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516A -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및 그 방법을 구비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및 그 방법을 구비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516A
KR20030038516A KR1020020069060A KR20020069060A KR20030038516A KR 20030038516 A KR20030038516 A KR 20030038516A KR 1020020069060 A KR1020020069060 A KR 1020020069060A KR 20020069060 A KR20020069060 A KR 20020069060A KR 20030038516 A KR20030038516 A KR 20030038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detection means
patch
transfer material
color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0871B1 (ko
Inventor
데즈까히로끼
마에바시요이찌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8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 H04N1/603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using test pattern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x Reproducing Arrangements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 Color, Gradation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구비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정착 후의 패치를 검지했을 때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 Si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하여,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토너 적재량의 무시 가능 영역과 무시할 수 없는 토너 적재량의 무시 불가능 영역의 경계 분기점 D를 설정하여, 무시 불가능 영역과 무시 가능 영역에 대해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 보정 후의 보정치 Si'w를 추가로 보정함으로써,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제거한다.

Description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구비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METHOD OF MAKING CORRECTION FOR COLOR SENSOR OUTPUT VALUES IN COLOR IMAGE FORMING APPARUTUS, AN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컬러 프린터, 컬러 복사기 등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색 재현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구비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컬러 프린터, 컬러 복사기 등의 전자 사진 방식이나 잉크 제트 방식 등을 채용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는, 출력 화상의 고화질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농도의 계조와 그 안정성은, 인간이 내리는 화상의 양호와 불량의 판단에 큰 영향을 준다.
그러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환경의 변화나 장시간의 사용에 의한 장치 각부의 변동이 있으면 얻어지는 화상의 농도가 변동한다.
특히 전자 사진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근소한 환경 변동이라도 농도의 변동이 생겨, 컬러 밸런스를 무너뜨리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농도-계조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각 색의 토너에 대하여, 절대 습도에 따른 수종류의 노광량이나 현상 바이어스 등의 프로세스 조건, 참조 테이블(look-up table, LUT) 등의 계조 보정 수단을 구비하고, 온습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절대 습도에 기초하여, 그 때의 프로세스 조건이나 계조 보정의 최적치를 선택하고 있다.
또한, 장치 각부의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일정한 농도-계조 특성이 얻어지도록 각 색의 토너에 농도 검지용 토너 패치를 중간 전사체나 드럼 등의 위에 형성하고, 그 미정착 토너 패치의 농도를 미정착 토너용 농도 검지 센서(이하, 농도 센서라 함)로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로부터 노광량, 현상 바이어스 등의 프로세스 조건에 피드백을 걸어 농도 제어를 행함으로써, 안정한 화상을 얻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 농도 센서를 이용한 농도 제어는, 패치를 중간 전사체나 드럼 등의 위에 형성하여 검지하는 것으로, 그 후에 행해지는 전사재에의 전사 및 정착에 의한 화상의 컬러 밸런스의 변화에 대해서는 제어하지 않았다.
즉, 전사재에 토너상을 전사하는 경우의 전사 효율이나, 정착에 의한 가열 및 가압에 의한 컬러 밸런스의 변화에는, 상기 농도 센서를 이용한 농도 제어로는 대응할 수 없다.
그래서, 중간 전사체나 드럼 등의 위가 아니라, 전사재 상에 블랙(K)에 의한 회색 패치와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를 혼색한 프로세스 회색 패치를 형성하고, 정착후에 양 패치의 색을 상대 비교함으로써, 정착 후의 컬러 밸런스의 변화를 검지하여, 그것을 기초로 보정을 하는 보정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회색 패치가 무채색으로 되는 것을 검지하는 센서(이하, 컬러 센서라 함)를 설치하여, 프로세스 회색 패치가 무채색으로 될 때의 CMY의 혼합 비율로부터 보정을 행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검지한 결과를, 화상 형성부의 노광량, 프로세스 조건, 화상 처리부의 RGB 신호를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재현역으로 변환하는 컬러 매칭 테이블, RGB 신호를 CMYK 신호로 변환하는 색 분해 테이블, 농도-계조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조정 테이블 등에 피드백함으로써, 전사재 상에 형성한 최종 출력 화상의 농도 또는 색도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출력 화상을 외부의 화상 독취장치 또는 색도계 및농도계로써 검지하여, 마찬가지의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방식은 프린터 내에서 제어가 완결되는 점에서 우수하다.
이하, 이 보정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종래의 보정 방법에 따르면, 센서의 경시 변화 등에 의한 편차를 보정할 목적으로, 컬러 센서가 절대 백색 기준판을 갖는 경우에는 절대 백색 기준판을 컬러 센서가 검지했을 때의 RGB 출력치를 이용하고; 절대 백색 기준판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절대 백색이라고 간주하고, 전사재를 컬러 센서가 검지했을 때의 RGB 출력치를 이용하여, RGB 출력치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보정을 실시하였다.
우선, 도 14를 참조하여,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한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
Ssi는 절대 백색 기준판의 RGB 출력 실측치이고; Sf0i는 RGB 출력 이론치이고; Si는 패치의 RGB 출력 실측치이고; Si'w는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이다.
우선, 절대 백색 기준판의 RGB 출력 실측치 Ssi(i = r, g, b, 이하 동일)을 검지한다(S1401).
다음에, 검지한 절대 백색 기준판의 RGB 출력 실측치 Ssi와, 미리 기억시켜 둔 RGB 출력 이론치 Sf0i로부터, 보정 계수 Sf0i/Ssi를 구한다(S1402).
그리고, 패치의 RGB 출력 실측치 Si를 구한다(S1403).
그 다음에, 수학식 1과 같이, 구한 패치의 RGB 출력 실측치 Si에 보정 계수Sf0i/Ssi를 일률적으로 승산하여,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 Si'w로 변환한다(S1404).
그리고,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 Si'w를 출력한다(S1405).
도 16은, 토너 적재량과, RGB 출력 이론치, 패치의 RGB 출력 실측치 Si, 및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 Si'w의 관계를 나타낸다.
(1)이 RGB 출력 이론치; (2)가 패치의 RGB 출력 실측치 Si; (3)이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 Si'w의 그래프이다.
또한, R, G, B의 3개의 출력치가 있지만, 보정 방법은 동일하므로, RGB 표기는 i(i = r, g, b, 이하 동일)로 생략한다.
패치의 RGB 출력 실측치 Si를 보정하여 RGB 출력 이론치에 근접시키는, 즉 (2)의 그래프의 보정 결과를 (1)의 그래프에 근접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한 보정 결과인 (3)의 그래프는, 약간 차이는 있지만, (1)의 그래프에 근접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5를 참조하여, 전사재를 이용한 보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S0i는 전사재의 RGB 출력 실측치이고; Si'p는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이다.
먼저, 전사재의 RGB 출력치 S0i를 검지한다(1501).
다음에, 검지한 전사재의 RGB 출력치 S0i와, 미리 기억시켜 둔 RGB 출력 이론치 Sf0i로부터, 보정 계수 Sf0i/S0i를 구한다(S1502).
그리고, 패치의 RGB 출력 실측치 Si를 구한다(S1503).
그 다음에, 수학식 2와 같이, 구한 패치의 RGB 출력 실측치 Si에 보정 계수 Sf0i/S0i를 일률적으로 승산하여,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 Si'p로 변환한다(S1504).
그리고,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 Si'p를 출력한다(S1505).
도 16은, 토너 적재량과, RGB 출력 이론치, 패치의 RGB 출력 실측치 Si, 및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 Si'p의 관계를 나타낸다.
(1)이 RGB 출력 이론치; (2)가 패치의 RGB 출력 실측치 Si; (4)가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 Si'p의 그래프이다.
전사재를 이용한 보정 결과인 (4)의 그래프는, 약간 차이는 있지만, (1)의 그래프에 근접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보정 방법에 이용되는 컬러 센서는, 예를 들면 발광 소자로서 적(R), 녹(G), 청(B) 등의 발광 스펙트럼이 다른 3종 이상의 광원을 구비하거나, 또는 발광 소자로는 백색(W)을 발광하는 광원을 이용하고, 수광 소자 상에 적(R), 녹(G), 청(B) 등의 분광 투과율이 다른 3종 이상의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RGB 출력 등의 다른 3종 이상의 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잉크 제트 방식의 프린터에 있어서도, 잉크 토출량의 경시 변화나 환경 차, 잉크 카트리지의 개체 차에 의해 컬러 밸런스가 변화하여, 농도-계조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으므로, 프린터의 출력부 부근에 컬러 센서를 설치하여, 전사재 상의 패치의 농도 또는 색도를 검지하여, 농도 또는 색도 제어를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절대 백색 기준판 또는 전사재를 이용하여 색 검지 수단(컬러 센서) 출력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의 보정이 행해졌다.
그러나, 컬러 센서를 이용한 농도 또는 색도 제어를 실시할 때에 형성하는 패치의 색도는, 전사재의 색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동일한 패치를 형성하였다고 해도, 그것이 다른 전사재 상에 형성한 것이라면, 전사재에 의해 패치의 색도가 영향을 받아, 컬러 센서의 검지의 결과도 다르게 된다.
특히, 저농도의 패치는, 전사재의 노출부가 많기 때문에, 전사재의 색의 영향을 받기 쉽다.
이것은, RGB 출력치의 보정의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어,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재현성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의 그래프 (3)은, 전사재가 완전하게 백색이 아니기 때문에, 토너 적재량이 적을 수록, RGB 출력 이론치의 그래프 (1)과의 차가 커진다.
또한,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의 그래프 (4)는, 토너 적재량이 0인 부분에서는 RGB 출력 이론치의 그래프 (1)과 맞지만, 토너가 실려 오는 개소에서는 RGB 출력 이론치의 그래프 (1)과의 차가 커진다.
즉, 어느 쪽의 방법으로 보정을 행하여도, 전사재의 색의 영향에 의해, 보정된 RGB 출력치의 그래프 (3), (4)와, RGB 출력 이론치의 그래프 (1) 사이에 차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컬러 센서로 패치의 색을 검지할 때에, 패치를 형성한 전사재의 색의 영향이 가능한 한 제거되도록, 보정된 RGB 출력치를 추가로 보정함으로써,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구비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실시예1에서 이용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은 농도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중간 전사체에 형성하는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컬러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전사재 상에 형성하는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예1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실시예1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2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실시예2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실시예3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실시예3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3에 있어서의 분기점의 결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시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종래예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농도-계조 특성 제어와 관련한 전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사재
22 : 감광체, 감광 드럼
26 : 현상기
27 : 중간 전사체
30 : 정착 장치
41 : 농도 센서
42 : 컬러 센서
61 : 블랙에 의한 회색 계조 패치
62 : 프로세스 회색 계조 패치
63 : 전사재 상에 형성한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
64 : 단색 미정착 계조 패치
65 : 중간 전사체 상에 형성한 미정착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
D : 분기점
Ssi: 절대 백색 기준판의 RGB 출력 실측치
S0i: 전사재(11)의 RGB 출력치
Sf0i: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RGB 출력 이론치
Sfdi: 토너 적재량이 분기점 D인 경우의 RGB 출력 이론치
Si: RGB 출력 실측치
Si'w: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
S0i'w: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
Si"wf: 실시예1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0i"wf: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실시예1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C : RGB 보정점
Sci: KC 패치의 RGB 출력 실측치
Sfci: 토너 적재량이 RGB 보정점 C인 경우의 RGB 출력 이론치
Si'c: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된 RGB 출력치
S0i'c: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된 RGB 출력치
Si"cf: 실시예2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0i"cf: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실시예2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i"cd: 실시예3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0i"cd: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실시예3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dr(n), Sdg(n), Sdb(n) : KD 패치의 R, G, B 각 색의 출력 실측치
Sdr'c(n), Sdg'c(n), Sdb'c(n) :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된 KD 패치의 R, G, B 각 색의 출력치
Sf0r, Sf0g, Sf0b: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R, G, B 각 색의 출력 이론치
Sdi: 결정한 분기점 D에서의 RGB 출력 실측치
Sdi'c: 결정한 분기점 D에서의 RGB 출력 실측치를,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한 RGB 출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보정 방법은, 전사재 상에 형성된 정착 후의 패치의 색을 검지하는 색 검지 수단과,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와 전사재 및 전사재 상에 형성한 패치를 검지했을 때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착 후의 패치를 검지했을 때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하고,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토너 적재량의 무시 가능 영역과 무시할 수 없는 토너 적재량의 무시 불가능 영역의 경계 분기점을 설정하고, 무시 가능 영역과 무시 불가능 영역에 대해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 보정 후의 보정치를 추가로 보정함으로써,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절대 백색 기준판을 구비하고, 상기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의 보정은, 상기 색 검지 수단으로 상기 절대 백색 기준판을 검지했을 때의 출력치와,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토너 적재량이 0인 점에서의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의 보정은, 상기 색 검지 수단을 이용하여, 전사재 상에 형성한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토너 적재량의 블랙 단색 패치를 검지했을 때의 출력치와,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상기 블랙 단색 패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토너 적재량의 무시 가능 영역과 무시할 수 없는 토너 적재량의 무시 불가능 영역의 경계 분기점은,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로부터,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토너 적재량의 무시 가능 영역과 무시할 수 없는 토너 적재량의 무시 불가능 영역의 경계 분기점은,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토너의 특성으로부터 미리 예상되는 경계 분기점 전후의 토너 적재량의 블랙 단색 패치를 수개의 전사재 상에 형성하고, 상기 블랙 단색 패치를 색 검지 수단으로 검지하여, 그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와,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토너의 특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이론치를 비교하여, 편차 보정치가 이론치와 일치하는가 또는 그 차가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경계 분기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 불가능 영역에 있는 색 검지 수단에 의한 편차 보정 후의 보정치를 추가로 보정하는 방법은, 검지하는 패치 및 전사재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와, 토너 적재량이 0인 점 및 경계 분기점의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 불가능 영역에 있는 색 검지 수단에 의한 편차 보정 후의 보정치를 추가로 보정하는 방법은, 검지하는 패치, 전사재 및 상기 경계 분기점 전 후의 토너 적재량의 블랙 단색 패치를 검지함으로써 결정한 경계 분기점의 패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와, 토너 적재량이 0인 점에서의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이 무시되는 무시 가능 영역에 있는 색 검지 수단에 의한 편차 보정 후의 보정치를 추가로 보정하는 방법은, 검지하는 패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를 그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사재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와, 토너 적재량이 0인 점에서의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를 비교하여, 상기 보정치와 상기 이론치 사이의 차가 미리 설정한 허용 차를 넘는 경우에, 상기 전사재에 패치를 형성해도 정확한 검지 및 보정을 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에러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색 검지 수단은, 백색 발광 수단과, 다른 3색 이상의 온 칩 필터를 구비한 수광 수단에 의해 구성되며, 전사재의 반송경로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색 검지 수단은, 수광 수단과, 다른 3색 이상의 발광 수단에 의해 구성되며, 전사재의 반송 경로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토너 적재량을 면적 계조도로 치환하여,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구성 및 효과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1)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1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농도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중간 전사체에 형성하는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컬러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전사재 상에 형성하는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농도-계조 특성 제어와 관련한 전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사진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중간 전사체(27)를 채용한 탠덤(tandem)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로 한다.
본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부와 미도시의 화상 처리부로 구성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221(이하, S221로 표기함, 이하 동일)에서, 미리 준비 되어 있는 칼라 매칭 테이블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화상의 색을 나타내는 RGB 신호를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재현역에 정합한 디바이스 RGB 신호(이하, DevRGB라 함)로 변환한다.
S222에서, 미리 준비 되어 있는 색 분해 테이블에 의해, 상기 DevRGB 신호를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색재의 색인 CMYK 신호로 변환한다.
S223에서, 각각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고유의 농도-계조 특성을 보정하는 조정 테이블에 의해, 상기 CMYK 신호를 농도-계조 특성의 보정을 가한 C'M'Y'K' 신호로 변환한다.
S224에서, PWM(Pulse Width Modulation) 테이블에 의해, 상기 C'M'Y'K'신호에 대응하는 스캐너부(24C, 24M, 24Y, 24K)의 노광 시간(Tc, Tm, Ty, Tk)으로 변환한다.
도 17은 농도-계조 특성 제어와 관련한 전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조정 테이블(223)은 화상 처리부에 속하며, 농도 센서(41)는 화상 형성부에 속한다. 농도 센서(41) 및 컬러 센서(42)에서 검출된 데이터는 CPU에 전해진다. CPU(43)는 전술한 소정의 회색 계조 패치 K와 색도가 일치하는 CMY 프로세스 회색 패치의 CMY 3색의 혼합 비율을 계산하는 산술 연산을 수행한다. 이 산술 연산의 결과는 조정 테이블(223)에 피드백되는 한편, CPU(43)로부터 조정 테이블에 전해져, 그 후의 화상 형성에 반영된다.
다음에, 도 1, 도 3, 도 4,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전자 사진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화상 형성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11은 전사재이고; 21a 및 21b는 급지부이고; 22Y, 22M, 22C, 22K는 현상색에 대응하여 배열된 스테이션 마다의 감광체(감광 드럼)이고; 23Y, 23M, 23C, 23K는 1차 대전 수단으로서의 주입 대전기이고; 23YS, 23MS, 23CS, 23KS는 슬리브이고; 24Y, 24M, 24C, 24K는 스캐너부이고; 25Y, 25M, 25C, 25K는 토너 카트리지이고; 26Y, 26M, 26C, 26K는 현상 수단인 현상기이고; 26YS, 26MS, 26CS, 26KS는 슬리브이고; 27은 중간 전사체이고; 28a는 전사 위치의 전사 롤러이고; 28b는 이격 위치의 전사 롤러이고; 29는 클리닝 수단이고; 30은 정착부이고; 31은 정착 롤러이고; 32는 가압 롤러이고; 33 및 34는 히터이고; 41은 농도 센서이고; 42는 색 검지 수단인 컬러 센서이다.
51은 적외 발광 소자이고; 52a 및 52b는 수광 소자이다.
53은 백색 LED이고; 54a는 RGB 온 칩 필터를 구비한 전하 축적형 센서이다.
61 및 62는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이고; 61은 회색 계조 패치이고; 62는 프로세스 회색 계조 패치이고; 63은 이들을 정합한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정착 후의 패치)이다.
64는 토너 패치이고; 65는 미정착 K 토너 단색의 계조 패치이다.
화상 형성부는, 화상 처리부가 변환한 노광 시간에 기초하여 점등시키는 노광광에 의해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단색 토너상을 형성하고, 이 단색 토너상을 중합시켜 다색 토너상을 형성하고, 이 다색 토너상을 전사재(11)로 전사하여, 그 전사재(11) 상의 다색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것으로, 급지부(21), 현상색에 대응하여 배열된 스테이션 마다의 감광체(22Y, 22M, 22C, 22K), 1차 대전 수단으로서의 주입 대전기(23Y, 23M, 23C, 23K), 토너 카트리지(25Y, 25M, 25C, 25K), 현상기(26Y, 26M, 26C, 26K), 중간 전사체(27), 전사 롤러(28a 및 28b), 클리닝 수단(29), 정착부(30), 농도 센서(41) 및 컬러 센서(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광 드럼(감광체)(22Y, 22M, 22C, 22K)은, 알루미늄 실린더의 외주에 유기 광도전층을 도포하여 구성되며, 미도시의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구동 모터는 감광 드럼(22Y, 22M, 22C, 22K)을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1차 대전 수단으로서는, 각 스테이션 마다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감광 드럼(22Y, 22M, 22C, 22K)을 대전시키기 위한 4개의 주입 대전기(23Y, 23M, 23C, 23K)를 구비하고 있고, 각 주입 대전기(23Y, 23M, 23C, 23K)에는 슬리브(23YS, 23MS, 23CS, 23KS)가 구비되어 있다.
감광 드럼(22Y, 22M, 22C, 22K)에의 노광광은, 스캐너부(24Y, 24M, 24C, 24K)에서 출력되어, 감광 드럼(22Y, 22M, 22C, 22K)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노광함으로써,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현상 수단으로서, 상기 정전 잠상을 가시화하기 위해서, 스테이션 마다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현상을 행하는 4개의 현상기(26Y, 26M, 26C, 26K)를 구비하고 있고, 각 현상기(26Y, 26M, 26C, 26K)에는 슬리브(26YS, 26MS, 26CS, 26KS)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현상기(26Y, 26M, 26C, 26K)는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중간 전사체(27)는, 감광 드럼(22Y, 22M, 22C, 22K)에 접촉하고 있어, 컬러 화상 형성 시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광 드럼(22Y, 22M, 22C, 22K)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단색 토너상이 전사된다.
그 후, 중간 전사체(27)에 전사 롤러(28a)가 접촉하여 전사재(11)를 협지 반송하여, 전사재(11)에 중간 전사체(27) 상의 다색 토너상이 전사된다.
전사 롤러(28a)는, 전사재(11) 상에 다색 토너상을 전사하는 동안, 28a의 위치에서 전사재(11)에 접촉하고, 인자 처리 후에는 28b의 위치로 이격된다.
정착부(30)는, 전사재(11)를 반송시키면서, 전사된 다색 토너상을 용융 정착시키는 것이고, 전사재(11)를 가열하는 정착 롤러(31)와 전사재(11)를 정착 롤러(31)에 압접시키기 위한 가압 롤러(32)를 구비하고 있다.
정착 롤러(31)와 가압 롤러(32)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각각 히터(33 및 34)가 내장되어 있다.
즉, 다색 토너상을 보유(유지)한 전사재(11)는, 정착 롤러(31)와 가압 롤러(32)에 의해 반송됨과 함께, 열 및 압력이 가해져, 토너가 표면에 정착된다.
토너상 정착 후의 전사재(11)는, 그 후 미도시의 배출 롤러에 의해서 미도시의 배지 트레이로 배출되어 화상 형성 동작을 종료한다.
클리닝 수단(29)은, 중간 전사체(27) 상에 남은 토너를 클리닝하는 것이며, 중간 전사체(27) 상에 형성된 4색의 다색 토너상을 전사재(11)에 전사한 후의 폐토너는 클리너 용기에 저장된다.
농도 센서(41)는, 도 1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중간 전사체(27)로 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중간 전사체(27)의 표면 상에 형성된 토너 패치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농도 센서(41)의 구성의 일례를 도 3에 나타낸다.
농도 센서(41)는, LED 등의 적외 발광 소자(51)와, 포토다이오드, CdS 등의 수광 소자(52), 수광 데이터를 처리하는 미도시의 IC 등과 이들을 수용하는 미도시의 홀더로 구성된다.
수광 소자(52a)는 토너 패치(64)로부터의 난반사광 강도를 검지하며, 수광 소자(52b)는 토너 패치(64)로부터의 정반사광 강도를 검지한다.
정반사광 강도와 난반사광 강도의 양방을 검지함으로써, 고농도로부터 저농도까지의 토너 패치(64)의 농도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51)와 수광 소자(52)의 결합을 위해 미도시의 렌즈 등의 광학 소자가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도 4에, 중간 전사체에 형성하는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의 일례를 나타낸다.
미정착 K 토너 단색의 계조 패치(65)가 배열된다.
이 후, 미도시의 C, M, Y 토너 단색의 계조 패치가 계속해서 형성된다.
상기 농도 센서(41)는, 중간 전사체(27) 상에 적재된 토너의 색을 분별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단색 토너의 계조 패치(65)를 중간 전사체(27) 상에 형성한다.
그 후, 이 농도 데이터는 화상 처리부의 농도-계조 특성을 보정하는 조정 테이블 또는 화상 형성부의 각 프로세스 조건에 피드백된다.
또한, 농도 센서(41)는 검지한 농도로부터 특정한 용지 종류와의 색차로 변환하는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C, M, Y, K 단색의 패치에 한하여 특정한 용지 종류와의 색차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농도 센서(41)가 농도 외 특정한 용지 종류와의 색차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C, M, Y, K 각각의 농도-계조 특성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C, M, Y, K 각각의 특정한 용지 종류와의 색차-계조 특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금까지 설명한 농도-계조 특성 제어의 농도를 전부 특정한 용지 종류와의 색차로 변환할 수도 있다.
C, M, Y, K 각각의 특정한 용지 종류와의 색차-계조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인간의 시각 특성에 의거한 계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컬러 센서(42)는, 도 1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전사재 반송로의 정착부(30) 보다 하류에 전사재(11)의 화상 형성면으로 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전사재(11) 상에 형성된 정착 후의 혼색 패치의 색의 RGB 출력치를 검지한다.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정착 후의 화상을 용지 배출부에 배지하기 전에, 자동적으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는 컬러 센서(4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컬러 센서(42)는, 백색 발광 수단인 백색 LED(53)와, 다른 3색 이상의 온 칩 필터를 구비한 수광 수단인 RGB 온 칩 필터를 구비한 전하 축적형 센서(54a)에 의해 구성되며, 전사재(11)의 반송 경로 내에 설치된다.
백색 LED(53)를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1 및 62)이 형성된 전사재(11)에 대하여 경사 45°에서 입사되어, 0° 방향으로의 난반사광 강도를 RGB 온 칩 필터를 구비한 전하 축적형 센서(54a)에 의해 검지한다.
RGB 온 칩 필터를 구비한 전하 축적형 센서(54a)의 수광부는, 54b와 같이 RGB가 독립한 화소로 되어 있다.
RGB 온 칩 필터를 구비한 전하 축적형 센서(54a)의 전하 축적형 센서는, 포토다이오드로 구성할 수도 있다.
RGB의 3개 화소의 세트를 복수 세트 배열할 수도 있다.
또한, 입사각이 0°이고 반사각이 45°인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3색 이상의 발광 수단인 RGB 3색이 발광하는 LED와, 수광 수단인 필터없는 센서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6은 전사재(11) 상에 형성하는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의 일례를 나타낸다.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1 및 62)은, 색 재현역의 중심이고, 컬러 밸런스를 취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색인 회색의 계조 패치 패턴이다.
블랙(K)에 의한 회색 계조 패치(61)와,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를 혼색한 프로세스 회색 계조 패치(62)로 구성되어 있고, 표준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색도가 가까운 K에 의한 회색 계조 패치(61)와 CMY 프로세스 회색 계조 패치(62)가 61a와 62a, 61b와 62b, 61c와 62c와 같이 쌍을 이뤄 배열된다.
이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1 및 62)의 RGB 출력치를 컬러 센서(42)로 검지한다.
또한, 전사재(11) 상에 형성하는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1 및 62)은, 회색의 패치 패턴에 한하지 않고, C, M, Y, K 단색의 계조 패치 패턴일 수도 있다.
즉, 먼저 설명한 중간 전사체(27)에 형성하는 미정착 K 토너 단색의 계조 패치(65)를 정착시킬 수도 있다.
K에 의한 회색 계조 패치(61)와 CMY 프로세스 회색 계조 패치(62)의 RGB 출력치로부터, 어떤 계조도의 K에 의한 회색 패치와 색도가 거의 동일하게 되는, CMY의 3색을 혼합한 프로세스 회색 패치의 CMY 3색의 혼합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보정을 행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실시예1의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수순에 기초하여, 토너 적재량과 RGB 출력치, 도중의 계산치(보정된 RGB 출력치) 및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D는 경계 분기점(이하 분기점이라 함)이고; Ssi는 색 검지 수단으로 절대 백색 기준판을 검지했을 때의 출력치인 절대 백색 기준판의 RGB 출력 실측치이고; S0i는 전사재(11)의 RGB 출력치이고; Sf0i는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토너 적재량이 0인 점에서의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인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RGB 출력 이론치이고; Sfdi는 경계 분기점의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인 토너 적재량이 분기점 D인 경우의 RGB 출력 이론치이고; Si는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인 RGB 출력 실측치이고; Si'w는 검지하는 패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인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이고; S0i'w는 전사재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인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이고; Si"wf는 실시예1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이고; S0i"wf는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실시예1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이다(여기서, i = r, g, b, 이하 동일).
본 실시예는 절대 백색 기준판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컬러 센서(42)로 전사재(11) 상에 형성된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을 검지하기 직전에, 컬러 센서(42)로 절대 백색 기준판을 검지하여, 그 RGB 출력 실측치 Ssi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둔다(S701).
또한,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이 형성된 전사재(11)의,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이 없는 부분을 컬러 센서(42)로 검지하여, 그 RGB 출력치 S0i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둔다.
검지 전에 매회 절대 백색 기준판과 전사재(11)의 검지를 실시하기 때문에, 기억 수단은 불휘발성일 필요는 없다.
또한,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 및 토너 적재량이 후술하는 분기점 D인 때의 RGB 출력 이론치 Sf0i, Sfdi을 미리 불휘발성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둔다.
RGB 출력 이론치는, 컬러 센서(42)의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과 수광 소자의 분광 감도와 검지 대상을 완전 확산면으로 한 때의 발광 및 수광 소자 사이의 결합 효율의 곱이 된다.
다음에, 검지한 절대 백색 기준판의 RGB 출력 실측치 Ssi와 미리 기억시켜 둔 RGB 출력 이론치 Sf0i로부터, 보정 계수 Sf0i/Ssi를 구한다(S702).
그리고,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을 컬러 센서(42)로검지하여, RGB 출력 실측치 Si를 구한다(S703).
그 다음에, 다음 식의 계산을 행하여,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 Si'w를 산출한다(S704).
이 계산에서는, 절대 백색 기준판 검지 시의 RGB 출력치 Ssi를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RGB 출력 이론치 Sf0i로 변환하는 계수를 승산한다.
전술한 보정을 RGB 각 출력치의 전부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행함으로써, 컬러 센서(42)의 경시 변화나 변동 등에 의한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다음에, 다음 식에 따라 비교를 행한다(S705).
Si'w> Sfdi(i = r, g, b)
Sfdi: 분기점 D에서의 RGB 출력 이론치
분기점 D는, 전사재(11)의 색이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정도로 커지는 경계점이고,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로부터, 예를 들면 토너 적재량 50%의 중농도역으로 미리 설정해 둔다.
Sfdi는 미리 설정된 분기점 D에서의 RGB 출력 이론치이다.
상기 부등식이 참이면, 그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은 분기점 D보다 토너 적재량이 적고, 전사재(11)의 색이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거짓이면 분기점 D보다 토너 적재량이 많고, 전사재(11)의 색이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S705에서의 비교의 결과, 참인 경우에는 S706로 진행하고; 거짓인 경우에는 S707로 진행한다.
S706에서는, 다음 식의 계산을 행하여, 실시예1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i"wf를 산출한다.
도 8에 있어서, 분기점 D보다 저농도측의 Si'w에 대해서만, Si'w에서 Sfdi을 감산한 다음,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Si'w(S0i'w)를 Sf0i로 변환하는 계수를, 일률적으로 승산한다.
S707에서는, 실시예1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i"wf= Si'w로 한다.
그 이유는, 분기점 D보다 고농도측에서는,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패치 패턴(63)의 색도는 전사재(11)의 영향을 거의 받고 있지 않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S708에서는, 실시예1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i"wf가 출력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한 보정 방법에 의해 보정된 RGB 출력치 Si'w((3)의 그래프)의 경우보다, 실시예1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i"wf((5)의 그래프)의 경우가, 보다 RGB 출력 이론치((1)의 그래프)에 근접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보정 방법은, 종래의 보정 방법에 비교하여, 전사재(11)의 영향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든 RGB 출력치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보정을 행하여, 그 보정된 RGB 출력치를 그 후의 화상 처리부나 화상 형성부로의 피드백 제어에 이용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정밀도가 좋은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전사재(11)의 채도가 매우 높거나 명도가 낮은 경우에, 본 실시예에 의한 보정을 행하여도, 원하는 보정 정밀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전사재(11)에, 컬러 센서(42)로 검지하는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이 형성되었을 때에, 에러로서 그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검지를 취소하는 에러 검지를 행할 수도 있다.
에러 검지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보정의 직전에 검지하는 전사재(11)의 RGB 출력치 S0i를 S704와 같이 S0i'w로 변환한다.
그리고,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절대 백색 기준판을 이용하여 보정된 RGB 출력치 S0i'w와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RGB 출력 이론치 Sf0i를 RGB 각각에 대하여 비교한다.
비교 결과, 양자가 크게 다른 경우에는, 이 전사재(11)는 채도가 높거나 또는 명도가 낮기 때문에,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을 형성해도 정밀도가 충분한 제어를 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에러라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S0i'/Sf0i가 0.7 이하인 경우에 에러인 것으로 간주하기로 하는 에러 판단 기준을 미리 설정해 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사진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상정하여, 토너 적재량과 RGB 출력치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잉크 제트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등에 있어서도, 토너 적재량을 면적 계조도로 치환하여, 면적 계조도와 RGB 출력치의 관계로서 본 실시예와 같이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2)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실시예2의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수순에 기초하여, 토너 적재량과 RGB 출력치, 도중의 계산치(보정된 RGB 출력치) 및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C는 RGB 보정점이고; Sci는 색 검지 수단을 이용하여, 전사재 상에 형성한 전사재의 색이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토너 적재량의 블랙 단색 패치를 검지했을 때의 출력치인, KC 패치의 RGB 출력 실측치이고; Sfci는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블랙 단색 패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인 토너 적재량이 RGB 보정점 C인 경우의 RGB 출력 이론치이고; Si'c는 검지하는 패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인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된 RGB 출력치이고; S0i'c는 전사재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인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된 RGB 출력치이고; Si"cf는 실시예2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이고; S0i"cf는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실시예2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이다.
본 실시예는, 절대 백색 기준판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실시예1과 주로 다르다.
컬러 센서(42)로 전사재(11) 상에 형성된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을 검지하기 직전에, 전사재(11)의 색이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이 충분히 작은(무시할 수 있는) 고농도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RGB 보정점 C에 토너 적재량이 상당하는 블랙(K) 단색 패치(이하, KC 패치라 함)를 전사재(11) 상에 형성하고, 컬러 센서(42)로 KC 패치를 검지하여, 그 RGB 출력치 Sci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둔다(S901).
예를 들면, RGB 보정점 C의 토너 적재량은 75%로 한다.
또한,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이 형성된 전사재(11)의,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이 없는 부분을 컬러 센서(42)로 검지하고, 그 RGB 출력치 S0i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둔다.
검지 전에 매회 KC 패치와 전사재(11)의 검지를 실시하기 때문에, 기억 수단은 불휘발성일 필요는 없다.
또한,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 토너 적재량이 분기점 D인 때, 및 토너 적재량이 RGB 보정점 C인 경우의 RGB 출력 이론치 Sf0i, Sfdi, Sfci를, 미리 불휘발성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둔다.
RGB 출력 이론치는, 토너 적재량이 0인 점에서는 컬러 센서(42)의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과 수광 소자의 분광 감도와 검지 대상을 완전 확산면으로 한 때의 발광 및 수광 소자 사이의 결합 효율의 곱이 된다.
분기점 D 및 RGB 보정점 C에서는, 컬러 센서(42)의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과 수광 소자의 분광 감도와 절대 백색의 전사재(11) 상에 형성한 분기점 D 및 RGB 보정점 C에 상당하는 토너 적재량의 패치의 분광 반사율과 검지 대상을 완전 확산면으로 한 때의 발광 및 수광 소자 사이의 결합 효율의 곱이 된다.
단, 실제로는 절대 백색의 전사재는 없기 때문에, 색도에 대한 전사재(11)의 영향이 충분히 작고, 토너 적재량이 다른 2개의 패치를 형성하고, 양자의 분광 반사율의 차분으로부터, 토너 적재량이 분기점 D 및 RGB 보정점 C에 상당하는 패치의 분광 반사율을 구할 수도 있다.
다음에, 검지한 절대 백색 기준판의 RGB 출력 실측치 Sci와, 미리 기억시켜 둔 RGB 출력 이론치 Sfci로부터, 보정 계수 Sfci/Sci를 구한다(S902).
그리고, S903에서,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을 컬러 센서(42)로 검지하여, RGB 출력 실측치 Si를 얻는다.
그 다음에, S904에서 다음식의 계산을 행하여,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된 RGB 출력치 Si'c를 산출한다.
이 계산에서는, KC 패치 검지 시의 RGB 출력치 Sci를 RGB 보정점 C에서의 RGB 출력 이론치 Sfci로 변환하는 계수를 Si에 승산한다.
RGB 보정점 C의 패치의 색도는, 전사재(11)의 영향이 충분히 작기 때문에, RGB 각 RGB 출력치의 전부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행함으로써, 컬러 센서(42)의 경시 변화나 변동 등에 의한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다음에, S905에 있어서, 다음 식에 따라 비교를 행한다.
Si'c> Sfdi(i = r, g, b)
Sfdi: 분기점 D에서의 RGB 출력 이론치
분기점 D는, 전사재(11)의 색이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정도로 커지는 경계점이고,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로부터, 예를 들면 토너 적재량 50%의 중농도역에 미리 설정해 둔다.
따라서, 분기점 D는, RGB 보정점 C보다 반드시 저농도측이 된다.
Sfdi는 미리 설정된 분기점 D에서의 RGB 출력 이론치이다.
상기 부등식이 참이면, 그 패치는 분기점 D보다 토너 적재량이 적고, 전사재(11)의 색이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하며; 거짓이면 분기점 D보다 토너 적재량이 많고, 전사재(11)의 색이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S905에 있어서의 비교의 결과, 참인 경우에는 S906로 진행하고; 거짓인 경우에는 S907로 진행한다.
S906에서는, 다음식의 계산을 행하여, 실시예2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i"cf를 산출한다.
도 10에 있어서, 분기점 D보다 저농도측의 Si'c에 대해서만, Si'c에서 Sfdi을 감산한 뒤에,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Si'c, 즉 S0i'c를 Sf0i로 변환하는 계수를 일률적으로 승산한다.
S907에서는, 실시예2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를 Si"cf= Si'c로 한다.
그 이유는, 분기점 D보다 고농도측에서는,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색도는 전사재(11)의 영향을 거의 받고 있지 않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S908에 있어서, 실시예2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i"cf가 출력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사재를 절대 백색이라고 간주한 보정 방법에 의해 보정된 RGB 출력치 Si'p((4)의 그래프)의 경우나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된 RGB 출력치 Si'c((3)'의 그래프)의 경우 보다, 실시예2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i"cf((6)의 그래프)의 경우가, 보다 RGB 출력 이론치((1)의 그래프)에 근접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보정 방법은, 종래의 보정 방법에 비교하여, 전사재(11)의영향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든 RGB 출력치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보정을 행하여, 그 실시예2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를 그 후의 화상 처리부나 화상 형성부로의 피드백 제어에 이용함으로써, 실시예1과 비교하여 절대 백색 기준판이 불필요한 만큼, 염가이며, 종래에 비하여 정밀도가 좋은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실시예1과 같이, 전사재(11)의 채도가 매우 높거나 또는 명도가 낮은 경우에, 본 실시예에 의한 보정을 행하여도, 원하는 보정 정밀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전사재(11)에 컬러 센서(42)로 검지하는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이 형성되었을 때에, 에러로서 그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검지를 취소하는 에러 검지를 행할 수도 있다.
에러 검지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보정의 직전에 검지하는 전사재(11)의 RGB 출력치 S0i를 S904와 같이 S0i'c로 변환한다.
그리고,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된 RGB 출력치 S0i'c와,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RGB 출력 이론치 Sf0i를, RGB 각각에 대하여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 양자가 크게 다른 경우에는, 이 전사재(11)는 채도가 높거나또는 명도가 낮기 때문에,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을 형성해도 정밀도가 충분한 제어를 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에러라고 판단한다.
예컨대, S0i'c/Sf0i가 0.7 이하인 경우에 에러인 것으로 간주하기로 하는 에러 판단 기준을, 미리 설정해 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사진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상정하여, 토너 적재량과 RGB 출력치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잉크 제트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등에 있어서도, 토너 적재량을 면적 계조도로 치환하여, 면적 계조도와 RGB 출력치의 관계로서 본 실시예와 같이 취급할 수 있다.
(실시예3)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실시예3의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RGB 출력치의 보정 수순에 기초하여, 토너 적재량과 RGB 출력치, 도중의 계산치(보정된 RGB 출력치) 및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Si"cd는 실시예3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이고; S0i"cd는 토너 적재량이 0인 점에서의 실시예3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이고; Sdr(n), Sdg(n), Sdb(n)(토너 적재량이 많아질수록 n = 1, 2, ..., 이하 동일)은 KD 패치의 R, G, B 각 색의 출력 실측치이고; Sdr'c(n), Sdg'c(n), Sdb'c(n)는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된KD 패치의 R, G, B 각 색의 출력치이고; Sf0r, Sf0g, Sf0b는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토너의 특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이론치인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R, G, B 각 색의 출력 이론치이고; Sfcr, Sfcg, Sfcb는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토너의 특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이론치인 보정점 C에서의 R, G, B 각 색의 출력 이론치이고; Sdi은 결정한 분기점 D에서의 RGB 출력 실측치이고; Sdi'c은 결정한 경계 분기점의 패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인 결정한 분기점 D에서의 RGB 출력 실측치 Sdi을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한 RGB 출력치이다.
본 실시예는, 분기점 D를 가변으로 하여, 블랙(K) 단색 패치(이하, KD 패치)를 전사재(11) 상에 형성하고, KD 패치를 컬러 센서(42)로 검지함으로써 그 때마다 분기점 D를 결정하는 점에서 실시예2와 주로 다르다.
컬러 센서(42)로 전사재(11) 상에 형성된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을 검지하기 직전에, 전사재(11)의 색이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이 충분히 작은 고농도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RGB 보정점 C에 토너 적재량이 상당하는 블랙(K) 단색 패치(이하, KC 패치)를 전사재(11) 상에 형성하고, 컬러 센서(42)로 KC 패치를 검지하여, 그 RGB 출력치 Sci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둔다(S1101).
예를 들면 RGB 보정점 C의 토너 적재량은 75%로 한다.
또한,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이 형성된 전사재(11)의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이 없는 부분을 컬러 센서(42)로 검지하고, 그 RGB 출력치 S0i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둔다.
검지 전에 매회 KC 패치와 전사재(11)의 검지를 실시하기 때문에, 기억 수단은 불휘발성일 필요는 없다.
또한,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 토너 적재량이 분기점 D인 때, 및 토너 적재량이 RGB 보정점 C인 때의 RGB 출력 이론치 Sf0i, Sfdi, Sfci를, 미리 불휘발성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둔다.
RGB 출력 이론치는, 토너 적재량이 0인 점에서는 컬러 센서(42)의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과 수광 소자의 분광 감도와 검지 대상을 완전 확산면으로 한 때의 발광 및 수광 소자 사이의 결합 효율의 곱이 된다.
분기점 D 및 RGB 보정점 C에서는, 컬러 센서(42)의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과 수광 소자의 분광 감도와 절대 백색의 전사재 상에 형성한 분기점 D 및 RGB 보정점 C에 상당하는 토너 적재량의 패치의 분광 반사율과 검지 대상을 완전 확산면으로 한 때의 발광 및 수광 소자 사이의 결합 효율의 곱이 된다.
단, 실제로는 절대 백색의 전사재는 없기 때문에, 색도에 대한 전사재(11)의 영향이 충분히 작고, 토너 적재량이 다른 2개의 패치를 형성하고, 양자의 분광 반사율의 차분으로부터, 토너 적재량이 분기점 D 및 RGB 보정점 C에 상당하는 패치의분광 반사율을 구할 수도 있다.
다음에, 검지한 절대 백색 기준판의 RGB 출력 실측치 Sci와, 미리 기억시켜 둔 RGB 출력 이론치 Sfci로부터, 보정 계수 Sfci/Sci를 구한다(S1102).
다음에, KD 패치를 전사재(11) 상에 형성하고, 컬러 센서(42)로 KD 패치를 검지하여 분기점 D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KD 패치는, 전사재(11)의 색이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정도에 커지는 경계주변에, 토너의 적재량을 가변하여 전사재(11) 상에 형성한, 블랙(K) 단색의 수개의 패치이다.
예를 들면, 토너 적재량 50% 주변에서 토너 적재량을 조금씩 바꾼 블랙 단색의 수개의 패치를 형성한다.
도 13은, n개(도 13에서는 n = 5)의 KD 패치를 검지했을 때의, 토너 적재량과 RGB 출력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RGB 출력 실측치 Sdr(n), Sdg(n), Sdb(n), (n = 1, 2, ...)을, 후술하는 S1105에서의 변환과 마찬가지의 변환을 하여,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 즉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된 KD 패치의 R, G, B 각 색의 출력치인 Sdr'c(n), Sdg'c(n), Sdb'c(n)(토너 적재량이 많아질수록 n = 1, 2, ...)을 산출한다.
이 편차를 보정한 값인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된 KD 패치의 R, G, B 각 색의 출력치 Sdr'c(n), Sdg'c(n), Sdb'c(n)(n = 1, 2, ...)를, 도 13에 도시하였다.
그리고, n = 1로부터 시작하여, Sdr'c(n) : Sdg'c(n) : Sdb'c(n)의 비와 Sf0r: Sf0g: Sf0b의 비; 또는 Sdr'c(n) : Sdg'c(n) : Sdb'c(n)의 비와 Sfcr: Sfcg: Sfcb의 비를 비교한다.
토너 적재량이 감소함에 따라, 즉 n이 커짐에 따라, 전사재(11)의 영향이 커진다.
그래서, 미리, 전사재(11)의 색이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정도로 커지는 경계 조건을 설정해 둔다.
예를 들면,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도 13과 달리, Sf0r: Sf0g: Sf0b= Sfcr: Sfcg: Sfcb= 1 : 1 : 1인 것으로 한다.
그 때에, Sdg'c(n)/Sdr'c(n), Sdb'c(n)/Sdr'c(n) 중 어느 하나가, 1.1 이상 또는 0.9 이하로 된 때에 전사재(11)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양자의 비의 비교가 그 경계 조건을 넘는 패치의 바로 직전의 KD 패치의 토너 적재량을, 분기점 D로 결정한다(S1103).
그리고, 분기점 D의 Sdi'c(n)을 Sdi'c로 정의한다.
다음에, 컬러 센서(42)로 검지한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RGB 출력치의 보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S1104에 있어서,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을 컬러 센서(42)로 검지하여, RGB 출력치 Si를 얻는다.
그리고, S1105에 있어서, 다음식의 계산을 행하여, Si'c를 산출한다.
이 계산에서는, KC 패치 검지 시의 RGB 출력치 Sci를 RGB 보정점 C의 RGB 출력 이론치 Sfci로 변환하는 계수를 Si에 승산한다.
RGB 보정점 C의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색도는, 전사재(11)의 영향이 충분히 작기 때문에, 각 RGB 출력치의 전부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행함으로써, 컬러 센서(42)의 경시 변화나 변동 등에 의한 편차를 어느 정도 보정할 수 있다.
다음에, S1106에 있어서, 다음 식의 비교를 행한다.
Si'c> Sdi'c(i = r, g, b)
Sdi'c: 미리 결정한 분기점 D에서의 RGB 출력치 S폭의 편차 보정치(결정한 분기점 D에서의 RGB 출력 실측치 Sdi을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한 RGB 출력치)
상기 부등식이 참이면, 그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은 분기점 D보다 토너 적재량이 적고, 전사재(11)의 색이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거짓이면 분기점 D보다 토너 적재량이 많고, 전사재(11)의 색이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S1106에서의 비교의 결과, 참인 경우에는 S1107로 진행하고; 거짓인 경우에는 S1108로 진행한다.
S1107에서는, 다음 식의 계산을 행하여, 실시예3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i"cd를 산출한다.
도 12에 있어서, 분기점 D보다 저농도측의 Si'c에 대해서만, Si'c에서 Sdi'c을 감산한 뒤에, 적재량 0인 경우의 Si'c, 즉 S0i'c을 Sf0i로 변환하는 계수를, 일률적으로 승산한다.
S1108에서는, 실시예3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i"cd= Si'c로 한다.
그 이유는, 분기점 D보다 고농도측에서는,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색도는 전사재(11)의 영향을 거의 받고 있지 않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S1109에 있어서, 실시예3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로서 Si"cd가 산출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사재를 절대 백색이라고 간주한 보정 방법에 의해 보정된 RGB 출력치 Si'p((4)의 그래프)의 경우 및 전사재를 이용하여 보정점 C에 의해 보정된 RGB 출력치 Si'c((3)'의 그래프)의 경우 보다, 실시예3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 Si"cd((6)의 그래프)의 경우가, 보다 RGB 출력 이론치((1)의 그래프)에 근접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보정 방법은, 종래의 보정 방법에 비교하여, 전사재(11)의 영향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든 RGB 출력치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보정을 행하여, 그 실시예3의 추가 보정된 RGB 출력치를 그 후의 화상 처리부나 화상 형성부로의 피드백 제어에 이용함으로써, 실시예2와 비교하여 분기점 D를 블랙(K) 단색 패치(KD 패치)를 실제로 전사재(11) 상에 형성하여 형성하는 만큼, 보다 정밀도가 좋은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실시예 l 및 실시예2와 같이, 전사재(11)의 채도가 매우 높거나 또는 명도가 낮은 경우에, 본 실시예에 의한 보정을 행하여도, 원하는 보정 정밀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전사재(11)에 컬러 센서(42)로 검지하는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제어용 패치 패턴(63)이 형성되었을 때에, 에러로서 그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의 검지를 취소하는 에러 검지를 행할 수도 있다.
에러 검지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보정의 직전에 검지하는 전사재(11)의 RGB 출력치 S0i를 S1105와 같이 S0i'c로 변환한다.
그리고, S0i'c와, 토너 적재량이 0인 경우의 센서 출력 이론치 Sf0i를, RGB 각각에 대하여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 양자가 크게 다른 경우에는, 이 전사재(11)는 채도가 높거나 또는 명도가 낮기 때문에, 정착 후의 농도-계조 특성 제어용 패치 패턴(63)을 형성해도 정밀도가 충분한 제어를 할 수 없은 것으로 간주하여, 에러인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S0i'c/Sf0i가 0.7 이하인 경우에 에러인 것으로 간주하기로 하는 에러 판단 기준을, 미리 설정해 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사진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상정하여, 토너 적재량과 RGB 출력치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잉크 제트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등에 있어서도, 토너 적재량을 면적 계조도로 치환하여, 면적 계조도와 RGB 출력치의 관계로서 본 실시예와 같이 취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구비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전사재 상에 형성된 정착 후의 패치의 색을 검지하는 색 검지 수단과,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와 전사재 및 전사재 상에 형성한 패치를 검지했을 때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착 후의 패치를 검지했을 때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하고,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토너 적재량의 무시 가능 영역과 무시할 수 없는 토너 적재량의 무시 불가능 영역의 경계 분기점을 설정하고,
    무시 가능 영역과 무시 불가능 영역에 대해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 보정 후의 보정치를 추가로 보정함으로써,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제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절대 백색 기준판을 구비하고,
    상기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의 보정은,
    상기 색 검지 수단으로 상기 절대 백색 기준판을 검지했을 때의 출력치와,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토너 적재량이 0인 점에서의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의 보정은,
    상기 색 검지 수단을 이용하여, 전사재 상에 형성한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토너 적재량의 블랙 단색 패치를 검지했을 때의 출력치와,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상기 블랙 단색 패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토너 적재량의 무시 가능 영역과 무시할 수 없는 토너 적재량의 무시 불가능 영역의 경계 분기점은,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로부터,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토너 적재량의 무시 가능 영역과 무시할 수 없는 토너 적재량의 무시 불가능 영역의 경계 분기점은,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토너의 특성으로부터 미리 예상되는 경계 분기점 전후의 토너 적재량의 블랙 단색 패치를 수개의 전사재 상에 형성하고,
    상기 블랙 단색 패치를 색 검지 수단으로 검지하여,
    그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와, 색 검지 수단의 발광 수단의 발광 특성, 수광 수단의 수광 특성,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토너의 특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이론치를 비교하여,
    편차 보정치가 이론치와 일치하는가 또는 그 차가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경계 분기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 불가능 영역에 있는 색 검지 수단에 의한 편차 보정 후의 보정치를 추가로 보정하는 방법은,
    검지하는 패치 및 전사재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와, 토너 적재량이 0인 점 및 경계 분기점의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을 무시 불가능 영역에 있는 색 검지 수단에 의한 편차 보정 후의 보정치를 추가로 보정하는 방법은,
    검지하는 패치, 전사재 및 상기 경계 분기점 전 후의 토너 적재량의 블랙 단색 패치를 검지함으로써 결정한 경계 분기점의 패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와, 토너 적재량이 0인 점에서의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의 색이 상기 패치의 색도에 제공하는 영향이 무시되는 무시 가능 영역에 있는 색 검지 수단에 의한 편차 보정 후의 보정치를 추가로 보정하는 방법은,
    검지하는 패치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를 그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전사재의 색 검지 수단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한 보정치와, 토너 적재량이 0인 점에서의 색 검지 수단 출력의 이론치를 비교하여,
    상기 보정치와 상기 이론치 사이의 차가 미리 설정한 허용 차를 넘는 경우에, 상기 전사재에 패치를 형성해도 정확한 검지 및 보정을 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에러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 검지 수단은, 백색 발광 수단과, 다른 3색 이상의 온 칩 필터를 구비한 수광 수단에 의해 구성되며, 전사재의 반송 경로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 검지 수단은, 수광 수단과, 다른 3색 이상의 발광 수단에 의해 구성되며, 전사재의 반송 경로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적재량을 면적 계조도로 치환하여,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
  13. 제1항에 기재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색 검지 수단 출력치의 보정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컬러 화상 형성 장치.
KR10-2002-0069060A 2001-11-09 2002-11-08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컬러 센서 출력치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구비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 KR100500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44916 2001-11-09
JP2001344916A JP4065485B2 (ja) 2001-11-09 2001-11-09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の色検知手段出力値の補正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備え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516A true KR20030038516A (ko) 2003-05-16
KR100500871B1 KR100500871B1 (ko) 2005-07-14

Family

ID=1915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060A KR100500871B1 (ko) 2001-11-09 2002-11-08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컬러 센서 출력치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구비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39427B2 (ko)
EP (1) EP1311110B1 (ko)
JP (1) JP4065485B2 (ko)
KR (1) KR100500871B1 (ko)
CN (1) CN120551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8479A1 (en) * 2011-02-28 2012-09-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9947A (ja) * 2002-08-06 2004-03-04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濃度−階調特性の制御方法
JP4564705B2 (ja) * 2002-09-10 2010-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0985571B1 (ko) * 2003-12-30 2010-10-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
DE102004009271A1 (de) * 2004-02-26 2005-09-15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Verfahren zur Farbregelung an Druckmaschinen
JP4386268B2 (ja) 2004-05-07 2009-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321568A (ja) * 2004-05-07 2005-11-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652720B2 (ja) * 2004-05-07 2011-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545531B2 (en) * 2004-05-18 2009-06-09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tatistical process control (SPC) in a printing environment
JP4442879B2 (ja) * 2004-07-28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色信号変換方法
US7605959B2 (en) * 2005-01-05 2009-10-20 The Ackley Martinez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color image transformation
JP4311753B2 (ja) * 2007-03-06 2009-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014986A (ja) 2008-07-04 2010-01-2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643920B2 (en) * 2011-06-23 2014-02-04 Xerox Corporation Gray balance calibration in an image printing system
JP5797068B2 (ja) * 2011-09-05 2015-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濃度および色の補正を行う方法
JP6021352B2 (ja) 2012-02-27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補正方法
JP5888081B2 (ja) * 2012-04-16 2016-03-16 株式会社リコー 光書込み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光書込み装置の制御方法
JP2015004811A (ja) 2013-06-20 2015-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00817B2 (ja) * 2016-02-03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WO2018014955A1 (en) 2016-07-20 2018-01-25 Hp Indigo B.V. Printing system calibration
CN110234969B (zh) * 2017-02-03 2021-10-22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对滤色器方式的色彩亮度计进行校准的方法以及滤色器方式的色彩亮度计
CN110949015B (zh) * 2018-09-26 2021-12-14 海德堡印刷机械股份公司 两级式密度补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6351A (en) 1988-08-22 1992-09-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reader
JPH07253694A (ja) * 1994-01-25 1995-10-0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電位制御方法及びトナー補給制御方法
JP3164961B2 (ja) * 1994-03-18 2001-05-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記録装置と画質制御方法
JPH07271138A (ja) * 1994-03-28 1995-10-20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884266A (ja) * 1994-09-14 1996-03-2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63048A (ja) * 1996-08-13 1998-03-0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536564B2 (ja) * 1997-01-06 2004-06-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608760B2 (ja) * 1997-03-19 2005-01-12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トナー補給装置
JPH1158843A (ja) 1997-08-27 1999-03-02 Nec Corp カラープリンタシステム
CN1136718C (zh) 1997-11-29 2004-01-28 三星电子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及方法
US6243542B1 (en) * 1998-12-14 2001-06-05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controlling the density of toner images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DE69941436D1 (de) * 1999-07-19 2009-10-29 Sagawa Printing Co Ltd Medium, auf dem das farbprüfprogramm gespeichert ist
JP4332260B2 (ja) * 1999-07-29 2009-09-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10022B2 (ja) * 2001-09-03 2011-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853815B2 (en) * 2001-09-10 2005-02-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djustment method of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8479A1 (en) * 2011-02-28 2012-09-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CN103380402A (zh) * 2011-02-28 2013-10-3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
US9727015B2 (en) 2011-02-28 2017-08-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with continuous color calib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65485B2 (ja) 2008-03-26
EP1311110A2 (en) 2003-05-14
EP1311110A3 (en) 2004-10-20
EP1311110B1 (en) 2012-05-30
KR100500871B1 (ko) 2005-07-14
US20030090693A1 (en) 2003-05-15
CN1417648A (zh) 2003-05-14
CN1205515C (zh) 2005-06-08
US7239427B2 (en) 2007-07-03
JP2003149903A (ja) 200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871B1 (ko)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컬러 센서 출력치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구비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
KR100544557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85907B1 (ko)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298500B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8040581B2 (en) Method for calibrating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40021528A (ko)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13635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処理方法
JP4109855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の処理方法
JP478530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860854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
JP2006235490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色校正方法、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47872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5062273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
JP200531967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35205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98947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4126278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4069832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