2회 세척하고, 메탄올 200mL로 1회 세척한다. 생성물을 80EC의 진공 오븐 속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중합체 생성물(32g)의 FT-IR이 1250cm-1에서 피크를 나타내는데, 이는 에폭사이드 환에 있어 전형적이다.
실시예 8
다음 반응을 통해, 1급 작용성 아민과 2급 작용성 아민을 갖는 약한 음이온 교환 매질을 생성한다. 깨끗한 3구 환저 플라스크에 기계식 교반기, 질소 발포기 및 환류 응축기를 장착시킨다. 당해 플라스크에, 실시예 7로부터의 중합체 15g, THF 250mL 및 에틸렌디아민 50g을 가한다. 혼합물을 질소하에 8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생성물을 다이넬 클로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 200mL로 2회 세척하고, 메탄올 200mL로 1회 세척한다. 생성물을 80EC의 진공 오븐 속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중합체 생성물(16g)의 원소 분석에 따르면 질소는 2.9%이다.
실시예 9
다음 반응을 통해, 3급 아민 작용기를 갖는 약한 음이온 교환 매질을 생성한다. 깨끗한 환저 플라스크에 기계식 교반기, 질소 발포기 및 환류 응축기를 장착시킨다. 당해 플라스크에, 실시예 7의 생성물 15g, THF 250mL 및 디에틸아민 50g을 가한다. 혼합물을 질소하에 8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생성물을 다이넬 클로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 200mL로 2회 세척하고, 메탄올 200mL로 1회 세척한다. 생성물을 80EC의 진공 오븐 속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중합체 생성물의 원소 분석에 따르면 질소는 0.8%이다. 음이온 교환능은 0.12meq/g이다.
실시예 10
다음 반응을 통해, 3급 아민 작용기를 갖는 약한 음이온 교환 매질을 생성한다. 깨끗한 3구 환저 플라스크에 기계식 교반기, 질소 발포기 및 환류 응축기를 장착시킨다. 당해 플라스크에, 에탄올 300g과 DVB 중합체 45g을 가한다. 교반을 시작하고, 300rpm으로 설정한다. 50mL들이 비이커 속에 N-(4-비닐벤질)-N-N-디메틸아민 20g과 AIBN 0.6g을 에탄올 25mL와 함께 가하고, 이를 교반하여 시약을 용해시킨다. 단량체 혼합물을 환저 플라스크에 가한다. 혼합물을 80EC에서 300rpm으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생성물을 다이넬 클로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 200mL로 2회 세척하고, 메탄올 200mL로 1회 세척한다. 생성물을 80EC의 진공 오븐 속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중합체 생성물(47g)의 원소 분석에 따르면 질소는 0.84%이다. 기공 직경은 125Å이다.
실시예 11
다음 반응을 통해, 4급 아민 작용기를 갖는 강한 음이온 교환 매질을 생성한다. 깨끗한 3구 환저 플라스크에 기계식 교반기, 질소 발포기 및 환류 응축기를 장착시킨다. 당해 플라스크에, 에탄올 300g과 DVB 중합체 30g을 가한다. 교반을 시작하고, 300rpm으로 설정한다. 50mL들이 비이커 속에 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15g과 AIBN 0.6g을 에탄올 20mL와 함께 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단량체 혼합물을 환저 플라스크에 가한다. 혼합물을 80EC에서 300rpm으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생성물을 다이넬 클로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 200mL로 2회 세척하고, 메탄올 200mL로 1회 세척한다. 생성물을 80EC의 진공 오븐 속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중합체 생성물(31g)의 원소 분석에 따르면 질소는 1.4%이다. 음이온 교환능은 0.6meq/g이다.
실시예 12
깨끗한 건식 500mL들이 환저 플라스크에 에탄올 300g과 DVB 중합체 30g을 가한다. 50mL들이 비이커에 에탄올 25mL 중에 용해되어 있는 스티렌 설폰산 20g과 AIBN 0.6g을 가하고, 내용물을 교반하여 시약을 용해시킨다. 단량체 혼합물을 환저 플라스크에 가한다. 플라스크의 모든 공기를 퍼징시키고, 질소 대기하에 두고, 100rpm에서 교반한다. 플라스크를 80EC에서 밤새 가열한다. 생성물을 다이넬 클로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 200mL로 2회 세척하고, 메탄올 200mL로 1회 세척한다. 생성물을 80EC의 진공 오븐 속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중합체 생성물(34g)의 원소분석에 따르면 황은 3.5%이다. 양이온 교환능은 0.6meq/g이다.
실시예 13
깨끗한 건식 500mL들이 환저 플라스크에 에탄올 300g과 DVB 중합체 20g을 가한다. 50mL들이 비이커 속에 에탄올 25mL 중에 용해되어 있는 메타크릴산 20g과 AIBN 0.6g을 가하고, 이를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단량체 혼합물을 환저 플라스크에 가한다. 플라스크의 모든 공기를 퍼징시키고, 불활성 질소 대기하에 두고, 100rpm에서 교반한다. 플라스크를 80EC에서 밤새 가열한다. 생성물을 다이넬 클로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 200mL로 2회 세척하고, 메탄올 200mL로 1회 세척한다. 생성물을 80EC의 진공 오븐 속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양이온 교환능은 0.9meq/g이다. 중합체 생성물의 FT-IR은 1750cm-1에서 산 카보닐 피크를 나타낸다.
실시예 14
극성의 수용성 피분석물의 체류 효능을, DVB 또는 작용화 DVB 중합체 대략 0.25 내지 0.30g으로 채워진 소형 HPLC 칼럼(4.6×50mm)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먼저, 칼럼을 메탄올 5mL로 세척한 다음, 탈이온수 10mL로 세척한다. 이어서, 아세타미노펜 용액(수 중 1.0mg/mL) 200mL를 주입하고, 물을 사용하여 55분 동안 계속 크로마토그래피시킨다. 55분 후, 이동상을 메탄올로 변경시킨다. 55분 전(순수한 물이 작용할 경우)과 55분 후(순수한 메탄올이 용출에 사용될 경우)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체류 효능을 측정한다. 그 결과를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물 세탁 동안 아세타미노펜은 걸러지지 않았으나 55분 후에 메탄올로 용출되었으므로, 작용화 DVB(실시예 5)는 고도의 아세타미노펜 체류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작용화 DVB의 경우, 대부분의 아세타미노펜은 물로 걸러지며, 불량한 체류를 나타낸다.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N 0.7 내지 2.0%)의 작용화 수준을 증가시킴으로써, 아세타미노펜을 보유하고, 양적으로 회수한다(도 1 내지 5). 아미노스티렌 작용화 중합체를 사용하여 유사한 체류 거동을 관찰한다(도 6).
실시예 15
작용화 중합체를 사용한 고체상 추출(SPE)에 의한 피분석물 회수를, 역상 메카니즘에 의해 피분석물을 보유/흡수하는 DVB 또는 작용화 DVB(실시예 5로부터) 200mg으로 채워진 SPE 칼럼(1mL)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들 칼럼을 사용하여, 희석액으로부터 각종 피분석물을 추출 및 회수한다. SPE 칼럼을 포지티브 가압 가공처리기(본 장치는 압축된 공기 또는 질소를 사용함으로써 액체가 칼럼으로 통과하도록 한다) 위에 놓는다. 메탄올 1mL를 통과시킨 후에 탈이온수 1mL를 통과시켜 SPE 칼럼을 모니터링한다. 이어서, 포스페이트 완충액(20mM, pH 5.0 내지 8.0) 중의 피분석물 공급액(0.01 내지 0.1mg/mL) 1mL를 2 내지 3mL/분의 유량에서 칼럼으로 통과시킨다. 칼럼을 탈이온수 1mL로 세척한 후, 메탄올(500mL)을 사용하여 피분석물을 칼럼으로부터 용출시킨다. 출발 공급액 및 용출된 용액 중의 피분석물 농도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고, 이를 사용하여 피분석물 회수를컴퓨터 처리한다. 그 결과를 표 1에 요약하였다. 당해 결과에 따르면, 작용화 DVB는 극성 피분석물의 높은 회수를 나타낸다. 또한, 아세타미노펜 농도를 0.01 내지 0.1mg/mL로부터 증가시켜도 아세타미노펜에서의 손실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높은 흡수능을 가리킨다.
각종 피분석물의 SPE 회수
화합물 추출 조건 회수율(%)
DVB 작용화 DVB(실시예 5) C18
아세타미노펜 20mM KH2PO4중 0.1mg/mL, pH 6.0 91.0 101.0 22.0
아세타미노펜 20mM KH2PO4중 0.01mg/mL, pH 6.0 95.0 98.6 50.0
레조르시놀 10mM KH2PO4중 0.1mg/mL, pH 6.0 55.0 99.0 0.0
핀돌올 20mM KH2PO4중 0.05mg/mL, pH 8.0 106.0 100.0 98.0
프로카인아미드 20mM KH2PO4중 0.01mg/mL, pH 8.0 96.8 101.0 98.2
프리미돈페노바르비탈 20mM KH2PO4중 0.05mg/mL, pH 6.0 100.798.1 98.298.7 98.198.1
니아신아미드 20mM KH2PO4중 0.05mg/mL, pH 9.0 0.0 43.0 0.0
부피바카인 20mM KH2PO4중 0.05mg/mL, pH 6.0 86.7 100.3 92.4
실시예 16
DVB 및 작용화 DVB(실시예 5)로 채워진 칼럼(4.6×150mm)을 사용한 HPLC(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유기산의 분리 효능을 평가한다. 칼럼을 4500psi에서 슬러리로 채운다(클로로포름 이소프로판올 22mL 중 3.8g, 85:15 혼합물). 인산칼슘, pH 3.0 완충액(20mM)을 이동상으로서 사용한다. 타르타르산10mg, 말론산 25mg 및 숙신산 375mg을 각각 함유하는 혼합물 60mL를 주입하고, 210nm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 피크를 기록한다. 혼합물의 개별 성분을 유사하게 주입하여, 각 성분의 체류 시간을 측정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르타르산, 말론산 및 숙신산의 체류 시간은 각각 1.8분, 2.6분 및 10.2분이다. 당해 결과에 따르면, 비작용화 DVB를 사용한 타르타르산과 말론산의 분리는 불량하다.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를 사용하여 중합체 표면으로 작용화시키니 분리 매질이 개선되었는데, 이는 세 가지 성분의 분리 효능이 모두 상당히 증가하였기 때문이다(도 8). 또한, 세 가지 성분의 체류 시간이 모두 상당히 증가하였다. 분리는 극성 표면으로부터 확장된 극성 아미드 잔기를 함유하는 장쇄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의 분지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작용화 DVB(실시예 5)가 시스-트랜스 산을 분리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2-에틸렌디카복실산(말레산)의 시스형과 1,2-에틸렌디카복실산(푸마르산)의 트랜스형과의 혼합물을, 20mM 인산칼륨, pH 3.0 완충액을 이동상으로서 사용하여 작용화 DVB로 분리시키며(도 9), 이때 성분을 둘 다 비작용화 DVB로 공용출시킨다(도 10).
실시예 17
작용화 중합체를 사용한 고체상 추출(SPE)에 의한 피분석물 회수를, 이온성 상호작용 및 또한 역상 메카니즘에 의해 피분석물을 보유하는, DVB 또는 강한 음이온 교환[4(quat)] 작용화 DVB(실시예 11로부터) 20mg으로 채워진 SPE 칼럼(1mL)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를 통해, 산성 피분석물이 혼합된 상호작용에 의해 분리될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SPE 칼럼을 포지티브 가압 가공처리기 위에 놓는다. 메탄올 1mL를 통과시킨 후에 0.1N NaOH 및 탈이온수 1mL를 통과시켜 SPE 칼럼을 컨디셔닝한다. 이어서, 0.01N NaOH 중 산성 피분석물 공급액(0.05mg/mL) 1mL를 2 내지 3mL/분의 유량에서 칼럼으로 통과시킨다. 먼저, 칼럼을 메탄올 1mL로 세척하여 다른 소수성 피분석물을 제거하면서 산성 피분석물을 칼럼상에 보유한다. 이어서, 칼럼을 1N HCl로 세척하여 이온성 피분석물을 산성 형태로 전환시키고 이온성 상호작용을 붕괴시켜, 산성 피분석물을 역상 메카니즘에 의해 보유한다. 최종적으로, 산성 피분석물을 산성화 메탄올(90:10, 메탄올:1N HCl) 1mL로 용출시킨다. 최초 메탄올 세척액 및 최종 메탄올 용출물 중의 산성 피분석물의 농도를 HPLC로 측정하여 회수율을 산출한다(표 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이온 교환 부위를 갖는 작용화 DVB(실시예 11)는 이온상 메카니즘 뿐만 아니라 역전상 메카니즘에 의해 산성 피분석물을 보유한다. 따라서, 이온성 상호작용 부재시, 피분석물을 최초 메탄올 세척액으로 세척하지 않으나 최종 산성화 메탄올로 용출시킨다. 작용화 DVB(실시예 5), 비작용화 DVB 및 C18의 경우, 피분석물을 최초 메탄올 세척액으로 세척하고, 이는 산성 및 소수성 피분석물의 분리능을 나타내지 않는다. 유사하게, 작용화 DVB(실시예 5), 비작용화 DVB 및 C18을 사용한 살리실산의 회수는 매우 불량한데, 이는 살리실산이 칼럼상에서 보유되지 않기 때문이다.
산성 피분석물의 회수율(%)
화합물
설린닥 살리실산
4작용화 DVB(실시예 11) 최초 메탄올 세척액 0.0 0.0
최종 메탄올 용출물 85.6 94.4
작용화 DVB(실시예 5) 최초 메탄올 세척액 96.1 9.4
최종 메탄올 용출물 0.0 0.0
DVB 최초 메탄올 세척액 92.7 0.0
최종 메탄올 용출물 0.0 0.0
C18 최초 메탄올 세척액 93.0 0.0
최종 메탄올 용출물 0.0 0.0
본 발명은 이의 바람직한 양태에 대한 세부 사항을 참조로 하여 본원에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취지 및 청구의 범위의 범주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들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므로, 기재 내용은 한정이라기 보다는 예증을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참조 문헌 목록
Das MN (1954). Anal. Chem.26:1086.
Nevejam F and Verzele M (1985). J. Chromatography350:145.
Snyder LR, Kirkland JJ and Glajch JL (1997).Practical HPLC Method Development, John Wiley and Sons.
Zief M and Kisel R (1988).Solid Phase Extraction for Sample Preparation, J. T. Baker, Phillipsburg, NJ.
미국 특허 제2,366,007호
미국 특허 제4,297,220호
미국 특허 제5,030,352호
미국 특허 제5,882,521호

Claims (48)

  1. 폴리비닐리덴 단량체를 중합시켜 자체 가교결합된 단독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a) 및
    작용성 단량체를 중합시켜 당해 단독중합체에 공유결합시키는 단계(b)에 의해 제조되는 작용화 중합체 비드.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비닐리덴 단량체가 디비닐벤젠, 트리비닐벤젠, 디비닐피리딘, 디비닐톨루엔, 디비닐나프탈렌,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 및 N,N-메틸렌디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작용화 중합체 비드.
  3. 제2항에 있어서, 폴리비닐리덴 단량체가 디비닐벤젠인 작용화 중합체 비드.
  4. 제1항에 있어서, 단독중합체가 폴리(디비닐벤젠)인 작용화 중합체 비드.
  5. 제1항에 있어서, 작용성 단량체가 모노비닐 화합물인 작용화 중합체 비드.
  6. 제5항에 있어서, 모노비닐 화합물이 극성 잔기 또는 이온성 잔기를 함유하는 작용화 중합체 비드.
  7. 제1항에 있어서, 작용성 단량체가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아미노스티렌,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메틸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N-비닐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작용화 중합체 비드.
  8. 제7항에 있어서, 작용성 단량체가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인 작용화 중합체 비드.
  9. 제8항에 있어서, 작용화 중합체 비드 1g당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0.5 내지 3.0mmol을 포함하는 작용화 중합체 비드.
  10. 제1항에 있어서, 작용성 단량체가 N-(4-비닐벤질)-N,N-디메틸아민, 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4-비닐벤조산, 스티렌 설폰산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작용화 중합체 비드.
  11. 제1항에 있어서, 작용성 단량체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인 작용화 중합체 비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에틸렌디아민, 디에틸아민, 폴리에틸렌이민, 하이드록시프로필 설폰산, 하이드록시벤젠 설폰산 또는 하이드록시벤조산과 추가로 반응되는 작용화 중합체 비드.
  13. 제11항에 있어서, 에틸렌디아민과 추가로 반응되는 작용화 중합체 비드.
  14. 폴리비닐리덴 단량체를 중합시켜 단독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a) 및
    작용성 단량체를 중합시켜 당해 단독중합체에 공유결합시키는 단계(b)를 포함하는, 작용화 중합체 비드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단계(a) 이후에 잔여 비닐 그룹이 단독중합체에 잔존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작용성 단량체가 잔여 비닐 그룹을 통해 단독중합체에 공유결합되어 있는 작용성 중합체를 형성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작용성 단량체가 디비닐벤젠, 트리비닐벤젠, 디비닐피리딘, 디비닐톨루엔, 디비닐나프탈렌,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 및 N,N-메틸렌디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작용성 단량체가 디비닐벤젠인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폴리비닐리덴 단량체가 디비닐벤젠인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작용성 단량체가 모노비닐 화합물인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모노비닐 화합물이 극성 잔기 또는 이온성 잔기를 함유하는 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작용성 단량체가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아미노스티렌,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N-비닐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작용성 단량체가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인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작용화 중합체 비드가 작용화 중합체 비드 1g당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0.5 내지 3.0mmol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14항에 있어서, 작용성 단량체가 N-(4-비닐벤질)-N,N-디메틸아민, 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4-비닐벤조산, 스티렌 설폰산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6. 제14항에 있어서, 작용성 단량체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인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단계(b)에 의해 생성된 작용화 중합체 비드를 에틸렌디아민, 디에틸아민, 폴리에틸렌이민, 하이드록시프로필 설폰산, 하이드록시벤젠 설폰산 또는 하이드록시벤조산과 반응시키는 단계(c)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단계(b)에 의해 생성된 작용화 중합체 비드를 에틸렌디아민과 반응시키는 단계(c)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9. 제14항에 있어서, 단계(b)가 혐기성 조건하에 유리 라디칼에 의해 촉매화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벤조일 퍼옥사이드, 3급 부틸벤조에이트, 카프로일 퍼옥사이드,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아조디이소부티르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리 라디칼 촉매가 사용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유리 라디칼 촉매가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인 방법.
  32. 피분석물과 제1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1항에 따르는 작용화 중합체 비드와 접촉시켜 피분석물을 작용화 중합체 비드로 흡수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용액으로부터의 피분석물 분리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작용화 중합체 비드를 용액과 접촉시킨 후에 작용화 중합체 비드를 제1 용매로 세척하는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작용화 중합체 비드를 제2 용매로 세척함으로써 피분석물을 작용화 중합체 비드로부터 방출시키는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제1 용매가 수성인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제2 용매가 메탄올인 방법.
  37. 제32항에 있어서, 피분석물이 아세타미노펜, 레조르시날, 핀돌올, 프로카인아미드, 프리미돈, 페노바르비탈, 니아신아미드 및 부피바카인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8. 제32항에 있어서, 작용화 중합체 비드가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 작용성 그룹을 포함하는 방법.
  39. 혼합물을 제1항에 따르는 작용화 중합체 비드의 칼럼으로 통과시킴에 의한,혼합물 중 피분석물의 분리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수성 완충액이 이동상으로서 사용되는 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포함하는 방법.
  42. 제39항에 있어서, 피분석물이 유기산인 방법.
  43. 제39항에 있어서, 피분석물이 서로의 이성체인 방법.
  44. 제39항에 있어서, 작용화 중합체 비드가 N-메틸-N-비닐아세타미드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39항에 있어서, 작용화 중합체 비드가 음이온 교환체를 포함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작용화 중합체 비드가 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방법.
  47. 제39항에 있어서, 작용화 중합체 비드를 일련의 용매로 세척함으로써 피분석물을 분리시키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일련의 용매가 메탄올, 산 및 산성화 메탄올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037002864A 2000-08-29 2001-08-21 피분석물 분리용 관능화된 중합체성 매체 KR100825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845600P 2000-08-29 2000-08-29
US60/228,456 2000-08-29
PCT/US2001/026107 WO2002018464A2 (en) 2000-08-29 2001-08-21 Functionalized polymeric media for separation of analy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980A true KR20030041980A (ko) 2003-05-27
KR100825656B1 KR100825656B1 (ko) 2008-04-29

Family

ID=2285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864A KR100825656B1 (ko) 2000-08-29 2001-08-21 피분석물 분리용 관능화된 중합체성 매체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6875817B2 (ko)
EP (1) EP1313781B2 (ko)
JP (1) JP2004507594A (ko)
KR (1) KR100825656B1 (ko)
CN (1) CN1188440C (ko)
AT (1) ATE332320T1 (ko)
AU (2) AU8515201A (ko)
BR (1) BR0113541B1 (ko)
CA (1) CA2420683C (ko)
CZ (1) CZ297821B6 (ko)
DE (1) DE60121347T3 (ko)
DK (1) DK1313781T3 (ko)
ES (1) ES2266241T3 (ko)
HU (1) HU225306B1 (ko)
IL (2) IL154174A0 (ko)
MX (1) MXPA03001677A (ko)
NO (1) NO20030923D0 (ko)
NZ (1) NZ523914A (ko)
PT (1) PT1313781E (ko)
RS (1) RS50501B (ko)
WO (1) WO200201846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9830B2 (en) 2003-05-16 2013-12-17 Merck Sharp & Dohme Corp.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NA interference
CN101791541B (zh) * 2004-04-30 2013-06-05 北京九强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层析颗粒介质的制备方法
CN1689695B (zh) * 2004-04-30 2010-06-23 北京九强生物技术有限公司 层析颗粒介质的制备方法
CN101791540B (zh) * 2004-04-30 2012-10-03 北京九强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层析颗粒介质的制备方法
CN101791542B (zh) * 2004-04-30 2013-04-10 北京九强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层析颗粒介质的制备方法
EP1764374B1 (en) * 2005-09-16 2019-05-01 Rohm and Haas Company Method for making swellable particles
EP1842592A1 (de) * 2006-04-04 2007-10-10 Metrohm Ag Ionenaustauschmaterial, Ionenaustauschsäule und Herstellungsverfahren
JP5596560B2 (ja) * 2008-02-05 2014-09-24 ジーイー・ヘルスケア・バイオサイエンス・アクチボラグ 分離媒体の製造方法
WO2009130233A1 (en) * 2008-04-25 2009-10-29 Basf Se Modified halogenated polymer surfaces
JP5492084B2 (ja) * 2008-08-12 2014-05-14 和光純薬工業株式会社 前処理カラムの充填剤用ポリマー
CN101444720A (zh) 2008-11-28 2009-06-03 南开大学 高选择性氢键吸附树脂及用于银杏叶提取物中有效成分的分离纯化
EP3851189A1 (en) * 2011-05-20 2021-07-21 Waters Technologies Corporation Porous materials for solid phase extraction and chromatography
US20210220814A1 (en) * 2011-05-20 2021-07-22 Waters Technologies Corporation Porous materials for solid phase extraction and chromatography and processes fo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CN102335597B (zh) * 2011-07-26 2014-03-19 南开大学 限进型聚(苯乙烯-co-二乙烯苯)包覆硅胶色谱填料及制备方法
ES2929099T3 (es) 2014-05-02 2022-11-24 Grace W R & Co Material de soporte funcionalizado y métodos de fabricación y uso de material de soporte funcionalizado
CN104587707B (zh) * 2015-01-30 2016-09-07 福州大学 一种纳米复合有机-无机杂化硅胶整体柱及其制备方法
JP2018517559A (ja) * 2015-06-05 2018-07-05 ダブリュー・アール・グレース・アンド・カンパニー−コーンW R Grace & Co−Conn 吸着性バイオプロセス清澄化剤並びにその製造及び使用方法
CN105542052B (zh) * 2015-12-18 2017-12-26 王金明 一种己内酰胺重排催化剂的生产方法
CN109061009B (zh) * 2018-09-30 2021-09-17 安徽省食品药品检验研究院 一种发酵液中衣康酸含量的测定方法
CN110813252B (zh) * 2019-11-08 2022-04-19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多孔矿物粘土负载聚丙烯酰胺的液相吸附材料及其应用
CN110833821B (zh) * 2019-11-08 2022-04-19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液相选择性吸附材料及其在卷烟烟气分析上的应用
US11612852B2 (en) 2020-05-28 2023-03-28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Tunable, rapid uptake, aminopolymer aerogel sorbent for direct air capture of CO2
CN115044389B (zh) * 2022-06-10 2024-01-19 北京航天试验技术研究所 一种胶质脱除剂、制备方法、应用以及燃料脱胶质的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63729A (fr) * 1965-02-24 1966-12-23 Rohm & Haas Enrichissement et éventuellement séparation d'un composé organique par des techniques d'adsorption
CA992877A (en) * 1971-09-16 1976-07-13 Marvin J. Hurwitz Separation of waste dyestuffs by adsorption processes
CA1083880A (en) * 1975-06-24 1980-08-19 Gary L. Hickernell Method for decaffeinating green coffee
GB2089639B (en) * 1980-12-19 1984-07-18 Gen Foods Corp Process for recovery of aroma volatiles
JPH087197B2 (ja) * 1989-05-23 1996-01-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とその製造法
JPH087198B2 (ja) * 1989-05-23 1996-01-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糖化ヘモグロビンの定量法
US5021253A (en) * 1989-12-13 1991-06-04 The Dow Chemical Company Decaffeination of liquid medium
JPH0426510A (ja) * 1990-05-18 1992-01-29 Tonen Corp 炭素系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US5259936A (en) * 1991-06-19 1993-11-09 Millipore Corporation Purified ion exchange resins and process
JP3164641B2 (ja) * 1992-04-27 2001-05-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248321A (en) * 1992-08-06 1993-09-28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Process of removing sulfur oxides from gaseous mixtures
WO1994024236A1 (en) 1993-04-21 1994-10-27 Copytele, Inc. Black and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599889A (en) * 1994-08-16 1997-02-04 Stoever; Harald D. H. Method of forming polymer microspheres
JP3333134B2 (ja) * 1997-07-14 2002-10-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用スペーサ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
JPH11189601A (ja) * 1997-10-23 1999-07-13 Sekisui Chem Co Ltd 高分子微粒子の製造方法及び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の製造方法
CA2222833A1 (en) * 1997-11-28 1999-05-28 Brent R. Stranix Functional polymers bearing non-metal oxyacid derivatives on dimethylene spacers
US6114466A (en) * 1998-02-06 2000-09-05 Renal Tech International Llc Material for purification of physiological liquids of organism
JP2000026665A (ja) * 1998-07-15 2000-01-25 Techno Polymer Kk 架橋ポリマー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22991B2 (ja) * 1999-01-12 2006-09-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用スペー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素子
US6534554B1 (en) * 1999-10-27 2003-03-18 Basf Aktiengesellschaft Multicomponent ion exchange res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54174A (en) 2007-02-11
NO20030923L (no) 2003-02-27
AU8515201A (en) 2002-03-13
BR0113541B1 (pt) 2011-02-08
EP1313781B2 (en) 2017-11-22
CZ2003462A3 (cs) 2003-08-13
ES2266241T3 (es) 2007-03-01
IL154174A0 (en) 2003-07-31
NO20030923D0 (no) 2003-02-27
CZ297821B6 (cs) 2007-04-04
BR0113541A (pt) 2003-07-15
DE60121347T3 (de) 2018-05-30
PT1313781E (pt) 2006-11-30
RS50501B (sr) 2010-03-02
HUP0301684A2 (hu) 2003-08-28
CN1188440C (zh) 2005-02-09
CA2420683C (en) 2010-08-10
DK1313781T3 (da) 2006-10-30
US20050032922A1 (en) 2005-02-10
WO2002018464A3 (en) 2002-06-06
CA2420683A1 (en) 2002-03-07
US6875817B2 (en) 2005-04-05
WO2002018464A2 (en) 2002-03-07
ATE332320T1 (de) 2006-07-15
DE60121347T2 (de) 2007-07-05
DE60121347D1 (de) 2006-08-17
YU14203A (sh) 2005-11-28
EP1313781A2 (en) 2003-05-28
HU225306B1 (en) 2006-09-28
MXPA03001677A (es) 2004-11-01
CN1449416A (zh) 2003-10-15
AU2001285152B2 (en) 2005-11-17
HUP0301684A3 (en) 2005-11-28
NZ523914A (en) 2004-02-27
KR100825656B1 (ko) 2008-04-29
EP1313781B1 (en) 2006-07-05
JP2004507594A (ja)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656B1 (ko) 피분석물 분리용 관능화된 중합체성 매체
AU2001285152A1 (en) Functionalized polymeric media for separation of analytes
EP0572115B1 (en) Process for preparing crosslinked methacrylic anhydride copolymers
US4221871A (en) Reticular crosslinked monovinylidene N-heterocyclic copolymer
JP2004507594A5 (ko)
WO2006132333A1 (ja) 親水性に優れた新規充填剤、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163332A1 (en) Graft-modified organic porous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1321187B1 (en) Organic porous material and organic porous ion exchanger
Liang et al. Preparation and functionalization of reactive monodisperse macroporous poly (chloromethylstyrene‐co‐styrene‐co‐divinylbenzene) beads by a staged templated suspension polymerization
US20070259046A1 (en) Process for removal of solvents from bead polymers
JP4523408B2 (ja) マクロ多孔性架橋ポリマー粒子
JP4024209B2 (ja) イオン交換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アルカリ安定型親水性吸着剤
JPS6361618B2 (ko)
CN114014966B (zh) 一种酰胺基团改性超高交联吸附树脂及其制备方法和应用
Dragan et al. Organic ion exchangers as beads.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JP3259532B2 (ja) 分離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02953B1 (ko) 교차 결합된 메타크릴산 무수물 공중합체들을 이용한단백질 흡착방법
CN107427741A (zh) 使用聚合大孔亚烷基桥接的树脂对糖进行色谱分离
NOIPHOM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CRYLIC COPOLYMERS CONTAINING MULTIPLE AMINE PENDANT GROU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