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427A - 내식성 알루미늄 합금 - Google Patents

내식성 알루미늄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427A
KR20030013427A KR1020027015760A KR20027015760A KR20030013427A KR 20030013427 A KR20030013427 A KR 20030013427A KR 1020027015760 A KR1020027015760 A KR 1020027015760A KR 20027015760 A KR20027015760 A KR 20027015760A KR 20030013427 A KR20030013427 A KR 20030013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weight
content
based alloy
alloy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우란라르스
푸루트론드
달란드올레
Original Assignee
노르스크 히드로 테크놀로지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르스크 히드로 테크놀로지 비.브이. filed Critical 노르스크 히드로 테크놀로지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13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42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6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4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10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 Air Bags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 Cooker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알루미늄계 합금은 0.05-1.00 중량%의 철과, 0.05-0.60 중량%의 규소와, 0.50 중량% 미만의 구리와, 1.20 중량%까지의 망간과, 0.02-0.20 중량%의 지르코늄과, 0.50 중량%까지의 크롬과, 0.02-1.00 중량%의 아연과, 0.02-0.20 중량%의 티타늄과, 0.02-0.20 중량%의 바나듐과, 2.00 중량%까지의 마그네슘과, 0.10 중량%까지의 안티몬과, 0.02 중량%까지의 불순물과, 잔부인 알루미늄으로 구성되고, Ti과 Cr과 V의 총량이 0.3 중량% 미만이며, V의 양이 Cr의 양보다 적고, 내식성과 압출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내식성 알루미늄 합금 {CORROSION RESISTANT ALUMINIUM ALLOY}
종래에는, 내식성을 기준으로 알루미늄 합금을 쉽게 식별하였다. AA1000 계열 알루미늄 합금은 내식성이 필요한 경우에 흔히 선택된다.
더 높은 강도가 필요한 용도에는, AA1000 계열 합금 대신 AA3000 계열 타입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강도가 더 높은 합금 재료를 사용해 왔다. AA3102와 AA3003은 내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의 예들이다.
AA3000 계열 타입의 알루미늄 합금은 강도와 경량성, 내식성 및 압출성이 훌륭하게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들 합금은 열교환기 용도나 공조용 콘덴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종종 배관 형태로 제조된다.
일부 부식성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AA3000 계열 합금에 생기는 문제 중 하나로 점식(pitting corrosion)이 있다. 이 형태의 부식은 열교환기 용도나 공조용 콘덴서 용도로 사용될 때 나타날 수 있는 종류의 환경에서 종종 발생하며, 부식으로 알루미늄 합금 배관의 통합성이 손상될 수 있는 경우에 자동차 구성품을 파손시킬 수 있다.
내식성이 개선된 알루미늄 합금을 찾기 위한 노력의 결과, 미국 특허 제4,649,087호와 제4,828,794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더욱 고도로 혼합된 합금 재료가 개발되었다. 이들 고도로 혼합된 합금 재료는, 내식성이 우수하기는 하지만, 압출에 매우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압출 가공이 불가능하다.
미국 특허 제5,286,316호에는 압출성과 내식성이 모두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이 합금은 대략 0.1-0.5 중량%의 망간과, 대략 0.05-0.12 중량%의 규소와, 대략 0.10-0.20 중량%의 티타늄과, 대략 0.15-0.25 중량%의 철과, 잔부인 알루미늄 및 불순물로 본질적으로 구성된다. 이 합금은 구리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리의 함량은 0.01% 이하로 제한된다.
비록 상기 미국 특허 제5,286,316호에 개시된 합금이 AA3102에 비해 내식성이 우수하기는 하지만, 내식성을 더 개선할 필요가 있다. ASTM Standard G85(이하 SWAAT 시험이라고 부름)에 제시되어 있는 염수·아세트산 분무를 이용한 부식 시험 결과, AA3102 재료로 제조된 콘덴서 관은 파괴되기 전에 SWAAT 시험 환경에서 8일밖에 견디지 못했다. 상기 미국 특허 제5,286,316호에 개시된 합금을 사용하여 실시한 유사한 실험에서는 AA3102보다 지속 시간이 길었다. 그러나, 상기 미국 특허 제5,286,316호의 개선된 합금도 SWAAT 시험을 20일도 견디지 못하고 파괴되었다.
본 발명은 고온 강도가 개선된 압출 가능한 일군의 내식성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압출성 및/또는 인발성의 향상을 위해 티타늄과 바나듐 및 지르코늄의 함량이 조절된 AA3000 계열 타입의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합금 1-11에 대해 Ti과 V 및 Zr의 총량(중량% 단위, X축)의 함수로서 도전성(MS/m 단위)을 Y축에 도시한 도면.
도 2는 합금 1-11에 대해 Ti과 V 및 Zr의 총량(중량% 단위, X축)의 함수로서 주 압출력(kN 단위)을 Y축에 도시한 도면.
도 3은 합금 1-11에 대해 Ti과 V 및 Zr의 총량(중량% 단위, X축)의 함수로서 항복 강도(원형 점)와 최종 인장 강도(사각형 점)를 Y축에 도시한 도면.
도 4는 합금 41-56에 대해 Ti과 V 및 Zr의 총량(중량% 단위, X축)의 함수로서 도전성(MS/m 단위)을 Y축에 도시한 도면.
도 5는 합금 41-56에 대해 Ti과 V 및 Zr의 총량(중량% 단위, X축)의 함수로서 주조 상태 그대로인 합금의 파단 압력(kN 단위)을 Y축에 도시한 도면.
도 6은 합금 41-56에 대해 Ti과 V 및 Zr의 총량(중량% 단위, X축)의 함수로서 470℃에서 한 시간 동안 균질화 처리한 합금의 파단 압력(kN 단위)을 Y축에 도시한 도면.
도 7은 합금 41-56에 대해 Ti과 V 및 Zr의 총량(중량% 단위, X축)의 함수로서 압출후 합금의 항복 강도(MPa 단위)를 Y축에 도시한 도면.
도 8은 합금 41-56에 대해 Ti과 V 및 Zr의 총량(중량% 단위, X축)의 함수로서 압출후 합금의 최종 인장 강도(MPa 단위)를 Y축에 도시한 도면.
도 9는 합금 41-56에 대해 Ti과 V 및 Zr의 총량(중량% 단위, X축)의 함수로서 압출 후에 470℃에서 한 시간 동안 균질화 처리를 실시한 합금의 항복 강도(MPa 단위)를 Y축에 도시한 도면.
도 10은 합금 41-56에 대해 Ti과 V 및 Zr의 총량(중량% 단위, X축)의 함수로서 압출 후에 470℃에서 한 시간 동안 균질화 처리를 실시한 합금의 최종 인장 강도(MPa 단위)를 Y축에 도시한 도면.
도 11은 합금 41-56에 대해 Ti과 V 및 Zr의 총량(중량% 단위, X축)의 함수로서 470℃에서 한 시간 동안 균질화 처리를 실시한 뒤 압출한 합금의 최종 인장 강도(MPa 단위)를 Y축에 도시한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내식성과 열간 성형성의 개선된 조합을 갖춘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간 성형성 및 냉간 성형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잇점들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잇점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중량% 기준으로, 0.05-1.00%의 철과, 0.05-0.60%의 규소와, 0.50% 미만의 구리와, 1.20%까지의 망간과, 0.02-0.20%의 지르코늄과, 0.50%까지의 크롬과, 0.02-1.00%의 아연과, 0.02-0.20%의 티타늄과, 0.02-0.20%의 바나듐과, 2.00%까지의 마그네슘과, 0.10%까지의 안티몬과, 0.02%까지의 불순물 및 잔부인 알루미늄으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내식성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
개별적인 성분의 함량에 대해 더 상세히 살펴보면, 철은 0.05-0.5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2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Fe 함량을 줄이면 내식성이 개선된다. 규소는 0.05-0.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리는 0.50% 미만인데, 왜냐하면 이 원소는 보통 압출 속력과 내식성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합금의 전위를 조정하기 위해 구리가 다소 필요할 수 있다. Cu 함량은 0.05 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르코늄은 0.02-0.18%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적인 내식성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항상 Zn이 적어도 0.02 중량% 함유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연 함량은 0.10-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0.2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티탄은 0.02-0.15%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나듐은 0.02-0.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망간 함량은 제품의 소망 용도에 크게 좌우되는데, 왜냐하면 망간은 압출성에 큰 영향을 주며, 얇은부분이 있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기 때문이다.
내식성과 우수한 압출성이 주된 관심인 합금 타입의 용도인 경우, 망간은 0.05-0.3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e는 0.05-0.25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용도의 경우 바람직한 크롬 함량은 0.02-0.25%이다. 마그네슘 함량은 0.03%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Zn은 0.10-0.5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원소의 함량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압출 특성과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내식성이 뛰어난 합금을 얻을 수 있다.
최종 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압출 후에 인발 및/또는 굽힘 등의 냉간 변형과 같은 추가적인 변형 공정을 실시해야 하고, 높은 강도도 필요한 용도에 합금을 사용할 의향이라면, 망간 함량이 0.50-0.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용도에서 바람직한 크롬 함량은 0.02-0.18 중량%이고 마그네슘은 0.30 중량% 미만이며, 이는 납땜성을 위한 것이다. Fe 함량이 낮게 유지되어야 내식성이 향상된다. 내식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0.10-0.5%의 Zn을 첨가한다. 마찬가지로, 추가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 V과 Zr 및 Ti를 각각 0.2 중량% 이하로 조절하여 첨가한다.
고온 용도로 합금을 사용하려 한다면 V과 Ti, 특히 Zr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이들 원소의 첨가량은 필요한 작용에 좌우될 것이만, 지르코늄의 함량은 0.10-0.18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용례에서는 주조 합금에 추후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것은 합금이 150 ℃/시 미만의 가열 속도로 450-550℃의 온도까지 가열되기 때문이며, 2-10 시간 동안 합금을 그 온도로 유지한다. 그리고, 어떤 용례에서는, 특히 냉간 가공 후에는 최종 제품에 "백 어닐링(backannealing)" 처리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 백 어닐링 처리는 작업편을 150-350℃의 온도로 가열하고, 10-10,000분 동안 그 온도로 유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내식성 향상
고체 융융액 중의 Zr과 Ti은 혼합 정도가 낮고 압출성이 우수한 합금, 예를 들면 자동차 A/C 시스템용 압출관에 사용하는 합금의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사용된다. 별도로 첨가될 때의 Zr과 Ti의 유용한 최대 첨가량은 0.2 중량% 미만이다. 이 수준을 초과하면, 고체 용융액 중의 상기 원소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주요 화합물이 형성된다. 또한, Zr과 Ti으로부터 생기는 주요 화합물(Al3Zr, Al3Ti)이 점식을 개시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들 화합물은 Al 기재보다 반응성이 약하기 때문이다.
Zr과 Ti은 고화되면 포정 반응을 거치게 된다. 이 반응 결과, 입자의 중심에 상기 원소가 고농도로 밀집된 구역이 생성된다[큰 양(+)의 분리 비율]. 이들 구역 또는 구간은 압연 또는 압축 시에 작업편의 표면과 평행한 박막 구조를 형성하여, 두께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일어나는 부식을 완화시킨다.
Zr과 Ti를 조합하여 첨가하면 더 크고 더 밀집된 구역이 생겨서 내식성이 향상된다.
V은 거동과 효과가 Zr 및 Ti과 상당히 유사한 원소이지만, 전술한 형태의 합금에는 지금까지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 V은 Zr 및 Ti과 마찬가지로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지만, Zr 함량이 V 함량보다 높지 않으면 부식에 대해 Zr 및 Ti과 같은효과를 발휘하지는 않는다.
이들 원소를 모두 조합하였을 때, Zr과 Ti 및 V의 전체 함량이 0.3 중량% 미만으로 유지되면 내식성과 강도 특성 및 작업성이 가장 최적화된 균형 상태로 된다.
고온에서의 기계적 특성 및 성형성의 향상
Zr과 Ti 및 V과 같은 전이 원소는 가공 경화 계수("n")를 증가시킴으로써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n은 대략 0.5%까지는 전이 원소의 양이 증가하면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Zr과 Ti 및 V을 조합함으로써, Al3Zr 타입의 유해한 주요 입자가 형성되는 일 없이 전이 원소를 0.45%까지 첨가할 수 있는데, 이에 반하여, 원소를 한 종류만 첨가할 때는 0.2% 미만까지 첨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체 수준이 0.3 중량%를 초과하면 일부 특성에 악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Zr과 Ti 및 V은, 그 중에서도 특히 Zr은, 고온 가공 전에 최적의 열처리를 실시한다는 가정 하에, 재결정화 경향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결정을 지체시키는 능력은 300-400℃의 온도에서 장시간 동안 안정적인 작은 응집성/반응집성 첨전의 개수 및 크기와 관련되어 있다. 150-350℃ 범위에서의 백 어닐링으로 생기는 미세 다원화 구조는, 그러한 전이 원소가 없는 경우 생기는 유사한 재결정 구조보다 기계적 강도가 높다.
이들 침전의 밀도는 전이 원소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므로, 전술한 세원소를 조합하면 주위 온도로부터 대략 400℃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기계적 특성이 개선된다.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의 몇 가지 특성의 개선에 대한 전술한 내용을 증명하기 위해 몇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하에서 그 실험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험 결과로부터, 세 원소 Zr과 Ti 및 V을 최대 0.3 중량% 함량까지 동시에 사용함에 따른 추가 효과가 있다는 것이 명확해질 것이다. 이 효과는 알루미늄 합금 중의 각 원소인 Zr과 Ti 및 V의 비교되는 거동, 예컨대 용융성, 결정 구조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동시에 상기 원소 중 1종이나 2종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많은 유효량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Zr과 V 및 Ti의 함량이 다른 빌렛을 순달쇠라(Sunndalsøra) 소재 실험실 주조 장비를 사용하여 주조하였다. 각 합금에 대해 직경이 95 mm이고 길이가 1.1 m인 빌렛을 넷 제조하였다. 주조 초기에는 주조 속력이 115 mm/분이었으며, 빌렛이 15 cm 주조된 후에 240 mm/분으로 증가시켰다. 출탕통 온도는 705℃로 설정하였으며 주조 중에 온도를 기록하였다. 입자 정련제(Ti5B 와이어)를 주조에 앞서 노에 첨가하였다.
주조가 끝난 후, 각 빌렛을 절단하여 압출용 샘플 셋과 분광 분석용 샘플 둘을 제조하였다[먼저 분광 분석용 샘플을 하나 제조하고, 압출용 샘플 둘을 제조한 후, 두번째 분광 분석용 샘플을 제조하고(빌렛 중간부에서), 마지막으로 압출용 세번째 샘플을 제조함]. 주조 상태 그대로인 재료(빌렛 중간부)로 제조한 샘플을 에칭하여 털모양 결정을 노출시켰으며, 입자 구조 및 미립자 구조가 드러나도록 샘플을 준비하였다. 각 합금의 시편(2cm ×2cm ×1cm)을 2000의 입도로 연마한 뒤 경도와 전도성을 측정하였다.
8 MN의 수직 압출 프레스로 압출 시험을 실시하여 외경이 6 mm인 관을 제조하였다. 각 합금 변형례에 대해 압출 시험을 4회 실시하였으며, 앞의 3회의 경우에는 공기 중에서 냉각한 반면, 네번째에 대해서는 수냉하였다. 추가 조사를 위한 샘플을 첫번째와 세번째 및 네번째 압출 시험에서 채취하였다. 이들 샘플은 압출된 프로파일의 단부 부근에서, 그러나 단부는 피하여 채취하였다(∼2m).
이하에서, 주조 상태 그대로인 재료와 압출된 재료의 조사 결과를 제시할 것이다. 압출된 재료에 SWAAT 시험을 실시하고 기계적 시험도 행하였다. 그러한 시험 결과도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그러한 실험 결과 중 일부는 첨부 도면에, 일부는 표에 나타내었다.
1. 주조 상태 그대로의 재료
주조 상태 그대로의 재료란 압출 공정과 후속의 기계적 시험 및 부식 시험의 출발점을 의미한다. 시작 재료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이하에 기재하였다. 주조 상태 그대로의 재료로 이루어진 샘플을 조사하여 여러 합금의 실제 화학 조성과 미세 구조(입자 구조 및 미립자 구조)를 알아내었다. 재료의 화학 조성을 분광 분석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이하의 표 1(합금 1-11)과 표 2(합금 20-35) 및 표 3(합금 41-56)에 기재하였다.
도전성 측정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및 도 4에 도시하였다. 도전성은 Zr과 Ti 및 V의 혼합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거의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혼합 원소의 효과도 이 성질에 부가되고 있다.
2. 압출 시험
Ti와 V 및 Zr의 첨가가 압출 중의 힘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모든 합금 변형례들을 동일한 압출 조건으로 압출하여 램(ram) 상의 최대 힘을 측정하였다. 시험 중에 용기 내부 온도와 램 속력은 각각 ∼430℃와 1.8-1.9 mm/s로 기록되었다. 용기 내부 온도와 램 속력은 실험과 실험 간에 안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험에서 측정된 최대값을 도 2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값들은 4회의 압출 시험의 평균값이다.
3. 압출된 관의 기계적 시험
압출된 관의 인장 시험 결과를 도 3과 도 4에 도시하였다. 표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러 합금 간의 응력 변동은 작았다. 최대 부하 시의 응력은 원소 혼합량의 증가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항복 응력에 미치는 효과는 명확하지 않다. 결과의 이러한 정성적 평가는 통계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4. SWAAT 시험
SWAAT 시험용 시편을 각 합금에 대한 4회의 압출 시험 중 첫번째 시험에서 채취하였다. 압출된 관으로부터 30 cm 길이의 시편을 절단한 후 SWAAT 챔버 내에 배치하였다. 이 SWAAT 시험 결과를 표 4 및 표 5에 기재하였다.
표 6에는 Ti과 Zr 및 V를 첨가한 효과 및 열처리 효과에 대해 기재하였다.
합금 주조 상태 그대로 470℃/1시 균질화 처리 TiVZr(중량%)
41 재결정화된 큰 입자 재결정화 안됨. 표면 재결정화.입자 30 미크론 0.0114
42 재결정화된 작은 입자 겉보기에 재결정화 안됨.표면 재결정화. 입자 75 미크론. 0.1816
43 재결정화된 작은 입자 겉보기에 재결정화 안됨.표면 재결정화. 입자 75 미크론. 0.1439
44 재결정화된 작은 입자 겉보기에 재결정화 안됨.표면 재결정화. 입자 25 미크론. 0.3248
45 재결정화된 작은 입자 겉보기에 재결정화 안됨.표면 재결정화. 입자 200 미크론. 0.1333
46 재결정화된 작은 입자 겉보기에 재결정화 안됨.표면 재결정화. 입자 30 미크론. 0.3449
47 재결정화된 작은 입자 겉보기에 재결정화 안됨.표면 재결정화. 입자 120 미크론. 0.276
48 재결정화된 작은 입자 겉보기에 재결정화 안됨.표면 재결정화. 입자 30 미크론. 0.4093
49 재결정화된 작은 입자 겉보기에 재결정화 안됨.표면 재결정화. 입자 75 미크론. 0.291
50 재결정화된 작은 입자 겉보기에 재결정화 안됨.표면 재결정화. 입자 120 미크론. 0.2155
51 재결정화된 작은 입자 겉보기에 재결정화 안됨.표면 재결정화. 입자 120 미크론. 0.2162
52 부분적으로 재결정화 겉보기에 재결정화 안됨.표면 재결정화. 입자 120 미크론. 0.217
53 부분적으로 재결정화 재결정화 안됨. 표면 재결정화.입자 150 미크론 0.0061
54 부분적으로 재결정화 겉보기에 재결정화 안됨.표면 재결정화. 입자 20 미크론. 0.2331
55 부분적으로 재결정화 재결정화 안됨. 표면 재결정화.입자 20 미크론 0.0143
56 부분적으로 재결정화 겉보기에 재결정화 안됨.표면 재결정화. 입자 20 미크론. 0.2619

Claims (21)

  1. 0.05-1.00 중량%의 철과,
    0.05-0.60 중량%의 규소와,
    0.50 중량% 미만의 구리와,
    1.20 중량%까지의 망간과,
    0.02-0.20 중량%의 지르코늄과,
    0.50 중량%까지의 크롬과,
    0.02-1.00 중량%의 아연과,
    0.02-0.20 중량%의 티타늄과,
    0.02-0.20 중량%의 바나듐과,
    2.00 중량%까지의 마그네슘과,
    0.10 중량%까지의 안티몬과,
    0.02 중량%까지의 불순물과,
    잔부인 알루미늄으로 구성되고, Ti과 Cr과 V의 총량이 0.3 중량% 미만이며, V의 양이 Cr의 양보다 적고, 내식성과 압출성이 우수한 알루미늄계 합금.
  2. 제1항에 있어서, 철의 함량이 0.05-0.55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3. 제2항에 있어서, 철의 함량이 0.05-0.25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4.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규소의 함량이 0.05-0.20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5.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규소의 함량이 0.05-0.15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6.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리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7.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르코늄의 함량이 0.02-0.18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8.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연 함량이 0.02-0.50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9. 제8항에 있어서, 아연 함량이 0.10-0.50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10. 제9항에 있어서, 아연 함량이 0.10-0.25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11.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티타늄 함량이 0.02-0.15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12.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나듐 함량이 0.02-0.12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13.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망간 함량이 0.05-0.30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14. 제13항에 있어서, 크롬 함량이 0.02-0.25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함량이 0.00-0.03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1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함량이 0.50-0.80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17. 제16항에 있어서, 크롬 함량이 0.02-0.18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함량이 0.00-0.30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19.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르코늄 함량이 0.10-0.18 중량%인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20. 제18항에 있어서, 주조 후에 150℃/시 미만의 가열 속도로 450-550℃의 온도까지 가열한 후, 그 온도에서 2-10 시간 동안 유지한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21. 제19항에 있어서, 냉간 성형 후에 느린 가열 속도로 조절하면서 150-350℃의 온도까지 어닐링한 후, 그 온도에서 10-10,000분 동안 유지한 것인 알루미늄계 합금.
KR1020027015760A 2000-05-22 2001-05-21 내식성 알루미늄 합금 KR200300134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201808A EP1158063A1 (en) 2000-05-22 2000-05-22 Corrosion resistant aluminium alloy
EP00201808.3 2000-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427A true KR20030013427A (ko) 2003-02-14

Family

ID=817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760A KR20030013427A (ko) 2000-05-22 2001-05-21 내식성 알루미늄 합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30165397A1 (ko)
EP (2) EP1158063A1 (ko)
JP (1) JP2003534455A (ko)
KR (1) KR20030013427A (ko)
CN (1) CN1443249A (ko)
AU (1) AU2001274064A1 (ko)
BR (1) BR0111053A (ko)
CA (1) CA2409870A1 (ko)
IS (1) IS6629A (ko)
NO (1) NO20025562L (ko)
RU (1) RU2002134484A (ko)
WO (1) WO20010904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4934A (ko) * 2017-06-21 2023-01-06 오브쉬체스트보 에스 오그라니첸노이 오트벳스트베노스트유 “오베디넨나야 꼼파니야 루살 인제네르노-테크놀로지체스키 첸트르” 알루미늄 합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253162A1 (en) 2001-03-02 2002-09-19 Pechiney Rhenalu High temperature aluminum alloy brazing sheet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es therefor
WO2004057261A1 (en) * 2002-12-23 2004-07-08 Alcan International Limited Aluminum alloy tube and fin assembly for heat exchangers having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after brazing
EP1505163A3 (de) * 2003-07-25 2005-02-16 Hydro Aluminium Deutschland GmbH Hochfeste Aluminium-Legierung für Wärmetauscher
HUE032303T2 (en) 2004-05-26 2017-09-28 Aleris Rolled Prod Germany Gmbh Method for producing aluminum alloy soldering plate, aluminum alloy soldering plate
JP2006045667A (ja) * 2004-06-28 2006-02-16 Showa Denko Kk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088438A1 (en) * 2004-10-21 2006-04-2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luminum-based alloy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extruded components from aluminum-based alloy compositions
JP4927366B2 (ja) * 2005-02-08 2012-05-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導電線
JP4634854B2 (ja) * 2005-05-10 2011-02-16 古河スカイ株式会社 自然冷媒用熱交換器の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しチューブ材
JP5186739B2 (ja) * 2006-08-07 2013-04-24 日立電線株式会社 導電用アルミニウム合金配線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配線材
JP5049536B2 (ja) * 2006-08-24 2012-10-17 古河スカイ株式会社 自動車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配管材
US20090260586A1 (en) * 2006-09-19 2009-10-22 Behr Gmbh & Co. Kg Heat exchang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0445406C (zh) * 2006-12-13 2008-12-24 中国铝业股份有限公司 3104铝合金扁锭熔炼配料方法
JP5622349B2 (ja) * 2007-11-28 2014-11-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アルミニウム合金材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
US20090266530A1 (en) 2008-04-24 2009-10-29 Nicholas Charles Parson Aluminum Alloy For Extrusion And Drawing Processes
CN101736182B (zh) * 2009-12-28 2011-04-20 东北轻合金有限责任公司 手机电池壳用铝合金带材的制造方法
CN101956105B (zh) * 2010-06-04 2012-09-19 上海华篷防爆科技有限公司 耐腐蚀的抑爆材料
JP5653233B2 (ja) * 2011-01-20 2015-01-14 日本軽金属株式会社 押出性と耐粒界腐食性に優れた微細孔中空形材用アルミニウム合金とその製造方法
RU2458170C1 (ru) * 2011-01-31 2012-08-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бъединенная Компания РУСАЛ Инженер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центр" Алюминиевый сплав
EP2514555A1 (en) * 2011-04-21 2012-10-24 Aleris Aluminum Koblenz GmbH Extruded aluminium alloy tube product
EP2769162A1 (en) * 2011-10-18 2014-08-27 Carrier Corporation Micro channel heat exchanger alloy system
CN105333763A (zh) * 2012-06-19 2016-02-17 银邦金属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铝合金散热器翅片材料
CN102952971A (zh) * 2012-11-16 2013-03-06 重庆奥博铝材制造有限公司 防锈铝合金
CN103397228A (zh) * 2013-07-26 2013-11-20 广西德骏门窗幕墙有限公司 可挤压、可拉伸、耐腐蚀铝合金
JP6018554B2 (ja) * 2013-09-25 2016-11-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アルミニウム合金材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
CN103526081B (zh) * 2013-10-30 2015-08-05 邹平宏皓工业型材科技有限公司 一种耐腐蚀铝合金
CN103952604B (zh) * 2014-04-10 2016-06-08 安徽银力铸造有限公司 一种汽车用防锈铝合金
CN105568063A (zh) * 2014-10-13 2016-05-11 焦作市圣昊铝业有限公司 一种高强度耐腐蚀的铝合金
CN107532248B (zh) 2015-05-01 2020-06-26 希库蒂米魁北克大学 高温下机械性能提高的复合材料
BR112018006233A2 (pt) * 2015-10-14 2018-10-09 General Cable Technologies Corporation cabos e fios com elementos condutivos formados de ligas de alumínio-zircônio melhoradas
CN105296812A (zh) * 2015-10-30 2016-02-03 无棣向上机械设计服务有限公司 耐腐蚀铝合金
CN105886852B (zh) * 2016-04-28 2018-05-08 东南大学 一种铝硅铜锌合金泡沫及其制备方法
US11255002B2 (en) 2016-04-29 2022-02-22 Rio Tinto Alcan International Limited Corrosion resistant alloy for extruded and brazed products
KR102570708B1 (ko) * 2017-03-27 2023-08-24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알루미늄 합금재 그리고 이것을 사용한 도전 부재, 도전 부품, 스프링용 부재, 스프링용 부품, 반도체 모듈용 부재, 반도체 모듈용 부품, 구조용 부재 및 구조용 부품
RU2672977C1 (ru) * 2017-11-01 2018-11-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авиа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ФГУП "ВИАМ") АЛЮМИНИЕВЫЙ СПЛАВ СИСТЕМЫ Al-Mg-Si
CN108950329A (zh) * 2018-08-17 2018-12-07 江苏亨通电力特种导线有限公司 一种半软化高铜低锰铝合金材料及其制作工艺
US11939654B2 (en) * 2020-02-17 2024-03-26 Hydro Extruded Solutions As Method for producing a corrosion and high temperature resistant aluminum alloy extrusion material
CN111647774A (zh) * 2020-02-17 2020-09-11 海德鲁挤压解决方案股份有限公司 生产耐腐蚀和耐高温材料的方法
CN115052708A (zh) * 2020-02-17 2022-09-13 海德鲁挤压解决方案股份有限公司 高耐腐蚀和耐热铝合金
CN112410620B (zh) * 2020-11-13 2021-09-07 上海华峰铝业股份有限公司 一种高耐腐蚀高延展性铝合金及其制品、制品的制备方法
US20220267884A1 (en) * 2021-02-17 2022-08-25 Northwestern University Ultra-strong aluminum alloys for ambient and high-temperature applications
NO20211429A1 (en) * 2021-11-24 2023-05-25 Norsk Hydro As A 6xxx aluminium alloy with improved properties and a process for manufacturing extruded products
CN114214545B (zh) * 2021-12-14 2022-06-17 江苏鼎胜新能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锂电池高耐腐蚀性盖板用铝材料及其制备方法
CN116065062A (zh) * 2022-12-01 2023-05-05 帅翼驰新材料集团有限公司 用于新能源车辆外壳的高强高压铸造铝合金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6197A (ja) * 1982-03-10 1983-09-17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超高圧用プレ−トフイン型熱交換器
JPS60248859A (ja) * 1984-05-25 1985-12-09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超高圧用プレ−トフイン型熱交換器のフイン材
JPS61221350A (ja) * 1985-03-26 1986-10-01 Nippon Denso Co Ltd 強度および加工性に優れたラミネ−ト型熱交換器用a1合金
JPS63186847A (ja) * 1986-09-02 1988-08-02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
JPH02166250A (ja) * 1988-12-21 1990-06-26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熱交換器フイン材用アルミニウム合金
JP3196368B2 (ja) * 1992-10-21 2001-08-06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すぐれた犠牲陽極効果を有する熱交換器用Al合金クラッド材
DE69531229T2 (de) * 1994-12-19 2004-06-03 Corus Aluminium Walzprodukte Gmbh Hartlotfolie
CN1100889C (zh) * 1998-04-29 2003-02-05 克里斯铝轧制品有限公司 采用包含铝合金的钎接金属片制造钎焊组件的方法和铝合金的用途
US6352789B1 (en) * 1999-04-12 2002-03-05 Corus Aluminium Walzprodukte Gmbh Brazing sheet and method of mak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4934A (ko) * 2017-06-21 2023-01-06 오브쉬체스트보 에스 오그라니첸노이 오트벳스트베노스트유 “오베디넨나야 꼼파니야 루살 인제네르노-테크놀로지체스키 첸트르” 알루미늄 합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2134484A (ru) 2004-06-27
NO20025562D0 (no) 2002-11-20
AU2001274064A1 (en) 2001-12-03
EP1158063A1 (en) 2001-11-28
NO20025562L (no) 2002-12-20
CN1443249A (zh) 2003-09-17
EP1287175A1 (en) 2003-03-05
JP2003534455A (ja) 2003-11-18
BR0111053A (pt) 2003-04-15
WO2001090430A1 (en) 2001-11-29
IS6629A (is) 2002-11-19
CA2409870A1 (en) 2001-11-29
US20030165397A1 (en) 200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3427A (ko) 내식성 알루미늄 합금
JP5326123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ろう付け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ろう付けシート
KR101216820B1 (ko) 알루미늄합금 브레이징 시트 제조방법 및 경량 브레이징열교환기 조립체
CA2356486C (en) Extrudable and drawable, high corrosion resistant aluminium alloy
EP1183151B1 (en) Brazing sheet
EP0981653B1 (en) Method of improving fracture toughness in aluminum-lithium alloys
US593886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luminum aircraft sheet
DK2841610T3 (en) ALUMINUM ALLOY WITH A UNIQUE COMBINATION OF STRENGTH, EXTRADUCTION CAPACITY AND RESISTANCE TO CORROSION.
WO2016022457A1 (en) Aluminum alloy for heat exchanger fins
EP2791378B1 (en) Aluminium fin allo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A2001140C (en) Brazeable aluminum alloy sheet and process of making same
JP4996909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121249A (ja) 耐応力腐食用アルミニウム基合金
MXPA00003275A (en) Corrosion resistant and drawable aluminum alloy, article thereof and processof making article
JPH03170633A (ja)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