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255A - 탭핑장치와 컨테이너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탭핑장치와 컨테이너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255A
KR20030015255A KR1020027016036A KR20027016036A KR20030015255A KR 20030015255 A KR20030015255 A KR 20030015255A KR 1020027016036 A KR1020027016036 A KR 1020027016036A KR 20027016036 A KR20027016036 A KR 20027016036A KR 20030015255 A KR20030015255 A KR 20030015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ping
guide tube
line
rod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2794B1 (ko
Inventor
가이도 페트루스 요하네스 반더클라아우
바트 얀 박스
마리우스 코르스티안 반듀우렌
Original Assignee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4995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1525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filed Critical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15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2Aesthetics, advert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06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with means for carbonating the beverage, or for maintaining its carb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67D1/0865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by circulating a cooling fluid along beverage supply lines, e.g. pythons
    • B67D1/086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by circulating a cooling fluid along beverage supply lines, e.g. pythons the cooling fluid being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49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128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outdoor use; movable; portable
    • B67D2210/00133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outdoor use; movable; portable whee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수용 탭핑장치(1)는 냉각장치와 탭핑꼭지(14)를 갖춘 탭핑로드(8)로 이루어지는데, 탭핑로드는 제 1채널(50)과 제 2채널(52)로 이루어지며, 이 채널들은 탭핑꼭지(14)에 인접하여 각기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한편, 적어도 사용중에 탭핑라인(48)은 제 2채널을 관통하게 뻗어서, 탭핑라인이 음료수용 컨테이너(6)를 갖춘 한쪽 끝과 결합되고 탭핑꼭지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나머지 한쪽 끝에 결합된다.

Description

탭핑장치와 컨테이너 및 이들의 제조방법{Tapping device and container therefor,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이 공지된 탭핑장치는 그 안에 다수의 음료수용 컨테이너를 갖춘 냉장장치로 이루어진다. 중공(中空)의 탭핑로드가 냉장장치에 배치되는데, 이 탭핑로드를 관통하여 탭핑라인이 뻗어 있다. 이 탭핑라인은 탭핑로드에 장착된 종래의 탭핑꼭지의 후미에 결합되어서, 음료수는 예컨대 컨테이너에 주입된 이산화탄소가스의 영향으로 컨테이너로부터 탭핑꼭지로 강제배출될 수 있다. 탭핑로드는 냉장장치의 내부공간과 개방상태로 연통되어 있어서, 원칙적으로 비교적 차가운 공기가 냉장장치로부터 탭핑로드내로 흐를 수 있고, 그 안에 있는 탭핑라인을 에워쌀 수 있다. 사용중에, 이는 탭핑라인과 이를 관통하여 흐르는 음료수를 냉각한다.
이 공지된 탭핑장치는 탭핑로드내에 있는 공기가 실제로 이동하지 않는 단점을 갖는다. 실제로, 냉각공기는 탭핑로드에서 데워지며, 그 결과 따뜻한 공기가 냉장장치에 있는 찬공기에 비해 가벼워서 탭핑로드에서 위쪽으로 향해서 더욱 강제순환된다. 탭핑꼭지에 인접한 탭핑로드에, 공기의 일부가 빠져나갈 수 있는 비교적 작은 개구부가 구비된다. 이는 탭핑로드에서 공기의 이동을 향상시키지만, 탭핑꼭지의 둘레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비교적 차가운 공기흐름이 정확히 탭핑꼭지와 이 탭핑꼭지를 작동시키는 사람쪽으로 야기되는 한편, 냉장장치의 누출된 비교적 차가운 공기가 예컨대 실온에서 예컨대 대략 4 내지 6℃의 온도까지 냉각되어야 하는 주변환경으로부터 들어온 비교적 따뜻한 공기로 대체되기 때문에, 더욱이 비교적 많은 에너지가 손실되는 단점을 수반하게 된다.
본 발명은 탭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사용중에 관통되게 뻗어 있는 탭핑라인을 갖춘 탭핑로드를 구비한 탭핑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탭핑장치는 유럽특허 제 0 224 293호로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의 부분적으로 절단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에서 탭핑로드의 조립체의 상세단면도,
도 3은 도 4의 Ⅲ-Ⅲ선에 따라 절취한 탭핑꼭지를 제거하고 그 내로 탭핑라인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탭핑로드의 일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탭핑로드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탭핑로드의 단면도,
도 6은 상세하게 도 3에 따른 탭핑로드에 사용되는 안내튜브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7은 탭핑로드에 삽입하기 위해 안내튜브를 갖춘 몰드다이의 개략도,
도 8은 헤칭을 가한 탭핑로드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탭핑꼭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상단이 제거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장치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냉장장치를 관통하는 공기흐름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에서 기술되었던 종류이되, 언급된 단점들은 방지되면서 그 장점이 유지되는 탭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는 청구항 1로 특징지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는, 2개의 채널은 서로 유체적으로 연통하는 연속채널로 형성되어 있어서, 냉매를 통과시킬 수 있다. 탭핑라인이 하나의 채널, 특히 제 2채널을 관통하여 뻗고 있기 때문에, 탭핑라인의 냉각이 각각의 채널에서 이뤄질 것이다. 이는 사용중에 컨테이너로부터 탭핑라인을 통과하여 탭핑꼭지로 흐르는 음료수가 적당하게 냉각될 것임을 의미한다. 제 1 및 제 2채널을 통과한 냉매의 순환이 가능해져서, 간단하게 냉매가 적어도 탭핑꼭지를 따라서 바람직하지 못한 양만큼 바람직하지 못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는 청구항 2로 특징지어 진다.
공지된 탭핑장치와는 대조적으로, 냉매는 재순환될 것이며, 냉매, 특히 공기의 흐름이 성취될 것이다. 그런 다음에, 실질적으로 냉매는 적어도 탭핑꼭지를 따라서는 손실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사용자에게 있을 임의의 장애요소가 최소로 제한되거나 심지어 모두 제거될 것이다.
탭핑로드내에 안내튜브를 구비함으로써, 탭핑로드와 안내튜브 사이에 적어도 탭핑꼭지에 근접하게 제 1채널이 형성되고, 적어도 안내튜브에 근접하게 형성된 제 2채널과 유체적으로 연통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중에 흐름이 안내튜브와 형성된 채널을 관통하여 성취될 수 있어서, 안내튜브내로 수용된 탭핑라인이 에워싸인다. 제 1 및 제 2채널을 관통하는 냉매, 특히 공기를 통과하여서 강제로 탭핑라인을 냉각시키고 이를 관통하여 통과된 음료수는 그러므로 냉각된다.
바람직하기로, 강제순환수단은 채널을 관통하여 냉매를 강제순환시키도록 제공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흐름은 자연대류현상에 위배되지 않는다. 이러한 강제순환방식은 제 1 혹은 제 2채널의 주입구에 근접하게 초과압력을 창출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중에 감압이 바람직한 흐름방향인 아래에 위치한 채널의 배출구에 근접하게 창출되어, 냉매가 채널을 관통하여 흡수된다. 특히, 이는 2개의 채널에서 적은 양의 누출이 일어나기 때문에 장점으로 여겨지는데, 공기는 대기에서만 흡입될 것이며, 냉매는 대기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켜 사용자에게있을 임의의 장애요소가 여전히 제한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는 청구항 5로 특징지어 진다.
냉장장치내에서 냉각공기의 사용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냉매의 바람직한 온도가 성취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럼으로써 단순한 방식으로 냉장장치내에 그리고 탭핑로드내에 있는 탭핑라인 사이의 온도차가 크게 야기된다. 그런 다음에, 바람직하게는 냉각공기가 우선적으로 제 2채널을 관통하여 통과되고 탭핑꼭지로부터 냉장장치의 방향에 있는 제 1채널을 경유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런 다음에 공기가 냉장장치로부터 채널을 경유하고 냉장장치로, 예컨대 공기의 온도를 재조정하기 위해 증발기 혹은 냉장장치의 다른 냉각수단을 따라서 순환된다. 효과적으로, 이는 바람직하며, 비교적 적은에너지가 탭핑로드에서 약간 가열된 공기를 냉각하는데 요구된다. 그런 다음에 추가적인 공기의 사용이 누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키진 않으므로, 특별하게 복잡한 밀봉을 제공하여야 할 필요성이 없다는 것이 장점으로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는 청구항 7로 특징지어 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채널을 관통하여 흐름을 창출하도록 감압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채널과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가압체임버의 사용으로 감압체임버를 관통하여 제 1채널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적어도 냉매는 이 결과로 인해 공기는 제 2채널을 관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의 압력을 동일하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냉장장치의 내부공간에 제 2공기채널을 연결하면, 이는 예컨대 강제순환된 공기흐름이 냉장장치로부터 감압체임버로 성취되는 결과를 가진다. 감압체임버에서, 사용 중에 대기에 대한 감압은 감압체임버로부터 갖춰진 예컨대 팬(fan)으로 창출될 수 있으며, 공기는 그 내에 배치된 컨테이너를 냉각하기 위해서 그리고 채널을 통과하여 재순환하도록 냉장장치 뒤에 냉각수단을 따라 강제순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채널은 탭핑꼭지내에서 각각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중에 냉각은 탭핑라인의 최대길이를 벗어나서 발생한다. 탭핑로드와 선택사항인 안내튜브는 예컨대 열적단열층의 설비를 관통하여 열적으로 단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사용중에 탭핑로드가 불필요한 냉각을 하고, 주변열에 의해서 제 1채널을 관통하여 흐르는 냉매가 불필요하게 가열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 다음에 안내튜브의 열적단열은 제 1 및 제 2채널을 관통하여 흐르도록 제한된 냉매사이로 열교환하는 장점을 제공하여, 탭핑라인의 냉각에 유용하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는 청구항 11로 특징지어 진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한 호스와 같은 탭핑라인의 구조는 탭핑꼭지에 연결되는 것이 적합하며, 탭핑라인은 가능한 한 쉽게 맞춰지는 장점을 제공한다. 실제적으로, 예컨대 탭핑꼭지로부터 떨어진 개구끝으로부터 안내튜브를 관통하여 탭핑꼭지까지 쉽게 통과할 수 있어, 호스와 탭핑꼭지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새로운 컨테이너가 천공될 때마다 다른 탭핑라인용 탭핑라인의 교체를 쉽게 할 수있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에 연결된 유연한 탭핑라인을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따라서 공급되며, 일시적으로 안내튜브를 관통하여 통과하고, 탭핑꼭지에 연결되어서, 음료수는 컨테이너로부터 탭핑꼭지를 경유하여 분무될 수 있고, 그런 후에 컨테이너를 제거하면, 탭핑라인은 탭핑꼭지로부터 해체시키고 탭핑라인은 컨테이너와 같이 제거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탭핑라인의 세척은 더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 한편, 오염물질은 간단하게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이는 컨테이너가 탭핑꼭지에 비교적 근접하게 배치되는, 예컨대 냉장장치에서 탭핑로드가 장착된 탭(tap) 아래에 장착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에 있어서, 탭핑꼭지는 탭핑라인의 적어도 유연한 일부에 결합되게 구조될 수 있어서, 호스마개를 형성할 수 있고 탄성변형으로 유연한 일부는 탭핑꼭지를 폐쇄하도록 압박시킬 수 있고 탭핑라인의 통로는 다시 탭핑꼭지의 작동을 통하여 청결해질 수 있다. 한편, 탭핑라인내에 밸브가 구비되어 개폐위치사이에서 탭핑꼭지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장점은 탭핑꼭지가 분무되어질 음료수와 접촉하지 않도록 성취되어, 음료수에 위한 탭핑꼭지의 오염은 간단하게 방지되며, 더욱이 탭핑꼭지와의 접촉을 통한 음료수의 오염 또한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탭핑라인은 음료수가 분무되는 사용중에 탭핑라인이 탭핑꼭지와 결합될 때 탭핑꼭지 외부로 뻗도록 끝을 개방시켜, 이러한 방식으로 탭핑꼭지는 음료수와의 접촉을 방지시킨다.
추가로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는 청구항 18로 특징지어 진다.
이러한 탭핑장치에서는, 탭핑로드와 안내튜브는 이들이 장착된 탭핑단을 관통하고 냉장장치의 벽을 관통하여 뻗어서, 탭핑단과 냉장장치 사이에서 간단하면서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그럼으로써 냉장장치와 탭핑꼭지 사이의 거리는 최소로 줄여 비교적 짧은 채널을 만든다. 더욱이 안내튜브의 길이는 비교적 짧게 되어서,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한 탭핑라인이 냉장장치의 내부공간으로부터 탭핑꼭지내로 혹은 인접하게 통과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이는 탭핑라인의 관통공급(feed-through)이 더욱 간략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기로, 탭핑로드는 안내튜브에 고정되게 연결되되, 이 안내튜브는 감압체임버를 관통하여 뻗고 감압튜브의 아래면에 대해서 고정되게 장착되어서, 동시에 탭핑로드가 고정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예컨대 안내튜브가 감압체임버까지 우회할 수 있도록 너트 상에 나사산을 형성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감압체임버는 체결을 위해서 안내튜브상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하기 위해 이와 대응할 수 있는 나사산을 제공된다. 이상의 변형들은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있어서 명료하게 인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에 사용되는 냉장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용으로 적어도 2개의 설치위치가 제공되는 한편, 이 설치위치 사이로, 적어도 컨테이너사이에 배치된, 이격수단이 열적단열을 제공된다. 특히 이러한 이격수단은 특히, 이미 냉각된 컨테이너가 예컨대 뒤에 장착된 상대적으로 따뜻한 컨테이너로부터 이격되되, 연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냉장장치에서 냉각된다. 그럼으로써, 이미 냉각된 컨테이너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컨테이너로 인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또한 이로써 공기는 이미 냉각된 인접한 컨네이너로부터 실질적으로 채널을 관통하여 통과시킬 수 있다. 이격수단은 냉장장치내에 고정되게 배열될 수 있으나, 예컨대 도어와 부분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는 청구항 21로 특징지어 진다.
이러한 탭핑장치는 바람직하기로 탭핑라인과 함께 사용된 각각의 컨테이너를 통상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는 원칙적으로 탭핑라인이 더이상 세척시킬 필요성이 없거나, 컨테이너와 함께 설치 및 제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새롭고 적어도 다른 컨테이너가 설치될 때마다, 탭핑라인은 교체되어서, 예컨대 음료수의 혼합이 간단하게 방지되고 특히 청결한 라인이 위생을 위해 항상 제공된다. 더욱이, 세척비용이 감소된다. 바람직하려면, 물론 탭핑라인은 탭핑장치로부터 거리를 두어 세척을 시행할 수 있어서, 탭핑장치는 최소시간, 즉 컨테이너와 탭핑라인의 교체하는 동안만 작동을 금(禁)할 필요가 없다. 특히 상대적으로 작은 맥주통(keg)이 예컨대 10, 20 혹은, 30ℓ의 용량을 갖춘 컨테이너로서 사용될 때 유용하다. 삽입하는 동안 도입위치에서 탭핑라인의 제 1끝은 탭핑꼭지와 결합될 수 있고, 트레일러로 이동하는 동안 제 2끝은 컨테이너와 연결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제 2끝은 예컨대 빠른 결합수단으로 컨테이너에 적합하게 결합되나, 바람직하기로 탭핑라인은 컨테이너에 확실하게 연결되어서, 손상 없이 이들로부터 이격될 수 없다. 이는 여전히 위생상태를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내에 안내튜브로 탭핑라인을 삽입하는 동안에, 제 1도입단부는 바람직하기로 원형상단을 갖춘 덮개갭으로 덮여진다. 그러므로 이 성취된 결과는 탭핑라인의 개방도입단부가 진입하는 오물에 대해서 보호되되, 관통공급되는 동안에, 이끝이 안내튜브의 내부를 관통하여, 예컨대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관통하여 통과하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그런 후에, 덮개캡의 원형상단은 그러므로 탭핑라인의 안내가 상당히 중요하므로 탭핑라인은 특히 간단하게 관통공급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는 여전히 위생학상과 인체학적인 면에서 향상되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청구항 26으로 특징지어진 탭핑장치의 배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순한 방식인 이러한 방법과 관련해서, 탭핑장치는 적어도 사용중에 탭핑라인이 탭핑꼭지까지 안내튜브를 관통하여 뻗도록 형성되어, 탭핑라인은 채널에 위해서 안내튜브내에서 에워싼다. 이 채널은 안내튜브와 탭핑로드의 벽사이로 뻗은 추가적인 채널과 연결될 수 있어서, 냉매가 2개의 채널을 관통하여 통과할 수 있으므로, 탭핑라인의 적어도 확장부 둘레로 흐른다. 본 설명에서, 냉매로서는 가스냉매, 특히 공기가 기술된다. 한편 다른 냉매는 예컨대 물과 같은 냉각액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공기는 전에 기술된 근거로 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탭핑로드는 예컨대 냉장장치의 상부에는 탭핑단을 형성한 냉장장치 위에 직접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바람직하기로 탭핑로드가 탭핑단 상에 장착되는데, 적어도 안내튜브는 탭핑단과, 특히 탭핑단 아래에 배치된 냉장장치의 상부인 벽을 관통하여 뻗어서, 냉장장치의 내부공간과 안내튜브의 내부공간 사이로 유체적으로 연통될 수 있게 한다. 그런 다음에, 탭핑로드가 적어도 냉장장치의 벽을 지나 뻗을 때, 벽의 내부에 있는 체임버가 안내튜브와 탭핑로드사이에 채널로 유체적으로 연통되지만, 안내튜브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이격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체임버는 예컨대 감압체임버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데, 공기는 냉장장치의 내부공간으로부터 2개의 채널을 관통하여 감압체임버내로 흡입되고, 이로부터 냉각수단을 통과할 수 있다,
채널을 관통한 냉매의 흐름은 다양한 방식, 예컨대 분리공기냉각수단이 2개의 채널사이로 위치되고, 탭핑라인은 더욱 떨어진 거리에 배치된 컨테이너와 결합되되, 탭핑라인은 바람직하기로 열적단열화되기 위해 안내튜브의 바깥쪽으로 뻗어서 성취될 수 있음이 명백해질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청구항 32에 따른 수단으로 특징되는 탭핑로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단순한 방식인 이러한 방법에서는, 탭핑로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혹은 방법에 사용하기 위해 적당하게 제조될 수 있다. 삽입하기 위한 안내튜브의 사용하여, 탭핑로드내에서 주조(cast-in)되고, 바람직한 형상의 안내튜브가 특히 튜브가 계속해서 주입되지 않는 단순한 방식으로 성취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조립체작동이 상당히 감소되는 동안에, 2개의 안내튜브와 탭핑로드의 구조에 자유도를 상당히 증가시킨다.
추가로 본 발명은 청구항 34에 따른 특성으로 특징되는 음료수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와 방법에서 사용하기 적합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한 호스가 탭핑라인을 특히 단순하게 잘 설치되고 제거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주요 밸브는 전에 사용된 탭핑라인내로 음료수를 흐르게 하는 가능성을 방지한다. 이는 탭핑호스의 장애요소를 내포할 필요가 있다는 설득력이 상실된다. 더욱이 탭핑호스가 개방끝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탭핑호스내 혹은 상에 밸브가 전술된 바와 같이 제공되어 탭핑꼭지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하게 탭핑꼭지에 결합된다. 이는 단순하게 음료수를 흘려나가는 가능성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적어도 컨테이너와 탭핑라인사이에 주요 밸브는 원칙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실시예에는 또한 음료수의 산화를 방지하도록 주요 밸브가 제공된다.
추가적인 종속항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와 방법 및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본 발명의 명료성을 위해서, 탭핑장치와 방법 및 컨테이너의 모범적인 실시예들이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추가로 기술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혹은 유사한 부재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번호로 표기하였으며, 적어도 본 명세서와 관련된 탭핑꼭지와 밸브몸체 혹은 막힘(shut-off)밸브의 참조내용은 동일자로 출원된 "탄산음료용 음료수분배조립체와 컨테이너 및, 이 조립체에서 사용하는 음료수분배덕트"의 명칭으로 네덜란드 특허출원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출원은 참조되어 본 명세서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려둔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컨테이너에 관련되어, 참조내용은 동 출원인의 국제특허출원인 제 PCT/NL99/0054호를 참조로 하여 이루어졌으며,그 출원내용은 본 명세서의 참조사항과 관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1)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 탭핑장치(1)는 예컨대, 바아(bar)로 된 탭핑단(2)과 이 아내에 배치된 냉장장치(4) 및, 도 10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장치(4)내에 배치된 컨테이너(6)로 이루어진다. 탭핑단(2)상에 장착된 탭핑로드(8)는 도 2에서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탭핑로드(8)는 탭핑단(2)상에 안착된 제 1끝(10)과 이의 반대쪽으로 탭핑꼭지(14)에 장착된 제 2끝(12)을 구비한다. 이 탭핑꼭지(14)는 도 8에서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이전에 언급되었던 네덜란드 특허출원에서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핑로드(8)에서는, 탭핑로드(8)의 제 2끝(12)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1끝(18)을 갖춘 안내튜브(16)로 뻗는 한편, 안내튜브(16)의 제 2끝(20)은 냉장장치(4)의 내부공간(22)으로 탭핑로드(8)의 제 1끝(10)을 벗어나게 뻗는다. 탭핑로드(8)의 제 1끝(10)은 나사산이 형성된 외부나사산(도시되지 않음)을 갖춘 장착부시(26;mounting bush)에 내부나사산(24)을 갖춘 개구부를 구비한다. 이 장착부시(26)는 탭핑단(2)에 개구부(28)를 관통하여 뻗는다. 조립체 너트(30)는 탭핑단(2)의 아래에서 장착부시(26)와 나사체결되어, 탭핑로드(8)가 탭핑단(2)에 고정연결된다. 조립체 너트(30) 아래로 뻗은 장착부시(26)의 일부는 냉장장치(4)의 상단(34)에 개구부(32)내로 뻗는다. 아래에서 자세하게 기술될 감압체임버(36)는 장착부시(26)의 하부끝에 있는 개구부(32)내의 나사플랜지(38)와 나사체결되어, 냉장장치(4)와 탭핑단(2) 및 탭핑로드(8)를 갖춘 장착부시(26) 사이에서 고정연결된다. 안내튜브(16)는 장착부시(26)를 관통하고 감압체임버(36)의 하부(40)를 관통하여 내부공간(22)내로 틈새를 갖춰서 뻗는다. 도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안내튜브(16)의 제 2끝(20) 상에 장착된 도입튜브(42)는 냉장장치(4)의 내부공간(22)의 앞부분으로, 적어도 냉장장치(4)의 도어(44)에 근접할 때까지 뻗는다. 안내튜브(16)로부터 떨어져 있는 도입튜브(42)의 끝에 장착되어 있는 약간 깔대기형상의 도입부재(46)는 내부공간(22)을 향하여 개방한다. 탭핑로드(8) 및/또는 안내튜브(16)는 탭핑로드(8) 및/또는 안내튜브(16)를 위한 층의 설비 혹은 열적단열재의 사용을 통하여 열적으로 단열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사용중에, 탭핑라인(48)은 내부공간(22)으로부터 안내튜브(16)의 제 1끝(18)을 지나는 지점까지 안내튜브(16)와 도입튜브(42)를 관통하여 뻗는다. 이 탭핑라인(48)은 탭핑로드(8)에서 고정되게 배열될 수 있으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안내튜브(16)를 관통하여 주입되고 아래에 기술될 방식으로 다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사용중에, 제 1채널(50)은 안내튜브(16)와 탭핑로드(8)의 벽 사이에서 형성되고 제 2채널(52)은 안내튜브(16)의 벽과 탭핑라인(48) 사이에 형성된다. 탭핑꼭지를 장착시켜, 제 1채널(50)은 적어도 탭핑꼭지(14)에 인접하게 제 2채널(52)로 유체적으로 연통된다. 이는 사용중에 냉장장치(4)에서 유체, 특히 냉각공기는 제 2채널(52)내에 탭핑라인(48)을 따라서 그리고 이로부터 탭핑꼭지(14)의 내부공간을 경유하여 제 1채널(50)내로 도입부재(46)를 관통하여 흐를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제 1채널(50)로부터, 냉매, 특히 냉각공기는 감압체임버(36)의 내부공간내로 흐르고, 내부공간으로부터 배출라인(54)을 경유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냉각공기는 내부공간(22)으로부터 제 2 및 제 1채널(52,50)을 관통하여 통과되어, 제 2채널(52)에서 탭핑라인(48)의 일부가 그 안으로 뻗으며 이를 통하여 순환한 음료수를 냉각할 것이다. 냉각공기는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감압체임버(36)와 배출라인(54)을 경유하여 냉장장치(4)의 냉각수단(56)으로 배출되고, 계속해서 냉장장치(4)의 내부공간(22)으로 되돌아온다. 안내튜브(16)의 제 1끝(18)에 인접한 구멍(19)이 제공되어, 더욱 큰 흐름을 실현할 수 있어서 냉동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탭핑라인(48)의 접촉면이 예컨대, 주름 혹은 이와 유사한 형상을 통해 확장될 수 있다.
마개(14)에서, 탭핑로드(8)에 인접한 측면으로 원뿔형상의 벽(61)이 제공되어, 탭핑라인(48)의 삽입을 단순화하고 더욱이 2개의 채널(50,52) 사이에 향상된 연통을 제공한다. 이 점을 위해서, 벽(61)은 또한 배출끝(64)에 더욱 인접한 마개(14)내에 위치된다. 그런 다음에 안내튜브(16)는 벽(61)에 근접한 지점에서 마개(14)내로 뻗어서, 마개(14)내로 뻗은 탭핑라인(48)의 일부가 더욱 냉각된다.
탭핑라인(48)의 제 1끝(58)은 도 8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탭핑꼭지(14)와 조우할 수 있는 밸브조립체(60)를 구비하고, 추가로 이전에 언급된 동 출원인의 네덜란드 특허출원인 "탄산음료용 음료수분배조립체와 컨테이너 및 이 조립체에서 사용하는 음료수분배덕트"란 명칭으로 기술되어 있다. 도 8에 의해서 더욱 명료해지듯이, 밸브조립체는 작동상 탭핑꼭지하우징(62)의 외부로 뻗는 배출부(64)로 이루어지되, 배출부(64)는 이 배출부(64)내에 원통형상의 홈(68)에 맞물리는 돌출부(66)의 수단으로 탭핑꼭지하우징(62)에 장착된다. 배출부(64)가 설치된 후에,탭핑밸브하우징(62)은 실제로 완전하게 기밀(氣密)상태가 된다. 그럼으로 제 1채널(50)로부터 흐르는 공기는 탭핑꼭지하우징(62)을 떠나지는 못하나 제 2채널(52)을 경유하여 탭핑라인(48)을 따라서 흐르게 될 것이다. 배출부(64)가 제공되어, 탭핑꼭지하우징(62)내에 위치된 측면상으로 유동체(70)는 탭핑꼭지(14)의 작동메카니즘으로 작동가능하여, 유동체(70)는 음료수가 탭핑라인(48)과 배출부(64)를 관통하여 분배될 수 있는 제 1위치와, 배출부(64)가 탭핑라인(48)으로부터 폐쇄되어서 더 이상 음료수가 분배될 수 없는 도 8로 도시된 제 2위치 사이에서 배출부(64)를 선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배출부(64)가 탭핑꼭지하우징(62)을 벗어나게 뻗어 있기 때문에, 이 탭핑꼭지하우징(62)은 음료수와 접촉하지 못할 것이다. 탭핑꼭지하우징(62)은 분리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분리상태에서 탭핑라인(48), 특히 배출구(64)는 적어도 밸브조립체(60)내에서 놓여지거나 혹은 제거될 수 있되, 탭핑꼭지하우징(62)이 폐쇄되었을 때, 탭핑꼭지(14)의 작동메카니즘은 탭핑라인(48)과 배출부(64) 사이에 유체적으로 연통되어 방출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냉각은 제 1끝(58)을 갖춘 탭핑라인(48)이 어떠한 방법으로 안내튜브(16)를 관통하여 통과할 수 있는가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배출부(64)는 원형상단(74)을 갖춘 덮개캡(72)으로 덮여져 있어서, 적어도 관통공급라인(48)의 덮개캡(72)의 안내튜브(16)내에서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덮개캡(72)과 밸브(60)의 길이 및 탭핑라인(48)의 유연성은 안내튜브(16)내의 굴곡부에 적합하게 되어 있어서, 탭핑라인(48)이 안내튜브(16)를 완전히 관통하여 도 3에 도시된위치로 통과될 수 있다. 안내튜브(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에서 전체적으로 타원형상으로 되어, 상기 단면도의 장축은 개별적인 굴곡부가 위치된 평면에 위치되어, 관통공급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나, 제 1채널(50)과 제 2채널(52)의 동일한 통과면적이 유지된다. 더욱이 결과적으로 굴곡부에 있어서, 이를 관통하여 흐르는 냉매의 바람직한 흐름패턴이 성취된다. 덮개캡(72)에 위해서, 배출부(64)의 개방끝이 탭핑라인(48)을 관통하여 공급되는 동안에는 차폐되어, 배출부(64)의 막힘을 방지한다. 밸브(60)는 바람직하기로 덮개캡(72)이 탭핑라인(48)의 방향으로 가압될 때 폐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밸브(60)가 관통공급되는 동안에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로 인해 명료해지듯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컨테이너(6)는 냉장장치(4)의 내부공간(22)내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이 중 한 컨테이너는 천공되어 있는 반면에, 나머지 하나는 냉각되기 전의 상태로 놓인다. 도 9에서, 오른쪽에 도시된 컨테이너(6)는 천공되어져 있다. 이는 탭핑라인(48)이 컨테이너(6)의 제 1막힘밸브(78)를 갖춘 탭핑헤드(76)를 경유하여 연결된다. 제 1막힘밸브(78)는 컨테이너가 완전하게 폐쇄되고 탭핑헤드(76)의 수단으로만 개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탭핑장치에 종래와 같이 사용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핑헤드(76)로부터 공급라인(80)이 뻗어 압력원인, 예컨대 압축된 CO2를 갖춘 실린더(81)와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6)는 이미 언급된 국제특허출원 PCT/NL99/00454호 혹은 PCT/NL99/00144호로 기술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출원들은 참조사항으로 여기서 구체화되어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예컨대 PCT/NL99/00454에 기술된 바와 같은 컨테이너(6)로써 백-인-컨테이너(bag-in-container) 혹은 백-인-박스(bag-in-box)를 사용할 때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쥬스와 유제품(乳製品) 및 이와 유사한 음료수와 같은 비탄산음료와 전후혼합된 청량음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주요 밸브(78)에 탭핑헤드(76)를 연결하여서, 컨테이너(6)로부터 탭핑라인(48)을 관통하여 탭핑꼭지(14)로 음료수를 공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후벽(82)과 도어(44)는 프로파일로 제공되어, 후벽(82)과 도어(44)는 2개의 컨테이너(6) 사이에서 각각 접촉하여, 이들은 내용물에 각각에 대해서 적어도 열적으로 단열된다. 다른 열적단열수단은 이 목적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10 및 도 13으로 특히 명백해지듯이, 냉장장치(4)의 후벽(82)에 공간(84)을 제공하여, 이곳에 냉각수단(56A)이 배치될 뿐만 아니라 사용중에 내부공간(22)과 공간(84)을 연결시킬 개구부(88)의 방향으로 송풍하는 팬이 배치된다. 공간(84)내에서, 배출라인(54)은 냉각수단(56A)으로 혹은 그 내에 인접해서 종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86)의 구동으로, 공기는 공간(84)으로부터 내부공간(22)으로 강제순환될 것이며, 이와 같이 순환된 공기는 감압체임버(36)에서 감압하여 감압체임버(36)으로부터 배출라인(54)을 경유하여 흡입될 것이다. 이렇게 감압된 공기는 체 1채널(50)로부터 흡입된 것이며, 제 2채널(52)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탭핑꼭지(14)를 경유하게 된다. 2개의 채널(50,52)과 탭핑꼭지(14)는 사용중에 실제로 완전하게 기밀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 2채널(52)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내부공간(22)으로부터 빨려올 것이다. 배출라인(54)은 바람직하게는 배출라인으로 공기를 내뺄 수 있는 크기로 되어 냉각수단(56A)을 경유해야 만이 팬(86)을 통과할 수 있어서, 내부공간(22)으로 들어간 공기는 바람직한 온도, 예컨대 0 내지 6℃ 사이로 냉각된다. 그러므로, 공기는 재순환되며 상대적으로 냉기를 유지시켜 대체적으로 응축이 방지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냉장장치(4)의 바닥판(90) 아래로 증발기(92)가 배치된다. 냉장장치(4)는 탭핑단(2) 아래에 배열되어서, 공기는 냉장장치(4)의 상측부와 후미부를 따라서 흡입될 수 있고 도 11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장치(4) 아래에 증발기(92)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부(90)는 증발기(92)를 세척하기 위해 개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숙련자들에게 이미 공지된 다른 냉각메카니즘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1)는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
탭핑로드(8)를 위한 적합한 위치는 탭핑단(2) 위에서, 예컨대 탭핑그리드(9)의 위치에 의존하거나 세정을 위해 선택된다. 다음으로, 바람직한 위치에서 개구부(28)는 탭핑단(2)에서 천공된다. 냉장장치(4)는 탭핑단(2) 아래의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고 개구부(32)는 냉장장치상부(34)에 천공되어 개구부(28)와 대응하게 한다. 장착부시(26)는 감압체임버(36)의 칼라(38)내에서 나사고정되고 개구부(32)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조립체 너트(30)는 상부(34)와 장착부시(26) 위의 탭핑단(2) 사이에서 나사고정된다. 탭핑로드(8)는 이 탭핑로드의 제 1끝(10)으로 장착부시(26)의 상단끝 상에서 나사고정되어, 탭핑단(2)은 상기 제 1끝(10)과 조립체 너트(30) 사이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고정연결은 탭핑단(2)과 냉장장치(4) 사이에서 성취된다. 본질적으로, 조립체의 임의의 바람직하면서 적합한 순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감압체임버(36)의 순환을 통하여 도입튜브(42)는, 적어도 정면에서 보았을 때 보여지는 예컨대 냉장장치(4)의 중심을 향하도록 도어(44)에 대해서 적합한 위치에 놓인 도입부재(46)로 방위를 갖는다. 그런 다음으로, 배출라인(5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감압체임버(36)의 임의의 위치인 공간(84)내로 안내될 수 있다. 탭핑꼭지(14)는 탭핑로드(8)의 끝(12) 상에서 나사고정된다.
컨테이너(6)는 탭핑라인(48)에 연결되되, 적어도 연결가능하여 정면부로부터 내부공간(22)으로, 바닥부(90)에 안착될 수 있다. 바닥부(90)는 컨테이너(6)가 점선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22)내로 완전히 기립한 위치로 위치될 수 있으며, 반면에 또한 실선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경사진 위치에서 위치될 수 있도록 윤곽선을 갖되, 주요 밸브(78)는 냉장장치(4)의 정면에 근접하게 그리고 필요시에는 탭핑헤드(76)의 장착을 용이하게 위치된다. 그런 후에 중력중심(Z)이 컨테이너(6) 바닥부(90)에 자동적으로 세워질 수 있게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단(74)을 갖춘 탭핑라인(48)은 도입부재(46)내로 이동되어 안내튜브(16)를 관통하여 통과되는 반면에, 탭핑꼭지는 분리된다. 탭핑라인(48)은 밸브(60)가 탭핑꼭지(14)내로 놓일 수 있을 때까지 관통하여 통과하며, 덮개캡(72)이 제거되는 동안, 마개(14)는 폐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경사진 컨테이너(6)는 그런 다음에 수직위치로 놓이고 냉장장치는 폐쇄될 수 있으며, 탭핑장치(1)는 사용될 수 있도록준비된다. 그런 후에, 탭핑꼭지(14)의 작동으로 컨테이너(6)로부터 음료수를 분배할 것이다.
컨테이너(6)가 바람직하게 비워지면, 새로운 컨테이너(6)가 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최초 탭핑헤드(76)는 새로운 컨테이너(6)로 이동될 수 있으나, 탭핑라인(48)은 완전하게 제거시키고 막힘밸브(60)를 갖춘 새로운 탭핑라인으로 교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탭핑꼭지(14)는 분리될 수 있고 탭핑라인(48)은 내부공간(22)의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거나, 탭핑라인(48)이 탭핑헤드(76)에서 탈착되면, 탭핑꼭지(14)를 경유하여 안내튜브(16) 밖으로 완전하게 끌어당겨질 수 있다. 탭핑라인(48)의 교체는 여전히 청결한 위생을 보장하고 음료수의 혼합을 방지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에 탭핑라인(48)이 안내튜브(16)내에서 비교적 확고하게 수용되었다면, 탭핑꼭지(14)와 고정연결될 수 있으며 그 자체로서 공지된 방식에 위해 선택적으로 세척된 후 탭핑헤드(76)가 새로운 컨테이너(6)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튜브(16)는 예컨대 도 6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유연한 플라스틱재로 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튜브는 예컨대 금속재의 탭핑로드(8)에 장착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이 탭핑로드는 현존하는 형태의 탭핑로드일 수 있다. 이러한 응용예에 있어서, 대응수단과 맥주펌프, 탭핑칼럼(tapping column) 및 이와 유사한 장치와 같이 일반적으로 참조되는 탭핑로드는 탭핑단에 장착된 탭핑장치의 적어도 일부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튜브(16)는 딱딱한 구조와 평편한 구조에 비해서 단면이 타원형상을 갖는 굴곡부(92)를 제공하는 데, 이 굴곡부(92)는 유연한 주름부(94)에 연결한다. 유연한 부분(94)의 주름부(96)는 외부를 향하게 뻗도록 되어 있다. 내부로 향한 원주형 홈(98)은 덮개캡(72)의 원형상단(74)보다 훨씬 작은 높이(H)를 갖춰서, 탭핑라인(48)의 관통공급하는 동안에 유연한 부분(94)에서 상단(97)이 꽂혀질 가능성을 방지한다. 안내튜브(16)의 하부끝(20)은 나팔꽃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상단(74)의 주입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안내튜브(16)는 탭핑로드(8)의 제 2끝(12)으로부터 주입되어 굴곡부(92)가 바람직한 위치에 놓일 때까지 탭핑로드(8)를 비교적 쉽게 관통하도록 밀쳐져 유연한 부분을 허용하게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교적 단단한, 예컨대 금속성의 안내튜브(16)는 도 7에 도시된 하나의 주형(100)에 놓여 있는 스페이서링(17;spacer ring)을 구비한다. 안내튜브(16)의 둘레로 제 1채널(50)의 형상을 갖춘 소실된 코어(core)가 갖춰진 후에, 탭핑로드(8)는 적당하게 그 둘레로 주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혹은 이와 유사한 금속으로 주조되어 형성되면, 예컨대 주조 후에 소실되지 않았으면 모래 혹은 왁스로 제거시키고, 안내튜브(16)를 갖춘 일체의 탭핑로드(8)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성취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링(17)은 더욱이 장착부시(26)에 장착될 수 있고 또한 일체형으로 주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탭핑로드(8)는 2개 이상의 부분으로 제조되어, 각 부분들이 안내튜브(16) 혹은 각 채널(50,52)을 이격하는 중간벽 둘레에 조립될수 있다. 또한, 안내튜브(16)는 2개 이상의 부분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각 부분들이 반대쪽 끝에서부터 탭핑로드로 집어넣어진 후에 탭핑로드(8)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밀봉링, 예컨대 연합링은 부품들을 상호연통하도록 사용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탭핑로드(8)는 탭핑단(2) 위로 종래방식 혹은 이미 전술된 방식으로 고정되며,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안내튜브(16)로 혹은 탭핑로드내에 중심구멍으로 형성된 적어도 한 채널을 구비한다. 도입튜브(42)는 이 채널에 연결하고 도입부재(46)를 구비하여서, 탭핑라인(48)이 탭핑단(2) 아래로부터 도입튜브(42)와 탭핑로드(8)를 관통하여 탭핑꼭지(14)로 통과시켜, 이전에 기술된 방식으로 배출끝(64)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기로, 도입하는 배출끝(64)에 인접하게 예컨대,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탭핑꼭지(14)의 작동메카니즘을 갖춰 상호작동할 수 있는 밸브(60)가 구비된다. 반면에, 탭핑꼭지(14)는 또한 탭핑라인(48)이 배출끝(64)에 인접하게 끼워지게 압박하는 구조로 될 수 있어서, 탭핑라인(48)을 갖춘 탭핑꼭지(14)는 호스마개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끝(64)은 바람직하기로 배출끝(64)과 탭핑의 위치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전에 기술된 실시예와 같이 비교적 단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질적으로, 배출끝(64)은 또한 탭핑라인(48)의 끝(58)이 삽입된 채로 탭핑꼭지(14)의 일체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탭핑라인(48)은 탭핑단(2)으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배치된 컨테이너(6)와 탭핑헤드(76)를 경유하여 연결된다. 예컨대, 컨테이너(6)는 CO2실린더(81) 혹은, 칼라 또는 이와 유사한 설비에 배치된 공급라인(80)을 경유하여 연결된 비교될 만한 압력원과 함께 하거나, 탭 아래로 예컨대 냉장장치 혹은 이와 같은 냉동장치의 외부에서 자유롭게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도입튜브(42)는 탭핑헤드(76)와 근접한 지점으로 뻗을 수 있다. 도입튜브(42)가 상당한 길이를 갖는다면, 기계적인 수단, 예컨대 수동 혹은 자동공급롤러 또는 이와 유사한 기구가 탭핑라인(48)의 관통공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공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이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장치(45)가 탭핑로드(8)에 인접하게, 예컨대 도입튜브(42)와 도입부재(46) 사이에서 구비되어 탭핑라인(48)이 냉각된다. 이러한 냉각장치를 갖춰서,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저온장소에 배치된 컨테이너(6)로부터 공급된 음료수는 바람직한 온도로 더욱 냉각될 수 있다. 특히 음료수가 10℃ 내지 실온사이의 비교적 고온에서 소비될 경우에는 이러한 장치가 특히 적당하다. 한편, 적당한 냉각수단(45)을 사용할 때에 음료수는 저온 하에서 분배될 수 있다.
도 13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실제로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공기덕트(55)는 팬(86) 내로 혹은 인접하게 종결되는 제 1끝과 적어도 제 1채널(50)을 갖춘 도입튜브(42)에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반대끝을 구비한다. 이 도입튜브(42)에 있어서, 조임부(47)는 도입부재(46)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비교적 탭핑라인(48) 둘레에 인접하게 장착된다. 조임부(47)는 선택적으로 약간 유연성을 가질 수 있어서 밸브조립체를 갖춘 탭핑라인(48)의 도입단부는 탄성변형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어 조임부는 탭핑라인에 접촉한다. 팬(86)의 구동으로, 공기는 공기덕트(55)를 관통하여 제 1채널(50)로 강제순환되는 반면에, 대체로 조임부(47)는 냉각공기가 내부공간(22)으로 순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라인(54)은 냉각수단(56A) 아래의 지점으로 뻗어서, 배출라인(54)을 관통하여 통과한 공기가 냉각수단(56A)의 방식으로 팬(86)과 공기덕트(55)로만 이동할 수 있다. 팬(86)의 작동에 의해서, 냉각수단(56A)은 비교적 약간 감압상태를 창출하여서 공기가 배출라인(54)으로 흡입된다. 선택적으로, 제 2팬이 예컨대 배출라인(54)의 하부끝에 인접하게 또는 감압체임버(36)내에, 혹은 이들 사이로 구비되어, 더욱 강하고 적어도 더욱 통제되어 흡입공정이 성취된다. 이러한 경우에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팬(86)은 생략될 수 있다.
의외로, 채널(50,52)내에서 압력이 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각각의 경우에서 바람직한 냉각이 성취된다. 제 1채널(50)에서 초과압력이 설정되었다면, 초과압력은 마찬가지로 마개(14)에서도 나타날 것이며, 탭핑라인(48)과 밸브수단(60)는 더욱 마개(14)에서 냉각될 것이다. 제 1채널(50)내의 압력과 비교하여서 제 2채널(52)에서 약간의 감압이 발생함으로써, 적당한 공기의 순환이 성취되며, 바람직하지 않은 다량의 냉각공기는 적어도 마개(14)를 따라서 방출된다. 그런 다음에 선택의 여지없이 이 감압이 매우 강해져서 마개(14)에 위해서 대기로부터 흡입되는 상당한 뜨거운 공기의 흡입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탭핑시스템이 성취된다. 바람직한 압력분배가 하나 이상의 팬으로 성취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감압체임버(36) 아래에 도입채널(42)은 2개의 상반된 스터브(57;stub)를 갖춰, 공기공급덕트(55)가 연결된다. 각 경우에 있어서, 스터브(57) 중 하나는 사용되는 반면에, 나머지 스터브는 캡 혹은 이와 유사한 기구로 밀폐된다. 탭핑로드(8)는 냉장장치의 상단에 바람직한 임의의 위치에 안착될 수 있으며, 공기덕트(55)는 항상 적당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감압체임버(36)는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는 고정되게 설치되거나 예컨대 바퀴를 장착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의외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는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가 비교적 더운 환경에서 사용될 때, 탭핑로드(8)상으로 응축이 발생되어, 효과적인 냉각성능이 달성된다. 결과적으로, 더욱 큰 반전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의 냉각수단은 바람직하기로 최대냉각율이 성취될 때에도 제빙현상이 방지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명료성을 위해서, 탭핑라인(48)이 컨테이너(6)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사용하거나 세척후에 선택밸브(60)는 재사용이 가능하다. 컨테이너를 함께 갖춘 배치는 환경위생을 위한 장점을 제공하며, 특히 배출끝(64)이 또한 일체형으로 되고 탭핑라인(48)을 따라 제거되면, 음료수와 탭핑장치 사이에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으로 밸브(60)의 사용은 탭핑라인(48)이 제거, 특히 수축되기 전에 밀폐되는 장점을 제공하여, 제거하는 동안 탭핑장치내에 찌꺼기들의 적층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음료수는 제거가능한 탭핑라인(48)을 통하여 공급되어서 음료수는 탭핑장치와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아, 세척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는 반면에 더욱이 환경학적으로 악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의 사용이 필요치 않게 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장점은 탭핑라인(48)이 냉각되어 음료수가 불필요한 소비가 없는 상황에서 장기간동안 라인 속에서 정지상태로 있을 수 있다. 추가로, 탭핑장치와 음료수 사이에 접촉을 방지한 결과로 탭핑장치의 노후현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으로 도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진 않는다. 그러므로 다양한 변형예가 청구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가능하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에서 완전히 유연한 구조로 되어 있는 탭핑라인(48)은 또한 탭핑로드(8)내로 완전하게 뻗어 있을 때 완전하게 혹은 부분적으로 단단한 구조일 수 있고 더욱 긴 길이를 가질 수 있어서, 냉장장치 적어도 컨테이너는 예컨대 저장실에서 멀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냉각수단은 생략될 수 있되, 이전에 전술된 바와 같이 위생학적 관점에서 탭핑라인만으로 관통공급할 가능성을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가장 멀리 있는 제 1채널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탭핑로드(8)는 상이한 구조, 예컨대 분리가능한 구조일 수 있어서, 탭핑라인(48)은 분리된 탭핑로드내에 놓일 수 있고, 그 후에 탭핑로드가 탭핑라인(48) 둘레로 밀폐될 수 있다. 탭핑라인(48)의 제 1끝(58)은 상이한 방식, 예컨대 탭핑꼭지(14)내로 삽입될 수 있는 고속결합으로 탭핑꼭지(14)에 연결가능하게 될 수 있는 반면에, 밸브(60)가 상이한 구조를 가지거나 혹은 실제로 생략되며,탭핑꼭지(14)는 종래의 탭핑꼭지로 되어 있다. 또한, 다수의 탭핑라인(48)은 하나의 탭핑로드(8)를 관통하여 안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튜브(16)는 튜브가 공동의 탭핑로드(8)를 관통하여 뻗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더욱 명료하기로, 탭핑로드(8)는 예컨대 2개의 채널 사이로 뻗은 중간벽으로 분리될 수 있으나, 도입튜브(42)는 탭핑라인(48)을 삽입하기 위한 2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에 직접 연결한다. 그런 다음, 이러한 구획부는 탭핑꼭지(14)에 인접한 지점에서 뻗는게 바람직하고 탭핑로드(8)내에서 간단하게 주조될 수 있다. 추가로 공기가 제 1채널(50)로부터 내부공간(22)으로 직접 통과할 수 있어, 내부공간에 이미 있는 냉각공기와의 혼합으로 냉각된다. 또한, 냉각공기는 공간(84)으로부터 제 1채널(50)내로 이들 사이에 적당한 연결을 형성하여 직접 흡입시킬 수 있다. 탭핑로드(8)는 예컨대 개조가능하거나 용도변경이 용이한 구형상내에 이러한 장치의 사용을 위해서 냉장장치(4)의 상부(34) 상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냉장장치(4)는 종전과 같이 압축기와 증발기, 냉각수단 및, 압력용기와 같은 상이한 냉각매카니즘을 갖춘 다른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의 갯수를 다르게 하여 냉장장치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를 순환하는 강제순환수단은 채널(50,52)을 관통하여 공기를 송풍하도록 배열시킨 도시된 실시예의 팬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어서, 초과압력을 생성한다. 적어도 채널(50)을 관통하여 공기의 흡입하는 감압체임버(36)의 사용은 탭핑꼭지(14)가 완전하게 기밀하지 못할 때, 대기로부터 공기가 송풍되는 것보다 사용자에게 허용가능한 만큼만 흡입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공기는 또한 탭핑꼭지를 따라 송풍되어, 여전히 뛰어난냉각효율이 성취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공기는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향, 예컨대 아래방향으로 송풍된다. 추가로 다른 냉매는 예컨대 물 혹은 글리콜(glycol)을 사용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채널이 밀폐회로와 같이 되어 있을 때, 냉매용 냉각수단이 구비되고 탭핑라인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다양한 변형예들은 청구범위에 의한 특징과 같이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35)

  1. 탭핑로드는 제 1 및 제 2채널로 이루어지되, 채널들은 탭핑꼭지에 인접해서 각각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한편, 적어도 사용중에 탭핑라인이 제 2채널을 관통하여 뻗고, 이 탭핑라인은 음료수용 컨테이너에 한쪽 끝이 연결되고 나머지 끝은 탭핑꼭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냉각시스템과 탭핑꼭지를 갖춘 탭핑로드로 이루어진 음료수용 탭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안내튜브는 탭핑로드를 관통하여 적어도 탭핑꼭지에 인접한 지점까지 뻗으며, 안내튜브와 탭핑로드 사이로 제 1채널이 형성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튜브를 에워싸는 한편, 사용중에 탭핑라인은 안내튜브를 관통하여 뻗으며, 탭핑라인과 안내튜브 사이로 제 2채널이 형성되어 적어도 광범위하게 탭핑라인을 에워싸는 탭핑장치.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채널은 냉각수단에 적어도 인접한 지점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로 뻗어 있는 탭핑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제순환수단은 냉매를 채널을 관통하여 강제순환되도록 구비되는 탭핑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튜브는 냉각장치에 적어도 제 2채널에서 종결되되, 강제순환수단은 냉매와 같은 냉각공기를 채널을 관통하여 통과하도록 배열시킨 탭핑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순환수단은 냉각장치로부터 채널을 관통하여 탭핑라인을 따라 냉각장치내에서 냉각공기를 재순환하도록 배열된 탭핑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순환수단은 체 1채널과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감압체임버로 이루어지는 탭핑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체임버는 흡입수단, 특히 감압체임버에서 감압을 창출하는 팬과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한편, 냉각수단은 흡입수단에 위해서 채널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고 냉각장치, 특히 냉장장치 공간을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탭핑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채널은 탭핑꼭지에서 서로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탭핑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은 대기로부터 냉각장치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압축기와 증발기 뿐만 아니라 압력용기를 구비하는 한편, 적어도 압축기와 압력용기 및 증발기는 흡입된 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건조시키도록 배열시킨 탭핑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튜브내로 뻗은 탭핑라인의 적어도 일부분은 탭핑꼭지에 적당하게 연결되도록 유연한 호스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탭핑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탭핑꼭지는 호스를 갖춰 상호작동하도록 배열되어서, 탭핑마개와 호스는 호스마개의 형태로 되는 한편, 호스는 탭핑꼭지의 폐쇄수단으로 가압될 수 있는 탭핑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밸브를 구비하되, 탭핑꼭지는 밸브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되어서, 밸브가 호스로부터 대기로 유체통로를 세척하기 위해 탭핑꼭지의 개폐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탭핑장치.
  14. 제 1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안내튜브와 탭핑라인은 탭핑라인이 안내튜브의 도입단부으로부터 안내튜브내로 도입될 수 있고 안내튜브를 관통하여 탭핑꼭지내로 통과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기로 냉각장치와 같은 냉장장치로 뻗는 도입단부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탭핑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튜브는 감압체임버를 관통하여 냉장장치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냉각장치내로 뻗는 한편, 냉장장치내로 뻗은 일부는 냉각공기를 주입하는 특히 깔대기 형상의 도입개구부와 탭핑라인을 구비하는 탭핑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냉장장치내로 뻗은 일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이의 자유끝은 냉장장치에 대해서 안내튜브의 위치에 상관없이 냉장장치내로, 특히 냉장장치의 도어를 향하여 위치될 수 있는 탭핑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튜브는 냉각장치와 탭핑꼭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이루어지되, 굴곡부내에 안내튜브는 적어도 장축(長軸)과 단축(短軸)으로 되어 있는 단면을 가지며, 이 장축은 각 굴곡부의 평면에 위치되는 탭핑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탭핑로드는 냉각장치와 같은 냉장장치에 고정연결되는 한편, 냉장장치는 탭핑단 아래로 배치되고 탭핑로드는 탭핑단과 냉장장치의 벽을 관통하여 뻗는 탭핑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탭핑로드는 안내튜브와 고정연결되는 한편, 안내튜브는 감압체임버를 관통하여 뻗고 탭핑로드를 고정하도록 감압체임버 아래쪽으로 고정되는 탭핑장치.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음료수용 컨테이너를 위한 적어도 2개의 설치위치를 구비하여 탭핑라인을 관통하여 분배되는 한편, 적어도 냉각수단이 폐쇄되어 있으면 이격수단이 설치위치내에 설치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적단열한 컨테이너용 설치위치 사이로 구비되는 탭핑장치.
  21. 탭핑라인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탭핑로드는 탭핑꼭지에 인접하게 종결하는 제 1끝과 이와 반대쪽에 놓인 탭핑로드의 끝을 적어도 지나 인접하게 종결하는 제 2끝을 갖춘 안내튜브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 2끝은 탭핑라인의 제 1끝을 주입하도록 배열되어 있어서, 이 제 1끝은 안내튜브를 관통하여 탭핑꼭지로 통과시킬 수 있고, 탭핑라인의 제 2끝은 음료수용 컨테이너와 적당하게 결합되고 탭핑라인의 제 1끝은 탭핑꼭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탭핑꼭지를 갖춘 탭핑로드와 탭핑라인으로 이루어진 탭핑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탭핑라인은 실제로 전체적으로 유연하게 되어 있는 탭핑장치.
  23.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제 1끝에 인접한 탭핑라인은 탭핑꼭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밸브몸체로 이루어져서, 탭핑꼭지의 작용을 통하여 밸브몸체는 개폐위치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탭핑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튜브는 밸브몸체가 탭핑꼭지의 방향과 이의 반대방향을 관통하는 약간의 틈새로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구비한 탭핑장치.
  25. 제 1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탭핑꼭지에 인접하게 위치된 탭핑라인의 끝은 음료수를 분배하기 위해 사용하기 전에, 특히 안내튜브를 관통하여 탭핑라인의 관통공급을 하기 전에 그리고 동안에 원형상단을 갖춘 덮개캡을 제공하여, 적어도 탭핑라인의 통로를 폐쇄하는 탭핑장치.
  26. 관통하여 뻗은 적어도 하나의 안내튜브를 갖춘 탭핑로드와 안내튜브에 연결한 탭핑꼭지는 탭핑로드와 안내튜브가 탭핑단 아래의 지점으로 뻗어서, 적어도 이로부터 접근가능하도록 탭핑단의 아래면에 장착하는 단계와; 유체연통은 탭핑단 아래에 위치된 안내튜브의 개구끝과 탭핑단 아래로 유사하게 위치되어 안내튜브와 탭핑로드 사이로 형성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튜브를 둘러싼 제 1채널의 개구끝 사이에 장착되고, 안내튜브와 제 1채널을 경유하여 상호결합된 탭핑꼭지에 적어도 인접하게 형성시키는 단계 및; 탭핑라인은 적어도 탭핑꼭지에 인접한 지점의 상기 개구끝으로부터 안내튜브로 위치시키고, 탭핑꼭지와 상호작용하도록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히 제 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탭핑장치를 배열하는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냉장장치는 탭핑단 아래로 장착하고, 그런 후에 탭핑단 상에 탭핑로드의 바람직한 위치가 결정되며, 개구부는 탭핑단에 구비되고 대응하는 개구부는 냉장장치의 상단에 구비되어서, 계속해서 안내튜브를 갖춘 탭핑로드는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탭핑단과 냉장장치에 대해서 고정되는 탭핑장치를 배열하는 방법.
  28.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체임버는 채널의 상기 개구끝에 연결되어서, 감압이 감압체임버내에서 창출될 때, 공기가 안내튜브와 제 1채널을 관통하여 흡입되도록 탭핑장치를 배열하는 방법.
  29. 제 26항 내지 제 28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한 호스는 탭핑라인과 같이 안내튜브의 개구끝으로부터 삽입되어 안내튜브를 관통하여 탭핑꼭지로 통과시켜 사용되며, 호스는 탭핑꼭지의 작동매카니즘으로 상호작용하도록 탭핑꼭지에 놓여지는 탭핑장치를 배열하는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도입단부에 인접하게 밸브를 구비하고, 이 밸브는 작동매카니즘과 결합되어서 밸브가 작동매카니즘으로 개폐될 수 있는 탭핑장치를 배열하는 방법.
  31. 제 26항 내지 제 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 혹은 송풍수단은 냉장장치에 결합되어 있어서, 냉장장치내의 냉각공기는 탭핑라인을 관통하여 흐르는 냉각음료수를 위해서 안내튜브와 제 1채널을 관통하여 강제순환되는 탭핑장치를 배열하는 방법.
  32. 상기 안내튜브는 주물에 놓여 있고, 계속해서 탭핑로드는 안내튜브 둘레로 주물에서 형성되어서 탭핑로드에서 안내튜브를 고정시킬 위치선정이 성취되는 탭핑로드의 제조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금속안내튜브는 특히 스테인레스강인 금속태핑로드를 주조할 둘레에 놓여져 있는 탭핑로드의 제조방법.
  34. 컨테이너는 압력액체의 공급원에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갖춘 주요 밸브를 구비하는 반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한 탭핑호스는 주요 밸브와 연결되어 있는 제 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탭핑장치 혹은 제 26항 내지 제 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서 적당하게 사용되는 음료수용 컨테이너.
  35. 제 34항에 있어서, 탭핑호스는 컨테이너로부터 이격된 끝에 인접하게 반복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밸브를 구비한 음료수용 컨테이너.
KR1020027016036A 2000-05-31 2001-05-29 탭핑장치와 컨테이너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852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5359 2000-05-31
NL1015359A NL1015359C2 (nl) 2000-05-31 2000-05-31 Tapinrichting en houder daarvoor, alsmede werkwijze voor vervaardiging daarvan.
PCT/NL2001/000414 WO2001092144A2 (en) 2000-05-31 2001-05-29 Tapping device and container therefor,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255A true KR20030015255A (ko) 2003-02-20
KR100852794B1 KR100852794B1 (ko) 2008-08-18

Family

ID=3749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036A KR100852794B1 (ko) 2000-05-31 2001-05-29 탭핑장치와 컨테이너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5)

Country Link
US (1) US7661556B2 (ko)
EP (1) EP1289874B2 (ko)
JP (1) JP4916080B2 (ko)
KR (1) KR100852794B1 (ko)
CN (1) CN1241825C (ko)
AP (1) AP1550A (ko)
AR (1) AR031848A1 (ko)
AT (1) ATE283233T1 (ko)
AU (3) AU2001264395A1 (ko)
BG (1) BG64845B1 (ko)
BR (1) BR0111254B1 (ko)
CA (2) CA2407278C (ko)
CZ (1) CZ304021B6 (ko)
DE (1) DE60107423T3 (ko)
DK (1) DK1289874T4 (ko)
DZ (1) DZ3331A1 (ko)
EA (1) EA003977B1 (ko)
EE (1) EE04843B1 (ko)
EG (1) EG22685A (ko)
ES (1) ES2228875T5 (ko)
GE (1) GEP20053430B (ko)
GT (1) GT200100097A (ko)
HK (1) HK1053635A1 (ko)
HR (1) HRP20020948B1 (ko)
HU (1) HU229903B1 (ko)
IL (1) IL152967A (ko)
IS (1) IS6628A (ko)
JO (1) JO2192B1 (ko)
MA (1) MA26261A1 (ko)
MX (1) MXPA02011660A (ko)
MY (1) MY131944A (ko)
NL (1) NL1015359C2 (ko)
NO (1) NO324749B1 (ko)
NZ (1) NZ522032A (ko)
OA (1) OA12268A (ko)
PE (1) PE20020152A1 (ko)
PL (1) PL200105B1 (ko)
PT (1) PT1289874E (ko)
RS (1) RS50174B (ko)
SI (2) SI1289874T1 (ko)
SK (1) SK287371B6 (ko)
SV (1) SV2002000469A (ko)
UA (1) UA79580C2 (ko)
WO (1) WO2001092144A2 (ko)
ZA (1) ZA20020834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2692A2 (en) * 2010-07-22 2012-01-26 Vinocopia, Inc. Win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1992A1 (en) * 1999-11-10 2007-07-05 Kevin Carlson Rapid comestible fl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NL1015359C2 (nl) 2000-05-31 2001-12-03 Heineken Tech Services Tapinrichting en houder daarvoor, alsmede werkwijze voor vervaardiging daarvan.
NL1023430C2 (nl) 2003-05-14 2004-11-16 Heineken Tech Services Drankafgifte-inrichting met een kolomvormige koelkamer.
GB2426753B (en) * 2004-08-13 2007-12-12 Scottish & Newcastle Plc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GB2417063B (en) * 2004-08-13 2007-05-23 Scottish & Newcastle Plc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CN101243007A (zh) * 2005-08-12 2008-08-13 嘉士伯酿酒有限公司 饮料分配管路冷却系统和方法
DE602006007160D1 (de) * 2005-08-12 2009-07-16 Carlsberg Breweries As Verfahren und anordnung zum führen einer ausgabeleitung durch eine getränkeausgabevorrichtung
GB0521016D0 (en) * 2005-10-15 2005-11-23 Imi Cornelius Uk Ltd Beverage dispense apparatus
NL1031412C2 (nl) 2006-03-20 2007-09-21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voor drank.
NL1031411C2 (nl) * 2006-03-20 2007-09-21 Heineken Supply Chain Bv Tapinrichting.
ITMI20070760A1 (it) * 2007-04-13 2008-10-14 Vin Service Srl Colonna refrigerata per la spillatura di bevande
US8833609B2 (en) * 2007-05-30 2014-09-16 Koninklijke Philips N.V. Paper-based beer container and dispensing appratus therefor
PL2014608T3 (pl) * 2007-07-10 2017-08-31 Eurokeg B.V. Głowica dozująca
GB0805297D0 (en) * 2008-03-20 2008-04-30 Scottish & Newcastle Plc Beverage dispense apparatus
US8752734B2 (en) 2009-02-11 2014-06-17 Ds Smith Plastics Limited Disposable assembly for a reusable urn or vessel
EP2576387A1 (en) * 2010-06-02 2013-04-10 Heineken Supply Chain B.V.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especially carbonated beverages
MX2013009376A (es) 2011-02-14 2014-03-27 Heineken Supply Chain Bv Metodo y aparato para el envasado de bebidas bajo presion.
WO2012127928A1 (ja) * 2011-03-18 2012-09-27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飲料注出装置
US9701529B2 (en) * 2011-06-24 2017-07-11 RJ Enterpris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 storage container for liquid
NL2009234C2 (en) 2012-07-26 2014-02-06 Heineken Supply Chain Bv Tapping assembly and connecting device, as well as a container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ing.
NL2009236C2 (en) 2012-07-26 2014-02-06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and set of preforms for forming a container.
NL2009237C2 (en) 2012-07-26 2014-01-28 Heineken Supply Chain Bv Connecting device and tapping assembly as well as a container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ing.
NL2009235C2 (en) 2012-07-26 2014-01-28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and set of preforms for forming a container.
NL2009802C2 (en) 2012-11-13 2014-05-14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preform assembl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s.
EP2821363A1 (en) * 2013-07-05 2015-01-07 Micro Matic A/S A dispensing font device and dispensing system
EP3016903B1 (en) * 2013-07-05 2017-12-27 Micro Matic A/S A dispensing font device and dispensing system
NL2013377B1 (en) * 2014-08-28 2016-09-26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valve operating assembly therefore.
US10112820B1 (en) 2016-01-19 2018-10-30 Dss Rapak, Inc.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disposable liner and faucet
EP3214036A1 (en) * 2016-03-02 2017-09-06 Anheuser-Busch InBev S.A. Beverage tap with removable tube and valve
USD812953S1 (en) * 2016-05-27 2018-03-20 Whirlpool Corporation Fermentation cooling system
US9862589B2 (en) 2016-05-31 2018-01-09 Starbucks Corporation Chilled beverage dispenser
USD812972S1 (en) * 2016-06-10 2018-03-20 Whirlpool Corporation Fermenter bottle filler attachment
DK3601148T3 (da) 2017-03-27 2021-11-22 Carlsberg Breweries As Dispenseringssystem til drikkevarer til dispensering af en kulsyreholdig drik og fremgangsmåde til dispensering af en kulsyreholdig drik
US11034569B2 (en) 2018-02-14 2021-06-15 Taphandles Llc Cooled beverage dispensing systems and associated devices
WO2023066905A1 (en) * 2021-10-21 2023-04-27 Micro Matic A/S Beverage tapping column with removable tap and shell
EP4234478A1 (en) 2022-02-25 2023-08-30 Carlsberg Breweries A/S Cooling arrangement for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0981E (en) 1939-01-17 Beverage serving apparatus
GB369637A (en) * 1930-12-23 1932-03-23 Sydney Herbert Priestma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rab buckets
GB396637A (en) * 1933-02-10 1933-08-10 Gottfried Fuchs Automatic cooling and pressure plant for cold storage rooms and beer conduits
GB484952A (en) 1936-11-13 1938-05-12 Rodolphe John Simard Improvements in cooling means for liquids delivered from casks or other containers
US2125228A (en) * 1937-04-03 1938-07-26 Battelle Memorial Institute Brazing alloy
US2262043A (en) 1939-02-20 1941-11-11 Perlick Brass Company R Beverage dispenser
US2257070A (en) * 1940-02-23 1941-09-23 Perlick Brass Company R Beverage dispenser
US2325228A (en) * 1940-10-11 1943-07-27 Richard T Cornelius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2377261A (en) 1944-03-25 1945-05-29 Lannie F Norris Milk dispenser
US2446895A (en) * 1944-05-29 1948-08-10 Weiss Louis Cooling unit for beverage serving assemblies
US2506843A (en) 1948-01-28 1950-05-09 Seiler George Means for cooling beverage pipes
US2638758A (en) * 1950-06-02 1953-05-19 Daun & Co Cooling and dispensing device
US2749930A (en) * 1952-11-12 1956-06-12 Sumner T Whitnall Apparatus for dispensing beer
US2771752A (en) 1954-10-18 1956-11-27 Schlitz Brewing Co J Beer cooling apparatus
US2792692A (en) * 1955-09-21 1957-05-21 Reed A Bryan Keg cooler and dispensing bar unit
US3248009A (en) * 1964-06-19 1966-04-26 Leslie Peake Entpr Inc Beer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US3625399A (en) 1969-02-03 1971-12-07 Schlitz Brewing Co J Automatic carbonat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3889487A (en) 1972-05-18 1975-06-17 Sandor Frankfurt Cooling system for beverage coolers
US4148351A (en) * 1975-02-10 1979-04-10 Dominion Bridge Company, Limited Mold tube alignment device
US4148352A (en) * 1975-08-15 1979-04-10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Method of preparing an exhaust port arrangement of a cylinder head
JPS585998A (ja) * 1981-07-01 1983-01-1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充電回路
JPS58107397A (ja) * 1981-12-19 1983-06-27 佐藤 冨士雄 自動栞
JPS58107397U (ja) * 1982-01-14 1983-07-21 富士電機株式会社 発泡性飲料デイスペンサ
JPS585998U (ja) * 1982-06-18 1983-01-14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ビ−ルサ−バ−
US4457070A (en) * 1982-09-07 1984-07-03 Frederick Reeves Fruit crowner
JPS6065296A (ja) * 1983-09-21 1985-04-15 Hitachi Ltd パ−ジガス供給手段を備えた流体移送ポンプ装置
JPS6065296U (ja) * 1983-10-13 1985-05-09 東芝機械株式会社 飲料冷却注出装置
GB2172266B (en) * 1985-03-11 1988-02-24 Guinness Son And Company Arthu Gasifying system for beverage dispenser
JPS62108296A (ja) * 1985-11-06 1987-05-19 富士通株式会社 漢字プリンタ
NL8503067A (nl) * 1985-11-08 1987-06-01 Heineken Technische Beheer Bv Biertapinstallatie.
US5079927A (en) * 1985-11-26 1992-01-14 Rodino A J Beer cooling apparatus
JPS62108296U (ko) * 1985-12-26 1987-07-10
EP0246052A1 (en) * 1986-05-10 1987-11-19 Cadbury Schweppes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beverage dispensers
DE4130715C1 (en) 1991-09-14 1992-08-27 Mtu Friedrichshafen Gmbh Cast housing for IC engine exhaust lining - which is held loosely by support rings with axial and radial play between ends
JPH06115594A (ja) * 1992-10-01 1994-04-26 Sanyo Electric Co Ltd 飲料供給装置
JP3524636B2 (ja) * 1995-07-03 2004-05-10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ビールディスペンサ
DE29604703U1 (de) 1996-03-14 1996-07-25 Metzler Wolfgang Elektrische Schnaps-Zapfanlage
JP3844832B2 (ja) * 1997-02-07 2006-11-15 サントリー株式会社 氷冷サーバー
EP1213258B2 (en) 1997-09-04 2013-01-02 Heineken Technical Services B.V.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SE516679C2 (sv) 1998-06-17 2002-02-12 Cm Beverage Dispenser System A Anordning för utskänkning av kalla skumbenägna drycker
NL1009654C2 (nl) * 1998-07-15 2000-01-19 Heineken Tech Services Klepsamenstel voor een drankcontainer, container voor drank en werkwijze voor het vullen en legen van een drankcontainer.
DE29820793U1 (de) 1998-11-20 1999-03-25 Casagrande Luigino Zapfvorrichtung zum gekühlten Zapfen einer Flüssigkeit, insbesondere von Getränken
NL1015359C2 (nl) 2000-05-31 2001-12-03 Heineken Tech Services Tapinrichting en houder daarvoor, alsmede werkwijze voor vervaardiging daarva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2692A2 (en) * 2010-07-22 2012-01-26 Vinocopia, Inc. Win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WO2012012692A3 (en) * 2010-07-22 2012-05-24 Vinocopia, Inc. Win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US8596496B2 (en) 2010-07-22 2013-12-03 Vinocopia, Inc. Win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US9499386B2 (en) 2010-07-22 2016-11-22 Vinocopia, Inc. Win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K15072002A3 (sk) 2003-05-02
DE60107423T3 (de) 2014-11-20
AP1550A (en) 2006-01-16
EA003977B1 (ru) 2003-12-25
OA12268A (en) 2004-01-20
AU2006203525A1 (en) 2006-09-07
NL1015359C2 (nl) 2001-12-03
EE04843B1 (et) 2007-06-15
DK1289874T4 (da) 2014-09-01
KR100852794B1 (ko) 2008-08-18
IS6628A (is) 2002-11-19
IL152967A (en) 2007-03-08
CZ304021B6 (cs) 2013-08-28
NO20025677L (no) 2002-11-26
JP4916080B2 (ja) 2012-04-11
CN1241825C (zh) 2006-02-15
CN1438965A (zh) 2003-08-27
EP1289874B2 (en) 2014-07-09
PE20020152A1 (es) 2002-03-21
YU89502A (sh) 2003-10-31
EP1289874B1 (en) 2004-11-24
HU229903B1 (en) 2014-12-29
ES2228875T5 (es) 2014-09-30
ZA200208340B (en) 2003-05-15
EP1289874A2 (en) 2003-03-12
DZ3331A1 (fr) 2001-12-06
AR031848A1 (es) 2003-10-08
NZ522032A (en) 2004-12-24
MY131944A (en) 2007-09-28
PL200105B1 (pl) 2008-12-31
HUP0302356A2 (hu) 2003-10-28
CA2747280C (en) 2015-05-26
SV2002000469A (es) 2002-12-02
DE60107423T2 (de) 2005-12-15
RS50174B (sr) 2009-05-06
ES2228875T3 (es) 2005-04-16
AU2008212021A1 (en) 2008-10-02
IL152967A0 (en) 2003-06-24
NO20025677D0 (no) 2002-11-26
HRP20020948B1 (en) 2009-07-31
PL359180A1 (en) 2004-08-23
WO2001092144A3 (en) 2002-04-11
WO2001092144A2 (en) 2001-12-06
CA2407278A1 (en) 2001-12-06
HRP20020948A2 (en) 2005-02-28
EG22685A (en) 2003-06-30
CZ20023513A3 (cs) 2003-04-16
MXPA02011660A (es) 2003-05-14
AU2008212021B2 (en) 2011-10-06
CA2747280A1 (en) 2001-12-06
UA79580C2 (en) 2007-07-10
PT1289874E (pt) 2005-02-28
DK1289874T3 (da) 2005-03-14
GEP20053430B (en) 2005-01-25
AU2006203525B9 (en) 2010-06-03
CA2407278C (en) 2011-10-11
AP2002002660A0 (en) 2002-12-31
HUP0302356A3 (en) 2005-11-28
NO324749B1 (no) 2007-12-03
AU2006203525B2 (en) 2008-06-05
SI1289874T1 (en) 2005-02-28
BG64845B1 (bg) 2006-06-30
US7661556B2 (en) 2010-02-16
GT200100097A (es) 2002-04-15
JO2192B1 (en) 2003-12-23
JP2003534999A (ja) 2003-11-25
AU2001264395A1 (en) 2001-12-11
ATE283233T1 (de) 2004-12-15
EA200201299A1 (ru) 2003-04-24
BG107221A (en) 2003-06-30
US20040069368A1 (en) 2004-04-15
EE200200663A (et) 2004-06-15
SK287371B6 (sk) 2010-08-09
BR0111254B1 (pt) 2010-08-24
MA26261A1 (fr) 2004-09-01
BR0111254A (pt) 2003-06-03
SI21265A (sl) 2004-02-29
DE60107423D1 (de) 2004-12-30
HK1053635A1 (en) 200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794B1 (ko) 탭핑장치와 컨테이너 및 이들의 제조방법
EP3445701B1 (en) Refrigerated post-mix dispenser
ES2649013T3 (es) Distribuidor de bebidas con tubo flexible desmontable
EP2164797B1 (en) Tapping device, connecting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and cooling device for such a connecting device
EP3309116B1 (en) A double cooled draft beer machine
US20090120961A1 (en) Multiple Chilled Alcoholic Beverages Dispenser System
JP3417826B2 (ja) 清涼飲料のディスペンサーにおける冷却装置
US2140896A (en) Liquid cooling system
JP4021170B2 (ja) 飲料冷却供給装置
JP2931495B2 (ja) 飲料容器及び容器内飲料の冷却注出方法
KR200251032Y1 (ko) 이동식 생맥주 판매장치
TH48518A (th) อุปกรณ์การปล่อยเครื่องดื่มจากหัวก๊อก
TH30378B (th) อุปกรณ์การปล่อยเครื่องดื่มจากหัวก๊อ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