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598A -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 Google Patents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598A
KR20180078598A KR1020160183520A KR20160183520A KR20180078598A KR 20180078598 A KR20180078598 A KR 20180078598A KR 1020160183520 A KR1020160183520 A KR 1020160183520A KR 20160183520 A KR20160183520 A KR 20160183520A KR 20180078598 A KR20180078598 A KR 20180078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edicament
medicine
joint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095B1 (ko
Inventor
장병하
Original Assignee
라이오팁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오팁 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이오팁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0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9Syringes having more than one chamber, e.g. including a manifold coupling two parallelly aligned syringes through separate channels to a common discharg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61M5/284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96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는 외관부에 안전클립을 구비함으로써 불필요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약제의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종의 약제별로 각각 약제실린더가 구비되어 약제를 개별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약제의 무분별한 혼합을 방지하고 외부 환경과 완벽한 차폐가 가능하여 약제의 보관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여기에 실린더를 연결하기 위해 내부에 약제의 압력에 따라 분리되는 러버볼이 구비된 조인트를 사용함으로써 약제의 누출을 막고 보관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Complex syringe for mixing of double drugs}
본 발명은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종(異種)의 약제, 예를 들어 분말 및 액체 상태의 약제를 하나의 주사기를 통해 한 번에 체내로 주입하기 위하여 이종의 약제를 각각 분리하여 내부 공간에 보관하다 사용 시 혼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복합 주사기로, 외관부에 실린더의 피스톤과 직접 맞닿아 누르는 힘을 전달할 수 있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버튼부의 원치 않는 눌림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클립을 구비하여 약물의 보관성을 높이며, 필요 시 신속하게 혼합할 수 있는 복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체내에 약제를 주입하거나 채혈 및 다양한 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료 용품 중 하나로, 약제가 충전되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에서 상하 왕복하여 가압 작동으로 약제를 공급하는 피스톤, 실린더 하단에 위치하는 플레인 팁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주사기는 단일 종류의 약제를 주사하도록 사용된다. 따라서 복수의 이종 약제를 혼합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는 각각의 별도 용기에 분리 보관하고, 사용 시 각각의 약제를 따로 주사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큰 불편함이 있다.
또한 다수의 주사용 약제는 수계 형태로 용액 상태에서 빠르게 분해되어 효능을 상실하거나 보관의 안정성을 위해 냉장 및 특수 포장을 하여야 하므로 보관 비용의 추가 및 보관 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수계 형태 약제의 문제점인 보관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대부분의 약제는 분말이나 정제(tablet) 형태의 고체 형태로 제조되나 고체 약제를 투여하기 전에 액체 제형으로 재구성하기 위해 복잡한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공정 중에 약제의 오염, 기포 발생 등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두 종류 이상의 약제를 동시에 주입 가능한 주사기에 대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17947, 10-2011-0041826 등이 있으며, 이들 기술은 모두 큰 직경의 제1주사기 내부에 작은 직경의 제2주사기를 삽입하되 큰 직경의 제1주사기 내부의 피스톤과 작은 직경의 제2주사기 토출구를 연결하여 상기 작은 직경의 제2주사기에 내장된 액체 상태의 약제를 큰 직경의 제1주사기 내부 분말에 공급하여 혼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하나의 큰 주사기 내부에 제2주사기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각 약제 별로 충분히 밀폐된 개별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아닌 두 주사기가 결합되어야 별도의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므로 약제의 보관 안정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으며, 오작동에 의한 약제의 혼합이나 누출이 발생하기 쉬운 구조를 갖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17947(2014년 02월 12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41826(2011년 04월 2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약제실린더, 제2약제실린더, 바늘부 및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주사기부와, 상기 주사기부의 외면을 감싸며, 버튼부, 안전클립, 바디부, 팁 등을 포함하는 외관부로 구성되되 상기 안전클립이 상기 버튼부의 하단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불필요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주사기부의 두 개의 약제실린더와 이를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함으로써 이종의 약제를 개별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내부에 약제의 혼합을 촉진하는 여러 구성을 더 도입한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의 제공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인트의 내부에 약제의 압력에 따라 분리되는 러버볼을 더 구비하여 약제의 누출을 막고 보관 안정성을 더욱 높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의 제공이다.
본 발명은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제1약제실린더, 제2약제실린더, 바늘부 및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주사기부; 및
외측면에 음각부를 형성하며, 피스톤의 상부에 위치하여 피스톤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버튼부, 상기 피스톤의 음각부에 구비되며, 버튼부를 감싸는 안전클립, 상기 버튼부의 하단, 제1약제실린더, 조인트 전체와 제2약제실린더의 상단을 감싸 이들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단을 감싸는 팁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외관부;
를 포함하는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로, 상기 안전클립은 반원 형태의 개방부 및 고정부와, 상기 개방부 및 고정부를 연결하는 내측힌지, 상기 개방부 및 고정부의 외측 중 내측힌지와 대향하는 부분에 구비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개방부를 연결하는 제1외측힌지 및 상기 손잡이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외측힌지를 포함하는 것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1약제실린더와 연결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튜브 및 상기 튜브에 끼워지며, 제1약제의 이송 시 상기 튜브와 탈리되는 러버볼을 포함하는 조인트상부; 및 상기 조인트상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챔버 및 상기 챔버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약제실린더와 연결되는 조인트팁을 포함하는 조인트하부;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인트하부는 상기 조인트팁의 상단에 러버볼가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약제실린더는 상기 조인트팁과 연결되는 플러그부; 및 상기 플러그부의 하측과 연결되며, 내면에서 내실 중앙까지 구비되는 스파이럴월, 하단 정중앙에 형성되는 제2약재이송관, 및 상기 제2약제이송관과 대향하는 내면에 나선 형상의 혼합요철을 구비하는 제2연장부재를 포함하는 배럴;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약제실린더는 플러그부와 배럴 사이에 미들블록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미들블록은 상면 중앙에 형성된 키홈; 상기 키홈을 중심으로 둘 이상이 방사형으로 구비된 음각의 분리게이트; 및 상기 미들블록의 측면에 장축 방향으로 둘 이상 형성되되 상기 분리게이트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음각의 분리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분리홈은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이송관은 내부에 필터를 더 구비하거나, 플러그부와 배럴 사이에 오링(o-ring)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파트의 측면에 체크윈도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는 외관부에 안전클립을 구비함으로써 불필요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약제의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종의 약제별로 각각 약제실린더가 구비되어 약제를 개별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약제의 무분별한 혼합을 방지하고 외부 환경과 완벽한 차폐가 가능하여 약제의 보관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여기에 실린더를 연결하기 위해 내부에 약제의 압력에 따라 분리되는 러버볼이 구비된 조인트를 사용함으로써 약제의 누출을 막고 보관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주사기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6은 조인트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9는 제2약제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11은 미들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안전클립의 단면도 및 동작도이다.
이하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는 여러 가지 약재(藥材)를 섞어 조제한 약으로, 형상에 따라 액상 또는 고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실린더’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한 원통형의 관으로, 상기 액상 또는 고상의 약제가 보관되는 공간을 뜻한다.
본 발명에서 상측과 하측을 나누는 기준은 약제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린더에서 약제가 배출되는 이송관이 형성된 단부가 하부이며, 그와 대향하는 단부가 상부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액상의 약제를 사람이나 동물에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그 특징 상 두 종 이상의 약제를 한 번에 주입하기 어렵다. 이는 실린더에 약제를 주입할 때 일반적으로 바늘을 약제에 넣은 후 피스톤을 당기는 방식으로 주입하기 때문에 바늘이 쉽게 오염될 수 있으며, 피스톤에 두 가지 약제가 주입되어도 별도의 혼합 수단이 없으므로 약제의 고른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수상의 약제는 그 특성 상 보관이 어렵고 불안정성이 높으므로 유효기간이 짧을 수밖에 없다. 약제의 유효기간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인 경구투약 약제는 캡슐, 분말 등의 고상이며, 수상의 약제는 안약, 주사용 등 제한적인 용도로만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주사용 약제는 고상으로 생산하기 극히 어려우며, 한 번 개봉하면 남은 약제는 전량 폐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종의 약제를 보관하기 위한 실린더를 각각 두고, 상기 실린더를 조인트로 연결하여 주사기 내부에서 약제의 보관 및 혼합을 쉽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별로 실린더가 구비되므로, 실린더에 약제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약제의 불필요한 혼합 및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에 피스톤을 쉽게 누르기 위하여 주사기에 외부에 외관부를 도입하되, 외관부 중 버튼부의 원치 않는 눌림을 방지하기 위해 버튼부를 감싸도록 안전클립을 더 도입함으로써 약제의 보관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는
(A) 제1약제실린더, 제2약제실린더, 바늘부 및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주사기부; 및
(B) 버튼부, 안전클립, 바디부 및 팁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외관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 주사기의 각 구성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는 당업계에서 의료용으로 통상 사용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테플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생체 적합성 고분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 주사기는 크기를 한정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포함된 구성들이 모두 포함된다는 하에서 구조 및 조립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약제를 수용하는 실린더부와 그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며, 이종의 약제를 혼합하기 위해 내부에 특정의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약제실린더 내에 나선상의 스파이럴월을 두어 혼합된 약제의 이송거리를 늘리되, 이송관의 직경을 좁혀 유속을 빠르게 하는 방식으로 약제의 혼합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럴월 외에도 필요에 따라 미로상의 월(격막)을 더 구비하여 약제의 이송거리를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제는 투약 가능한 형태의 모든 약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제1약제실린더에 희석제를 포함하고 하단의 제2약제실린더에 분말 형태의 약제를 포함함으로써 피스톤을 이용한 하방의 압력에 의해 상기 성분들이 복합 주사기 내부에서 혼합되어 신속하게 액상의 혼합 약제로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제는 예방학적, 치료학적 또는 진단적 용도로 사용 가능한 인체 또는 동물에 투여 가능한 모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은 주로 활성 성분으로, 천연, 합성, 반합성 또는 유도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슐린, 게스트린, 프로락틴, 인간 성장 호르몬(HGH), 부신피질자극 호르몬(ACTH),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트리로트로핀( Thyrotropin) 알파, 황체화 호르몬(LH), 여포 자극 호르몬(FSH), 인간 부갑상선 호르몬(PTH), 글루카곤-유사 펩타이드 I(GLP-I), 성장 호르몬 방출 인자(GRF), 인간 융모막 생식선 자극 호르몬(HCG), 모틸린(motilin), 인터페론(알파, 베타, 감마), 인터루킨(IL-1 내지 IL-12), 인터루킨-1 수용체 길항제(IL-1ra), 종양 괴사 인자(TNF), 종양 괴사 인자-결합 단백질(TNF-bp), 에리트로포이에틴(EPO), 과립구-콜로니 자극 인자(G-CSF), 줄기 세포 인자(SCF), 렙틴(OB 단백질), 뇌 유래 신경영양 인자(BDNF), 신경교 유래 신경영양 인자(GDNF), 신경영양 인자 3(NT3),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FGF), 신경영양 성장 인자(NGF), 오스테오프로테게린(osteoprotegerin, OPG) 등의 골 성장 인자,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IGF),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MCSF),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M-CSF), 거핵세포 유래 성장 인자(MGDF), 각질세포 성장 인자(KGF), 트롬보포이에틴,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PGDF), 신생 조혈 자극 단백질(NESP), 골 형성 단백질(BMP),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TPA), 유로키나제, 인자 VIII, 인자 IX, 알파-I 프로테아제 저해제, 유로폴리트로핀(urofollitropin), 메노트로핀(menotropin), 루트로핀 알파(lutropin alfa), L-아스파라기나제, 트롬보포이에틴 수용체 길항제, 알테플라제(alteplase), CD2 길항제, 콜라게나제, 유로키나제, 테넥테플라제(tenecteplase), 레테플라제(reteplase), 안트롬빈(anthrombin) III, 보툴리늄 독소, 아바타셉트(Abatacept), 알글루코시다제-알파(alglucosidase-alpha), 벨라글루세라제 알파(velagucerase alfa), 히알루론다제, 라스부리카제(rasburicase), 알파-갈락토시다제 A, 베타-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 인두르설파제(indursulphase), 라리노다제(larinodase), 갈서파제(galsuphase), CS 길항제(CS antagonist), 스트렙토키나제(streptokinase), 칼리크레인(kallikrein) 및 다양한 인간 항체와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단백질은 펩타이드, 폴리펩타이드, 콘센서스 분자, 유사체, 유도체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제가 보관의 안정성을 이유로 분말 형태인 경우, 이들이 신속하게 용해되어 체내로 주입될 수 있도록 액상의 다른 약제 또는 희석제와 접촉 시 신속하게 즉각적으로 용해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분말 형태의 약제는 동결 건조를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제는 필요에 따라 여러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예로 활성 성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당, 폴리머, 항산화물질, 아미노산, 염과 같은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약제의 천연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물의 수소결합을 치환할 수 있는 슈크로스, 트레할로스, 락토스와 같은 당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용해 속도를 높이기 위해 만니톨, 글리신, 덱스트란, 스타치, 시클로 덱스트란 등의 결정 매트릭스, 계면활성제, 완충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희석제는 최상의 안정성 및 부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다양하게 조합 또는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희석제의 일예로는 시판 주사 용수(WFI: water for injection), 주사용 정균수(BWFI: bacteriostatic water for injection) 또는 포스페이트 완충화된 염수(PBS)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 상기 희석제는 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히스티딘, 사이트레이트,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글루타메이트 및 글리신 등의 완충화제;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소듐 클로라이드 등의 긴장성 변형제; 금속 이온; 리도카인 또는 벤질 알코올 등의 국소마취제; 및 조절 방출용 하이드로겔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를 각 구성 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A) 주사기부
본 발명에서 상기 주사기부는 두 종 이상의 약제를 보관하고 필요 시 약제를 사람이나 동물에 신체로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와 같이 제1약제실린더(110), 조인트(120), 제2약제실린더(130) 및 바늘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약제실린더(110)는 일반적인 형태의 주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제1약제 또는 희석액을 수용하며, 내부에 피스톤이 구비되어 상하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원통형의 용기이다.
상기 제1약제실린더는 튜브형 중공 바디를 가져 내부에 피스톤(112)이 장축 방향으로 상하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운동에 따라 상기 제1약제실린더 내에 내실(111)이 형성되며, 상기 내실에는 제1약제가 수용된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1약제실린더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하단을 향해 전진 이동하는 경우 내실에 압력을 주어 내실 내의 제1약제가 제1약제이송관(113)으로 밀려나가며, 상단을 향해 후퇴 이동하는 경우 제1약제를 내실로 흡입할 수 있는 부재이다.
상기 피스톤은 일반 주사기의 피스톤과 같이 막대 형상의 피스톤 밀대와 상기 피스톤 밀대의 상단부에 밀고 당김이 용이하도록 피스톤조작부재가 구비되며, 하단부에는 밀봉부재가 구비되어 불필요한 약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약제실린더는 상기 제1약제이송관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내면에 상기 조인트의 상부와 연결할 수 있도록 나선의 요철 형상을 가지는 제1연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인트(120)는 상기 제1약제실린더와 제2약제실린더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며, 필요에 따라 제1약제실린더에 수용된 약제의 혼합을 유도할 수 있는 여러 구성들을 구비하는 일종의 연결부재이다.
도 3을 통해 상기 조인트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약제실린더의 제1연결부재와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상단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긴 원통 형상의 튜브(121a)를 포함하는 조인트상부(121)와, 상기 튜브의 하단에 결합되어 약제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인 챔버(122a)를 형성하며, 하단에 조인트약제이송관과 상기 조인트약제이송관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내면에 상기 제2약제실린더의 플러그부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조인트팁(122b)이 포함된 조인트하부(122)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조인트상부와 조인트하부는 물리적인 결합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종류를 제한하지는 않으나, 조인트 내의 압력 증가로 인해 제1약제 혹은 희석제의 유출을 막을 수 있는 형태의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결합수단의 일예로는 상기 조인트하부의 상단 외측면 중 튜브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에 하나 이상의 턱을 가지는 커넥터와 상기 조인트상부의 하단 내측면 중 커넥터포트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어 하단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홈 또는 음각 형태의 커넥터포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하부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약제실린더와의 사이에 헬리컬 스윕이 구비된 실린지 팁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조인트 하부는 제2약제실린더와 실린지 팁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인트하부에 실린지 팁을 더 구비하는 경우, 제2약제실린더로 유입되는 약제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제2약제실린더 내부에서의 약제의 혼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약제에 회전력이 부여됨으로써 제2약제실린더에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인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약제실린더와 상기 제2약제실린더를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약제실린더 내에 수용된 약제 또는 희석제가 유출 없이 제2약제실린더로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일종의 연결관 역할을 하며, 어떤 원인에 의해 제1약제실린더에서 약제 또는 희석제가 유출되어 조인트 내로 장입될 경우 상기 약제가 제2약제실린더로 이송되지 않도록 안전마개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을 상기 튜브 또는 챔버에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 내지 6은 상기와 같은 안전마개 구성의 일예로, 상기 튜브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튜브의 소직경 부분에 구 형상의 러버볼(121b)이 물리적으로 끼워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러버볼은 상기 튜브의 소직경 부분에 끼워질 수 있으며, 재질을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피스톤의 하방운동에 따른 압력에 빠질 수 있도록 일정 이상의 형태 회복력을 가지는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제 또는 희석제와 직접 맞닿은 구성이므로 인체 또는 동물에 사용하여도 무해한 생체 적합성 재질인 것이 좋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조인트에 상기 러버볼이 더 구비될 경우, 충격에 의해 상기 러버볼이 튜브 상부 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의 일정 부분에는 상기 러버볼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러버볼보다 일정 이상 작은 직경을 가지는 러버볼걸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 러버볼은 상기 제1약제실린더의 원치 않는 유출을 방지하는 목적 이외에 제1약제실린더에 수용된 약제가 하나 이상의 성분이 혼합된 경우 상기 약제들의 원활한 혼합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1약제실린더에서 밀려온 약제는 상기 조인트 내부의 공간을 통과하게 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러버볼이 상기 튜브에서 이탈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러버볼이 튜브에서 이탈되면, 상기 약제의 흐름에 따라 조인트 내부에서 자유로이 부유하여 운동하게 되며, 이러한 러버볼의 운동이 일종의 교반기 역할을 하게 되어 약제의 여러 성분이 좀 더 쉽게 혼합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러버볼이 자유 운동하게 되면, 약제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럴 경우 유속이 가장 빠른 조인트약제이송관으로 이송되어 상기 조인트약제이송관을 막아 오히려 약제의 이송을 방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5 및 6과 같이 상기 챔버의 저면 중 조인트약제이송관과 인접한 면에 러버볼가이드(122c)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 러버볼 가이드는 약제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두 개 이상 구비되어 개방성을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러버볼의 조인트약제이송관으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약제의 흐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러버볼가이드는 그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태 및 구비 개수를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두 개 이상의 요철(凹凸)이 상기 조인트약제이송관의 상단 주변에 구비된 형태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약제실린더(130)는 상기 제1약제실린더에 수용된 약제와 다른 종류 또는 형상의 약제를 수용, 보관하며, 동시에 상기 약제들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여러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약제실린더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로 상단에 상기 조인트의 조인트팁과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가지며, 하단 측면에는 조인트를 통해 이송된 약제를 하단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하단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홀(131a)이 구비된 플러그부(131)와, 상기 플러그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플러그부와 물리적으로 결합하며, 내부에 공간을 갖되 약제의 혼합을 유도하기 위해 저면에 구비되는 스파이럴월(132a), 상기 스파이럴월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바늘부와 연결되며, 혼합된 약제를 상기 바늘부로 이송하기 위한 제2약제이송관(132b) 및 상기 제2약제이송관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내면에 상기 연결부재 또는 조인트팁과 유사하게 나선의 요철 형상을 가지는 제2연장부재(132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부(131)는 상기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러그부의 내부 공간은 약제(제2약제)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인트를 통해 유입된 약제(제1약제)와 혼합되는 장소이다. 또한 혼합된 약제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배럴부로 이송되는 일종의 통로로 작용한다.
상기 관통홀(131a)는 상기 플러그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여 혼합된 약제가 이송되는 통로로 작용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배출된 약제는 상기 플러그부의 하단 내면과 배럴부의 상단 내면이 접촉되어 형성된 접촉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 상기 스파이럴월의 최외곽 바깥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플러그부는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 공간과 연결되며, 상단을 통해 제2약제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9와 같이 외측면에 배럴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이 구비되어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수단을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조인트 상부 및 하부와 마찬가지로 내압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으며, 수밀성이 우수한 결합수단이라면 어떤 형태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럴부(132)는 상기와 같이 관통홀을 통해 배출된 약제의 혼합을 유도하며, 경우에 따라 제2약제를 보관하는 용기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부와 타통되어 충분히 혼합된 약제가 바늘부로 신속히 이송될 수 있도록 일종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럴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되, 내부 저면에 약제를 보관하거나 혼합된 약제의 더욱 균일한 혼합을 위한 스파이럴월(132a), 상기 내부 저면 중앙에 타통되어 상기 바늘부와 직접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제2약제이송관(132b) 및 상기 바늘부와 제2약제실린더를 물리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결합수단을 가지는 연장부(132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파이럴월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배출된 약제가 상기 제2약제이송관으로 흐를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파이럴월의 내부 종료 지점은 상기 제2약제이송관이 형성된 지점과 동일하여 스파이럴월을 통과한 약제가 상기 제2약제이송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스파이럴월은 도 7 내지 9와 같이 상단부가 상기 배럴부의 하단 외면과 직접 맞닿아 약제가 스파이럴월을 넘어 상기 제2약제이송관으로 직접 흐르지 못하도록 유도한다. 즉 상기 스파이럴월은 상기 약제의 흐름 통로임과 동시에 상기 약제의 흐름을 방해하는 일종의 칸막이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스파이럴월은 제2약제이송관으로 흐르는 약제의 흐름 구간을 최대한 늘리며 동시에 유로의 폭을 최대한으로 좁힘으로써 약제와 상기 스파이럴월과의 접촉면적 및 충돌속도를 최대한 높여 약제의 신속한 혼합 및 분말 약제의 용융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약제실린더에 수용되는 약제는 상기 플러그부 뿐만 아니라 상기 스파이럴월의 내부에 충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홀을 통해 빠져나온 제1약제는 스파이럴월을 통해 제2약제실린더의 하단으로 이송되면서 자연스럽게 혼합 및 교반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약제가 용융되면서 스파이럴월의 유로가 확보되므로 약제가 플러그부에 수용되었을 경우보다는 약제의 초기 스파이럴월 통과 유속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약제실린더는 약제의 혼합 및 이송을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해 도 8과 같이 플러그부의 하단과 배럴부의 상단 사이에 미들블록(133)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플러그부의 하단은 일정 이상 개방되어 약제가 미들블록을 통해 배럴부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을 통해 상기 미들블록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미들블록은 상단, 즉 상기 플러그부의 하단과 직접 맞닿는 면에 혼합된 약제를 잠시 수용하기 위한 공간인 키홈(133a)이 형성되며, 상기 키홈을 중심으로 둘 이상이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측면까지 연장된 음각의 분리게이트(133b) 및 상기 미들블록의 측면에 장축 방향으로 둘 이상 형성되되 상기 분리게이트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둘 이상의 음각의 분리홈(13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블록은 상기 플러그부와 배럴부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플러그부 및 배럴부와 최대한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미들블록의 상면은 상기 플러그부의 하단과 직접 맞닿아 자연스럽게 상기 분리게이트가 약제의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미들블록의 하면은 배럴부의 내면과 직접 맞닿아 상기 분리홈이 약제의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미들블록이 구비되면 먼저 혼합된 약제는 피스톤의 압력 및 중력에 의해 키홈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그러다 약제의 유입량이 증가하여 키홈의 수용 공간을 초과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초과분의 약제가 분리게이트를 통해 미들블록의 상면 중앙에서 측면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러다 약제가 분리게이트의 끝까지 다다르게 되면 미들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분리홈에 의해 상기 배럴부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된 약제는 스파이럴월의 외부에 도달하여 스파이럴월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플러그부와 배럴부 사이에 미들블록이 구비되면 미들블록을 통해 약제의 유로를 다각화하여 약제의 이송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플러그부에서 배럴부 사이의 유로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며, 유로가 증가하게 되므로 제1약제와 제2약제의 혼합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들블록에 형성한 분리홈은 도 10과 같이 상면 또는 하면과 직각을 유지할 수도 있으나, 도 11과 같이 사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부에서 배럴부 사이에 약제 이동 거리를 더욱 늘려 보다 신속하고 균일한 약제의 혼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약제실린더는 도 9와 같이 플러그부와 배럴부가 접하는 면에 오링(o-ring, 134)을 더 구비하여 수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약제실린더는 이종의 약제가 혼합되는 장소이며, 약제의 혼합 정도에 따라 내부에서 외부로 작용하는 압력이 증가하여 약제가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오링을 더 구비함으로써 제2약제실린더의 실링성 및 수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오링은 상기 제2약제실린더의 수밀성 및 실링성을 높일 수 있다면 재질 및 형태를 상관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어떠한 재질 및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약제실린더는 제2약제이송관 내부에 필터(1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미처 용해되지 못한 분말의 약제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분말을 여과하여 바늘부의 폐쇄를 막고 분말 성분 유입에 따른 환자의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는 재질, 투수계수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재질의 경우 상기 주사기부의 다른 구성과 동일하게 약제가 직접 통과하거나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투수계수 또한 너무 작을 경우 오히려 약제의 흐름을 방해하여 제2약제실린더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미처 용해되지 않은 분말 약제의 여과가 이루어지는 한도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외관부
본 발명에서 상기 외관부는 상기 주사기부의 외주면을 감싸 상기 주사기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2와 같이 상단부터 순서대로 버튼부(210), 안전클립(220), 바디부(230) 및 팁(240)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튼부(2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주사기부의 상단, 즉 피스톤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단은 막혀있고 하단은 개방된 원통 형태이다.
또한 상기 측면 중앙에는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음각을 형성하여 후술할 안전클립이 구비되는 위치를 확보하며, 하단에는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일정 부분 단차(턱)을 두어 상기 단차에 바디부의 상단이 걸리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튼부는 상단부를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제1약제실린더의 내실로 주입하는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피스톤을 누르지 않고 버튼부만 눌러도 피스톤이 내실로 주입되며, 그 힘에 의해 내실 내의 약제가 제1약제이송관을 통해 조인트, 제2약제실린더로 운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전클립(220)은 부주의에 의한 상기 버튼부의 눌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버튼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음각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2를 통해 상기 안전클립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전클립은 클램프형 구조로, 내측힌지(213)을 중심으로 두 개의 윙인 개방부(211)와 고정부(212)가 각각 위치하며, 상기 개방부와 고정부의 외측면 중 내측힌지가 구비된 부분에 손잡이부(214)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개방부와 고정부 모두에 연결되는데, 각각 제1외측힌지(215)와 제2외측힌지(216)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와 고정부는 상기 내측힌지를 통해 원통형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개방부는 원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움직이려 하는 일정 이상의 탄성을 보유하며, 상기 고정부는 이런 상기 개방부를 눌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안전클립은 도 12의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개방부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거나, 상기 손잡이부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제1외측힌지와 제2내측힌지를 통해 연결된 상기 개방부 및 고정부가 손잡이부의 운동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자연스럽게 우측과 같이 열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사기를 사용할 때에는 간단한 동작으로 쉽게 안전클립을 제거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안전클립이 상기 버튼부의 불필요한 눌림을 방지하여 내부의 약제가 섞이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디부(230)는 상기 주사기부의 외측면 대부분을 감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의 주사기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의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하고, 하단에도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요철부를 두어 상기 팁과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디부는 외측면에 하나 이상의 체크윈도우(23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크윈도우는 내부의 주사기부 중 실린더에 주입된 약제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위치 및 개수는 상관하지 않으나, 상기 제1약제실린더 또는 제2약제실린더가 외부에서도 쉽게 확인될 수 있는 위치, 즉, 상기 제1약제실린더 또는 제2약제실린더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체크윈도우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외부가 관통된 홀이나, 상기 홀에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투명 수지가 유리창과 같이 끼워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팁(240)은 상기 주사기부의 바늘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부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팁은 상기 버튼부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단부는 개방되며, 하단부는 외부와 밀폐되도록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바늘부를 좀 더 완벽히 보호하도록 내부의 하단 저면에 고무 재질의 패킹(24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패킹은 충격에 의해 바늘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팁의 내측면과 직접 맞닿을 정도로 채워지는 것이 좋으며, 상기 바늘부의 하단 끝 일부 또는 전부가 패킹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은 도 2와 같이 바늘부가 삽입되는 부분 주변으로 고무 재질이며, 이 외에 다른 부분은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무에 비해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바늘을 보호하고, 바늘을 감싸는 부분을 고무로 하여 완충제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주사기부
110 : 제1약제실린더
111 : 내실
112 : 피스톤
113 : 제1약제이송관
120 : 조인트
121 : 조인트상부
121a : 튜브
121b : 러버볼
122 : 조인트하부
122a : 챔버
122b : 조인트팁
122c : 러버볼가이드
130 : 제2약제실린더
131 : 플러그부
131a : 관통홀
132 : 배럴부
132a : 스파이럴월
132b : 제2약제이송관
132c : 제2연장부재
133 : 미들블록
133a : 키홈
133b : 분리게이트
133c : 분리홈
134 : 필터
135 : 오링(o-ring)
140 : 바늘부
200 : 외관부
210 : 버튼부
220 : 안전클립
211 : 개방부
212 : 고정부
213 : 내측힌지
214 : 손잡이부
215 : 제1외측힌지
216 : 제2외측힌지
230 : 바디부
231 : 체크윈도우
240 : 팁
241 : 패킹

Claims (10)

  1. 제1약제실린더, 제2약제실린더, 바늘부 및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주사기부; 및
    외측면에 음각부를 형성하며, 피스톤의 상부에 위치하여 피스톤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버튼부, 상기 피스톤의 음각부에 구비되며, 버튼부를 감싸는 안전클립, 상기 버튼부의 하단, 제1약제실린더, 조인트 전체와 제2약제실린더의 상단을 감싸 이들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단을 감싸는 팁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외관부;
    를 포함하는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로, 상기 안전클립은 반원 형태의 개방부 및 고정부와, 상기 개방부 및 고정부를 연결하는 내측힌지, 상기 개방부 및 고정부의 외측 중 내측힌지와 대향하는 부분에 구비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개방부를 연결하는 제1외측힌지 및 상기 손잡이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외측힌지를 포함하는 것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1약제실린더와 연결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튜브 및 상기 튜브에 끼워지며, 제1약제의 이송 시 상기 튜브와 탈리되는 러버볼을 포함하는 조인트상부; 및
    상기 조인트상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챔버 및 상기 챔버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약제실린더와 연결되는 조인트팁을 포함하는 조인트하부;
    를 포함하는 것인 이종 혼합형 복합 주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하부는 상기 조인트팁의 상단에 러버볼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약제실린더는
    상기 조인트팁과 연결되는 플러그부; 및
    상기 플러그부의 하측과 연결되며, 내면에서 내실 중앙까지 구비되는 스파이럴월, 하단 정중앙에 형성되는 제2약재이송관, 및 상기 제2약제이송관과 대향하는 내면에 나선 형상의 혼합요철을 구비하는 제2연장부재를 포함하는 배럴;
    을 포함하는 것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약제실린더는 플러그부와 배럴 사이에 미들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블록은,
    상면 중앙에 형성된 키홈;
    상기 키홈을 중심으로 둘 이상이 방사형으로 구비된 음각의 분리게이트; 및
    상기 미들블록의 측면에 장축 방향으로 둘 이상 형성되되 상기 분리게이트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음각의 분리홈;
    을 포함하는 것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홈은 상기 미들블록의 측면에 사선 형태로 형성된 것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약제이송관은 내부에 필터를 더 구비한 것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약제실린더는 플러그부와 배럴 사이에 오링(o-ring)을 더 구비하는 것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파트의 측면에 체크윈도우를 더 구비하는 것인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KR1020160183520A 2016-12-30 2016-12-30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KR101881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20A KR101881095B1 (ko) 2016-12-30 2016-12-30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20A KR101881095B1 (ko) 2016-12-30 2016-12-30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98A true KR20180078598A (ko) 2018-07-10
KR101881095B1 KR101881095B1 (ko) 2018-07-23

Family

ID=62916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520A KR101881095B1 (ko) 2016-12-30 2016-12-30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5705A (zh) * 2019-03-26 2019-06-07 云南农业大学 一种小型寄生蜂成虫胃毒、触杀毒力测定装置及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450B1 (ko) * 2020-09-07 2021-05-31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966B1 (ko) * 1989-12-27 1992-08-22 금성전선 주식회사 꼬임 선재의 비접촉식 단선 검출기장치
KR20030015276A (ko) * 2001-04-13 2003-02-20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합성수지제 나사 캡
KR20050027748A (ko) * 2003-09-16 2005-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의 착탈이 가능한 디스크 카트리지
KR20110041826A (ko) 2009-10-16 2011-04-22 조희민 이종약액 혼합용 체크밸브를 갖는 주사기
KR20140017947A (ko) 2012-08-02 2014-02-12 조희민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KR101520321B1 (ko) * 2014-05-09 2015-05-21 김정원 조리용기용의 착탈식 손잡이
KR20170054883A (ko) * 2015-11-10 2017-05-18 박선명 이중 챔버를 갖는 주사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966B1 (ko) * 1989-12-27 1992-08-22 금성전선 주식회사 꼬임 선재의 비접촉식 단선 검출기장치
KR20030015276A (ko) * 2001-04-13 2003-02-20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합성수지제 나사 캡
KR20050027748A (ko) * 2003-09-16 2005-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의 착탈이 가능한 디스크 카트리지
KR20110041826A (ko) 2009-10-16 2011-04-22 조희민 이종약액 혼합용 체크밸브를 갖는 주사기
KR20140017947A (ko) 2012-08-02 2014-02-12 조희민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KR101520321B1 (ko) * 2014-05-09 2015-05-21 김정원 조리용기용의 착탈식 손잡이
KR20170054883A (ko) * 2015-11-10 2017-05-18 박선명 이중 챔버를 갖는 주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5705A (zh) * 2019-03-26 2019-06-07 云南农业大学 一种小型寄生蜂成虫胃毒、触杀毒力测定装置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095B1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00494T3 (es) Sistema de suministro para tapa de recipiente
US10624815B2 (en) Compact medication reconstitution device and method
CN101242800B (zh) 一体式输液容器
US20180250474A1 (en) Syringe Type Medication Delivery Device
JP2001112867A (ja) 薬剤入りシリンジ
US11819653B2 (en) Adapter cap for drug transfer assembly
KR20070100295A (ko) 용기 닫힘 전달 시스템
KR101881095B1 (ko)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KR20150095651A (ko) 의료용 카트리지에 완충제와 다른 물질들을 첨가하기 위한 기구와 방법
KR101439466B1 (ko) 약물 주사 장치 및 약물 주사용 키트
ES2804727T3 (es) Cámara triple con dispositivo de inyección precarg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