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158B1 - 진동자 - Google Patents
진동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2158B1 KR102472158B1 KR1020210031505A KR20210031505A KR102472158B1 KR 102472158 B1 KR102472158 B1 KR 102472158B1 KR 1020210031505 A KR1020210031505 A KR 1020210031505A KR 20210031505 A KR20210031505 A KR 20210031505A KR 102472158 B1 KR102472158 B1 KR 1024721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ic circuit
- magnet
- vibrator
- circuit module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스펜션, 서스펜션의 내측에 삽입되어 진동축을 따라 진동하고, 자기갭을 형성하는 자기 회로 모듈, 및 자기 회로 모듈의 자기갭에 배치된 보이스코일 모듈을 포함하며, 자기 회로 모듈은 진동축에 수직한 대칭면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이에 의해, 진동자의 양 방향으로의 진동 및 음향 성능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자의 양 방향으로 동일한 진동 및 음향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진동자에 관한 것이다.
진동자는 패널 등의 피착물에 부착된다. 진동자는 영구자석과 보이스코일의 상호 작용에 따라 진동과 음향을 생성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자는 자계를 형성하는 자기회로와 전기적 신호를 받아들이는 보이스코일, 및 진동을 전달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한다. 자기회로의 자계와 보이스코일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진동이 발생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자의 경우, 보이스코일과 자기회로의 구조로 진동자의 일 방향에 대한 진동에 집중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진동자의 일 방향과 이에 반대인 타 방향에 대해 진동 특성이 차이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진동자의 일 방향으로의 진동을 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진동자의 양 방향으로 동일한 진동 및 음향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진동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는, 서스펜션, 서스펜션의 내측에 삽입되어 진동축을 따라 진동하고, 자기갭을 형성하는 자기 회로 모듈, 및 자기 회로 모듈의 자기갭에 배치된 보이스코일 모듈을 포함하며, 자기 회로 모듈은 진동축에 수직한 대칭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기갭은, 자기 회로 모듈의 상측에 형성된 제1자기갭과 자기 회로 모듈의 하측에 형성된 제2자기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이스코일 모듈은, 제1자기갭에 배치되는 제1보이스코일, 및 제2자기갭에 배치되는 제2보이스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기 회로 모듈은,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는 요크, 요크에 의해 지지되는 마그넷,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된 제1폴피스, 및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된 제2폴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요크는, 마그넷을 감싸는 요크 바디, 및 요크 바디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마그넷의 외주면에 결합된 요크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그넷은 요크 돌기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그넷은, 제1폴피스에 접하는 제1마그넷, 및 제1마그넷과 제2폴피스의 사이에 배치된 제2마그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스펜션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서스펜션은, 프레임에 결합된 프레임결합부, 자기 회로 모듈에 결합된 자기회로결합부, 및 프레임결합부와 자기회로결합부에 연결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기 회로 모듈의 상측에 배치된 상측 커버, 및 자기 회로 모듈의 하측에 배치된 하측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스펜션은 고분자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측 커버와 하측 커버는 관통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자의 양 방향으로 동일한 진동 및 음향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진동자의 양 방향으로 충분한 진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진동자가 부착되는 패널(피착물) 등의 형상에 따른 공간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최대한의 진동 면적을 확보하여 최대 진동 및 음향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자의 일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기 회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이스코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자에 대한 주파수 특성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에 대한 주파수 특성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자의 일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기 회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이스코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자에 대한 주파수 특성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에 대한 주파수 특성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 목적으로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구성 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가 단수로 표현된 경우,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한다. 또한,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시적인 용어인 "위" 또는 "상"은 위와 아래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자(1)의 일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1)는 그 일측과일측의 반대인 타측에서 생성되는 진동 및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동일하게 구현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진동 및 음향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1)는 서스펜션(10), 자기 회로 모듈(20) 및 보이스코일 모듈(30)을 포함한다. 서스펜션(10)은 자기 회로 모듈(20)의 진동을 지지한다. 자기 회로 모듈(20)은 서스펜션(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서스펜션(10)에 의해 지지된다. 자기 회로 모듈(20)은 진동축(A)을 따라 진동하며, 자기갭을 형성한다. 보이스코일 모듈(30)은 자기 회로 모듈(20)의 자기갭에 배치된다. 여기서, 자기 회로 모듈(20)은 진동축(A)에 수직한 대칭면(P)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자기 회로 모듈(20)은 진동축(A)을 따라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대칭적인 진폭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로, 자기갭은 제1자기갭(G1)과 제2자기갭(G2)을 포함한다. 제1자기갭(G1)은 자기 회로 모듈(20)의 상측에 형성된다. 제2자기갭(G2)은 자기 회로 모듈(20)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1자기갭(G1)과 제2자기갭(G2)은 대칭면(P)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보이스코일 모듈(30)은 제1보이스코일(300)과 제2보이스코일(310)을 포함한다. 제1보이스코일(300)은 제1자기갭(G1)에 배치된다. 제2보이스코일(310)은 제2자기갭(G2)에 배치된다. 제1보이스코일(300)과 제2보이스코일(310)은 대칭면(P)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제1보이스코일(300)과 제2보이스코일(310)의 각각은 보빈과 보이스코일을 포함한다. 보이스코일은 보빈에 권취된다.
자기 회로 모듈(20)은 요크(200), 마그넷(210) 및 폴피스(220, 230)를 포함한다. 요크(200)는 서스펜션(10)에 의해 지지된다. 마그넷(210)은 요크(200)에 의해 지지된다. 폴피스는 제1폴피스(220)와 제2폴피스(230)를 포함한다. 제1폴피스(220)는 마그넷(210)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2폴피스(230)는 마그넷(210)의 타측에 배치된다. 예컨대, 제1폴피스(220)와 제2폴피스(230)는 마그넷(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요크(200)와 제1폴피스(220)의 사이에 자기장이 집중되는 제1자기갭(G1)이 형성된다. 또한, 요크(200)와 제2폴피스(230)의 사이에 자기장이 집중되는 제2자기갭(G2)이 형성된다.
마그넷(210)은 대칭면(P)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폴피스(220)와 제2폴피스(230)는 대칭면(P)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요크(200)도 대칭면(P)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요크(200)는 요크 바디(201)와 요크 돌기(202)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 바디(201)는 마그넷(2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마그넷(210)을 감싼다. 요크 바디(201)는 마그넷(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대칭면(P)상 이격된다. 요크 돌기(202)는 요크 바디(201)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마그넷(2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요크 돌기(202)는 마그넷(210)의 외주면에 접착물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요크 돌기(202)의 단부는 마그넷(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착물질이 요크 돌기(202)의 단부는 마그넷(210)의 외주면의 사이에 충분히 주입될 수 있다.
요크 돌기(202)는 마그넷(210)의 상하 대칭면(P)상에 위치한 마그넷(210)의 외주면을 지지한다. 즉, 요크 돌기(202)는 대칭면(P)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요크 돌기(202)의 상측으로 제1자기갭(G1)이 형성되고, 요크 돌기(202)의 하측으로 제1자기갭(G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기 회로 모듈(20)이 요크 돌기(202)의 상측과 하측에서 강하게 진동할 수 있는 진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자기 회로 모듈(20)이 요크 바디(201)의 내측에서 진동하므로, 진동자(1)의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다.
한편, 요크 바디(201)의 외주면은 서스펜션(1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감싸진다. 일 실시 예로, 요크 바디(201)와 서스펜션(10)은 인서트 사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요크 바디(201)는 서스펜션(10)에 인서트되어 접착물질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요크 바디(201)의 외주면과 서스펜션(10)의 내주면이 밀착되어 결합되므로, 자기 회로 모듈(20)의 진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진동축(A)의 상하 방향에 대해 자기 회로 모듈(20)의 진동의 대칭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자(1)는 프레임(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10)은 프레임결합부(100), 자기회로결합부(110) 및 탄성부(120)를 포함한다. 프레임결합부(100)는 프레임(40)에 결합된다. 자기회로결합부(110)는 자기 회로 모듈(20)에 결합된다. 탄성부(120)는 프레임결합부(100)와 자기회로결합부(110)에 연결되어 진동을 지지한다. 탄성부(12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서스펜션(10)은 대칭면(P)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서스펜션은 고분자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자기회로결합부(110)는 요크 바디(201)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된다. 자기회로결합부(110)의 내주면은 요크 바디(201)의 외주면에 밀착 접촉되어 결합된다. 요크 바디(201)와 자기회로결합부(110)는 인서트 사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요크 바디(201)는 자기회로결합부(110)에 인서트되어 접착물질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결합부(100)는 프레임(40)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자(1)는 상측 커버(50)와 하측 커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커버(50)는 자기 회로 모듈(20)의 상측에 배치된다. 하측 커버(60)는 자기 회로 모듈(2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측 커버(50)와 하측 커버(60)는 자기 회로 모듈(20)을 덮어 보호할 수 있다.
상측 커버(50)와 하측 커버(60)의 각각은 관통홀(H)을 가진다. 관통홀(H)은 진동축(A)을 중심축으로 가질 수 있다. 관통홀(H)은 자기 회로 모듈(20)의 진동에 의해 생성된 음향이 송출되게 한다. 또한, 상측 커버(50)와 하측 커버(60)는 피착물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측 커버(50)와 하측 커버(60)는 피착물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 회로 모듈(20)에 의한 진동은 프레임(40)을 거쳐 상측 커버(50)와 하측 커버(6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기 회로 모듈(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이스코일 모듈(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자기 회로 모듈(20)과 보이스코일 모듈(30)은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자기 회로 모듈(20)은 진동축(A)과 수직한 수직면상 직교좌표를 기준으로 장축(X)과 단축(Y)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이스코일 모듈(30)은 진동축(A)과 수직한 수직면상 직교좌표를 기준으로 장축(X)과 단축(Y)을 가질 수 있다. 즉, 자기 회로 모듈(20)과 보이스코일 모듈(30)은 일 방향으로 길고, 일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짧을 수 있다. 상측 또는 하측 커버(50, 60)에 부착되는 피착물(미도시)은 다양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 회로 모듈(20)이 장축(X)과 단축(Y)을 가지므로 피착물의 면적에 대응하여 최대한 접촉되게 하여 진동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직교좌표의 중심은 평면상 진동축(A)과 동일하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자(1)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그넷(210)은 요크 돌기(202)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가질 수 있다. 마그넷(210)의 삽입홈은 마그넷(2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요크 돌기(202)의 적어도 일부는 마그넷(210)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요크(200)가 진동하는 마그넷(2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마그넷(210)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마그넷(2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삽입홈은 대칭면(P)을 기준으로 상하로 대칭될 수 있다.
한편, 마그넷(210)은 제1마그넷(211)과 제2마그넷(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넷(211)은 제1폴피스(220)에 접한다. 제2마그넷(212)은 제1마그넷(211)과 제2폴피스(230)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1마그넷(211)과 제2마그넷(212)은 대칭면(P)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된다. 따라서, 제1마그넷(211)과 제2마그넷(212)의 접촉면은 대칭면(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마그넷(211)과 제2마그넷(212)이 요크 돌기(202)에 상하로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회로 모듈(20)의 조립이 용이하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자에 대한 주파수 특성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에 대한 주파수 특성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서 실선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자가 피착물에 부착된 제1면 방향으로의 진동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점선은 제1면에 반대 방향인 제2면 방향으로의 진동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이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자의 경우, 제1면 방향과 그 반대인 제2면 방향에 대한 진동의 주파수 특성이 차이가 난다.
반면에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는 피착물에 부착된 제1면 방향과 그 반대인 제2면 방향 모두에 대해 동일한 주파수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도 7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의 제1면 및 제2면 방향 모두 동일한 실선으로 표현되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종래 진동자가 가진 피착물 장착 방향에 따른 성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이스틱 등과 같이 입체 터치 및 진동이 필요한 분야에 폭 넓게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VR/AR 시장에서 사용이 되는 경우로 제품의 한쪽 면 이외의 다수의 면을 활용해야 하는 제품(분야)에 적합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진동자
10 : 서스펜션
100 : 프레임결합부
110 : 자기회로결합부
120 : 탄성부
20 : 자기 회로 모듈
200 : 요크
201 : 요크 바디
202 : 요크 돌기
210 : 마그넷
211 : 제1마그넷
212 : 제2마그넷
220 : 제1폴피스
230 : 제2폴피스
30 : 보이스코일 모듈
300 : 제1보이스코일
310 : 제2보이스코일
40 : 프레임
50 : 상측 커버
60 : 하측 커버
10 : 서스펜션
100 : 프레임결합부
110 : 자기회로결합부
120 : 탄성부
20 : 자기 회로 모듈
200 : 요크
201 : 요크 바디
202 : 요크 돌기
210 : 마그넷
211 : 제1마그넷
212 : 제2마그넷
220 : 제1폴피스
230 : 제2폴피스
30 : 보이스코일 모듈
300 : 제1보이스코일
310 : 제2보이스코일
40 : 프레임
50 : 상측 커버
60 : 하측 커버
Claims (11)
- 서스펜션;
서스펜션의 내측에 삽입되어 진동축을 따라 진동하고, 자기갭을 형성하는 자기 회로 모듈; 및
자기 회로 모듈의 자기갭에 배치된 보이스코일 모듈을 포함하며,
자기 회로 모듈은 진동축에 수직한 대칭면을 기준으로 대칭되고,
자기 회로 모듈은,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는 요크;
요크에 의해 지지되는 마그넷;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된 제1폴피스; 및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된 제2폴피스를 포함하며,
요크는,
마그넷을 감싸는 요크 바디; 및
요크 바디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마그넷의 외주면에 결합된 요크 돌기를 포함하는 진동자. - 제 1 항에 있어서,
자기갭은,
자기 회로 모듈의 상측에 형성된 제1자기갭과
자기 회로 모듈의 하측에 형성된 제2자기갭을 포함하는 진동자. - 제 2 항에 있어서,
보이스코일 모듈은,
제1자기갭에 배치되는 제1보이스코일; 및
제2자기갭에 배치되는 제2보이스코일을 포함하는 진동자.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마그넷은 요크 돌기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가지는 진동자. - 제 1 항에 있어서,
마그넷은,
제1폴피스에 접하는 제1마그넷; 및
제1마그넷과 제2폴피스의 사이에 배치된 제2마그넷을 포함하는 진동자. - 제 1 항에 있어서,
서스펜션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서스펜션은,
프레임에 결합된 프레임결합부;
자기 회로 모듈에 결합된 자기회로결합부; 및
프레임결합부와 자기회로결합부에 연결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진동자. - 제 1 항에 있어서,
자기 회로 모듈의 상측에 배치된 상측 커버; 및
자기 회로 모듈의 하측에 배치된 하측 커버를 더 포함하는 진동자. - 제 8 항에 있어서,
서스펜션은 고분자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제조된 진동자. - 제 8 항에 있어서,
상측 커버와 하측 커버는 관통홀을 가지는 진동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1505A KR102472158B1 (ko) | 2021-03-10 | 2021-03-10 | 진동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1505A KR102472158B1 (ko) | 2021-03-10 | 2021-03-10 | 진동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7016A KR20220127016A (ko) | 2022-09-19 |
KR102472158B1 true KR102472158B1 (ko) | 2022-11-29 |
Family
ID=8346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1505A KR102472158B1 (ko) | 2021-03-10 | 2021-03-10 | 진동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2158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56259B2 (ja) | 1996-07-30 | 2006-03-15 | フオスター電機株式会社 | ヘッドホン用ドライバー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1210B1 (ko) * | 2013-01-11 | 2014-12-04 | 주식회사 블루콤 | 스피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지향성 슬림타입 스피커 |
KR102163270B1 (ko) * | 2018-05-18 | 2020-10-08 | 주식회사 이엠텍 | 탄성 사출 프레임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자 |
KR102240554B1 (ko) * | 2019-06-17 | 2021-04-15 | 에스텍 주식회사 | 비원형 진동자 |
-
2021
- 2021-03-10 KR KR1020210031505A patent/KR1024721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56259B2 (ja) | 1996-07-30 | 2006-03-15 | フオスター電機株式会社 | ヘッドホン用ドライバ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7016A (ko) | 2022-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66494B2 (en) | Linear vibrator | |
US8890375B2 (en) | Multi-function vibrating device | |
US10090744B2 (en) | Vibration motor | |
US9185494B2 (en) | Inner magnet type microspeaker | |
KR100941292B1 (ko) | 진동 모터 및 그 제조방법 | |
US20130099600A1 (en) | Linear vibrator | |
US9510087B2 (en) | Acoustic device | |
EP3477833B1 (en) | A linear actuator having an elastic injection-molded frame | |
US20120177244A1 (en) | Speaker | |
KR20050054651A (ko) | 수평진동 보이스코일을 구비하는 판형 스피커 | |
EP2432251A1 (en) |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 |
KR102186836B1 (ko) |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 |
KR100406069B1 (ko) | 휴대용 통신 장치 | |
CN114363778B (zh) | 发声装置和电子设备 | |
KR20150053106A (ko) | 선형 진동 발생장치 | |
US20130099603A1 (en) | Linear vibrator | |
KR102472158B1 (ko) | 진동자 | |
US20130057087A1 (en) |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
US9706309B2 (en) | Acoustic device | |
KR102240554B1 (ko) | 비원형 진동자 | |
KR20130035382A (ko) | 선형 진동자 | |
KR101914530B1 (ko) | 진동 발생 장치 | |
KR101900860B1 (ko) | 스피커 | |
US10848045B2 (en) | Sound production device | |
KR20210002223U (ko) | 균형 잡힌 특성을 가진 음향 변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