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450B1 -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 - Google Patents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450B1
KR102258450B1 KR1020200113856A KR20200113856A KR102258450B1 KR 102258450 B1 KR102258450 B1 KR 102258450B1 KR 1020200113856 A KR1020200113856 A KR 1020200113856A KR 20200113856 A KR20200113856 A KR 20200113856A KR 102258450 B1 KR102258450 B1 KR 102258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drug
drug mixing
mixing unit
barre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황
이동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11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450B1/ko
Priority to JP2023514427A priority patent/JP2023540295A/ja
Priority to EP21864710.5A priority patent/EP4212141A1/en
Priority to CN202180050403.5A priority patent/CN115955954A/zh
Priority to US18/023,497 priority patent/US20230310278A1/en
Priority to PCT/KR2021/011915 priority patent/WO20220507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Piercing means having one piercing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41Separating means having removable 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51Connecting means having tap means, e.g. tap means activated by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55Connecting means having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68Ve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약제혼합유닛은 약액이 인입되기 위한 제1 유로가 형성된 배럴부재 및 배럴부재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삽입부의 내측에 혼합약제가 인출되기 위한 제2 유로와 삽입부의 일측면에 제2 유로와 연결된 관통홀이 형성된 플러그부재를 포함하고, 플러그부재는 배럴부재와 결합하여 소정의 약제혼합공간을 형성하고, 약제혼합공간에는 제1 유로를 통해 인입된 약액과 혼합되기 위한 약제가 구비되고, 배럴부재의 내측면에 혼합약제가 약제혼합공간으로부터 관통홀로 이동하기 위한 제3 유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Drug mixing unit for syringe}
본 발명은 약제혼합유닛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린지에 결합하여 이용하기 위한 이종약제 혼합용 약제혼합유닛에 대한 것이다.
시린지(syringe) 또는 주사기는 액체 물질을 주입하거나 빼낼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주입하기 위한 액체 물질이 미리 준비되어 이를 주입하기 전 시린지에 충전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나, 일부 약품은 용액의 상태에서 빠르게 분해되어 효능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물질로 미리 준비하기 어려운 경우에 해당하여 주사 직전 액체 물질의 형태로 준비하기도 한다. 또한, 약품 보관의 안정성을 위해 냉장 및 특수 포장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주입직전에 혼합되어 사용되어야 한다.
시린지를 통하여 주입되기 위한 약물인 경우 오염을 방지하고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공기 등과 차단된 상태에서 혼합되고, 혼합된 액제가 외기와 분리된 상태에서 시린지 내부로 충전되어야 한다. 특히, 보관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대부분의 약제는 분말이나 정제(tablet) 형태의 고체 형태로 제조되나 고체 약제를 투여하기 전에 액체 제형으로 재구성하기 위해 복잡한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공정 중에 약제의 오염, 기포 발생 등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두 종류 이상의 약제를 동시에 주입 가능한 주사기에 대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17947, 10-2011-0041826 등이 있으며, 이들 기술은 모두 큰 직경의 제1주사기 내부에 작은 직경의 제2주사기를 삽입하되 큰 직경의 제1주사기 내부의 피스톤과 작은 직경의 제2주사기 토출구를 연결하여 상기 작은 직경의 제2주사기에 내장된 액체 상태의 약제를 큰 직경의 제1주사기 내부 분말에 공급하여 혼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하나의 큰 주사기 내부에 제2주사기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각 약제 별로 충분히 밀폐된 개별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아니며, 주사기의 결합에 의하여 약제 혼합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므로 약제의 보관 안정성이 낮고, 제2주사기의 작동이 제1주사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오작동의 가능성이 높다.
또한, 주사되기 위한 이종의 약품이 액체상태인 경우 혼합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분말이나 정제 등 고체 형태의 약품이 희석액과 혼합되는 경우에는 혼합을 위해 충분히 흔들어주는 과정 등을 거쳐야 하므로 흔드는 과정에서 기포가 형성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분말이나 정제 등이 보관된 별도 용기에 희석액이 충전된 시린지를 결합하여 체내에 바로 주사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지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분상 또는 정제상의 약품이 충분히 용해되기 어렵고 니들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시린지를 통해 희석액이 주입되는 경우 충분히 용해되지 않은 분상 또는 정제상의 약품은 주사기의 니들을 막아 약품의 흐름을 저해할 수 있다. 주사 직전 분상 약품을 충분히 용해하기 위하여 희석액과 분상 약품의 접촉경로와 시간을 늘려 용해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경우에도 분상약품이 충분히 용해되리라고 단정하기 어렵다. 특히, 니들을 막고 있던 분상물질 또는 입상물질이 희석액에 의해 용해되어 니들의 약제이동 경로가 일시에 개방되는 경우 약액이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주입될 수 있고, 이경우 플런저를 과한 압력으로 조작시 니들이 압력에 의하여 시린지와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별도 용기가 시린지에 결합한 상태로 주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는 시린지가 접근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 사용편의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17947(2014년 02월 12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41826(2011년 04월 22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은 이종약품이 외부의 공기와 접촉함이 없는 밀폐된 상태에서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약품의 오염가능성을 크게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은 시린지의 플런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이동한 희석액이 약제혼합유닛 내에 미리 구비된 약품과 혼합되어 시린지의 실린더로 이동하여 시린지에 충전됨으로써 약제혼합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은 내부에 미리 구비된 분상의 약품이 시린저 플런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이동한 희석액과 함께 이동하며 혼합되는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연장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은 시린지의 플런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적은 음압에 의하더라도 충분한 희석액이 분상의 약품과 혼합되어 시린지의 실린더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약제혼합유닛은 약액이 인입되기 위한 제1 유로가 형성된 배럴부재 및 배럴부재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삽입부의 내측에 혼합약제가 인출되기 위한 제2 유로와 삽입부의 일측면에 제2 유로와 연결된 관통홀이 형성된 플러그부재를 포함하고, 플러그부재는 배럴부재와 결합하여 소정의 약제혼합공간을 형성하고, 약제혼합공간에는 제1 유로를 통해 인입된 약액과 혼합되어 상기 혼합약제를 형성하기 위한 약제가 구비되고, 배럴부재의 내측면에 혼합약제가 약제혼합공간으로부터 관통홀로 이동하기 위한 제3 유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배럴부재는 외측 일면에 제1 유로를 형성하는 돌출형 스파이크 니들을 구비하고, 스파이크 니들은 외측면에 제1 유로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부재는 제2 유로를 형성하는 돌출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혼합공간은 제1 유로와 이격된 소정의 위치로부터 제3 유로에 이르기까지 나선형의 경로를 형성하고, 나선형 경로는 배럴부재의 내측바닥부로부터 플러그부재의 삽입부 외측바닥면에 접하도록 구비된 연속된 격벽부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과 제3 유로는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혼합유닛은 제1 유로를 외기와 차단하기 위하여 구비된 배럴부재가 삽입지지되는 보호부와 보호부와 약액이 보관된 바이알의 상부캡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언더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혼합유닛은 제2 유로를 외기와 차단하기 위한 상부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로는 약액이 인입되기 위한 음압을 제공하는 시린지와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혼합유닛은 제1 유로를 외기와 차단하기 위하여 스파이크 니들이 삽입지지되는 러버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로, 제2 유로 및 제3 유로는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로는 배럴부재의 내측바닥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하여 형성되되 플러그부재의 삽입부 하단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약제는 액상약제, 분상약제 또는 입상약제일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부재와 배럴부재는 상호 결합지지하기 위한 요철부를 통해 결합하거나 또는 나사산을 통한 회전결합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비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플러그부재의 삽입부와 지지부 사이에 배럴부재와 결합시 외기와 차단을 위한 실리콘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의 내경은 제1 유로의 내경보다 크고, 제2 유로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은 희석액이 구비된 바이알에 기밀(air tightness) 결합함으로써 혼합되는 이종약품이 외부의 공기와 접촉함이 없는 밀폐된 상태에서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약품의 오염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은 시린지의 플런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이동한 희석액이 약제혼합유닛 내에 미리 구비된 약품과 혼합되어 시린지의 실린더로 이동하도록 하여 시린지에 충전됨으로써 약제혼합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은 내부에 미리 구비된 분상 또는 액상 등의 약품이 시린저 플런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이동한 희석액 또는 타약액과 함께 이동하며 균질한 농도로 혼합되도록 충분한 시간이 확보하는 연장된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은 시린지의 플런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적은 음압에 의하더라도 충분한 희석액이 니들을 통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하고 분상의 약품과 혼합되어 시린지의 실린더로 이동하도록 하여 약품의 잔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을 구성하는 배럴부재와 플러그부재가 분리된 모습과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배럴부재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배럴부재에 형성된 돌출형 스파이크 니들의 측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스파이크 니들의 후단면과 측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스파이크 니들을 후면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7은 배럴부재와 플러그부재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유로, 제2 유로 및 제3 유로가 배치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배럴부재와 바이알의 상부캡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파지부가 결합된 모습 및 배럴부재와 스파이크 니들이 삽입지지 되는 러버스토퍼와 배럴부재가 삽입지지되는 보호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이 시린지와 결합한 모습과 바이알에 결합하기 이전에 러버스토퍼와 보호부가 제거된 모습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과 파지부, 보호부, 러버스토퍼 및 시린지 각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과 파지부, 보호부, 러버스토퍼 및 상부캡이 결합된 상태로부터 바이알과 결합하는 모습을 시계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에 파지부가 장착된 상태로 바이알과 결합하여 약액이 시린지의 실린더로 이동하는 모습과 최종 사용 전 혼합된 약품과 외부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마개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시계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또는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을 구성하는 배럴부재(100)와 플러그부재(200)가 분리된 모습과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약제혼합유닛(1000)을 구성하는 플러그부재(200)와 배럴부재(100)는 상호 결합지지하기 위한 요철부를 통해 결합하거나 또는 나사산을 통한 회전결합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끼움방식에 의하여 플러그부재(200)와 배럴부재(100)가 상호 요철부를 통해 결합지지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은 약액이 인입되기 위한 제1 유로(10)가 형성된 배럴부재(100) 및 배럴부재(100)에 삽입되는 삽입부(230)가 구비되고 삽입부(230)의 내측에 혼합약제가 인출되기 위한 제2 유로(20)와 삽입부(230)의 외측면에 제2 유로(20)와 연결된 관통홀(220)이 형성된 플러그부재(200)를 포함하고, 플러그부재(200)는 배럴부재(100)와 결합하여 소정의 약제혼합공간을 형성하고, 약제혼합공간에는 제1 유로(10)를 통해 인입된 약액과 혼합되어 혼합약제를 형성하기 위한 약제가 구비되고, 배럴부재(100)의 내측면에 혼합약제가 약제혼합공간으로부터 관통홀(220)로 이동하기 위한 제3 유로(30)가 형성되어 제공된다.
플러그부재(200)는 배럴부재(100)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230)를 구비한다. 플러그부재(200)의 내측에는 삽입부(230)에 형성된 관통홀(220)과 연결된 제2 유로(20)가 형성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삽입부(230)의 측면에 관통홀(220)이 형성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관통홀(220)은 제2 유로(2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경우라면 삽입부(230)의 일측에서부터 제2 유로(20)와 만나는 지점까지 또는 일측과 반대편의 타측까지 관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1 유로(10), 약제혼합공간, 제3 유로(30)와 제2 유로(20)의 기밀한 연결을 위한 경우라면 관통홀(220)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혼합약제가 이동하는 경우 관통홀(220)의 내경은 제1 유로(10)의 내경보다 크고, 제2 유로(2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이알 등에 보관된 희석액 등 약액의 흡입압력을 유지하고 일정한 양의 약액 및/또는 혼합약제가 제1 유로(10)로부터 제2 유로(20)로 원활한 흐름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약제혼합공간은 배럴부재(100)와 플러그부재(200)가 서로 결합하는 경우, 플러그부재(200)의 삽입부(230) 하단면과 배럴부내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약제혼합공간은 제1 유로(10)와 이격된 소정의 위치로부터 제3 유로(30)에 이르기까지 나선형의 경로를 형성하고, 나선형 경로는 배럴부재(100)의 내측바닥면(110)으로부터 플러그부재(200)의 삽입부(230) 외측바닥면에 접하도록 구비된 연속된 격벽부(12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배럴부재(100)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통하여 약제혼합공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배럴부재(100)에 형성된 제1 유로(10)의 말단부에 인접하여 격벽부(120)가 연속되는 나선형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선형 경로를 이루는 격벽부(120)는 플러그부재(200)의 삽입부(230) 하단면과 맞닿아 관통홀(220)로부터 전달되는 음압에 의하여 제1 유로(10)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이 이동할 수 있는 기밀한 이동경로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나선형 경로 상에는 제1 유로(10)를 통해 인입된 약액과 혼합되기 위한 약제가 미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나선형 경로는 약액과 미리 준비된 약제가 혼합되는 약제혼합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약액은 약제를 희석하기 위한 희석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약제를 녹일 수 있는 용매로써 기능할 수 있는 약품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약제는 액상약제, 분상약제 또는 입상약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약제는 동결 건조된 분상 또는 입상의 약품일 수 있다. 동결 건조된 약품은 제1 유로(10)를 통해 유출되지 않는 정도의 고형성을 보유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유로(10)의 말단부에는 미리 보관된 약제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막이 구비되어 보관된 약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차단막은 약액에 의하여 용해되되 상기 약액과 약제의 혼합물의 효능 또는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제1 유로(10)는 배럴부재(100)의 내측바닥면(11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하여 형성되되 플러그부재(200)의 삽입부(230) 하단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로(10)의 말단부는 격벽부(120) 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하여 제1 유로(10)의 말단부 높이에 이르도록 하여 약제가 제1 유로(1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유로(10)는 바이알 등에 보관된 약액이 음압에 의하여 이동하는 경로이므로 배럴부재(100)의 내측바닥면(110)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높이가 격벽부(120)와 거의 근접한 높이까지 형성되더라도 약제가 보관된 나선형 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유로(10)는 약제를 용해할 수 있는 약액이 이동하는 통로로 이용된다. 제1 유로(10)는 스파이크 니들(140)의 안쪽에 형성되어 배럴부재(100)의 내측바닥면(110)에 이르기까지 약액의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통하여 스파이크 니들(140) 및 제1 유로(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스파이크 니들(140)은 배럴부재(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상의 분리된 상태에서의 모습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에 있어서, 배럴부재(100)는 외측 일면에 제1 유로(10)를 형성하는 돌출형 스파이크 니들(140)을 구비하고, 스파이크 니들(140)은 외측면에 제1 유로(1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40a, 40b, 40c...)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배럴부재(100)에 형성된 돌출형 스파이크 니들(140)의 측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스파이크 니들(140)의 후단면과 측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스파이크 니들(140)을 후면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스파이크 니들(140)의 외측면에 개구(40a, 40b, 40c...)가 형성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개구(40a, 40b, 40c...)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개구(40a, 40b, 40c...)를 통해 인입된 약액은 제1 유로(10)로 이동하여 약제혼합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스파이크 니들(140)의 외측면에 형성된 개구(40a, 40b, 40c...)로부터 공급된 약액이 인입되는 제1 유로(10)의 반경(R1)은 배럴부재(100)의 내측바닥면(110)에 인접한 제1 유로(10)의 반경(R2)에 비하여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다량의 약액이 개구(40a, 40b, 40c...)를 통해 인입되는 경우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인입되되 약제에 이르기 전에 압력이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약제혼합공간에 미리 준비된 약제에 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세 개의 개구(40a, 40b, 40c...)가 형성되어 약액의 인입통로로 제공되고 제1 유로(10)의 좁은 인입로로 진입함으로써 고압상태로 이동하고 미리 보관된 약제에 전달되기 넓은 토출로로 배출함으로써 배출압력을 낮출 수 있어 약액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의 (b)를 참고하면, 스파이크 니들(140)의 첨단부와 개구(40a, 40b, 40c...) 사이에 스파이크 니들(140)의 약 1/3 내지 1/2의 길이로 형성된 개구(40a, 40b, 40c...)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다량의 약액을 제1 유로(10)로 전달함으로써 약액이 안정적이고 일정한 양으로 약제혼합공간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파이크 니들(140)의 하단부(i) 및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개구(40a, 40b, 40c...)에 이르는 몸체(ii)는 약액을 보관하는 바이알의 용량 등에 따라 절절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단부(i)는 바이알 등과 결합시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몸체(ii)에 비하여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의 플러그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플러그 부재의 삽입부(230)의 외측면에 관통홀(220)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관통홀(220)은 플러그부재(200)의 내측에 형성된 제2 유로(20)와 연결되어 약제혼합공간에서 혼합된 약품이 제2 유로(20)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약액은 개구(40a, 40b, 40c...)를 거쳐 제1 유로(10)로 인입되어 약제혼합공간으로 이동하고, 약제혼합공간에서 혼합된 약품은 제3 유로(30)를 통과하여 관통홀(220)에 전달되고, 관통홀(220)로부터 전달된 혼합약제(또는 혼합약품)가 제2 유로(20)를 통해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약액, 혼합약제 등이 이동하는 제1 유로(10), 제2 유로(20) 및 제3 유로(30)는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배럴부재(100)와 플러그부재(200)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1 유로(10), 제2 유로(20) 및 제3 유로(30)가 배치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고하면, 플러그부재(20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유로(20) 및 제2 유로(20)와 연결된 관통홀(220)을 확인할 수 있다. 플러그부재(200)는 삽입부(230)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비된 지지부(240)를 더 포함하고, 플러그부재(200)의 삽입부(230)와 지지부(240) 사이에 배럴부재(100)와 결합시 외기와 차단을 위한 실리콘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30)가 배럴부재(100)에 삽입되는 경우, 지지부(240)와 배럴부의 안착부(130)가 체결되며 삽입부(230)와 배렬부배 내측면의 격벽부(120)는 약제혼합공간을 형성함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이때, 지지부(240)의 하부면에는 안착부(130)와 기밀결합을 위하여 실리콘부재가 삽입고정되기 위한 홈(23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의 (a)를 참고하면, 관통홀(220)은 배럴부재(100)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삽입부(230)에 있어서 관통홀(220)과 하부면 사이의 외측면은 간극없이 맞닿아 결합되고 관통홀(220)은 배럴부재(100)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도 2 및 도 8의 (b)를 참고하면, 약제혼합공간으로부터 관통홀(220)로 혼합된 약품이 이동하도록 구비된 제3 유로(30)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관통홀(220)과 제3 유로(30)는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220)과 제3 유로(30)가 직접 연결되기 보다는 제3 유로(30)를 통해 이동한 혼합약품이 상기 삽입부(230)의 관통홀(220) 윗부분의 외측면과 배럴부재(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소정의 간극을 모두 채운 후 관통홀(220)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혼합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극은 상기 실리콘부재를 통해 확보된 기밀성에 의하여 관통홀(220)로 전해지는 시린지(S)로부터 제공되는 음압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20)는 약액이 인입되기 위한 음압을 제공하는 시린지(S)와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은 시린지(S)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플러그부재(200)는 제2 유로(20)를 형성하는 돌출결합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결합부(250)는 시린지(S)와 결합하여 시린지(S)의 플런저가 이동함에 따라 형성되는 음압이 제2 유로(2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은 제1 유로(10)를 외기와 차단하기 위하여 구비된 배럴부재(100)가 삽입지지되는 보호부(3000)와 보호부(3000)와 약액이 보관된 바이알의 상부캡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파지부(2000)가 일체로 형성된 언더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배럴부재(100)와 바이알의 상부캡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파지부(2000)가 결합된 모습 및 배럴부재(100)와 스파이크 니들(140)이 삽입지지 되는 러버스토퍼(4000)와 배럴부재(100)가 삽입지지되는 보호부(300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를 참고하면, 배럴부재(100)가 삽입지지되는 보호부(3000)및 보호부(3000)와 약액이 보관된 바이알의 상부캡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파지부(2000)가 일체로 형성된 언더캡을 확인할 수 있다. 파지부(2000)는 바이알의 외측 요철부를 파지함으로써 스파이크 니들(140)이 안정적으로 바이알에 체결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은 제1 유로(10)를 외기와 차단하기 위하여 스파이크 니들(140)이 삽입지지되는 러버스토퍼(4000)가 결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약제혼합유닛(1000)의 스파이크 니들(140)은 제1 유로(10)와 연결된 넓은 개구(40a, 40b, 40c...)를 형성하므로 이를 통해 내부의 약제가 유출됨이 없도록 러버스토퍼(4000)를 이용하여 스파이크 니들(140)이 외기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이 시린지(S)와 결합한 모습과 바이알에 결합하기 이전에 러버스토퍼(4000)와 보호부(3000)가 제거된 모습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a)를 참고하면, 러버스토퍼(4000)와 보호부(3000)가 결합된 상태로 시린지(S)와 결합하고,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알에 스파이크 니들(140)을 체결하기 직전에 러버스토퍼(4000)와 보호부(3000)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과 파지부(2000), 보호부(3000), 러버스토퍼(4000) 및 시린지(S) 각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배치된 바와 같이 인접한 구성에 해당하는 약제혼합유닛(1000)과 파지부(2000), 보호부(3000), 러버스토퍼(4000) 및 시린지(S)는 상호 끼움방식 또는 나사산을 통한 회전결합 방식 등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과 파지부(2000), 보호부(3000), 러버스토퍼(4000) 및 상부캡이 결합된 상태로부터 바이알과 결합하는 모습을 시계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은 시린지(S)와 결합되어 사용되기 이전에 미리 약제를 보관하고 있으므로, 외부의 공기 등과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은 제2 유로(20)를 외기와 차단하기 위한 상부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a) 및 (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에 결합된 상부캡이 사용직전 분리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바이알에 체결되기 까지의 모습으로써, 돌출결합부(250)로부터 상부캡이 제거되고, 제거된 돌출결합부(250)에 시린지(S)가 결합하게 된 후 보호부(3000) 및 파지부(2000)가 제거되고, 파지부(2000)가 바이알의 상부 캡과 결합하는 순서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혼합유닛(1000)에 파지부(2000)가 장착된 상태로 바이알과 결합하여 약액이 시린지(S)의 실린더로 이동하는 모습과 최종 사용 전 혼합된 약품과 외부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마개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시계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약제의 유출은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알과 체결시까지 약제혼합유닛(1000)이 바이알보다 지면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의 (h)를 참고하면 시린지(S)의 플런저가 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며 바이알의 약액이 이동하도록 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바이알의 크기, 바이엘에 포함된 약액의 양, 스파이크 니들(140)에 형성된 개구(40a, 40b, 40c...)가 바이알에 삽입된 후의 공간적 위치 등을 고려하여 기울이거나 또는 바이알이 시린지(S)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약액이 시린지(S)의 실린더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의 (h) 내지 (l)을 참고하면, 혼합약제가 시린지(S)의 실린더에 충진된 후 시린지(S)의 혼합약제를 사용하기 전까지 기밀마개를 체결하여 외기와 접촉을 차단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약제혼합유닛
10: 제1 유로
20: 제2 유로
30: 제3 유로
40: 개구 (40a, 40b, 40c…)
100: 배럴부재
110: 내측바닥부
120: 격벽부
200: 플러그부재
220: 관통홀
230: 삽입부
240: 지지부
250: 돌출결합부
2000: 파지부
3000: 보호부
4000: 러버스토퍼

Claims (15)

  1. 약액이 인입되기 위한 제1 유로가 형성된 배럴부재; 및
    상기 배럴부재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혼합약제가 인출되기 위한 제2 유로와 상기 삽입부의 일측면에 상기 제2 유로와 연결된 관통홀이 형성된 플러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부재는 상기 배럴부재와 결합하여 소정의 약제혼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약제혼합공간에는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인입된 약액과 혼합되어 상기 혼합약제를 형성하기 위한 약제가 구비되고, 상기 배럴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혼합약제가 상기 약제혼합공간으로부터 상기 관통홀로 이동하기 위한 제3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럴부재는 외측 일면에 제1 유로를 형성하는 돌출형 스파이크 니들을 구비하고,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외측면에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된 복수의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배럴부재의 내측바닥면에 인접할수록 넓은 반경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약제혼합공간은 상기 제1 유로와 이격된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유로에 이르기까지 나선형의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나선형의 경로는 상기 배럴부재의 내측바닥부로부터 상기 플러그부재의 삽입부 외측바닥면에 접하도록 구비된 연속된 격벽부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약액이 인입되기 위한 음압을 제공하는 시린지와 결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유로 및 제3 유로는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재는 상기 제2 유로를 형성하는 돌출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유닛.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과 상기 제3 유로는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혼합유닛은 상기 제1 유로를 외기와 차단하기 위하여 구비된 상기 배럴부재가 삽입지지되는 보호부와 상기 보호부와 상기 약액이 보관된 바이알의 상부캡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언더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혼합유닛은 상기 제2 유로를 외기와 차단하기 위한 상부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유닛.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혼합유닛은 상기 제1 유로를 외기와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스파이크 니들이 삽입지지되는 러버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유닛.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배럴부재의 내측바닥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하여 형성되되 상기 플러그부재의 삽입부 하단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액상약제, 분상약제 또는 입상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재와 상기 배럴부재는 상호 결합지지하기 위한 요철부를 통해 결합하거나 또는 나사산을 통한 회전결합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유닛.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비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부재의 삽입부와 지지부 사이에 상기 배럴부재와 결합시 외기와 차단을 위한 실리콘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유닛.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내경은 상기 제1 유로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제2 유로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유닛.
KR1020200113856A 2020-09-07 2020-09-07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 KR102258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856A KR102258450B1 (ko) 2020-09-07 2020-09-07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
JP2023514427A JP2023540295A (ja) 2020-09-07 2021-09-03 シリンジ用薬剤混合ユニット
EP21864710.5A EP4212141A1 (en) 2020-09-07 2021-09-03 Drug mixing unit for syringe
CN202180050403.5A CN115955954A (zh) 2020-09-07 2021-09-03 用于注射筒的药剂混合单元
US18/023,497 US20230310278A1 (en) 2020-09-07 2021-09-03 Drug mixing unit for syringe
PCT/KR2021/011915 WO2022050751A1 (ko) 2020-09-07 2021-09-03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856A KR102258450B1 (ko) 2020-09-07 2020-09-07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450B1 true KR102258450B1 (ko) 2021-05-31

Family

ID=7615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856A KR102258450B1 (ko) 2020-09-07 2020-09-07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10278A1 (ko)
EP (1) EP4212141A1 (ko)
JP (1) JP2023540295A (ko)
KR (1) KR102258450B1 (ko)
CN (1) CN115955954A (ko)
WO (1) WO20220507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51A1 (ko) * 2020-09-07 2022-03-10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
KR102479393B1 (ko) * 2022-05-26 2022-12-20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바이오 폐쇄형 약제 혼합추출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1826A (ko) 2009-10-16 2011-04-22 조희민 이종약액 혼합용 체크밸브를 갖는 주사기
KR101222888B1 (ko) * 2009-01-23 2013-01-17 김근배 약액 혼합기
KR20140017947A (ko) 2012-08-02 2014-02-12 조희민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KR101524221B1 (ko) * 2011-01-10 2015-05-29 병 창 콤팩트한 약물 재구성 장치 및 방법
KR101881095B1 (ko) * 2016-12-30 2018-07-23 라이오팁 코리아 주식회사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KR20200049360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글로원 이종 약제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주사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30278T3 (es) * 2014-09-09 2021-06-03 Byeong Seon Chang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suministro de una solución
KR102258450B1 (ko) * 2020-09-07 2021-05-31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888B1 (ko) * 2009-01-23 2013-01-17 김근배 약액 혼합기
KR20110041826A (ko) 2009-10-16 2011-04-22 조희민 이종약액 혼합용 체크밸브를 갖는 주사기
KR101524221B1 (ko) * 2011-01-10 2015-05-29 병 창 콤팩트한 약물 재구성 장치 및 방법
KR20140017947A (ko) 2012-08-02 2014-02-12 조희민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KR101881095B1 (ko) * 2016-12-30 2018-07-23 라이오팁 코리아 주식회사 이종 약제 혼합형 복합 주사기
KR20200049360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글로원 이종 약제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주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51A1 (ko) * 2020-09-07 2022-03-10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
KR102479393B1 (ko) * 2022-05-26 2022-12-20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바이오 폐쇄형 약제 혼합추출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0295A (ja) 2023-09-22
US20230310278A1 (en) 2023-10-05
EP4212141A1 (en) 2023-07-19
WO2022050751A1 (ko) 2022-03-10
CN115955954A (zh)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450B1 (ko)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
JP4549680B2 (ja) 流体移送アセンブリ
US4863454A (en) Dual bag intravenous preparation system
US5766149A (en) Mixing and delivery system
CA2513165C (en) Pharmaceutical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ame
JP5788399B2 (ja) インターバイアル移送システム
EP2337543B1 (en) System for reconstitution of a powdered drug
JPH1147274A (ja) 2室型注射器及び2室型注射器用接続具
JPH01131671A (ja) 注射器並びに注射器の組立て方法
JPS625357A (ja) 注射器
BG63745B1 (bg) Двукамерен патрон за безгазово дозирани аерозоли
JP2007185319A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2007185319A5 (ko)
JP2017522115A (ja) 事前充填注射器
KR20160090369A (ko) 프리필드 시린지
ES2863049T3 (es) Válvula que permite mezcla en un dispositivo de suministro de fármacos
JP5947592B2 (ja) 注射器、ピストン及び注射器用シリンジ
EP3377148B1 (en) Autoinjector
JP7197173B2 (ja) 用時溶解システム
JP2020074933A (ja) 両頭針
JP6947353B2 (ja) セプタムを有するバイアルに対して液体を内外へ移送するための注射器装置
KR20200049360A (ko) 이종 약제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주사기
KR101019106B1 (ko) 약제 용기
JP2558588B2 (ja) デュアルチャンバーボトル
KR20230009068A (ko) 약제 혼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