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664A -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6664A
KR20030036664A KR10-2003-7001533A KR20037001533A KR20030036664A KR 20030036664 A KR20030036664 A KR 20030036664A KR 20037001533 A KR20037001533 A KR 20037001533A KR 20030036664 A KR20030036664 A KR 20030036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spensions
magnetic circuit
suspens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8821B1 (ko
Inventor
가네다쇼이치
교노쓰네오
우에다미노루
Original Assignee
나미키 세이미쓰 하우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미키 세이미쓰 하우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미키 세이미쓰 하우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6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7Suspension between moving magnetic core and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한 쪽 폭을 좁게 형성한 대략 장방형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그 하우징의 좁은 폭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자기 회로부를 지지하는 주요부의 외주 에지로부터 연속하는 베이스를 설치하고, 주요부로부터 점차 이격되도록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암부를 설치한 서스펜션을 2개 구비하고, 2개의 서스펜션의 각 암부의 연장 방향을 동일 방향, 또는 교차하도록 위치시키고 각 서스펜션을 자기 회로부에 조립하고, 각 서스펜션의 암부의 돌출 단부 측을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부에 장착하고, 자기 회로부를 2개의 서스펜션으로 진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Description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VIBRATING ACTUATOR DEVICE}
일반적으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하우징(1)을 기틀로 하여, 보이스 코일(2)을 내면 측에 장착한 다이어프램(3)을 구비하고, 그 보이스 코일(2)의 리드선(2a)(2b)을 하우징(1)의 외부로 끌어내는 동시에, 다이어프램(3)을 하우징(1)의 개방단(1a)에 결합시켜 고정하고, 또한 보이스 코일(2)의 리드선(2a)(2b)을 하우징(1)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자대(1b)(1c)의 단자 피팅(fitting)(4a)(4b)과 납땜하여 고정하고, 그 단자 피팅(4a)(4b)을 통전 회로부의 급전 단자로 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통전 회로부에 대하여, 폴 피스(pole piece)(5)를 고정한 마그넷(6)과, 자기 갭(G)을 폴 피스(5)와의 사이에 가로막아 마그넷(6)을 폴 피스(5)와 일체로 유지하는 요크(7)를 구비하고, 이 요크(7)를 박판형의 서스펜션(8a, 8b)으로 지지시켜 하우징(1)의 내부에 조립시키는 동시에, 보이스 코일(2)을 폴 피스(5)와 요크(7)의 자기 갭(G)에 삽입 설치시켜 자기 회로부를 형성하고, 또한 복수의 방음공(放音孔)(9a, 9b,…)을 설치한 캡(9)을 하우징(1)의 개방단(1d)에 끼우는 것으로구성되어 있다.
그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의 구성 중, 자기 회로부를 지지하는 2개의 서스펜션(8a)(8b)으로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요크의 외주에 결합 고정되는 중앙의 내륜부(80)와, 내륜부(80)의 외주 회전 고정 간격 위치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암부(81∼83)를 구비하여 전체를 대략 원반형으로 형성한 것이 조립되어 있다.
그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로서는, 조립되는 기기 본체의 하우징 내에서의 장착 공간과의 관계로부터, 한 쪽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대략 장방형의 하우징을 구비하여 조립되는 것이 기종에 따라 요구된다. 이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조립하는 데 있어서, 상술한 서스펜션은 대략 원반형으로 외형이 크기 때문에 한 쪽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대략 장방형의 하우징에는 조립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주로 서스펜션의 형상 내지는 조립 구조에 착안하여, 한 쪽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대략 장방형의 하우징을 구비하더라도, 자기 회로부에 의한 양호한 진동 특성을 안정되게 유지하여 조립할 수 있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와 더불어,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안정되게 배선시켜 리드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립할 수 있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견고한 구조의 자기 회로부를 구비하고 양호한 진동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립할 수 있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폭을 넓히지 않고도 충격 내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조립할 수 있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에 더하여, 본 발명은 균등한 무게 중심을 유지하는 자기 회로부를 구비하여 양호한 진동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립할 수 있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동 발생 기능과 함께, 음성 발생, 부저음 발생 등의 음향 기능을 구비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의 내부 구조를 장변 측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단, 도 3의 A-D-D’선으로 나타냄).
도 2는 도 1의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단변 측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다이어프램 측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요크 측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구성하는 일례의 서스펜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나타내는 서스펜션과 상이한 예의 서스펜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서스펜션을 장착하는 시트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6의 서스펜션 장착에서 조립되는 스페이서편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형태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요크 측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구성하는 서스펜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이 액추에이터 장치의 자기 회로부를 구성하는 요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요크를 A-A 선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요크를 B-B 선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이 액추에이터 장치를 구성하는 서스펜션의 스페이서 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스페이서 링을 A-A 선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스페이서 링을 B-B 선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이 액추에이터 장치를 구성하는 서스펜션의 고정 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이 액추에이터 장치를 구성하는 단자 피팅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단자 피팅을 구비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기기 본체에 조립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의 내부 구조를 장변 측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요크 측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액추에이터 장치를 구성하는 더블 서스펜드 구조의 한쪽 스프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0의 액추에이터 장치를 구성하는 더블 서스펜드 구조의 다른 쪽 스프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요크의 변경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요크를 C-C 선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일반 예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8은 일반 예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조립되는 일례의 서스펜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주위 벽이 되는 하우징과, 자기 갭을 폴 피스와 요크 사이에 형성하고, 또한 폴 피스를 일체로 고정한 마그넷을 요크로 유지하여 이루어지는 자기 회로부와, 보이스 코일을 내면 측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하고, 2개의 대면하는 판 스프링형의 서스펜션에 의해 자기 회로부를 지지하고, 각 서스펜션을 하우징의 벽 내면으로부터 내측에 팽팽하게 설치하여 자기 회로부를 진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보이스 코일을 자기 갭에 삽입 설치하여 다이어프램을 하우징의 벽 단부면으로부터 내측에 팽팽하게 설치하고, 또한 보이스 코일을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에 의해 하우징의 벽 외면에 구비하는 단자 피팅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한 쪽 폭을 좁게 형성한 대략 장방형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그 하우징의 좁은 폭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자기 회로부를 지지하는 주요부의 외주 에지로부터 연속하는 베이스를 설치하고, 또한 주요부로부터 점차 이격되도록 베이스로부터 신장되는 2개의 암부를 설치한 서스펜션을 2개 구비하고, 2개의 서스펜션의 각 암부의 신장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위치시켜 각 서스펜션을 자기 회로부에 조립함과 동시에, 이 각 서스펜션의 암부의 돌출 단부 측을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부에 장착하고, 자기 회로부를 2개의 서스펜션으로 진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2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2개의 서스펜션의 각 암부의 신장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하고, 또한 베이스를 상대 위치시켜서 각 서스펜션을 자기 회로부에 조립함과 동시에, 각 서스펜션의 2개의 암부의 돌출 단부 측을 하우징의 좁은 폭이 상이한 모서리부 근처에 각각 장착시키고, 자기 회로부를 2개의 서스펜션으로 진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3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2개의 서스펜션의 각 암부의 신장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하고, 또한 각 서스펜션의 수직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2개의 서스펜션의 각 암부를 수직 방향 중심선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위치 어긋나게 하여 각 서스펜션을 자기 회로부에 조립함과 동시에, 2개의 서스펜션의 암부의 돌출 단부 측을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 내의 상이한 위치에 각각 장착하고, 자기 회로부를 2개의 서스펜션으로 진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4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진동 성능이 상이한 2개의 서스펜션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5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내주가 대략 장원형의 트랙 형상을 나타내도록 한 쪽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받아들이는 오목 홈을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 단부면에 설치하고, 다이어프램의 외주 에지로부터 인출되는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상기 오목 홈의 홈 내에 배선시켜 단자 피팅에 접속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6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폴 피스를 일체로 고정한 마그넷을 내측에 고정하는 평면 원형으로 단면이 오목형인 트레이(tray)부와, 트레이부의 개방단으로부터 내뻗는 외주 플랜지부로 형성된 요크를 구비하는 동시에, 원환형의 주요부와, 2개의 암부로 형성된 서스펜션을 2개 구비하고, 제1 서스펜션, 스페이서 링, 제2 서스펜션의 순서로 중첩하여 트레이부의 외주에 끼워 넣고, 또한 제2 서스펜션을 누르는 고정 링을 트레이부의 외주에 끼워 넣어, 요크의 외주 플랜지부와 고정 링으로부터 2개의 서스펜션을 일체로 조립하여 고정한 자기 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7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횡진(橫振) 규제용 스토퍼를 외주 둘레의 상대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스페이서 링과, 스토퍼의 돌출 기부와 대응되는 외주 에지를 직선형으로 절제한 요크, 서스펜션 및 고정 링을 조립하고, 스페이서 링의 스토퍼를 하우징의 긴 쪽 벽 내면에 설치한 오목부로 수납하여 자기 회로부를 하우징의 내부에 조립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8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서로 맞물리는 반원형의 노치 에지를 외주 에지에 설치한 요크, 스페이서 링을 구비하고, 요크, 스페이서 링을 각 부의 노치 에지에 결합하는 조립 지그의 지지 핀에 의해 위치 결정하고, 서스펜션 및 스페이서 링을 요크의 외주에 조립한 자기 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9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주위 벽이 되는 하우징과, 자기 갭을 폴 피스와 요크 사이에 형성하고, 또한 폴 피스를 일체로 고정한 마그넷을 요크로 유지하여 이루어지는 자기 회로부와, 보이스 코일을 내면 측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하고, 2개의 대면하는 판 스프링형의 서스펜션에 의해 자기 회로부를 지지하고, 각 서스펜션을 하우징의 벽 내면으로부터 내측에 팽팽하게 설치하여 자기 회로부를 진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보이스 코일을 자기 갭에 삽입 설치하여 다이어프램을 하우징의 벽 단부면으로부터 내측에 팽팽하게 설치하고, 또한 보이스 코일을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에 의해 하우징의 벽 외면에 구비하는 단자 피팅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한 쪽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그 하우징의 좁은 폭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자기 회로부를 지지하는 주요부의 외주 에지로부터 연속하는 베이스를 대칭 위치로 설정하고, 주요부의 상반하는 방향의 외측 둘레에 연장되는 2개의 암부를 설치한 서스펜션을 2개 구비하고, 하우징의 좁은 폭의 동일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암부가 서로 교차하는 반대 방향으로 대면시켜 각 서스펜션을 자기 회로부에 조립하는 동시에, 각 서스펜션을 암부의 돌출 단부로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 내면에 장착하여 자기 회로부를 진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0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내주가 대략 장원형의 트랙 형상을 나타내도록 한 쪽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받아들이는 오목 홈을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 단부면에 설치하고, 다이어프램의 외주 에지로부터 인출되는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상기 오목 홈의 홈 내에 배선시켜 단자 피팅에 접속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1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진동 성능이 상이한 2개의 서스펜션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2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폴 피스를 포함하는 마그넷을 내측에 고정하는 평면 원형으로 단면이 오목형인 트레이부와, 트레이부의 개방단으로부터 내뻗는 외주 플랜지부로 형성되는 요크를 구비하는 동시에, 원환형의 주요부와, 2개의 암부로 형성되는 서스펜션을 2개 구비하고, 제1 서스펜션, 스페이서 링, 제2 서스펜션의 순서로 중첩하여 트레이부의 외주에 끼워 넣고, 또한 제2 서스펜션을 누르는 고정 링을 트레이부의 외주에 끼워 넣어, 요크의 외주 플랜지부와 고정 링으로부터 2개의 서스펜션을 일체로 조립하여 고정한 자기 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3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횡진 규제용 스토퍼를 외주 둘레의 상대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스페이서 링과, 스토퍼의 돌출 기부와 대응되는 외주 에지를 직선형으로 절제한 요크, 서스펜션 및 고정 링을 조립하고, 스페이서 링의 스토퍼를 하우징의 장변 측 벽 내면에 설치한 오목부에서 수납하여 자기 회로부를 하우징의 내부에 조립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4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서로 맞물리는 반원형의 노치 에지를 외주 에지에 설치한 요크, 서스펜션 및 스페이서 링을 구비하고, 요크, 서스펜션 및 스페이서 링을 각 부의 노치 에지에 결합하는 조립 지그의 지지 핀으로 위치 결정하고, 서스펜션 및 스페이서 링을 요크의 외주에 조립한 자기 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
이하, 도 1∼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는, 보이스 코일에 발생하는 힘의 반력에 의해 자기 회로부를 진폭시키는 플로팅(floating) 방식으로, 자기 회로부의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는 진동 신호를 보이스 코일에 인가함으로써 자기 회로부를 130∼140Hz의 주파수 신호로 크게 진동시켜 바이브레이터 기능을 발휘하는 동시에, 800Hz∼4KHz의 주파수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다이어프램만을 진동시켜 확성·호출음 또는 수화음을 재생하는 동전기(electrokinetic)형의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는 휴대전화 등의 기기 본체에 조립하여 장비하는데, 누설 자속이 적은 캡의 장착 측을 하우징의 외측으로 향하고, 누설 자속이 많은 다이어프램의 장착 측을 회로 기판의 판면(板面)으로 향하여, 기기 내에 조립하여 장비하도록 역방향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단자 피팅과 전기적으로 접속 고정하는 땜납이 단자 피팅을 회로 기판의 급전 랜드와 접촉시키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다이어프램의 장착 측으로부터 캡의 장착 측에 배선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기본 형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위 벽이 되는 하우징(10)을 기틀로 하여, 자기 갭(G)을 폴 피스(11)와의 사이에 유지하는 동시에, 폴 피스(11)를 일체로 고정한 마그넷(12)을 요크(13)로 유지시켜 조립한 자기 회로부 E와, 보이스 코일(14)을 내면 측에 장착한 다이어프램(15)을 구비하고, 자기 회로부 E를 2개의 서스펜션(16a, 16b)에 의한 더블 서스펜드 구조로 지지하는 동시에, 각 서스펜션(16a, 16b)을 하우징(10)의 벽 내면으로부터 내측에 팽팽하게 설치하여 자기 회로부 E를 진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보이스 코일(14)을 자기 갭(G)에 삽입 설치하여 다이어프램(15)을 하우징(10)의 벽 단부면으로부터 내측에 팽팽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보이스 코일(14)을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14a)(14b)에 의해 하우징(10)의 벽 외면에 구비된 단자 피팅(17a)(17b)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복수의 구멍을 판면 내에 점재(點在)시켜 설치한 캡(18)을 하우징(10)의 개방단에 끼우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으로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쪽을 진동전달 효율의 관계로부터 통상대로 넓은 폭(이하, 「장변 측(X 방향)」이라고 함)으로 유지하고, 다른 쪽을 장착 공간의 관계로부터 상대적으로 좁은 폭(이하, 「단변 측(Y 방향)」이라고 한함)으로 형성된 대략 장방형을 나타내고, 내주가 대략 타원형의 트랙(track)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 하우징(10)에는 단자 피팅(17a, 17b)을 장착하는 단자대(100a, 100b)가 중앙의 슬릿(100c)에서 +, -극용으로 구분되어 벽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0)에는 보이스 코일(14)의 리드선(14a, 14b)을 배선하는 오목 홈(10a, 10b)이 좁은 폭 측의 벽 단부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 홈(10a, 10b)은 하우징(10)의 내주 에지로부터 단자대(100a, 100b)의 슬릿(100c)까지 연속하도록 원호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후술하는 횡진 방지용으로서 스페이서 링에 설치되는 돌출형의 스토퍼를 받아들이는 오목부(10c, 10d)가 장변 측(X 방향)의 벽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밖에, 하우징(10)의 좁은 폭 측 영역 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장착용 시트부가 벽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다이어프램(15)이 장착되는 측에는 외주 에지를 끼워 맞추는 스텝부(10e)(도 1참조)가 벽 단부면의 내측 에지 주위에 설치되는 한편, 캡(18)이 끼워지는 측에는 세워진 에지를 끼워 맞추는 스텝부(10f)(도 1참조)가 벽 단부면의 외측 에지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자기 회로부 E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 링(19) 및 고정 링(20)을 구비하고 요크(13)의 외주에 끼워 넣은2개의 서스펜션에 의한 더블 서스펜드 구조로 지지되어 있다. 이 더블 서스펜드 구조로서는 도 4,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내는 서스펜션(16a, 16b)과, 도 9, 도 10에서 나타내는 서스펜션(16a', 16b')의 별도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각 서스펜션(16a, 16b, 16a', 16b')(이하, 공통의 구성부는 동일 부호가 부여됨)은 공통의 구성으로서 하우징(10)의 단변 측(Y 방향)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자기 회로부 E를 지지하는 원환형의 주요부(160, 160')의 외주 에지로부터 연속하는 베이스(161a, 161b, 161a', 161b')를 대칭 위치에 갖고, 주요부(160, 160')로부터 점차 이격되도록 베이스(161a, 161b, 161a', 161b')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암부(162a, 162b, 162a', 162b')를 설치하고, 그 암부(162a, 162b, 162a', 162b')의 돌출 단부(163a, 163b, 163a', 163b')를 하우징(10)의 벽 내면에 장착하는 고정단으로서 판 스프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스펜션(16a, 16b)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상호의 각 암부(162a, 162b)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각 베이스(161a, 161b)를 상대 위치시켜 자기 회로부 E에 장착되고, 그 각 서스펜션(16a, 16b)과 대응하는 암부(162a, 162b)를 돌출 단부(163a, 163b)에서 하우징(10)의 좁은 폭의 상이한 모서리부 근처에 장착되도록 조합된다. 단, 서스펜션(16a, 16b)으로서는, 암부(162a, 162b)의 돌출 단부(163a, 163b)는 역방향으로 향하는 것(도 5 참조)과, 동일 방향으로 향하는 것(도 6 참조)이 조립된다.
그 중, 도 5에서 나타내는 서스펜션(16a, 16b)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2단의 단차(101a, 101b)를 가지는 시트부(101)(102)를 하우징(10)의 좁은 폭의 상이한 모서리부 근처에 설치하고, 각 암부(162a, 162b)의 동일 측에서 상이해지는쪽으로 향하는 돌출 단부(163a, 163b)를 각 단차(101a, 101b)에 접착 고정함으로써 장착된다.
도 6에서 나타내는 서스펜션(16a, 16b)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핀(103a, 103b)을 스페이서 블록(103c)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시킨 스페이서편(103)을 구비하고, 각 고정 핀(103a, 103b)을 각 암부(162a, 162b)의 동일 측에 위치하는 돌출 단부(163a, 163b)에 설치한 고정 구멍(164a, 164b)에 끼워 넣어 스페이서 블록(103c)을 돌출 단부(163a, 163b)의 사이에 개재하고, 스페이서편(103)을 하우징(10)의 좁은 폭의 상이한 모서리부 근처에 설치되는 시트부(도시하지 않음)에 끼워맞춤으로써 장착된다.
서스펜션(16a', 16b')은 도 9 및 도 1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암부(162a', 162b')의 신장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하는 동시에, 각 서스펜션(16a', 16b')의 수직 방향 중심선 Z를 기준으로, 각 암부(162a', 162b')를 수직 방향 중심선 Z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위치 어긋나게 하여 자기 회로부에 조립하고, 각 암부(162a', 162b')의 돌출 단부(163a', 163b')를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 내의 상이한 위치에 각각 장착되도록 조립된다.
서스펜션(16a', 16b')은 고정 구멍(164a', 164b')을 각 암부(162a', 162b')의 돌출 단부(163a', 163b')에 설치하고, 각 암부(162a', 162b')’의 돌출 단부(163a', 163b')를 깊이가 상이한 하우징(10)의 벽 내면에 설치한 깊이가 상이한 시트부(104a, 104b, 104c, 104d)에 끼워 넣음과 동시에, 시트부(104a, 104b, 104c, 104d)의 저부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고정 핀(105a, 105b, 105c, 105d)을고정 구멍(164a', 164b')에 끼워 핀 고정함으로써 하우징(10)의 좁은 폭의 벽 내의 상이한 위치에 장착된다.
각 서스펜션(16a, 16b, 16a', 16b')으로는, 자기 회로부 E의 진동에 의한 에너지가 암부 상호(162a, 162a, 162b, 162b, 162a', 162a', 162b', 162b')에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진동 성능이 상이한 것을 구비하면 된다. 이 서스펜션(16a, 16b, 16a', 16b')은 각각 한 쪽의 서스펜션(16a) 또는 (16a')의 각 암부(162a, 162b) 또는 (162a', 162b')가 각 돌출 단부(163a, 163b) 또는 (163a', 163b')에 의해 고착(固着) 고정되는데 비하여, 다른 쪽의 서스펜션(16b) 또는 (16b')의 암부(162a, 162b) 또는 (162a', 162b')는 돌출 단부(163a, 163b) 또는 (163a', 163b')에 의해 연착(軟着) 고정된다.
그밖에, 금속제의 서스펜션을 한 쪽에 구비하는 동시에, 수지나 종이 재질을 기재로 하는 서스펜션을 다른 쪽에 구비하고, 또는 동일 재질이더라도 서스펜션 상호 내지는 암부 상호의 두께나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으로도 진동 성능이 상이한 2개의 서스펜션이 구비된다.
자기 회로부 E 의 베이스로 되는 요크(13)는 도 11∼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반형의 폴 피스(11)를 포함하는 마그넷(12)을 내측에 고정하는 평면 원형으로 단면이 오목형인 트레이부(130)와, 트레이부(130)의 개방단으로부터 내뻗는 외주 플랜지부(131)로 형성되어 있다. 이 요크(13)에는 스페이서 링(19)에 설치되는 스토퍼(191a, 191b)의 돌출 기부와 상응시켜 외주 에지를 절제함과 동시에, 선단 측을 경사지게 챔퍼링(chamfering)한 직선 에지(132a, 132b)가 설치되어 있다. 또,자기 회로부의 조립 시에 조립 지그의 지지 핀에 의해 위치 결정하는 반원형의 노치 에지(133a, 133b)가 돌출부(134a, 134b)의 면내에 설치되어 있다.
서스펜션(16a, 16b)의 사이에 끼워 넣은 스페이서 링(19)은 도 14∼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링 기부(190)를 구비하고, 횡진 규제용 스토퍼(191a, 191b)를 링 기부(190)의 외주 둘레로부터 하우징의 장변 측(X 방향)과 대면하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191a, 191b)는 한 쪽의 서스펜션을 고정할 수 있는 스텝부(192a, 192b)로서 서스펜션의 두께에 대응되는 돌출부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자기 회로부의 조립 시에 조립 지그의 지지 핀에 의해 위치 결정하는 반원형의 노치 에지(193a, 193b)가 하우징의 단변 측(Y 방향)을 향하는 돌출부(194a, 194b)의 면내에 설치되어 있다.
서스펜션(16b)의 고정 링(20)은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 링에 설치한 스토퍼의 돌출 기부와 상응시켜 외주 에지를 절제한 직선 에지(200a, 200b)를 가지는 이외는 대략 O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링(20)에도, 다른 구성부와 같이 자기 회로부의 조립 시에 조립 지그의 지지 핀에 의해 위치 결정하는 반원형의 노치 에지를 돌출부의 면내에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구성 각 부를 구비하고서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요크(13)의 외주 플랜지부(131)에 맞닿는 서스펜션(16a)을 제1로 하고, 스페이서 링(19), 제2 서스펜션(16b)의 순서로 중첩하여 트레이부(130)의 외주에 끼워 넣고, 또한 제2 서스펜션(16b)을 누르는 고정 링(20)을 트레이부(130)의 외주에 끼워 넣어, 요크(13)의 외주 플랜지부(131)와 고정 링(20)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서스펜션을 일체로 조립하여 고정함으로써 자기 회로부 E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제1 서스펜션(16a), 스페이서 링(19), 제2 서스펜션(16b)의 순서로 중첩하여 요크(13)의 트레이부(130)에 끼워 넣을 때는 조립 지그의 지지 핀(도시하지 않음)을 각 구성부에 설치한 반원형의 노치 에지(133a, 133b, 193a, 193b)에 결합시켜 위치 결정한다. 이에 따라, 구성 각 부가 비원형의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전체의 무게 중심을 균등하게 유지하도록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자기 회로부 E를 하우징(10)의 내부에 조립하는데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 링(19) 및 고정 링(20)을 구비하여 요크(13)의 외주에 끼워 넣은 2개의 서스펜션(16a, 16b)에 의한 더블 서스펜드 구조에 의해 자기 회로부 E를 지지함으로써 암부(162a, 162b)의 돌출 단부(163a, 163b)에서 하우징(10)의 단변 측(Y 방향)의 벽 내에 장착된다.
자기 회로부 E의 조립 상태에서 스페이서 링(19)의 스토퍼(191a, 191b)는 간극을 유지하여 하우징(10)의 장변 측(X 방향)의 벽 내면에 설치된 오목부(10c, 10d)의 내측에 수용된다. 이 스토퍼(191a, 191b)는 직선 에지(132a, 132b, 200a, 200b)를 돌출 기부에 대응시켜 요크(13), 고정 링(2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10c, 10d)의 내측에서 소정대로 조립된다.
요크(13)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되고, 돌출면(13a) 및 (13b)에 상기 서스펜션(16a, 16b)을 레이저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요크(13)를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상기 서스펜션(16a, 16b)을 고정할 때에, 상기 스페이서 링(19) 및 고정 링(20)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부품 수를 적게 하여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보이스 코일(14)의 리드선(14a, 14b)은 하우징(10)의 내주 에지로부터 단변 측(Y 방향)의 벽 단부면에서 단자대(100a, 100b)의 슬릿(100c)까지 연속시켜 원호형으로 설치한 오목 홈(10a, 10b)의 홈 내를 따라 배선함으로써, 단선이나 절연 피막의 박리 등이 생기지 않도록 안정되게 배선할 수 있다. 이밖에, 다이어프램(15) 및 캡(18)은 통상대로 조립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자기 회로부 E가 하우징(10)의 단변 측(Y 방향)의 동일 영역 내에 위치하는 2개의 암부(162a, 162b)에 의해 하우징(10)의 벽 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한 쪽을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한 대략 장방형의 하우징(10)이어도 자기 회로부 E가 조립된다.
이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역방향 장착용으로서 회로 기판의 급전 랜드와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접점부를 다이어프램(15)의 장착 측에 설치하고, 보이스 코일(14)의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평판부를 캡(18)의 장착 측에 설치한 단자 피팅(17a)(17b)을 구비하고 있다. 또,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되는 보이스 코일(14)의 리드선(14a)(14b)을 다이어프램(3)의 장착 측으로부터 캡(9)의 장착 측에 배선하고, 단자 피팅(17a)(17b)의 평판부와 +, -극으로 구분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자 피팅(17a)(17b)으로는 인청동, 티탄 구리 등의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박판제의 것으로,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C자형의 삽입 판부(170)를 중앙에 배치하고, 이 삽입 판부(170)의 말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여 위쪽으로 솟은 판부(171)를 통하여 서로 평행하도록 절곡된 리드선 접속용 평판부(172)와, 삽입 판부(170)의 다른 말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판 스프링부(173)로부터 위쪽으로 만곡되는 급전 랜드 접속용 접점부(174)를 절곡하여 형성한 것을 구비하고 있다.
이 단자 피팅(17a)(17b)에서는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부(174)를 회로 기판 P의 급전 랜드(r1)(r2)와 압접시킴으로써, 접점부(174)를 스프링 변위할 수 있어서 전기적 접촉을 확실하게 얻는다.
<제2 실시예>
도 20∼도 24, 및 도 2, 도 3, 도 11∼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에 제2 실시예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를 설명한다. 또, 제2 실시예의 설명은 상기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만으로 하여,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 구성 부품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기재는 생략, 또는 간략하게 기술한다.
제2 실시예의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와, 상기 제1 실시예의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 상이한 점은 하우징의 구조와 더블 서스펜드 구조이다.
제2 실시예의 하우징(21)은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좁은 폭 측 영역 내에 위치하는 4개의 모서리(각 부 공통의 부호로 나타냄)에서스펜션 장착용 시트부(21e, 21f, 21g, 21h)가 고정 핀(21i, 21j, 21k, 21l)을 저부 중앙에 돌출되게 함으로써 깊이를 다르게 하여(도 20 참조) 벽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다이어프램(15)이 장착되는 쪽에는 외주 에지를 끼워 맞추는 스텝부(21m)가 벽 단부면에 설치되는 한편, 캡(18)이 끼워지는 쪽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에지를 끼워 맞추는 스텝부(21n)가 벽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서스펜션(22a, 22b)은 도 21과 함께, 도 23 및 도 2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단변 측(Y 방향)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자기 회로부 E를 지지하는 원환형의 주요부(220, 220')의 외주 에지로부터 연속하는 베이스(221a, 221b, 221a', 221b')를 대칭 위치로 설정하고, 주요부(220, 220')의 반대 방향의 외주 둘레에 연장되는 2개의 암부(222a, 222b, 222a', 222b')를 설치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서스펜션(22a, 22b)은 상술한 시트부(21e, 21f, 21g, 21h)의 고정 핀(21i, 21j, 21k, 21l)과 구멍(223a, 223b, 223a', 223b')을 암의 돌출 단부(224a, 224b, 224a', 224b')에 설치함으로써 하우징(21)의 단변 측(Y 방향)의 벽 내면에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밖에, 각 서스펜션(22a)(22b)에는 스페이서 링에 설치되는 스토퍼의 돌출 기부와 상응시켜 외주 에지를 절제한 직선 에지(225a, 225b, 225a', 225b')와, 자기 회로부의 조립 시에 조립 지그의 지지 핀에 의해 위치 결정하는 반원형의 노치 에지(226a, 226b, 226a', 226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직선 에지(225a, 225b, 225a', 225b')는 하우징의 장변 측(X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노치 에지(226a, 226b, 226a', 226b')는 하우징의 단변 측(Y 방향)을 향하는 돌기부(227a, 227b, 227a', 227b')의 면내에 설치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요크(13)의 외주 플랜지부(131)에 맞닿는 서스펜션(22a)을 제1로 하고, 스페이서 링(19), 제2 서스펜션(22b)의 순서로 중첩하여 트레이부(130)의 외주에 끼워 넣고, 또한 제2 서스펜션(22b)을 누르는 고정 링(20)을 트레이부(130)의 외주에 끼워 넣어, 요크(13)의 외주 플랜지부(131)와 고정 링(20)으로부터 2개의 서스펜션을 일체로 조립하여 고정함으로써 자기 회로부 E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자기 회로부 E를 조립할 때, 서스펜션(22a, 22b)은 도 2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좁은 폭의 동일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암부 상호(222a, 222a', 222b, 222b')가 서로 교차하는 반대 방향으로 대면시킴으로써 요크(13)에 설치된 트레이부(130)의 외주에 끼워 넣는다.
제1 서스펜션(22a), 스페이서 링(19), 제2 서스펜션(22b)의 순서로 중첩하여 요크(13)의 트레이부(130)에 끼워 넣을 때는 조립 지그의 지지 핀(도시하지 않음)을 각 구성부에 설치한 반원형의 노치 에지(226a, 226b, 193a, 193b)(도 14참조), (226a', 226b')에 결합하여 위치 결정한다. 이에 따라, 구성 각 부가 비원형의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전체의 무게 중심을 균등하게 유지하도록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자기 회로부 E를 하우징(21)의 내부에 조립하는 데는 서스펜션(22a, 22b)의 구멍(223a, 223b, 223a', 223b')을 시트부(21e, 21f, 21g, 21h)의 고정 핀(21i,21j, 21k, 21l)과 끼워맞춤으로써 암 돌출 단부(224a, 224b, 224a, 224b')에 의해 하우징(21)의 단변 측(Y 방향)의 벽 내면에 장착된다.
자기 회로부 E의 진동에 의한 에너지가, 서로 교차하는 암부 상호(222a, 222a', 222b, 222b')에 의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진동 성능이 상이한2개의 서스펜션(22a, 22b)을 구비하면 된다. 이 서스펜션(22a, 22b)에서는 한 쪽의 암부(222a, 222b)를 암의 돌출 단부(224a, 224b)로 고착 고정하는데 반하여, 다른 쪽의 암부(222a', 222b')를 암의 돌출 단부(224a', 224b')로 연착 고정한다.
자기 회로부 E의 조립 상태에서, 스페이서 링(19)의 스토퍼(191a, 191b)는 간극을 유지하여 하우징(21)의 장변 측(X 방향)의 벽 내면에 설치된 오목부(10c, 10d)의 내측에 수용된다. 이 스토퍼(191a, 191b)는 직선 에지(132a, 132b)(도 11참조), (225a, 225b, 225a', 225b')(도 23, 도 24참조), (200a, 200b)(도 17참조)가 돌출 기부에 대응되어 요크(13), 서스펜션(22a, 22b), 고정 링(2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10c, 10d)의 내측에서 소정대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자기 회로부 E가 하우징(21)의 단변 측(Y 방향)의 동일 영역 내에 위치하는 2개의 암부(222a, 222a', 222b, 222b')에 의해 하우징(21)의 벽 내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한 쪽을 상대적으로 짧은 폭으로 형성한 대략 장방형의 하우징(21)이어도 자기 회로부 E를 조립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우징(21)의 단변 측(Y 방향)의 동일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암부 상호(222a, 222a', 222b, 222b')가 서로 교차하는 역방향으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 회로부 E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크게 진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항∼제3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따르면, 한 쪽 폭을 좁게 형성한 대략 장방형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그 하우징의 좁은 폭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자기 회로부를 지지하는 주요부의 외주 에지로부터 연속하는 베이스를 설치하고, 또한, 주요부로부터 점차 이격되도록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암부를 설치한 서스펜션을 2개 구비하고, 2개의 서스펜션의 각 암부의 연장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위치시켜 각 서스펜션을 자기 회로부에 조립시키는 동시에, 이 각 서스펜션의 암부의 돌출 단부 측을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부에 장착하고, 자기 회로부를 2개의 서스펜션으로 진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한 쪽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대략 장방형의 하우징을 구비하여도, 자기 회로부에 의한 양호한 진동 특성을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따르면, 진동 성능이 상이한 2개의 서스펜션을 구비함으로써, 자기 회로부의 진동에 의한 에너지가 암부 상호에 의해 손실되지 않도록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따르면, 내주가 대략 장원형의 트랙 형상을 나타내도록 한 쪽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수용하는 오목 홈을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 단부면에 설치하고, 다이어프램의 주위 에지로부터 인출되는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상기오목 홈의 홈 내에 배선시켜 단자 피팅에 접속함으로써, 리드선의 단선이나 절연 피막의 박리 등이 생기지 않도록 안정되게 배선시켜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따르면, 요크의 외주 플랜지부와 고정 링으로부터 스페이서 링을 통하여 2개의 서스펜션을 밀어 넣어 일체로 조립하여 고정한 구조적으로 견고한 자기 회로부를 구비함으로써, 양호한 진동 특성을 발휘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따르면, 횡진 규제용 스토퍼를 외주 둘레의 상대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스페이서 링과, 스토퍼의 돌출 기부와 대응되는 외주 에지를 직선형으로 절제한 요크, 서스펜션 및 고정 링을 조립하고, 스페이서 링의 스토퍼를 하우징의 장변 측 벽 내면에 설치한 오목부에서 수납하여 자기 회로부를 하우징의 내부에 조립함으로써, 하우징의 폭을 넓게 하지 않고도 충격 내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따르면, 서로 맞물리는 반원형의 노치 에지를 외주 에지에 설치한 요크, 스페이서 링을 구비하고, 요크, 스페이서 링을 각 부의 노치 에지에 결합하는 조립 지그의 지지 핀에 의해 위치 결정시켜 자기 회로부를 조립함으로써, 균등한 무게 중심을 유지하는 자기 회로부를 구비하여 양호한 진동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따르면, 하우징의 좁은 폭의 동일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암부 상호를 서로 교차하는 역방향으로 대면시켜서 2개의 서스펜션을 자기 회로부에 조립하고, 각 서스펜션을 암부의 돌출 단부에의해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 내면에 장착하여 자기 회로부를 진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한 쪽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대략 장방형의 하우징을 구비하더라도, 자기 회로부에 의한 양호한 진동 특성을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따르면, 내주가 대략 장원형의 트랙 형상을 나타내도록 한 쪽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수용하는 오목 홈을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 단부면에 설치하고, 다이어프램의 외주 에지로부터 인출되는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상기 오목 홈의 홈 내에 배선시켜 단자 피팅에 접속함으로써, 리드선의 단선이나 절연 피막의 박리 등이 생기지 않도록 안정되게 배선시켜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따르면, 진동 성능이 상이한 2개의 서스펜션을 구비함으로써, 자기 회로부의 진동에 의한 에너지가 서로 교차하는 암부 상호에 의해 손실되지 않도록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따르면, 요크의 외주 플랜지부와 고정 링으로부터 스페이서 링을 통하여 2개의 서스펜션을 밀어 넣어 일체로 조립하여 고정한 구조적으로 견고한 자기 회로부를 구비함으로써, 양호한 진동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따르면, 횡진 규제용 스토퍼를 외주 둘레의 상대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스페이서 링과, 스토퍼의 돌출 기부와 대응되는 외주 에지를 직선형으로 절제한 요크, 서스펜션 및 고정 링을 조립하고, 스페이서 링의 스토퍼를 하우징의 장변 측 벽 내면에 설치한 오목부에서 수납하여 자기 회로부를 하우징의 내부에 조립함으로써, 하우징의 폭을 넓게 하지 않고도 충격 내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항에 관한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따르면, 서로 맞물리는 반원형의 노치 에지를 외주 에지에 설치한 요크, 서스펜션 및 스페이서 링을 구비하고, 요크, 서스펜션 및 스페이서 링을 각 부의 노치 에지에 결합하는 조립 지그의 지지 핀에 의해 위치 결정하여 자기 회로부를 조립함으로써, 균등한 무게 중심을 유지하는 자기 회로부를 구비하여 양호한 진동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립할 수 있다.

Claims (14)

  1. 주위 벽이 되는 하우징, 자기 갭을 폴 피스(pole piece)와 요크 사이에 형성하고 또한 폴 피스를 일체로 고정한 마그넷을 요크로 유지하여 이루어지는 자기 회로부, 및 보이스 코일을 내면 측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고, 2개가 대면하는 판 스프링형의 서스펜션에 의해 자기 회로부를 지지하고, 상기 각 서스펜션을 상기 하우징의 벽 내면으로부터 내측에 팽팽하게 설치하여 상기 자기 회로부를 진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보이스 코일을 상기 자기 갭에 삽입 설치하여 다이어프램을 하우징의 벽 단부면으로부터 내측에 팽팽하게 설치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인출되는 리드선으로 상기 보이스 코일을 하우징의 벽 외면에 구비하는 단자 피팅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한 쪽 폭을 좁게 형성한 대략 장방형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좁은 폭의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자기 회로부를 지지하는 주요부의 외주 에지로부터 연속하는 베이스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주요부로부터 점차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암부를 구비한 서스펜션을 2개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서스펜션의 각 암부의 연장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위치시켜 상기 각 서스펜션을 상기 자기 회로부에 조립함과 동시에, 상기 각 서스펜션의 암부의 돌출 단부 측을 상기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부에 장착하고, 상기 자기 회로부를 2개의 서스펜션으로 진동 가능하게 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서스펜션의 각 암부의 연장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를 상대 위치시켜 상기 각 서스펜션을 상기 자기 회로부에 조립함과 동시에, 상기 각 서스펜션의 2개의 암부의 돌출 단부 측을 상기 하우징의 좁은 폭의 상이한 모서리부 근처에 각각 장착하고, 상기 자기 회로부를 2개의 서스펜션으로 진동 가능하게 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서스펜션의 각 암부의 연장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하고, 또한 상기 각 서스펜션의 수직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2개의 서스펜션의 각 암부를 수직 방향 중심선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위치 어긋나게 하여 상기 각 서스펜션을 상기 자기 회로부에 조립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서스펜션의 암부의 돌출 단부 측을 상기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 내의 상이한 위치에 각각 장착하고, 상기 자기 회로부를 상기 2개의 서스펜션으로 진동 가능하게 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동 성능이 상이한 2개의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주가 대략 장원형(長圓形)의 트랙(track) 형상을 나타내도록 한 쪽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수용하는 오목 홈을 상기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 단부면에 설치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주위 에지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상기 오목 홈의 홈 내에 배선시켜 단자 피팅에 접속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피스를 일체로 고정한 마그넷을 내측에 고정하는, 단면이 오목형인 평면 원형의 트레이부와, 상기 트레이부의 개방단으로부터 내뻗는 외주 플랜지부로 형성된 요크를 포함하는 동시에, 원환형의 주요부와 2개의 암부로 형성된 서스펜션을 2개 포함하고, 제1 서스펜션, 스페이서 링, 제2 서스펜션의 순서로 중첩하여 상기 트레이부의 외주에 끼워 넣고, 또한 상기 제2 서스펜션을 누르는 고정 링을 상기 트레이부의 외주에 끼워 넣고, 상기 요크의 외주 플랜지부와 상기 고정 링으로부터 2개의 서스펜션을 일체로 조립하여 고정시킨 자기 회로부를 포함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횡진(橫振) 규제용 스토퍼를 외주 둘레의 상대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스페이서 링과, 상기 스토퍼의 돌출 기부와 대응되는 외주 에지를 직선형으로 절제한 요크, 서스펜션 및 고정 링을 조립하고, 상기 스페이서 링의 스토퍼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측 벽 내면에 설치한 오목부로 수납하여 상기 자기 회로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조립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서로 맞물리는 반원형의 노치 에지를 외주 에지에 설치한 요크 및 스페이서 링을 포함하고, 상기 요크 및 스페이서 링을 각 부의 노치 에지에 결합하는 조립 지그의 지지 핀에 의해 위치 결정하고, 상기 서스펜션 및 스페이서 링을 상기 요크의 외주에 조립한 자기 회로부를 포함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9. 주위 벽이 되는 하우징, 자기 갭을 폴 피스(pole piece)와 요크 사이에 형성하고 또한 폴 피스를 일체로 고정한 마그넷을 요크로 유지하여 이루어지는 자기 회로부, 및 보이스 코일을 내면 측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고,
    2개가 대면하는 판 스프링형의 서스펜션에 의해 자기 회로부를 지지하고, 상기 각 서스펜션을 상기 하우징의 벽 내면으로부터 내측에 팽팽하게 설치하여 상기 자기 회로부를 진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보이스 코일을 상기 자기 갭에 삽입 설치하여 다이어프램을 하우징의 벽 단부면으로부터 내측에 팽팽하게 설치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으로 상기 보이스 코일을 하우징의 벽 외면에 구비하는 단자 피팅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한 쪽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좁은폭의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자기 회로부를 지지하는 주요부의 외주 에지로부터 연속하는 베이스를 대칭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주요부의 상반하는 방향의 외주 둘레로 연장되는 2개의 암부를 설치한 서스펜션을 2개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좁은 폭의 동일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암부가 서로 교차하는 반대 방향으로 대면시켜서 상기 각 서스펜션을 상기 자기 회로부에 조립하는 동시에, 상기 각 서스펜션을 상기 암부의 돌출 단부로 상기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 내면에 장착하여 상기 자기 회로부를 진동 가능하게 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내주가 대략 장원형의 트랙 형상을 나타내도록 한 쪽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수용하는 오목 홈이 상기 하우징의 좁은 폭의 벽 단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주위 에지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오목 홈의 홈 내에 배선되어 단자 피팅에 접속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진동 성능이 상이한 2개의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피스를 포함하는 마그넷을 내측에 고정하는, 단면이 오목형인 평면원형의 트레이부와, 상기 트레이부의 개방단으로부터 내뻗는 외주 플랜지부로 형성된 요크를 포함하는 동시에, 원환형의 주요부와 2개의 암부로 형성된 서스펜션을 2개 포함하고, 제1 서스펜션, 스페이서 링, 제2 서스펜션의 순서로 중첩하여 상기 트레이부의 외주에 끼워 넣고, 또한 상기 제2 서스펜션을 누르는 고정 링을 상기 트레이부의 외주에 끼워 넣고, 상기 요크의 외주 플랜지부와 상기 고정 링으로부터 2개의 서스펜션을 일체로 조립하여 고정시킨 자기 회로부를 포함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횡진 규제용 스토퍼를 외주 둘레의 상대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스페이서 링과, 상기 스토퍼의 돌출 기부와 대응되는 외주 에지를 직선형으로 절제한 요크, 서스펜션 및 고정 링을 조립하고, 상기 스페이서 링의 스토퍼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측 벽 내면에 설치한 오목부로 수납하여 상기 자기 회로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조립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서로 맞물리는 반원형의 노치 에지를 외주 에지에 설치한 요크, 서스펜션 및 스페이서 링을 포함하고, 상기 요크, 서스펜션 및 스페이서 링을 각 부의 노치 에지에 결합하는 조립 지그의 지지 핀에 의해 위치 결정하고, 상기 서스펜션 및 스페이서 링을 상기 요크의 외주에 조립한 자기 회로부를 포함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KR10-2003-7001533A 2001-06-11 2002-06-11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KR100508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75988 2001-06-11
JP2001175988A JP2002361174A (ja) 2001-06-11 2001-06-11 振動アクチュエータ装置
PCT/JP2002/005773 WO2002100561A1 (fr) 2001-06-11 2002-06-11 Dispositif d'actionnement vibr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664A true KR20030036664A (ko) 2003-05-09
KR100508821B1 KR100508821B1 (ko) 2005-08-17

Family

ID=1901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533A KR100508821B1 (ko) 2001-06-11 2002-06-11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227225A1 (ko)
EP (1) EP1421998A1 (ko)
JP (1) JP2002361174A (ko)
KR (1) KR100508821B1 (ko)
CN (1) CN1259153C (ko)
WO (1) WO20021005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970B1 (ko) * 2004-02-27 2010-08-05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다기능형 진동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통신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299B1 (ko) * 2004-06-23 2007-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진동자
EP1674165A1 (fr) * 2004-12-22 2006-06-28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Dispositif vibrant muni de moyens de protection contre des chocs mécaniques pour un objet portable
JP4592088B2 (ja) * 2005-05-30 2010-12-01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振動体
JP2007194907A (ja) * 2006-01-19 2007-08-02 Citizen Electronics Co Ltd 電気振動変換器
JP2008225690A (ja) 2007-03-09 2008-09-25 Sony Corp 振動体、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5238928B2 (ja) * 2007-04-19 2013-07-17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給電端子構造
JP5292535B2 (ja) * 2007-12-21 2013-09-18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2010104864A (ja) * 2008-10-28 2010-05-13 Sanyo Electric Co Ltd 往復振動発生器
WO2010103929A1 (ja) * 2009-03-10 2010-09-16 三洋電機株式会社 振動モータおよび携帯機器
JP2010207731A (ja) * 2009-03-10 2010-09-24 Sanyo Electric Co Ltd 振動モータ及び携帯機器
JP2010213462A (ja) * 2009-03-10 2010-09-24 Sanyo Electric Co Ltd 振動モータ及び携帯機器
CN201708677U (zh) * 2009-10-19 2011-01-12 常州美欧电子有限公司 扁平线性振动电机
KR101040310B1 (ko) * 2010-01-11 2011-06-10 주식회사 비에스이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JP5537984B2 (ja) * 2010-02-16 2014-07-02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往復振動発生器
JP5822459B2 (ja) 2010-12-06 2015-11-2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スピーカユニット
KR101096788B1 (ko) * 2011-02-08 2011-12-21 주식회사 비에스이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JP6042107B2 (ja) * 2012-06-08 2016-12-14 ミネベア株式会社 振動発生器用ホルダ及び振動発生器
US9590463B2 (en) 2011-09-22 2017-03-07 Minebea Co., Ltd. Vibration generator moving vibrator by magnetic field generated by coil and holder used in vibration-generator
KR101320133B1 (ko) * 2011-10-18 2013-10-2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09405B1 (ko) * 2012-01-20 2013-09-1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 모터
JP6029854B2 (ja) 2012-05-22 2016-11-24 ミネベア株式会社 振動子及び振動発生器
US8890375B2 (en) * 2012-07-05 2014-11-18 Aac Acoustic Technologies (Shenzhen) Co., Ltd. Multi-function vibrating device
JP2014096724A (ja) * 2012-11-09 2014-05-22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6121173B2 (ja) 2013-01-22 2017-04-26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振動子付ホルダ及び振動発生器
CN103297900B (zh) * 2013-05-10 2017-02-01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弹簧板及应用该弹簧板的多功能发声器
CN204030834U (zh) * 2014-07-09 2014-12-17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电机
CN204334278U (zh) * 2014-12-23 2015-05-13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电机
CN204559358U (zh) * 2015-04-01 2015-08-12 常州美欧电子有限公司 振动电机
KR101625932B1 (ko) * 2016-04-25 2016-05-31 주식회사 슬리비스 스피커 장치용 서스펜션 및 이를 적용한 스피커 장치
JP6328305B2 (ja) * 2017-08-30 2018-05-23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振動発生器
JP6438103B2 (ja) * 2017-10-27 2018-12-12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振動発生器
KR101884316B1 (ko) * 2018-02-01 2018-08-01 주식회사 엠플러스 4각 형상 판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모터
JP6681426B2 (ja) * 2018-04-17 2020-04-15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振動発生器
KR101972326B1 (ko) * 2018-05-02 2019-04-25 에스텍 주식회사 스프링 장치
CN209072304U (zh) * 2018-08-03 2019-07-05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CN208675084U (zh) * 2018-08-03 2019-03-29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JP2020054122A (ja) * 2018-09-27 2020-04-0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パネルスピーカー
US10462574B1 (en) * 2018-11-30 2019-10-29 Google Llc Reinforced actuators for distributed mode loudspeakers
KR102132706B1 (ko) * 2019-02-28 2020-07-13 에스텍 주식회사 진동기용 스프링 장치
JP2020195024A (ja) * 2019-05-27 2020-12-03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ピーカ
KR102252025B1 (ko) * 2019-06-05 2021-05-17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US11341948B2 (en) * 2019-07-17 2022-05-24 Sound Solutions International Co., Ltd. Electromagnetic actuator with improved spring arrangement
CN110545510B (zh) * 2019-08-30 2021-06-11 歌尔股份有限公司 发声装置的插座装置以及发声装置
JP7171847B2 (ja) * 2019-11-27 2022-11-15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振動発生器
JP7417443B2 (ja) 2020-03-16 2024-01-18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CN113727258B (zh) 2020-05-20 2024-01-26 奥音科技(镇江)有限公司 电动激励器、扬声器、电动换能器和输出设备
US11678123B2 (en) * 2020-05-20 2023-06-13 Sound Solutions International Co., Ltd. Electromagnetic actuator for a speaker or a sound transducer with a high-strength metal connection between the voice coil and the magnet system
US20220368206A1 (en) * 2021-05-11 2022-11-17 Aac Microtech (Changzhou)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US11641151B2 (en) * 2021-05-11 2023-05-02 Aac Microtech (Changzhou)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with elastic members with brackets, foams and damping glue
GB202108925D0 (en) * 2021-06-22 2021-08-04 Pss Belgium Nv Shaker
JP2023047774A (ja) * 2021-09-27 2023-04-06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0529A (en) * 1950-03-01 1954-09-28 Bofors Ab Suspension arrangement for movable members
US3196299A (en) * 1963-07-05 1965-07-20 Scovill Manufacturing Co Portable electric unit for toothbrush or the like
US4354067A (en) * 1978-05-17 1982-10-12 Bodysonic Kabushiki Kaisha Audio-band electromechanical vibration converter
US5321763A (en) * 1990-02-17 1994-06-14 Lee Jeong Gi Body sense speaker
US5528697A (en) * 1991-05-17 1996-06-18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Integrated vibrating and sound producing device
GB2278180B (en) * 1993-05-17 1996-11-27 Nippon Denso Co Vibration isolator
US5373207A (en) * 1993-09-17 1994-12-13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Brushless vibrator motor for a wireless silent alerting device
GB9409988D0 (en) * 1994-05-18 1994-07-06 Huntleigh Technology Plc Linear magnetic actuator
US5769608A (en) * 1994-06-10 1998-06-23 P.D. Coop, Inc. Resonant system to pump liquids, measure volume, and detect bubbles
JPH09117721A (ja) * 1994-09-28 1997-05-06 Seiko Instr Inc 振動モジュール
KR19980032013A (ko) * 1995-12-15 1998-07-25 모리시타요오이찌 진동 발생장치
JP3568674B2 (ja) * 1996-03-18 2004-09-2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キーボードおよび情報処理装置
BR9709837A (pt) * 1996-06-21 1999-08-10 Sanyo Electric Co Gerador de notificação por vibração e dispositivo de comunicações portátil no qual o gerador é usado
TW353849B (en) * 1996-11-29 1999-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to-mechanical-to-acoustic converter and portable terminal unit
JP3680562B2 (ja) * 1997-10-30 2005-08-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機械−音響変換器及びその製造法
US5896076A (en) * 1997-12-29 1999-04-20 Motran Ind Inc Force actuator with dual magnetic operation
JP4491529B2 (ja) * 1998-02-06 2010-06-30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電磁型アクチュエータ並びにその取付構造
JP3812150B2 (ja) * 1998-06-18 2006-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
US6429558B1 (en) * 1998-09-24 2002-08-06 Namiki Seimitsu Houseki Kabushiki Kaisha Small-sized coreless motor
KR100295101B1 (ko) * 1998-12-30 2001-07-12 이형도 진동모터
CN1294832A (zh) * 1999-03-03 2001-05-09 株式会社东金 由螺旋形阻尼件支撑磁路、柔顺性提高的振动操作机构
GB9905247D0 (en) * 1999-03-09 1999-04-28 Johnson Electric Sa Small electric motor
CN100490996C (zh) * 1999-04-16 2009-05-27 并木精密宝石株式会社 震动驱动器的供电机构
KR100336296B1 (ko) * 1999-07-30 2002-05-13 장세열 듀얼 음원 구조를 갖는 전기-음향 변환기
EP1145592A3 (en) * 1999-12-02 2002-07-03 Tokin Corporation Vibration actuator having an elastic member between a suspension plate and a magnetic circuit device
KR100354376B1 (ko) * 1999-12-08 2002-09-28 에스텍 주식회사 진동 발생과 음향 발생의 겸용 장치를 구비하는 스피커
JP3521830B2 (ja) * 2000-02-14 2004-04-26 ミネベア株式会社 携帯用通信装置における報知装置
JP4553278B2 (ja) * 2000-02-29 2010-09-29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多機能型発音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53471A (ja) * 2000-04-14 2001-12-25 Tokin Corp 多機能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2001300422A (ja) * 2000-04-21 2001-10-30 Citizen Electronics Co Ltd 多機能変換器とその駆動方法
US6495939B1 (en) * 2000-06-05 2002-12-17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Coreless motor having tubular housing with end mounting portions
US6560347B2 (en) * 2000-12-19 2003-05-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 actuator
US6608541B2 (en) * 2001-09-28 2003-08-19 Shicoh Engineering Co., Ltd. Electromagnetic actuator
WO2003057375A1 (en) * 2001-12-28 2003-07-17 Namiki Seimitsu Houseki Kabushiki Kaisha Multi-functional vibrating actu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970B1 (ko) * 2004-02-27 2010-08-05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다기능형 진동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통신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8821B1 (ko) 2005-08-17
CN1259153C (zh) 2006-06-14
JP2002361174A (ja) 2002-12-17
EP1421998A1 (en) 2004-05-26
CN1463207A (zh) 2003-12-24
WO2002100561A1 (fr) 2002-12-19
US20030227225A1 (en)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8821B1 (ko)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
KR100412333B1 (ko) 진동 액츄에이터 및 그 급전 기구
KR100613813B1 (ko)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EP1722594B1 (en) Multifunction type vibration actuator and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US8094863B2 (en) Separate support structure for loudspeaker diaphragm
US20090096299A1 (en) Electromagnetic exci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S58133100A (ja) トランスジユ−サ支持接続手段
US6023518A (en) Electromagnetic sound generator
JP2002336786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001178102A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50117518A (ko) 유도성 구성체와 그 구성체를 제작하는 방법
JP2006216925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4704257B2 (ja) 圧電ブザー
JP2000023440A (ja) 音響・振動発生装置
US7010142B2 (en) Electrical acoustic converter
JP4187693B2 (ja) コイル部品
JP4665089B2 (ja) 電磁誘導型アクチュエータ装置並びに携帯電話等を含む携帯用情報機器
JPH10133666A (ja) 電磁音響変換器
JPH10303035A (ja) 面実装コイル
JP4702601B2 (ja) コイル部品
KR100427101B1 (ko) 다기능형 발음체와 휴대 단말기
JP2000023438A (ja) 音響・振動発生装置
JP3747361B2 (ja) 電磁音響変換器
KR100967853B1 (ko) 다기능형 진동 액추에이터의 회로 기판 실장 구조
JP7154583B2 (ja) 圧電モータ、並びに圧電モー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