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276A - 합성수지제 나사 캡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나사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276A
KR20030015276A KR1020027016871A KR20027016871A KR20030015276A KR 20030015276 A KR20030015276 A KR 20030015276A KR 1020027016871 A KR1020027016871 A KR 1020027016871A KR 20027016871 A KR20027016871 A KR 20027016871A KR 20030015276 A KR20030015276 A KR 20030015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ylinder
screw
sealing ring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3258B1 (ko
Inventor
시노자키나쓰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5186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120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51861A external-priority patent/JP387417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030015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4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 B65D41/344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65D41/345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with drive means between closure and tampe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실하고 안정한 부정개봉 방지기능을 항상 발휘하는 합성 수지제 나사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병체측의 주출구부를 구성하는 병입구통(18)에, 통벽부가 되는 통벽(3A)을 나사맞춤하여 조밀하게 바깥쪽에서 장착하는 캡부가 되는 캡본체(2A)와, 병입구통 (18)의 바깥둘레면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걸어멈춤부(20A)를 타고 넘어 아래쪽에서 걸어멈춤되는 제 2 걸어멈춤부(12)를 형성하고, 복수개의 파단하기 쉬운 파단편(7)을 통해, 통벽(3)의 하단에 연이어 형성된 밀봉링(11)으로 구성되며, 통벽 (3)의 하단에 형성한 복수개의 제 1 누름경사면부(9)에 대하여, 제 1 누름경사면부 (9)에 나사 이탈방향측으로부터, 병입구통(18)의 나선조(19A)의 리드각 a보다도 큰 예각인 경사각 b에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접촉하기 위한, 아주 가깝게 대향하는 복수개의 제 2 누름경사면부(14)를, 밀봉링(11)의 상단에 형성하여, 캡본체(2A)의 나사 이탈동작시의 양 누름경사면부의 접촉에 의해, 밀봉링(11)을 강제적으로 밀어내린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나사 캡{SCREW CAP OF SYNTHETIC RESIN}
부정개봉 방지기능(필 퍼 프루프기능)을 가지는 캡의 종래기술로서, 일본국 실용공고 평성 07-12294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이 종래기술은, 힌지결합한 위 뚜껑으로 개폐되는 주출구를 형성하고, 병입구통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맞춤 조립되는 뚜껑본체에, 병입구통의 개구부를 덮어 막는 금속판제의 내측뚜껑을 부착하여 뚜껑을 구성하며, 뚜껑본체의 스커트벽의 하단부에 파단라인을 형성하여, 이 스커트벽을 상부의 주부와 하부의 필 퍼 프루프 끝단부로 구획함과 동시에, 주부와 필 퍼 프루프 끝단부를 파단하기 쉬운 복수의 리브로 연결하고, 필 퍼 프루프 끝단부의 내면에, 병입구통의 고리형상 걸어멈춤턱부를 타고 넘어 아래쪽에서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돌기를 설치하여, 필 퍼 프루프 기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내측뚜껑을 제거하여 병을 처음으로 개봉할 때에, 뚜껑본체를 병입구통으로부터 나사 이탈시킬 필요가 있지만, 뚜껑본체의 병입구통으로부터의 나사 이탈에 의해, 리브가 파단되고, 필 퍼 프루프 끝단부가 주부로부터 분리하여, 병입구통의 하부까지 낙하하기 때문에, 내측뚜껑 제거 후에 뚜껑본체를 병입구통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이 장착한 뚜껑본체로부터 필 퍼 프루프 끝단부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 분리상태를 보고, 그 병이 이미 개봉된 것이라고,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병체용기의 주출구부에 부착되어 개폐 캡으로서 기능하는 부정개봉 방지기능 부착 합성수지제 나사 캡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제 1 발명은, 바깥둘레면에 나선조를 형성한 병체측의 주출구부에, 통벽부에서 나사맞춤하여 조밀하게 바깥쪽에서 장착하는 캡부와, 나선조보다도 아래위치가 되는 주출구부의 바깥둘레면 부분에, 바깥쪽 끝단을 나선조보다도 바깥쪽에 위치시켜서 형성된 제 1 걸어멈춤부를 타고 넘어 아래 쪽으로부터 걸어멈춤하는 제 2 걸어멈춤부를 안둘레면에 형성하고, 복수개의 파단하기 쉬운 파단편을 통하여, 캡부의 통벽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밀봉링으로 구성되고, 캡부의 통벽부의 하단에 형성한 복수개의 제 1 누름경사면부에 대하여, 해당 제 1 누름경사면부에 나사 이탈방향측으로부터, 병체측의 주출구부와 캡부와의 나사맞춤기능부를 구성하는 주출구부의 나선조의 리드각보다도 큰 예각인 경사각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접촉하기 위한, 아주 가깝게 대향하는 복수개의 제 2 누름경사면부를, 밀봉링의 상단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 나사 캡이다.
나사 캡의 캡부를, 병체측의 주출구부에 형성한 나선조의 나사맞춤한도까지 조립한 상태에서는, 캡부가 주출구부를 밀봉하고, 또한 캡부의 통벽부의 하단에 파단편을 통해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밀봉링이, 그 제 2 걸어멈춤부를, 주출구부의바깥둘레면에 형성된 제 1 걸어멈춤부에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멈춤시키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캡부를 나사 이탈회전이동시키면, 상승변위하는 통벽부에 대하여, 밀봉링은 제 1 걸어멈춤부와 제 2 걸어멈춤부와의 걸어멈춤에 의해, 상승변위 불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파단편이 파단된다.
파단편의 파단에 의해, 통상은 밀봉링이 스스로의 무게에 의해 낙하변위하지만, 습기 등에 의해, 밀봉링이 주출구부에 부착하여 낙하하지 않은 경우에는, 파단편의 파단과 동시, 또는 그 직후에 통벽부의 제 1 누름경사면부가 밀봉링의 제 2 누름경사면부에 접촉하여, 이 양 누름경사면부가 주출구부의 나선조와 이에 나사맞춤하는 캡부의 나선조의 리드각, 즉 캡부와 주출구부와의 나사맞춤기능부의 리드각보다도 큰 예각인 경사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밀봉링은 통벽부에 의해 강제적으로 밀어 내려져, 스스로의 무게에 의해 확실히 낙하 변위한다.
이에 따라, 확실하고 안정한 필 퍼 프루프기능이 항상 발휘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밀봉링을 강제적으로 하강 변위시키기 위해서는, 캡부의 나사이탈조작 그 것에 의해 달성되기 때문에, 그 조작이 확실하고 간단하다.
제 2 의 발명은, 제 1 발명기재의 합성수지제 나사 캡의 구성으로서, 바깥둘레면에 나선조를 형성한 주출구부가 되는 병입구통에, 통벽부가 되는 통벽에서 나사맞춤하여 조밀하게 바깥쪽에서 장착하는 천장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캡부가 되는 캡본체를 갖는 것,
나선조보다도 아래위치가 되는 병입구통의 바깥둘레면 부분에, 바깥쪽 끝단을 나선조보다도 바깥쪽에 위치시켜서 형성된 제 1 걸어멈춤부를 타고 넘어서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멈춤하는 제 2 걸어멈춤부를 안둘레면에 형성하여, 복수개의 파단하기 쉬운 파단편을 통해, 캡본체의 통벽의 하단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짧은 원통형의 밀봉링을 갖는 것,
캡본체의 통벽의 하단에 형성한 복수의 제 1 누름경사면에 대하여, 이 제 1 누름경사면에 나사 이탈방향측으로부터, 병입구통의 나선조의 리드각보다도 큰 예각인 경사각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접촉하기 위한, 아주 가깝게 대향하는 복수개의 제 2 누름경사면부를, 밀봉링의 상단에 형성한 것에 있다.
병입구통 자체를 주출구부로 하여, 캡부가 되는 캡본체를, 병입구통의 바깥둘레면에 형성한 나선조의 나사맞춤한도까지 조립한 상태에서는, 캡본체가 병입구통을 밀봉하여, 캡본체의 통벽부가 되는 통벽의 하단에 파단편을 통해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밀봉링이, 그 제 2 걸어멈춤부를 병입구통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제 1 걸어멈춤부에,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멈춤시킨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캡본체를 나사이탈 회전이동시키면, 상승 변위하는 캡본체에 대하여, 밀봉링은, 제 1 걸어멈춤부와 제 2 걸어멈춤부와의 걸어멈춤에 의해, 상승 변위 불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파단편이 파단된다.
그리고, 파단편의 파단과 동시, 또는 그 직후에 통벽의 제 1 누름경사면부가 밀봉링의 제 2 누름경사면부에 접촉하여, 이 양 누름경사면부가 병입구통의 나선조의 리드각, 즉 병입구통의 나선조와 캡본체의 나선조로 이루어지는 나사맞춤기능부의 리드각보다도 큰 예각인 경사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밀봉링은 통벽에 의해 강제적으로 밀어 내려져, 스스로의 무게에 의해 확실히 낙하 변위한다.
제 3 발명은, 제 1 발명기재의 합성수지제 나사캡의 구성으로서, 병입구통에, 바깥에서 타고 넘어 걸어멈춤하는 조립통을 가지고, 조밀하게 끼워 장착하여 주출구를 형성하는 병체측의 주출구부가 되는 주출캡본체를 가지는 것,
이 주출캡본체에 착탈 자유롭게 나사맞춤하여, 주출캡본체의 주출구를 개폐하는 천장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캡부가 되는 바깥캡본체를 가지는 것,
주출캡본체의 조립통의 바깥둘레면에 제 1 걸어멈춤부를 형성하는 것, 닫힌 상태에서 주출캡본체의 조립통에 바깥쪽에서 장착하는 바깥캡본체의 통벽부가 되는 외부장착통의 하단에, 주출캡본체의 제 1 걸어멈춤부에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멈춤하는 제 2 걸어멈춤부를 형성한 밀봉링를, 복수개의 파단편을 통하여 일체로 연이어 형성하는 것,
바깥캡본체의 외부장착통의 하단에 형성한 복수개의 제 1 누름경사면부에 대하여, 이 제 1 누름경사면부에 나사 이탈방향측으로부터, 주출캡본체의 나선조의 리드각보다도 큰 예각인 경사각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접촉하기 위한, 아주 가깝게 대향하는 복수개의 제 2 누름경사면부를 밀봉링의 상단에 형성하는 것에 있다.
병입구통에 바깥에서 끼운 병체측의 주출구부가 되는 주출캡본체에, 나사맞춤 조립된 캡부가 되는 바깥캡본체는, 주출캡본체의 주출구를 밀폐하여, 주출캡본체의 조립통에 바깥에서 끼운 바깥캡본체의 밀봉링이, 그 제 2 걸어멈춤부를 주출캡본체의 조립통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제 1 걸어멈춤부에,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멈춤시키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바깥캡본체를 나사 이탈회전이동시키면, 상승 변위하는 바깥캡본체의 통벽부를 구성하는 외부장착통에 대하여, 밀봉링은 제 1 걸어멈춤부와 제 2 걸어멈춤부와의 걸어멈춤에 의해 상승 변위 불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파단편이 파단된다. 그리고, 파단편의 파단과 동시에, 또는 그 직후에 외부장착통의 제 1 누름경사면부가 밀봉링의 제 2 누름경사면부에 접촉하여, 이 양 누름경사면부가 주출캡본체의 나선조의 리드각, 즉 주출캡본체와 바깥캡본체와의 나사맞춤기능부의 리드각보다도 큰 예각인 경사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밀봉링은 외부장착통에 의해 강제적으로 밀어 내려져, 스스로의 무게에 의해 확실히 낙하 변위한다.
제 4 발명은 제 1, 제 2 또는 제 3 에 기재된 합성수지제 나사캡의 구성에 있어서, 통벽부에, 제 1 누름경사면부와 조합하여 제 1 걸림부를 구성하고, 이 제 1 걸림부에 대하여 나사맞춤방향측으로부터 타고 넘기 불가능하게 맞닿기 위한, 아주 가깝게 대향하는 제 2 걸림부를, 제 2 누름경사면부와 조합하여, 밀봉링에 형성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걸림부에 대한 제 2 걸림부의 맞닿음에 의해, 통벽부를 구성하는 통벽 혹은 외부장착통에 대하여 밀봉링이 나사 이탈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고, 밀봉링이 주출구부를 구성하는 병입구통 혹은 주출캡본체에 캡부를 구성하는 캡본체 혹은 바깥캡본체를 나사맞춤 조립할 때에, 파단하기 쉬운 파단편이 파단한다는 불합리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제 1 걸림부 및 제 2 걸림부를 이용하여, 제 1 누름경사면부 및 제 2누름경사면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누름경사면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제 5 발명은, 제 4 발명에 기재된 합성수지제 나사 캡의 구성에, 제 1 걸림부와 제 1 누름경사면부를 조합한 제 1 조합부와, 제 2 걸림부와 제 2 누름경사면부를 조합한 제 2 조합부의 한쪽을 돌기편으로 형성하고, 다른쪽을 상기 돌기편이 들어가는 오목부로 형성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걸림부와 누름경사면부와의 조합부, 및 양 걸림부 및 양 누름경사면부의 대향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그 만큼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제 6 발명은, 제 5 발명에 기재된 합성수지제 나사 캡의 구성에, 한쪽을 1개의 돌기편으로 형성하고, 다른쪽을 상기 돌기편이 들어가는 오목부로 형성한 제 1 조합부와 제 2 조합부와의 각각을, 둘레방향에 파형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동일구성의 대향구조가 되는, 통벽부를 구성하는 통벽 혹은 외부장착통의 하단에 형성한 제 1 조합부와, 밀봉링의 상단에 형성한 제 2 조합부가, 각각 둘레방향에 파형형상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벽부의 형상과 밀봉링의 상단의 형상과의 대칭성이 좋아지고, 양 걸림부 및 양 누름경사면부가 상술의 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외관상의 미관이 향상된다.
제 7 발명은,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또는 제 6 발명에 기재된 합성수지제 나사 캡의 구성에, 통벽부의 하면, 밀봉링의 상면의 어느 한쪽에 다른쪽을 향하여 통벽부와 밀봉링과의 틈새를 작게 하는 돌기부를 돌출하여 형성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통벽부를 구성하는 통벽 혹은 외부장착통과, 밀봉링과의 틈새를 작게 하는 돌기부를 돌출하여 형성하였기 때문에, 주출구부를 구성하는 병입구통 혹은 주출캡본체에 캡부를 구성하는 캡본체 혹은 바깥캡본체를 처음으로 나사맞춤 조립할 때에, 돌기부가 다른쪽의 밀봉링의 상면 혹은 통벽부의 하면에 맞닿아, 밀봉링과 통벽부와의 스트로크를 확보하고, 해당 스트로크가 작아지는 것에 의해, 파괴하기 쉬운 파단편이 휘어져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주출구부에 캡부를 부착할 때에, 캡부를 구성하는 캡본체 혹은 바깥캡본체가 다소 휘어진 경우이더라도, 돌기부가 다른쪽의 밀봉링의 상면 혹은 통벽부의 하면을 누르기 위해서, 캡부의 밀봉링에 형성한 제 2 걸어멈춤부가, 주출구부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제 1 걸어멈춤부에 확실하게 타고 넘어, 제 1 걸어멈춤부에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멈춤한다.
제 8 발명은, 제 1, 제 2, 제 4, 제 5, 제 6 또는 제 7 발명에 기재된 합계수지제 나사 캡의 구성에, 통벽부가 되는 통벽의 하단가장자리와, 병입구통의 바깥둘레면 하부에 형성된 목부분 고리와의 사이에 경화 등의 경질물의 끝단부가 침입 가능한 틈새를 형성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힘이 약한 사람이더라도 경화 등의 대응하는 경질물을 사용하여, 밀봉링의 병입구통으로부터의 분리를, 비틀어 연 상태로 간단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9 발명은, 제 1, 제 3, 제 4, 제 5, 제 6 또는 제 7 발명에 기재된 합성수지제 나사캡의 구성에, 밀봉링의 높이 폭을, 병입구통에 끼워 장착한 상태에서해당 병입구통의 목부분 고리에 거의 하단이 도달하는 값이 되도록 설정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출캡본체의 조립통의 하단가장자리와 목부분 고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밀봉링의 하단에서 목부분 고리를 거의 덮어 숨겨 미소하게 하기 때문에, 조립통의 하단가장자리와 목부분 고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경화 등의 경질물을 삽입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경질물을 이용하고 주출캡의 부정분리를 저지하여, 따라서 병용기의 안전성을, 충분하고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제 10 발명은, 제 3, 제 4, 제 5, 제 6, 제 7 또는 제 9 발명에 기재된 합성수지제 나사캡의 구성에, 주출캡의 조립통의 적어도 하단부에 쪼개진 홈을 형성하여, 병입구통에 대한 주출캡본체의 조립강도를, 병입구통에 대하여 헛도는 일이 없는 범위에서, 사람 손에 의한 비틀어서 뗄 수 있는 정도로 설정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쪼개진 홈의 개수나 홈 길이의 형상에 의해, 병입구통에 대한 주출캡본체의 조립강도를 적정한 범위에 정밀도 높게 설정할 수 있고, 주출캡본체 및 바깥캡본체로 구성되는 주출캡인 나사캡을, 병입구통으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할 때, 주출캡본체를 잡고, 병입구통으로부터 비틀어 떼는 형태로 분리시키는 외력에 대하여, 조립통의 지름확대방향으로의 휨변형 정도를 적정한 범위에 설정할 수 있다.
제 11 발명에 있어서는, 제 3, 제 4, 제 5, 제 6, 제 7 또는 제 9 발명에 기재된 합성수지제 나사 캡의 구성에, 병입구통에 바깥에서 끼우는 주출캡본체의 조립통의 안둘레면 하단부에, 병입구통의 개구부 바깥둘레에 형성된 걸어멈춤둘레조를 타고 넘어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돌출조를 형성하여, 병입구통에 대한 주출캡본체의 조립강도의 설정수단으로서, 주출캡본체의 조립통의 걸어멈춤돌출조를 단속(斷續)적인 둘레돌출조구조로 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병입구통의 걸어멈춤둘레조를 타고 넘어 걸어멈춤하고 있는, 주출캡본체의 조립통의 안둘레면 하단부에 형성한 걸어멈춤돌출조가, 단속적인 둘레돌출형상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걸어멈춤돌출조의 결락된 부분만큼 조립통의 두께가 얇아져서, 지름확대하기 쉽게 되어, 주출캡본체를, 병입구통으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할 때, 주출캡본체를 비틀어 떼는 형태로 분리시키는 외력에 대하여, 조립통의 지름확대방향으로의 휨변형정도를 적정한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단속적인 둘레돌출조형상구조란, 대향하는 2개소, 또는 같은 간격의 복수개소에, 둘레돌출조구조의 걸어멈춤 돌출형상이 제거되어, 결락부분을 가지는 둘레돌출조형상구조를 말한다.
제 12 발명에 있어서는, 제 3, 제 4, 제 5, 제 6, 제 7, 제 8, 제 10 또는 제 11 발명에 기재된 합성수지제 나사 캡의 구성에, 주출캡본체의 조립통의 하단가장자리와 목부분 고리와의 사이에, 경화 등의 경질물의 끝단부가 침입 가능한 틈새를 형성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힘이 약한 사람이더라도, 경화 등의 가까운 경질물을 사용하여, 주출캡본체의 병입구통으로부터의 분리를, 비틀어 여는 형태로 간단히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3 발명은, 제 3, 제 4, 제 5, 제 6, 제 7, 제 9, 제 10, 제 11 또는 제 12 발명에 기재된 합성수지제 나사 캡의 구성에, 주출캡본체와 바깥캡본체를 다른 색으로 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단편이 파단하여, 바깥캡본체의 밀봉링이, 하강한도까지 하강 변위하기 때문에, 바깥캡본체의 아래쪽에 다른 색의 주출캡본체의 조립통의 하부가 노출하여 눈에 띄게 되어 버려, 이에 따라 필 퍼 프루프 기능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되는 것으로 된다.
제 14 발명은, 제 3, 제 4, 제 5, 제 6, 제 7, 제 9, 제 10, 제 11, 제 12 또는 제 13 발명에 기재된 합성수지제 나사 캡의 구성에, 주출캡본체에 형성되는 주출구를, 내용액의 주출을 가이드하기 위해 형성한 주출통의 바닥벽인 밀봉벽에, 닫힌 루프를 그리는 파단홈에 의해 구획형성된 당김고리 등을 가지는 병따개부의 파단제거에 의해 개방되는 당겨 여는 식의 주출구로 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출구의 개방까지의 병용기의 밀폐를, 확실하고 강고하게 달성 유지하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전의 나사 캡과 병입구통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캡본체 나사 이탈전의 반종단면도이다.
도 3은 나사 캡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캡본체 나사 이탈전의 반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캡본체 나사 이탈후의 반종단면도이다.
도 5는 나사 캡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출캡본체와 바깥캡본체로 이루어지는 주출캡이 조립되기 전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바깥캡본체 나사 이탈전의 반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바깥캡본체 나사 이탈후의 반종단면도이다.
도 8은 주요부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정면도이다.
도 9는 주요부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정면도이다.
도 10은 주요부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정면도이다.
도 11은 주요부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정면도이다.
도 12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나사 캡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캡본체의 분리 전체사시도이다.
도 14는 나사 캡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깥캡본체의 분리 전체사시도이다.
도 15는 주요부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정면도이다.
도 16은 나사 캡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캡본체의 분리 전체사시도이다.
도 17은 나사 캡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깥캡본체의 분리 전체사시도이다.
도 18은 나사캡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출캡본체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19는 나사 캡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출캡본체의 바닥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병입구통(18) 자체를 병체측의 주출구부로 하고, 이 병입구통(18)에 캡부가 되는 캡본체 (2A)를 직접 조립한 합성수지제 나사 캡(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의 합성수지제 나사 캡(1)은 폴리프로필렌수지 혹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제의 일체 성형물로, 천장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캡부가 되는 캡본체(2A)와, 짧은 원통형의 밀봉링(11)을 파단하기 쉬운 복수의 파단편(7)을 통해 일체로 연이어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캡부인 캡본체(2A)는, 안둘레면의 나사조(5)를 통해 바깥둘레면에 나선조 (19A)를 형성한 병입구통(18)에 바깥에서 끼워 나사맞춤하는 통벽부가 되는 통벽 (3A)의 상단을, 하면에 마개통편(6)을 아래로 늘어뜨려 형성한 천장판(4)으로 막아 천장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개통편(6)은 직접 병입구통(18)의 개구부에 조밀하게 끼워 넣는 것으로 되어 있고, 이 마개통편(6)의 바깥쪽 의 병입구통(18)의 상단면에 대향하는 천장판(4)의 하면부분에는, 패킹(17)이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도 3의 제 2 실시예의 경우는, 병입구통(18)의 개구부에, 병체측의 주출구부를 구성하는 주출통편(24)에 부착된 중간마개(23)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마개통편 (6)은 이 중간마개(23)의 주출통편(24)을 조밀하게 끼워 넣는 것으로 되어 있다.
통벽(3)의 하단에, 파단하기 쉬운 파단편(7)을 통해 연이어 형성된 밀봉링 (11)은 캡본체(2A)가 병입구통(18)의 나사맞춤한도까지 조립된 상태에서 병입구통 (18)의 목부분 고리(21)와의 사이에, 경화(硬貨) 등의 경질물이 그 끝단부를 침입시킬 수 있는 틈새(s)를 형성하는 높이를 가짐과 동시에, 나선조(19A)보다도 아래위치가 되는 병입구통(18)의 바깥둘레면 부분에 바깥쪽 끝단을 나선조(19A)보다도 바깥쪽으로 위치시켜 형성된 제 1 걸어멈춤부(20A)에 대하여, 이것을 타고 넘어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멈춤하는 제 2 걸어멈춤부(12)를 안둘레면에 돌출형성하고 있다.
병주둥이(18)로부터 밀봉링(11)을 분리할 때는, 밀봉링(11)과 목부분 고리 (21)와의 사이의 틈새(s)에 경화의 둘레끝단부 등의 대응한 경질물의 끝단부를 삽입하여, 밀봉링(11)을 지름확대방향으로 비틀어 열도록 함으로써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또,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걸어멈춤부(20A) 및 제 2 걸어멈춤부(12) 모두 돌출조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한쪽을 다른쪽의 돌출조가 걸어맞춤하는 오목홈구조로 해도 좋다.
다음에, 제 3 실시예로서,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병체측의 주출구부로서, 병입구통(18)에 주출캡본체(25)를 바깥에서 끼워, 해당 주출캡본체(25)와, 캡부가 되는 바깥캡본체(2B)로 구성한 주출캡인 합성수지제 나사 캡(1)에 대해서 설명한다.
병체측의 주출구부를 구성하는 주출캡본체(25)는, 병입구통(18)에 바깥에서끼워, 목부분 고리(21)와의 사이에, 경질물의 끝단부, 예를 들면 경화의 둘레끝단부가 침입할 수 있는 틈새를 형성하는 높이로 성형된 조립통(26)의 상단에, 안날밑형상의 천장벽(28)을 통해, 바깥둘레면에 나선조(19B)를 형성한 나사맞춤통(29)을 세워 형성하며, 이 나사맞춤통(29)의 상단에 안날밑편(31)을 통해, 상단부를 나팔형상으로 지름확대된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의 주출통(32)을 연이어 형성하고, 이 주출통(32)의 바닥벽인 밀봉벽(33)으로 닫힌 루프형상으로 형성된 파단홈(35)에 의해 구획 형성된 당김고리 등을 가지는 병따개부(34)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병입구통(18)에 바깥에서 끼우는 조립통(26)은, 그 안둘레면 하단부에 병입구통(18)의 개구부 바깥둘레에 형성된 걸어멈춤둘레조(22)에 타고 넘어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돌출조(27)를 형성하여, 병입구통(18)에 대한 걸어멈춤기능부분을 구성하고, 또한 이 걸어멈춤돌출조(27)에 인접하는 상부위치의 바깥둘레면 부분이 되는 걸어멈춤둘레조(22)에 대향하는 부분의 바깥둘레면 부분에 돌출둘레조형상의 제 1 걸어멈춤부(20B)를 형성하고 있다.
또, 나사맞춤통(29)을 아래로 늘어뜨린 형상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시일통편 (30)은, 병입구통(18)에 조밀하게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주출캡본체(25)의 병입구통(18)에 대한 조립을 충분히 친밀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캡부가 되는 바깥캡본체(2B)는, 주출캡본체(25)의 주출통(32)의 개구끝단에 조밀하게 끼워 넣는 마개통편(6)을 하면에 아래로 늘어뜨려 형성한 천장체(4)의 둘레끝단 가장자리로부터 주출캡본체(25)의 나사맞춤통(29)에 나사맞춤하는 본체통 (3a)을 아래로 늘어뜨려 형성하고, 이 본체통(3a)의 하단에, 바깥날밑편(3c)을 통해 조립통(26)에 바깥에서 끼우는 외부장착통(3B)을 아래로 늘어뜨려 형성하며, 이 외부장착통(3B)의 하단에, 파단하기쉬운 파단편(7)을 통해 안둘레면에 제 1 걸어멈춤부(20B)를 타고 넘어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멈춤하는 돌출조형상의 제 2 걸어멈춤부(12)를 형성한 밀봉링(11)을 연이어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본체통(3a)과 바깥날밑편(3c)과 외부장착통(3B)으로 바깥캡본체(2B)의 통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밀봉링(11)은, 제 1 걸어멈춤부(20B)에서 목부분 고리(21)까지의 높이 폭과, 목부분 고리(21)의 바깥지름보다도 큰 안지름을 가지고 있으므로, 도 6의 개봉전의 상태에서는, 그 위 끝단부를 제 1 걸어멈춤부(20B)에 대략 접촉시켜 그 하단부를 목부분 고리(21)의 바깥둘레면에 대향시키는 것으로 되고, 파단편(7)의 파단시에는, 목부분 고리(21)에 방해되는 일없이, 낙하하여 위치변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바깥캡본체(2B)의 하단에 형성한 밀봉링(11)은 그 위 끝단부를, 주출구부를 구성하는 주출캡본체(25)의 제 1 걸어멈춤부(20B)에 대략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조립통(26)의 지름확대변형을 억제하게 되고, 이 때문에 가령 조립통(26)을 병입구통(18)으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두께를 얇게 구성한 경우이더라도, 이 조립통 (26)의 지름확대변형의 발생을 저지하여, 주출캡본체(25)의 병입구통(18)에 대하여 안정하게 끼워 장착한 조립을 달성 유지하고, 또한 조립통(26)과 목부분 고리(2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덮어서 숨기고, 이에 따라 주출캡본체(25)를 직접 비틀어 여는 형태로 분리시키고자 하는 부정처리를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제 2 걸어멈춤부(12)를 포함한 밀봉링(11)의 최소 안지름값은, 목부분고리(21)의 바깥지름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 때문에 파단편(7)이 파단하였을 때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봉링(11)은 그 스스로의 무게에 의해 목부분 고리(21)의 아래위치까지 하강 변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 2 걸어멈춤부(12)가 목부분 고리(21)에 걸려, 밀봉링(11)의 상단이 조립통(26)의 하단부에 바깥에서 장착한 채로 되고, 조립통(26)의 지름확대변형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불합리한 발생을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고, 캡부가 되는 캡본체 (2A) 혹은 바깥캡본체(2B)의 통벽부를 구성하는 통벽(3A) 혹은 외부장착통(3B)의 하단에, 제 1 걸림부(8)와 제 1 누름경사면부(9)를 조합한 제 1 조합부(10)를 복수개 형성하고 있다. 밀봉링(11)의 상단에는, 제 1 걸림부(8)에 대하여 제 2 걸림부(13)와, 제 1 누름경사면부(9)에 대하여 제 2 누름경사면부(14)를 조합한 복수개의 제 2 조합부(15)를 형성하고 있다. 도 8에 있어서는, 제 1 조합부(10)의 1개가, 1개의 돌기편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비하여 제 2 조합부(15)의 1개가, 2개의 돌기편 사이의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주요부의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 1 조합부(10)의 1개가, 1개의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비하여 제 2 조합부(15)의 1개가, 돌기편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주요부의 제 3 실시예의 경우는, 도 9에 나타내는, 주요부의 제 2 실시예와는 반대로, 제 1 조합부(10)의 1개가, 1개의 돌기편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향하는 제 2 조합부(15)의 1개가,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주요부의 제 1 실시예인 경우, 통벽부가 되는 통벽(3A) 혹은 외부장착통(3B)과 밀봉링(11)과의 사이에 비교적 큰 틈새가 형성되기 때문에, 그 만큼 캡본체(2A) 혹은 바깥캡본체(2B)를 성형하는 데 요하는 합성수지재료의 양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비하여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주요부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의 경우는, 파단하기 쉬운 파단편(7)을 짧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제 1 걸림부(8)와 제 2 걸림부(13)는, 병체측의 주출구부가 되는 병입구통 (18) 혹은 주출캡본체(25)에, 캡부가 되는 캡본체(2A) 혹은 바깥캡본체(2B)를 처음으로 나사맞춤 조립할 때에, 서로 걸려 맞닿는 것에 의해 밀봉링(11)의 캡본체(2A) 혹은 바깥캡본체(2B)에 대한 나사 이탈방향으로의 회전이동변위를 불가능하게 하여, 일체로 나사맞춤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제 1 걸어멈춤부(20A) 혹은 제 1 걸어멈춤부(20B)에 대한 제 2 걸어멈춤부(12)의 강제적인 타 넘기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주요부의 제 4 실시예의 경우는, 통벽(3A) 혹은 외부장착통(3B)의 하면이 되는, 제 1 조합부(10)의 바닥부에, 밀봉링(11)의 상면을 향하여, 통벽(3A) 혹은 외부장착통(3B)과, 밀봉링(11)과의 틈새를 작게 하는 돌기부(16)를 돌출하여 형성하고 있다. 캡본체(2A) 혹은 바깥캡본체(2B)를, 병입구통 (18) 혹은 주출캡본체(25)에 처음으로 나사맞춤 조립할 때에, 돌기부(16)가 밀봉링 (11)의 표면에 부딪쳐 통벽(3A) 혹은 외부장착통(3B)과 밀봉링(11)과의 스트로크를확보하고, 해당 스트로크가 작아지는 것에 의해, 파괴하기 쉬운 파단편(7)이 휘어져서 파단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캡본체(2A) 혹은 바깥캡본체(2B)를, 병입구통(18) 혹은 주출캡본체 (25)에 나사맞춤 조립할 때에, 캡본체(2A) 혹은 바깥캡본체(2B)가 다소 휘어진 경우이더라도, 돌기부(16)가 밀봉링(11)의 상면을 누르고, 제 2 걸어멈춤부(12)가, 제 1 걸어멈춤부(20A) 혹은 제 1 걸어멈춤부(20B)를 확실하게 타고 넘어, 제 1 걸어멈춤부(20A) 혹은 제 1 걸어멈춤부(20B)에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멈춤한다.
제 1 누름경사면부(9)와 제 2 누름경사면부(14)는(이하, 도 12 참조), 나사캡(1)을 비롯하여 나사이탈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나사조(5) 및 나선조(19A) 혹은 나선조(19B)의 리드각 a보다도 큰 예각인 경사각 b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양 누름경사면부의 접촉이 종료하는 나사캡(1)의 회전범위(이 회전범위의 초기에 파단편(7)은 파단되어 있다)에서, 제 1 누름경사면(9)이 리드각 a에 따른 방향 e로 이동하면, 제 2 누름경사면부(14)는 밀어 내려져 방향 f로 하강 변위한다.
즉, 캡본체(2A) 혹은 바깥캡본체(2B)가 리드각 a에 따라서 거리 c만큼 상승 변위하는 데 비하여, 제 1 걸어멈춤부(20A) 혹은 제 1 걸어멈춤부(20B)에 대한 제 2 걸어멈춤부(12)의 걸어멈춤에 의해 밀봉링(11)이 상승 변위 불가능하게 되어 있고, 캡본체(2A) 혹은 바깥캡본체(2B)와 함께 회전할 수 없는 밀봉링(11)이 캡본체 (2A) 혹은 바깥캡본체(2B)에 대하여, 경사각 b를 따라서 거리 c보다도 큰 거리 d만큼 밀어 내려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밀봉링(11)은 나사 이탈하는 캡본체(2A) 혹은 바깥캡본체(2B)에서 거리 d만큼 강제적으로 밀어 내려지는 것으로 되고, 이에 따라 제 1 걸어멈춤부 (20A) 혹은 제 1 걸어멈춤부(20B)에 제 2 걸어멈춤부(12)가 걸어멈춤한 위치에서, 밀봉링(11)이 병입구통(18)의 제 1 걸어멈춤부(20A) 혹은 주출캡본체(25)의 제 1 걸어멈춤부(20B)에 습기 등에 의해 부착하고 있었다고 해도, 밀봉링(11)은 제 1 걸어멈춤부(20A) 혹은 제 1 걸어멈춤부(20B)로부터 확실하게 분리하여, 스스로의 무게에 의해 하강 변위한다.
제 1 걸림부(8)와 제 1 누름경사면부(9)를 조합한 제 1 조합부(10)와, 제 2 걸림부(13)와 제 2 누름경사면부(14)를 조합한 제 2 조합부(15)는 도 13의 나사 캡의 제 4 실시예 혹은 도 14의 나사 캡의 제 5 실시예와 같이,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동일한 구성의 것을 복수개 형성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주요부의 제 5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대향한 한 쌍의 조합부(10,15)를 둘레방향에 파형형상으로 연이어 형성하면, 통벽 (3A) 혹은 외부장착통(3B)의 하단 형상과 밀봉링(11)의 상단 형상의 대칭성이 좋아지고, 외관상 미관이 향상하여 의장성이 좋아진다.
이에 대하여, 도 16의 나사 캡의 제 6 실시예 혹은 도 17의 나사 캡의 제 7 실시예와 같이, 대향한 한 쌍의 양 조합을 둘레방향을 따라 조금 긴 돌기와 오목부의 조합으로 구성함으로써 이 둘레방향으로 긴 조합부분에, 이형을 위한 벗김테이퍼를 형성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캡본체(2A) 혹은 바깥캡본체(2B)를 성형하는 금형장치의 캐비티금형을, 구(駒)금형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단순한 쪼개진 금형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주출캡본체(25) 및 바깥캡본체(2B)로 구성되는 주출캡인 나사캡을, 병입구통 (18)으로부터 분리할 때는, 바깥캡본체(2B)를 나사식으로 접착시킨 상태로 주출캡본체(25)를 비틀어 떼는 형태로 강제 분리하더라도 좋은 것이지만, 조립통(26)과 목부분 고리(21) 사이의 틈새에, 경화의 둘레끝단부 등의 대응하는 경질물의 끝단부를 삽입하여, 이것으로 조립통(26)을 지름확대방향으로 비틀어 여는 것에 의해, 주출캡인 나사 캡(1)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나사 캡의 제 8 실시예인 주출캡본체(25)와 같이, 걸어멈춤돌출형상(27)을 형성한 조립통(26)의 하단부에 쪼개진 홈(27a)을 형성하여, 병입구통(18)에 대한 주출캡본체(25)의 조립강도를 병입구통(18)에 대하여 헛도는 일이 없는 범위에서 사람 손에 의한 비틀어 떼는 형태로 떼어낼 수 있는 정도로 설정한다.
조립통(26)은 사람 손에 의한 비틀어 떼는 힘의 작용에 의해, 쪼개진 홈 (27a)이 지름 확대하여, 조립통(26)이 충분히 휨변형하고, 힘이 약한 사람이더라도, 주출캡본체(25)와 바깥캡본체(2B)로 구성되는 주출캡인 나사 캡(1)의 병입구통 (18)의 비틀어 떼는 형태의 분리가 원활하게 달성된다.
쪼개진 홈(27a)의 형성에서는, 병입구통(18)에 대한 주출캡본체(25)의 조립강도가 적정한 범위가 되고, 또한 약한 비틀어 떼는 작용에 의해서 주출캡본체(25)가 비틀어 떼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범위가 되도록, 개수뿐만 아니라, 길이, 폭 등을 병체용기 전체의 구조, 사용상태를 고려하면서 설계해야 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나사캡의 제 9 실시예인, 주출캡본체(25)와 같이, 조립통(26)의 걸어멈춤돌출조(27)를 단속적인 둘레돌출형구조로 하면, 걸어멈춤돌출조 (27)의 결락부분만큼 조립통(26)의 두께가 얇아지고, 지름확대 하기 쉬어져서, 힘이 약한 사람이더라도, 병입구통(18)으로부터 나사 캡(1)의 비틀어 떼는 형태의 분리를 원활하게 달성할 수 있다.
걸어멈춤돌출조(27)는 병입구통(18)에 대한 주출캡본체(25)의 조립강도가 적정한 범위로 되고, 또한, 약한 비틀어 떼는 작용에 의해서도 주출캡본체(25)를 비틀어 떼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범위가 되도록, 사용상태 등을 고려하여, 대향하는 2개소 또는 같은 간격의 복수개소에 걸어멈춤돌출조(27)를 제거한 결락된 부분을 설계하여, 단속적인 둘레돌출조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그 외에 당김고리를 잡아 당겨, 병따개부(34)를 개방한 개구부로부터 스푼의 손잡이 등의 대응하는 경질물을 삽입하여, 안날밑형상으로 되어 있는 밀봉벽(33)에 경질물의 일끝단을 걸어, 해당 경질물을 지레형태로 작용시키고 주출캡본체(25)를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주출캡본체(25)를 병입구통(18)으로부터 간단히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필 퍼 프루프 캡에 있어서, 리브 상당부분을 파단하여 뚜껑본체를 나사 이탈시킬 때에, 필 퍼 프루프 끝단부 상당부분을 확실히 낙하 변위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따라서 필 퍼 프루프기능을 확실히 발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Claims (14)

  1. 바깥둘레면에 나선조를 형성한 병체측의 주출구부에, 통벽부에서 나사맞춤하여 조밀하게 바깥쪽에서 장착하는 캡부와, 상기 나선조보다도 아래위치가 되는 상기 주출구부의 바깥둘레면 부분에, 바깥쪽 끝단을 나선조보다도 바깥쪽에 위치시켜서 형성된 제 1 걸어멈춤부를 타고 넘어 아래쪽에서 걸어멈춤하는 제 2 걸어멈춤부를 안둘레면에 형성하고, 복수개의 파단하기 쉬운 파단편을 통해 상기 통벽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밀봉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벽부의 하단에 형성한 복수개의 제 1 누름경사면부에 대하여, 해당 제 1 누름경사면부에 나사 이탈방향측으로부터 상기 주출구부와 상기 캡부와의 나사맞춤기능부를 구성하는 상기 나선조의 리드각보다도 큰 예각인 경사각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접촉하기 위한, 아주 가깝게 대향하는 복수개의 제 2 누름경사면부를, 상기 밀봉링의 상단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 나사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바깥둘레면에 나선조를 형성한 주출구부로 이루어지는 병입구통에, 통벽부가 되는 통벽에서 나사맞춤하여 조밀하게 바깥쪽에서 장착하는 천장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캡부가 되는 캡본체와, 상기 나선조보다도 아래위치가 되는 상기 병입구통의 바깥둘레면 부분에, 바깥쪽 끝단을 상기 나선조보다도 바깥쪽에 위치시켜 형성된 제 1 걸어멈춤부를, 타고 넘어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멈춤하는 제 2 걸어멈춤부를 안둘레면에 형성하여, 복수개의 파단하기 쉬운 파단편을 통해,상기 통벽의 하단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짧은 원통형의 밀봉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통벽의 하단에 형성한 복수개의 제 1 누름경사면부에 대하여, 해당 제 1 누름경사면부에 나사 이탈방향측으로부터, 상기 나선조의 리드각보다도 큰 예각인 경사각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접촉하기 위한, 아주 가깝게 대향하는 복수개의 제 2 누름경사면부를, 상기 밀봉링의 상단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 나사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병입구통에, 바깥쪽에서 타고 넘어 걸어멈춤하는 조립통을 가지고, 조밀하게 끼워 장착하여 주출구를 형성하는 주출구부가 되는 주출캡본체와, 해당 주출캡본체에 착탈 자유롭게 나사맞춤하여, 상기 주출구를 개폐하는 천장을 가지는 통형상의 캡부가 되는 바깥캡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조립통의 바깥둘레면에 제 1 걸어멈춤부를 형성하여, 닫힌 상태에서 상기 조립통에 바깥쪽에서 장착하는 바깥캡본체의 통벽부가 되는 외부장착통의 하단에, 상기 제 1 걸어멈춤부에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멈춤하는 제 2 걸어멈춤부를 형성한 밀봉링을, 복수개의 파단하기 쉬운 파단편을 통해 일체로 연이어 형성하고, 상기 외부장착통의 하단에 형성한 복수개의 제 1 누름경사면부에 대하여, 해당 제 1 누름경사면부에 나사 이탈방향측으로부터, 상기 주출캡본체의 나선조의 리드각보다도 큰 예각인 경사각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접촉하기 위한, 아주 가깝게 대향하는 복수개의 제 2 누름경사면부를, 상기 밀봉링의 상단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 나사 캡.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통벽부에, 제 1 누름경사면부와조합하여 제 1 걸림부를 구성하고, 이 제 1 걸림부에 대하여 나사맞춤 방향측으로 타고 넘기 불가능하게 맞닿기 위해 아주 가깝게 대향하는 제 2 걸림부를 제 2 누름경사면부와 조합하여 밀봉링에 형성한 합성수지제 나사 캡.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걸림부와 제 1 누름경사면부를 조합한 제 1 조합부와, 제 2 걸림부와 제 2 누름경사면부를 조합한 제 2 조합부의 한쪽을 돌기로 형성하고, 다른쪽을 상기 돌기가 들어가는 오목부로 형성한 합성수지제 나사 캡.
  6. 제 5 항에 있어서, 한쪽을 1개의 돌기로 형성하고, 다른쪽을 상기 돌기가 들어가는 오목부로 형성한 제 1 조합부와 제 2 조합부와의 각각을, 둘레방향에 파형형상으로 형성한 합성수지제 나사 캡.
  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통벽부의 아래면, 밀봉링의 표면의 어느 한쪽에, 다른쪽을 향하여 통벽부와 밀봉링와의 틈새를 작게 하는 돌기부를 돌출하여 형성한 합성수지제 나사 캡.
  8.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통벽부가 되는 통벽의 하단가장자리와, 병입구통의 바깥둘레면 하부에 형성된 목부분 고리와의 사이에, 경화 등의 경질물의 끝단부가 침입 가능한 틈새를 형성한 합성수지제 나사 캡.
  9.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밀봉링의 높이 폭을, 병입구통에 끼워 부착한 상태에서, 해당 병입구통의 목부분 고리에 거의 하단이 도달하는 값이 되도록 설정한 합성수지제 나사 캡.
  10.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조립통의 적어도 하단부에 쪼개진 홈을 형성하여, 병입구통에 대한 주출캡본체의 조립강도를, 상기 병입구통에 대하여 헛도는 일이 없는 범위에서, 사람 손에 의한 비틀어 떼는 형태로 떼어낼 수 있는 정도로 설정한 합성수지제 나사 캡.
  11.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병입구통에 바깥쪽에서 끼우는 조립통의 안둘레면 하단부에, 상기 병입구통의 개구부 바깥둘레에 형성된 걸어멈춤둘레조를 타고 넘어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돌출조를 형성하여, 병입구통에 대한 주출캡본체의 조립강도의 설정수단을, 상기 걸어멈춤돌출조에 단속적인 둘레돌출조 구조로 한 합성수지제 나사 캡.
  12.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9 항,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조립통의 하단가장자리와, 병입구통의 바깥둘레면 하부에 형성된 목부분 고리와의 사이에, 경화 등의 경질물의 끝단부가 침입 가능한 틈새를 형성한 합성수지제 나사 캡.
  13.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주출캡본체와 바깥캡본체를 다른 색으로 한 합성수지제 나사 캡.
  14.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주출구부가 되는 주출캡본체에 형성되는 주출구를, 내용액의 주출을 가이드하기 위해 형성한 주출통의 바닥벽인 밀봉벽에, 닫힘루프를 그리는 파단홈으로 구획 형성된 당김고리 등을 가지는 병따개부의 파단제거에 의해 개방된 당겨 여는 식의 주출구로 한 합성수지제 나사 캡.
KR1020027016871A 2001-04-13 2002-04-04 합성수지제 나사 캡 KR100873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14788 2001-04-13
JP2001114788 2001-04-13
JPJP-P-2001-00126980 2001-04-25
JP2001126980 2001-04-25
JP2002051862A JP2003012017A (ja) 2001-04-25 2002-02-27 合成樹脂製ネジキャップ
JPJP-P-2002-00051861 2002-02-27
JPJP-P-2002-00051862 2002-02-27
JP2002051861A JP3874177B2 (ja) 2001-04-13 2002-02-27 合成樹脂製注出キャップ
PCT/JP2002/003366 WO2002085731A1 (fr) 2001-04-13 2002-04-04 Bouchon a vis en resine synthe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276A true KR20030015276A (ko) 2003-02-20
KR100873258B1 KR100873258B1 (ko) 2008-12-11

Family

ID=2748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871A KR100873258B1 (ko) 2001-04-13 2002-04-04 합성수지제 나사 캡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38787B2 (ko)
EP (2) EP2548811B1 (ko)
KR (1) KR100873258B1 (ko)
CN (1) CN100447058C (ko)
AU (1) AU2002246339B2 (ko)
CA (1) CA2428077C (ko)
TW (1) TWI274017B (ko)
WO (1) WO200208573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179B1 (ko) * 2009-11-16 2011-06-13 혜 숙 김 수납박스의 투시형 손잡이 구조
KR20180078598A (ko) * 2016-12-30 2018-07-10 라이오팁 코리아 주식회사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30220A1 (it) * 2003-02-07 2004-08-08 Guglielmo Ferrari Tappo a vite con anello di sicurezza ad affidabilita' migliorata
FR2862620B1 (fr) * 2003-11-24 2006-11-24 Rexam Pharma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un liquide a bague d'inviolabilite
DE102005040745A1 (de) * 2005-08-26 2007-03-01 Heinlein Plastik-Technik Gmbh Originalitätsverschluss für Behälter
DE102005058399A1 (de) * 2005-12-01 2007-06-14 Eppendorf Ag Deckelgefäß
US20070278256A1 (en) * 2006-06-06 2007-12-06 Law Brian R Tamper-evident closure for a container
ITMI20062181A1 (it) * 2006-11-14 2008-05-15 Guglielmo Ferrari Tappo a vite con anello di sicurezza
CN102649494A (zh) * 2012-05-03 2012-08-29 瞿祥鹏 滴剂瓶盖
CN104150082A (zh) * 2014-07-28 2014-11-19 芜湖市鑫洲包装有限公司 一种拉起式酒瓶盖
FR3045574A1 (fr) * 2015-12-22 2017-06-23 Caj Consultants Ltd Systeme d’obturation pour recipient
US11214410B2 (en) 2016-02-02 2022-01-04 Niagara Bottling, Llc Tamper evidence container closure
EP3411301A4 (en) 2016-02-02 2019-10-09 Niagara Bottling, LLC BRIDGES INDICATORS OF EFFRACTION
CN105905420B (zh) * 2016-04-12 2017-10-17 翁沂南 一种带标记的饮料瓶盖
JP6846960B2 (ja) * 2017-03-13 2021-03-24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US10919670B1 (en) * 2017-12-21 2021-02-16 Gervasio A. Chicaia Tamperproof seal for sealing containers
US11597556B2 (en) 2018-07-30 2023-03-07 Niagara Bottling, Llc Container preform with tamper evidence finish portion
EP3841026A1 (en) * 2018-08-22 2021-06-30 Niagara Bottling, LLC Thread catching and engaging tamper evidence closure
WO2020041524A1 (en) * 2018-08-22 2020-02-27 Niagara Bottling, Llc Extended thread tamper band evidence
CN109795785A (zh) * 2019-01-30 2019-05-24 镇江恒达包装股份有限公司 一种耐用的高密封性能瓶盖
EA038731B1 (ru) * 2019-07-09 2021-10-12 Станислав Сергеевич Гончаров Пробка-дозатор сосуда для хранения и раздачи газированного напитка
US20240051714A1 (en) * 2019-10-10 2024-02-15 Jin Hee Ahn 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same coupled thereto
IT202200010205A1 (it) * 2022-05-17 2023-11-17 Guala Closures Spa Chiusura per bottigli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36459A (fr) * 1967-07-07 1968-08-16 Perfectionnement aux bouchons inviolables à vis pour récipients
DE1955047A1 (de) * 1969-11-03 1971-05-13 Finke Robert Fa Flasche mit Sicherheitsschraubverschluss
DE2813940A1 (de) * 1977-04-23 1978-10-26 Zensho Honma Flaschenverschluss
US4380299A (en) * 1980-09-10 1983-04-19 Precision Plastic Products Corporation Tamper proof closure
DE3233805A1 (de) * 1982-09-11 1984-03-15 Hans 8801 Schillingsfürst Heinlein Verschlusskappe, insbesondere fuer flaschenartige behaelter, mit einem orginalitaetssicherungselement
DE8434870U1 (de) * 1984-11-28 1985-01-24 Golde GmbH Spritzgußwerk, 8192 Geretsried Originalitaetsgesicherter Kunststoff-Schraubverschluss
US4700859A (en) * 1986-08-11 1987-10-20 Owens-Illinois Closure Inc. Tamper indicating closure
GB8705040D0 (en) * 1987-03-04 1987-04-08 Cope Allman Plastics Ltd Tamper-evident closures
US5273173A (en) * 1990-02-05 1993-12-28 Lynes Holding S.A. Screw top
US5033632A (en) * 1990-06-08 1991-07-23 Lincoln Mold And Die Corporation Tamper-evident closure with angled breakaway tabs
AU660216B2 (en) * 1992-03-06 1995-06-15 Ernst Herrmann Cork
CA2107041A1 (en) * 1993-02-09 1994-08-10 Jose Carvalheiro Stopper device for recipient
JPH0712294A (ja) 1993-06-23 1995-01-17 Miyawaki Inc トラップ用自動診断装置
US5915579A (en) * 1995-02-13 1999-06-29 Mauser Werke Gmbh Container with tamper-evident and pre-lockable closure assembly
JP3706419B2 (ja) * 1995-11-20 2005-10-12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分別廃棄性を有するキャップ
US5810207A (en) * 1996-02-08 1998-09-22 Mikasa Industry Co., Ltd. Container and heat-resistant cap for use with same
WO1999023002A2 (en) * 1997-10-30 1999-05-14 International Plastics And Equipment Corporation Snap-on screw-off closure
US6059134A (en) * 1997-10-30 2000-05-09 International Plastics And Equipment Corporation Snap-on screw-off closur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 container
JP3874136B2 (ja) * 1997-12-25 2007-01-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注出キャップ
FR2775959B1 (fr) * 1998-03-13 2000-06-09 Plastiques De France Ind Bouchon filete inviolable bi-matiere pour bouteille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IT1300020B1 (it) * 1998-05-08 2000-04-04 Sacmi Capsula a vite in materiale plastico con anello di garanzia.
CN2346720Y (zh) * 1998-05-21 1999-11-03 赵帮富 防二次使用塑料瓶
IT1304486B1 (it) * 1998-09-09 2001-03-19 Sacmi Capsula a vite in materiale plastico con anello di garanzia.
USD441650S1 (en) * 1999-01-07 2001-05-08 Novembal - Societe En Nom Collectif Lightened neck for a container
US6382444B1 (en) * 1999-03-17 2002-05-07 Sentinel Packaging Systems, Inc. Tamper-evident plastic closure system with snap-on band
IT1313634B1 (it) * 1999-09-27 2002-09-09 Guala Closures Spa Chiusura particolarmente per una bottiglia di un liquore di pregio.
US7578131B2 (en) * 2005-06-30 2009-08-2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ugmentor spray bar mounting
US7096846B1 (en) * 2005-07-01 2006-08-29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Group, Inc. Engine and transmission case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179B1 (ko) * 2009-11-16 2011-06-13 혜 숙 김 수납박스의 투시형 손잡이 구조
KR20180078598A (ko) * 2016-12-30 2018-07-10 라이오팁 코리아 주식회사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KR101881095B1 (ko) * 2016-12-30 2018-07-23 라이오팁 코리아 주식회사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85731A1 (fr) 2002-10-31
US6938787B2 (en) 2005-09-06
AU2002246339B2 (en) 2007-03-15
EP1389587A1 (en) 2004-02-18
EP1389587A4 (en) 2009-04-08
EP1389587B1 (en) 2017-09-27
CN100447058C (zh) 2008-12-31
US20040011757A1 (en) 2004-01-22
CN1461278A (zh) 2003-12-10
EP2548811A1 (en) 2013-01-23
TWI274017B (en) 2007-02-21
CA2428077A1 (en) 2002-10-31
EP2548811B1 (en) 2017-07-19
KR100873258B1 (ko) 2008-12-11
CA2428077C (en) 201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5276A (ko) 합성수지제 나사 캡
KR100822925B1 (ko) 합성수지제 주출캡
US5413233A (en) Child resistant bottle closure
US4747498A (en) Safety dispensing closure-container package
AU2001294641B2 (en) Closure lid and resealable closure system
US4727999A (en) Safety dispensing closure-container package
JPH07503219A (ja) 潜在的に危険な材料を貯蔵するのに使用される子供に安全なアタッチメント
US20140117020A1 (en) Fillable closure comprising a push button for triggering
AU2001294641A1 (en) Closure lid and resealable closure system
US5257724A (en) Tamper evident trigger sprayer bottle cap/bottle neck assembly
US4572385A (en) Tamper indicating child resistant threaded closure
US4936475A (en) Threaded tamper indicating closure
US4261478A (en) Tamper-proof closure cap
US11383904B2 (en) Plastic bottle equipped with a tamperproof device after its opening
US5046646A (en) Non-resealable dispenser cap construction
US5121859A (en) Non-resealable dispenser cap construction
JP3874177B2 (ja) 合成樹脂製注出キャップ
US20030217987A1 (en) Tamper indicating closure
JP3874169B2 (ja) 合成樹脂製注出キャップ
JP4184117B2 (ja) 封緘式キャップ
JP3785493B2 (ja) 容器のキャップ構造
CN213621214U (zh) 一种密封瓶盖
WO2008028220A1 (en) Tamper evident closure and container neck with inner ridge
JP2023114600A (ja) バージンシール機能を有し、容器の口部にねじ込みにより取り付け可能なキャップ
JP2002249154A (ja) 合成樹脂製注出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