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599A - 코 빼기 처리방법 및 코 빼기 처리된 편성포, 및 코 빼기처리를 위한 캐드장치 - Google Patents

코 빼기 처리방법 및 코 빼기 처리된 편성포, 및 코 빼기처리를 위한 캐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599A
KR20030019599A KR10-2003-7000944A KR20037000944A KR20030019599A KR 20030019599 A KR20030019599 A KR 20030019599A KR 20037000944 A KR20037000944 A KR 20037000944A KR 20030019599 A KR20030019599 A KR 20030019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needle bed
loop
nose
lo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647B1 (ko
Inventor
오카모토가즈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19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Abstract

편성포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에 대하여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에 연속하여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형성하고, 새롭게 형성된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다음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개는 편성을 코 빼기 영역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하여 반복하여 풀림 방지 처리하는 코 빼기 처리방법에 있어서, 코 빼기 영역에서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복수의 루프(2, 5)를 기점으로 하여 n개의 코 빼기 스티치열(11, 12)을 형성하고,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코 빼기하는 과정에서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갤 때에 각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3, 6)를 코 빼기 처리하는 진행 방향에서 n개 전방에 위치하는 웨일의 루프(4, 7)와 포갠다.

Description

코 빼기 처리방법 및 코 빼기 처리된 편성포, 및 코 빼기 처리를 위한 캐드장치{WELT-SEAMING METHOD AND WELT-SEAMED KNITTED FABRIC, AND CAD DEVICE FOR WELT-SEAMING}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편성포의 가장자리가 되는 최종 코스(最終 course)의 스티치열(stitch列)을 편성기 상에서 풀림을 방지하는 코 빼기 처리가 공지되어 있다. 코 빼기 처리는 편성포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에 대하여 편성포의 일단측(一端側)에서 타단측(他端側)을 향하여 인접하는 스티치(stitch)끼리 포개고, 이 더블 루프(double loop)에 다음 코스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성을 반복하여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편침(編針)으로부터 뺀다. 전후 각각의 니들베드를 이용하여 앞쪽 편성포와 뒤쪽 편성포가 전후로 포개지는 2층 편성포를 편성하고, 이 2층 편성포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에 대하여 코 빼기를 함으로써 양(兩) 편성포를 편성 종료측에서 접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웨터의 어깨부에서 이 코 빼기를 하여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을 접합하면 편성을 완료한 후에 봉제(縫製) 작업에 의하여 접합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스웨터의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과 같이 전후가 포개어진 상태로 편성되는 편성포를 접합하여 풀림 방지 처리하는 코 빼기에 관하여 본원 출원인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337946호 공보를 앞서 제안하였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337946호 공보에서는,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는 앞쪽 편성포와 뒤쪽 편성포의 스티치를 각각 일단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바늘로 코 이동한 후에 뒤쪽 편성포의 스티치를 앞쪽 편성포의 스티치에 포개고, 이 더블 루프에 연속하여 코 빼기 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성을 반복하여 코 빼기한다. 상기 코 빼기 방법에서는 앞쪽 편성포와 뒤쪽 편성포의 접합부를 따라 1열의 코 빼기 스티치열이 형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코 빼기 스티치열이란 코 빼기 처리를 할 때에 형성되는 체인 스티치(chain stitch)를 의미한다.
상기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337946호 공보의 코 빼기 방법에서는, 1열의 코 빼기 스티치열만이 형성되고, 코 빼기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수(loop數)는 코 빼기 영역의 웨일수(wale數)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편성포의 가장자리부의 스티치를 편성에 의하여 풀림 방지 처리하는 코 빼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코 빼기 장소를 보강함과 아울러 늘어짐을 억제할 수 있는 코 빼기 처리방법 및 코 빼기 처리된 편성포, 코 빼기 처리를 위한 CAD장치를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多數)의 바늘이 바늘 홈 내에 장착되는 니들베드(needle bed)를 적어도 전후(前後) 한 쌍으로 구비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하여 편성(編成)되는 편성포(編成布)의 가장자리의 풀림을 편성기(編成機) 상에서 방지하는 코 빼기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와 같이 하여 코 빼기 처리된 편성포 및 코 빼기 처리를 위한 CAD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실시예1을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2는 실시예1에 의하여 코 빼기된 편성포의 루프도이다.
도3은 실시예1에서의 편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실시예2에 의하여 어깨부가 코 빼기된 스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실시예2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6은 실시예2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7은 실시예2에 의하여 코 빼기된 편성포의 루프도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코 빼기 처리방법은, 적어도 전후(前後)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는 다수(多數)의 바늘을 구비하고, 전후로 대향(對向)하여 배치되는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 사이의 영역을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으로 하고,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一方)이 좌우(左右)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고,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의 바늘에 급사(給絲)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성포의 최종 코스(最終 course)의 스티치열(stitch列)에 대하여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loop)에 연속하여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형성하고, 새롭게 형성한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다음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개는 편성을 코 빼기 영역의 일단측(一端側)에서 타단측(他端側)을 향하여 반복하여 풀림 방지 처리하는코 빼기 처리방법에 있어서, 코 빼기 영역에서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복수의 루프를 기점(起点)으로 하여 n개의 코 빼기 스티치열을 형성하고,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코 빼기하는 과정에서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갤 때에 각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코 빼기 처리하는 진행 방향에서 n개 전방(前方)에 위치하는 웨일(wale)의 루프와 포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코 빼기 영역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복수의 루프를 기점으로 하여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형성하여 코 빼기 처리하는 진행 방향에서 n개 전방의 웨일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개는 편성을 반복하여 n개의 코 빼기 스티치열을 형성한다. 코 빼기 스티치열의 형성은 각 코 빼기 스티치열을 병행하여 형성하여도 좋고, 어느 1열의 코 빼기 스티치열을 연속하여 끝까지 형성한 후에 다른 코 빼기 스티치열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코 빼기 처리함으로써 코 빼기 장소에 복수의 코 빼기 스티치열이 형성되어 코 빼기 장소가 보강됨으로써 늘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형성되는 코 빼기 스티치열의 수나 루프 길이, 코 빼기 처리를 할 때에 형성되는 코 빼기 스티치열의 편성 회수의 조정에 의하여 코 빼기 스티치열의 길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코 빼기 처리하는 편성포가 제1니들베드에 부속되어 편성되는 제1편성포와 제2니들베드에 부속되어 편성되는 제2편성포가 전후로 포개어져 편성되는 2층 모양의 편성포로서, 제1편성포에서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를 제2니들베드 상에서 결합시키고, 제2편성포에서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를 제1니들베드 상에서 결합시키고, 연속하여 제1편성포 또는 제2편성포의 어느 일방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를 대향하는 니들베드 상으로 코 이동하여 제1편성포와 제2편성포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끼리 포개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상기한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제1편성포 또는 제2편성포의 어느 하나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가 뒤틀린 상태로 타방(他方)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개어져 코 빼기 장소가 돌출하지 않고 접합되어 풀림 방지 처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코 빼기 처리된 편성포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는 다수의 바늘을 구비하고, 전후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 사이의 영역을 니들베드 갭으로 하고,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의 바늘에 급사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하고 또한 코 빼기된 편성포로서,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를 기점으로 하여 복수의 코 빼기 스티치열이 형성되고,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가 2웨일 이상 떨어진 소정의 웨일마다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코 빼기 스티치열이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웨일수(wale數)보다 적은 코 빼기 루프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코 빼기 처리를 위한 CAD장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는 다수의 바늘을 구비하고, 전후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 사이의 영역을 니들베드 갭으로 하고,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의 바늘에 급사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성포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에 대하여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에 연속하여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형성하고, 새롭게 형성된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다음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개는 편성을 코 빼기 영역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하여 반복하여 풀림 방지 처리를 위한 CAD장치로서, 코 빼기 영역에서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복수의 루프를 기점으로 하여 n개의 코 빼기 스티치열을 형성하고,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코 빼기하는 과정에서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갤 때에 각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코 빼기 처리하는 진행 방향에서 n개 전방에 위치하는 웨일의 루프와 포개는 편성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1을, 평편포(plain knitted fabric)의 최종 코스를 코 빼기 처리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편성 코스도1, 루프도2 및 도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2에서는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stitch列) 이후의 루프(loop)만을 나타내고, 알파벳은 도1의 코스0에서 결합되어 있는 바늘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면(上面)에 다수의 바늘을 구비하는 니들베드(needle bed)를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전후(前後) 한 쌍 구비하고, 뒤쪽 베드(back bed)가 앞쪽 베드(front bed)에 대하여 좌우(左右)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2-베드 횡편기(two-bed 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하여 루프의 형성에 사용되는 바늘 사이에 코 이동용의 빈 바늘(empty needle)을 배치하지 않고 모든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 상에 코 이동용의 부재(部材)가 하부 니들베드(lower needle bed)와 같은 피치(pitch)로 배치되는 상부 니들베드(upper needle bed)를 구비하는 4-베드 횡편기(four-bed 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2-베드 횡편기에서 앞쪽 편성포의 편성에 홀수 번째 바늘을, 뒤쪽 편성포의 편성에 짝수 번째 바늘을 사용하고, 앞쪽 편성포 및 뒤쪽 편성포를 각각 바늘을 1개씩 걸러 사용하고, 앞쪽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뒤쪽 편성포의 루프를 모두 뒤쪽 베드의 바늘에 결합시키고, 뒤쪽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앞쪽 편성포의 루프를 모두 앞쪽 베드의 바늘에 결합시켜 편성하는 하프 게이지 편성(half gauge knitting)에 의하여 편성하여도 좋다. 하프 게이지 편성에서는 앞쪽 편성포를 앞쪽 베드에 부속시키고, 뒤쪽 편성포를 뒤쪽 베드에 부속시켜 편성함으로써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 상에 항상 코 이동용의 빈 바늘을 확보할 수 있고, 앞쪽 편성포 및 뒤쪽 편성포를 안쪽 스티치(front stitch) 또는 겉쪽 스티치(back stitch)로 하여 형성하거나 전후 베드를 래킹(racking)으로 조합함으로써 측방(側方)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편성하여도 좋다.
도1의 코스0은 코 빼기 처리를 시작하기 전을 나타낸다. 코스0의 바늘B∼J에 평편포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가 결합되어 있고, 바늘B∼J에 결합되는 루프를 좌단(左端)으로부터 우측 방향을 향하여 코 빼기 처리하고, 이하의 설명에서 코 빼기 처리의 진행 방향이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코스1에서는 급사구(給絲口)1에서 앞쪽 베드의 바늘B에 급사하여 코 빼기 영역의 측단 루프(側端 loop)2를 기점(起点)으로 하여 제1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3을 형성한다. 다음에 코스2에서는 루프3을 뒤쪽 베드의 바늘b로 코 이동하고, 코스3에서는 급사구1을 편성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루프3을 앞쪽 베드의 바늘D로 코 이동하여 코 빼기 처리의 진행 방향에서 루프2의 2웨일 전방(前方)에 위치하는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4와 포갠다. 코스4에서는 앞쪽 베드의 바늘C에 급사하여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5를 기점으로 하여 제2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6을 형성한다. 코스5에서는 루프6을 뒤쪽 베드의 바늘c로 코 이동하고, 코스6에서는 루프6을 앞쪽 베드의 바늘E로 코 이동하여 코 빼기 처리의 진행 방향에서 루프5의 2웨일 전방에 위치하는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7과 포갠다. 이후에 코스1∼6의 편성의 대상이 되는 루프를 코 빼기 처리의 진행 방향으로 이행하면서 새롭게 형성한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개고, 상기 더블 루프(double loop)에 급사하여 다음 코스의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형성하는 편성을 반복하여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를 순차적으로 코 빼기 처리한다.
도2 및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1에 의하여 코 빼기 처리된 편성포는, 바늘B·D·F…과 바늘을 1개씩 걸러 형성되는 루프가 포개어져 형성되는 제1코 빼기 스티치열11과, 바늘C·E·G…과 바늘을 1개씩 걸러 형성되는 루프가 포개어져 형성되는 제2코 빼기 스티치열12의 2열의 코 빼기 스티치열이 형성된다. 각 코 빼기 스티치열은 코 빼기 영역의 웨일수(wale數)와 같은 수의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형성하는 코 빼기 방법과 비교하여 2개의 코 빼기 스티치열을 형성함으로써 각 코 빼기 스티치열은 2분의 1의 루프에 의하여 형성되는 2열의 코 빼기 스티치열이 병행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2열의 코 빼기 스티치열이 형성되기 때문에 1열의 코 빼기 스티치열만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코 빼기 장소를 보강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2를 도4의 스웨터21의 어깨부를 코 빼기 처리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도4∼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4는 편성 대상이 되는 스웨터21의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스웨터21은 앞쪽 몸통22a와 뒤쪽 몸통22b가 전후로 포개어져 양단(兩端)에서 연속하는 통(筒) 모양의 몸통22와, 동일한 통 모양의 좌우의 소매23, 24가 겨드랑이25a, 25b로부터 어깨26a, 26b에 걸쳐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몸통22는 옷단 고무27로부터, 소매23, 24는 커프스(cuffs)28, 29로부터 편성이 시작되어 몸통22와 좌우의 소매23, 24를 각각 독립한 통 모양 편성포(tubular knitted fabric)로서 편성하고, 겨드랑이부25a, 25b에서 소매23, 24의 최종 코스의 루프를 몸통22의 측단부(側端部)의 루프와 포개면서 몸통22를 편성하여 소매23, 24와 몸통22를 접합하고, 접합을 완료한 후에 앞쪽 몸통22a와 뒤쪽 몸통22b를 어깨부26a, 26b에서 코 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합한다. 또한 어깨부26a, 26b에서 코 빼기 처리를 시작하기 전의 편성에 관해서는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의 소매23, 24와 몸통22의 접합이 완료되고, 연속하여 어깨부26a, 26b의 코 빼기를 시작하는 시점에서부터 설명한다. 또한 실제의 편성에서는 넥라인 개구(neckline opening)30을 사이에 두고 좌우의 어깨26a, 26b를 각각 코 빼기 처리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스웨터의 우측 어깨26a를 코 빼기하는 편성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깻죽지측에서 코 빼기 처리를 시작하여 넥라인 개구30을 향하여 코 빼기한다.
도5의 코스0에서는 앞쪽 베드의 바늘B∼G에 후에 코 빼기 처리되어 우측 어깨26a가 되는 앞쪽 몸통22a의 앞쪽 어깨부가, 뒤쪽 베드의 바늘b∼j에 뒤쪽 몸통22b의 뒤쪽 어깨부가 결합된다. 좌측이 어깻죽지측이고, 앞쪽 베드의 바늘H∼J가 넥라인 개구30이다. 코스1에서는 뒤쪽 어깨부의 측단 루프41을 앞쪽 베드의 바늘B에 결합되는 앞쪽 어깨부의 측단 루프42의 외측으로 코 이동한다. 코스2에서는 빈 바늘로 된 뒤쪽 베드의 바늘b로 앞쪽 어깨부의 측단 루프42를 코 이동하고, 코스3에서는 상기 뒤쪽 어깨부의 측단 루프41을 뒤쪽 베드의 바늘b로 되돌려 앞쪽 어깨부의 측단 루프42와 포갠다. 코스4에서는 급사구43에서 바늘b에 급사하여 앞쪽 어깨부와 뒤쪽 어깨부의 측단 루프의 더블 루프를 기점으로 하여 제1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44를 형성한다. 코스5에서는 급사구43을 편성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새롭게 형성한 루프44를 앞쪽 베드의 바늘D로 코 이동하여 앞쪽 어깨부의 루프45와 포갠다. 코스6에서는 코스1에서 코 이동한 루프41의 코 빼기 처리의 진행 방향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바늘c의 루프46을 앞쪽 베드의 바늘B로 코 이동한다. 코스7에서는 앞쪽 베드의 바늘C의 루프47을 뒤쪽 베드의 빈 바늘c로 코 이동하고, 코스8에서는 앞쪽 베드의 바늘B로 코 이동한 뒤쪽 어깨부의 루프46을 바늘c로 코 이동하여 앞쪽 어깨부의 루프47과 포갠다. 그리고 코스9에서는 급사구44에서 바늘c에 급사하여 상기 더블 루프를 기점으로 하여 제2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48을 형성한다. 코스10에서는 급사구44를 이동시킨 후에 새롭게 형성한 루프48을 앞쪽 베드의 바늘E로 코 이동하여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49와 포갠다. 이후에 코스1∼10의 편성을 코 빼기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편성의 대상이 되는 루프를 이행하면서 우측 어깨26a의 모든 루프의 코 빼기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한다.
실시예2에 의하여 코 빼기된 편성포를 도7에 나타낸다. 코스0에서 바늘B에 결합되어 있는 루프42와 바늘b의 루프41의 더블 루프에 새롭게 형성된 루프44가 바늘D 및 바늘d의 루프45, 51과 포개어지고, 마찬가지로 바늘C와 바늘c의 루프46, 47의 더블 루프에 새롭게 형성된 루프48이 바늘E와 바늘e의 루프49, 50과 포개어진다. 실시예2에 의하여 코 빼기 처리된 편성포는, 바늘B·b, 바늘D·d, 바늘F·f…과 바늘을 1개씩 걸러 형성된 루프와 포개어져 형성된 제1코 빼기 스티치열52와, 바늘C·c, 바늘E·e, 바늘G·g…과 바늘을 1개씩 걸러 형성된 루프가 포개어져 형성된 제2코 빼기 스티치열53의 2열의 코 빼기 스티치열이 형성된다. 제1코 빼기 스티치열52 및 제2코 빼기 스티치열53은 동일하게 코 빼기 영역의 웨일수의 2분의 1의 루프로 구성된다. 실시예2에서는 앞쪽 어깨부에서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를 뒤쪽 베드 상에 결합시키고, 뒤쪽 어깨부에서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를 제1니들베드 상에 결합시키고, 연속하여 앞쪽 어깨부에서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를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 상으로 코 이동하여 앞쪽 어깨부와 뒤쪽 어깨부에서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끼리 포개기 때문에 뒤쪽 어깨부에서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가 뒤틀려 앞쪽 어깨부의 루프와 포개어져 코 빼기 장소의 돌출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44, 48이 다른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와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51, 52, 50, 49 아래에 있기 때문에 웨일 방향의 다른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가 편성포 표면에 나타나지 않아 미관이 우수한 코 빼기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코 빼기 장소의 돌출을 피하고,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가 편성포 내에 있는 이유에 관해서는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337946호 공보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2에서는 2열의 코 빼기 스티치열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코 빼기 영역의 웨일수와 같은 수의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형성하는 코 빼기 방법과 비교하여 각 코 빼기 스티치열의 코스수(course數)가 2분의 1이 된다. 따라서 도4의 스웨터21과 같이 코 빼기 라인이 수평이기 때문에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에 의하여 연결되는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 사이에 코스 차이가 없는 경우에도 코 빼기 스티치열의 수를 늘림으로써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 사이의 간격보다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코 빼기 스티치열이 느슨해져 코 빼기 장소가 울퉁불퉁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형성되는 코 빼기 스티치열의 수나 루프 길이, 코 빼기 처리를 할 때에 형성되는 코 빼기 스티치열의 편성 회수의 조정에 의하여 코 빼기 스티치열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 빼기 스티치열의 수를 늘릴수록 코 빼기 장소가 보강되고, 코 빼기 처리를 할 때에 형성되는 코 빼기 스티치열의 편성 회수를 적게 하여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수를 적게 하는 경우에는 코 빼기 장소에서 편성폭이 촘촘한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코 빼기 라인이 수평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코 빼기 라인이 수평인 장소의 코 빼기 처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2열의 코 빼기 스티치열을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편성에 사용되는 편사(編絲)의 재질이나 형성되는 루프수에 따라서는 3열 이상의 코 빼기 스티치열을 형성하여도 좋다. 코 빼기 스티치열의 수를 늘림으로써 동일한 비율로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와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를 포개면 1열마다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수를 적게 할 수 있다. 3열의 코 빼기 스티치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코 빼기 처리의 진행 방향에서 3웨일 전방의 루프, 4열의 코 빼기 스티치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4웨일 전방의 루프와 포개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1루프 형성할 때마다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개었지만,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2루프 이상 형성할 때마다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개어도 좋다. 또한 코 빼기 처리에 복수의 급사구를 사용하고, 각각의 코 빼기 스티치열을 다른 급사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코 빼기 스티치열과 제2코 빼기 스티치열의 형성을 병행하였지만, 어느 하나의 코 빼기 스티치열을 먼저 형성한 후에 다른 코 빼기 스티치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코 빼기 영역의 좌단으로부터 우측 방향을 향하여 제1코 빼기 스티치열을 우단(右端)까지 연속하여 형성하고, 다음에 코 빼기 처리의 진행 방향을 반전(反轉)시켜 코 빼기 영역의 우단으로부터 좌측 방향을 향하여 제2코 빼기 스티치열을 연속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한 코 빼기 처리는 디스크(disk) 등에 저장된 편성명령을 횡편기에 내장(內藏)된 컴퓨터가 읽음으로써 실행되고, 횡편기의 컴퓨터는 편성명령을 해독하여 횡편기의 각 기구를 제어하여 구동한다. 코 빼기 처리를 포함하는 주된 편성방법은, 서브 루틴(subroutine)으로서 편성포의 디자인용 CAD장치에 저장된다. 이러한 종류의 CAD장치는 컴퓨터와 출력기기를 구비하여 디스크 등에 편성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CAD장치는 주된 편성명령을 서브루틴으로서 저장하고, 유저(user)가 디자인한 편성포의 각 부에 대응하는 서브루틴을 조합시켜 편성명령을 출력한다. 이 편성명령에는 편성포를 컴퓨터가 내장된 횡편기가 편성하기 위한 명령이 포함되어 있다. 횡편기가 내장된 컴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내장된 컴퓨터는 디스크 등에 저장된 편성명령을 해독하고, 편성명령은 CAD장치 상에서 유저가 디자인한 편성포의 디자인을 CAD장치가 해독하여 만든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 빼기 장소에 복수의 코 빼기 스티치열이 형성되어 코 빼기 장소가 보강됨으로써 늘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형성되는코 빼기 스티치열의 수나 루프 길이, 코 빼기 처리를 할 때에 형성되는 코 빼기 스티치열의 편성 회수의 조정에 의하여 코 빼기 스티치열의 길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Claims (5)

  1. 적어도 전후(前後)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는 다수(多數)의 바늘을 구비하고, 전후로 대향(對向)하여 배치되는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 사이의 영역을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으로 하고,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一方)이 좌우(左右)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고,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의 바늘에 급사(給絲)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성포의 최종 코스(最終 course)의 스티치열(stitch列)에 대하여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loop)에 연속하여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형성하고, 새롭게 형성한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다음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개는 편성을 코 빼기 영역의 일단측(一端側)에서 타단측(他端側)을 향하여 반복하여 풀림 방지 처리하는 코 빼기 처리방법에 있어서,
    코 빼기 영역에서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복수의 루프를 기점(起点)으로 하여 n개의 코 빼기 스티치열을 형성하고,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코 빼기하는 과정에서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갤 때에 각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코 빼기 처리하는 진행 방향에서 n개 전방(前方)에 위치하는 웨일(wale)의 루프와 포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빼기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코 빼기 처리하는 편성포가 제1니들베드에 부속되어 편성되는 제1편성포와 제2니들베드에 부속되어 편성되는 제2편성포가 전후로 포개어져 편성되는 2층 모양의 편성포로서,
    제1편성포에서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를 제2니들베드 상에서 결합시키고, 제2편성포에서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를 제1니들베드 상에서 결합시키고, 연속하여 제1편성포 또는 제2편성포의 어느 일방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를 대향하는 니들베드 상으로 코 이동하여 제1편성포와 제2편성포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끼리 포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빼기 처리방법.
  3.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는 다수의 바늘을 구비하고, 전후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 사이의 영역을 니들베드 갭으로 하고,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의 바늘에 급사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하고 또한 코 빼기된 편성포로서,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를 기점으로 하여 복수의 코 빼기 스티치열이 형성되고,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가 2웨일 이상 떨어진 소정의 웨일마다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4. 제3항에 있어서,
    각 코 빼기 스티치열이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웨일수(wale數)보다 적은 코 빼기 루프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5.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는 다수의 바늘을 구비하고, 전후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 사이의 영역을 니들베드 갭으로 하고,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의 바늘에 급사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성포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에 대하여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에 연속하여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형성하고, 새롭게 형성된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다음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개는 편성을 코 빼기 영역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하여 반복하여 풀림 방지 처리를 위한 CAD장치로서,
    코 빼기 영역에서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복수의 루프를 기점으로 하여 n개의 코 빼기 스티치열을 형성하고,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코 빼기하는 과정에서 최종 코스의 스티치열의 루프와 포갤 때에 각 코 빼기 스티치열의 루프를 코 빼기 처리하는 진행 방향에서 n개 전방에 위치하는 웨일의 루프와 포개는 편성 명령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D장치.
KR1020037000944A 2000-07-28 2001-07-19 코 빼기 처리방법 및 코 빼기 처리된 편성포, 및 코 빼기처리를 위한 캐드장치 KR100706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28738 2000-07-28
JPJP-P-2000-00228738 2000-07-28
PCT/JP2001/006328 WO2002010494A1 (en) 2000-07-28 2001-07-19 Welt-seaming method and welt-seamed knitted fabric, and cad device for welt-seam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599A true KR20030019599A (ko) 2003-03-06
KR100706647B1 KR100706647B1 (ko) 2007-04-11

Family

ID=1872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944A KR100706647B1 (ko) 2000-07-28 2001-07-19 코 빼기 처리방법 및 코 빼기 처리된 편성포, 및 코 빼기처리를 위한 캐드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789402B2 (ko)
EP (1) EP1306476B1 (ko)
JP (1) JP3881957B2 (ko)
KR (1) KR100706647B1 (ko)
CN (1) CN1265047C (ko)
AU (1) AU2001271077A1 (ko)
DE (1) DE60127682T2 (ko)
ES (1) ES2282271T3 (ko)
TW (1) TW523561B (ko)
WO (1) WO200201049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10B1 (ko) * 2006-12-11 2008-01-30 정승연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불규칙 리플패턴 편직방법
KR101532065B1 (ko) * 2013-03-20 2015-06-30 주식회사 이피아이티 집진기용 여과막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집진기용 필터
KR20150102698A (ko) * 2014-02-28 2015-09-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2870B2 (ja) * 2003-08-08 2007-11-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ストライプ柄を具え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ストライプ柄を具える筒状編地
US8191218B2 (en) 2009-07-01 2012-06-05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Deck seam with reduced selvage
JP5669607B2 (ja) * 2010-07-23 2015-02-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2012122175A (ja) * 2010-12-10 2012-06-28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伏目方法、および編地
JP2012251262A (ja) 2011-06-03 2012-12-20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TWI585254B (zh) * 2013-04-23 2017-06-01 島精機製作所股份有限公司 編織物之編織方法
JP2015110849A (ja) * 2013-12-06 2015-06-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CN103993415B (zh) * 2014-05-13 2016-04-20 天津工业大学 一种变线圈双轴向多层衬纱纬编织物及织造方法
US9863070B2 (en) 2014-12-08 2018-01-09 Federal-Mogul Powertrain Llc Tubular protective sleeve with curl resistant knit ends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0793980B2 (en) * 2018-07-02 2020-10-06 Yunteks Tekstil Sanayi Ve Ticaret Limited Sirketi Knitting yarn and method of forming a knitted product
US11214896B2 (en) * 2017-03-27 2022-01-04 Yunteks Tekstil Sanayi Ve Ticaret Limited Sirketi Knitting yarn and method of forming a knitted product
JP7063707B2 (ja) * 2018-04-27 2022-05-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及び編地
US11925230B2 (en) 2019-04-05 2024-03-12 Drymax Technologies, Inc. Chinstrap sock with metal-containing yarn
CN110616497B (zh) * 2019-09-18 2020-11-03 斓帛职业培训学校(桐乡)有限公司 一种双针床圆筒套收结构编织方法
JP2022552198A (ja) 2019-10-10 2022-12-15 インテグリ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孔質ポリマー膜並びに関連したフィルタ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03028C2 (de) * 1982-01-29 1984-08-09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aschenware
JP2747914B2 (ja) * 1988-09-21 1998-05-06 株式会社 島精機製作所 編地及び編地端部処理方法
JPH0765258B2 (ja) * 1990-07-17 1995-07-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端部処理方法
KR100392480B1 (ko) 1995-04-10 2003-11-2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를사용한바인딩오프방법과,그방법으로바인딩오프된편성포
JP3798062B2 (ja) 1995-04-10 2006-07-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を用いた伏せ目方法とこの方法で伏せ目された編地
EP0781880B1 (en) 1995-12-28 2001-12-05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Binding-off method, bound knitted fabric, and CAD apparatus therefor
DE60044195D1 (de) * 1999-07-13 2010-05-27 Shima Seiki Mfg Verfahren zum nähen von einem saum mit ausgezeichneter dehnbarkei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10B1 (ko) * 2006-12-11 2008-01-30 정승연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불규칙 리플패턴 편직방법
KR101532065B1 (ko) * 2013-03-20 2015-06-30 주식회사 이피아이티 집진기용 여과막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집진기용 필터
KR20150102698A (ko) * 2014-02-28 2015-09-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10494A1 (en) 2002-02-07
CN1444670A (zh) 2003-09-24
DE60127682T2 (de) 2007-12-27
AU2001271077A1 (en) 2002-02-13
DE60127682D1 (de) 2007-05-16
ES2282271T3 (es) 2007-10-16
KR100706647B1 (ko) 2007-04-11
EP1306476B1 (en) 2007-04-04
EP1306476A1 (en) 2003-05-02
US6789402B2 (en) 2004-09-14
EP1306476A4 (en) 2006-01-25
JP3881957B2 (ja) 2007-02-14
TW523561B (en) 2003-03-11
CN1265047C (zh) 2006-07-19
US20030115912A1 (en) 200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647B1 (ko) 코 빼기 처리방법 및 코 빼기 처리된 편성포, 및 코 빼기처리를 위한 캐드장치
KR100768350B1 (ko) 개구부를 구비하는 니트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US6070438A (en) Bound knitted fabric
KR100706658B1 (ko) 코빼기 처리된 편성포 및 코빼기 처리방법
JPH02229248A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EP1367162B1 (en) Method of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s together and knitted fabric therefor
JPH0772385B2 (ja) 接合された編地の編成方法
US6935140B2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CN1516761A (zh) 具有新型起口构造的针织物及其编织方法
KR101013363B1 (ko) 편성포의 접합방법
WO2005035849A1 (ja) ラグラン袖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およびラグラン袖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
KR101449913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3406097B2 (ja) 切りポケットを有する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100643534B1 (ko) 코 빼기 처리방법, 코 빼기 처리된 편성포 및 코 빼기처리를 위한 캐드장치
KR100872365B1 (ko) 칼라 형성방법
JPH03279447A (ja) 帯状編成端の接続編成方法及び帯状編成端が連結された編地
JP2007113150A (ja) 仕切りを有する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03041461A (ja) ボーダー柄の編成方法及びそのニット製品
EP0449544B1 (en) Connective knitting method of belt-shaped knit end and belt-knit fabric having the end part linked in knit state
WO2007020829A1 (ja) パイピング部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JP2002013049A (ja) ニットウエ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