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2085A - 광 기록 매체,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광 기록 매체,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085A
KR20030022085A KR1020020053995A KR20020053995A KR20030022085A KR 20030022085 A KR20030022085 A KR 20030022085A KR 1020020053995 A KR1020020053995 A KR 1020020053995A KR 20020053995 A KR20020053995 A KR 20020053995A KR 20030022085 A KR20030022085 A KR 20030022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recording
area
stor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964B1 (ko
Inventor
히데오안도
카즈오와타베
히로하루사토
도시히로수가야
초사쿠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30022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6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ith more than one format/standard, e.g. conversion from CD-audio format to R-DAT forma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98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2ECC block, i.e. a block of error correction encoded symbols which includes all parity data needed for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87Synchronisation pattern, e.g. VCO fiel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및 중간 영역이 디스크 상에서 번갈아 배치된다. 상기 중간 영역에는 적어도 동기화용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Description

광 기록 매체,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재생 장치 {OPTICAL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광 기록 매체,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정보 기록 밀도가 고도화된 광 디스크의 분야에서, 각종 유형의 포맷이 제안되고 있다.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DVD-ROM),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DVD-R) 및 재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DVD-RW 또는 DVD-RAM)는 광 디스크로서 개발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유형의 포맷이 혼재하는 광 디스크 분야에서, 재생장치, 기록 장치 등을 구입 및 제조함에 있어서 사용자 및 제조업자 모두에게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관련 기술의 한계 및 단점에서 기인하는 다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번갈아 배열되는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및 중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영역은 적어도 동기화에 이용되는 정보를 기록하는 판독 전용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용 제1 정보 단위인 섹터와, 적어도 1개의 상기 섹터로서 형성되고, 기록용 제2 정보 단위이며, 동기화용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세그먼트와, 적어도 1개의 상기 세그먼트로서 형성되고, 에러 정정의 블록 분할점으로서 동일한 분할점을 가지며, 기록용 제3 정보 단위인 에러 정정 블록을 포함하는 정보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되어 명백해질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이하에서 지적하는 수단 및 그들의 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 또는 정보 저장 매체의 판독 전용 영역 내의 데이터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과 관련하여,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 또는 정보 저장 매체의 판독 전용 영역 내의 데이터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 또는 정보 저장 매체의 판독 전용 영역 내의 1 세그먼트 영역(연속 데이터 기록 단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 상의 데이터 배치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용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 상이 데이터 배치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 영역(기록 가능 영역 또는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1 세그먼트 영역(연속 데이터 기록 단위)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 영역(기록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사용자 데이터 기록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의 구조 및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데이터 기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8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의 구조 및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데이터 기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인터벌(interval) 영역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 영역(기록 가능 영역 또는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사용자 데이터 기록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 영역(기록 가능 영역 또는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사용자 데이터 기록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의 판독 전용 영역, 기록 가능 영역 및 재기록 가능 영역의 데이터 구조에 적용되는 물리 섹터 및 논리 섹터간이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의 판독 전용 영역, 기록 가능 영역 및 재기록 가능 영역의 데이터 구조에 적용되는 물리 섹터 및 논리 섹터간의 관계와, 스크램블링(scrambling) 후의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의 판독 전용 영역, 기록 가능 영역 및 재기록 가능 영역의 데이터 구조에 적용되는 ECC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의 판독 전용 영역, 기록 가능 영역 및 재기록 가능 영역의 데이터 구조에 적용되는 ECC 블록 및 물리 섹터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의 판독 전용 영역, 기록 가능 영역 및 재기록 가능 영역의 데이터 구조에 적용되는 동기 프레임 데이터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a 내지 도 18c는 동기 프레임 데이터, 동기 코드 및 동기 프레임 길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9a 내지 도 1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기 코드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기 코드 구조의 상세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기 프레임 데이터 및 동기 코드의 배치 패턴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2는 동기 프레임 위치 식별용 코드가 동기 코드(synchronous code) 내에서 정렬되는 순서로부터 1개의 물리 섹터 내의 동기 프레임 위치를 인덱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3은 동기 프레임 위치 식별용 코드가 동기 코드 내에 정렬되는 순서로부터 1개의 물리 섹터 내의 동기 프레임 위치를 인덱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되는 데이터 처리를 스크램블링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되는 데이터 처리를 스크램블링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되는 데이터가 스크램블링 처리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되는 데이터가 스크램블링 처리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내의 기록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내의 재생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램블링 회로의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램블링 회로의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내의 PA 영역을이용하여 소정 위치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3은 도 32의 다음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4는 도 33의 다음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내의 PS 영역을 이용하여 소정 위치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6은 도 35의 다음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7은 도 36의 다음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내의 기록 및 재기록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39는 도 38의 다음을 도시하는 순서도.
이제, 본 발명의 정보 기록/재생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며,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 실시예의 구체적인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일조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현행 광 디스크에 있어 데이터 구조 및 재생 메커니즘 또는 기록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DVD(Digital Versatile Disk) 규격은 DVD 포룸(forum)에서 작성된 규격서에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주 데이터의 스크램블링 방법, 섹터 내의 데이터 구조, ECC(Error Correction Code) 블록 및 동기 코드(Synchronous Code: 재생시 동기 코드)의 패턴 구성 방법 및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DVD-ROM),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DVD-D) 및 재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DVD-RW 또는 DVD-RAM)에 공통화된 상기 동기 코드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재생시 포맷의 호환성 모두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포맷(정보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되는 정보의 데이터 구조)이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DVD-ROM),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DVD-R) 및 재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DVD-RW 또는 DVD-RAM)에 공통화되고, 재생시에 포맷의 호환성이 보장되는 정보 저장 매체를 다목적 정보 저장 매체(Digital Versatile Disk)(판독 전용 목적, 기록 목적 및 재기록 목적의 각각의 목적에 적응할 수 있음을 의미함).
각종 유형의 디스크에 있어 주목할 점
여기서, 각종 유형의 광 디스크에 대해 기술하며, 더불어 그 문제점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A) DVD-R는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로서 존재한다.
DVD-R에서, 데이터는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인 DVD-ROM과 동일한 포맷으로 기록된다. Next Border Marker가 일련의 기록 종료 위치에서 스크램블링/변조 이전의 최초 데이터로서 기록되며, 기록 후에 "00"의 반복 데이터가 장기간 기록되는 "border-out" 영역이 기록된다.
그 후에, 새로운 정보가 기록되는 경우에, "border-in" 영역이 "border-out" 영역 후에 기록된 다음에, 사용자 정보(DVD-ROM과 동일한 포맷으로)가 기록되며, 사용자 정보의 기록 종료 후에 "border-out" 영역이 다시 기록된다.
상기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의 기록이 1개의 정보 저장 매체에서 빈번하게 수행되면, 사용자 정보의 입장에서 불필요한 Borderout/Borderin의 기록 영역이 증가하고, 1개의 정보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될 수 있는 사용자 정보의 양이 감소(기록 효율의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방법과 같이 매 기록시에 Borderin/Borderout을 기록해야하는 이유로는 다음의 (A1) 및 (A2)를 들 수 있다.
이유 (A1) : 액세스시 트래킹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DVD-ROM의 규격화 및 제품화 후에, DVD-R의 규격화 및 제품화가 수행된다. DVD-R 디스크(기록 가능형 정보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되는 정보가 사전에 제작된 DVD-ROM 디스크에 대해 판독 전용 정보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DPD(Differential Phase Detection; 위상차 검출) 방법이 DVD 디스크 재생시 수행되는 대부분의 트랙 오프셋 검출 방법에서 사용되고 있다.
프리그루브(pregroove)가 미기록 상태의 DVD-R 디스크 상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푸쉬풀(Push-Pull) 방법이 미기록 장소에서 트랙 오프셋 검출 방법으로서 이용된다. DVD-R 디스크의 상기 기록된 영역에서, 트랙 오프셋 검출이 DPD 방법에 의해 전술한 이유로 가능하다.
따라서, 트랙 오프셋 검출 방법은 DVD-R 디스크 내의 기록된 영역 및 미기록 영역에서 상이하다. 예컨대, 상기 상황에서, 광학 헤드 전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재생 위치가 이동되는 러프(rough) 액세스를 수행한 직후부터 기록된 영역의 데이터 재생이 시도되는 경우에, 광학 헤드는 러프 액세스 단계에서 착오로 미기록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트래킹이 시도되는 경우에, DPD에 의한 트랙 오프셋 검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트래킹이 수행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Borderin/Borderout이 기록됨으로써, 트래킹이 안정화된다.
이유 (A2) : 기록된 영역의 데이터 및 기록된 데이터간의 동기화 오프셋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다른 데이터가 DVD-R 디스크 상에 기록된 영역 바로 다음부터 DVD-ROM 포맷에 따라 기록되는 문제점을 설명한다.
이 경우에,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기록 펄스를 준비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기준 클록의 주파수 및 위상이 그 직전에 존재하는 기록된 영역 내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의(과거의) 기준 클록의 주파수 및 위상과 일치할 수 없다. 따라서, 기록전 이미 기록된 영역의 데이터 및 기록 후 데이터간의 동기화 오프셋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기록되는 경우에, 기록 헤드 위치를 경계로 하여 그 전후의 데이터간에 위상 시프트가 발생하고, 비트 시프트 에러가 발생하기 쉽다.따라서, 데이터가 새롭게 기록되는 경우에, "border-out" 영역이 기록 전에 이미 기록된 영역 다음의 기록 위치에 배치되며, "border-in" 영역이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전에 배치되기 때문에, 기록 헤드 위치를 경계로 하여 그 전후의 사용자 데이터간의 물리적 거리가 증가한다. "border-in" 영역에서 정보 재생 장치의 동기화를 다시 수행함으로써, 기록 헤드 위치를 경계로 하여 그 전후의 사용자 데이터 위치에서 실행되는 동기화의 정확도가 보장된다.
(B) DVD-RW가 재기록 정보 저장 매체로서 존재한다.
DVD-RW에서의 정보 재기록 방법으로서 "제한된 중복 기록(restricted overwrite)"라고 하는 기록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전술한 "border-in/border-out" 영역을 기록하는 일없이, 사전 기록된 데이터 후부터 다음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기록할 수 있는 기록 방법이다.
그러나, "제한된 중복 기록"에 의한 기록 방법이 사전 기록된 데이터의 일부를 훼손하고, 새로운 데이터의 재기록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전 기록된 데이터의 신뢰도가 현저히 저하된다. "제한된 중복 기록"에 의한 기록 방법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이용되는 경우에, 사전 기록된 데이터의 일부를 훼손하는 이유(문제점)는 다음과 같다.
이유 (B1) : DVD-ROM에서, 기록 또는 재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데 필요한 동기화 준비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현재의 DVD-ROM에서, AV(Audio & Video) 정보의 재생 또는 프로그램의 설치가 주목적이기 때문에, 고속 액세스에 대한 요구 및 재생 개시 시간까지의 시간 단축에 대한 요구가 그렇게 강하지 않다. 따라서, 현재의 DVD-ROM에 기록된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로서, 특정 동기화용 정보로서 이용되는 VFO(Variable Frequency Oscillator)의 기록 영역이 존재하지 않고 사용자 데이터가 연속하여 기록되는 데이터가 구조가 채용된다.
정보 재생 장치가 DVD-ROM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경우에, 광 헤드가 적정 위치를 액세스하고, 동기화가 사전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로부터 재생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서 액세스 직후의 재생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가 완료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 수행될 수 없다. 액세스를 완료한 다음 잠시 후에, 사용자 데이터의 재생/디코딩이 동기화가 완료되는 지점으로부터 가능하게 된다. 상기 DVD-ROM의 데이터 구조에 부합하는 상태에서 섹터 단위로 데이터의 기록 및 재기록을 시도하는 경우에, 전술한 이유(A2)와 같이, 이미 기록된 섹터의 데이터 및 그 직후에 기록 또는 재기록된 섹터 데이터간의 동기화 오프셋이 발생하여, 그 전후를 연속하여 안정적으로 재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기 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해결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채용된다. 즉, DVD-ROM에서의 "제한된 중복 기록" 모드에서는, DVD-ROM에서 동기화용 VFO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에, 동기화 준비 영역으로서(실행 기간), 기록 헤드 위치 직전의 이미 기록된 섹터 데이터의 일부가 훼손된다. 동기화 준비 영역을 검출하고, 기록 헤드 위치를 판정하여, 기록 헤드 위치로부터의 정확한 재생이 가능해진다.
"제한된 중복 기록" 방법은 새로운 기록 또는 재기록이 수행되는 부분의 기록 헤드 위치로부터 데이터의 재생/디코딩이 가능하도록 사전 동기화가 완료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 새롭게 기록 또는 재기록을 개시하기 직전의 사전 기록된 데이터가(동기화용 준비 영역을 작성하기 위하여) 훼손되고, 상기 훼손된 부분에서 재생 동작의 신뢰도가 상당히 결여된다.
(C) DVD-ROM이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로서 존재한다.
(C1) DVD-ROM 내에서, 데이터는 섹터 단위로 기록되고, 소망하는 지점이 액세스되는 경우에, 각 섹터의 헤드 위치에서 기록되는 식별 데이터(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 ID에 대응)의 정보가 재생된다. 따라서, 각 섹터의 위치(어드레스) 정보가 식별 가능한 메커니즘이 된다. 그러나, 현행 DVD-ROM에서는 16개의 섹터가 1개의 ECC 블록(Error Correction Code; 에러 정정 부호)을 구성하기 때문에, ECC 블록의 헤드에 위치한 섹터에부터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생할 필요가 있다. 현재, ECC 블록의 헤드 위치를 직접 알아내는 방법이 없고, 섹터의 식별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순차적으로 디코딩하는 동안에 각 섹터에 대한 재생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방법이 없으며, ECC 블록의 헤드 위치로 액세스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목적은 차세대 DVD-ROM 및 차세대 DVD-R의 호환성을 보장하면서, 차세대 DVD-R에서 이미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훼손하는 일없이 세그먼트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목적을 보다 상세히 표현하면, 세크먼트 단위로 정보를 기록 또는재기록할 수 있는 정보 저장 매체와의 호환성을 보장하는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세그먼트 단위로 기록 또는 재기록하는 것이 상기 기록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도, 미리 기록된 영역 내의 데이터를 훼손하는 일없이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높은 신뢰도가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저장 매체의 데이터 구조(기록 포맷) 또는 정보 저장 매체 상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정보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방법,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차세대 DVD-ROM에 대해서도 ECC 블록 위치를 고속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정보 저장 매체의 데이터 구조(기록 포맷), 상기 정보 저장 매체 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및 상기 데이터 구조에 적합한 정보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방법, 또는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각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내용을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 및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기본적인 사상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 또는 정보 저장 매체의 판독 전용 영역 내의 1개의 세그먼트 영역(연속 데이터의 기록 단위)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저장 매체 상의 데이터 배치 방법의 장점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 영역(기록 가능 영역 또는 재기록 가능 영역) 내에 있는 1개의 세그먼트 영역(연속 데이터 기록 단위)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 가능 영역(기록 가능 영역 또는 재기록 가능 영역) 내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기록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의 구조 및 사용자 데이터 기록 방법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서, ECC 블록의 개시 위치 및 미개시 위치에서 워블(wobble) 변조 패턴이 변화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그러나, 기록 개시 지점을 결정하는 마크(mark) 내에는, 이 마크(또는 세그먼트)가 ECC 블록 내의 어디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현존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세그먼트 ID 정보 등)가 미리 기록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인터벌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또한, 도 11a 내지 도 11d와,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 영역(기록 가능 영역 또는 재기록 가능 영역) 내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기록 방법에 대한 제2 및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e, 도 14a 내지 도 14e, 도 15a 내지 도 15d, 및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ECC 블록을 설명한다. 도 17a 내지 도 17d, 도 18a 내지 도 18c, 및 도 19a 내지 도 19d는 1개의 물리 섹터 데이터 내의 동기 프레임 구조를 설명한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코드를 설명한다. 도 20a 내지 도 20c에서, 동기 위치 검출 코드(121)의 패턴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ⅰ)"1"과 "1" 사이의 간격이 변조 규칙에서 발생될 수 있는 최대길이 보다 길고(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k+3개의 "0"이 연속됨), (ⅱ) "1"과 "1" 사이의 간격이 변조 규칙에서 발생될 수 있는 최대 밀집(최소) 길이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1개의 물리 섹터 내의 동기 코드 배치예를 도시한다. 상기 배치예와 같이, 동일한 배치 구조가 판독 전용 영역 및 기록 영역에서 채용된다. 도 22 및 도 23은 1개의 물리 섹터 데이터 내의 동기 프레임 위치를 동기 코드 내의 동기 프레임 위치 식별 코드의 정렬 순서로부터 인덱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공통 데이터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8은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의 기록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설명한다. 도 29는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재생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설명한다. 도 30은 스크램블링 회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31은 디스크램블링 회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32 내지 도 37은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기 정보 저장 매체 상의 소정의 위치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38 및 도 39는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내에서의 기록 방법 또는 재기록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주요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유(A1)의 액세스시 트래킹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과제와 관련하여,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차세대 DVD-ROM) 및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에서, "lead-in" 영역의 물리적 형태 및 "lead-in" 영역의 데이터 구조는 유사한 형태(공통된 형태)를 가지며, "lead-in" 영역 내의 트랙 오프셋 검출 방법이 1회만 기록할 수 있는 정보 저장 매체(차세대 DVD-R) 및 재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차세대 DVD-RW 또는 차세대 DVD-RAM)에 대해 공통화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정보 저장 매체의 유형과 상관없이, "lead-in" 영역에서 트랙 오프셋 정정이 안정되게 수행되는 방법[예컨대, DPD(Differential Phase Detection) 식별 방법이 트랙 오프셋 검출에 사용됨], 매우 높은 신뢰도를 갖는 신호 및 그의 정보 식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lead-in" 영역에 기록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정보 저장 매체의 유형이 안정되게 검출되고, 사용자 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최적의 트랙 오프셋 검출 방법[예컨대, DPD 방법이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에 이용되고, DPP(Differential Push-Pull) 방법이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이 정보 저장 매체의 유형에 따라 정보 재생 장치측에서 선택되고, 트래킹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대해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기록 전에 이미 기록된 영역 내의 데이터와 상기 이유(A2)의 기록 후의 데이터 사이의 동기화 오프셋을 제거하는 과제에 대한 조치 및 미리 기록 및 재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데 필요한 동기화 준비 영역이 상기 이유(B1)의 DVD-ROM이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대책이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중간 영역이 세그먼트 단위로 구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과 다음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동기화에 이용되는 데이터(VFO 데이터)가 이 중간 영역에 기록되며, 이 중간 영역은 다음에 기록될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에 대한 동기화 준비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리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훼손하는 일없이 세그먼트 단위로 정보를 기록 또는 재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저장 매체 및 그 데이터 구조, 또는 정보 기록 방법 및 정보 기록 및 재생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데이터 구조 내에 기록된 정보 저장 매체에 대한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조는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 및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에 공통으로 이용되며,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로서 동일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도 세그먼트간의 동기화 오프셋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이유 (A1) 과제의 대책], 이미 기록된 상태에서 다른 세그먼트의 데이터가 훼손되지 않는다[이유 (B1) 과제의 대책].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 내의 ECC 블록의 헤드 위치를 액세스 시간이 걸린다는 상기 문제점에 대하여, 다음 대책이 취해진다. 세그먼트는 1개의 ECC 블록 내에서 복수 개의 섹터를 모아 구성하고, 중간 위치를 검출하는 정보(PA/PS 영역)가 각 세그먼트의 중간 영역(301)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중간 영역(301) 위치의 검출이 가능하며, 이로써 현행 방법 보다 용이하게 ECC 블록의 헤드 위치에 액세스할 수 있다.
ECC 블록의 헤드 위치에 액세스하는 방법으로서, 현행 방법에서 섹터의 헤드에서 식별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것 보다 복수 개의 섹터를 그룹핑(grouping)하고 세그먼트 단위로 검출함으로써, 액세스 제어가 보다 용이해 진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특히 효과적인 점과 기능적 효과를 먼저 설명한다.
[1]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 또는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 내의 판독 전용 영역[도 1의 "lead-in" 영역(320) 등]에서,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및 중간 영역이 번갈아 배치되고, 적어도 동기화에 이용되는 데이터가 상기 중간 영역 내에 기록된다(도 1a 내지 도 2d에 설명된 내용에 대응].
장점 : ECC 블록의 경계 위치의 검출이 용이하고, 이 ECC 블록을 이용하여 에러 정정 처리의 개시까지의 프로세스가 간소화되기 때문에, 제어를 고속화하고, 버그 발생 빈도를 저감할 수 있으며, 저비용의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즉, ECC 블록 경계의 위치 검출은 먼저 1개의 물리 섹터(105)(도 21a) 내의 26개의 장소에 배치된 동기 코드(110)의 정보가 디코딩되어 1개의 물리 섹터(103)의 헤드 위치가 검색되고, 1개의 물리 섹터(103)의 헤드 위치에 기록된 데이터 ID 1의 정보가 재생되는 경우에 가능하다. 이와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도 5에 설명된 내용에 대응)에서, 중간 영역의 위치가 검출되는 경우에, 중간 영역 뒤에 배치되고 세그먼트 인터벌에서 이산적인 어드레스 정보가 설명된 데이터 ID 1의 위치를 즉시 알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기록 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데이터 ID 1 부분 역시 스크램블링된다. 즉, 본 실시예의 데이터 구조에서, 물리 섹터 데이터 내의 데이터 ID 1이 하나씩 재생/디코딩되는 경우에, 데이터를 액세스함에 있어 현행 시스템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은 스크램블링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에, 먼저 중간 영역(301) 위치의 검출을 수행하여, 데이터 액세스는 액세스 시간을 단축함에 있어 더 좋은 효과를 갖는다.
[1a] [1]에서 설명된 중간 영역의 크기는 1개의 동기 프레임()의 크기의 정수배가 되도록 한다(도 1a 내지 도 1d의 설명에 해당함).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코드(110)는 고정 길이의 동기 프레임(308)의 헤드 위치에서 배치된다. 유사하게, 중간 영역(301)의 크기는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프레임(308)과 일치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코드(11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PA(postamble) 영역(311)이 동일한 동기 프레임(308)에 배치된다.
장점 : (1a-1)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내의 동기 프레임 인터벌이 중간 영역에서도 유지되기 때문에, 동기 코드의 위치 검출이 용이하다.
즉, 도 21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 섹터 데이터(5)에서 동기 코드(110)가 고정 길이의 동기 프레임(308)의 헤드 위치에 배치되고, PA 영역(311)이 동기 프레임(308)과 일치하는 크기를 갖는 중간 영역(301)의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PA 영역(311)의 배치 인터벌 및 동기 코드(110)는 정보 저장 매체(9) 내의 전영역(판독 전용 영역 및 기록 가능 영역 여하를 불문함)과 항상 일치한다.
결과적으로, 동기 코드(110) 또는 PA 영역(311)이 일단 검출되는 경우에, 동기 코드(110) 또는 PA 영역(311)이 균일한 인터벌로 배치되기 때문에 동기 코드(110) 또는 PA 영역(311)이 검출될 타이밍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동기 코드(110) 또는 PA 영역의 검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동기 코드(110) 또는 PA 영역에 대한 검출 정확도가 증가된다.
(1a-2) 워블 그룹의 연속성이 보장된다.
즉, 워블 연속 그루브(프리그루브; pregroove)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의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내에 형성된다. 도 7d, 도 11d 및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동기 프레임의 물리적 길이가 상기 연속 그루브의 워블 주기의 정수배가 된다.
따라서, 중간 영역의 데이터 크기가 1개의 동기 프레임 크기의 정수배가 되기 때문에, 중간 영역의 물리적 길이가 워브 주기의 정수배가 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의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에서 워블 위상이 항상 일치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b] 상대적인 정보[도 2a에 도시된 ECC 위치 내부 정보(314/315)]가 [1]에 개시된 중간 영역에 기록된다.
장점: 결과적으로, ECC 블록 내의 각 세그먼트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재생시, ECC 블록의 헤드 위치가 항상 검색되고, 에러 정정 처리가 ECC 블록 헤드 위치에서부터 ECC 블록 단위로 수행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대적인 어드레스 정보가 중간 영역에 기록되고 ECC 블록 내의 각 세그먼트 위치가 인지되는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ECC 블록의 헤드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고, 에러 정정 처리까지의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1c]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내의 동기 코드(110) 중에 적어도 일부[PA 영역(311) 및 PS 영역 내의 SY0 또는 SY5]가 중간 영역(동기 프레임 위치 번호 115의 SY0, SY4, SY5에 해당)의 동기 코드(의 일부)에 이용된다.
장점 :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동기 코드(110) 패턴이 물리 섹터 데이터(5)에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도 29에 도시된 동기 코드 위치 추출부(45)에서, 도 21a 내지 도 21c 및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동기 코드(110)를 연결함으로써 물리 섹터 데이터(5)의 위치가 검출된다. PA 영역(311) 또는 PS(pre synchronous) 영역에서 SY0 또는 SY5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동기 코드(110)와 동일한 구조/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9의 동기 코드 위치 추출부(45)에서, ECC 블록(304) 내에서 중간 영역(301)의 위치 추출 및 중간 영역(304)의 위치 추출의 2개 유형의 위치 추출이 수행된다. 따라서,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또는 정보 재생 장치의 회로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고, 도 32 내지 도 37에 개시된 프로세스를 간소화할 수 있다.
[1d] 패턴 내용이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내의 동기 코드(110) 및 중간 영역내의 동기 코드 사이에서 변화된다(도 20a 내지 도 20c 및 도 2a 내지 도 2d에 설명됨).
장점 : 패턴 내용이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내의 동기 코드(100)와 중간 영역 내의 동기 코드 사이에서 변화되므로, 도 29의 동기 코드 위치 추출부에서, 검출 정보가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위치 정보인지 중간 영역(301)의 위치 정보인지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2] 중간 영역의 기록 위치는 [1]에 개시된 중간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검출된다. 즉, 중간 영역의 기록 위치는 중간 영역 내에 기록된 동기 코드를 검출함으로써 검출된다.
장점 : ECC 블록 경계 위치 검출이 용이하고, ECC 블록을 이용함으로써 에러 정정 처리 개시까지의 프로세스가 간소화되기 때문에, 고속 제어를 수행하고, 버그 발생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저가의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현행 DVD에서, 1개의 물리 섹터(103) 내의 26개소에 배치된 동기 코드(110)의 정보를 해독함으로써 1개의 물리 섹터(103)의 헤드 위치가 검색되고, 물리 섹터(103)의 헤드 위치에서 기록된 데이터 ID 1의 정보가 재생되는 경우 ECC 블록 경계 위치를 먼저 검출할 수 있게 된다(도 4에 도시된 방법).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도 5에 개시된 설명)에서, 중간 영역의 위치가 검출되는 경우에, 중간 영역 다음에 배치되고 세그먼트 인터벌에서 이산적인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 ID 1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따라서, ECC 블록 경계 위치의 검출이 용이해진다.
[3]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 및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또는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의 판독 전용 영역에서,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및 중간 영역의 배치 인터벌은 배치된 상태의 견지 또는 데이터 비트의 수에서 일치하게 된다.
즉, 도 3 및 도 6과 비교할 때 명백한 것과 같이,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및 중간 영역 내의 데이터 비트 수 또는 배치 상태가 재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와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또는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 내의 판독 전용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단지 VFO 영역이 상이하다.
장점 : 판독 전용 저장 매체와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간의 호환성이 유지될 수 있다. 재생용 처리 회로가 판독 전용 정보 재생 장치 및 기록 가능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모두에 대해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저가의 장치 제작이 가능하다.
(b) 현행의 "border-out" 영역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제한된 중복 기록"을 수행하는 일없이 세그먼트 단위로 기록 또는 재기록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록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에서 작은 단위(세그먼트 단위)로의 기록 및 재기록이 수행될 수 있고(이것은 "border-out/border-in" 정보가 불필요하게 기록되기 때문임), 정보 저장 매체로의 기록시에 이용 효율이 향상된다.
[4] 세그먼트 단위로 연속적인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및 중간 영역은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에 대해 번갈아 배치된다.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기록은 세그먼트 단위로 수행되며, 기록 개시는 기록/재기록시 상기 중간 영역의 중간 위치에서부터 수행된다. 기록 종료 프로세스는 중간 위치의 중간 위치에서 수행된다( 도 1d, 도7b, 도 7c, 도 11b, 도 11c, 도 12b 및 도 12d에 도시된 설명에 대응함).
장점 : 연속 데이터 기록 단위(110)의 선단(先端)인 기록 헤드 위치와 연속 데이터 기록 단위(110)의 후단(後端)인 기록 종료 위치는 VFO 영역(312 및 331 내지 335) 내에 존재한다. VFO 영역은 물리 섹터 데이터(5)가 배치되는 사용자 데이터 기록 필드(303)의 외부에 존재한다. 따라서, "제한된 중복 기록"에 따른 기록 방법이 (B)에 기술된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자 데이터의 훼손이 발생하지 않고, 중복 기록이 여러 차례 수행되는 경우에도, 사용자 데이터 기록 필드(303) 내에 있는 정보의 높은 신뢰도가 유지될 수 있다.
[5]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에 대해 1개의 데이터 기록 단위(세그먼트)에 이산적으로 배치되는 어드레스 정보가 복수개의 장소에 기록된다(도 1a 내지 2d에 개시된 설명부에 대응).
즉,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1개 이상의 ID 1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섹터가 집합되어 1개의 데이터 기록 단위(세그머트)를 형성한다.
장점 : (a) 기록 효율이 향상된다. (b) 액세스의 고속성을 얻을 수 있다.
즉, 기록 단위(세그먼트 단위)로 기록된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 단위(1 세그먼트)의 중간부터 재생을 개시하는 경우에도, 재생 개시 직후에 재생된 데이터 ID 정보를 식별함으로써 현재 재생되고 있는 장소를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재액세스 처리까지의 시간이 단축되므로, 총 액세스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6]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는 기록 가능한 기록 영역 및 엠보스 영역, 예컨대 미소 요철(凹凸) 형상에 의해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lead-in" 영역이 동일 평면 내에 존재하는 구조를 갖는다. 기록 영역 내의 기록 가능 데이터 구조 및 상기 엠보스 영역 내에 미리 기록된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는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및 중간 영역이 번갈아 배치되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다(도 1a 내지 도 2d의 설명부)
장점 : (a) 기록 가능(1회만 기록 가능 및 재기록 가능 모두 포함하여) 정보 저장 매체에서, 기록된 데이터 구조가 기록 가능한 기록 영역 및 엠보스 영역에서일치한다. 따라서, 기록 영역으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 회로 및 엠보스 영역으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 회로가 공통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재생 회로가 간소화되고, 저가로 제작될 수 있다.
(b)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에서도,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와 동일하게, "lead-in" 영역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장점과 [3]의 장점을 결합하면, "lead-in" 영역의 데이터 구조가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 및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에 대해 공통으로 이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a1)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 및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 양자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정보 재생 장치에서, "lead-in" 영역에 대한 재생 처리 회로가 양자의 정보 저장 매체에 대해 공통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로써, 정보 재생 장치가 간소화될 수 있으며, 저가로 제작될 수 있다
(b1) "lead-in" 영역의 구조는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 및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에 대해 동일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lead-in" 영역 내의 재생 신호 처리 회로뿐만 아니라, 트랙 오프셋 검출 방법이 공통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정보는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ROM 디스크),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이며 단지 1회만 기록 기록한 R 디스크, 및 재기록 가능한 RAM 디스크의 경우에 "lead-in" 영역에 기록된다. 따라서, "lead-in"으로부터의 데이터는 상이한 유형의 저장 매체에 공통적인 트랙 오프셋 검출 방법에 공통된 재생 신호 처리 회로에서 재생되며, 매체 식별 정보가 용이하고 신뢰도 높게 재생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하겠다.
도 1d는 정보 저장 매체(9)의 개요를 도시한다.
기록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9)에서, 정보가 미소 요철 형상에 의해 미리 기록되는 기록 가능한 기록 영역 및 엠보스 영역 즉, "lead-in" 영역(320) 등이 동일 평면 내에 존재한다. 정보 저장 매체(예컨대, 차세대 DVD-ROM, 차세대 DVD-R, 차세대 DVD-RW, 차세대 DVD-RAM)의 유형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lead-in" 영역(320) 내에 기록된다.
기록 영역에 기록 가능한 데이터의 구조와 엠보스 영역에 미리 기록된 데이터의 구조 모두는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및 중간 영역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다.
물리 섹터 데이터(5)의 32개의 항목(도 1b)이 모여서 1개의 ECC 블록(304)(도 1a)을 형성한다. 1개의 ECC 블록 내의 배치는 도 13a 내지 도 13e, 도 14a 내지 도 14e, 도 15a 내지 도 15d 및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4개의 물리 섹터 데이터가 1개의 세그먼트(305) 내에 비치되어, 사용자 데이터 기록 필드(303)(도 1c)를 형성한다.
또한, 중간 영역(301)이 1개의 세그먼트 영역(305)에 존재한다.
중간 영역(301)의 크기는 동기 프레임(308)의 정수배이다. PA 영역(311), VFO(Variable Frequency Oscillator) 영역(312) 및 PS 영역(313)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영역(301) 내에 존재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SY0 또는 SY4의 정보가 PA 영역(311)에 기록된다. SY0 또는 SY5의 정보, ECC 내의 위치 정보(314 또는 315) 및 이것들의에러 정정 코드(316 또는 317)가 도 2A 도시된 것처럼, PS 영역(313)에 기록된다.
도 1a 내지 도 2d는 판독 전용 정보 저장 매체의 구조 또는 기록 매체 내의 판독 전용 영역을 도시한다. 상기 구조는 기록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에서 기록 영역의 데이터 구조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기록 영역의 데이터 구조와 같이, 데이터 기록 또는 재기록은 세그먼트 영역(305)의 단위로 가능하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을 중간 영역(301a)의 중간 위치에서 개시하고, 중간 영역(301b)의 중간 위치에서 종료할 수 있다.
도 3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c에 도시된 세그먼트 영역(305) 내의 데이터 구조를 다시 그린 도면이다.
차세대 DVD-ROM에서, VFO 영역(312), PS 영역(313) 및 PA 영역(311)이 데이터(305)의 1 세그먼트 내에 배치되어 1 세그먼트 영역(305) 내의 동기 프레임 전체가 1개 동기 프레임 크기(고정 길이)가 된다. 연속 정보의 4개 항목[1 섹터(5)의 데이터 크기는 2048 바이트]이 도 3이 데이터 필드(303) 내에 존재하며, 데이터(305)의 1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데이터의 각 세그먼트에 대하여, VFO 영역(312) 및 PS 영역(313)이 그 직전에 배치되고, PA 영역(311)이 그 직후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데이터 구조의 기능 및 효과를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현행 DVD-ROM, DVD-R 및 DVD-RW의 데이터 구조에서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간 영역(301)이 존재하지 않는다. 현행 DVD-ROM, DVD-R 및 DVD-RW의 데이터 구조에서, 1 ECC 블록은 16개 항목의 물리 섹터 데이터(5)를 포함한다. 1개의 ECC 블록은 데이터가 배치되는 정보 저장 매체 상의 위치(321)를 차지한다.
또한, 1개의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위치가 동기 코드(10)의 정보 내용으로부터 검출되고,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헤드 위치에 기록된 ID 정보로부터 어드레스 위치가 해독된다. 따라서, 데이터 액세스 제어가 가능하다.
현행 DVD-ROM 및 DVD-R/RW에 대한 액세스 제어 방법이 도 4에 도시된다.
(a-1) 먼저, 정보 저장 매체(9) 상에 예측된 위치에 대한 러프(rough) 액세스가 수행되어, 정보 기록 및 재생부(41)(도 28)에 의해 액세스된 위치에서 데이터 재생이 개시된다.
(a-2) 동기 코드(110)의 위치가 검출되며, 물리 섹터 데이터의 헤드 위치가 검출된다.
(a-3) ECC 내 블록 위치(321)가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데이터 ID 1(또는 ID) 정보로부터 인덱싱된다.
(a-4) 다음 동기 코드(110)의 위치가 검출되며, 데이터 ID 1(또는 ID) 정보가 판독된다. 그 후에,
(a-5) (a-4)의 동작이 다음 ECC 블록 헤드 위치까지 반복된다.
결과적으로, (a-6) 정보 기록 및 재생부(41)가 정보 저장 매체(9) 상의 다음 ECC 블록 헤드 위치를 액세스하고, 정보 재생 및 에러 정정이 그로부터 개시된다. 이와 같이, 현재로는 정보 재생/에러 정정을 개시하는 ECC 블록의 헤드 위치에 액세스할 때까지 물리 섹터 데이터 정보(데이터 ID 1)를 항상 재생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 도 24 내지 도 31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ID 1(또는 ID) 정보가 스크램블링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재생시,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ID 1(또는 ID) 정보가 디스크램블링되는 경우에, ECC 블록의 헤드 위치에 액세스하는 데 더욱 많은 시간이 소용된다. 즉, 액세스 시간이 더 느려지는 문제를 낳는다.
이와 반대로,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항목의 물리 섹터 데이터(5)가 모여 세그먼트 영역(305)을 형성하고, 세그먼트 영역(305)을 단위로 액세스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액세스 처리가 용이해지고, 액세스 시간이 단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또는 정보 재생 장치의 구조가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다. 정보 재생 장치의 상세한 설명이 후술한다.
도 5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데이터 구조에 대한 액세스 처리 방법이 도 32 내지 도 37에 도시된다.
재생되는 데이터 범위의 지시가 인터페이스부(42)(단계 31)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 ECC 블록(304)의 재생 헤드 위치를 갖는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데이터 ID 1의 값이 계산된다(단계 32). 정보 기록 및 재생부(41)에서, 재생이 러프하게 액세스된 위치(단계 33)에서 개시된다.
정보 기록 및 재생부(41)에서, 헤드에 PA 영역(311)(도 2b)을 구비하는 중간 영역에 혼재된 데이터가 재생된다. 이 재생된 데이터가 동기 코드 위치 추출부(45)로 제공된다(단계 34). 동기 코드 위치 추출부(45)에서, 동기 프레임 위치 식별용 코드의 정렬 순서, 또는 SY4의 패턴이 직접 검출되며, PA 영역(311)의 위치가 검출된다. 중간 영역(301)의 위치가 상기 결과들로부터 검출된다(단계 35).
도 32 내지 도 34는 PA 영역(311)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액세스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5 내지 도 37은 PS 영역(313) 내의 ECC 내 위치 정보(314 또는 315)도 사용하여 액세스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 영역(311)의 정보만을 사용하여 액세스하는 경우에, 스크램블링된 상태이고 중간 영역(301) 직후에 배치된 물리 섹터 데이터(45-28)(도 5)의 데이터가 복조 회로(52)에 제공된다. 상기 복조된 데이터가 디스크램블링 회로(58)에 제공된다(단계 36).
물리 섹터 데이터(45-28)가 디스크램블링 회로(58) 내에서 디스크램블링된다. 헤드 위치에 존재하는 데이터 ID 1-0 및 데이터 IED 2-0(도 14c) 정보(디스크램블링 후의 정보)가 ID 및 IED 추출부(71)에 제공된다(단계 37). 데이터 ID의 에러 체크부(72)에서, IDE2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검출된 데이터 ID 1에 에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38, 단계 39).
에러가 존재하는 경우에, ECC 디코딩 회로(162), 에러 정정 처리 후의 데이터가 추출된다(단계 40a). 제어부(43)내에서, 재생 개시를 원하는 어드레스의 차의 크기를 데이터 ID 1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상이 차의 크기는 현재 트랙 위치가 소망하는 트랙 위치로부터 많이 벗어 낳는지를 판단한다(단계 40b). 단계 39에 에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단계 40b로 직접 이동한다.
상기 차의 크기가 큰 경우에, 재생 결과의 데이터 ID 1 값과 재생 개시 예정 섹터의 데이터 ID 1 값 사이의 차가 얻어진다. 정보 저장 매체(9) 상의 트랙 오프셋 크기가 제어부(143) 내에서 산정되고, 상기 결과를 기초로 조밀한 액세스(denseaccess)를 수행한다.
즉, 물리 섹터 데이터(45-28)의 정보가 검출되고, ECC 블록 내의 위치가 검출된다. 즉, 디스크램블링 회로(58)에서, 스크램블링된 상태에 있는 물리 섹터 데이터(45-28) 내의 데이터 ID 1 일부가 디스크램블링되고, ECC 블록 내의 위치가 인덱싱된다(단계 36). 이 경우에, 상기 검출된 데이터 ID 1의 값과 액세스하기를 소망하고 단계 32에서 인덱싱된 값 사이의 차가 큰 경우에(단계 40b), 조밀한 액세스가 다시 수행된다(단계 41).
단계 40b에서, 트랙 오프셋이 크지 않은 것이 명백한 경우에, 단계 42로 이동한다. 데이터 ID 1의 검출된 값 직후에, 제어부(43)는 단계 32(도달하기를 소망하는 위치를 도시함)에서 인덱싱된 세그먼트가 현재 위치 이후에 얼마나 존재하는 지를 산정한다. 상기 후방 위치는 다음 ECC 블록(322b) 헤드의 물리 섹터 데이터(45-32)에 해당한다(단계 42). 다음에, 제어부(43)가 단계 42에서 산정된 세그먼트(305)의 수만큼 통과하는 것을 확인하며(단계 43), 그 동안에, 정보 기록 및 재생부(41)는 상기 통과하는 정보 저장 매체(9)를 단계 34 및 단계 35의 방법을 이용하여 항상 모니터링한다. 즉, 정보 기록 및 재생부(41)는 미리 산정된 수의 세그먼트를 통과시킨다(단계 43).
정보 기록 및 재생부(41)가 소망하는 ECC 블록(322b)의 헤드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재생 데이터에서, 중간 영역(301)이 제거되고, 사용자 데이터 기록 필드(303) 내의 데이터만이 순차적으로 복조 회로(52), ECC 디코딩 회로(62) 및 디스크램블링 회로(59)로 제공된다. 주 데이터 추출부(73)에서, 사용자 데이터가 추출되어 인터페이스부(42)를 경유하여 외부로 제공된다(단계 44).
도 35 내지 도 37은 PS 영역(313)의 ECC 내 위치 정보(314 및 315)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위치에 액세스하는 경우의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단계 31 내지 단계 35의 프로세스는 도 32 내지 도 34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도 35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CC 블록 내의 PS 영역(313)의 ECC 내의 위치 정보(314 및 315)를 이용하여 액세스를 수행하는 경우에, PA 영역(311)의 위치가 인덱싱되고, 중간 영역(301)의 위치가 그 결과들로부터 검출된다(단계 35). 다음에, ECC 블록 내의 PS 영역(313)의 위치 정보(314 또는 315)가 판독되고, ECC 블록(304) 내의 중간 영역의 현재 위치가 검색된다(단계 51).
이어서, 해당 중간 영역(301)이 ECC 블록(단계 52)의 헤드 위치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 방법에서, 후부(後部)에 위치한 PS 영역(313)의 정보가 검출된다. PS 영역(313)의 헤드 정보가 SY0 또는 SY5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정보가 SY5인 경우에, 중간 영역(301)이 ECC 블록의 헤드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헤드 정보가 SY0인 경우에, 그 직후의 ECC 내의 위치 정보(315)가 검출되며, 해당하는 세그먼트가 ECC 블록(304) 내의 위치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해당 중간 영역(301)이 ECC 블록의 헤드 위치에 있지 않는 경우에, 단계 34 내지 단계 51의 프로세스에 의해, ECC 블록(304)의 헤드 위치에 배치된 중간 영역(301)이 재생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53).
실제로, 다음 ECC 블록(322b)의 헤드 위치까지 통과되어야하는 세그먼트 수가 산정되며, 상기 산정된 세그먼트 수에 의해 트래킹 방향으로 정보 기록 및 재생부(41)가 통과된다(단계 53). 이 부분이 도 32 내지 도 34, 및 도 35 내지 도 37에 도시된 프로세스와 상이한 점이다.
해당 중간 영역(301)이 ECC 블록의 헤드에 있는 경우에, ECC 블록 322b의 헤드 위치에서 스크램블링된 상태의 물리 섹터 데이터(45-32)의 데이터가 복조 회로(52)로 전송되어 복조된다. 이 복조된 데이터는 디스크램블링 회로(58)로 전송된다.
단계 37 내지 단계 41은,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된 프로세스와 동일하다. 단계 40b 후에 수행되는 단계 55에서, 단계 33 내지 단계 40b의 프로세스가 수행되며, 액세스 위치는 단계 32에서 결정된 ECC 블록(304)의 헤드 위치인 물리 섹터 데이터(45-32)의 위치에 도달한다. 액세스 위치가 상기 소망하는 위치에 도달한 후에, 단계 44로 이동한다. 전술한 도 3의 1개의 세그먼트의 데이터 배치 구조는 판독 전용 영역의 구조이다. 반대로, 도 6은 기록 가능 영역 또는 재기록 가능 영역에서 1개의 세그먼트의 데이터 배치 구조를 도시한다.
기록 가능한 차세대 DVD-R 또는 재기록 가능한 차세대 DVD-RAM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3의 구조를 따른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VFO 영역(312), PS 영역(313), 사용자 데이터 기록 필드(303) 및 PA 영역(311)이 1개의 세그먼트 영역에 포함된다. 그러나, 1개의 세그먼트 영역에서, VFO 영역의 크기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다. 즉, 실시예에 따라 VFO 영역의 크기가 상이하다.
예컨대, 도 7a 내지 도 7d 및 도 11a 내지 도 11d는 기록 가능 영역 또는 재기록 가능 영역 상에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갭(111)(미러 필드)이 VFO 영역(331 및 332) 사이에 존재한다. 또한,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갭(111)(미러 필드)이 VFO 영역(333) 직전에 존재한다. 즉, 도 11a 내지 도 11d의 실시예에서, PA 영역(311) 직후의 VFO 영역 크기가 "0"인 것을 의미하며, 갭(111)이 상기 PA 영역(311) 직후에 배치된다. 갭(111)이 제공되고, 스핀들(spindle) 모터의 불규칙한 회전에 기인하여 기록 종료 위치에서 변동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사용자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정보 저장 매체의 물리적 구조와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영역은 미앤더링(meandering)[워블링; wobbling] 연속 그루브(프리그루부; pregroove)가 나선형으로 제공되고, 기록 마크(127)가 연속 그루브(프리그루브) 상에 형성된다.
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 또는 재기록 가능 정보 저장 매체(9)에서, 연속 그루브(프리그루브)를 따라 세그먼트 영역(305)의 단위인 연속 기록 단위(110)의 기록 헤드 위치를 도시하는 마크(141)가 형성된다. 일반 워블 그루브 영역(143)과 상이한 워블링 패턴이 상기 마크(141) 이전에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패턴은 ECC 블록 내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즉, 헤드 위치 및 ECC 블록의 비헤드 위치의 패턴이 변화하는 데, 이것은 ECC 블록 헤드 위치가 고속으로 검출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미리 결정된 워블 주기 길의 기록 준비 영역(142)이 기록 헤드위치 설정용 마크(141) 근방에 존재한다.
기록이 연속 데이터 기록 단위(110)에서 개시되는 경우에, 먼저, 기록 헤드 위치 설정용 마크(141)가 검출되고, 워블 검출 신호가 기록 준비 영역(142)의 길이에 대해 계산된 후에, 기록이 개시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가능한 차세대 DVD-R 또는 재기록이 가능한 차세대 DVD-RAM은 갭(111)의 직후로부터 세그먼트 단위의 기록이 가능하다. 이 갭(111)은 기록된 데이터의 위상과 그후로부터 실행될 기록 처리에 의해 기록될 후속 기록 데이터간의 위상 오프셋을 분단하고, 데이터 처리 전후 사이의 위상 오프셋의 효과를 제거하도록 작용한다. 그 결과, 차세대 DVD-R에서는 "border-in", "border-out" 데이터를 기록하는 일없이 세그먼트 단위의 기록이 가능하다.
전술한 방법에 있어서, 연속 데이터 기록 단위(110)의 기록 헤드 위치는 고정된다. 그러나,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저장 매체(9)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의 불규칙적인 회전에 기인하여 연속 데이터 기록 단위의 실제 길이(110a)가 변하고, 갭(111)을 넘어 데이터 중첩부(116)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데이터 중첩부(116)(도 10b)가 이러한 방법으로 생성되는 때일지라도,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데이터 영역(303)의 데이터는 파괴되지 않는다. 이것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VFO 영역(312)이 항상 세그먼트 영역의 헤드에 배치되기 때문이다[중첩부(116)는 항상 VFO 영역(312) 내에 포함되도록 설정된다].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최악의 경우의 데이터 중첩부를 허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12a 내지 도 12e에 도시한다.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VFO 영역(334)의 크기 및 VFO 영역(335)의 크기는 미리 크게 설정되어, VFO 중첩 영역(338)(도 12c)은 스핀들 모터의 불규칙적인 회전이 없을 때일지라도 존재하도록 배치된다. 도 12b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와 새롭게 기록 또는 재기록될 데이터와의 사이의 시간축 방향의 배치관계를 도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데이터는 새롭게 기록 또는 재기록되고, VF0 영역의 일부는 중첩되게 기록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실시예의 데이터 구조는 갭(111)을 갖지 않는 판독 전용 영역의 데이터 구조와 일치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것은 판독 전용 영역과 기록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영역의 데이터는 동일한 재생 회로로 재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8 및 도 39는 기록 형태 또는 재기록 형태 정보 저장 매체(9) 상의 세그먼트 단위의 기록 또는 재기록 방법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 형태 또는 재기록 형태 정보 저장 매체(9)는 CLV (Constant Linear Velocity)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보 저장 매체(9)의 반경 방향으로, 세그먼트 단위에서의 기록 위치의 각도가 다르다.
따라서, 기록 위치의 지시를 받은 경우(단계 l1), 도 8과 도 9에 도시한 기록 헤드 위치 결정용 마크(141)의 회전 방향에서의 각도 위치가 예측될 필요가 있다(단계 12). 또한, 도 6에 도시한 PS 영역(313)과 PA 영역(311)의 정보는 인터페이스부(42)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이 데이터는 동기 코드 선택부(47) 내에서 작성된다(단계 14).
대충의 액세스 후에, 정보 저장 매체(9) 상의 예정된 각도 위치에 기록 헤드위치 결정용 마크(141)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된다(단계 16). 이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장치의 정보 재생 위치가 예정된 트랙에 도달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그루브(pregroove)의 동요(動搖) 패턴은 ECC 블록 내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이 동요 패턴의 차이가 검출되고, ECC 블록의 헤드 위치가 결정되며(단계 21), 기록 처리의 준비가 실행된다. 정보 기록 재생부(41)가 정보 저장 매체(9) 상의 기록 헤드 위치용 마크(141)의 후단부를 통과한 후, 기록 준비 영역(142) 내에서의 동요의 수가 카운트되고, 기록 처리의 준비가 실행된다(단계 17). 여기서, 소정의 카운트 수만 동요를 통과한 때, 그 직후에 세그먼트 단위에 대해 기록이 실행된다(단계 18).
기록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단계 19),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 루틴은 단계(단계 16)로 되돌아간다. 루틴이 종료된 경우, 단계(단계 20)로 이행한다.
도 20a 내지 도 2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 섹터 데이터(5)(도 13a 내지 도 13e, 도 14a 내지 도 14e 및 도 15a 내지 도 15c 참조) 내의 동기 코드(110)와는 다른 동기 패턴에 의해, 중간 영역(301) 내의 PA 영역(311)과 PS 영역(313)의 패턴이 설정된다. 도 2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프레임 위치 번호(115)로서 SY0 내지 SY3을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동기코드(110)로서 사용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PA 영역(311)의 패턴으로서는 SY0 또는 SY4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세그먼트가 ECC 블록 내의 헤드 위치에 있을 때에는 SY5의 패턴이 PS 영역(313)의 헤드 위치의 패턴으로서 이용되며, 상기 세그먼트가 비 헤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SY0의 패턴이 이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1b의 부분에 도시한 SY0 내지 SY3의 구체적인 패턴 내용은 도 20c에 도시한 내용과 일치한다. 도 21a 내지 도 21c에 도시한 동기 코드 배치 방법은 1 개의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1 개소에만 SY0이 배치되고, 동일 물리 섹터 데이터(5)의 헤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단지 SY0을 검출함으로써 물리 섹터 데이터(5)의 헤드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기 패턴의 수를 종래의 DVD-ROM, DVD-RW 및 DVD-RAM에 비교해서 SY0 내지 SY3인 4 개의 종류로 삭감하고, 동기 코드의 패턴을 이용하여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위치 검출 처리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코드(110)와 변조 후의 동기 프레임 데이터(106)를 맞춘 데이터 크기인 동기 프레임(308)은 항상 일정하고 116 채널 비트로 되어 있다. 이 고정 길이 동기 프레임(308)과 중간 영역(301)의 데이터 크기는 서로 일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2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1a에서 임의로 추출한 연속하는 3 개의 동기 코드(110)의 조합은 동일 물리 섹터 데이터 내의 위치에 따라 모두 다르다. 이 기술을 이용하여, PA 영역(311)을 포함한 각 동기 코드(1l0)의 배치 순서를 이용하여 동일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위치뿐만 아니라, 중간 영역(301)의 위치까지 검출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도 22와, 도 23에 위치 검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다. 예컨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SY1→SY3→SY1의 배치 순서가 검출된 경우에는 도 21b에 도시한 배치 순서로부터 SY1 직후의 변조된 동기 프레임 데이터가 106-6임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SY0→SY0→ SYl 인 경우, 즉 SY0가 2 회 연속하여 계속되는 경우, 도 2a 또는 도 20a 내지 도 20c로부터 최초의 SY0은 중간 영역(301)에 속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SY4→SY0→SYl 인 경우, 즉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에서는 존재할 수 없는 패턴 SY4가 검출된 경우에는 3 개의 패턴의 관계를 조사하지 않고, SY4는 중간 영역(301) 내의 PA 영역(311)의 패턴을 나타내고 있음을 곧바로 판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3a 내지 도 13e, 도 14a 내지 도 14e, 도 15a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ECC 블록(도 13a 내지 도 16c), 1 개의 물리 섹터 데이터 내의 동기 프레임 구조(도 17a 내지 도 19d), 동기 코드(110)(도 20a), 1 개의 물리 섹터 내의 동기 코드의 배열예(도 21a)의 설명을 할 것이며, 동기 코드 내의 동기 프레임 위치 식별 배치 순서로부터 1 개의 물리 섹터 데이터 내의 동기 프레임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도 22도 및 도 23)도 설명한다.
또한, 정보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되는 공통 데이터 구조의 다른 예(도 24, 도 25, 도 26, 도 27),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기록계의 구성(도 28),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계의 구성(도 29), 스크램블링 회로의 내부 구조(도 30), 디스크램블링 회로의 내부 구조(도 31)를 설명한다.
도 1c에 도시한 정보 저장 매체(9)의 물리 섹터 데이터 5-0, 5-1,···의 배열을 도 13d에 도시한다. 하나의 물리 섹터 데이터는 복수의 행으로서의 데이터 0-0-0, 0-0-1, 0-0-2,…와, 각 행에 부가되어 있는 내부 코드 패리티 PI 0-0-0, PI0-0-1, PI 0-0-2,···와, 12 번째 행 후의 다음 한 행에 부가된 외부 코드 패리티 PO 0-0을 포함한다.
다른 물리 섹터 데이터도 동일한 데이터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전술한 각 물리 섹터는 도 13b 내지 도 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리 섹터 정보 103-0, 103-1, 103-3,…에 대응하는 섹터로서 정의된다. 또한, 논리 섹터 정보는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비디오 팩 또는 오디오 팩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정의된다. 도 13a는 비디오 팩(10la), 오디오 팩(102a), ㆍㆍㆍ 등의 팩열을 나타낸다. 도 13b는 각 팩에 대응하는 논리 섹터 정보(103-0, 103a-1, 103-2···)를 나타낸다.
도 14a 내지 도 14e에는 도 13c에 도시한 데이터의 내용이 더욱 상세하게 묘사된다. 데이터 0-0-0 은 첫 번째 행에 대응하는 데이터이다. 데이터 0-0-1 은 그 다음 행에 대응하는 데이터이다.
도 14c는 하나의 논리 섹터 정보(103-0)가 스크램블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스크램블된 논리 섹터 정보는 12 행의 정보로 분할되어, 각각의 행(이 예에서는 12행)에는 PI 정보가 부가된다. 첫 번째 행에는 데이터 ID, IED, CPR_MAI가 부가되어 있다. 또한, 이 논리섹터의 최후의 행(13 번째 행)은 PO 정보로 되어있다.
도 15a 내지 도 15c와 도 16a 내지 도 16c는 물리 섹터 데이터와 ECC 블록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ECC 블록은, 데이터가 정보 저장 매체(9)에 기록된 때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하는 단위이며, 정보 저장 매체(9)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여 에러 정정을 행하는 경우에 취급하는 단위이다.
도 15a(도 14e와 도 1b에 대응함)에 도시한 데이터 어레이는 이 데이터 어레이가 ECC 블록으로서 구축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모든 다른 물리 섹터 데이터는 선택되어, 제1의 소 ECC 블록(7-0)과 제2의 소 ECC 블록(7-1)에 배치된다(도 16a 내지 도 16c 참조).
이 예에 있어서, 하나의 물리 섹터 데이터는 13 열로 이루어진다. 이들 열 중에서 하나의 열은 PO 정보의 일부이다. ECC 블록의 각 열은 데이터 0-0-0, 0-0-1, 0-0-2,···로서 기록된다. 하나의 소 ECC 블록은 31 개의 물리 섹터 데이터로부터 형성된다. 62 개의 물리 섹터 데이터(2 개의 소 ECC 블록)는 예컨대, 짝수 섹터 데이터와 홀수 섹터 데이터로 나누어진다. 짝수 섹터 데이터에 의한 블록과, 홀수 섹터 데이터에 의한 블록 각각에 대하여 P0 정보가 작성된다. P0 정보는 복수의 물리 섹터로 구축된 1 ECC 블록 단위로 작성되고, 각 물리 섹터에 1 열에 1열씩 분산되어 있다. 즉, 소 ECC 블록 단위로 31 열의 PO 정보가 작성되지만, 이 PO 정보는 31 개의 데이터 블록에 1 열에 1열씩 분산되어 있다. 1 개의 데이터 블록은 12 열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17a 내지 도 17d, 도 18a 도 18c, 도 19a 내지 도 19d는 1 개의 물리 섹터 데이터 내의 동기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c에 도시한 섹터 블록(1 열의 PO 정보를 포함하는 13 열분의 데이터에 상당함)은 도 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프레임 데이터(105-0, 105-1,…)로 분할된다(전부 26 (= 13×2)개). 동기 프레임 데이터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동기 코드가 부가된다. 즉, 각 동기 프레임 데이터의 헤드에는 동기 코드가 부가된다.
즉, 도 18a와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프레임 데이터(106)의 사이에 동기코드(110)가 삽입된다. 도 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코드(110)는 예컨대, 가변 코드 영역(112), 고정 코드 영역(111), 가변 코드 영역(113)으로 형성된다. 각 영역은 도 19d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내용을 갖는다.
데이터 구성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는 2048 바이트 단위로 비디오 팩(101)과 오디오 팩(102)의 형태로 정보 저장 매체(9) 상에 기록된다. 이 2048 바이트 기록 단위는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리 섹터 정보(103)로서 취급된다.
현행의 DVD 규격에 있어서는, 이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ID(l-0), IED(2-0), CPR_MAI(8-0)가 부가된다.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한 ECC 구조에 대응한 PI(내부 코드의 패리티) 정보와 PO(외부 코드의 패리티)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는 26 등분되어 도 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프레임 데이터(105-0 내지 105-25)를 형성한다. 이 경우, PO 정보 또한 둘로 나누어진다.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PO 정보가 2 분되어 PO 0-0-0과, PO 0-0-1로서 표시되고 있다.
각 동기 프레임 데이터(105)를 변조하여,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조된 동기 프레임 데이터(106)의 사이에 동기 코드(110)를 삽입한다. 변조 방법은 일반적으로 (d, k ; m, n)으로 표현된다. 이 기호의 의미는 m 비트의 원래 데이터를 n 채널 비트로 변환하여, “0"이 연속하는 수가 (최소) d 개, (최대) k 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는 미국 특허 제6,300,886호에 도시된 변조 방식이 채용된 경우를도시한다. 이 변조 방식에서는 d=1, k=9, m=4, n=6이 된다.
동기 코드(110)는 고정 코드 영역(111)과 가변 코드 영역(112, 113)으로 분할되어, 가변 코드 영역(112, 113)은 도 1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조시의 변환 테이블 선택 코드(122)의 기록 장소와, 동기 프레임 위치 식별용 코드(123)의 기록 장소와, DC 억압용 극성 반전 패턴(124)의 기록 장소로 더욱 세밀하게 나누어지도록 구성된다(부분적으로는 기록 장소의 합체/분할도 포함한다).
여기서 말하는 변조란, 전술한 변조 규칙에 따라서, 입력 데이터를 변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이 변환 처리는 변환 테이블에 기재되어 있는 다수의 변조 데이터의 중으로부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변조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는 복수 개의 변환 테이블이 준비된다. 따라서, 변조 데이터가 변조시의 어떤 테이블을 이용하여 변환한 변조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필요하다, 이 정보가 변조시의 변환 테이블 선택 코드(122)이다. 이것은 동기 코드 직전의 변조 데이터의 다음에 오는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환 테이블을 나타낸다.
동기 프레임 위치 식별용 코드(123)는 동기 프레임이 물리 섹터 내의 위치의 프레임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이다. 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해서, 이 프레임은 전후의 복수의 동기 프레임 위치 식별용 코드의 배열 패턴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121)의 구체적 내용의 예를 도 20a 내지 도 20c에 도시한다.
동기 코드(110)의 위치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변조 후의 동기 프레임데이터(106) 내에는 존재할 수 없는 코드를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121) 내에 배치하고 있다. 변조된 동기 프레임 데이터(106)는 상기 (d, k ; m, n) 변조 규칙에 따라서 변조되어 있기 때문에, 변조된 데이터 내에는 0 이 연속하여 k+1 개 연속될 가능성은 없다. 따라서,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121) 내의 패턴으로서 0 이 연속하여 k+1 개 이상 계속되는 패턴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121) 내의 패턴으로서 0 이 연속하여 k+1 개 계속되는 패턴을 배치한 경우에는, 변조된 동기 프레임 데이터(106)의 재생시에, 1 개의 비트 시프트 오류가 발생하면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121)로서 잘못 검출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121) 내의 패턴으로서 0 이 연속하여 k+2 개 계속되는 패턴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 의 연속하는 패턴이 너무 길게 계속된다면, PLL 회로(174)에서의 위상 오프셋이 쉽게 발생한다.
현행의 DVD에서는 0 이 k+3 개 계속되는 패턴을 이용하고 있다(현행의 DVD의 변조 규칙은 (2,10 ; 8, 16)임). 따라서 현행 DVD보다도 비트 시프트 오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동기 코드 위치 검출 및 정보 재생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0 이 계속되는 길이를 k+3 개 이하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k+2 개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미국 특허 제6,229,459호와 그 설명문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조된 비트 패턴에 의해 DSV (Digital Sum Value)값이 변한다. DSV 값이 0 으로부터 크게 틀어진 경우에는 최적의 비트 패턴 위치로 0 으로부터 1 로 비트를 변화시킴으로써 DSV 값을 0 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DSV 값을 0 에 가깝게 하기 위한 특정 패턴을 갖은 DC 억압용 극성 반전 패턴(124)을 동기 코드(110) 내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6,300,886호에 도시한 변조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이하의 것들을 고려해야 한다. 즉, 복조 대상인 6 채널 비트 변조 데이터의 직후에 존재하는 "6 채널 비트된 데이터를 변조할 시에 사용한 변환 테이블의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복조 대상인 6 채널 비트의 복조를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동기 코드(110) 직후에 배치된 변조된 동기 프레임 데이터(106)의 최종 6 채널 비트 후에 와야하는 6 채널 비트의 변환 테이블의 선택 정보가 동기 코드(110) 내의 헤드의 "변조시 변환 테이블 선택 코드(122) 내에 기록된다. 즉, 변조시의 변환 테이블 선택 코드(122)가 동기 코드(110) 내에 존재한다.
이러한 변조시의 변환 테이블 선택 코드(122)는, 직전의 동기 프레임 데이터(106)의 최후의 6 채널 비트 다음에 와야하는 6 채널 비트 데이터를 위한, 변환 테이블 선택 정보이다. 이러한 변환 테이블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다음의 데이터를 복조할 때 사용되어야 하는 변환 테이블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기 코드(110)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0은, 동기 코드(110)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이다. 동기 코드(110)는, 가변 코드 영역(112)과 고정 코드 영역(111)을 지닌다. 가변 코드 영역(112)에는, 도 19에서 설명한 변조시의 변환 테이블 선택 코드(122), 동기 프레임 위치 식별용 코드(123), DC 억압용 극성 반전 패턴을 일체화한 데이터 구조를 배치한다.
예컨대, 동기 프레임 위치 식별용 번호로 0-5가 준비되어 있다. 번호 0-5는,동기 YS0-YS5에 대응한다. 또한, 변조시의 변환 테이블 선택 코드를 표현하기 위하여, 변환 테이블 번호 116이 준비되어 있다. 변환 테이블 번호=1인 경우의 패턴과, 변환 테이블 번호=0인 경우의 패턴으로 각각의 경우가 크게 구분되어 있고, DC 억압을 위한 패턴 A와 B가 준비되어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 프레임에 8 채널 비트가 할당되어 있고, 동기 프레임이 동기 프레임 SY0을 나타내는 경우, 동기 프레임은 "10000000", 또는 "10000000", 또는 "00010000", 또는 "00010010"이 동기 코드로 존재하게 된다. 여기에서, "10000000"인 것은 변환 테이블 번호=0이 사용되고 있고, "00010000", 또는 "00010010"인 것은 변환 테이블 번호=1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동기 패턴은 DSV에 따라 선택되고 사용된다.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121)는, 16 채널 비트가 할당되고, 예컨대 "1000000000000100"이다.
도 1c는 중간 영역(301)에 사용된 동기 패턴의 선택 모드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동기 코드와 다른 동기 패턴이, 중간 영역(301) 내의 PA 영역(311)과 PS 영역(313)의 동기 패턴으로 설정된다. 도 2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기 프레임 위치 번호(115)로서 SY0 내지 SY3을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동기 코드(110)로 사용되고 있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A 영역(311)의 동기 패턴으로 SY0 또는 SY4가 사용된다. 또한 PS 영역(313) 내의 헤드 패턴으로서 당해 세그먼트가 ECC 블록 내의 헤드 위치에 있을 때는 SY5 패턴을 이용하고, 헤드 위치에 있지 않을 때는 SY0 패턴을 사용한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물리 섹터 데이터 내의 동기 코드의 배치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동기 코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8 채널 비트의 동기 패턴과, 16 채널 비트의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121)를 합한 값인 24 채널 비트이다. 변조된 동기 프레임 데이터의 하나의 열은 1092 채널 비트이다. 도 21b는 도 21a의 데이터 어레이(도 19a의 데이터 어레이와 동일함)에서 변조된 프레임 데이터(106-0, 106-1, …)을 매트릭스 형태로 재배치함으로써, 동기 코드 위치를 보기 쉽게 만든다. 동기 코드와 변조된 동기 프레임 데이터의 채널 비트 길이를 동기 프레임 길이(308)[고정 길이의 116 채널 비트]이다. (이 형태는 도 2c에도 도시되어 있다.)
도 21b에 도시하고 있는 SY0 내지 SY3의 구체적인 패턴 내용은, 도 20c에 도시하는 패턴으로부터 선택된다. 도 21b에 도시하는 동기 코드의 배치 방법에 따르면, SY0가 1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하나의 장소에만 배치되고, 동일한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헤드 위치에 배치된다.
이렇게 해서, SY0를 검출하는 것만으로도, 물리 섹터 데이터(5)의 헤드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기 패턴의 수를 현행의 DVD-ROM, DVD-R, DVD-RW, DVD-RAM에 비하여 SY0 내지 SY3의 4가지 종류로 감소시키고, 동기 코드의 패턴을 이용하여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위치 검출 처리를 행할 수있다. 이렇게 해서, 위치 검출 처리가 간단하게 된다.
또한, 도 2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기 코드(110)와 변조된 동기 프레임 데이터(106)를 조합하는 데이터 크기인 동기 프레임(308)은 항상 일정하고, 1116 채널 비트이다. 또한, 고정 길이 동기 프레임(308)과 중간 영역(301)의 데이터 크기는 서로 일치한다.
다음으로,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동기 코드를 검출하고, 현재 재생산되는 데이터가 물리 섹터 내의 어느 위치에 있는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 기록 재생부(41)에 의해 재생된 변조된 동기 데이터는 동기 코드 위치 추출부(45)에 입력되고, 예컨대 동기 코드 위치 검출의 대상이 된다. 동기 코드 위치 추출부(45)에서는, 예컨대 패턴 매칭법에 의해,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121)(도 20a의 고정 코드 영역의 고정 코드)의 위치가 검출된다.
이런 방법으로, 동기 코드 위치가 검출되고, 동기 코드가 추출될 수 있다. 검출된 동기 코드(110)의 정보는 제어부(43)를 통하여,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메모리부(137)에 순차적으로 유지된다. 동기 코드(110)의 위치를 알게 되면, 변조된 동기 프레임 데이터의 위치도 알게 된다. 따라서, 동기 프레임 데이터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170)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동기 코드의 배치 순서를 조사해보면, 변조된 동기 프레임 데이터가 도 21b의 매트릭스 시스템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그것은 왜냐하면, 동기 코드가 도 21b에 도시하는 패턴(SY0→SY1→SY1→SY1→SY2→SY1→SY1→SY3→SY1→SY2→SY2→SY1→SY3→SY2→SY1→SY2→SY3→SY3→SY3→SY2→SY2→SY2→SY3→SY2→SY3→SY1)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도 23에서 임의로 추출한 연속하는 3개의 동기 코드(110)의 조합은, 동일한 물리 섹터 데이터 내의 위치에 의해 전부 다르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PA 영역(311)을 포함하는 각 동기 코드(110)의 배치 순서를 이용하는 동일한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의 데이터 위치뿐만 아니라 중간 영역(301) 내의 데이터 위치도 추출할 수 있다.
도 22에 위치 검출 방법의 한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컨대,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치 순서(SY1→SY3→SY1)가 검출된 경우에는 도 21b에 도시하는 배치 순서로부터 SY1 직후의 변조된 동기 프레임 데이터가 106-6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SY0→SY0→SY1이 검출된 경우, 즉 SY0가 2번 순차적으로 연속하는 경우, 도 2a에 도시하는 약속 또는 도 20c의 정보로부터의 최초의 SY0가 중간 영역(301)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SY4→SY0→SY1이 검출된 경우, 즉 물리 섹터 데이터(5) 내에 존재할 수 없는 SY4가 검출된 경우, 3개의 패턴의 결합을 조사하지 않고도, SY4가 중간 영역(301) 내의 PA 영역(311)의 패턴을 보여준다는 것을 즉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배치 순서(SY0→SY1→SY1)가 검출된 경우에는 도 21b에 도시하는 배치 순서로부터 SY0 직후의 변조된 동기 프레임 데이터가 106-1인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스트램블되는 변조 전의 섹터 데이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a 내지 도 13e 및 도 14a 내지 도 14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리 섹터 데이터가 스크램블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4c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물리 섹터 데이터 헤드의 데이터 ID, IDE, CPR_MAI는 스크램블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ID 1, IED 2, 특정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타입 3, 프리셋 데이터 4) 및 주 데이터(EDC를 포함함) 모두를 스크램블 처리하는 것도 좋다.
도 24의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타입 3, 프리셋 데이터 4)는 스크램블을 실행하기 위한 초기 데이터로 사용된다. 특정 데이터는 주 데이터(섹터 데이터)로부터 추출된다. 추출된 특정 데이터는 스크램블링 회로의 초기값(또는 트리거)으로 사용되어, 스크램블 처리가 실행되고, 주 데이터(섹터 데이터) 모두가 스크램블링된다. 스크램블된 데이터는 소정의 변조 규칙에 따라 변조되고, 그 후 위에서 설명한 동기 코드가 부가된다. 이러한 처리가 실행되는 데이터가 재기록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21)에 기록된다.
도 25는 위의 특정 데이터가 CPR_MAI(저작권 관리 정보)(8a)에 의하여 치환된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DVD-ROM에서는 CPR_MAI가 특정 데이터 부분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다른 처리는 도 24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26은 도 24의 기록 처리에 대응하는 재생 처리에 대한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재기록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21)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는 동기 코드(19a, 19b, 19c, …)와 복조되기 전의 데이터(15a, 15b, 15c,…)로부터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기 코드와 변조되기 전의 데이터가 분리되고, 변조되기 전의 데이터가 집합된다. 집합된 변조되기 전의 데이터는 소정의 복조 규칙에 따라 복조되고, 스크램블될 데이터(17)로 집합된다. 도 2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데이터가 스크램블되어서, 데이터(17)에 포함된다. 이 스크램블된 특정 데이터는 미리 배열된 소정의 위치로부터 추출된다. 디스크램블부는 스크램블된 특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크램블된 데이터(17)를 디스크램블한다. 디스크램블 처리로 인하여, 도 24에 도시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된다(원래의 데이터가 복원된다).
도 27은 도 25의 기록 처리에 대응하는 재생 처리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위의 특정 데이터가 CPR_MAI(저작권 관리 정보)(8a)만으로 치환된 경우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DVD-ROM에서는 CPR_MAI가 특정 데이터 부분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다른 처리는 도 26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28은 기록 시스템, 특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기록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그것은 재기록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 또는 판독 전용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한 정보 기록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기록을 위한 주 데이터(소스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 (42)를 통하여 소정의 정보 가산부(68)에 공급된다. 소정의 정보 가산부(68)에서, 소스 데이터는 섹터 단위로 세분화되고, 세분화된 섹터 데이터는 도 24 또는 도 25의 주 데이터(6)부에 배열 저장된다.
기록에 사용된 매체가 재기록 가능한 정보 매체(21)인 경우, 소정의 정보 가산부(68)에 있어서, 주 데이터(6) 부분의 앞쪽에 섹터 데이터 ID 1, IED 2, 데이터 타입(3), 현재 데이터(4) 및 예약 영역(5)이 부가되고, 주 데이터(6) 부분의 뒤쪽에 EDC(7)가 부가된다. 이 때 부가되는 데이터 ID 1은 데이터 ID 발생부(65)로부터 얻어지고, 프리셋 데이터(4)는 프리셋 데이터 발생부(66)로부터 얻어진다. 프리셋 데이터 발생부(66)는 "랜덤 넘버 발생 기능"을 지니고 있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랜덤 넘버를 프리셋 데이터(4)로 항상 발생할 수 있다. 프리셋 데이터 발생부(66)가 프리셋 데이터의 하위 n 비트도 개별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발생된 하위 n 비트 동기 코드 선택키의 일부로서 동기 코드 선택부(46)에 전송된다.
한편, 기록에 사용된 매체가 판독 전용 정보 매체(22)인 경우는, 소정의 정보 가산부(68)에 있어서, 주 데이터(6) 부분의 앞쪽에 섹터 데이터 ID 1, IED 2, 저작권 관리 정보(8; 8a 및 8b)가 부가되고, 주 데이터(6) 부분의 뒤쪽에 EDC(7)가 부가된다. 이 때 부가되는 데이터 ID 1은 데이터 ID 발생부(65)로부터 얻어지고, 저작권 관리 정보(8; 8a 및 8b)는 저작권 관리 정보 데이터 발생부 (67)로부터 얻어진다. 저작권 관리 정보 데이터 발생부(67)도 또한 저작권 관리 정보의 하위 n 비트도 개별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발생된 하위 n 비트 동기 코드 선택키의 일부로서 동기 코드 선택부(46)에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위 n 비트의 "n"은 1 내지 8 비트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소정의 정보 가산부에서 발생된 도 24에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의 섹터 데이터는 데이터 배치 부분 교환부(또는 데이터 추출부)(63)로 공급데이터 배치 부분 교환부(63)는 공급된 섹터 데이터의 특정 데이터 폼을 추출한다.
추출된 특정 데이터와 전체 섹터 데이터는 스크램블링 회로(57)에 전송된다. 스크램블링 회로(57)는 섹터 헤드로부터 섹터 테일에 이르는 전체 섹터 데이터에 대하여 샘플링 처리를 행한다.
이렇게 스크램블 처리된 섹터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ECC 인코딩 회로(61)에 공급된다. ECC 인코딩 회로(61)는 입력 섹터 데이터(예컨대, 16 섹터 내지 32 섹터의 섹터 데이터)의 소정의 개수로 ECC 인코드한다.
ECC-인코드된 데이터는 변조 회로(51)에 공급된다. 변조 회로(51)는 변조를 위한 변환 테이블(53)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공급된 데이터에 소정의 변조(예컨대, 8/16 변조 등, 변조가 이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를 실행한다. 변조된 데이터는 데이터 합성부(44)로 공급된다.
데이터 합성부(44)로 공급된 변조된 데이터 중에서 각 섹터의 말미 부분의 변조된 데이터(예컨대, 6 채널 비트)에 대하여, 그 DSV(Digital Sum Value)의 값이 DSV값 계산부에서 계산된다. 계산된 DSV 값은 동기 코드 선택부(46)로 공급된다.
동기 코드 선택부(460은 DSV값 계산부(48)에서 계산된 DSV값과, 프리셋 데이터 발생부로부터의 하위 n 비트 데이터 또는 저작권 관리 정보의 데이터 발생부 (67)로부터의 하위 n 비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기 코드 선택 테이블 기록부(47)에 기록된 여러 종류의 동기 코드 테이블로부터 특정의(최적의) 동기 코드를 선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섹터 내의 동일한 장소(예컨대, 헤드 위치)에 동일 코드(19a 또는 19e)에 대한 동기 코드 테이블을 4 종류 이상(예컨대, 8 종류) 사용하는 것도 좋다. 그렇게 하면, 각 섹터(33 또는 34)의 헤드 위치로 오는 동기 코드의 비트 패턴을 복수개의 종류(예컨대, 8 종류)가 이용될 수 있다.
동기 코드 선택부(46)에 의해, 동기 코드 테이블 기록부(47)로부터 선택된 동기 코드 테이블의 동기 코드는, 데이터 합성부(44)에 있어서, 변조 회로(51)로부터의 변조 데이터와 번갈아 배치된다.
그렇게 구성된 데이터는 재기록 가능한 정보 매체(21; 상변화 기록 방식을 채용하는 RAM 디스크, RW 디스크 등)에 기록된다.
한편, 합성된 데이터가 판독 전용 정보 매체인 경우, 그 데이터는,
(a) ROM 디스크의 원판 기록부에 의해 ROM 디스크 복제용 원판에 커팅되거나,
(b) 정보 기록 재생부(41)에 의해, 일단 기록된 후에는 재생 전용으로 되는 R 디스크(기록 레이저 조사 부분의 반사율이 영구적으로 변화하는 색소를 이용한 디스크) 상에 프린트된다.
상기 장치의 각 블록 요소의 동작은, 제어부(43) 내의 ROM에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그 중의 RAM을 작업 영역으로 사용하여, 그 중의 MPU에 의해 제어되게 한다.
도 29는 재기록 정보 기록 매체 또는 판독 전용 정보 기록 장치에 대한 정보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정보 기록 재생부(또는 기록 기능이 없는 재생부)(41)에 의해 정보 기록 매체(21 또는 22)로부터 재생된 직후의 데이터 구조에 있어서, 예컨대 도 26의 실시예의 경우에, 변조되기 전의 데이터(15a, 15b, …)와 동기 코드(19a, 19b, 19c,…)는 혼재하여 배치된다. 재생부(41)에서 재생된 직후의 데이터는 동기 코드 위치 검출/추출부(45) 및 복조 회로(52)에 공급된다.
동기 코드 위치 검출/추출부(45)는 패턴 매칭 방법을 사용하여, 재생된 직후의 데이터로부터 각 섹터의 헤드 위치에서 동기 코드를 검색하고 검출한다. 헤드 위치의 동기 코드가 검출된 후, 그 섹터 내의 후속하는 동기 코드도 검출되고, 추출된다.
추출된 동기 코드의 정보는, 복조 회로(52)에 공급된다. 동기 코드 위치 검출/추출부(45)로부터의 동기 코드 정보에 의해, 재생부(41)로부터의 재생 데이터의 섹터 헤드 위치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섹터 내의 동기 코드 위치도 알 수 있다.
복조 회로(52) 내에서, 섹터에 포함된 동기 코드는 동기 코드 위치 검출/추출부(45)로부터의 동기 코드 정보에 의해 삭제된다. 삭제된 후, 섹터 내에 남아 있는 변조된 후의 데이터(8/16 변조된 것임)는 변조용 변환 테이블(54)로부터의 복조 정보에 기초하여 복조된다.
복조 회로(52)에서 복조된 데이터는 디스크램블링 회로(58)와 ECC 디코딩 회로(62)에 공급된다. 디스크램블 처리는 도 26 및 도 27에 설명되어 있다.
즉, 디스크램블된 데이터의 소정의 범위 내에 특정 데이터의 정보가 있다. 디스크램블링 회로(58)는, 우선 스크램블된 특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ID, IED의 부분을 디스크램블한다. 디스크램블된 데이터 ID, IED는 데이터 ID부 & IED부 추출부(71)에서 추출된다. 데이터 ID부 & IED부 추출부(71)는 데이터 ID, IED를 제어부(43)에 전송한다. 제어부(43)는 순차적으로 얻어진 데이터 ID를 감시한다.
디스크램블된 데이터 ID 1의 정보 내용에 의하여, 제어부(43)의 MPU는 트랙-외 검출을 행할 수 있다.
트랙-외 검출이 있는 경우, 단기간 내에 다시 정보의 판독을 행할 수 있다.
복조 회로(52)에서 복조된 데이터는 ECC 디코딩 회로(62)에도 공급된다. ECC 디코딩 회로(62)는 소정의 개수(16 또는 32) 만큼의 섹터를 하나의 ECC 블록에 묶고, ECC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드함으로써, 그것을 디스크램블링 회로(58, 59)에 전송한다.
디스크램블링 회로(59)에서는 주 데이터부 전체의 디스크램블이 행해진다. 이 때, 먼저 추출된 특정 데이터를 스크램블에 사용한다. 이 처리는 트랙-외가 없다고 검출된 경우에 행해진다.
사용 매체가 재기록 가능한 정보 매체(21)인지 또는 판독 전용 정보 기록 매체(22)인지에 대한 식별은, 매체의 특정부(디스크 매체의 내부 주변부)에 기록된 매체 식별 정보(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디스크램블 처리한 후의 데이터는 데이터 배치 부분 교환부(64)로 공급된다. 데이터 배치 부분 교환부(64)는, 전송된 디스크램블 처리된 데이터 중에서 특정 데이터를 데이터 ID부 & IED부 추출부(71)로 전송한다.
디스크램블 처리된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 ID, IED는 데이터 ID부 & IED부 추출부(71)에 의하여 검출되고, 에러 체크된 후의 데이터 ID가 추출된다. 또한, 얻어진 각 섹터 데이터의 헤드 위치로부터 일정한 길이의 주 데이터(6)가 주 데이터 추출부(73)에 의해 추출되고, 인터페이스부(42)를 통하여, 외부로 공급된다.
도 29의 각 블록 요소의 동작은, 제어부(43) 내의 ROM에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그 중의 RAM을 작업 영역으로 사용하여 그 중의 MPU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도 32 내지 도 39에 설명하는 데이터 처리도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된다.
다음으로, 스크램블링 회로와 디스크램블링 회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0은 스크램블링 회로(57)를 도시하고, 도 31은 디스크램블링 회로(58)를 도시한다.
스크램블의 대상인 비트 어레이는 1 비트마다 8 비트(1 바이트) 단위로 처리된다.
스크램블링 회로(57)는 8 비트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와, 소정의 온/오프 패턴을 지니는 8-비트 스위치 어레이(93)와, 그 스위치 어레이(93)를 통하여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의 각 비트(r0-r7)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가산 회로 어레이(95)를 포함한다.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는 초기에 클리어(CLR)되고, 데이터 포트(DATA)에입력(A)이 없는 상태에서, 비트(r0-r7)가 모두 "0"이 된다.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는, 소정의 클록(CK)의 클록 타이밍에서 데이터 포트(DATA)로의 입력을 1 비트마다 수신하고, 수신된 비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비트(r0-r7)로 비트 시프트하는 동안 수신된 비트 데이터를 페치한다.
가산 회로 어레이(95)는,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의 비트(r0-r7)에 선택적으로 접속된 7 개의 직렬 접속 1-비트 어드레스와 1-비트 가산기의 누적 가산 결과와 스크램블 입력(A)을 1 비트 가산하여 출력하는 최종단 1 비트 어드레스 [어레이(95)의 우측 단부]를 포함한다. 그 최종단 1 비트 가산기로부터 스크램블 결과[스크램블 데이터(11a)]가 출력된다.
스위치 어레이(93)의 온/오프 패턴은, 도 31에 도시하는 스크램블링 회로(59)의 스위치 어레이(93)의 온/오프 패턴과 동일하다. 이러한 온/오프 패턴은 스크램블/디스크램블 처리에 대한 한 가지 종류의 키 정보가 된다.
스크램블링 회로(57)는 도 24 또는 도 25에 도시하는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입력 데이터의 경우〉
우선, 스크램블되어야 하는 섹터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특정 데이터(데이터 타입 3 및 프리셋 데이터 4의 초기 8 비트)의 헤드로부터, 최종단 1 비트 가산기[어레이(95)의 우측 단부]를 통하여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의 데이터 포트(DATA)에 공급된다. 이러한 특정 데이터 SD-A(8 비트의 0/1 비트 어레이)는, 그 헤드로부터 1 비트마다 클록(CK)의 타이밍에 동기되고,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의비트(r0-r7)에 순차적으로 페치된다.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의 각 비트(r0-r7)는 소정의 온/오프 패턴을 지니는 8 비트 스위치 어레이(93)를 통하여, 8개의 직렬 접속된 1 비트 가산기로 구성되는 가산 회로 어레이(95)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 회로 어레이(95)는, 스위치 어레이(93) 중에서 온되어 있는 위치의 시프트 레지스터 비트(예컨대, 비트 r7, r5, r3, r1)에 세트된(세트되기 전이라면 클리어된 상태의) 1 비트 데이터("0" 또는 "1")를 누적적으로 실시간으로 1 비트 가산(2진 가산)하고, 가산 결과(1 비트의 "0" 또는 "1")를 최종단의 1 비트 가산기[입력(A)이 주어져 있는 1 비트 가산기]에 입력시킨다. 그 최종단의 1 비트 가산기의 출력(1 비트 가산 결과)이, 입력(A)에 대한 초기 스크램블 결과의 비트이고, 스크램블된 데이터(11a)의 특정 데이터의 헤드가 된다.
마찬가지로, 클록(CK)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스크램블되기 전의 데이터 비트는 1 비트씩 직렬로 시프트 레지스터(91)에 페치된다. 그것과 동시에 병행하여, 클록(CK)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스크램블된 데이터 비트는 1 비트씩 직렬로 가산 회로 어레이(95)의 최종단 1 비트 가산기로부터 출력된다. 이렇게 해서 스크램블된 초기 8 비트 데이터의 출력이 끝나면, 쉬지 않고 즉시 다음의 8 비트가 마찬가지로 스크램블되고, 스크램블된 데이터 비트가 가산 회로 어레이(95)의 최종단 1 비트 가산기로부터 출력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후속하는 데이터(데이터 ID 1 이후)가 소정의 단위(8 비트, 즉 1 바이트)로 스크램블되고, 스크램블된 데이터(11a)로서 ECC 인코딩 회로(61)에 공급된다.
이렇게 해서 직렬로 얻어진 8 비트(1 바이트) 단위의 0/1 비트 어레이 중에서, 초기에 소정의 바이트수(예컨대, 1 바이트)로 구성된 특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부분은, 스크램블의 트리거로 사용된다. 그것은 기록 정보로서는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후의 기록 처리에서는 폐기(또는 무시)된다. 특정 데이터의 대응하는 폐기 부분과 동일한 내용은 그 후의 스크램블된 데이터에 포함되기 때문에, 그것들도 폐기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하는 입력의 경우〉
스크램블링 회로(57)의 회로 동작 자체는 도 24에 도시하는 입력 데이터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도 24에 도시하는 입력 데이터의 경우, 스크램블을 위한 트리거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프리셋 데이터(4)]에 포함되는 것에 비하여, 도 25에 도시하는 입력 데이터의 경우는 스크램블을 위한 트리거가 고정 데이터(저작권 관리 정보 CPR_MAI)라는 점에서 다르다. 도 24의 입력 데이터와 도 25의 입력 데이터에 대한 스크램블 트리거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스크램블링 회로가 사용된다고 하더라도, 도 24의 입력 데이터에 대한 스크램블된 데이터(11a)와 도 25의 입력 데이터에 대한 스크램블된 데이터(11b)는 다른 비트 어레이가 된다.
도 30의 스크램블링 회로(57)에 있어서, 가산 회로 어레이(95)는 처리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다(최종단 1 비트 가산기의 가산 결과가 다른 가산기의 입력으로 피드백되지 않음). 따라서, 스크램블 처리 중에 어떤 원인으로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그 에러가 8 비트 이상 확장되지는 않는다. 즉, 에러 전송 거리가 8 비트로 제한되기 때문에, 스크램블링 회로 동작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진다.
도 31은 디스크램블링 회로(58)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여기에서도, 스크램블링 회로(57)와 마찬가지로 디스크램블 대상이 되는 비트 어레이를 1 비트씩 8 비트(1 바이트) 단위로 처리하게 된다.
디스크램블링 회로(58)는 8 비트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와, 소정의 온/오프 패턴[도 30의 스위치 어레이(93)의 온/오프 패턴과 동일함]을 지니는 8 비트 스위치 어레이(93)와, 그 스위치 어레이(93)를 통하여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의 각 비트(r0-r7)에 선택적으로 접속된 가산 회로 어레이(95)를 포함한다.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는 최초에 소거(CLR)되고, 데이터 포트(DATA)로의 입력이 없는 상태로 되어, 모든 비트(ro에서 r7까지)가 "0"이 된다.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는 미리 정하여진 클록(CK)의 클록 타이밍으로 데이터 포트(DATA)로의 입력을 비트-대-비트로 수신하고, 비트가 r0 비트부터 r7 까지 순차적으로 시프트하는 동안 수신된 비트 데이터를 페치한다.
가산 회로 어레이(95)는 8개의 직렬 연결되고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의 비트들(r0부터 r7)에 선택적으로 접속된 1-비트 가산기를 가진다. 디스크램블된 비트 어레이는 헤드로부터 비트 r0에 선택적으로 접속된 최초-단계 1-비트 가산기(어레이(95)의 우측 말단)로 비트-대-비트로 입력된다. 가산 회로 어레이(95)의 1-비트 가산기들의 누적된 가산 결과는 최초-말단의 1-비트 가산기(어레이(95)의 좌측 말단)로부터 출력된다. ID(1), IED(2), CPR_MAIb(8b), 그리고 주 데이터(6a) 또는 ID(1), IED(2), 보호 영역(35), 그리고 주 데이터(6a)로 형성되는 디스크램블된 결과의 비트 어레이는 마지막-단계 1-비트 가산기로부터 얻어진다.
<디스크램블된 도 26에 도시된 데이터의 경우>
도 31의 디스크램블링 회로(58)는 스크램블된 데이터(17)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스크램블된 데이터 타입과 프리셋 데이터 위치의 데이터(23), 그리고 스크램블된 데이터(17)는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의 데이터 포트(DATA)로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이 데이터(8 비트의 0/1 비트 어레이)는, 클록(CK)의 타이밍과 동기되어, 헤드로부터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의 비트들(r0로부터 r7까지)에서 순차적으로 그리고 비트-대-비트로 페치된다.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의 비트들(r0에서 r7까지)은, 도 30의 스위치 어레이(93)와 동일한 온/오프 패턴을 가진 8-비트 스위치 어레이(93)를 통해서, 8개의 직렬 접속된 1-비트 가산기를 포함하는 가산 회로 어레이(95)에 접속된다. 가산 회로 어레이(95)는, 누적적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스위치 어레이(93) 중의 위치의 시프트 레지스터 비트에서의 1-비트 데이터("0" 또는 "1") 세트를 1-비트-가산하며, 마지막-단계 1-비트 가산기(레지스터 r7이 접속되는 좌측 말단의 1-비트 가산기)로부터 가산된 결과들(1비트의 "0" 또는 "1")을 출력한다. 마지막-단계 1-비트 가산기(1-비트 가산된 결과들)의 출력은 디스크램블된 데이터이다.
유사하게, 클록(CK)의 타이밍과 동기되어, 디스크램블링되기 전의 데이터 비트들은, 직렬적으로 그리고 비트-대-비트로, 시프트 레지스터(91)에서 페치되고, 그리고 가산 회로 어레이(95)의 우측 말단에서 1-비트 가산기로 입력된다. 클록(CK)의 타이밍과 동기되어, 디스크램블된 데이터 비트들은 직렬적으로 그리고비트-대-비트로 가산 회로 어레이(95)의 마지막-단계 1-비트 가산기로부터 출력된다. 최초 8비트 디스크램블된 데이터의 출력이 이러한 방식으로 완료되면, 휴지없이 즉시, 다음의 8 비트가 비슷하게 스크램블되고, 그리고 스크램블된 데이터 비트는 가산 회로 어레이(95)의 마지막-단계 1-비트 가산기로부터 출력된다. 그 이후, 유사하게, 미리 정해진 단위(8 비트, 즉, 1 바이트)로 후속 데이터가 디스크램블되고, 그리고 디스크램블된 출력 A가 얻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직렬적으로 얻어지는 8-비트(1-바이트) 단위의 0/1 비트 어레이 중에서, 최초의 미리 정해진 개수의 바이트들(예를 들어, 1 바이트)에 의해 구성된 특정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분이 디스크램블링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신호로 사용된다. 이것은 재생산 정보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후의 기록 프로세스에서 제거된다(또는 무시된다). 특정 데이터(SD-A)에 대응되는 제거된 부분과 같은 컨텐츠가 이후의 스크램블된 데이터에 또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제거된다.
<디스크램블되는 도 27에 도시된 데이터 18의 경우>
디스크램블링 회로의 회로 동작 자체는 데이터 17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데이터 17의 경우에는, 디스크램블링을 위한 트리거가 시변 데이터(프리셋 데이터 4)에 포함되며, 반면에 데이터 18의 경우는 디스크램블링을 위한 트리거가 고정된 데이터(저작권 관리 정보 CPR_MAI)라는 점에서 다르다.
이러한 디스크램블링 회로에서도, 가산 회로 어레이(95)는 처리 루프를 형성하지 않는다(마지막-단계 1-비트 가산기는 다른 가산기 입력으로 피드백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디스크램블링 처리에 어떤 이유에 의해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그러한 에러는 8 비트 또는 그 이상까지 확장되지는 않는다. 즉, 에러 전파 거리가 8 비트로 한정되기 때문에, 디스크램블링 회로 작동의 신뢰성은 개선된다.
<도 31의 실시예의 특징>
디스크램블링 회로(58)가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피드백 루프를 가진다면, 어떤 이유(정보 저장 매체(21/22) 내의 어떤 결함 및/또는 저장 표면의 먼지나 스크래치 등에 의한 효과)에 의하여 입력 데이터내에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는 피드백 루프의 순환 처리 작동에 의하여 이후의 처리에서 전파된다. 그러나, 만일 피드백 루프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에러가 입력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도, 에러의 위치는 피드백되지(순환되지) 않고,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를 통하여 지나간 이후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로부터 소멸될 것이다. 즉, 피드백 루프를 갖지 않는 회로 구조를 사용함에 의하여,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91)의 비트들의 개수와 같거나 그보다 큰 비트들에 대하여 에러는 전파하지 않는 특성(에러 전파 억제 특성)이 얻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 포맷(저장 데이터 포맷)의 개선, 또는 기록 방법이나 기록 정보의 정보 저장 매체로의 재생산 방법의 개선, 그리고 정보 재생산 장치 또는 정보 기록 및 재생산 장치의 개선이 얻어지고, 그리고 동기 코드의 위치 검출과 관계된 단순화를 목표로 하며, 동기 코드의 검출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이 효과적인 예들로서, 본 발명은 차세대 DVD 포맷, 차세대 DVD-ROM 기록 포맷, 차세대 DVD-R, DVD-RW 포맷, 차세대 DVD-ROM 과 DVD-R, DVD-RW 또는 DVD-RAM 사이의 호환성을 보장하는 기술로서 효과적이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술한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는 통신 장치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6)

  1. 판독 전용 저장 매체에 있어서,
    번갈아 배치되는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및 중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영역에는 적어도 동기화용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인 판독 전용 저장 매체.
  2.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기록용 제1 정보 단위인 섹터와,
    적어도 1개의 상기 섹터로서 형성되고, 기록용 제2 정보 단위이며, 동기화용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세그먼트와,
    적어도 1개의 상기 세그먼트로서 형성되고, 에러 정정의 블록 분할점으로서 동일한 분할점을 가지며, 기록용 제3 정보 단위인 에러 정정 블록
    을 포함하는 정보 저장 매체.
  3.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및 중간 영역이 번갈아 배치되고, 이 중간 영역에는 적어도 동기화용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용 정보를 상기 중간 영역으로부터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된 동기화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으로부터 재생된 정보의 처리를 동기화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정보 재생 장치.
  4.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 및 정보 저장 매체 내의 중간 영역을 번갈아 배치하는 수단과,
    적어도 동기화용 정보를 상기 중간 영역에 기록하는 수단과,
    청구항 3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
    를 포함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
  5. 기록용 제1 정보 단위인 섹터와, 적어도 1개의 상기 섹터로서 형성되고, 기록용 제2 정보 단위이며, 동기화용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세그먼트와, 적어도 1개의 상기 세그먼트로서 형성되고, 에러 정정의 블록 분할점으로서 동일한 분할점을 가지며, 기록용 제3 정보 단위인 에러 정정 블록을 포함하는 정보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동기화용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된 동기화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에러 정정 블록으로부터 재생된 정보의 처리를 동기화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정보 재생 장치.
  6.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록용 제1 정보 단위인 섹터를 배치하는 수단과,
    적어도 1개의 상기 섹터로서 형성되며, 기록용 제2 정보 단위인 세그먼트를 배치하는 수단과,
    적어도 1개의 상기 세그먼트로서 형성되고, 에러 정정의 블록 분할점으로서 동일한 분할점을 가지며, 기록용 제3 정보 단위인 에러 정정 블록을 배치하는 수단과,
    동기화용 정보를 상기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수단과,
    청구항 5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
    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20020053995A 2001-09-07 2002-09-07 광 기록 매체,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재생 장치 KR100547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71895A JP3559540B2 (ja) 2001-09-07 2001-09-07 多目的情報記憶媒体及び記憶方法及び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JPJP-P-2001-00271895 2001-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085A true KR20030022085A (ko) 2003-03-15
KR100547964B1 KR100547964B1 (ko) 2006-02-02

Family

ID=1909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995A KR100547964B1 (ko) 2001-09-07 2002-09-07 광 기록 매체,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재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190663B2 (ko)
EP (1) EP1291871A3 (ko)
JP (1) JP3559540B2 (ko)
KR (1) KR100547964B1 (ko)
CN (1) CN1282172C (ko)
TW (1) TWI25661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271B1 (ko) * 2004-04-23 2007-03-30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광 디스크 매체, 이를 사용하는 광 디스크 장치, 및 데이터기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604B1 (ko) 2001-03-09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생전용 광디스크와, 그 재생전용 광디스크 장치에서의재생방법
JP3964634B2 (ja) * 2001-06-14 2007-08-22 株式会社東芝 同期コード生成方法、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TWI348692B (en) 2002-06-05 2011-09-11 Lg Electronics Inc High-density optical dis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encrypted data thereon
CN100514482C (zh) 2002-06-05 2009-07-15 Lg电子株式会社 在高密度只读记录介质上形成的链接区域的结构及其制造/再现方法和设备
JP3782398B2 (ja) * 2003-02-19 2006-06-07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媒体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4253099A (ja) * 2003-02-21 2004-09-09 Toshiba Corp シンクフレーム構造、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JP2005135446A (ja) * 2003-10-28 2005-05-26 Sanyo Electric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5209322A (ja) 2003-12-26 2005-08-04 Nec Corp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情報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媒体
JP4102775B2 (ja) 2004-04-23 2008-06-18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情報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媒体
JP4239004B2 (ja) * 2004-04-27 2009-03-18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情報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媒体
EP2383739A1 (en) 2004-05-25 2011-11-02 NEC Corporation Optical disc recording system
JP2005339678A (ja) * 2004-05-27 2005-12-08 Ricoh Co Ltd 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4470692B2 (ja) * 2004-11-01 2010-06-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302362A (ja) * 2005-04-19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再生装置
JP2008112571A (ja) * 2007-12-21 2008-05-15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再生方法
CN101689379A (zh) * 2008-01-31 2010-03-31 株式会社建伍 用于判别光盘的方法、光盘装置及程序
JP2010205414A (ja) * 2010-05-17 2010-09-16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再生装置
JP2010205413A (ja) * 2010-05-17 2010-09-16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再生方法
JP5983077B2 (ja) * 2012-06-15 2016-08-31 ソニー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および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126A (en) * 1990-01-03 1994-07-26 Hitachi, Lt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optical disk apparatus using same
JPH0528649A (ja) * 1991-07-16 1993-02-05 Sony Corp サンプルサーボ方式の光デイスク及び光デイスク再生装置
JPH06176504A (ja) 1992-12-08 199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記録および再生方法
JPH07154385A (ja) 1993-11-29 199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妨害重畳情報処理装置
JP2786810B2 (ja) * 1994-03-16 1998-08-13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およびその信号記録装置ならびに信号再生装置
JP2882302B2 (ja) * 1995-02-24 1999-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JPH08251571A (ja) 1995-03-15 1996-09-27 Toshiba Corp 課金装置
JPH0927127A (ja) 1995-07-07 1997-01-28 Sony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US6208603B1 (en) * 1996-02-08 2001-03-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optical disk device, and method of reproducing information on optical disk
DE69704111T2 (de) * 1996-04-11 2001-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sche platte
CN1077710C (zh) 1996-06-04 2002-01-09 Lg电子株式会社 光盘及其记录/再现装置
JP3729364B2 (ja) * 1996-07-18 2005-12-2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記録媒体再生装置、記録媒体再生方法、記録媒体記録装置、および、記録媒体記録方法
EP0930611A4 (en) * 1996-09-26 2003-02-12 Sanyo Electric Co RECORDING MEDIUM AND CORRESPONDING REPRODUCING APPARATUS
CN1106641C (zh) * 1996-09-30 2003-04-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一种在盘上记录av数据的记录方法和信息处理系统
JP3845849B2 (ja) * 1996-10-18 2006-11-1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1116216A (ja) * 1997-06-19 1999-01-22 Sony Corp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11296911A (ja) * 1998-04-07 1999-10-29 Sony Corp 光ディスク、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トラッキング制御方法、フォーカス制御装置及びフォーカス制御方法
AU5416699A (en) * 1998-08-04 2000-02-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disc and apparatus for scanning the optical disc
JP3376295B2 (ja) 1998-09-30 2003-02-10 株式会社東芝 情報記憶媒体に対する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及び再生方法
EP2200032A3 (en) * 1998-09-18 2010-09-22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100276815B1 (ko) * 1998-11-25 2001-01-15 김대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변환중계 및 하드핸드 오프를 위한기지국내 캐리어 변환장치
JP4126834B2 (ja) * 1999-01-19 2008-07-3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記録媒体、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装置
JP3519309B2 (ja) 1999-04-28 2004-04-12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ディスク、光再生装置及び光記録装置
JP3089557B2 (ja) 1999-07-30 2000-09-18 ソニー株式会社 円盤状記録媒体
JP3850600B2 (ja) * 1999-10-15 2006-11-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ディスクおよび情報記録装置
HU230785B1 (en) 1999-10-20 2018-05-02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 carrier of a read-only type and read device
AU1860101A (en) * 1999-12-15 2001-06-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record carrier and scanning device
JP2001298719A (ja) * 2000-04-17 2001-10-26 Toshiba Corp 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提供ビジネス方法
CN1326126C (zh) * 2000-05-17 2007-07-11 日本胜利株式会社 信息记录媒体及其记录方法
JP3954280B2 (ja) * 2000-05-23 2007-08-08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と再生方法と再生装置
KR100727916B1 (ko) * 2001-05-02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JP3964634B2 (ja) * 2001-06-14 2007-08-22 株式会社東芝 同期コード生成方法、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3114817A (ja) * 2001-08-03 2003-04-18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及び情報記録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271B1 (ko) * 2004-04-23 2007-03-30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광 디스크 매체, 이를 사용하는 광 디스크 장치, 및 데이터기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21479A1 (en) 2007-05-31
US20030048722A1 (en) 2003-03-13
US7190663B2 (en) 2007-03-13
CN1410976A (zh) 2003-04-16
KR100547964B1 (ko) 2006-02-02
EP1291871A2 (en) 2003-03-12
JP2003085892A (ja) 2003-03-20
CN1282172C (zh) 2006-10-25
JP3559540B2 (ja) 2004-09-02
TWI256619B (en) 2006-06-11
EP1291871A3 (en) 200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964B1 (ko) 광 기록 매체,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재생 장치
US8014248B2 (en) Recording medium with a linking area including dummy data thereon and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recording, and reproducing the recording medium
EP1519379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ing the recording medium, and data recording method
JPH11250572A (ja) 光ディスク及びその記録方法
JP3808879B2 (ja) 多目的情報記憶媒体及び記憶方法及び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JP4153858B2 (ja) 多目的情報記憶媒体、データ構造、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記録方法
JP2006269073A (ja) 多目的情報記憶媒体及び記憶方法及び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KR20040049228A (ko) 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의 링킹 영역 데이터 기록 및재생방법과, 그에 따른 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
KR20040049227A (ko) 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의 링킹 영역 데이터 기록 및재생방법과, 그에 따른 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