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669A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발광 재료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발광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6669A
KR20030036669A KR10-2003-7001676A KR20037001676A KR20030036669A KR 20030036669 A KR20030036669 A KR 20030036669A KR 20037001676 A KR20037001676 A KR 20037001676A KR 20030036669 A KR20030036669 A KR 2003003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ormula
emitting layer
injection electrode
hol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하마다
츠요시 츠지오까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66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2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four rings, e.g. pyr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3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five rings, e.g. pent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6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more than one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rings, e.g. bis-anthrac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09K2211/1033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with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09K2211/1037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with sulfu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6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two or more different heteroatoms per r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휘도 및 높은 발광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유기 EL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 상에 홀 주입 전극이 형성되고, 그 위에 홀 주입층, 홀 수송층 및 발광층이 순서대로 형성된다. 발광층 상에는 전자 주입 전극이 형성된다. 발광층은 호스트 재료, 발광 도펀트 및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를 포함한다.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발광 재료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Luminance Material}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이하, "유기 EL 소자"라고 함)는 새로운 자기 발광형 소자로서 기대되고 있다. 유기 EL 소자는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캐리어 수송층 (전자 수송층 또는 홀 수송층) 및 발광층이 형성된 적층 구조를 갖고 있다.
홀 주입 전극으로서는 금 또는 ITO(인듐-주석 산화물)와 같은 일함수가 큰 전극 재료가 사용되며, 전자 주입 전극으로서는 Mg(마그네슘) 또는 Li(리튬)와 같은 일함수가 작은 전극 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홀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에는 유기 재료가 사용된다. 홀 수송층에는 p형 반도체의 성질을 갖는 재료가 사용되며, 전자 수송층에는 n형 반도체의 성질을 갖는 재료가 사용된다. 발광층도 전자 수송성 또는 홀 수송성과 같은 캐리어 수송성을 가짐과 동시에 형광 또는 인광을 발하는 유기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홀 주입 전극, 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 전극은상기 순서대로 적층되어 유기 EL 소자를 형성한다.
또한, 사용하는 유기 재료에 의해 홀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발광층의 각 기능층이 복수층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생략되거나 한다.
예를 들면, [Chihaya Adachi et al., Appl. Phys. Lett., Vol.55, pp. 1489-1491(1989)]에 개시된 소자 구조에서는,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의 2층의 유기층만 존재한다. 이것은 NSD라는 발광 재료에 의해 구성된 발광층이 양호한 홀 수송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발광층이 홀 수송층도 겸하기 때문이다.
또한, [C. W. Tang et al., Appl. Phys. Lett., Vol.51, pp.913-915(1987)]에 개시된 소자 구조는 홀 수송층 및 발광층의 2층의 유기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발광층의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리네이토)알루미늄 (이하, "Alq"라고 함)이 발광 및 전자 수송의 두가지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S. A. VanSlyke et al,, Appl. Phys. Lett., Vol.69, pp.2160-2162 (1996)]에 개시된 소자 구조는 홀 주입층, 홀 수송층 및 발광층의 3층의 유기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홀 주입층은 구리 프탈로시아닌으로 구성되어 홀 수송층과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며, 소자 전체에서는 홀 수송층이 2층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유기 재료에 의해 전자 수송층, 홀 수송층 및 발광층의 구성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는, 발광층을 구성하는 유기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청색에서 적색까지의 가시광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광의 3원색(RGB)인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각 단색광을 발하는 유기 EL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모든 컬러 (full color) 표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유기 EL 소자에 의해 얻어지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 중에서 안정한 광은 녹색광 및 청색광이다. 이에 대하여 적색 내지 오렌지색광에 있어서는, 고휘도로 발광 효율이 높은 광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 모든 컬러 디스플레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색순도가 양호하고, 발광 효율 및 휘도가 높은 적색 발광 유기 EL 소자가 필요하다.
일본 특허 공개 2000-164362호 공보에는, 하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Rubrene)을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적색의 색순도 향상이 확인되었지만, 발광 효율 및 휘도가 충분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발광 재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의 유기 EL 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유기 EL 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이하, "유기 EL 소자"라고 함)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 (100)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 (1) 상에 투명 전극막을 포함하는 홀 주입 전극(양극) (2)가 형성되어 있다. 홀 주입 전극 (2) 상에는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홀 주입층 (3),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홀 수송층 (4) 및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발광층 (5)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발광층 (5) 상에는 전자 주입 전극(음극) (6)이 형성되어 있다. 홀 수송층 (4)를 설치하는 대신에 발광층 (5)와 전자 주입 전극 (6) 사이에 전자 수송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발광층 (5)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1, 2 중 R11 내지 R15, R21 내지 R25, R31 내지 R35 및 R41 내지 R4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모두가 수소 원자인 경우를 제외하고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2개의 R11 내지 R15, 인접하는 2개의 R21 내지 R25, 인접하는 2개의 R31 내지 R35 및 인접하는 2개의 R41 내지 R4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인접하는 3개의 R11 내지 R15, 인접하는 3개의 R21 내지 R25, 인접하는 3개의 R31 내지 R35 및 인접하는 3개의 R41 내지 R4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화학식 2 중 R11 내지 R15 및 R21 내지 R2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2개의 R11 내지 R15 및 인접하는 2개의 R21 내지 R2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인접하는 3개의 R11 내지 R15 및 인접하는 3개의 R21 내지 R2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학식 1, 2 중의 R11 내지 R15, R21 내지 R25, R31 내지 R35 및R41 내지 R45는 -H, -CnH2n+1(n=1 내지 10), -OCnH2n+1(n=1 내지 10), -N(CnH2n+1)2(n=1 내지 10), -X (X=F, Cl, Br 또는 I), -CN 또는 하기 화학식 a1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단, 화학식 1 중의 모든 R11 내지 R15, R21 내지 R25, R31 내지 R35, R41 내지 R45가 -H인 경우는 제외한다. 여기서, 상기 화학식 a1 중의 Y는 예를 들면 O 또는 S이고, 상기 화학식 a1 중의 R'는 예를 들면 -H, -CnH2n+1(n=1 내지 10), -OCnH2n+1(n=1 내지 10), -N(CnH2n+1)2(n=1 내지 10), -X (X=F, Cl, Br 또는 I), -CN, 또는 페닐기이다.
또한, 화학식 1, 2 중의 인접하는 2개의 R11 내지 R15, 인접하는 2개의 R21 내지 R25, 인접하는 2개의 R31 내지 R35 및 인접하는 2개의 R41 내지 R45는 서로 결합하여 하기 화학식 a2로 표시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화학식 1, 2 중의 인접하는 3개의 R11 내지 R15, 인접하는 3개의 R21 내지 R25, 인접하는 3개의 R31 내지 R35 및 인접하는 3개의 R41 내지 R45는 서로 결합하여 하기 화학식 a3으로 표시되는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발광층 (5)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화학식 4>
화학식 3, 4 중 Ar1 내지 Ar10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3 중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3 중 인접하는 R1 및 R2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학식 3 중의 Ar1 내지 Ar6은 -H, -CnH2n+1(n=1 내지 10), -OCnH2n+1(n=1 내지 10), -N(CnH2n+1)2(n=1 내지 10), -X (X=F, Cl, Br 또는 I), -CN 또는 하기 화학식 a4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여기서, 상기 화학식 a4 중의 R은, 예를 들면 -H, -CnH2n+1(n=1 내지 10), -OCnH2n+1(n=1 내지 10), -N(CnH2n+1)2(n=1 내지 10), -X (X=F, Cl, Br 또는 I), -CN,페닐기, 또는 하기 화학식 a5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여기서, 상기 화학식 a5 중의 Y는 예를 들면 O 또는 S이고, 상기 화학식 a5 중의 R'는, 예를 들면 -H, -CnH2n+1(n=1 내지 10), -OCnH2n+1(n=1 내지 10), -N(CnH2n+1)2(n=1 내지 10), -X (X=F, Cl, Br 또는 I), -CN 또는 페닐기이다.
화학식 3 중 인접하는 R1 및 R2는 서로 결합하여 하기 화학식 a6으로 표시되는 환상 구조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예에서는 발광층 (5)는 호스트 재료, 발광 도펀트 및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를 포함하며, 제1 발광 보조 도펀트가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한다.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는 발광 도펀트로 여기 에너지를 건네주는 역할을 한다. 이 제1 발광 보조 도펀트가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함으로써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제2 예에서는 발광층 (5)는 호스트 재료, 발광 도펀트, 제1 발광 보조 도펀트 및 제2 발광 보조 도펀트를 포함하며, 제1 발광 보조 도펀트가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한다. 제2 발광 보조 도펀트는 발광층 내를 흐르는 캐리어의 균형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제2 발광 보조 도펀트를 더 첨가함으로써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제1 발광 보조 도펀트 및 제2 발광 보조 도펀트는 자체 발광하지 않는다.
제3의 예에서는 발광층 (5)는 호스트 재료 및 발광 도펀트를 포함하며, 발광 도펀트가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한다. 발광 도펀트가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함으로써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의 경우의 발광 도펀트의 함유량은 호스트 재료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5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상기의 유기 EL 소자 (100)에 있어서는, 홀 주입 전극 (2)와 전자 주입 전극 (6)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기 EL 소자 (100)의 발광층 (5)가 발광하고, 유리 기판 (1)의 뒷면에서 광이 출사된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각각 관용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이 금속 화합물(팔라듐 화합물 등)의 존재하에서, 이탈기(할로겐 원자 등)를 소정 부위에 구비하며 또한 인접하는 복수의 벤젠환이 오르토 축합된 것을 기재로 하는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류(나프타센, 펜타센, 벤즈[a]나프타센, 디벤즈[a,c]나프타센 등)와, 이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류의 치환기에 대응하는 화합물(R11 내지 R45를 갖는 벤젠 화합물, Ar1 내지 Ar10에 대응하는 화합물)을 커플링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반응은 또한 염기(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등) 존재하에서 행할 수도 있다. 반응은 통상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불활성 용매를 이용하여 온도 30 내지 120 ℃ 정도에서 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유기 EL 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 (100a)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 (1) 상에 투명 전극막을 포함하는 홀 주입 전극(양극) (2)가 형성되어 있다. 홀 주입 전극 (2) 상에는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홀 주입층 (3),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홀 수송층 (4),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제1 발광층 (5a), 제2 발광층 (5b) 및 전자 수송층 (7)이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자 수송층 (7) 상에는 전자 주입 전극(음극) (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발광층 (5a)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 또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 중 오렌지색 또는 황색 발광하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한다.
제2 발광층 (5b)는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한다. 제2 발광층 (5b)는 예를 들면, 호스트 재료로서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하고, 발광 도펀트로서 페릴렌 유도체를 포함한다.
안트라센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B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디안트랄릴안트라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트라센 유도체로서, 하기 화학식 B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디페닐안트라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페릴렌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B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페릴렌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유기 EL 소자 (100a)에 있어서는, 제1 발광층 (5a)가 오렌지색 또는 황색으로 발광하고, 제2 발광층 (5b)가 청색으로 발광한다. 그에 따라 오렌지색 또는 황색 및 청색과의 보색 관계에 의해 유기 EL 소자 (100a)가 백색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제1 발광층 (5a)에 오렌지색으로 발광하는 루브렌 유도체 (예를 들면 후술하는 화학식 C1 내지 C20으로 표시되는 루브렌 유도체 중 어느 하나)와 녹색으로 발광하는 루브렌 유도체 (예를 들면 후술하는 화학식 A4 내지 A7, A10 및 C21 내지 C27로 표시되는 루브렌 유도체 중 어느 하나)의 2종류의 발광 도펀트를 도핑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백색의 발광 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스펙트럼의 반값폭이 증가됨으로써 백색 순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휘도 및 높은 발광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유기 EL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휘도 및 높은 발광 효율을 얻을 수 있는 발광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식 중, R11 내지 R15, R21 내지 R25, R31 내지 R35 및 R41 내지 R4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모두가 수소 원자인 경우를 제외하고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2개의 R11 내지 R15, 인접하는 2개의 R21 내지 R25, 인접하는 2개의 R31 내지 R35 및 인접하는 2개의 R41 내지 R4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인접하는 3개의 R11 내지 R15, 인접하는 3개의 R21 내지 R25, 인접하는 3개의 R31 내지 R35 및 인접하는 3개의 R41 내지 R4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발광층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함으로써, 고휘도 및 높은 발광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식 중, R11 내지 R15 및 R21 내지 R2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2개의 R11 내지 R15 및 인접하는 2개의 R21 내지 R2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인접하는 3개의 R11 내지 R15 및 인접하는 3개의 R21 내지 R2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발광층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함으로써, 고휘도 및 높은 발광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식 중, Ar1 내지 Ar6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R1 및 R2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발광층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함으로써, 고휘도 및 높은 발광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식 중, Ar1 내지 Ar10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발광층이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함으로써, 고휘도 및 높은 발광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루브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A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5,6,11,12-테트라키스(나프스-2-일)-나프타센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발광층이 루브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루브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A2로 표시되는 5,12-비스(4-(6-메틸벤조티아졸 -2-일)페닐)-6,11-디페닐나프타센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발광층이 루브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루브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A3으로 표시되는 5,6,11,12-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나프타센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발광층이 루브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루브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A4로 표시되는 5,12-비스(4-tert-부틸페닐)-나프타센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발광층이 루브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루브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A5로 표시되는 5,12-디페닐나프타센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발광층이 루브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루브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A6으로 표시되는 5,12-비스(나프스-2-일)-나프타센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발광층이 루브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루브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A7로 표시되는 5,12-비스(피렌-1-일)-나프타센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발광층이 루브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루브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A8로 표시되는 5,6,13,14-6-테트라키스페닐-펜타센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발광층이 루브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루브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A9로 표시되는 6,13-비스(4-(6-메틸벤조티아졸 -2-일)페닐)-펜타센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발광층이 루브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루브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A10으로 표시되는 5,6,11,12-테트라키스페닐-1,2-벤조-(3,4-벤조-)나프타센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발광층이 루브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발광층은 호스트 재료, 발광 도펀트 및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를 포함하며, 제1 발광 보조 도펀트가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는 발광 도펀트로 여기 에너지를 건네주는 역할을 한다. 이 제1 발광 보조 도펀트가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함으로써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발광층은 제2 발광 보조 도펀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발광 보조 도펀트는 발광층 내를 흐르는 캐리어의 균형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제2 발광 보조 도펀트를 설치함으로써 휘도 및 발광 효율이 더 향상된다.
발광층은 호스트 재료 및 발광 도펀트를 포함하며, 발광 도펀트가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발광 도펀트가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함으로써 휘도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발광 도펀트의 함유량은 호스트 재료에 대하여 0.1 중량% 이상 50 중량%이하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발광 도펀트가 호스트가 아닌 도펀트로서 기능한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5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6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7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8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9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0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5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6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7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8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9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20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C1 내지 C20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발광 재료는 높은 휘도 및 발광 효율로 오렌지색 또는 황색으로 발광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발광층이 오렌지색 또는 황색으로 발광하고, 제2 발광층이 청색으로 발광한다. 그에 따라 오렌지색 또는 황색 및 청색과의 보색 관계에 의해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백색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층은 호스트 재료로서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하며, 발광 도펀트로서 페릴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2 발광층이 효율적으로 청색 발광할 수 있다.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 내지 C20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A4 내지 A7, A10 및 C21 내지 C27로 표시되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화학식 C1>
<화학식 C2>
<화학식 C3>
<화학식 C4>
<화학식 C5>
<화학식 C6>
<화학식 C7>
<화학식 C8>
<화학식 C9>
<화학식 C10>
<화학식 C11>
<화학식 C12>
<화학식 C13>
<화학식 C14>
<화학식 C15>
<화학식 C16>
<화학식 C17>
<화학식 C18>
<화학식 C19>
<화학식 C20>
<화학식 A4>
<화학식 A5>
<화학식 A6>
<화학식 A7>
<화학식 A10>
상기 화학식 C1 내지 C20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오렌지색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A4 내지 A7, A10 및 C21 내지 C27로 표시되는분자 구조를 갖는 발광 재료는 녹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광층이 오렌지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 및 녹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고, 제2 발광층이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함으로써, 높은 발광 효율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색순도가 높은 백색 발광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발광 재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식 중, R11 내지 R15, R21 내지 R25, R31 내지 R35 및 R41 내지 R4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모두가 수소 원자인 경우를 제외하고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2개의 R11 내지 R15, 인접하는 2개의 R21 내지 R25, 인접하는 2개의 R31 내지 R35 및 인접하는 2개의 R41 내지 R4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인접하는 3개의 R11 내지 R15, 인접하는 3개의 R21 내지 R25, 인접하는 3개의 R31 내지 R35 및 인접하는 3개의 R41 내지 R4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발광 재료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2>
식 중, R11 내지 R15 및 R21 내지 R2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2개의 R11 내지 R15 및 인접하는 2개의 R21 내지 R2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인접하는 3개의 R11 내지 R15 및 인접하는 3개의 R21 내지 R2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발광 재료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3>
식 중, Ar1 내지 Ar6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R1 및 R2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발광 재료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4>
식 중, Ar1 내지 Ar10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1) 우선, 실시예 1 내지 33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고, 이 소자의 발광 특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의 유기 EL 소자는 소자 구조 A를 가지며, 실시예 11 내지 22 및 비교예 2의 유기 EL 소자는 소자 구조 B를 갖고, 실시예 23 내지 28 및 비교예 3 내지 5의 유기 EL 소자는 소자 구조 C를 가지며, 실시예 29 내지 33의 유기 EL 소자는 소자 구조 D를 갖는다.
특히, 발광층의 재료로서 각각 하기 화학식 A1 내지 A10의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사용하였다.
5,6,11,12-테트라키스(나프스-2-일)-나프타센(이하, "TNN"이라고 함):
<화학식 A1>
5,12-비스(4-(6-메틸벤조티아졸-2-일)페닐)-6,11-디페닐나프타센 (이하, "DBzR"이라고 함):
<화학식 A2>
5,6,11,12-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나프타센 (이하, "TtBuPN"이라고 함):
<화학식 A3>
5,12-비스(4-tert-부틸페닐)-나프타센 (이하, "DtBuPN"이라고 함):
<화학식 A4>
5,12-디페닐나프타센 (이하, "DPN"이라고 함):
<화학식 A5>
5,12-비스(나프스-2-일)-나프타센 (이하, "DNN"이라고 함):
<화학식 A6>
5,12-비스(피렌-1-일)-나프타센 (이하, "DPyN"이라고 함):
<화학식 A7>
5,6,13,14-6-테트라키스페닐-펜타센 (이하, "TPhP"라고 함):
<화학식 A8>
6,13-비스(4-(6-메틸벤조티아졸-2-일)페닐)-펜타센 (이하, "DBzP"라고 함):
<화학식 A9>
5,6,11,12-테트라키스페닐-1,2-벤조-(3,4-벤조-)나프타센 (이하, "TPh-DBN"이라고 함):
<화학식 A10>
(A) 소자 구조 A
소자 구조 A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 상에 홀 주입 전극(양극), 홀 주입층, 홀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 전극(음극)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유기 EL 소자의 홀 주입 전극은 두께 1,000 Å의 인듐-주석 산화물 (ITO)을 포함한다. 또한, 홀 주입층은 500 Å의 두께를 가지며, 하기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4,4',4''-트리스(N-(2-나프틸)-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이하, "2TNATA"라고 함)을 포함한다.
또한, 홀 수송층은 150 Å의 두께를 가지며, 하기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이하, "NPB"라고 함)을 포함한다.
발광층은 500 Å의 두께를 가지며, 호스트 재료로서 하기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리네이토)알루미늄 (이하, "Alq"라고 함)을 포함하고, 적색 발광 도펀트로서 하기 화학식 25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2-(1,1-디메틸에틸)-6-(2-(2,3,6,7-테트라히드로-1,1,7,7-테트라메틸-1II, 5II-벤조[ij]퀴놀리딘-9-일)에테닐)-4H-피란-4-일리덴)프로판디니트릴 (이하, "DCJTB"라고 함)을 2 % 포함하며,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5 % 포함한다.
또한, 전자 주입 전극은 두께 2,000 Å의 MgIn 합금 (비율 10:1)을 포함한다.
실시예 1 내지 10에 있어서는,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DtBuPN, DPN, DNN, TNN, DBzR, DPyN, TtBuPN, DBzP, TPhP 및 TPh-DBN을 각각 사용하였다. 한편, 비교예 1에 있어서는,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루브렌을 사용하였다.
(B) 소자 구조 B
소자 구조 B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 상에 홀 주입 전극(양극), 홀 주입층, 홀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 전극(음극)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유기 EL 소자의 홀 주입 전극은 두께 1,000 Å의 인듐-주석 산화물(ITO)을 포함한다. 또한, 홀 주입층은 500 Å의 두께를 가지며, 2TNATA를 포함한다. 또한, 홀 수송층은 150 Å의 두께를 가지며 NPB를 포함한다.
발광층은 500 Å의 두께를 가지며 호스트 재료로서 Alq를 포함하고, 적색 발광 도펀트로서 DCJTB를 2 % 포함하며,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5 % 포함하고, 제2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하기 화학식 26의 분자 구조를 갖는 4,4'-비스(카르바졸-9-일)-비페닐(이하, "CBP"라고 함), 하기 화학식 27의 분자 구조를 갖는 N,N'-비스-(3-메틸페닐)-N,N'-비스-(페닐)-벤지딘 (이하, "TPD"라고 함) 또는 상기 NPB를 6 % 포함한다.
또한, 전자 주입 전극은 두께 2,000 Å의 MgIn 합금(비율 10:1)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내지 20에 있어서는,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DtBuPN, DPN, DNN, TNN, DBzR, DPyN, TtBuPN, DBzP, TPhP 및 TPh-DBN을 각각 사용하였다. 한편, 비교예에 있어서는,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루브렌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1에 있어서는,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DtBuPN을 사용하고, 제2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TPD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22에 있어서는, 제1 발광 도펀트로서 DPN을 사용하고, 제2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NPB를 사용하였다.
(C) 소자 구조 C
소자 구조 C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 상에 홀 주입 전극(양극), 홀 주입층, 홀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 전극(음극)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유기 EL 소자의 홀 주입 전극은 두께 1,000 Å의 인듐-주석 산화물(ITO)을 포함한다. 또한, 홀 주입층은 500 Å의 두께를 가지며 2TNATA를 포함한다. 또한, 홀 수송층은 150 Å의 두께를 가지며 NPB를 포함한다.
발광층은 500 Å의 두께를 가지며 호스트 재료로서 Alq를 포함하고, 발광 도펀트로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5 % 포함한다.
또한, 전자 주입 전극은 두께 2,000 Å의 MgIn 합금(비율 10:1)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내지 28에 있어서는, 발광 도펀트로서 DtBuPN, DPN, DNN, TNN, DBzR 및 DPyN을 각각 사용하였다. 한편, 비교예 3 내지 5에 있어서는, 발광 도펀트로서 하기 화학식 28의 분자 구조를 갖는 쿠마린 6 (또는 (3-(2-벤조티아졸릴)-7-(디에틸아미노)쿠마린), 루브렌 및 하기 화학식 29의 분자 구조를 갖는 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4-디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 (이하, "DCM"이라고 함)을 사용하였다.
(D) 소자 구조 D
소자 구조 D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 상에 홀 주입 전극(양극), 홀 주입층, 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 전극(음극)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유기 EL 소자의 홀 주입 전극은 두께 1,000 Å의 인듐-주석 산화물(ITO)을 포함한다. 또한, 홀 주입층은 500 Å의 두께를 가지며 2TNATA를 포함한다.
발광층은 150 Å의 두께를 가지며 호스트 재료로서 NPB를 포함하고, 발광 도펀트로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5 % 포함한다.
또한, 전자 수송층은 500 Å의 두께를 가지며 Alq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주입 전극은 두께 2,000 Å의 MgIn 합금(비율 10:1)을 포함한다.
실시예 29 내지 33에 있어서는, 발광 도펀트로서 DtBuPN, DPN, DNN, TNN 및 DBzR을 각각 사용하였다.
상기의 유기 EL 소자의 홀 주입 전극에 양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전자 주입 전극에 음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고, 이 소자의 발광 특성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의 유기 EL 소자의 발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모두 색순도가 높은 적색 발광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0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가 비교예 1의 유기 EL 소자보다도 높아졌다. 이에 따라,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로 사용하는 것이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2에 실시예 11 내지 20 및 비교예 2의 유기 EL 소자의 발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1 내지 20 및 비교예 2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모두 색순도가 높은 적색 발광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1 내지 20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제2 발광 보조 도펀트를 첨가함으로써,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가 실시예 1 내지 11의 유기 EL 소자보다도 높아졌다. 그에 따라, 제2 발광 보조 도펀트의 첨가가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1 내지 20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발광 효율이 비교예 2의 유기EL 소자보다도 높아졌다. 그에 따라,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로 사용하는 것이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3에 실시예 21, 22의 유기 EL 소자의 발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1, 22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모두 색순도가 높은 적색 발광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1, 22의 유기 EL 소자에서도 제2 발광 보조 도펀트를 첨가함으로써,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가 실시예 1 내지 11의 유기 EL 소자보다도 높아졌다. 그에 따라, 제2 발광 보조 도펀트의 첨가가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1, 22의 유기 EL 소자에서도 발광 효율이 비교예 2의 유기 EL 소자보다도 높아졌다. 이에 따라, 제2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TPD 또는 NPB를 사용한 경우에도 루브렌 유도체를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사용하는 것이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4에 실시예 23 내지 28 및 비교예 3 내지 5의 유기 EL 소자의 발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3 내지 28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발광 효율이 4.1 내지 9.0 cd/A가 되어 비교예 3 내지 5의 유기 EL 소자보다도 높아졌다. 이에 따라, 발광 도펀트로서 루브렌 유도체를 사용한 경우에도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5에 실시예 29 내지 33의 유기 EL 소자의 발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9 내지 33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발광 효율이 3.6 내지 12.5 cd/A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 홀 수송층 대신에 전자 수송층을 설치하고 또한 발광 도펀트로서 루브렌 유도체를 사용한 경우에도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33 및 비교예 1 내지 5로부터 발광층의 발광 도펀트 또는 제1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사용함으로써 발광 효율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이어서, 실시예 34 내지 108의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고, 이 소자의 발광 특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4 내지 40의 유기 EL 소자는 소자 구조 E를 가지며, 실시예 41 내지 67의 유기 EL 소자는 소자 구조 F를 갖고, 실시예 68 내지 94의 유기 EL 소자는 소자 구조 G를 가지며, 실시예 95 내지 108의 유기 EL 소자는 소자 구조 H를 갖는다.
실시예 34 내지 40에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브렌 유도체 중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루브렌 유도체 중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 또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루브렌 유도체 중 하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사용하였다.
상기 화학식 1a, 2a 및 4a에 있어서, Ar은 하기 화학식 a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상기 화학식 7a에 있어서, Y는 O 또는 S이고, R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이며, 예를 들면 -H, -CnH2n+1(n=1 내지 10), -OCnH2n+1(n=1 내지 10), -N(CnH2n+1)2(n=1 내지 10), -X (X=-F, -Cl, -Br 또는 -I), -CN, 페닐기, 나프틸기 등이다.
특히, 발광층의 재료로서 각각 하기 화학식 C1 내지 C27의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 1 내지 27을 사용하였다.
화합물 1:
<화학식 C1>
화합물 2:
<화학식 C2>
화합물 3:
<화학식 C3>
화합물 4:
<화학식 C4>
화합물 5:
<화학식 C5>
화합물 6:
<화학식 C6>
화합물 7:
<화학식 C7>
화합물 8:
<화학식 C8>
화합물 9:
<화학식 C9>
화합물 10:
<화학식 C10>
화합물 11:
<화학식 C11>
화합물 12:
<화학식 C12>
화합물 13:
<화학식 C13>
화합물 14:
<화학식 C14>
화합물 15:
<화학식 C15>
화합물 16:
<화학식 C16>
화합물 17:
<화학식 C17>
화합물 18:
<화학식 C18>
화합물 19:
<화학식 C19>
화합물 20:
<화학식 C20>
화합물 21:
<화학식 C21>
화합물 22:
<화학식 C22>
화합물 23:
<화학식 C23>
화합물 24:
<화학식 C24>
화합물 25:
<화학식 C25>
화합물 26:
<화학식 C26>
화합물 27:
<화학식 C27>
(E) 소자 구조 E
소자 구조 E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 상에 홀 주입 전극(양극), 홀 주입층, 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 전극(음극)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유기 EL 소자의 홀 주입 전극은 두께 1,000 Å의 인듐-주석 산화물(ITO)을 포함한다. 또한, 홀 주입층은 100 Å의 두께를 갖는다. 구리 프탈로시아닌 (이하, "CuPc"라고 함)을 포함한다.
또한, 홀 수송층은 500 Å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NPB를 포함한다.
발광층은 400 Å의 두께를 가지며, 호스트 재료로서 상기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Alq를 포함하고, 적색 발광 도펀트로서 상기 화학식 25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DCJTB를 2 % 포함하며,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5 % 포함한다.
실시예 34 내지 40에 있어서는,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상기 화학식 C1, C3, C7, C8, C16, C17 및 C18로 표시되는 화합물 1, 3, 7, 8, 16, 17 및 18을 각각 사용하였다.
전자 수송층은 두께 100 Å의 Alq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주입 전극은 두께 2,000 Å의 LiF/Al을 포함한다.
(F) 소자 구조 F
소자 구조 F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 상에 홀 주입 전극(양극), 홀 주입층,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 전극(음극)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유기 EL 소자의 홀 주입 전극은 두께 1,000 Å의 인듐-주석 산화물(ITO)을 포함한다. 또한, 홀 주입층은 100 Å의 두께를 갖는 CuPc를 포함한다.
또한, 홀 수송층은 500 Å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NPB를 포함한다.
발광층은 400 Å의 두께를 가지며, 호스트 재료로서 상기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Alq를 포함하고, 발광 도펀트로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5 % 포함한다.
실시예 41 내지 67에 있어서는, 발광 도펀트로서 상기 화학식 C1 내지 C27로 표시되는 화합물 1 내지 27을 각각 사용하였다.
전자 수송층은 두께 100 Å의 Alq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주입 전극은 두께 2,000 Å의 LiF/Al을 포함한다.
(G) 소자 구조 G
소자 구조 G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 상에 홀 주입 전극(양극), 홀 주입층, 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 전극(음극)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유기 EL 소자의 홀 주입 전극은 두께 1,000 Å의 인듐-주석 산화물(ITO)을 포함한다. 또한, 홀 주입층은 100 Å의 두께를 갖는 CuPc를 포함한다.
또한, 홀 수송층은 500 Å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NPB를 포함한다.
발광층은 400 Å의 두께를 가지며, 호스트 재료로서 상기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NPB를 포함하고, 발광 도펀트로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5 % 포함한다.
실시예 68 내지 94에 있어서는, 발광 도펀트로서 상기 화학식 C1 내지 C27로 표시되는 화합물 1 내지 27을 각각 사용하였다.
전자 수송층은 두께 100 Å의 Alq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주입 전극은 두께 2,000 Å의 LiF/Al을 포함한다.
(H) 소자 구조 H
소자 구조 H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 상에 홀 주입 전극(양극),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제1 발광층, 제2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 전극(음극)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유기 EL 소자의 홀 주입 전극은 두께 1,000 Å의 인듐-주석 산화물(ITO)을 포함한다. 또한, 홀 주입층은 100 Å의 두께를 갖는 CuPc를 포함한다.
또한, 홀 수송층은 400 Å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NPB를 포함한다.
제1 발광층은 100 Å의 두께를 가지며, 호스트 재료로서 상기 화학식 23으로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NPB를 포함하고, 발광 도펀트로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2 % (실시예 95 내지 104) 또는 8 % (실시예 105 내지 108) 포함한다.
실시예 95 내지 108에 있어서는, 제1 발광층의 발광 도펀트로서 상기 화학식 C1, C1, C3, C7, C8, C16, C17, C18, C19 및 C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 1, 3, 7, 8, 16, 17, 18, 19 및 20을 각각 사용하였다.
제2 발광층은 300 Å의 두께를 가지며, 호스트 재료로서 상기 화학식 B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디페닐안트라센을 포함하고, 발광 도펀트로서 상기 화학식 B3으로 표시되는 페닐렌을 2 % 포함한다.
실시예 105 내지 108에 있어서는, 백색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스펙트럼의 반값폭을 증가시킴으로써 백색 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발광층에 오렌지색으로 발광하는 루브렌 유도체와 녹색으로 발광하는 루브렌 유도체의 2종류의 발광 도펀트를 도핑하였다.
실시예 105에 있어서는, 제1 발광층의 발광 도펀트로서 상기 화학식 C1로 표시되는 화합물 1 및 상기 화학식 A4로 표시되는 DtBuPN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06에 있어서는, 제1 발광층의 발광 도펀트로서 상기 화학식 C1로 표시되는 화합물 1 및 상기 화학식 C24로 표시되는 화합물 24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07에 있어서는, 제1 발광층의 발광 도펀트로서 상기 화학식 C7로 표시되는 화합물 7 및 상기 화학식 C25로 표시되는 화합물 25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08에 있어서는, 제1 발광층의 발광 도펀트로서 상기 화학식 C9로 표시되는 화합물 9 및 상기 화학식 C2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6을 사용하였다.
전자 수송층은 두께 100 Å의 Alq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주입 전극은 두께 2,000 Å의 LiF/Al을 포함한다.
상기의 유기 EL 소자의 홀 주입 전극에 양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전자 주입 전극에 음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고, 이 소자의 발광 특성을 측정하였다.
표 6에 실시예 34 내지 40의 유기 EL 소자의 발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4 내지 40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모두 색순도가 높은 적색 발광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9 내지 40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가 높아졌다. 그에 따라,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발광 보조 도펀트로 사용하는 것이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7 및 표 8에 실시예 41 내지 67의 유기 EL 소자의 발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7 및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1 내지 60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오렌지색 내지 황색의 발광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61 내지 66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녹색 발광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67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적색 발광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41 내지 67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발광 효율 및최대 휘도가 높아졌다. 그에 따라, 호스트 재료로서 Alq를 사용한 경우,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발광 도펀트로 사용하는 것이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9 및 표 10에 실시예 68 내지 94의 유기 EL 소자의 발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9 및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68 내지 87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오렌지색 내지 황색의 발광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88 내지 93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녹색 발광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94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적색 발광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68 내지 94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가 높아졌다. 그에 따라, 호스트 재료로서 NPB를 사용한 경우, 루브렌 유도체를 발광 도펀트로서 사용하는 것이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11에 실시예 95 내지 108의 유기 EL 소자의 발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95 내지 108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백색 발광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95 내지 108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가 높아졌다. 그에 따라, 제1 발광층의 발광 도펀트로서 루브렌 유도체를 사용함으로써, 발광 효율 및 최대 휘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05 내지 108에 있어서는, 제1 발광층에 오렌지색으로 발광하는 루브렌 유도체와 녹색으로 발광하는 루브렌 유도체의 2종류의 발광 도펀트를 사용함으로써, 백색의 발광 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백색 순도가 향상되었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실시예 34 내지 108로부터 발광층의 발광 도펀트 또는 발광 보조 도펀트로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사용함으로써 발광 효율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3)

  1.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1>
    식 중, R11 내지 R15, R21 내지 R25, R31 내지 R35 및 R41 내지 R4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모두가 수소 원자인 경우를 제외하고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2개의 R11 내지 R15, 인접하는 2개의 R21 내지 R25, 인접하는 2개의 R31 내지 R35 및 인접하는 2개의 R41 내지 R4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인접하는 3개의 R11 내지 R15, 인접하는 3개의 R21 내지 R25, 인접하는 3개의 R31 내지 R35 및 인접하는 3개의 R41 내지 R4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2.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2>
    식 중, R11 내지 R15 및 R21 내지 R2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2개의 R11 내지 R15 및 인접하는 2개의 R21 내지 R2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인접하는 3개의 R11 내지 R15 및 인접하는 3개의 R21 내지 R2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3.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3>
    식 중, Ar1 내지 Ar6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R1 및 R2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4.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4>
    식 중, Ar1 내지 Ar10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A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5,6,11,12-테트라키스(나프스-2-일)-나프타센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A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A2로 표시되는 5,12-비스(4-(6-메틸벤조티아졸-2-일)페닐)-6,11-디페닐나프타센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A2>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A3으로 표시되는 5,6,11,12-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나프타센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A3>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A4로 표시되는 5,12-비스(4-tert-부틸페닐)-나프타센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A4>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A5로 표시되는 5,12-디페닐나프타센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A5>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A6으로 표시되는 5,12-비스(나프스-2-일)-나프타센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A6>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A7로 표시되는 5,12-비스(피렌-1-일)-나프타센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A7>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A8로 표시되는 5,6,13,14-6-테트라키스페닐-펜타센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A8>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A9로 표시되는 6,13-비스(4-(6-메틸벤조티아졸-2-일)페닐)-펜타센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A9>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루브렌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A10으로 표시되는 5,6,11,12-테트라키스페닐-1,2-벤조-(3,4-벤조-)나프타센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A10>
  15. 제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이 호스트 재료, 발광 도펀트 및 제1 발광 보조도펀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 보조 도펀트가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이 제2 발광 보조 도펀트를 더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이 호스트 재료 및 발광 도펀트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도펀트가 상기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도펀트의 함유량이 상기 호스트 재료에 대하여 0.1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9.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1>
  20.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2>
  21.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3>
  22.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4>
  23.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5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5>
  24.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6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6>
  25.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7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7>
  26.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8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8>
  27.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9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9>
  28.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0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10>
  29.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11>
  30.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12>
  31.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13>
  32.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14>
  33.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5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15>
  34.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6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16>
  35.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7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17>
  36.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8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18>
  37.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9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19>
  38.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20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20>
  39. 홀 주입 전극, 전자 주입 전극, 상기 홀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간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층은 하기 화학식 C1 내지 C20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A4 내지 A7, A10 및 C21 내지 C27로 표시되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과, 청색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C1>
    <화학식 C2>
    <화학식 C3>
    <화학식 C4>
    <화학식 C5>
    <화학식 C6>
    <화학식 C7>
    <화학식 C8>
    <화학식 C9>
    <화학식 C10>
    <화학식 C11>
    <화학식 C12>
    <화학식 C13>
    <화학식 C14>
    <화학식 C15>
    <화학식 C16>
    <화학식 C17>
    <화학식 C18>
    <화학식 C19>
    <화학식 C20>
    <화학식 A4>
    <화학식 A5>
    <화학식 A6>
    <화학식 A7>
    <화학식 A10>
    <화학식 C21>
    <화학식 C22>
    <화학식 C23>
    <화학식 C24>
    <화학식 C25>
    <화학식 C26>
    <화학식 C27>
  40.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발광 재료.
    <화학식 1>
    식 중, R11 내지 R15, R21 내지 R25, R31 내지 R35 및 R41 내지 R4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모두가 수소 원자인 경우를 제외하고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2개의 R11 내지 R15, 인접하는 2개의 R21 내지 R25, 인접하는 2개의 R31 내지 R35 및 인접하는 2개의 R41 내지 R4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인접하는 3개의 R11 내지 R15, 인접하는 3개의 R21 내지 R25, 인접하는 3개의 R31 내지 R35 및 인접하는 3개의 R41 내지 R4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41.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발광 재료.
    <화학식 2>
    식 중, R11 내지 R15 및 R21 내지 R2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2개의 R11 내지 R15 및 인접하는 2개의 R21 내지 R2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인접하는 3개의 R11 내지 R15 및 인접하는 3개의 R21 내지 R25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42.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발광 재료.
    <화학식 3>
    식 중, Ar1 내지 Ar6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R1 및 R2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43.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발광 재료.
    <화학식 4>
    식 중, Ar1 내지 Ar10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KR10-2003-7001676A 2001-06-06 2002-06-04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발광 재료 KR200300366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71664 2001-06-06
JP2001171664 2001-06-06
JP2002161323A JP4036682B2 (ja) 2001-06-06 2002-06-03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発光材料
JPJP-P-2002-00161323 2002-06-03
PCT/JP2002/005522 WO2002100977A1 (fr) 2001-06-06 2002-06-04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et materiau de lumin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669A true KR20030036669A (ko) 2003-05-09

Family

ID=2661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676A KR20030036669A (ko) 2001-06-06 2002-06-04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발광 재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98666B2 (ko)
EP (1) EP1405893A4 (ko)
JP (1) JP4036682B2 (ko)
KR (1) KR20030036669A (ko)
WO (1) WO200210097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493B1 (ko) * 2012-10-10 2014-12-03 (주)피엔에이치테크 새로운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US9136495B2 (en) 2010-05-14 2015-09-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O2022203245A1 (ko) * 2021-03-26 2022-09-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8616B2 (ja) * 2002-03-26 2008-11-26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機能性薄膜
KR101064077B1 (ko) * 2003-01-10 2011-09-08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질소-함유 헤테로환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소자
US7037601B2 (en) 2003-05-28 2006-05-02 Eastman Kodak Company White light-emitting device structures
WO2004107471A1 (en) * 2003-05-28 2004-12-09 Eastman Kodak Company White light-emitting device structures
TWI224473B (en) * 2003-06-03 2004-11-21 Chin-Hsin Chen Doped co-host emitter system i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6875524B2 (en) * 2003-08-20 2005-04-05 Eastman Kodak Company White light-emitting device with improved doping
US7087320B2 (en) * 2003-11-04 2006-08-08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ment for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7052785B2 (en) * 2003-11-04 2006-05-30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ment for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7208233B2 (en) * 2004-03-16 2007-04-24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ment for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7662485B2 (en) * 2004-03-16 2010-02-16 Eastman Kodak Company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ith improved performance
WO2005091684A1 (ja) * 2004-03-19 2005-09-29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947909B2 (ja) * 2004-03-25 2012-06-06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947276A (zh) 2004-04-27 2007-04-1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通过熔融技术制备有机半导体器件的方法
US7767316B2 (en) * 2004-09-20 2010-08-03 Global Oled Technology Ll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composition
US20060088730A1 (en) * 2004-10-25 2006-04-27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ith improved performance
KR20070019495A (ko) * 2005-08-12 2007-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8069120A (ja) * 2006-09-15 2008-03-27 Idemitsu Kosan Co Ltd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ら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484081B2 (ja) 2006-12-22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CN101200406B (zh) * 2007-02-02 2011-08-24 东莞宏威数码机械有限公司 一类红荧烯衍生物及其制备方法
JP2008270557A (ja) * 2007-04-20 2008-11-06 Idemitsu Kosan Co Ltd 有機el素子
JP2009001784A (ja) * 2007-05-18 2009-01-0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有機デバイス用材料および有機デバイス用材料を用いた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半導体装置
US8541111B2 (en) 2007-05-21 2013-09-24 Son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US20110042655A1 (en) * 2007-11-22 2011-02-24 Gracel Display Inc. Aromat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with high efficiency and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KR100901887B1 (ko) * 2008-03-14 2009-06-09 (주)그라쎌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발광소자
JP5611538B2 (ja) * 2008-05-16 2014-10-2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ベンゾオキサゾール誘導体、およびベンゾオキサゾール誘導体を用いた発光素子、発光装置、照明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10040735A (ja) 2008-08-05 2010-02-18 Sony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US8877356B2 (en) 2009-07-22 2014-11-04 Global Oled Technology Llc OLED device with stabilized yellow light-emitting layer
CN102731533B (zh) 2011-04-12 2016-08-1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噻二唑系化合物、发光元件用化合物、发光元件、发光装置、认证装置以及电子设备
JP5682429B2 (ja) * 2011-04-12 2015-03-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チアジアゾール系化合物、発光素子用化合物、発光素子、発光装置、認証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765034B2 (ja) 2011-04-18 2015-08-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チアジアゾール系化合物、発光素子用化合物、発光素子、発光装置、認証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20286251A1 (en) * 2011-05-09 2012-11-15 Soo-Jin Park Novel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30018547A (ko) 2011-08-09 2013-02-2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티아디아졸계 화합물, 발광 소자, 발광 장치, 인증 장치, 전자 기기
JP5790279B2 (ja) 2011-08-09 2015-10-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素子、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836771B2 (ja) 2011-11-24 2015-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新規有機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する有機発光素子
JP5970811B2 (ja) 2011-12-28 2016-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素子、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324952B2 (en) 2012-02-28 2016-04-26 Seiko Epson Corporation Thiadiazole, compound for light-emitting elements,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apparatus,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9722184B2 (en) 2012-10-18 2017-08-01 Seiko Epson Corporation Thiadiazole, compound for light-emitting elements,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apparatus,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06279148A (zh) * 2015-05-22 2017-01-04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提升oled器件高温、高电流密度表现的材料及其应用
WO2017175986A1 (en) * 2016-04-08 2017-10-12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70115940A (ko) * 2016-04-08 2017-10-18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06866348B (zh) * 2017-01-18 2018-12-18 中国科学院上海有机化学研究所 一种多环芳烃化合物、合成方法及用途
JP7325731B2 (ja) 2018-08-23 2023-08-15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14512617A (zh) * 2020-11-17 2022-05-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发光器件、显示装置和发光器件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6230B2 (ja) 1991-05-13 2001-08-06 三菱化学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H06228556A (ja) 1993-02-04 1994-08-16 Toyo Ink Mf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06228555A (ja) 1993-02-04 1994-08-16 Toyo Ink Mf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06330032A (ja) * 1993-05-18 1994-11-29 Mitsubishi Kasei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JP3332491B2 (ja) * 1993-08-27 2002-10-07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el素子
JPH1036832A (ja) * 1996-07-30 1998-02-10 Mitsubishi Chem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US5989737A (en) * 1997-02-27 1999-11-23 Xerox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JPH10289786A (ja) 1997-04-14 1998-10-27 Toyo Ink Mf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材料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3951425B2 (ja) 1998-03-24 2007-08-01 旭硝子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1999057220A1 (fr) * 1998-05-01 1999-11-11 Tdk Corporation Composes pour dispositifs el et dispositifs organiques el
JP3838814B2 (ja) 1998-05-01 2006-10-25 Tdk株式会社 有機el素子用化合物および有機el素子
JP3370011B2 (ja) 1998-05-19 2003-01-27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0028337A (ja) 1998-07-10 2000-01-28 Toshiba Mach Co Ltd 表面積算出方法
JP3753293B2 (ja) 1998-08-07 2006-03-0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6436558B1 (en) * 1998-08-07 2002-08-20 Fuji Photo Film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EP0982783A3 (en) * 1998-08-21 2000-11-08 TDK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king method
JP2000178548A (ja) 1998-12-16 2000-06-27 Toppan Printing Co Ltd 発光材料
JP3993333B2 (ja) * 1999-03-19 2007-10-17 Tdk株式会社 有機el素子
JP2001052870A (ja) * 1999-06-03 2001-02-23 Tdk Corp 有機el素子
JP2001102172A (ja) * 1999-09-30 2001-04-13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1131434A (ja) 1999-11-08 2001-05-15 Chemiprokasei Kaisha Ltd 光変性可能な発光性有機色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マルチカラー有機el素子
JP4255610B2 (ja) 1999-12-28 2009-04-15 出光興産株式会社 白色系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3978976B2 (ja) * 2000-04-17 2007-09-19 三菱化学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TW593622B (en) * 2000-05-19 2004-06-21 Eastman Kodak Co Method of using predoped materials for mak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P2002093581A (ja) * 2000-09-14 2002-03-29 Denso Corp 有機el素子
JP2002167578A (ja) 2000-09-25 2002-06-11 Toyo Ink Mf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材料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6495B2 (en) 2010-05-14 2015-09-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101468493B1 (ko) * 2012-10-10 2014-12-03 (주)피엔에이치테크 새로운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WO2022203245A1 (ko) * 2021-03-26 2022-09-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79381A1 (en) 2005-04-14
JP2003055652A (ja) 2003-02-26
WO2002100977A1 (fr) 2002-12-19
EP1405893A1 (en) 2004-04-07
US7598666B2 (en) 2009-10-06
EP1405893A4 (en) 2007-07-18
JP4036682B2 (ja)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6682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発光材料
KR100896376B1 (ko) 백색계 유기 전자발광 소자
JP3654909B2 (ja) 有機el素子
JP3835454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JP5355962B2 (ja) 発光素子、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50064237A1 (en) Organic EL devices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JP2008019238A (ja) 4−アミノフルオレン化合物及び有機発光素子
JP4364130B2 (ja) 有機el素子
JP5335284B2 (ja) 縮合多環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する有機発光素子
KR20020086950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발광 재료 및 유기 화합물
KR101026175B1 (ko) 플루오렌카바졸계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00003632A (ko) 신규의 바이페닐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EP2456617A1 (en) Oled device with stabilized yellow light-emitting layer
KR101098612B1 (ko)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JPWO2003002687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ィスプレイ
JP3969300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130051321A (ko) 신규한 3차 아릴 아민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JP2002050481A (ja) 発光素子
JP2008174647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3547945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8308449A (ja) 縮合環芳香族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2002289351A (ja) 発光素子
KR20070057506A (ko) 안트라센계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JP3598097B2 (ja) 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88748B2 (ja) 有機電界白色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