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324A -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324A
KR20030013324A KR1020020045753A KR20020045753A KR20030013324A KR 20030013324 A KR20030013324 A KR 20030013324A KR 1020020045753 A KR1020020045753 A KR 1020020045753A KR 20020045753 A KR20020045753 A KR 20020045753A KR 20030013324 A KR20030013324 A KR 20030013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single mode
optical fibers
fiber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토요시치카
Original Assignee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3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32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2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reshaping or reforming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using thermal heating, e.g. tapering, forming of a lens on light guid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62Optical details of coupling light into, or out of, or between fibre ends, e.g. special fibre end shapes or associated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component consisting of a short length of fibre, e.g. fibre stub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9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comprising arrays of active devices and fib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빔 웨이스트 위치까지의 거리(WD)와 빔 웨이스트 직경(ω)을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가변할 수 있는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 및 이 광섬유를 효율 좋고 또한 높은 정밀도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단일모드 광섬유의 단면 에, 이 단일모드 광섬유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또한 굴절율이 일정한 광섬유로 이루어지는 짧은 스페이서를 접속하고, 이 스페이서의 단면에,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또한 굴절율이 직경방향에서 연속으로 변화하고 있는 짧은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접속한다. 상기 스페이서 및/또는 GI섬유의 길이를 조정하여 빔 웨이스트 거리(WD) 및/또는 빔 웨이스트 직경(ω)을 광결합되는 광디바이스에 적당한 값으로 설정한다.

Description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 및 그 제조방법{OPTICAL FIBER HAVING A LIGHT CONVERGING FUN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디바이스와 접속되는 광섬유의 단부에 집광기능을 부가한 광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 말하면, 특정한 광디바이스와 최소한의 광손실로 광결합할 수 있는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 및 이 광섬유를 효율좋게또한 고정밀도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원, 수광기, 광변조기, 광스위치, 그 밖의 광디바이스와 접속되는 광섬유의 단부에 집광기능을 부가하는 기술사상은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3-1896O7호 공보에는, 단일모드 광섬유의 일단부에, 코어부분의 굴절율이 직경방향에서 연속으로 변화하고 있는 그레이디드 인덱스(graded index) 광섬유(이하, GI섬유라고 칭함)를 접속함으로써, 광섬유에 집광기능을 갖게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개평 3-1896O7호 공보에 개시된 광섬유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일모드 광섬유(11)의 단면에, GI섬유(12)를 융착 또는 접착한 후, GI섬유(12)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짧게하고, 이 짧은 GI섬유(12)를 로드 렌즈(원주형상의 렌즈)로서 이용함으로써, 광섬유에 집광기능을 갖게 한 것이다. 또한. 도 5에서, 11a는 단일모드 광섬유(11)의 피복(재킷)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구조의 광섬유 속을 전반하는 광빔의 전반상태의 일예를 설명하는 선도이고, 광빔(LB)이 단일모드 광섬유(11)로부터 GI섬유(12)로 진행되면, 광빔(LB)은 서서히 넓어진 후, GI섬유(12)의 렌즈작용에 의해 집광되어 그 단면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된다. GI섬유(12)의 단면으로부터 외부에 출사된 광빔(LB)은, GI섬유(12)의 단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WD)를 이격한 위치(초점위치)에 빔 웨이스트를 갖는다. 또한, 도 6에서 ω는 빔 웨이스트의 직경을 나타낸다.
그런데, 상기 구조의 광섬유와 원하는 광디바이스를 최소한의 광손실로 광 결합하기 위해서는, 즉, 광섬유와 광디바이스 사이의 광결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빔 웨이스트 위치(GI섬유(12)의 단면으로부터 거리(WD)를 이격한 위치)에 광디바이스를 배치하여 광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빔 웨이스트 위치는 렌즈작용을 하는 GI섬유(12)의 길이에 의해 정해지므로, 광디바이스의 종류나 크기(형상치수)에 따라서는 빔 웨이스트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생긴다.
빔 웨이스트 위치의 조정은 GI섬유(12)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행할 수 있는데, GI섬유(12)의 길이를 바꾸면, 빔 웨이스트 위치가 바뀔 뿐만 아니라, 빔 웨이스트 직경(ω)도 변해 버린다. 바꾸어 말하면, 도 5에 도시한 선행기술의 광섬유에서는, 파라미터는 GI섬유(12)의 길이 뿐이므로, GI섬유(12)의 길이를 바꾼면 빔 웨이스트 위치와 빔 웨이스트 직경(ω)이 연동하여 변해 버린다.
이 때문에, 이 광섬유와 광결합되는 광디바이스의 종류나 크기에 맞추어서 GI섬유(12)의 길이를 가변하고, 빔 웨이스트 위치까지의 거리(WD)를 소요의 값으로 설정했다고 하더라도, 연동하여 변화된 빔 웨이스트 직경(ω)이 그 광디바이스에는 적정하지 않다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GI섬유(12)의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빔 웨이스트 위치를 조정한 것만으로는 광섬유와 광디바이스 사이에 양호한 광결합상태를 얻을 수 없다는 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광결합되는 광디바이스에 따른 적정한 빔 웨이스트 위치 및 빔 웨이스트 직경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정한 빔 웨이스트 위치 및 빔 웨이스트 직경을 갖는 광섬유를 용이하게 또한 높은 정밀도로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는 광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의 면에서는, 단일모드 광섬유와, 일방의 단면이 이 단일모드 광섬유의 단면에 접속된, 이 단일모드 광섬유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또한 굴절율이 일정한 광섬유로 이루어지는, 설정된 길이의 짧은 스페이서와, 일방의 단면이 상기 스페이서의 타방의 단면에 접속된,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또한 굴절율이 직경방향에서 연속으로 변화하고 있는, 설정된 길이의 짧은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구비한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면에서는,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개의 단일모드 광섬유가, 이들 단일모드 광섬유를 덮는 외피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다심(多芯)의 단일모드 광섬유와, 상기 복수개의 단일모드 광섬유의 단면에 각각의 일방의 단면이 접속된,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또한 굴절율이 일정한, 설정된 길이의 복수개의 광섬유로 이루어지는 짧은 스페이서와, 상기 복수개의 스페이서의 타방의 단면에 각각의 일방의 단면이 접속된,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또한 굴절율이 직경방향에서 연속으로 변화하고 있는, 설정된 길이의 복수개의 짧은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구비한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의 면에서는, 굴절율이 일정한, 또한 설정된 길이보다도 긴 광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스페이서, 및 굴절율이 직경방향에서 연속으로 변화하고있는, 설정된 길이보다도 긴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의 단면끼리를 서로 접속하는 제 1공정과, 상기 스페이서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제 2공정과, 상기 스페이서의 절단면에 단일모드 광섬유의 단면을 접속하는 제 3공정과, 상기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제 4공정을 포함하는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의 면에서는, 굴절율이 일정한, 또한 설정된 길이보다도 긴 복수개의 광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페이서, 및 굴절율이 직경방향에서 연속으로 변화하고 있는, 설정된 길이보다도 긴 복수개의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의 단면끼리를 서로 접속하는 제 1공정과, 상기 복수개의 스페이서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제 2공정과, 복수개의 단일모드 광섬유를 평행하게 정렬하여 외피로 덮어 일체화한 다심의 단일모드 광섬유 각각의 단면을 상기 복수개의 스페이서의 대응하는 절단면에 접속하는 제 3공정과, 상기 복수개의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제 4공정을 포함하는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개의 스페이서는 굴절율이 일정한, 또한 설정된 길이보다도 긴 복수개의 광섬유를 평행하게 정렬하고 외피로 덮어 일체화한 다심의 광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복수개의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는 굴절율이 직경방향에서 연속으로 변화하고 있는, 설정된 길이보다도 긴 복수개의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평행으로 정렬하고 외피로 덮어 일체화한 다심의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상기 복수개의 스페이서 및 상기 복수개의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는 동일한 다심구조를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다심의 단일모드 광섬유의 다심구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의 길이 및 GI섬유의 길이를 독립적으로 가변할 수 있으므로, 빔 웨이스트 위치까지의 거리(WD) 및 빔 웨이스트 직경(ω)을 설정하는 자유도가 대폭적으로 커진다. 또, 이들 거리(WD)와 빔 웨이스트 직경(ω)의 설계범위가 넓어진다. 그 결과, 이 광섬유와 광결합되는 광디바이스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거리(WD)와 빔 웨이스트 직경(ω)을 적정한 값으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광섬유와 광디바이스를 광손실을 최소한으로 하여 광결합할 수 있으므로, 광결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스페이서와 GI섬유의 접속계면을 기준으로 하여 스페이서 및 GI섬유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스페이서 및 GI섬유를 용이하게 또한 높은 정밀도로, 정확하게 설정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또, 설정된 길이보다도 충분히 긴 스페이서 및 GI섬유를 사용하여 접속공정 및 절단공정을 실행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고, 따라서, 제조효율이 향상된다.
도 l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의 제 1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속을 전반하는 광빔의 전반상태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선도,
도 3a~3d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의 제조방법의 한 실시예를, 공정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의 제 2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집광기능을 갖는 선행기술의 광섬유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광섬유 속을 전반하는 광빔의 전반상태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선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기 때문에, 이하에 기술하는 실시예에 본 발명이 한정된다고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이하의 개시가 충분하고, 완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충분히 알리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의 제 1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특히 그 단부구조를 도시한다. 이 제 1의 실시예의 광섬유는, 단일모드 광섬유(11)의 단면에, 코어부분의 굴절율이 일정한 설정된 길이의 짧은 스페이서(13)의 일단면이 접속되고, 더욱, 이 스페이서(13)의 타방의 단면에, 설정된 길이의 짧은 GI섬유(상기한 코어부분의 굴절율이 직경방향에서 연속으로 변화하고 있는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12)의 일단면이 접속된 단부구조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일모드 광섬유(11)의 단면에 스페이서(13)의 일방의 단면을 융착함으로써, 단일모드 광섬유(11)와 스페이서(13)를 광결합하고, 동일하게, 스페이서(13)의 타방의 단면에 GI섬유(12)의 일방의 단면을 융착함으로써, 스페이서(13)와 GI섬유(12)를 광결합했는데, 접착 등의 다른 접속수단에 의해 광결합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스페이서(13)는 굴절율이 일정한 광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석영제의 광섬유가 사용되고 있다. 스페이서(13) 및 GI섬유(12)의 직경은 동시에 단일모드 광섬유(11)의 직경(그레이드를 포함하는 직경)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이들 외경은 예를 들면 125㎛로 설정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구조의 광섬유 속을 전반하는 광빔의 전반상태의 일예를 설명하는 선도이고, 이 예에서는 광빔(LB)이 단일모드 광섬유(11)로부터 스페이서(13)에 진행되면, 광빔(LB)은 서서히 넓어지면서 전반하고, 이 넓어진 상태로 GI섬유(12)에 도달한다. 이 GI섬유(12)에서 광빔(LB)은 더 넓어진 후, GI섬유(12)의 렌즈작용에 의해 집광되어 그 단면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된다.
상기 구성의 광섬유에 있어서는 스페이서(13)의 길이와 GI섬유(12)의 길이의 2개의 파라미터가 존재하므로, GI섬유(12)의 단면으로부터 빔 웨이스트 위치까지의 거리(WD)와 빔 웨이스트 직경(ω)을 독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거리(WD)와 빔 웨이스트 직경(ω)을 설정하는 자유도가 대폭적으로 커지고, 또한 설계범위가 넓어진다. 그 결과, 이 광섬유와 광결합되는 광디바이스의 사양, 또는 종류나 크기에 대응하는 거리(WD) 및 빔 웨이스트 직경(ω)이 정해지면, 스페이서(13) 및 GI섬유(12)의 길이를 즉시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광섬유와 광디바이스를 광손실을 최소한으로 하여 광결합할 수 있으므로, 광결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조의 제 l 실시예의 광섬유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3d는 도 1에 도시한 광섬유의 제조방법의 한 실시예를, 공정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측면도이고, 우선,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일모드 광섬유(11)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굴절율이 일정한 스페이서(13)의 단면과, 동일하게 단일모드 광섬유(11)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GI섬유(12)의 단면을 각각 융착하여, 서로 접속한다. 이 경우, 스페이서(13) 및 GI섬유(12)의 길이는 설정된 소정의 길이보다도 충분히 길게 해 둔다.
다음에,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13)의 길이를, 예를 들면 응력절단기를 사용하여 설정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짧게 한다.
다음에,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짧은 스페이서(13)의 절단면에 단일모드 광섬유(11)의 단면을 융착하고, 서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짧게 설정된 길이의 스페이서(13)가 단일모드 광섬유(11)와 GI섬유(12) 사이에 접속되는 것이 된다.
다음에, 도 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GI섬유(12)의 길이를, 예를 들면 응력절단기를 사용하여 설정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짧게 한다. 이것에 의해, 단일모드 광섬유(11)의 단면에 짧게 설정된 길이의 스페이서(13) 및 동일하게 짧은 설정된 길이의 GI섬유(12)가 순차적으로 접속된 단부구조를 갖는 광섬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3) 및 GI섬유(12)의 길이는, 통상, O.l~1.O mm 정도의 길이로 설정된다. 또, 융착이외의 다른 접속수단을 사용하여 GI섬유(12)와 스페이서(13) 사이, 및 단일모드 광섬유(11)와 스페이서(13) 사이를 접속해도 좋다.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 3b에 도시하는 공정에서 스페이서(13)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할 때에, 스페이서(13)의 길이를, 스페이서(13)와 GI섬유(12)의 융착계면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동일하게, 도 3d에 도시하는 공정에서 GI섬유(l2)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할 때에도, GI섬유(12)의 길이를, 스페이서(13)와 GI섬유(12)의 융착계면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융착계면은, GI섬유(12)의 굴절율이 직경방향에서 연속으로 변화하고, 한편, 스페이서(13)의 굴절율은 일정하므로, 굴절율의 차이에 의해 용이하게 판별(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13) 및 GI섬유(12)를 용이하게 또한 높은 정밀도로 정확하게 설정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또, 설정된 길이보다도 충분히 긴 스페이서(13) 및 GI섬유(12)를 사용하여 상기 접속공정 및 절단공정을 실행하기 때문에 그들 작업이 용이하고, 따라서, 제조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단일모드 광섬유(11)는, 도시하지 않지만, 스페이서(13)와 접속되야 할 단부의 피복을, 통상, lOmm 정도의 길이만 제거한 것이 사용되고, 동일하게, 스페이서(13) 및 GI섬유(12)도, 도시하지 않지만, 통상, 1Omm 정도의 길이만 피복을 제거한 것이 각각 사용되어, 그들 피복을 구비한 부분은 절단, 제거된다.
상기 제 1의 실시예에서는, 1개의 단일모드 광섬유(11)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예를 들면 복수개의 단일모드 광섬유가 평행하게 정렬되고, 일체화되어 있는 테이프형상(평면형상)의 다심의 광섬유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의 제 2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평행하게 횡방향으로 병설된 4개의 단일모드 광섬유(ll)의 피복(11a)의 위로부터 대략 타원형상의 외피(21a)를 더 씌워서 일체화한 테이프형상의 4심의 광섬유(21)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 제 2의 실시예의 4심의 테이프형상의 광섬유(21)는, 각 단일모드 광섬유(11)의 단면에, 설정된 소정 길이의 짧은 굴절율이 일정한 스페이서(13)의 일단면이 접속되고, 더욱, 각 스페이서(13)의 타방의 단면에, 설정된 소정 길이의 짧은 GI섬유(12)의 일단면이 접속된 단부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단일모드 광섬유(11) 속을 전반하는 광빔은, 상기 제 1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단일모드 광섬유(11)로부터 스페이서(13)로 진행되면, 광빔은 서서히 넓어지면서 전반되고, 이 넓어진 상태에서 GI섬유(12)에 도달된다. 이 GI섬유(12)에서 광빔은 더 넓어진 후, GI섬유(12)의 렌즈작용에 의해 집광되어 그 단면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된다.
따라서 이 제 2의 실시예의 테이프형상의 광섬유(21)에서도, 각 단일모드 광섬유(11)는, 상기 제 1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스페이서(13)의 길이와 GI섬유(12)의 길이의 2개의 파라미터가 존재하므로, 빔 웨이스트 위치까지의 거리(WD) 및 빔 웨이스트 직경(ω)이 정해지면, 스페이서(13) 및 GI섬유(12)의 길이를 즉시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제 1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분명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하는 테이프형상의 광섬유(21)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13) 및 GI섬유(12)로서 테이프형상의 광섬유(2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4심의 테이프형상의 스페이서 및 4심의 테이프형상의 GI섬유를 준비하고, 스페이서(13)와 GI섬유(12)의 접속공정, 스페이서(13)의 절단공정, 스페이서(13)와 단일모드 광섬유(11)의 접속공정, 및 GI섬유(12)의 절단공정을 각각 4개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접속공정 및 절단공정을 4개 동시에 행하도록 하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단일모드 광섬유가 평행하게 횡방향으로 병렬배치되고, 이들 광섬유를 더 피복하는 외피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테이프형상의 4심의 광섬유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했는데, 단일모드 광섬유의 갯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굴절율이 일정한 광섬유는 석영제의 광섬유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는, 집광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빔 웨이스트 위치까지의 거리(WD)와 빔 웨이스트 직경(ω)을 2개의 파라미터에 의해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들 거리(WD) 및 빔 웨이스트 직경(ω)을 설정하는 자유도가 대폭적으로 커진다. 또, 거리(WD)와 빔 웨이스트 직경(ω)의 설계범위가 넓어진다. 그 결과, 이 광섬유와 광결합되는 광디바이스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거리(WD)와 빔 웨이스트 직경(ω)을 적정한 값으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현저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 광섬유와 광디바이스를 광손실을 최소한으로 하여 광결합할 수 있으므로, 광결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스페이서 및 GI섬유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할 때에, 그들의 길이를 스페이서와 GI섬유의 접속계면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 및 GI섬유를 용이하게 또한 높은 정밀도로 정확하게 설정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는 현저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 설정된 길이보다도 충분히 긴 스페이서 및 GI섬유를 사용하여 접속공정 및 절단공정을 실행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고. 따라서, 제조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재했는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상술한 실시예에 관하여 다양한 변형, 변경 및개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시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의 청구범위에 따라서 결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들어가는 모든 그와 같은 변형, 변경 및 개량도 포함하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5)

  1. 단일모드 광섬유와,
    일방의 단면이 이 단일모드 광섬유의 단면에 접속된, 이 단일모드 광섬유와 동일직경을 가지고, 또한 굴절율이 일정한 광섬유로 이루어지는 설정된 길이의 짧은 스페이서와,
    일방의 단면이 상기 스페이서의 타방의 단면에 접속된,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또한 굴절율이 직경방향에서 연속으로 변화하고 있는 설정된 길이의 짧은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
  2.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개의 단일모드 광섬유가, 이들 단일모드 광섬유를 덮는 외피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다심의 단일모드 광섬유와,
    상기 복수개의 단일모드 광섬유의 단면에 각각의 일방의 단면이 접속된,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또한 굴절율이 일정한, 설정된 길이의 복수개의 광섬유로 이루어지는 짧은 스페이서와,
    상기 복수개의 스페이서의 타방의 단면에 각각의 일방의 단면이 접속된,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또한 굴절율이 직경방향에서 연속으로 변화하고 있는, 설정된 길이의 복수개의 짧은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
  3. 굴절율이 일정하고, 또한 설정된 길이보다도 긴 광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스페이서, 및 굴절율이 직경방향에서 연속으로 변화하고 있는, 설정된 길이보다도 긴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의 단면 끼리를 서로 접속하는 제 1공정과,
    상기 스페이서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제 2공정과,
    상기 스페이서의 절단면에 단일모드 광섬유의 단면을 접속하는 제 3공정과,
    상기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제 4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의 제조방법.
  4. 굴절율이 일정하고, 또한 설정된 길이보다도 긴 복수개의 광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페이서, 및 굴절율이 직경방향에서 연속으로 변화하고 있는, 설정된 길이보다도 긴 복수개의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의 단면 끼리를 서로 접속하는 제 1공정과,
    상기 복수개의 스페이서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제 2공정과,
    복수개의 단일모드 광섬유를 평행하게 정렬하고 외피로 덮어 일체화한 다심의 단일모드 광섬유의 각각의 단면을 상기 복수개의 스페이서의 대응하는 절단면에 접속하는 제 3공정과,
    상기 복수개의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제 4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페이서는 굴절율이 일정하고, 또한 설정된 길이보다도 긴 복수개의 광섬유를 평행하게 정렬하고 외피로 덮어 일체화한 다심의 광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는 굴절율이 직경방향에서 연속으로 변화하고 있는, 설정된 길이보다도 긴 복수개의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평행하게 정렬하고 외피로 덮어 일체화한 다심의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이고,
    상기 복수개의 스페이서 및 상기 복수개의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는 동일한 다심구조를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다심의 단일모드 광섬유의 다심구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제조방법.
KR1020020045753A 2001-08-03 2002-08-02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133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36017 2001-08-03
JP2001236017A JP2003043270A (ja) 2001-08-03 2001-08-03 光ファイバ端部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324A true KR20030013324A (ko) 2003-02-14

Family

ID=1906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753A KR20030013324A (ko) 2001-08-03 2002-08-02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026539A1 (ko)
EP (1) EP1281990A1 (ko)
JP (1) JP2003043270A (ko)
KR (1) KR20030013324A (ko)
CN (1) CN14020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7507B2 (en) * 2002-12-12 2004-12-07 Fitel Usa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plice loss in optical fibers
US7190864B2 (en) * 2004-04-02 2007-03-13 Beamtek, Inc. Fiber collimating lenses and method
JP4295256B2 (ja) 2005-08-15 2009-07-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デバイス
JP2007114230A (ja) 2005-10-17 2007-05-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光スイッチ
US7468995B2 (en) 2006-04-27 2008-12-2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Optical switch
JP4219380B2 (ja) 2006-10-11 2009-02-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マーカ溝形成装置、その方法及び光ファイバデバイスを作成する方法
JP5082414B2 (ja) * 2006-12-06 2012-1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半導体装置および光導波路装置
JP2009122463A (ja) * 2007-11-15 2009-06-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信号処理回路
EP2368153B1 (en) * 2008-11-24 2017-11-08 Vereniging voor Christelijk Hoger Onderwijs, Wetenschappelijk Onderzoek en Patiëntenzorg Method of preparation of an optical fiber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US20120230634A1 (en) * 2009-11-17 2012-09-13 Geng Li Radiation Waveguide Member
DK2843449T3 (en) * 2012-04-26 2019-04-2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MULTI-CORN OPTICAL FIBER TRANSFER SYSTEM
CN104698539B (zh) * 2015-03-09 2018-01-19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光纤表面等离子体激元激发聚焦装置及其制作方法
US10670807B2 (en) * 2016-12-15 2020-06-02 Ayar Labs, Inc. Lens assembly for optical fiber coupling to target and associated methods
JP7110553B2 (ja) 2017-06-26 2022-08-02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レンズ付き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及び切断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4012A (ja) * 1988-11-22 1990-09-28 Plessey Overseas Plc 光コリメート用光学装置
WO1995018395A1 (en) * 1993-12-24 1995-07-06 Bt & D Technologies Limited An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457759A (en) * 1992-12-15 1995-10-10 France Telecom Monolithic optical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including improved coupling means between an optical fiber and a phototransducer
US6014483A (en) * 1996-08-21 2000-01-11 France Telecom Method of fabricating a collective optical coupling device and device obtained by such a method
WO2000075700A1 (fr) * 1999-06-09 2000-12-14 France Telecom Procede de realisation collective de micro-lentilles au bout d'un ensemble de fibres optiques du type ruban de fibres
KR20030025912A (ko) * 2000-03-17 2003-03-2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광 도파관 렌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5519A (en) * 1990-11-30 1992-03-10 At&T Bell Laboratorie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n-line optical fiber attenuator
US5815611A (en) * 1995-08-11 1998-09-29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ethod and apparatus for submicroscopic particle sizing, and probe therefor
US5627642A (en) * 1995-08-11 1997-05-06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ethod and apparatus for submicroscopic particle sizing by measuring degree of coherence
JPH11218641A (ja) * 1998-02-04 1999-08-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レンズ付き光ファイバとレーザモジュール
US6459844B1 (en) * 1998-10-30 2002-10-01 Jds Uniphase Corporation Tunable fiber optic filter
US6480650B2 (en) * 1999-06-30 2002-11-12 Nortel Networks Limited Fibre termination compound graded index lenses
FR2804251B1 (fr) * 2000-01-26 2002-03-08 France Telecom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utation en longueur d'onde d'une source laser
AU2002311993A1 (en) * 2001-06-15 2003-01-02 Corning Incorporated Tapered lensed fiber for focusing and condenser applications
US6813416B2 (en) * 2002-02-20 2004-11-02 Lightwaves 2020, Inc. Miniature fiberoptic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US6963682B2 (en) * 2002-03-04 2005-11-08 Corning Incorporated Beam altering fiber lens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30185269A1 (en) * 2002-03-26 2003-10-02 Gutin Mikhail A. Fiber-coupled vertical-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4012A (ja) * 1988-11-22 1990-09-28 Plessey Overseas Plc 光コリメート用光学装置
US5457759A (en) * 1992-12-15 1995-10-10 France Telecom Monolithic optical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including improved coupling means between an optical fiber and a phototransducer
WO1995018395A1 (en) * 1993-12-24 1995-07-06 Bt & D Technologies Limited An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014483A (en) * 1996-08-21 2000-01-11 France Telecom Method of fabricating a collective optical coupling device and device obtained by such a method
WO2000075700A1 (fr) * 1999-06-09 2000-12-14 France Telecom Procede de realisation collective de micro-lentilles au bout d'un ensemble de fibres optiques du type ruban de fibres
KR20030025912A (ko) * 2000-03-17 2003-03-2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광 도파관 렌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02029A (zh) 2003-03-12
US20030026539A1 (en) 2003-02-06
EP1281990A1 (en) 2003-02-05
JP2003043270A (ja)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953B1 (ko) 광 도파관 렌즈 및 그 제조방법
JP7371828B2 (ja) 光導波路アダプタ組立体
KR20030013324A (ko) 집광기능을 갖는 광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15262A (ko) 포커싱 및 집광 장치 응용을 위한 테이퍼형 렌즈 섬유
JP2020501198A (ja) マルチチャネル光結合器アレイ
CN1677146A (zh) 光纤准直透镜和方法
JP4129903B2 (ja) 溶融型モード分割方向性カプラの製造方法
JP2004279618A (ja) 光コリメータ構造
US20040151431A1 (en) Lensed fiber having small form fa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394208A (ja) 光ファイバカプラ
JP3224106B2 (ja) レーザ入力用光ファイバ
JPS63163308A (ja) 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63326B1 (ko) 상용 멀티모드파이버를 사용한 빔 커넥터
JPH09159865A (ja) 光導波路の接続構造
JP4528970B2 (ja) 導波路の接続構造および光分岐結合素子
JPH02181709A (ja) 平面光導波路と光ファイバとの結合方法
JP2006011119A (ja) 光部品、波長合分波器および光部品の製造方法
JPS62251706A (ja) 光回路とその製造方法
KR102080301B1 (ko) 모드 선택 결합기,이를 이용한 광섬유의 결합 방법 및 복수의 모드 선택 결합기를 구비한 통신 수단
JPH1031128A (ja) ファイバ形光結合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33982A (ja) 光導波路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62438A (ja) 光導波路及びその製造方法
JP4019428B2 (ja) ガラス毛細管の製造方法
JPH08334647A (ja) 光ファイバと光導波路との融着接続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ファイバクランプ装置
JP2003526114A (ja) シングルモードファイバのオンライン減衰装置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