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289A - 승용 이앙기의 보닛 장착기구 - Google Patents

승용 이앙기의 보닛 장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289A
KR20030015289A KR1020027017514A KR20027017514A KR20030015289A KR 20030015289 A KR20030015289 A KR 20030015289A KR 1020027017514 A KR1020027017514 A KR 1020027017514A KR 20027017514 A KR20027017514 A KR 20027017514A KR 20030015289 A KR20030015289 A KR 20030015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vehicle body
fuel tank
mount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4663B1 (ko
Inventor
야마시타츠나타케
니시요우이치로
미야케코지
Original Assignee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종래의 승용 이앙기의 보닛 장착기구는 복잡해서 용이한 착탈이 어려웠다. 종래의 기구는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해서 용이한 유지보수 작업이 곤란했다.
연료탱크(136)와 보닛(22)이 차체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는 승용 이앙기는, 보닛(22)을 차체에 고정하고 보닛(22)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고정부(150)와 고정부(14)을 포함한다. 후방 고정부(150)에 있어서, 보닛(22)은, 보닛(22)의 중앙과 후단부 사이에 배치된 피벗 지지부에 의해 차체의 연료탱크(136)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방 고정부(140)에 있어서, 보닛(22)은, 보닛상에 구성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로드를 통해 차체 커버(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차체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승용 이앙기의 보닛 장착기구{BONNET MOUNTING MECHANISM OF RIDING RICE TRANSPLANTER}
종래의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는, 엔진을 덮는 차체 커버 및 보닛 등이 차체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차체 커버 및 보닛의 종래 장착기구에 따르면, 예를 들면, 보닛이 차체 커버에 노브 나사(knob screw)로 고정되거나, 보닛이 차체에 형성된 프레임에 고정되거나, 또는, 보닛의 전방부가 차체 커버의 전방부에 삽입된다. 또한, 보닛이 회동(rotation)에 의해 개폐되는 방식이 있고, 이 경우, 보닛의 회동 지점은 보닛의 후단부 또는 전단부에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장착기구는 보닛을 쉽게 착탈하기에 너무 복잡하다. 엔진실의 용이한 유지보수에 대해 기구에 필요한 부품이 너무 많다. 보닛이 회동에 의해 개폐되고 보닛의 회동 지점이 보닛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있으면, 보닛이 핸들에 부딪히기 때문에 보닛이 완전히 개방될 수 없다. 회동지점이 보닛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있으면, 엔진실의 유지보수 작업이 차량 옆에서 수행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엔진이 보닛에 의해 덮인 승용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보닛을 쉽게 착탈할 수 있고 유지보수성이 우수한 보닛의 장착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승용 이앙기의 전체 개략측면도;
도 2는 동 개략평면도;
도 3은 승용 이앙기의 전방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닛 주변의 측면도;
도 5는 동 평면도;
도 6은 동 부분확대도;
도 7은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보닛이 고정되는 금속잠금부재(notched metal lock member)의 측면도;
도 8은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보닛이 고정되는 연료탱크의 측면도;
도 9는 동 부분확대도;
도 10은 연료탱크에 확고하게 고정된 보닛의 측면도;
도 11은 동 X-X선 단면도; 및
도 12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 보닛 및 전방 차체 커버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탱크와 보닛이 차체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배치된 승용 이앙기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보닛의 전후방부는 고정부로서 사용된다. 고정부 중 하나는 보닛을 차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가능한 고정부로서 사용된다. 다른 하나의 고정부는 보닛을 차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가능한 고정부로서 사용된다.
보닛의 장착을 위한 회동가능한 고정부의 차체상의 장착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로드(rod)와 핀칭부재(pinching member)를 포함한다.
회동가능한 고정부에 있어서, 보닛의 피벗(pivot)은 보닛의 후단과 보닛의 중앙 사이에 배치되고, 연료탱크에 장착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를 가지는 승용 이앙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승용 이앙기는 차량(1) 및 차량(1)의 후방부에 연결된 식부부(植付部, planting portion)(9)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전륜(2) 및 후륜(3)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차량 프레임(4)의 전방부에는 동력유닛으로서의 엔진(5)이 장착되어 있다. 엔진(5) 후방의 차체 프레임(4)의 좌우 대략 중앙에는 변속기 케이싱(transmission casing)(6)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변속기 케이싱(6)의 전방부에는 전륜(2)이 지지되어 있고, 후방부에는 후륜(3)이 지지되어 있다.
엔진(5)과 연료탱크(136)를 덮는 보닛(22)의 양측에는 예비 모 선반(reserve seedling rack)(90)이 배치되어 있다. 변속기 케이싱(6)은 조작자가 탑승하는 차체 커버(20)로 덮여있다. 차체 커버(20)의 후방 상부에는 운전석(7)이 구비되어 있다. 연료탱크(136)의 후방에는 핸들(8)이 배치되어 있다.
식부부(9)는 모 선반(seedling rack)(91), 식부 갈퀴(planting prong)(93) 등을 포함한다. 모 선반(91)의 전방부는 높고 후방부는 낮으며, 하부 레일(95) 및가이드 레일(96)을 통해 좌우로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크랭크기구에 의해 크랭크 운동을 수행하는 식부 갈퀴(planting prongs)(93)는 식부전동프레임(planting transmission frame)(92)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륜(2) 및 후륜(3)이 주행 구동되면서, 각각의 식부 갈퀴(93)가 좌우로 왕복 슬라이딩하는 모 선반(91)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모를 한 줄기씩 뽑아내어, 모를 심는다.
식부전동프레임(92)의 전방부에는 롤링지점축(rolling fulcrum shaft)(176)을 통해 히치(hitch)(94)가 설치되어 있다. 히치(94)는 승강링크기구(lifting linkage mechanism)(10)를 통해 차량(1)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링크기구(10)는 히치(94)의 상부 양측에 피벗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상단 링크(top link)(11)와 히치(94)의 하부 양측에 피벗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하부 링크(lower link)(12)를 포함한다.
각 하부 링크(12)의 전단부 내측면에는 리프팅 아암(lifting arm)(13)의 기부(basal portion)가 고정되어 있다. 리프팅 아암(13)은 하부 링크(12)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승강링크기구(10)를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lifting cylinder)(15)가 하부 링크(12)와 연결된 리프팅 아암(13)과 연결되어 있다.
리프팅 아암(13)의 상단부와 하부 링크(12)의 후단부 사이에는 보강 링크(reinforce link)(14)가 연결되어 있어서, 각 하부 링크(12)의 강성을 높인다. 상단 링크(11)과 하부 링크(12)의 전단부는 후방 연결 프레임(44)에 수평으로 장착된 각각의 피벗 핀(pivot pin)에 의해 피벗 지지되어 있다. 후당 연결 프레임(44)도 승강링크기구(10)의 지지부로서 사용된다.
승강링크기구(10)는 식부부(9)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평행 링크를 형성하고 있고, 식부부(9)가 논밭 표면(field surface)의 요철(unevenness)에 따라 수직으로 이동되어도 심어진 모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주변속레버(main speed change lever)(75), 모공급레버(76), 식부승강레버(77), 주클러치페달(74), 및 브레이크페달(73)은 운전석(7)이 배치되어 있는 차체 커버(20)에 배치되어 있다. 식부부(9)의 하부에는 식부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센터 플로트(center float)(97)와 사이드 플로트(side float)(98)가 배치되어 있다.
센터 플로트(97)는 차량의 좌우 중심선상에 배치되어 있고, 사이드 플로트(98)가 센터 플로트(97)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승용 이앙기는 식부부(9)의 좌우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식부자세를 안정시켜, 정확한 식부를 확실하게 한다.
도 3 및 도 4에 따라 연료탱크(136)의 형상 및 장착을 설명한다.
연료탱크(136)는 엔진(5)에 고정된 스테이(stay)(137)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스테이(137)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볼트 또는 다른 고정부재에 의해 후술하는 탱크 장착 에지(136a)에 고정되어 있는 탱크 지지부(137a)를 포함한다. 보닛(22)은 연료탱크(136)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36)의 외주면에는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장착부는 연료탱크(136)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탱크 장착에지(136a), 전조등(headlight)(134)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에지(136b), 및 보닛(22)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에지(136d)를 포함한다. 장착부들은 연료탱크(136)의 외주면 내측에 형성되도록 연료탱크(136)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연료탱크(136)는 블로우 성형(blow fabricating) 등에 의해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연료탱크(136)의 성형시, 연료탱크(136)의 외측면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상하측으로부터 가압되어 장착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볼트구멍을 가지고 있고 연료탱크(136)의 좌우측에 배치된 탱크 장착에지(136a)는 각각의 탱크 지지부(137a)에 배치되어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보닛(22)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에지(136d)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탱크(136)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가고 탱크 장착에지(136a) 후방에 배치되도록 연료탱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4∼도 6에 따라 본 발명의 보닛 장착기구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50, 140)는 차체와 면하고 있는 보닛(22) 표면 전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후방 고정부(140)는 보닛(22)의 중앙과 후단 사이 부분 및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81) 전방 좌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후방 고정부(14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2a)는 보닛(22) 배면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전방 고정부(150)는 연료탱크(136) 전방 좌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 고정부(15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2b)는 보닛(22) 배면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부(140, 150)에 고정되는 각 장착부(22a, 22b)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나사가 관통하는 보스(boss) 또는 삽입구조물에 의한 너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닛의 후방부에 배치된 각 후방 고정부(140)의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봤을 때 L자 형상인 금속잠금부재(metal lock member)(141, 142)가 구비된다. 볼트 등에 의해, 금속잠금부재(141)가 보닛의 각 장착부(22a)에 고정되고, 금속잠금부재(142)가 연료탱크의 각 장착에지(136d)에 고정된다. 각각의 보닛측 금속잠금부재(141)는 핀(145)을 통해 각 연료탱크측 금속잠금부재(14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탭 볼트(tap bolt)(143) 등이 보닛측 금속잠금부재(141)를 보닛의 장착부(22a)에 각각 고정할 수도 있다.
보닛에 고정된 연료탱크측 금속잠금부재(142)는 각각의 볼트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연료탱크의 각 장착에지(136d)에 배치되고, 보닛(22)을 연료탱크(136)에 고정하도록 볼트나 너트 등에 의해 연료탱크(136)에 고정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핀(145)은 보닛의 개폐시에 피벗축으로서 작동한다. 보닛(22)은 핸들 등과의 간섭없이 개폐될 수 있어서, 보닛의 회동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보닛의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다.
보닛측 금속잠금부재(141) 및 연료탱크측 금속잠금부재(142)는 핀(145)에 의해 미리 피벗되고, 탭 볼트(143)에 의해 보닛(2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시 너트에 의해 연료탱크에 고정부를 고정하는 것만 필요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의효율이 향상된다. 이 경우, 연료탱크측 금속잠금부재(142)는 보닛측 금속잠금부재(141)와 보닛(22)의 측벽 사이에서 지지되어, 탈락이 방지된다.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방 고정부(150)는 핀칭부재(pinching member)(151)와 피핀칭부재(pinched member)로서 사용되는 고정로드(fixture rod)(152)를 포함한다. 핀칭부재(151)는, 전방에서 봤을 때 하방으로 개구한 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탭 볼트(153) 또는 다른 고정부재에 의해 각 장착부(22b)에 고정된, 판스프링(leaf spring) 또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로드(152)는 측면에서 봤을 때 대체로 F자 형상이다. 고정로드(152)는 하방으로 연장된 로드부와 함께 그 중앙으로부터 구비되어 있다.
고정로드(152)는,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너트 등에 의해 차체 커버(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로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로드(152)의 타단은 핀칭부재(151)에 의해 끼워질만한 두께를 가지고 있고 부품 정밀도 오차에 의해 야기된 위치 편차를 허용하도록 핀칭부재(151)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있다. 고정로드(152)는 차체 커버(20)가 전진되었을 때, 핀칭부재(151)로부터 빠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전방 고정부(150)에 의해 포함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152)는 보닛(22)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해도 보닛(22)의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차체커버(2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제거되면, 고정로드(152)가 핀칭부재(151)로부터 반드시 빠져나오게 되어, 보닛(22)을 제거하지 않고 차체 커버(20)를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고정부(150) 및 고정부(14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후방 고정부(140)에 있어서, 후방으로 개방된 노치(146)가 전방에서 봤을 때 L자 형상인 각각의 금속잠금부재(141)에 형성되어 있고, 탭 볼트(143)에 의해 장착부(22a)에 고정되어 있다. 전방에서 봤을 때 L자 형상인 금속잠금부재(142)는 연료탱크의 장착에지(136d)에 고정되기 위해 핀(145)과 함께 용접된다. 보닛(22)을 연료탱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핀(145)이 각각의 노치(146)에 끼워 맞춰진다. 다른 부분들은 도 4∼도 6에 상술한 바와 동일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보닛(22)이 상방으로 회동됨으로써 개방될 수 있고, 다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전방으로 뽑아냄으로써 연료탱크(136)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닛(22)이 연료탱크(136)와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닛(22)은 단지 후방 고정부(140)에 의해서만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측으로 개방된 노치(22c)가 보닛(22)의 후방부 또는 하부의 좌우측에 형성된다. 전방에서 봤을 때 L자형인 금속잠금부재(142)는 볼트 또는 다른 고정부재에 의해 보닛 양측에 고정된다. 금속잠금부재(142)로부터 좌우 외측으로는 핀(145)이 돌출되어 있다. 각각의 핀(145)에는 캠(cam) 형상의 레버(147)가 피벗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레버(147)의 캠부(cam portion)는 그 편심위치에 각 피벗핀(149)에 의해 피벗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보닛(22)의 노치(22c)에 핀(145)을 끼워맞추고레버(147)를 하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각 노치(22c)가 레버(147)의 캠부와 금속잠금부재(142) 사이의 그 양측에서 끼워지기 때문에, 보닛(22)이 연료탱크(136)에 고정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단지 핀을 보닛(22)에 끼우고 레버(147)를 회동시키는 것 만으로 부품을 분실할 염려없이 보닛(22)이 연료탱크(136)와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보닛(22) 장착기구의 제 4실시예를 도 10 및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보닛(22)을 연료탱크(136)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에지(136d)와 유사하게, 장착리브(136e)가 연료탱크(136)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된 연료탱크(136)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다. 각 장착리브(136e)에 대응하기 위해, 각 장착리브(136e)의 외부면을 끼우도록 보닛(22)의 후방 외주에지를 내측으로 구부려 장착부(148)가 형성된다.
따라서, 장착부(148)가 각 장착리브(136e)에 삽입되어 보닛이 연료탱크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가 보닛의 후방 에지부로부터 형성되지만, 또 다르게는 그 하부 에지를 구부려서 장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금속잠금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보닛(22)이 가요성에 의해 구부려져 연료탱크(136)에 끼워 넣어지기 때문에, 부품 수가 감소하고 장착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닛(22)과 차체 커버(20)가 개별적으로 구성된다. 또 다르게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커버가 전방 차체 커버와 후방 차체 커버로 나뉘어, 보닛과 전방 차체 커버를 일체로 형성하여 보닛(22')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보닛(22)기 차체 커버(20)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장착을 위한 부품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보닛(22)과 차체 커버(20)가 동시에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연료탱크가 보닛에 의해 덮인 승용 이앙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연료탱크와 보닛은 차체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보닛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는 보닛의 전후방부에 구비된다. 전방 또는 후방 고정부 중 하나는 조닛을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회동가능한 고정부로서 구성된다. 전방 또는 후방 고정부 중 다른 하나는 보닛을 차체 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착탈가능한 고정부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보닛의 회동시에 부품을 분실할 가능성이 줄어들고,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보닛의 착탈가능한 고정부에 있어서, 차체 상의 장착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로드와 핀칭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부품의 정밀도 오차가 어느 정도 허용할 수 있다. 조립시에 어떤 부품이 적정위치로붙터 길이방향으로 변위되어도, 보닛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회동가능한 고정부에 있어서, 보닛의 피벗 지지부가 보닛의 후단과 보닛의중앙 사이에 배치되고, 연료탱크에 장착되기 때문에, 보닛이 소형으로 장착될 수 있고, 보닛의 회동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피벗 지지부가 연료탱크에 장착되기 때문에, 회동 지지부재를 자체 프레임으로부터 연장시킬 필요가 없어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연료탱크와 보닛이 차체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배치된 승용 이앙기의 보닛 장착기구에 있어서: 보닛을 차체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보닛의 전후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고정부 중 하나가 상기 보닛을 상기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가능한 고정부이고; 다른 하나의 고정부가 상기 보닛을 상기 차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가능한 고정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닛 장착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가능한 고정부의 상기 차체 상의 장착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로드부와 핀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닛 장착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고정부의 상기 보닛에 대한 피벗 지지부가 상기 보닛의 후단과 상기 보닛의 중앙 사이에 배치되고, 연료탱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닛 장착기구.
KR1020027017514A 2001-05-23 2001-09-17 승용 이앙기 KR100824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4311 2001-05-23
JP2001154311A JP2002347657A (ja) 2001-05-23 2001-05-23 乗用田植機のボンネットの取り付け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289A true KR20030015289A (ko) 2003-02-20
KR100824663B1 KR100824663B1 (ko) 2008-04-24

Family

ID=1899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514A KR100824663B1 (ko) 2001-05-23 2001-09-17 승용 이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2347657A (ko)
KR (1) KR100824663B1 (ko)
CN (1) CN100399871C (ko)
TW (1) TW562651B (ko)
WO (1) WO2002094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2997B2 (ja) * 2012-12-18 2016-03-01 株式会社丸山製作所 背負式散布装置
CN103782699B (zh) * 2014-02-28 2015-11-18 柳州五菱柳机动力有限公司 乘坐式高速插秧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4216Y2 (ko) * 1980-05-30 1986-10-06
JPS60244676A (ja) * 1984-05-18 1985-12-04 Iseki & Co Ltd トラクタのエンジンカバ−
JPH02102881U (ko) * 1989-01-31 1990-08-15
JP2577542Y2 (ja) * 1992-07-02 1998-07-30 三菱農機株式会社 乗用型移動農機のボンネツト構造
JP3570747B2 (ja) * 1994-08-09 2004-09-2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ボンネット操作装置
JPH08282545A (ja) * 1995-04-10 1996-10-2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動農機におけるボンネットカバーの固定構造
CN1073338C (zh) * 1996-12-26 2001-10-24 株式会社久保田 乘式插秧机
JPH10250627A (ja) * 1997-03-11 1998-09-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におけるフードのロッ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7540A (zh) 2003-08-20
JP2002347657A (ja) 2002-12-04
WO2002094641A1 (fr) 2002-11-28
TW562651B (en) 2003-11-21
KR100824663B1 (ko) 2008-04-24
CN100399871C (zh)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9834A1 (en) Bicycle rear derailleur bracket assembly
KR20030015289A (ko) 승용 이앙기의 보닛 장착기구
US5522279A (en) Shift lever structure for operating automatic transmission
JPH07289058A (ja) 穀稈引起し装置のカバ−構造
JP3115871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3054679B2 (ja) 移植機の苗供給装置
JP3429122B2 (ja) 乗用田植機のボンネット支持構造
JP2000041431A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S6314595Y2 (ko)
CA1157747A (en) Gear shift and foot board attaching frame for motorcycles
JP3577278B2 (ja) 乗用田植機
JP3163081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3163080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2528932Y2 (ja) 自転車用ブレーキレバー
JP3103351B2 (ja) 乗用田植機
JPH1118A (ja) 田植機の苗載台構成
JPH0214690Y2 (ko)
JP3574268B2 (ja) 乗用農作業機のケーシング体構造
JP3569713B2 (ja) 農業用作業車
JP3402517B2 (ja) 苗載台の横送り変速レバー
JPH02261307A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3143695B2 (ja) 移植機
JP3163082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2001103820A (ja) 田植機の苗ガイド構造
JP3106432B2 (ja) 乗用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920

Effective date: 2008030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