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066A - 화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066A
KR20030007066A KR1020020039601A KR20020039601A KR20030007066A KR 20030007066 A KR20030007066 A KR 20030007066A KR 1020020039601 A KR1020020039601 A KR 1020020039601A KR 20020039601 A KR20020039601 A KR 20020039601A KR 20030007066 A KR20030007066 A KR 20030007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uminance
subfield
color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066B1 (ko
Inventor
이또고
바바마사히로
다이라가즈끼
오꾸무라하루히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3000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5Field-sequential colour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mplitude mod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09G3/2033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with splitting one or more sub-frames corresponding to the most significant bits into two or more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gradation control methods
    • G09G3/208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gradation control methods with combination of amplitude modulation and time modulation

Abstract

1 프레임 기간의 원 화상을 복수의 서브 필드 화상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 필드 화상을 시간축 방향에서 휘도값의 차례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와, 상기 배열된 서브 필드 화상을 상기 휘도값의 차례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 화상 표시 방법.

Description

화상 표시 방법{IMAGE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화상(image)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CRT와 같은 임펄스형 표시 장치와, 예를 들면 LCD(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홀드형 표시 장치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임펄스형 표시 장치는, 화상 기록 후의 형광체의 발광 기간에만 표시가 행해지는 것이며, 홀드형 표시 장치는, 새로이 화상 기록이 행해질 때까지 전 프레임의 화상 유지를 계속하는 것이다.
홀드형 표시에서는, 동화(motion picture) 표시에서 생기는 흐림(blur) 현상이 문제가 된다. 이 흐림 현상은, 화면 상의 동체(moving object)를 관찰할 경우에, 전 프레임 화상은 다음 프레임 화상으로 전환하기까지 동일한 위치에 계속 표시됨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눈은 동체를 연속적으로 따르게 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결국, 화면 상에 표시되는 동체의 이동은 불연속임에도 불구하고 눈의 추적 운동에는 연속성이 있기 때문에, 전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 간의 화상을 보간(interpolate)하도록 하여 동체를 인식하기 때문에 흐림 현상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 쪽의 극성에서는 빛의 투과율을 아날로그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다른 쪽 극성은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단안정화 액정(monostable liquid crysta1)의 동작 특성을 이용한 필드 반전(field inversion) 방식의 표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개2000 - 10076호 공보). 이 필드 반전 방식의 표시 방법에서는, 1 프레임을 2개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여, 한 쪽의 서브 필드에서는 액정을 투과 상태, 다른 쪽 서브 필드에서는 액정을 비투과 상태로 한다. 또한, 밴드 배향(bend alignment) 셀을 이용한 표시 방법의 제안도 이루어져 있다(특개평11-1O9921호 공보). 어느 쪽의 제안에서도, 원 화상을 표시하는 기간과 흑화상을 표시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것으로 임펄스형 표시에 가깝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에서는, 액정층에 직류 성분이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압 인가 기간을 양극성과 음극성에 대해 같게 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50% 듀티 표시가 된다(여기서, "듀티비=표시 기간/(표시 기간+비표시 기간) ×100"으로 정의한다).
후자의 방법에서는, 듀티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분할 수를 늘려야 하기 때문에 신호선 구동 회로의 편차에 의한 표시 얼룩(휘도 변화)이 생긴다. 또한, 듀티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주사선의 구동 주파수를 변경해야 하지만, 듀티비를 세밀하게 설정하기는 곤란하다.
또한, 듀티비를 변경하여 흑 표시 기간을 길게 하면, 화면 전체의 휘도가 낮아진다. 이 경우,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백 라이트의 최대 휘도를 높이는 방법을 취하게 되지만, 그 때문에 소비 전력이 증가해 버린다. 또한, 백 라이트를 점멸시켜 듀티비를 가변으로 할 경우에는 안정적으로 점멸하는 백 라이트를 준비하지 않으면, 플리커(flicker)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방식에서는 흑표시 기간을 둠에 따라 화면 휘도의 저하 등이 생기기 때문에 그것에 기인하는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다.
한편, 가법 혼색(additive color mixing system)에 의한 컬러 화상 표시에는, 공간 가법 혼색(spatial additive color mixing system)과 계시 가법 혼색(field-sequentially additive co1or mixing system)이 있다. 공간 가법 혼색은, 서로 인접하는 R(빨강) 화소(pixe1), G(초록) 화소 및 B(파랑) 화소에 의해서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고, 삼원색(three-primary colors) (R, G, B)을 공간적으로 혼색시키는 방법이다. 계시 가법 혼색은, R 화상, G 화상 및 B 화상을 순차로 표시하여, 시간축 방향에서 삼원색을 혼색시키는 방법이다. 계시 가법 혼색에서는 동일 개소에서 R, G, B를 혼색시키기 때문에 컬러 화상 표시 장치의 고해상도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시 가법 혼색을 이용한 시분할(field sequentia1) 컬러 표시에는, 컬러 셔터 방식, 삼원색 백 라이트 방식 등, 여러가지 방식이 있다. 어느쪽 방식이든, 입력된 화상 신호를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로 분할하여, 그것들을 1 프레임 기간 동안에 R 화상, G 화상 및 B 화상으로 순차 표시하므로써 컬러 표시를 하고 있다. 즉, 시분할 컬러 표시 장치에서는, 1 프레임 기간은 R 화상, G 화상 및 B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서브 필드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에서는 1 프레임 주파수를, 플리커를 인지할 수 없는 임계 융합 주파수(critical fusion frequency)(CFF) 이상으로 해야 한다. 따라서, 시분할 컬러 표시에서는, 1 프레임 기간 내의 서브 필드 수를 n이라고 하면, 프레임 주파수의 n 배의 주파수로 각 서브 필드 화상을 표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프레임 주파수를 60Hz로 하고, R, G, B의 3 서브 필드로 시분할 컬러 표시를 하는 경우, 각 서브 필드 주파수는 180Hz가 된다.
시분할 컬러 표시를 실현하는 방법으로서는, 백색을 RGB 필터로 시간적으로 분광하는 방법이나, RGB 광원을 시간적으로 전환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예로서는, 백색 광원으로 라이트 밸브를 조명하여, RGB 컬러 휠을 기계적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이나, 모노 크롬 CRT에서 흑백 화상을 표시하여, CRT 전면에 액정 컬러 셔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후자의 예로서는, 라이트 밸브를 RGB의 LED나 형광관으로 조명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시분할 컬러 표시에서는 고속 표시가 요구되기 때문에, 화상을 표시하는 라이트 밸브에는, 고속 응답인 DMD(Digital micro mirror divice), 밴드 배향 액정 셀(PI 트위스트 셀, 및 위상 보상 필름을 추가한 OCB(Optically CompensatedBirefringence) 모드를 포함한다), 스멕틱(smectic) 액정을 이용한 강유전성 액정(ferroelectric liquid crystal) 셀, 반강유전성(antiferroelectric) 액정 셀, 전압-투과율 곡선이 무임계(threshold less)의 V 자형 응답을 나타내는 V 자형 응답 액정 셀(TLAF(Threshold Less Anti-Ferroelectric) 모드)가 이용된다. 액정 컬러 셔터에 이용되는 액정 셀도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분할 컬러 표시에서, 플리커가 인지되지 않는 서브 필드 주파수의 하한은 3×CFF, 즉 150 Hz 정도가 된다. 서브 필드 주파수가 낮으면, 「색상 방해(color breakup)」가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동화에 따르는 시선의 움직임 등에 의해, 망막 상에서의 R, G, B 화상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며, 화상 또는 화면의 윤곽이 퍼져보인다.
예를 들면, 1 프레임이 60 Hz의 화상 신호인 경우, R, G, B의 서브 필드 화상은 180Hz에서 표시 화면 전체에 표시된다. 관찰자가 정지화를 보고 있는 경우에는, 180Hz에서 R, G, B의 서브 필드 화상이 관찰자의 망막 상에서 혼색되어, 원래의 컬러 표시를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화면 내에 백상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R, G, B의 서브 필드 화상이 관찰자의 망막 상에서 혼색되어, 관찰자에게 바른 컬러 표시가 제시된다.
그러나, 도 23a의 화살표 방향으로 관찰자의 눈이 표시 화상을 가로 질러 이동하는 경우,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순간에는 R의 서브 필드 화상이 관찰자에게 제시되고, 다음 순간에는 G의 서브 필드 화상이 관찰자에게 제시되며, 그다음 순간에는 B의 서브 필드 화상이 관찰자에게 제시된다. 관찰자의 눈은 표시 화면을 가로 질러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관찰자의 망막 상에서는 R, G, B의 3개의 화상은 완전히 일치하여 합성되지 않고 3개의 화상은 어긋나게 합성된다. 그 때문에, 동체의 에지 근방에서는, R, G, B의 서브 필드 화상이 합성되지 않고 R, G, B의 서브 필드 화상이 각각 단독으로 보인다. 그 결과, 색상 방해가 일어난다. 이 색상 방해는 눈의 도약 운동에 의한 색상 방해이다. 또한, 관찰자의 눈이 동체를 따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브 필드 화상은 1 프레임 기간중 동일한 장소에 표시되기 때문에, 관찰자의 망막 상에서는 서브 필드 화상이 어긋나게 합성된다. 그 결과, 눈의 홀드 효과에 의해서 동일한 양상의 색상 방해가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은, 관찰자에게 위화감을 준다. 또한, 장시간에 걸쳐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관찰자에게 피로를 주게 된다.
눈의 도약 운동에 의한 색상 방해는, 서브 필드 주파수를 높게 함으로써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홀드 효과에 의한 색상 방해에 대한 저감 효과는 작다. 서브 필드 주파수를 대폭 높게 함으로써 홀드 효과에 의한 색상 방해를 저감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서브 필드 주파수를 대폭 높이는 것은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의 부담이 커진다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한다.
이상과 같이, 동화의 흐림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 1 프레임을 화상 표시를 하기 위한 서브 필드와 흑 표시를 하기 위한 서브 필드로 분할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화상의 휘도가 전체적으로 저하하는 또는 화상의 최대 휘도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어 고품질의 화상을 얻기 어려웠다.
또한, 1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여 계시 가법 혼색에 의한 컬러 화상 표시를 하는 경우 색상 방해에 의해 고품질의 화상을 얻기 어려우므로, 색상 방해를 억제하기 위해서 서브 필드 주파수를 높게 하면 구동 회로의 부담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고품질의 동화를 얻는 것이 가능한 화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a는 도 1에 도시한 액정 표시장치의 액정 모듈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b는 액정 패널의 1화소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액정에 AFLC를 이용한 경우의 배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액정 패널에 2장의 편광판을 크로스 니콜로 배치한 경우의 전압-투과율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움직임 판별 처리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 화소에서의 휘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 화소에서의 휘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 화소에서의 휘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표시예 및시점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표시예 및 시점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 화소에서의 휘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 화소에서의 휘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 화소에서의 휘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 화소에서의 휘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색상 방해의 저감 효과에 대해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휘도 레벨 분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서브 필드 화상 나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서브 필드 화상 나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3a 및 도 23b는 계시 가법 혼색에 있어서의 색상 방해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24는 계시 가법 혼색에 있어서의 시간축 방향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화상 표시 방법은, 1 프레임 기간의 원 화상을 복수의 서브 필드 화상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 필드 화상을 시간축 방향에서 휘도값의 차례대로 나열하는 단계와, 상기 나열된 서브 필드 화상을 상기 휘도값의 차례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모듈부(액정 패널 및 주변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액정 모듈부는, 액정 패널(11O), 주사선(scanning line) 구동 회로(120)(120a, 120b) 및 신호선(signal line) 구동 회로(130)(130a, 13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주사선 구동 회로(120)에는 서브 필드 화상 생성부(140)로부터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신호선 구동 회로(130)에는 서브 필드 화상 생성부(140)로부터 서브 필드 화상 신호가 공급된다. 또한, 서브 필드 화상 생성부(140) 및 움직임(motion) 판별 처리부(150)에는 화상 신호 및 동기 신호가 입력하고 있으며, 서브 필드 화상 생성부(140)에는 움직임 판별 처리부(150)로부터 서브 필드 수 지시 신호가 공급된다. 이들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액정 패널(110)의 기본적인 구성은, 보통의 액정 패널과 동일하며, 어레이 기판과 대향 기판과의 사이에 액정층을 둔 구성으로 되어있다. 어레이 기판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11), 각 화소 전극(111)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TFT로 이루어짐)(112), 동일 행의 스위칭 소자(112)에 접속된 주사선(113), 동일 열의 스위칭 소자(112)에 접속된 신호선(114)을 구비하고 있다. 대향 기판(도시하지 않음)에는, 어레이 기판에 대향하는 대향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 또, 여기서는 액정 패널(110)로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빨강 화소(R 화소), 초록 화소(G 화소) 및 파랑 화소(B 화소)에 의해, 공간 가법 혼색(spatial additive color mixing system)에 의해 1 화소를 구성한 것을 이용한다.
액정 재료는 어떠한 것이어도 관계없지만, 1 프레임 기간 동안에 표시를 복수회 전환하므로 고속 응답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강유전성 액정 재료,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유기되는 자발 분극(spontaneous polarization)을 갖는 액정 재료(예를 들면 반강유전성 액정(AFLC)), 밴드 배향 액정 셀 등이 이용된다. 액정 패널은, 2장의 편광판(polarizer)의 조합에 따라, 전압 무인가시에 빛을 투과하지 않는 모드(노멀 블랙 모드) 또는 전압 무인가시에 빛을 투과하는 모드(노멀 화이트 모드)로 설정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액정으로 AFLC를 이용한 경우의 배향(alignment)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2장의 편광판을 크로스 니콜(crossed-Nicole)로 배치한 경우의 전압-투과율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 무인가시에는 액정 분자(115)는 자발 분극을 부정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빛이 투과하지 않기 때문에 흑 표시가 된다. 도 3B(정전압 인가) 및 도 3c(부전압 인가)에서는 액정 분자(115)는 1 방향으로 배열하고 있어 투과 상태가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 무인가 상태, 정전압 인가 상태, 부전압 인가 상태라는 3개의 배향 상태뿐만 아니라, 전극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의 강도에 따라 그들 중간의 배향 상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입력된 화상 신호와 동기 신호는 액정 표시 장치의 서브 필드 화상 생성부(140) 및 움직임 판별 처리부(150)에 입력한다. 움직임 판별 처리부(150)에서는, 입력된 화상이 동화(motion picture)인가 정지화(still image)인가의 판별을 한다. 움직임 판별 처리부(150)의 일례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입력 절환 스위치(151)를 통하여, 프레임 메모리(152a, 152b) 및 프레임 메모리(152c)에 반복 화상이 입력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 메모리(152a)에 화상 신호를 입력하고, 다음에 프레임 메모리(152b)에 화상신호를 입력한다. 이어, 프레임 메모리(152c)에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것과 동시에 프레임 메모리(152a) 내의 화상과 프레임 메모리(152b) 내의 화상과의 상관을 차분(differential) 검출 및 판별부(153)에서 조사한다. 어떤 프레임 간의 상관을 조사할지는 입력 절환 스위치(151)로부터 차분 검출 및 판별부(153)에 프레임 메모리 선택 신호를 보내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프레임 메모리 선택 신호는, 화상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프레임 메모리를 지시하는 신호이다. 즉, 선택되어 있지 않은(지시되어 있지 않은) 프레임 메모리 간의 상관이 조사된다. 차분 검출은, 화면 전체에서 행하든 블록 단위로 행하든 상관없다. 또한, 빨강(R), 초록(G), 파랑(B)의 모든 비트를 조사하지 않고, 상위 비트만을 조사하도록 해도 된다. 얻어진 차분 신호의 크기에 따라 움직임이 빠른 동화인가, 움직임이 느린 동화인가, 또는 정지화인가의 판별이 행해진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판별 결과는, 서브 필드 수 지시 신호로서, 서브 필드 화상 생성부(140)에 보내진다. 서브 필드 화상 생성부(140)에서는, 서브 필드 수 지시 신호를 받아 복수의 서브 필드 화상 신호, 수평 동기 신호(이하, STH라 함),수평 방향 클럭(이하, Hclk라 함), 주사 신호(수직 동기 신호(이하, STV라 함) 및 수직 방향 클럭(이하, Vclk라 함)을 액정 모듈로 보낸다.
STV가 주사선 구동 회로(120)에 입력되면, 주사선 구동 회로(120) 내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STV가 래치된다. 그 후, Vclk에 의해 STV가 순차 시프트되어, STV가 하이 레벨인 주사선 상의 화소에 대하여 기록이 행해진다.
본 방식에서는, 서브 필드 수 지시 신호에 따라, 1 화면에서의 기록 시간이변한다. 예를 들면, 서브 필드 수가 n인 경우에는, 1 프레임을 1 서브 필드로 기록하는 경우에 비해, 수직 방향 클럭 및 수평 방향 클럭의 폭이 1/n이 된다. 또한, 동기 신호의 폭도 이것에 대응하여 변하게 된다.
다음에, 서브 필드 화상 생성부(140)에서의 처리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서브 필드 화상 생성부(140)는 2개의 프레임 메모리를 갖고 있다. 한 쪽의 프레임 메모리는 서브 필드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프레임 메모리는 서브 필드 화상 생성중에 다음 프레임의 화상을 기억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 움직임 판별 처리부(150)의 프레임 메모리를 서브 필드 화상 생성부(140)의 프레임 메모리와 겸용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3×3의 매트릭스 화상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액정 패널의 투과율이 최대일 때의 휘도를 100으로 하고, 서브 필드 수 n을 2로 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입력 화상에 대한 각 화소의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서브 필드의 휘도(b-1) 및 제2 서브 필드의 휘도(b-2)가 같은 경우에는, 1 프레임에서의 평균 휘도는 (b-3)과 같이 된다. 한편,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서브 필드의 휘도를 입력 화상의 휘도와 같게 하고(c-1), 제2 서브 필드를 흑 화상으로 한(c-2) 경우에는, 1 프레임의 평균 휘도는 (c-3)과 같이 반감한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서브 필드 화상의 휘도(d-1)와 제2 서브 필드 화상의 휘도(d-2)의 휘도 비 R(이하, 휘도 비 R=(제m 서브 필드 화상의 휘도/제m+1 서브 필드 화상의 휘도)로 한다)이 3:1(R=3)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1 프레임에서의 평균 휘도는 (d-3)과 같이 된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실시예의 다른 예이며, 서브 필드 수 n이 4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입력 화상에 대한 각 화소의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B는 제1 서브 필드(b-1)∼제4 서브 필드(b-4)에 동일한 휘도의 화상을 표시한 경우이며, 1 프레임에서의 평균은 (b-5)와 같이 된다. 본 예에서는,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서브 필드 화상(c-1)∼(c-4)의 휘도 비 R을 1.5로 하고, 평균 휘도가 (c-5)와 같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 단수가 생길 경우에는, 제4 서브 필드(c-4)에 단수를 할당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필드 화상 생성부에서 1 프레임 기간의 입력 화상을 복수의 서브 필드 화상으로 분할하여 서브 필드 화상을 시간축 방향에서 휘도의 크기 순으로 나열하고 있다. 그 때, 1 프레임 기간에서의 서브 필드 화상의 평균 휘도가 입력 화상의 휘도와 같아지도록, 각 서브 필드로 휘도의 재배분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화상의 휘도가 저하하지 않고, 더구나 동화에서의 흐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어, 고품질의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는 반대로, 제1 서브 필드의 휘도를 가장 낮게 하여, 이하, 제2 서브 필드, 제3 서브 필드, ‥‥‥, 의 차례로 휘도가 높아지 도록 하고 있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도 6d에 도시한 예와 같이, 도 8a는 입력 화상에 대한 각 화소의 휘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B는 제1 서브 필드와 제2 서브 필드에 동일한 휘도의 화상을 표시한 경우의 예이다. 본 실시예의 예에서는,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 비 R을 1/3로 하고, 제1 서브 필드 화상(c-1) 및 제2 서브 필드 화상(c-2)을 생성하여, 평균 휘도가 (c-3)이 되도록 하고 있다. 단수가 생길 경우에는, 제1 서브 필드에서 단수를 가산 또는 감산하고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서서히 휘도를 높게 하는 방법과, 제1 실시예와 같이 서서히 휘도를 낮게 하는 방법에서는 방해의 현상이 다르다. 일 예로서, 어두운 부분에서 밝은 부분으로, 그리고 다시 어두운 부분으로 옮겨 가는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방법을 이용한 경우이며, 도 10은 본 실시예의 방법을 이용한 경우이다. 도면에서는 에지를 강조하여 나타내고 있으나, 에지 부에는 다소의 휘도 구배가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정지화에서는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로 변화는 없기 때문에 화면 내를 에지가 좌로부터 우로 이동하는 동화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서브 필드에 고휘도 화상을, 제2 서브 필드에 보간(interpolation) 화상을 표시하고, 휘도 비 R을 2로 설정하고 있다. 제1 서브 필드 및 제2 서브 필드를 나타낸 각각의 도면의 위쪽에는,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호(예를 들면, 제1 서브 필드에서 좌로부터 1번째는 S1-L1로 한다)를 나타내고, 각각의 도의 아래쪽에는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b는 시간축 방향으로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시간축 옆의 기호는 프레임 번호와 서브 필드 번호를(예를 들면, 제1 프레임의 제1 서브 필드는 F1-S1로 한다) 나타내고 있다.
도 10(제2 실시예의 방법)에 관해서도, 상기와 같은 표기 방법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예에서는, 제1 서브 필드를 보간 화상, 제2 서브 필드를 고휘도 화상으로 하고, 휘도 비를 1/2로 하고 있다.
도 9b 및 도 1OB에서, 어두운 측의 에지를 보고 있는 경우를 시점1 및 시점3으로 하고, 밝은 측의 에지를 보고 있는 경우를 시점2 및 시점4로 하고 있다. 잘못된 정보가 취득되는 것은, 제1 서브 필드 화상에서 어두운 측의 에지를 보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제2 서브 필드에서 밝은 측의 에지를 보는 경우, 또는 제1 서브 필드에서 밝은 측의 에지를 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2 서브 필드에서 어두운 측의 에지를 보는 경우이다.
도 9b 및 도 10b에서, 시점1∼4의 관찰 위치는,
시점1 : S1-L2 →S2-L3 →S1-L2 →S2-L3
시점2 : S1-L5 →S2-L6 →S1-L5 →S2-L6
시점3 : S1-L5 →S2-L6 →S1-L5 →S2-L6
시점4 : S1-L2 →S2-L3 →S1-L2 →S2-L3
이 된다. 시점1 및 시점3에서는, 고휘도 화상과 보간 화상의 휘도차가 작기 때문에, 방해감도 작아진다. 이것에 대하여 시점2 및 4에서는 고휘도 화상과 보간 화상의 휘도차가 크기 때문에, 방해감이 커진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경우(도9a 및 도 9b)에는 시점2 부분에, 제2 실시예의 경우(도 10a 및 도 10b)에는 시점4 부분에 방해가 발생할 수 있다.
표시 대상물과 그 이동량에 따라서도 변하지만, 일반적인 동화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현상이 가장 잘 나타난다.
여기서, 망막에 조사된 빛의 휘도가 시간에 따라 감쇠하는 것을 고려하면, 제1 실시예(도 9a 및 도 9b)와 제2 실시예(도 10a 및 도 10b)의 사이에는, 이하와 같은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레임의 제2 서브 필드(Fl-S2)에서 제2 프레임의 제1 서브 필드(F2-S1)로 이행한 상태에 관해서 생각한다.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고휘도 화상(F2-S1)을 관찰 중에는 보간 화상(F1-S2)의 휘도가 감쇠하여 관찰되기 때문에, 시점2에서의 고휘도 화상과 보간 화상과의 휘도차가 더욱 커진다. 한편,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보간 화상(F2-S1)을 관찰 중에는 고휘도 화상(F1-S2)의 휘도가 반감되어 관찰되기 때문에, 시점4에서의 고휘도 화상과 보간 화상과의 휘도차가 작아진다. 망막에서의 휘도의 감소율이 어느 정도인지 분명하지는 않지만, 본원 발명자들의 실험에서, 제2 실시예의 경우 쪽이 방해감이 적은 화상이 얻어짐이 일부 확인되었다.
이어, 상술한 바와 같은 방해를 저감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1 프레임 내에서의 보간 화상 성분을, 고휘도 화상의 전 필드 또는 다음 필드의 한 쪽에만 분배하고 있지만, 전 필드 및 후 필드의 양쪽에 분배할 수도 있다. 도 14a∼도 14d는 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a의 (a-1)는 제1 프레임 화상의 각 화소의 휘도를, (a-2)는 제2 프레임화상의 각 화소의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에서, 고휘도 화상(b-2) 과 보간 화상을 휘도 비 3으로 생성한다. 단, 보간 화상에 배분해야 할 휘도 성분은, 전 필드(b-1)와 다음 필드(b-3)에 분배한다. 여기서는 전후 필드에 등분배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프레임에서도,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휘도 화상과 보간 화상을 휘도 비 3으로 생성하여, 보간 화상은 전후 필드에 등분배한다. 이렇게 하여, 도 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의 고휘도 화상(d-1)과 제2 프레임의 고휘도 화상(d-3) 사이의 보간 화상(d-2)은, 제1 프레임의 다음 필드 보간 화상(b-3)과 제2 프레임의 전 필드 보간 화상(c-1)이 가산된 화상이 된다.
이 경우, 화소에 따라서는 보간 화상의 휘도가 고휘도 화상의 휘도보다 높아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지만, 1 프레임 내에서 행하고 있는 고휘도 화상과 보간 화상의 생성 과정에서, 고휘도 화상의 휘도를 보간 화상의 휘도보다도 높게 하고 있는 점은, 전술한 방법과 변함은 없다. 본 표시 방법에서도, 본원 발명자들의 실험에서 방해감이 적은 화상이 얻어짐이 확인되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화면 내의 휘도는 여러가지 값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가 표시 가능한 휘도를 넘는 휘도값이 설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휘도값이 설정되는 화소에 관해서는 고휘도 화상에 대해서는 표시 가능한 최대 휘도를 설정하여 최대 휘도를 넘는 휘도 성분을 보간 화상으로 설정한다.
도 11a∼도 11c는 본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도 11a는 입력 화상에 대한 각 화소의 휘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B는 휘도 비 R을 3으로 설정한 경우, 도 11c는 휘도 비 R을 1/3로 설정한 경우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 상, 좌측 위의 화소의 좌표를 (0, 0)로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화소(좌표(1, 1))의 휘도가 80인 경우를 상정한다. 도 11B의 예에서는, 제1 서브 필드에 최대 휘도 100을 할당하고(b-1), 제2 서브 필드에 휘도 60을 할당하여(b-2), 1 프레임에서의 평균 휘도가 (b-3)이 되도록 하고 있다. 도 11c의 예에서는, 제1 서브 필드에 휘도 60을 할당하고(c-1), 제2 서브 필드에 최대 휘도 100을 할당하여(c-2), 1 프레임에서의 평균 휘도가 (c-3)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필드에 대하여 원하는 휘도 비에 따른 휘도를 설정할 수 없는 경우에, 고휘도 화상에 대하여 표시 가능한 최대 휘도를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휘도가 큰 표시 장치를 특히 이용하지 않더라도, 제1 실시예등과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서브 필드 화상의 휘도가 차례로 낮아지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제2 실시예와 같이 서브 필드 화상의 휘도가 차례로 높아지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방법은 적용 가능하다.
도 12a∼도 12d는 본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2a는 입력 화상에 대한 각 화소의 휘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b-1), (c-1) 및 (d-1)은 제1 서브 필드의 각 화소의 휘도를, (b-2), (c-2) 및 (d-2)는 제2 서브 필드의 각 화소의 휘도를, (b-3), (c-3) 및 (d-3)은, 1 프레임에서의 각 화소의 평균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입력 화상의 휘도에 서브 필드 수(여기서는 2)를 승산한 값을, 제1 서브 필드에 대하여 할당한다. 이 경우,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가능한 최대 휘도 (100)을 넘어버린 화소 수는 3이 된다. 이 때, 화상에 의해서는 휘도의 배분에 얼룩이 생겨, 상관없는 색이 나타나는 일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가능한 휘도를 넘는 휘도 성분(차분값(differential value))을, 고휘도 화상이나 보간 화상에서의 인접 화소에 할당하도록 하고 있다.
도 12C의 예에서는, 기본적으로는 휘도 비 3으로 고휘도 화상(c-1)과 보간 화상(c-2)을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화소(1, 1)에서는, 고휘도 화상 성분이 135가 된다. 그래서, 100을 넘는 차분값 35에 대해서는, 보간 화상에 할당한다. 예를 들면, 차분값 35를 16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3을 보간 화상의 화소(1, 1)에 할당하여 휘도를 48(=45+3)로 한다. 나머지 32에 관해서는, 화소(1, 2), 화소(2, 0), 화소(2, 1), 화소(2, 2)에, 각각 배분비 (7/16), (1/16), (5/16), (3/16)으로 할당한다. 예를 들면, 화소(1, 2)에서는, 6+32×(7/16)=20, 화소(2, 0)에서는, 20+32×(1/16)=22가 된다. 각 화소(좌변)의 배분량(우변) 및 배분 비(우변의 괄호내)는,
(0, O)=O (0)
(0, 1)=0 (0)
(0, 2)=0 (0)
(1, O)=O (0)
(1, 1)=3 (0)
(1, 2)=14 (7/16)
(2, 0)=2 (1/16)
(2, 1)=10 (5/16)
(2, 2)=6 (3/16)
이 된다. 도 12C의 (c-2)는, 이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d의 예에서는, 보간 화상 외에 고휘도 화상에서의 인접 화소에도 할당하도록 하고 있다. 고휘도 화상(제1 서브 필드 : (d-1)) 및 보간 화상(제2 서브 필드 : (d-2))에서의 배분량 및 배분비는,
<제1 서브 필드 >
(0, 0)= O (0)
(0, 1)= 0 (0)
(0, 2)= 0 (0)
(l, 0)= 0 (0)
(1, 1)= 0 (0)
(1, 2)= 7 (7/32)
(2, 0)= 1 (1/32)
(2, 1)= 5 (5/32)
(2, 2)= 3 (3/32)
<제2 서브 필드>
(0, 0)= O (0)
(0, 1)= 0 (0)
(0, 2)= 0 (0)
(l, 0)= 0 (0)
(1, 1)= 3 (0)
(1, 2)= 7 (7/32)
(2, 0)= 1 (1/32)
(2, 1)= 5 (5/32)
(2, 2)= 3 (3/32)
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차분값을 인접하는 화소에 할당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휘도 얼룩이 저감된 화상을 얻는 것이 필요해진다.
또, 제1∼제4 실시예에서, 미리 휘도 비 R을 정해 두도록 해도 되지만,
휘도비 R=표시 가능한 최대 휘도/화면 평균 휘도
로서, 휘도비를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움직임 판별 처리부 내의프레임 메모리를 이용하여, 1 프레임의 평균 휘도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움직임 판별 처리부(150)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휘도 비 R을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움직임이 빠른 동화에서는 휘도 비 R을 9, 움직임이 느린 동화에서는 휘도 비 R을 3으로 하고, 정지화에서는 휘도 비 R을 1로 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a는 입력 화상에 대한 각 화소의 휘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B는 움직임이 빠른 동화의 경우, 도 13c는 움직임이 느린 동화의 경우, 도 13d는 정지화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b-1), (c-1) 및 (d-1)은 제1 서브 필드의 각 화소의 휘도를, (b-2), (c-2) 및 (d-2)는 제2 서브 필드 각 화소의 휘도를, (b-3), (c-3) 및 (d-3)은 1 프레임에서의 각 화소의 평균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각 서브 필드에서의 계산 방법은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없지만,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계산한다. 우선,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휘도값에 서브 필드 수(여기서는 2)를 곱한다. 승산에 의해 얻어진 값을 R+1로 나눔으로써, 제2 서브 필드의 휘도값을 구한다(소수점 이하는 버린다). 다음에 상기 승산에 의해 얻어진 휘도값으로부터, 상기 제2 서브 필드의 휘도값을 감산함으로써, 제1 서브 필드의 휘도값을 구한다. 이 때, 제1 서브 필드의 휘도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 휘도를 넘는 경우는, 그 넘은 휘도값(차분값)을 먼저 구한 제2 서브 필드의 휘도값에 가산한다. 이 방법을 예를 들면 화소(0, 0)에 대해서 계산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도 13B의 경우(R= 9의 경우)에는,
입력 화상 휘도 (60)×서브 필드 수(2)= 120
120/(R+1)=12
120-12= 108
108-100+12= 20
이 된다. 따라서, 제1 서브 필드의 휘도값은 100, 제2 서브 필드의 휘도값은 20이 된다.
도 13c의 경우(R= 3의 경우)에는,
입력 화상 휘도(60)×서브 필드 수(2)= 120
120/(R+1)= 30
120-30= 90
이 된다. 따라서, 제1 서브 필드의 휘도값은 90, 제2 서브 필드의 휘도값은 30이 된다.
도 13d의 경우(R= 1의 경우)에는,
입력 화상 휘도 (60)×서브 필드 수(2)= l20
120/(R+1)= 60
120-60= 60
이 된다. 따라서, 제1 서브 필드의 휘도값은 60, 제2 서브 필드의 휘도값은 60이 된다.
또, 상술한 제1∼제5 실시예에서는, 홀드형 표시 장치의 대표예인 액정 표시장치를 예로 설명했지만, 메모리성을 갖는 유기 ELD(Electroluminescent display)등에도, 상술한 각 실시예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제1∼제5 실시예에서는, 공간 가법 혼색에 의한 컬러 화상 표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흑백 화상 표시에도 각 실시예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제1∼제5 실시예에 의하면, 홀드형 표시 장치에서, 1 프레임의 화상을 복수의 서브 필드 화상으로 분할하여, 서브 필드 화상을 휘도가 높은 순서 또는 낮은 순서로 나열하여 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비표시 기간을 설정하지 않기 때문에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휘도를 대폭 저하시키지 않고 동화의 흐림 현상이 개선되어 고품질의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액정 패널(211)의 기본적인 구성은 예를 들면 도 2a에 나타낸 것과 같고, 주사선 구동 회로(212) 및 신호선 구동 회로(213)에 의해서 구동이 행해진다. 또한, 액정 패널(211)은, 빨강 광원(215a), 초록 광원(215b) 및 파랑 광원(215c)에 의해, 도광체(light guide)(214)를 통해 조명된다. 액정 패널 구동 회로(216)는, 주사선 구동 회로(212) 및 신호선 구동 회로(213) 외, 광원(215a∼215c)을 제어하는 것이다. 광원(215a∼215c)을 시분할(field sequentia1)로 순차 점등시킴으로써 계시 가법 혼색(field-sequentially additive color mlxing system)에 의한 컬러 화상 표시가 행해진다. 액정 패널 구동 회로(216)에는, 역 γ(inverse γ) 보정 회로(221), 신호 분리 회로(222), 평균 휘도 검출 회로(223a∼223c), 및 순열(permutation) 변환 회로(224) 등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가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 영상 신호는, 역 γ보정 회로(221)에 의해 역 γ보정을 받은 후 신호분리 회로(222)에 의해 R 화상 신호, G 화상 신호, B 화상 신호로 분리된다.
분리된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는 평균 휘도 검출 회로(223a, 223b 및 223c)에 입력되어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 각각에 대하여 1 프레임(1화면)에서의 평균 휘도 레벨이 검출된다. 평균 휘도 검출 회로(223a, 223b 및 223c)로부터의 평균 휘도 레벨 신호는, 분리된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와 동시에 순열 변환 회로(224)에 입력된다.
순열 변환 회로(224)는 프레임 버퍼를 갖고 있다. 이 프레임 버퍼를 이용하여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가 평균 휘도 레벨 크기의 순서에 따라 높아지는 순서 또는 낮아지는 순서로 배열된다. 순열 변환 회로(224)로부터는, 입력 영상 신호의 프레임 주파수의 3배의 주파수로,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가 시분할 영상 신호로서 출력된다. 시분할 영상 신호와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의 순열을 나타내는 광원 제어 신호는 액정 패널 구동 회로(216)에 입력한다.
액정 패널 구동 회로(216)에서는, 시분할 영상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을 흑백용 액정 패널(211)에 표시한다. 그 표시에 동기하여, 광원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R, G 및 B 광원(215a∼215c)이 점등한다. 예를 들면, 순열 변환 회로(224)에 의해 표시 순서가 G, R, B로 결정된 경우에는, 액정 패널 구동 회로(216)에 의해 이하의 동작이 행해진다. 우선, G 화상 신호가 출력되고 액정 패널(211)에서의 G 화상 표시에 동기하여 G 광원(215b)이 점등한다. 그 다음에, R 화상 신호가 출력되고, 액정 패널(211)에서의 R 화상의 표시에 동기하여 R 광원(215a)이 점등한다. 또한 그 다음에, B 화상 신호가 출력되고, 액정 패널(211)에서의 B 화상의 표시에 동기하여 B 광원(215c)이 점등한다.
또, 광원(215a∼215c)에는, 냉 음극관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이나 LED 등, 여러가지를 이용할 수 있지만, 고속으로 응답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LED를 이용하고 있다.
다음에, 홀드 효과에 의한 색상 방해의 저감 효과에 관해서, 도 16a, 도 16B 및 도 16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R 휘도가 30, G 휘도가 0, B 휘도가 100인 상자 화상이, 흑 배경 상을 화면의 오른쪽 방향에, 1 프레임당 9화소의 속도로 스크롤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관찰자의 눈이 동체(본 예에서는 상자 화상)를 따르고 있는 경우, 눈은 자연스럽게 동체를 따라 움직인다. 한편, 1 프레임에서의 동체의 표시 위치는, 서브 필드 사이에서 변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관찰자의 망막 상에서는 서브 필드화상끼리 어긋나게 합성되어, 동체의 에지 근방에서 색상 방해가 일어난다.
상기와 같은 동화를, R, G, B라는 표시 순서로 시분할로 표시한 경우는,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아진다. 즉, R의 서브 필드와 B의 서브 필드의 사이에서는, 1 프레임 기간의 2/3의 기간에 상당하는 위치 왜곡(6화소분의 위치 왜곡)이, 관찰자의 망막 상에서 일어난다. 한편, R 화상, G 화상, B 화상의 평균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서브 필드를 내림 순서로 모두 시분할 표시한 경우는, 표시 순서는 B, R, G가 된다. 그 결과,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R의 서브 필드와 B의 서브 필드와의 사이에서, 1 프레임 기간의 1/3 기간에 상당하는 위치 왜곡(3화소분의 위치 왜곡)이 된다. 따라서, R 화상, G 화상 및 B 화상의 평균 휘도 레벨에 따라 표시 순서를 변경함에 따라 홀드 효과에 의한 색상 방해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G 화상의 평균 휘도 레벨을 0으로 한 경우에 관해서 나타내었으나, R, G, B 모든 화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0보다 큰 경우에도, 평균 휘도 레벨이 큰 서브 필드 화상 간의 색상 방해 쪽이, 평균 휘도 레벨이 작은 서브 필드 화상 간의 색상 방해에 비교하여, 관찰자는 색상 방해를 감지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서브 필드 화상을 평균 휘도 레벨에 따라 오름 순서 또는 내림 순서로 표시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동화 표시의 도중에 서브 필드 화상의 표시 순서가 변경된 경우에는, 관찰자에게 플리커 등의 위화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장면 전환 검출 회로를 이용하여 동화의 장면 전환을 검출하여, 장면 전환이 검출된 경우만 상술한 방법에 의해서 서브 필드 화상의 표시 순서를 변경하면 된다. 장면 전환 검출 방법에는, 몇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시간적으로 이웃하는 2 프레임의 화상의 상관을 조사하여 상관이 낮은 경우에 장면 전환으로 검출하는 방법이 있다.
(제7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기본적인 구성은,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제6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5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 본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서, 입력 영상 신호의 프레임 주파수를 60Hz로 하고, 서브 필드 주파수가 입력 영상 신호의 프레임 주파 수의 6배(360 Hz)인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입력 영상 신호는, 역 γ보정 회로(221)에 의해 역 γ보정을 받은 후, 신호 분리 회로(222)에 의해 R 화상 신호, G 화상 신호, B 화상 신호로 분리된다. 또한, 분리된 R 화상 신호, G 화상 신호, B 화상 신호가 서브 필드 화상 생성 회로(231)에 입력한다.
서브 필드 화상 생성 회로(231)에서는,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로 분리된 서브 필드 화상 각각에 대하여 1 화소마다 휘도 레벨을 산출한다. 계속해서, 산출된 휘도 레벨을 n 배(n은, 1 프레임 기간에 같은 색의 서브 필드 화상이 표시되는 회수)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1 프레임 기간에 같은 색은 2회 표시되기 때문에, n=2가 된다. 또한, n 배된 휘도 레벨을, i 개(i는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의 최대 휘도 레벨 Lmax(표시 장치가 표시 가능한 최대 휘도 레벨)과, j 개(j는 0 또는 1)의 중간 휘도 레벨 Lmid와, k 개(k는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의 흑레벨 O으로 분리한다. 여기서, i, j 및 k는, 각 서브 필드의 화소마다 i+i+ k= n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각 서브 필드의 각 화소의 휘도 레벨을 L로 한 경우, Lmax 및 Lmid는, n×L= i×Lmax+j×Lmid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삼원색 화상으로 분리된 임의의 서브 필드 화상의 어느 1화소의 휘도를, 그리고 2개의 서브 필드로 분리하는 동작을 가리키고 있다. 도의 횡축은 시간, 종축은 휘도이다.
1 프레임의 입력 화상을 삼원색 화상으로 분리한 경우의 표시 시간은, 1/180sec(1 프레임 기간의 l/3)인 데 대하여 또한 2개의 서브 필드로 분리할 경우는 1/360sec(1 프레임 기간의 1/6)가 된다. 최대 휘도 레벨을 100이라고 하면, 서브 필드 화상이 있는 화소의 휘도 레벨이 70인 경우는(도 18a 참조), 70의 휘도 레벨을 2배한 140의 휘도 레벨은 최대 휘도 레벨 100과 중간 휘도 레벨 40으로 분리된다. 또한, 어떤 화소의 휘도 레벨이 40인 경우는(도 18b 참조), 40의 휘도 레벨을 2배한 80의 휘도 레벨은, 중간 휘도 레벨 80과 흑 휘도 레벨 0으로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삼원색의 각 서브 필드 화상이 다시 2개의 서브 필드 화상으로 분리된다. 이 분리된 각 서브 필드 화상에 관해서 각각 평균 휘도 레벨을 산출하여, 평균 휘도 레벨이 높은 서브 필드 Rh, Gh 및 Bh, 평균 휘도 레벨이 낮은 서브 필드 R1, G1 및 B1를 결정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서 결정된 6개의 서브 필드 화상을, 평균 휘도 레벨의 크기 순서에 따라서 표시한다.
예를 들면, R 휘도 레벨(10), G 휘도 레벨(50), B 휘도 레벨(5)의 상자 화상이, 흑 배경 상에서 가로 방향으로 스크롤하고 있는 동화를 상정한다. 6배속(서브 필드 주파수 360Hz)으로, 평균 휘도 레벨이 높은 화상으로부터 차례로 표시하는 경우는, 도 19a∼도 19c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도 19a∼도 19c에서, 종축은 표시화상의 평균 휘도 레벨을,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상자 화상은, 화면 전체의 50%의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R, G, B의 최대 휘도 레벨의 비는, 각 색을 최대 휘도 레벨로 표시했을 때에 백색이 얻어지도록, R:G:B= 30:60:10으로 하고있다. 즉, R, G, B의 최대 휘도 레벨은, 각각 30, 60, 10이 된다.
도 19a는 3배속으로 표시한 경우에 관해서, 1 프레임 기간에의 표시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b는 동일한 색의 서브 필드끼리를 등휘도로 설정하여, R, G, B, R, G, B의 표시 순으로, 6배속으로 표시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9c는 본 실시예의 방법에 근거하여, 평균 휘도 레벨이 높은 서브 필드로부터 차례로 6배속으로 표시한 경우에 관해서 나타내고 있다.
입력된 표시 화상은, 각 화소에 관해서 상술한 처리에 근거하여 분해된다. 즉, 상자 화상 내부의 화소로서는, R 서브 필드는 20과 0, G 서브 필드는 60과 40, B 서브 필드는 10과 0, 의 서브 필드로 분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해된 서브 필드의 평균 휘도 레벨은, 상자 화상이 흑 배경 상에 50%의 비율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상자 내부에서의 휘도 레벨의 반 값이 된다. 즉, 평균 휘도 레벨이 높은 서브 필드 군에서는 Rh=1:0, Gh=30, Bh=5, 평균 휘도 레벨이 낮은 서브 필드 군에서는 R1=0, G1=20, B1= 0이 된다. 따라서, 평균 휘도 레벨이 높은 쪽부터 차례로 표시할 경우는, 도 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Gh, G1, Rh, Bh, R1, B1로 표시된다.복수의 서브 필드가 같은 평균 휘도 레벨이라고 판단된 경우는, 미리 결정해둔 순서로 표시하면 된다.
상기 서브 필드 화상은, 시분할 영상 신호로서, 삼원색 화상 신호의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광원 제어 신호와 함께 액정 패널 구동 회로(216)에 입력된다. 액정 패널 구동 회로(216)에서는, 각 서브 필드 화상을 흑백 액정 패널(211)에 순차 표시하고, 그 표시에 동기하여 광원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삼원색 광원(215a∼215c)을 점등한다. 이렇게 하여, 관찰자에게 컬러 화상이 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입력 영상 신호를 서브 필드 화상으로 분할하면, 도 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프레임 기간의 전반의 기간에 발광 기간을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와는 반대로, 서브 필드를 평균 휘도 레벨이 낮은 쪽부터 순차로 표시한 경우에는, 1 프레임 기간 후반의 기간에 발광 기간을 집중시킬 수 있다. 즉, 1 프레임 기간의 발광 기간이 실질적으로 짧아진다. 그 결과, 홀드 효과에 의한 망막 상의 서브 필드 화상끼리의 왜곡량이 작아진다. 또한, 어긋나 있는 영역의 발광 강도도 작아진다. 따라서, 홀드 효과에 의한 색상 방해가 저감되어, 고품질의 동화상을 관찰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제8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 제8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7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색의 서브 필드가 시간적으로 이웃하지 않도록 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제7 실시예와 같이, 입력 영상 신호의 프레임 주파수를 60Hz로 하고, 서브 필드 주파수가 입력 영상 신호의 프레임 주파수의 6배(360 Hz)인 경우 에 관해서 설명한다. 입력 영상 신호를 평균 휘도 레벨이 높은 서브 필드군과 평균 휘도 레벨이 낮은 서브 필드군으로 분할하는 방법은 제7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균 휘도 레벨이 높은 서브 필드 군에서 낮은 서브 필드군의 순, 또는 평균 휘도 레벨이 낮은 서브 필드군으로부터 높은 서브 필드 군의 순서로, 서브 필드 화상을 표시한다.
각 서브 필드군에서의 R, G, B 서브 필드의 표시 순서는, 소정의 순서여도 되지만, 평균 휘도 레벨이 높은 서브 필드군에서 낮은 서브 필드로의 표시 순서의 경우는, 평균 휘도 레벨이 낮은 서브 필드 군(R1, G1, B1)내에서 서브 필드 끼리의 평균 휘도 레벨을 비교하여, 평균 휘도 레벨이 높은 쪽부터 차례로 표시한다. 반대로, 평균 휘도 레벨이 낮은 서브 필드 군부터 높은 서브 필드 군으로의 표시 순서의 경우는 평균 휘도 레벨이 낮은 서브 필드군(R1, G1, B1) 내에서 서브 필드 끼리의 평균 휘도 레벨을 비교하여, 평균 휘도 레벨이 낮은 쪽부터 차례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평균 휘도 레벨이 높은 서브 필드 군에서 낮은 서브 필드군의 표시 순이며, R1의 평균 휘도 레벨이 5, G1의 평균 휘도 레벨이 20, B1의 평균 휘도 레벨이 0이었던 경우는, 각 서브 필드 군에서의 표시는 G, R, B가 된다. 1 프레임에서는, Gh, Rh, Bh, G1, R1, B1 표시 순이 된다.
상기 서브 필드 화상은, 시분할 영상신호로서, 삼원색 화상 신호의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광원 제어 신호와 함께 액정 패널 구동 회로(216)에 입력된다. 액정 패널 구동 회로(216)에서는, 각 서브 필드 화상을 흑백 액정 패널(211)에 순차 표시하고, 그 표시에 동기하여, 광원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삼원색 광원(215a~215c)을 점등한다. 이렇게 하여, 관찰자에게 컬러 화상이 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입력 영상 신호를 서브 필드 화상으로 분할하면, 1 프레임 기간의 전반의 기간에 발광 기간을 집중시킬 수 있다.
도 20a∼도 20c는 제7 실시예와 같이, 흑 배경 상에 R 휘도 레벨 0, G 휘도 레벨 50, B 휘도 레벨 5의 상자 화상이, 화면 전체의 50%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서 나타낸 것이다.
도 20a는 3배속으로 표시한 경우에 관해서 1 프레임 기간에서의 표시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B는 동일 색의 서브 필드끼리를 등 휘도로 설정하여, R, G, B, R, G, B의 표시 순서로, 6배속으로 표시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20c는, 본 실시예의 방법에 근거하여, 평균 휘도 레벨이 높은 서브 필드부터 차례로, 6배속으로 표시한 경우에 관해서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서브 필드는, 제7 실시예와 같이, 평균 휘도 레벨이 높은 서브 필드군(Rh=10, Gh=30, Bh= 5), 평균 휘도 레벨이 낮은 서브 필드 군(R1=0, G1=20, B1= 0)으로 분리된다.
평균 휘도 레벨이 낮은 서브 필드 군 내에서, 서브 필드 화상을 휘도가 높은 쪽부터 차례로 배열하는 경우, 상기의 예에서는 R1= B1이 된다. 이와 같이 평균 휘도 레벨이 같은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순서로 표시하면 되며, 예를 들면 G1, R1, B1로 한다. 또한, 서브 필드 군 내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는 서브 필드 군 내에서, 각 서브 필드의 평균 휘도 레벨이 모두 같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표시 순서를 결정한다. 평균 휘도 레벨이 높은 서브 필드군부터 차례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그 앞의 서브 필드군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처리를 한다. 평균 휘도 레벨이 낮은 서브 필드군부터 차례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그 다음 서브 필드 군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처리를 한다. 예를 들면, R1= G1= B1이던 경우는, Rh, Gh 및 Bh 간의 평균 휘도 레벨을 비교하여, 서브 필드 군내의 표시 순서를 결정한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도 2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순서가 Gh, Rh, Bh, G1, R1, B1로 결정되어, 이들 서브 필드가 시간적으로 분할되어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1 프레임의 전반 또는 후반에 발광 기간을 집중시킬 수 있어, 1 프레임 기간의 발광 기간을 실질적으로 짧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홀드 효과에 의한 망막 상의 서브 필드 화상끼리의 왜곡량이 작아진다. 또한, 어긋나 있는 영역의 발광 강도도 작아진다. 또한, 동색의 서브 필드 화상이 시간적으로 이웃하여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어떤 색의 표시 기간이 길어짐에 따른 색상 방해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홀드 효과에 의한 색상 방해가 저감되어, 고품질의 동화상을 관찰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제9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15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영상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동체(moving object) 검출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제6 실시예 등과 동일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된 서브 필드 화상의 표시 순서를 결정할 때, 동체 검출 회로(241)에 의해 검출된 동체영역의 평균 휘도 레벨을 이용하여 서브 필드 화상의 표시 순서를 결정한다.
입력 영상 신호는, 역 γ보정 회로(221)에 의해 역 γ보정을 받은 후, 신호 분리 회로(222) 및 동체 검출 회로(241)에 입력한다. 동체 검출 회로(241)에서는, 입력 영상 신호의 1 프레임에서의 동체 영역을 검출한다. 동체 검출에는 몇개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적으로 이웃하는 2개의 프레임 화상에 관해서 에지 검출을 하여, 에지의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의 크기에 따라 동체 영역을 검출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동체가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동체의 크기나 움직임 벡터의 크기로부터 주동체 영역을 결정할지, 또는 복수의 동체 영역 전체를 그대로 동체 영역으로서 결정한다.
동체 검출 회로(241)로부터 출력된 동체 위치 정보는, 신호 분리 회로(222)에 의해 분리된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와 함께 평균 휘도 검출 회로(223a, 223b 및 223c)에 입력한다. 평균 휘도 검출 회로에서는,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 각각에 대하여 동체 영역에서의 평균 휘도 레벨이 검출된다. 이 동체 영역에서의 평균 휘도 레벨 신호는, 분리된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와 함께 순열 변환 회로(224)에 입력된다.
순열 변환 회로(224)는, 프레임 버퍼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임 버퍼를 이용하여,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를 평균 휘도 레벨 크기의 차례에 따라 오름 순서 또는 내림 순서로 배열한다. 순열 변환 회로(224)로부터는, 입력 영상 신호의 프레임 주파수의 3배의 주파수로,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가 시분할 영상 신호로서 출력된다. 시분할 영상 신호와,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의 순열을 나타내는 광원 제어 신호는 액정 패널 구동 회로(216)에 입력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입력 영상 신호를 서브 필드 화상에 분할함으로써, 홀드 효과에 의한 색상 방해가 발생하기 쉬운 동체 영역에 대하여 색상 방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 제10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도21에 나타낸 것과 유사하지만, 본 실시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이며, 관찰자의 주 시점 검출 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제9 실시예와 마찬가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패널(211)의 화상이, 반사 소자(251) 및 집광 렌즈(252)를 통하여 관찰자에게 시인된다. 그리고, 주 시점 검출 장치(253) 및 동체 검출 회로(241)에 의해 검출된 동체 영역의 평균 휘도 레벨을 이용하여, 서브 필드 화상의 표시순이 결정된다.
입력 영상 신호는, 역 γ보정 회로(221)에 의해서 역 γ보정을 받은 후, 신호 분리 회로(222) 및 동체 검출 회로(241)에 입력한다. 동체 검출 회로(241)에서는, 입력 영상 신호의 1 프레임에서의 동체 영역을 검출하여, 검출된 동체 영역 중, 주 시점 검출 장치(253)에 의해 검출된 관찰자의 주시점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주 동체 영역으로서 결정한다. 주 시점 영역이 동체가 아닌 경우는, 제9 실시예와 같은 처리에 의해 주 동체 영역을 결정한다. 주 시점 검출 방법에는 몇개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관찰자의 눈에 근적외 조명을 쪼였을 때의 각막 반사상과 동공 중심 위치에 기초하여 관찰자의 주 시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동체 검출 회로(241)로부터 출력된 동체 위치 정보(주동체 위치 정보)는, 신호 분리 회로(222)에 의해 분리된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와 함께 평균 휘도 검출 회로(223a3c223b 및 223c)에 입력한다. 평균 휘도 검출 회로에서는,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 각각에 대하여, 주 동체 영역에서의 평균 휘도 레벨이 검출된다. 이 주 동체 영역에서의 평균 휘도 레벨 신호는, 분리된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와 함께 순열 변환 회로(224)에 입력된다.
순열 변환 회로(224)는, 프레임 버퍼를 갖고 있다. 이 프레임 버퍼를 이용하여,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를, 평균 휘도 레벨 크기의 순서에 따라, 오름 순서 또는 내림 순서로 나열할 수 있다. 순열 변환 회로(224)로부터는, 입력 영상 신호의 프레임 주파수의 3배의 주파수로,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가 시분할 영상 신호로서 출력된다. 시분할 영상 신호와,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의 순열을 나타낸 광원 제어 신호는 액정 패널 구동 회로(216)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9 실시예와 같이 홀드 효과에 의한 색상 방해가 발생하기 쉬운 동체 영역에 대하여 색상 방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제6∼제10 실시예에 의하면, 1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여 계시 가법 혼색에 의한 컬러 화상 표시를 하는 경우에, 서브 필드 화상을 휘도가 높은 순서 또는 낮은 순서로 전환하여 동화 표시에서의 색상 방해를 줄일 수 있어 고품질의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5)

1 프레임 기간의 원 화상을 복수의 서브 필드 화상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 필드 화상을 시간축 방향에서 휘도값의 차례대로 배열하는 단계와,
상기 배열된 서브 필드 화상을 상기 휘도값의 차례대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 의해 얻어진 화상은, 공간 가법 혼색(spatial additive co1or mixing system)에 근거하는 컬러 화상인 화상 표시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 화상은 삼원색(three-primary colors)으로 형성된 컬러 화상이며,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원 화상을 각각이 삼원색으로 형성된 서브 필드 화상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 의해 얻어진 화상은, 계시 가법 혼색(field-sequentially additive color mixing system)에 근거하는 컬러 화상인 화상 표시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 화상은, 제1 원색, 제2 원색 및 제3 원색으로 이루어지는 삼원색으로 형성된 컬러 화상이며,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컬러 화상을 제1 원색으로 형성된 제1 화상, 제2 원색으로 형성된 제2 화상 및 제3 원색으로 형성된 제3 화상으로 분할하여 상기 서브 필드 화상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 화상은, 제1 원색, 제2 원색 및 제3 원색으로 이루어지는 삼원색으로 형성된 컬러 화상이며,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컬러 화상을 제1 원색으로 형성된 제1 화상, 제2 원색으로 형성된 제2 화상 및 제3 원색으로 형성된 제3 화상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화상을 각각 복수의 화상에 분할하여 상기 서브 필드 화상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 화상은, 삼원색으로 형성된 컬러 화상으로부터 분리된 단원색 화상이며,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단원색 화상을 복수의 화상으로 분할하여 상기 서브 필드 화상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원 화상의 휘도를 복수의 서브 필드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방법.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 화상의 휘도는, 소정의 휘도비에 따라 상기 서브 필드에 분배되는 화상 표시 방법.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원 화상의 휘도를 L, 상기 서브 필드의 수를 n(단, n은 2이상의 정수), 미리 정해진 최대 휘도를 Lmax로 할 때,
m 개(단, m은 0이상의 정수)의 서브 필드에 휘도 Lmax를 주는 단계와,
하나의 서브 필드에 휘도 n×L-m×Lmax(단, n×L-m×Lmax < Lmax)를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방법.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어떤 화소에 설정해야 할 휘도와 미리 정해진 최대 휘도와의 차분 휘도를 얻는 단계와,
상기 차분 휘도를 상기 어떤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에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 화상의 움직임(motlon)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서브 필드 화상의 수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표시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 화상의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움직임 영역의 평균 휘도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필드 화상은, 상기 움직임 영역의 평균 휘도에 따라 시간축 방향에서 휘도값의 차례대로 배열되는 화상 표시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드 화상은, 시간축 방향에서 휘도가 큰 쪽부터 차례로 배열되는 화상 표시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드 화상은, 시간축 방향에서 휘도가 작은 쪽부터 차례로 배열되는 화상 표시 방법.
KR1020020039601A 2001-07-10 2002-07-09 화상 표시 방법 KR100547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09689 2001-07-10
JP2001209689A JP3660610B2 (ja) 2001-07-10 2001-07-10 画像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066A true KR20030007066A (ko) 2003-01-23
KR100547066B1 KR100547066B1 (ko) 2006-01-31

Family

ID=1904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601A KR100547066B1 (ko) 2001-07-10 2002-07-09 화상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6970148B2 (ko)
JP (1) JP3660610B2 (ko)
KR (1) KR1005470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5236B2 (en) 2004-11-26 2009-04-0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OCB mode liquid crystal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901612B1 (ko) * 2005-05-11 2009-06-0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표시 장치
US7679706B2 (en) 2004-11-24 2010-03-1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CD and fabricating method with common electrode on top substrate having at least two apertures disposed to face about midway of pixel electrode on bottom substrate
KR101435466B1 (ko) * 2007-01-07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백라이트 스캐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6350B2 (en) * 2000-07-07 2006-09-12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660610B2 (ja) * 2001-07-10 2005-06-15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方法
JP3879484B2 (ja) * 2001-10-30 2007-02-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4064268B2 (ja) * 2002-04-10 2008-03-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サブフィールド法を用いた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7030894B2 (en) * 2002-08-07 2006-04-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JP4649108B2 (ja) * 2003-01-16 2011-03-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4079793B2 (ja) 2003-02-07 2008-04-23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方法、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利用可能なデータ書込回路
US7098936B2 (en) * 2003-03-11 2006-08-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including optical scaling
US20080018983A1 (en) * 2006-07-12 2008-01-24 Fusao Ishii Color display system for reducing a false color between each color pixel
JP4341839B2 (ja) 2003-11-17 2009-10-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液晶テレビジョン装置、液晶モニタ装置、画像表示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858947B2 (ja) * 2003-11-17 2012-01-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液晶テレビジョン装置、液晶モニタ装置、画像表示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173387A (ja) * 2003-12-12 2005-06-30 Nec Corp 画像処理方法、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表示装置
WO2005073952A1 (ja) * 2004-01-28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発光方法、発光装置、投写型表示装置
US20050225570A1 (en) * 2004-04-08 2005-10-13 Collins David C Generating and displaying spatially offset sub-frames
US7660485B2 (en) * 2004-04-08 2010-0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enerating and displaying spatially offset sub-frames using error values
US20050225571A1 (en) * 2004-04-08 2005-10-13 Collins David C Generating and displaying spatially offset sub-frames
EP1591992A1 (en) * 2004-04-27 2005-11-02 Thomson Licensing, S.A. Method for grayscale rendition in an AM-OLED
US7657118B2 (en) * 2004-06-09 2010-0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enerating and displaying spatially offset sub-frames using image data converted from a different color space
EP1784810A2 (en) * 2004-06-14 2007-05-16 Genoa Color Technologies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of response time compensation
US20050275669A1 (en) * 2004-06-15 2005-12-15 Collins David C Generating and displaying spatially offset sub-frames
US7668398B2 (en) * 2004-06-15 2010-02-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enerating and displaying spatially offset sub-frames using image data with a portion converted to zero values
US7453478B2 (en) * 2004-07-29 2008-11-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dress generation in a light modulator
KR100640894B1 (ko) * 2004-09-07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의 제어 장치 및 제어방법
US7474319B2 (en) * 2004-10-20 2009-0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enerating and displaying spatially offset sub-frames
KR100701089B1 (ko) 2004-11-12 2007-03-29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계조구현 방법
TW200623897A (en) * 2004-12-02 2006-07-01 Seiko Epson Corp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play device, and projector
JP2006234849A (ja) 2005-02-21 2006-09-07 Nec Lcd Technologies Ltd 液晶表示装置及び該液晶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駆動方法
CN101103390B (zh) 2005-02-21 2010-06-09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显示监视器和电视接收机
US7907155B2 (en) * 2005-03-04 2011-03-15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US7990358B2 (en) * 2005-03-14 2011-08-0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JP4499154B2 (ja) * 2005-03-14 2010-07-0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モニタ、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WO2006098246A1 (ja) 2005-03-15 2006-09-21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液晶表示装置
US7956876B2 (en) 2005-03-15 2011-06-07 Sharp Kabushiki Kaisha Drive method of display device, drive unit of display device, program of the drive unit and storage medium thereof,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rive unit
US8253678B2 (en) 2005-03-15 2012-08-28 Sharp Kabushiki Kaisha Drive unit and display device for setting a subframe period
US20090122207A1 (en) * 2005-03-18 2009-05-14 Akihiko Inoue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onitor, and Television Receiver
US20080136752A1 (en) * 2005-03-18 2008-06-12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onitor and Television Receiver
JP4722517B2 (ja) * 2005-03-18 2011-07-1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モニター、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FR2884640A1 (fr) * 2005-04-15 2006-10-20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d'affichage d'une image video et panneau d'affichage mettant en oeuvre le procede
CN100552753C (zh) * 2005-05-11 2009-10-21 株式会社日立显示器 显示装置
JP5220268B2 (ja) * 2005-05-11 2013-06-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US8519988B2 (en) 2005-06-13 2013-08-2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drive control device thereof, scan signal line driving method, and drive circuit
JP2007122018A (ja) * 2005-09-29 2007-05-17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WO2007052441A1 (ja) * 2005-11-07 2007-05-10 Sharp Kabushiki Kaisha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110788B2 (ja) * 2005-11-21 2012-1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JP5201705B2 (ja) * 2005-11-24 2013-06-05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映像信号の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4722942B2 (ja) * 2005-11-25 2011-07-1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モニター、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201048B1 (ko) 2005-12-27 2012-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2007192919A (ja) * 2006-01-17 2007-08-02 Olympus Corp 画像表示装置
KR20070080660A (ko) * 2006-02-08 2007-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패널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2007212591A (ja) * 2006-02-08 2007-08-23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4799225B2 (ja) * 2006-03-08 2011-10-26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4580356B2 (ja) * 2006-03-08 2010-11-10 大塚電子株式会社 動画応答曲線の測定方法及び装置
WO2007108158A1 (ja) * 2006-03-22 2007-09-27 Sharp Kabushiki Kaisha 画像表示方法、複合型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信機、モニタ装置
JP2007271842A (ja) * 2006-03-31 2007-10-18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WO2007119731A1 (ja) * 2006-04-11 2007-10-25 Panasonic Corporation 画像表示装置
TWI357041B (en) * 2006-05-08 2012-01-21 Chimei Innolux Corp Method for driving pixels and displaying images
JP2007316483A (ja) * 2006-05-29 2007-12-06 Hitachi Ltd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装置用の駆動回路及び映像表示方法
US8106865B2 (en) 2006-06-02 2012-01-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8009391A (ja) * 2006-06-02 2008-01-1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EP2048649A4 (en) * 2006-07-31 2010-09-08 Sony Corp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315376B1 (ko) * 2006-08-02 2013-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그 영상 신호 보정 방법
JP4491646B2 (ja) 2006-09-08 2010-06-3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JP4231071B2 (ja) * 2006-09-20 2009-02-25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8111910A (ja) * 2006-10-30 2008-05-15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処理回路および映像表示装置
JP2008185905A (ja) * 2007-01-31 2008-08-14 Sanyo Electric Co Ltd 映像表示装置
US8643681B2 (en) * 2007-03-02 2014-02-04 Silicon Quest Kabushiki-Kaisha Color display system
JP2008261984A (ja) * 2007-04-11 2008-10-30 Hitachi Ltd 画像処理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20080284881A1 (en) * 2007-05-17 2008-11-20 Ike Ikizya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motion blur reduction
EP2187380A4 (en) * 2007-09-14 2011-05-04 Sharp Kk IMAGE DISPLAY AND IMAGE DISPLAY METHOD
KR20090037084A (ko) * 2007-10-11 2009-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의 영상신호처리방법
KR20090037675A (ko) * 2007-10-12 2009-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의 영상신호처리방법
US20090135313A1 (en) * 2007-11-21 2009-05-28 Taro Endo Method for projecting colored video image and system thereof
TWI473055B (zh) * 2007-12-28 2015-02-11 Innolux Corp 平面顯示器及其驅動方法
JP5219609B2 (ja) * 2008-05-01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レームレート変換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127690A (ko) * 2008-06-09 2009-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A2637477A1 (en) * 2008-07-10 2010-01-10 Barco N.V. Controlling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for a pixel of a liquid crystal display
RU2475867C2 (ru) * 2008-08-22 2013-02-20 Шарп Кабушики Каиш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игнала изобра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4780422B2 (ja) * 2008-12-22 2011-09-2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CN101777314B (zh) * 2009-01-09 2013-10-1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平面显示器及其驱动方法
JP5152084B2 (ja) * 2009-04-15 2013-02-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TWI437509B (zh) * 2009-08-18 2014-05-11 Ind Tech Res Inst 光資訊接收方法
US8643707B2 (en) * 2009-09-07 2014-02-04 Panasonic Corporatio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JP5821165B2 (ja) * 2009-09-18 2015-11-24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制御装置、画像制御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2010039495A (ja) * 2009-09-25 2010-02-1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TWI420492B (zh) * 2009-10-29 2013-12-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色彩序列顯示裝置
KR101328787B1 (ko) * 2010-05-07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TWI466088B (zh) * 2012-01-06 2014-12-21 Innolux Corpration 顯示裝置
US9082338B2 (en) 2013-03-14 2015-07-14 Pixtronix, Inc. Display apparatus configured for selective illumination of image subframes
US20150049122A1 (en) * 2013-08-19 2015-02-19 Pixtronix, Inc. Display Apparatus Configured For Image Formation With Variable Subframes
CN106062861B (zh) * 2014-02-26 2019-06-11 夏普株式会社 场序图像显示装置和图像显示方法
KR101866779B1 (ko) * 2014-04-02 201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72129A1 (ja) * 2014-11-05 2016-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ィールドシーケンシャ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20160180758A1 (en) * 2014-12-23 2016-06-23 Pixtronix, Inc. Display apparatus incorporating a channel bit-depth swapping display process
CN109120859B (zh) * 2017-06-26 2022-03-25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影像数据处理装置及拍摄设备、显示系统
US11238812B2 (en) * 2018-10-02 2022-02-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mage motion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3523A (ja) 1992-03-30 1993-10-22 Toppan Printing Co Ltd 階調表示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3154878B2 (ja) * 1993-08-05 2001-04-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フレームデューティ駆動方法
JPH096287A (ja) * 1995-06-15 1997-01-10 Toshiba Corp 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3417246B2 (ja) * 1996-09-25 2003-06-16 日本電気株式会社 階調表示方法
JP3941167B2 (ja) 1997-03-24 2007-07-04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3758294B2 (ja) * 1997-04-10 2006-03-2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ディスプレイ装置の動画補正方法及び動画補正回路
DE69841390D1 (de) * 1997-07-24 2010-01-28 Panasonic Corp Bildanzeigevorrichtung und Bildbewertungseinrichtung
DE69839542D1 (de) * 1997-08-07 2008-07-10 Hitachi Ltd Farbbildanzeigeeinrichtung und -verfahren
JP3229250B2 (ja) 1997-09-12 2001-11-1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画像表示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3045284B2 (ja) * 1997-10-16 2000-05-29 日本電気株式会社 動画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H11259020A (ja) 1998-03-13 1999-09-24 Omron Corp 画像表示装置
US6097368A (en) * 1998-03-31 2000-08-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mpany, Ltd. Motion pixel distortion reduction for a digital display device using pulse number equalization
JP3535769B2 (ja) 1998-06-24 2004-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及び該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
JP2000010076A (ja) 1998-06-24 2000-01-14 Canon Inc 液晶素子
US6518997B1 (en) * 1998-08-05 2003-02-1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Grid arra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6597331B1 (en) * 1998-11-30 2003-07-22 Orion Electric Co. Ltd. Method of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TW548477B (en) 1999-04-28 2003-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play device
US6831948B1 (en) * 1999-07-30 2004-12-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motion compensation of image planes in color sequential displays
JP2001159883A (ja) * 1999-09-20 2001-06-1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駆動回路および電気光学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JP3873544B2 (ja) * 1999-09-30 2007-0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01125529A (ja) * 1999-10-29 2001-05-11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階調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JP2001281627A (ja) 2000-03-30 2001-10-10 Canon Inc 液晶装置
JP3660610B2 (ja) * 2001-07-10 2005-06-15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9706B2 (en) 2004-11-24 2010-03-1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CD and fabricating method with common electrode on top substrate having at least two apertures disposed to face about midway of pixel electrode on bottom substrate
US7515236B2 (en) 2004-11-26 2009-04-0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OCB mode liquid crystal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901612B1 (ko) * 2005-05-11 2009-06-0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표시 장치
KR101435466B1 (ko) * 2007-01-07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백라이트 스캐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60610B2 (ja) 2005-06-15
US20050156843A1 (en) 2005-07-21
US6970148B2 (en) 2005-11-29
KR100547066B1 (ko) 2006-01-31
US7295173B2 (en) 2007-11-13
JP2003022061A (ja) 2003-01-24
US20030011614A1 (en) 200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066B1 (ko) 화상 표시 방법
KR100485557B1 (ko) 표시 장치
JP5401827B2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3766274B2 (ja) 時分割カラー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5863925B2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9412316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of displaying a more-than-three primary color image
EP192797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rea adaptive backlight
US7106350B2 (en) Display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961038B2 (en)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535799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4768344B2 (ja) 表示装置
US7667720B2 (en) Image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used in same
US20060202945A1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reduced flickering and blur
US7593007B2 (en) Color-sequential display method
US20180166033A1 (en) Display and display method
TW200844929A (en) Mixed color sequential controlling method and back 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102864A1 (en) Driving method for color sequential display
US20080030514A1 (en) Display device
JP2014032412A (ja) ホールド型画像表示システム
Chen et al. Mixed color sequential technique for reducing color breakup and motion blur effects
JP2011141557A (ja) 表示装置
JP2004355017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4271719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2062853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4089278B2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