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326B1 - 스프링 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326B1
KR101972326B1 KR1020180050620A KR20180050620A KR101972326B1 KR 101972326 B1 KR101972326 B1 KR 101972326B1 KR 1020180050620 A KR1020180050620 A KR 1020180050620A KR 20180050620 A KR20180050620 A KR 20180050620A KR 101972326 B1 KR101972326 B1 KR 10197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fixing member
connecting piece
fixing
vibration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수천
김창민
권혁준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5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8Attachments or mountings with motion-limiting means, e.g. with a full-length guide element or ball joint connections; with protective outer cov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스프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장치는, 진동부재와 전자기기 등과 같은 상대물에 고정된 고정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진동부재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진동부재의 진동을 고정부재에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재의 뒤틀림이 뒤틀림방지부재에 의하여 방지된다. 그러므로, 진동전달부재 및 고정부재를 통하여 상대물에 전달되는 진동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링 장치 {Spring device}
본 발명은 진동부의 진동이 뒤틀려서(Distorsion)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통신기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는 신호용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가 설치되고, 진동기는 진동하는 진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진동부의 진동은 진동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장치를 통하여 전자기기로 전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1003호(2013년 10월 29일)에 개시된 종래의 판 스프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판 스프링 장치(10)는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고정되는 링형상의 고정단(20), 고정단(20)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단(20)과 동심을 이루며 구동체가 설치되는 이동부(30) 및 고정단(20)과 이동부(30)를 연결하며 이동부(30)의 진동을 고정단(20)으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 지지부(4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판 스프링 장치(10)는 진동력의 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부(30)가 진동하면, 탄성 지지부(40)는 진동하면서 뒤틀린다. 그런데, 탄성 지지부(40)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아무런 수단이 없으므로, 이동부(30)의 진동이 뒤틀려서 고정단(20)으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진동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탄성 지지부(40)의 뒤틀림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진동력의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스프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진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스프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치는,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기측이 설치되며, 상기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부재; 상기 진동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호 대향하며, 상대물(相對物)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진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진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진동부재의 진동을 상기 고정부재로 전달하는 탄성을 가진 진동전달부재; 일측은 상기 진동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진동전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전달부재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탄성을 가진 뒤틀림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치는, 진동부재와 전자기기 등과 같은 상대물에 고정된 고정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진동부재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진동부재의 진동을 고정부재에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재의 뒤틀림이 뒤틀림방지부재에 의하여 방지된다. 그러므로, 진동전달부재 및 고정부재를 통하여 상대물에 전달되는 진동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치의 요부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치의 요부 정면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프링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치는 진동기에서 발생된 진동을 휴대용 통신기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진동기는 코일을 가지는 고정자와 마그네트를 가지며 상기 코일과 작용하여 진동하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치는 진동부재(110), 고정부재(120), 진동전달부재(130) 및 뒤틀림방지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재(110)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기의 상기 진동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진동부재(110)는 상기 진동부에 의하여 진동할 수 있다.
진동부재(110)는 링 형상의 몸체(111), 몸체(111)의 내주면 하단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진동부의 하면 테두리부측 탑재 지지되는 링형상의 지지테(113), 몸체(11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블록 형상의 제1연결편(115) 및 제2연결편(1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편(115)과 제2연결편(117)은 진동부재(110)의 중심인 몸체(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룰 수 있다.
고정부재(120)는 사각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진동부재(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 등과 같은 상대물(相對物)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20)는 제1고정부재(121)와 제2고정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고정부재(121)와 제2고정부재(125)는 진동부재(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으며, 제1연결편(115)과 제2연결편(117) 사이에 제1고정부재(121)와 제2고정부재(125)가 위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고정부재(121)와 제2고정부재(125) 사이의 진동부재(110)의 원주방향 부위를 2등분하는 진동부재(110)의 외주면에 제1연결편(115)과 제2연결편(11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고정부재(121)와 제1연결편(115), 제1연결편(115)과 제2고정부재(125), 제2고정부재(125)와 제2연결편(117) 및 제2연결편(117)과 제1고정부재(121)는 각각 원주방향으로 90°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진동전달부재(130)는 일단부측은 진동부재(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연결편(115)과 제2연결편(117)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부측은 고정부재(120)에 각각 연결되어 진동부재(110)와 고정부재(120)를 연결할 수 있다. 진동부재(110)는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진동부재(110)의 진동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면서 진동부재(110)의 진동을 고정부재(120)로 전달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진동전달부재(130)는 4개 마련될 수 있으며, 진동부재(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룰 수 있다. 그리하여, 어느 하나의 진동전달부재(13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은 제1연결편(115)의 일단부측 및 제1고정부재(121)의 일단부측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진동전달부재(13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은 제2연결편(115)의 일단부측 및 제1고정부재(121)의 타단부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의 진동전달부재(13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은 제1연결편(115)의 타단부측 및 제2고정부재(125)의 일단부측에 연결될 수 있고, 또 다른 하나의 진동전달부재(13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은 제2연결편(115)의 타단부측 및 제2고정부재(125)의 타단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진동기의 진동부가 진동하면, 상기 진동부에 의하여 진동부재(110)가 진동하고, 진동부재(110)의 진동은 진동전달부재(130)를 통하여 고정부재(120)로 전달된다. 그러면, 고정부재(120)가 진동하므로, 고정부재(120)가 설치된 상기 상대물도 진동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물의 진동을 통하여 소정의 정보를 전달받는다.
진동부재(110)의 진동에 의하여 진동전달부재(130)도 진동한다. 이때, 진동전달부재(130)는 뒤틀릴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대물에 전달되는 진동력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치는 상기 상대물에 전달되는 진동력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진동전달부재(130)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뒤틀림방지부재(140)가 마련된다. 뒤틀림방지부재(140)는 일단부측은 진동부재(110)에 연결되고, 타단부측은 진동전달부재(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뒤틀림방지부재(140)는 진동전달부재(130)와 대응되게 4개 마련되어 진동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으며, 각 뒤틀림방지부재(140)의 타단부측은 각 진동전달부재(130)의 대략 중앙 부위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부재(110)에 연결된 뒤틀림방지부재(140)의 일단부측(141)(도 3 참조) 두께는 다른 부위 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치는, 진동부재(110)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뒤틀리는 진동전달부재(130)가 뒤틀림방지부재(140)에 의하여 뒤틀림이 방지된다. 그러면, 진동전달부재(130)에서 고정부(120)로 전달되는 진동력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대물에 전달되는 진동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전달부재(130)는 정면에서 본 형상이 파(波) 형상일 수 있으며, 변곡점(PI)이 3군데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전달부재(130)의 두께는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점 얇아졌다가, 중앙부측을 기준으로 다시 두꺼워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전달부재(130)는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전달부재(13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모든 부위의 폭이 동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치의 요부 평면도로서, 도 3 및 도 4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전달부재(230)의 폭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졌다가, 중앙부측을 기준으로 다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전달부재(230)는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치의 요부 정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전달부재(330)는 정면에서 본 형상이 직선 형상일 수 있으며, 모든 부위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전달부재(330)의 폭은 모든 부위가 동일할 수 있거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졌다가 중앙부측을 기준으로 다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전달부재(330)는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전달부재(430)는 정면에서 본 형상이 직선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진동전달부재(430)의 두께는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점 얇아졌다가, 중앙부측을 기준으로 다시 두꺼워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전달부재(430)의 폭은 모든 부위가 동일할 수 있거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졌다가 중앙부측을 기준으로 다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전달부재(430)는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진동부재
120: 고정부재
130: 진동전달부재
140: 뒤틀림방지부재

Claims (13)

  1.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기측이 설치되며, 상기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부재;
    상기 진동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호 대향하며, 상대물(相對物)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진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진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진동부재의 진동을 상기 고정부재로 전달하는 탄성을 가진 진동전달부재;
    일측은 상기 진동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진동전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전달부재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탄성을 가진 뒤틀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진동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사각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부재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상기 진동기측이 지지되는 링형상의 지지테가 형성되며,
    상기 진동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진동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진동전달부재의 일측이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편 및 제2연결편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사이의 상기 진동부재의 원주방향 부위를 2등분하는 상기 진동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제1연결편 및 상기 제2연결편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는 4개 마련되어 상기 진동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고,
    4개의 상기 진동전달부재 중, 어느 하나, 다른 하나, 또 다른 하나 및 또 다른 하나의 타측은 상기 제1고정부재의 일단부측과 상기 제1고정부재의 타단부측과 상기 제2고정부재의 일단부측 및 상기 제2고정부재의 타단부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뒤틀림방지부재는 상기 진동전달부재와 대응되게 4개 마련되어 상기 진동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고,
    상기 뒤틀림방지부재의 타측은 각각의 상기 진동전달부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는 파(波)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는 변곡점이 3군데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는 직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치.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의 폭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치.
  10.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의 폭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다가,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치.
  11.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의 두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치.
  12.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의 두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얇아지다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에 연결된 상기 뒤틀림방지부재의 일단부측 두께는 다른 부위 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치.
KR1020180050620A 2018-05-02 2018-05-02 스프링 장치 KR10197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20A KR101972326B1 (ko) 2018-05-02 2018-05-02 스프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20A KR101972326B1 (ko) 2018-05-02 2018-05-02 스프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326B1 true KR101972326B1 (ko) 2019-04-25

Family

ID=6628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620A KR101972326B1 (ko) 2018-05-02 2018-05-02 스프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3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1174A (ja) * 2001-06-11 2002-12-17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振動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006324769A (ja) * 2005-05-17 2006-11-30 Pioneer Electronic Corp ダンパ、振動板、および、スピーカ装置
JP2012257097A (ja) * 2011-06-09 2012-12-27 Minebea Co Ltd スピーカ
JP2017017602A (ja) * 2015-07-03 2017-01-19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スピー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1174A (ja) * 2001-06-11 2002-12-17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振動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006324769A (ja) * 2005-05-17 2006-11-30 Pioneer Electronic Corp ダンパ、振動板、および、スピーカ装置
JP2012257097A (ja) * 2011-06-09 2012-12-27 Minebea Co Ltd スピーカ
JP2017017602A (ja) * 2015-07-03 2017-01-19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スピー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1728B2 (en) Linear vibrator having broadband
US11510008B2 (en) Stick-type vibrating driver
US10847296B2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JP6803685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US20160212547A1 (en) Sensory signal output device
KR102510508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10257614B2 (en)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KR101972326B1 (ko) 스프링 장치
KR100906274B1 (ko) 스피커
KR20120121284A (ko) 수직 진동형 사각 리니어 모터
JP7272613B2 (ja) イヤホン及び電子機器
KR101872689B1 (ko)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1648955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및 그 진동과 관련된 탄발지지체
KR20150091700A (ko) 선형 진동모터
US8160283B2 (en) Hearing aid receiver with vibration compensation
US20220300077A1 (en) Tactile-sensation providing device
US20110227427A1 (en) Linear vibrator
US20210067864A1 (en) Reinforced actuators for distributed mode loudspeakers
KR20140128575A (ko) 스피커의 서스펜션
KR102240554B1 (ko) 비원형 진동자
KR20120121285A (ko) 수직 진동형 사각 리니어 모터
KR102132706B1 (ko) 진동기용 스프링 장치
KR101574545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2472158B1 (ko) 진동자
US11815946B2 (en) Modal frequency shifting for loudspeaker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