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012A - 카드용 커넥터장치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07012A KR20030007012A KR1020020036922A KR20020036922A KR20030007012A KR 20030007012 A KR20030007012 A KR 20030007012A KR 1020020036922 A KR1020020036922 A KR 1020020036922A KR 20020036922 A KR20020036922 A KR 20020036922A KR 20030007012 A KR20030007012 A KR 200300070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d
- slide member
- housing
- contact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6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keeping the feeding or insertion slot of the card station clean of dirt, or to avoid feeding of foreign or unwanted objects into the slot
- G06K13/0887—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keeping the feeding or insertion slot of the card station clean of dirt, or to avoid feeding of foreign or unwanted objects into the slot the arrangement comprising a size filter for filtering out only cards having the proper siz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the connector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eiving a plurality of cards in the same insertion slot
- G06K7/004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the connector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eiving a plurality of cards in the same insertion slot the plurality of cards be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e.g. SD card and memory stick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4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edg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단자를 카드의 삽입방향에 따라 전후에 배치하여 길이가 다른 카드를 삽입장착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카드의 삽입시에 각 카드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부재 (6) 에, 카드의 배출위치에 있어서 제 1 커넥터단자 (2) 가 수납부 (1a) 내로 돌출하는 것을 규제하는 누름판부 (6f) 와, 제 2 카드 (11) 와는 맞닿지 않고 제 1 카드 (10) 만 맞닿는 제 1 걸림부 (6c, 6d) 와, 제 2 카드 (11) 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2 걸림부 (6e) 를 형성하며, 제 2 카드 (11) 의 삽입시에는, 제 2 카드 (11) 가 제 1 걸림부 (6c, 6d) 를 통과하여 제 2 걸림부 (6e) 와 맞닿은 후에 슬라이드부재 (6) 가 카드의 배출위치로부터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이동함으로써, 제 1 커넥터단자 (2) 가 누름판부 (6f) 의 규제로부터 벗어나 수납부 (1a) 내로 돌출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전화, PC 등 각종 휴대정보단말기, 디지털카메라, 디지털 AV 기기 등의 메모리대응기기에 이용되는 소형메모리카드에 사용되는,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PC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의 증설기록장치로서 카드용 커넥터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기억매체로서는 PC 카드나 메모리카드가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 PC 카드나 메모리카드를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삽입장착하여 필요한 정보의 기입, 및 읽기를 행하는 것이지만, 최근의 소형 메모리카드에는, 길이가 긴 것, 짧은 것, 두께가 두꺼운 것, 얇은 것 등, 형상이 상이한 여러 종류의 메모리카드가 개발되고 있고, 이들에 대응하여 카드용 커넥터장치도 여러 종류의 것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카드용 커넥터장치로서는 1종류의 메모리카드만 대응하고 있어, 하나의 카드용 커넥터장치에는 특정한 하나의 메모리카드 밖에 삽입장착 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여러 종류의 메모리카드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각각의 메모리카드전용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각각의 메모리카드전용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준비하는 경우에는,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탑재하는 전자기기가 대형화하게 되고, 또한, 메모리카드를 삽입장착할 때에, 종류가 다른 메모리카드를 실수로 별도의 카드용 커넥터에 삽입하는 불합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길이가 다른 두개의 카드를 삽입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각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촉 가능한 커넥터단자부를 카드의 삽입방향에 따라 전후 이열로 배치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조에서는, 긴 쪽의 카드를 삽입하는 경우, 긴 카드는 앞측에 배치된 커넥터단자를 넘어 내측에 배치된 커넥터단자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긴 카드는 앞측의 커넥터단자와 마찰되어 저면이 마모되거나, 삽입시의 저항이 크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각의 카드에 대하여 배출기구를 설치하면 구성이 복잡화할 뿐만 아니라, 장치전체가 대형화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커넥터단자를 카드의 삽입방향에 따라 전후에 배치하여 길이가 다른 카드를 삽입장착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카드의 삽입시에 각 카드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가 있는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카드를 간단한 구성으로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카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카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카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카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카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카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 카드의 배출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 카드의 배출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1 카드의 삽입장착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1 카드의 삽입장착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2 의 카드의 배출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2 의 카드의 배출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2 의 카드의 삽입장착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2 의 카드의 삽입장착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1 의 카드의 배출시의 유지부재와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설명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1 의 카드의 삽입장착시의 유지부재와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설명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1 의 슬라이드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2 의 슬라이드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1 의 카드의 배출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1 의 카드의 배출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제 1 의 카드의 삽입장착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제 1 카드의 삽입장착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제 2 카드의 배출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2 카드의 배출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2 카드의 삽입장착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0 은 본 발명의 제 2 카드의 삽입장착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1a 수납부1b 카드삽입부
1c 제 1 개구부1d 제 2 개구부1e 제 3 개구부
1f 평탄부1g 가이드부1h 스프링 수납부
1i 축구멍1j 가압 맞닿음부2 제 1 커넥터단자
2a 접속편2b 접촉편2c 접점부
3 제 2 커넥터단자3a 접속편3b 접촉편
3c 접점부4 복귀스프링5 로크핀 (lock pin)
6 슬라이드부재6a 제 1 카드수용부6b 제 2 카드수용부
6c, 6d 제 1 걸림부6e 제 2 걸림부6f 누름판부
6g 스프링 걸림부6h 하트형캠홈7 제 1 유지부
7a 지지편부7b 걸어맞춤편부7c 설편 (舌片) 부
7d 경사면8 제 2 유지부8a 지지편부
8b 걸어맞춤편부8c 설편부8d 경사면
9 커버부재9a 가압맞닿음부9b 탄성스프링편
10 제 1 카드 10a 접촉단자부10b 절결부
10c 오목홈부10d 식별자10e 유지용 오목부
10f 잘림홈부11 제 2 카드11a 접촉단자부
11b 절결부11c 유지용 오목부14 제 1 복귀스프링
16 제 1 슬라이드부재16a 제 1 카드수용부16c, 16d 제 1 걸림부
16f 누름판부17 제 1 유지부재18 제 2 유지부재
24 제 2 복귀스프링25 로크핀26 제 2 슬라이드부재
26a 제 2 카드수용부26b 제 2 걸림부26c 스프링 걸림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길이가 짧은 제 1 카드와, 길이가 긴 제 2 카드의 양쪽이 삽입장착 가능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카드삽입방향에 따라 전후 이열로 병설 (竝設) 되고, 상기 제 1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속되는 제 1 커넥터단자와, 상기 제 2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속되는 제 2 커넥터단자와, 카드의 삽입에 따라 카드삽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부재와, 이 슬라이드부재를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로크하는로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카드의 배출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단자와 맞닿아 상기 제 1 커넥터단자가 상기 수납부내로 돌출하는 것을 규제하는 누름판부와, 전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카드와는 맞닿지 않고 상기 제 1 카드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1 걸림부와, 이 제 1 걸림부보다 후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카드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2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카드의 삽입시에는, 상기 제 2 카드가 상기 제 1 걸림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걸림부와 맞닿은 후에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카드의 배출위치로부터 카드의 삽입장착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단자가 상기 누름판부의 규제로부터 벗어나 상기 카드수납부내로 돌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수단으로서, 길이가 짧은 제 1 카드와, 길이가 긴 제 2 카드의 양쪽이 삽입장착 가능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카드삽입방향에 따라 전후 이열로 병설되고, 상기 제 1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속되는 제 1 커넥터단자와, 상기 제 2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속되는 제 2 커넥터단자와, 카드의 삽입에 따라 카드삽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부재와, 이 슬라이드부재를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로크하는 로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전후로 둘로 분할된 제 1 슬라이드부재와 제 2 슬라이드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에는, 카드의 배출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단자와 맞닿아 상기 제 1 커넥터단자가 상기 수납부내로 돌출하는 것을 규제하는 누름판부와, 전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카드와는 맞닿지 않고 상기 제 1 카드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1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에는, 후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카드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2 걸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카드의 삽입시에는, 상기 제 1 카드가 상기 제 1 걸림부와 맞닿은 후에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가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를 누르면서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이동하고, 상기 제 2 카드의 삽입시에는, 상기 제 2 카드가 상기 제 1 걸림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걸림부와 맞닿은 후에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만이 카드의 삽입장착위치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카드는 폭이 넓고 또한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카드는 상기 제 1 카드보다 폭이 좁고, 또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걸림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내측부의 대향된 위치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걸림부 사이의 폭을 상기 제 1 카드의 폭보다도 좁고, 또한 상기 제 2 카드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서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로크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 또는 상기 하우징 중의 어느 일방에 형성된 하트형캠홈과, 다른쪽에 형성되고, 이 하트형캠홈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30 에 나타낸다. 도 1 은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평면도, 도 2 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3 은 하우징의 평면도, 도 4 는 슬라이드부재의 평면도, 도 5 는 제 1 카드의 평면도, 도 6 은 정면도, 도 7 은 저면도, 도 8 은 제 2 카드의 평면도, 도 9 는 정면도, 도 10 은 저면도, 도 11 은 제 1 카드의 배출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평면도, 도 12 는 종단면도, 도 13 은 제 1 카드의 삽입장착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평면도, 도 14 는 종단면도, 도 15 는 제 2 카드의 배출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평면도, 도 16 은 종단면도, 도 17 은 제 2 카드의 삽입장착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평면도, 도 18 은 종단면도, 도 19 는 제 1 카드의 배출시의 유지부재와의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설명도, 도 20 은 제 1 카드의 삽입장착시의 유지부재와의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설명도, 도 21 내지 도 30 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21 은 제 1 슬라이드부재의 평면도, 도 22 는 제 2 슬라이드부재의 평면도, 도 23 은 제 1 카드의 배출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평면도, 도 24 는 종단면도, 도 25 는 제 1 카드의 삽입장착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평면도, 도 26 은 종단면도, 도 27 은 제 2 카드의 배출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평면도, 도 28 은 종단면도, 도 29 는 제 2 카드의 삽입장착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평면도, 도 30 은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있어서, 하우징 (1) 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전방 및 상방이 개구된 방 (方) 형상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 (1) 의 중앙에는 수납부 (1a)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하우징 (1) 에는, 상기 수납부 (1a) 에 연속하여 하우징 (1) 의 전면까지 연장되는 카드삽입부 (1b)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 (1a) 에는,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커넥터단자 (2, 3) 가 복수개 병설되어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는, 상기 수납부 (1a) 의 대략 중앙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평판형상의 기부와, 이 기부에서 서로대향하는 방향으로 대략 Z 자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접속편 (2a) 및 접촉편 (2b) 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는, 일단측에 형성된 상기 접속편 (2a) 이, 상기 수납부 (1a) 의 저면부에 형성된 제 1 개구부 (1c) 로부터 외측으로 표출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접속편 (2a) 이 전자기기 등의 외부의 회로기판상의 회로패턴과 납땜됨으로써 신호의 전송이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기부의 타단측에 형성된 상기 접촉편 (2b) 이, 상기 수납부 (1a) 의 저면부에 형성된 제 2 개구부 (1d) 에서 상기 수납부 (1a) 내로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촉편 (2b) 의 선단측에는, 후술하는 제 1 카드 (10) 의 접촉단자부 (10a) 에 접속되는 접점부 (2c)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커넥터단자 (3) 는, 상기 수납부 (1a) 의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배치위치보다도 안쪽으로 배치되어 있고, 평판형상의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접속편 (3a) 및 접촉편 (3b) 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커넥터단자 (3) 는, 일단측에 형성된 상기 접속편 (3a) 이, 상기 수납부 (1a) 의 저면부에 형성된 제 3 개구부 (1e) 로부터 외측으로 표출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접속편 (3a) 이 전자기기 등의 외부의 회로기판상의 회로패턴과 납땜되어 고착됨으로써 신호의 전송이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커넥터단자 (3) 의 기부의 타단측에 대략 U 자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상기 접촉편 (3b) 이, 상기 수납부 (1a) 내로 돌출하여 배치되어있다. 또한, 상기 접촉편 (3b) 의 선단측에는, 후술하는 제 2 카드 (11) 의 접촉단자부 (11a) 에 접속되는 접점부 (3c)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드삽입부 (1b) 에는,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카드 (10, 11) 의 평면부를 안내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평탄부 (1f) 가 형성되어 있고, 이 평탄부 (1f) 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카드 (10, 11) 의 측면부를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 (1g, 1g)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드삽입부 (1b) 는, 최대폭이 제 1 카드 (10) 의 폭과 대략 같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최대두께는 제 2 카드 (11) 의 두께와 대략 같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1) 의 일측부 후방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부재 (6) 를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스프링 (4) 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 (1h)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스프링 수용부 (1h) 와 대향하는 일측부 전방에는, 슬라이드부재 (6) 를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유지하는 금속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로크핀 (5) 의 일단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 하는 축구멍 (1i)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1) 의 타측부 중앙에는, 상기 수납부 (1a)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압맞닿음부 (1j)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압맞닿음부 (1j) 에 후술하는 슬라이드부재 (6) 에 고착된 제 2 유지부재 (8) 의 설편부 (8c) 가 맞닿아 지지되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 (6)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부재 (6) 에는, 앞측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제 1 카드 (10) 가 수용되는 제 1 카드수용부 (6a) 와, 이 제 1 카드수용부 (6a) 보다 후방측에 위치하고 후술하는제 2 카드 (11) 가 수용되는 제 2 카드수용부 (6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수용부 (6a) 의 내측부의 대향한 위치에는, 제 1 카드 (10) 의 양측전단부와 맞닿는 한 쌍의 제 1 걸림부 (6c, 6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걸림부 (6c, 6d) 상호간의 폭치수는, 제 1 카드 (10) 의 폭보다도 좁고, 또한 제 2 카드 (11) 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카드수용부 (6b) 의 전단부에는, 제 2 카드 (11) 의 앞가장자리부와 맞닿는 옆문창살형상 (橫棧狀) 의 제 2 걸림부 (6e)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수용부 (6a) 의 앞부분에는, 옆문창살형상으로 걸쳐진 누름판부 (6f)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판부 (6f) 는, 상기 슬라이드부재 (6) 가 카드의 배출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과 맞닿으며,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이 상기 수납부 (1a) 내로 돌출하는 것을 규제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수용부 (6a) 의 일측면부에는, 수용되는 제 1 카드 (10) 의 측면부에 형성된 유지용 오목부 (10e) 에 걸어맞춤하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유지부재 (7) 가 고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카드수용부 (6b) 의 일측면부에는, 동일하게, 수용되는 제 2 카드 (11) 의 측면부에 형성된 유지용 오목부 (11c) 에 걸어맞춤하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유지부재 (8) 가 고착되어있다.
상기 제 1, 제 2 유지부재 (7, 8) 는, 외팔보형상으로 지지된 지지편부 (7a, 8a) 와, 이 지지편부 (7a, 8a) 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걸어맞춤편부 (7b, 8b) 와,이 걸어맞춤편부 (7b, 8b) 에 대향하여 형성된 설편부 (7c, 8c) 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설편부 (7c, 8c) 에는, 상기 지지편부 (7a, 8a) 의 자유단측에, 외측으로 향하여 굴곡된 경사면 (7d, 8d)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재 (6) 가, 카드의 삽입장착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설편부 (7d, 8d) 가 후술하는 커버부재 (9) 의 가압맞닿음부 (9a), 및 상기 하우징 (1) 의 가압맞닿음부 (1j) 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걸어맞춤편부 (7b, 8b) 를 상기 지지편부 (7a, 8a) 와 같이 카드의 유지용 오목부 (10e, 11c) 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규제하게 되어있다. 이 때, 상기 경사면 (7d, 8d) 에, 상기 가압맞닿음부 (9a, 1j) 가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상기 지지편부 (7a, 8a) 가 만곡 (彎曲) 하게 탄성지지되어 상기 걸어맞춤편부 (7b, 8b) 가 상기 카드의 유지용 오목부 (10e, 11c) 에 탄성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지부재 (7, 8) 를, 탄성을 갖는 금속판이 가지는 자신의 탄성을 이용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카드를 삽입장착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스프링수용부 (1h) 에 수용된, 상기 복귀스프링 (4) 의 일단측이 걸리는 스프링 걸림부 (6g)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일단측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일단측에 축지지된 상기 로크핀 (5) 의 타단이 슬라이딩접촉되는 하트형캠홈 (6h)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핀 (5) 과 상기 하트형캠홈 (6h) 과의 협동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 (6) 는, 상기 복귀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유지된다.
커버부재 (9) 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1) 의 상면측의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 (1) 의 상면측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부재 (9) 의 일측부에는, 절곡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측으로 돌출된 가압맞닿음부 (9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압맞닿음부 (9a) 에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에 고착된 제 1 유지부재 (7) 의 설편부 (7c) 가 맞닿아 지지된다. 또한, 동일하게 절곡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1) 에 축지지된 상기 로크핀 (5) 을 탄성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하트형캠홈 (6h) 과 슬라이딩접촉시키기 위한 탄성스프링편 (9b) 이 상기 로크핀 (5) 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부재 (9) 는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배치된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단자 (2, 3) 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복사 (輻射) 노이즈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시일드판의 역할도 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7 에 있어서, 제 1 카드 (10) 는, 내부에 집적회로 (IC) 가 수납되어 있으며, 기록매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제 1 카드 (10) 의 일표면에는, 그 일단측에 복수의 접촉단자부 (10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촉단자부 (10a) 가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배치된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과 접촉함으로써, 외부에 접속된 전자기기와의 여러 정보처리가 행하여지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 (10) 에는, 상기 접촉단자부 (10a) 의 형성측의 그 한구석부에, 사면형상의 절결부 (10b)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카드 (10) 가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제 1 카드수용부 (6a) 에 삽입되었을 때, 이 절결부 (10b) 와 타단측의 각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제 1 카드수용부 (6a) 의 제 1 걸림부 (6c, 6d) 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재 (6) 가 상기 제 1 카드 (10) 의 삽입에 따라 삽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 (10) 의 일측면부에는, 카드의 기입금지를 나타내는 식별부인 오목홈부 (10c) 가 형성되며, 이 오목홈부 (10c) 에는 슬라이드 가능한 식별자 (10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식별자 (10d) 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오목홈부 (10c) 의 위치를 변경할 수가 있고, 이 위치에 따라서 카드에의 기입의 가부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 (10) 의 타측면부에는, 유지용 오목부 (10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용 오목부 (10e) 에 상기 제 1 카드수용부 (6a) 의 일측면부에 형성된 탄성을 갖는 상기 제 1 걸어맞춤편 (7) 이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제 1 카드 (10) 를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제 1 카드수용부 (6a) 에 유지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 (10) 의 하면측 양단부에는 길이가 긴형상의 절결홈부 (10f)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홈부 (10f) 를 제외한 최대폭치수는 약간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하여 최대두께 치수는 약간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있다.
도 8 내지 도 10 에 있어서, 제 2 카드 (11) 는, 내부에 집적회로 (IC) 가 수납되어 있으며, 기록매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제 2 카드 (11) 의 일표면에는, 그 일단측에 복수의 접촉단자부 (11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촉단자부(11a) 가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배치된 상기 제 2 커넥터단자 (3) 의 접촉편 (3b) 과 접촉함으로써, 외부에 접속된 전자기기와의 여러 정보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 제 2 카드 (11) 의 일단부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절결부 (11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 (11b) 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제 2 카드 (11) 의 일측면부에는, 유지용오목부 (11c)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카드 (11) 를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제 2 카드수용부 (6b) 에 삽입할 때, 이 유지용오목부 (11c) 에, 상기 제 2 카드수용부 (6b) 의 일측면부에 형성된 탄성을 갖는 상기 제 2 걸어맞춤편 (8) 이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제 2 카드 (11) 를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제 2 카드수용부 (6b) 에 유지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 카드 (11) 가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제 2 카드수용부 (6b) 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 2 카드 (11) 의 앞가장자리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제 2 카드수용부 (6b) 의 제 2 걸림부 (6e) 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재 (6) 가 상기 제 2 카드 (11) 의 삽입에 따라서 삽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카드 (11) 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카드 (10) 에 비교하여 최대폭치수는 약간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반하여 최대두께치수는 약간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 삽입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 1 카드 (10) 보다도 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과 같이, 형상이 다른 각각의 상기 제 1 카드 (10), 및 상기 제 2카드 (11) 를 상기 하우징 (1) 의 카드삽입부 (1b) 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카드삽입부 (1b) 의 상기 가이드부 (1g, 1g) 는, 최대폭이 넓고 두께가 얇은 상기 제 1 카드 (10) 의 폭과 대략 같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최대두께는 폭이 좁고 두께가 두꺼운 상기 제 2 카드 (11) 의 두께와 대략 같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카드 (10, 11) 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형상이 다른 복수종류의 카드를 원활하게, 또한 확실하게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안내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카드 (11) 는 상기 제 1 카드 (10) 보다도 삽입방향의 길이가 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는, 상기 제 1 카드 (10) 의 접촉단자부 (10a) 와 접촉하는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와, 상기 제 2 카드 (11) 의 접촉단자부 (11a) 와 접촉하는 상기 제 2 커넥터단자 (3) 를, 카드의 삽입방향에 다르게 하여, 각각의 상기 접촉단자부 (10a, 11a) 의 형성위치에 대응시켜 배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형상이 다른 복수종류의 카드와, 이들을 삽입장착하는 커넥터장치의 커넥터단자와의 접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배치된 상기 제 2 커넥터단자 (3) 의 배치위치는,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배치위치보다도 카드삽입부의 안쪽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1) 에 삽입장착된 상기 제 1 카드 (10) 의 뒤가장자리부와, 상기 하우징 (1) 에 삽입장착된 상기 제 2 카드 (11) 의 뒤가장자리부와의 돌출위치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하였으므로, 형상이 다른 복수종류의 카드를, 동일의 커넥터장치에 삽입장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돌출위치가 편차가 발생하는 일없이 외견이 양호하게 된다.
다음에, 도 11 내지 도 20 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카드 (10), 및 제 2 카드 (11) 를 커넥터장치에 삽입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초기의 상태, 즉 상기 제 1 카드 (10) 가 배출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 (6) 는 상기 복귀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힘이 인가 되어 있고,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은,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누름판부 (6f) 에 의해 상기 수납부 (1a) 내로 돌출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카드 (10) 의 접촉단자부 (10a) 는 상기 접촉편 (2b) 의 접점부 (2c) 와는 이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카드 (10) 는, 상기 제 1 유지부재 (7) 의 걸어맞춤편부 (7b) 에 의해 상기 유지용오목부 (10e) 가 걸어맞춤되어 상기 제 1 카드수용부 (6a) 에 유지되어 있다. (도 11, 도 12)
또한, 이 때에는, 상기 제 1 유지부재 (7) 의 걸어맞춤편부 (7b) 에 대향하여 형성된 상기 설편부 (7c) 는, 상기 커버부재 (9) 에 돌출하여 형성된 상기 가압맞닿음부 (9a) 와는 맞닿지 않고 이간되어 있으며, 이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카드 (10) 를 꺼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유지부재 (7) 의 지지편부 (7a) 가 휨으로써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도 19)
다음에, 상기 제 1 카드 (10) 를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 1 의 카드 (10) 의 절결부 (10b) 와 타단측의 각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제 1 카드수용부 (6a) 의 제 1 걸림부 (6c, 6d) 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재 (6) 가 상기 제 1 카드 (10) 의 삽입에 따라 삽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상기 복귀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 (6) 가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로크핀 (5) 의 일단부가 상기 하트형캠홈 (6h) 을 따라서 로크위치에 로크된다. (도 13, 도 14)
이 경우,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누름판부 (6f) 가,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의 규제위치로부터 벗어나, 상기 제 1 카드 (10) 의 접촉단자부 (10a) 와 상기 접촉편 (2b) 의 접점부 (2c) 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 유지부재 (7) 의 걸어맞춤편부 (7b) 에 대향하여 형성된 상기 설편부 (7c) 가, 상기 커버부재 (9) 에 형성된 가압맞닿음부 (9a) 에 의해서 가압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편부 (7b) 가 상기 제 1 카드의 유지용오목부 (10e) 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상기 제 1 카드 (10) 가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도 20)
다음에, 상기 제 2 카드 (11) 가 초기의 상태, 즉 배출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 (6) 는 상기 복귀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힘이 인가되어 있고,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은,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누름판부 (6f) 에 의해 상기 수납부 (1a) 내로 돌출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카드 (11) 의 접촉단자부 (11a) 는 상기 제 2 커넥터단자 (3) 의 접촉편 (3b) 의 접점부 (3c) 와 이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카드 (11) 는, 상기 제 2 유지부재 (8) 의 걸어맞춤편부 (8b) 에 의해 상기 유지용오목부 (11c) 가 걸어맞춤되어 상기 제 2 카드수용부 (6b) 에 유지되어 있다. (도15, 도 16)
다음으로, 상기 제 2 카드 (11) 를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 2 카드 (11) 의 앞가장자리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제 2 카드수용부 (6b) 의 제 2 걸림부 (6e) 와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재 (6) 가 상기 제 2 카드 (11) 의 삽입에 따라 삽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복귀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 (6) 가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로크핀 (5) 의 일단부가 상기 하트형캠홈 (6h) 을 따라서 로크위치에 로크된다. (도 17, 도 18)
이 경우,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누름판부 (6f) 가,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의 규제위치로부터 벗어나, 상기 제 2 카드 (11) 의 저면과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이 슬라이딩접촉하게 되지만, 이 슬라이딩접촉거리는 얼마 안되며, 반대로 상기 제 2 카드 (11) 가, 카드의 삽입장착위치까지 삽입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이 상기 수납부 (1a) 내에 돌출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카드 (11) 와 같이 길이가 긴 카드를 삽입할 때, 삽입저항이 커지거나, 마모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제 2 유지부재 (8) 의 걸어맞춤편부 (8b) 에 대향하여 형성된 상기 설편부 (8c) 가, 상기 하우징 (1) 에 형성된 가압맞닿음부 (1j) 에 의해서 가압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편부 (8b) 가 상기 제 2 카드 (11) 의 유지용오목부 (11c) 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상기 제 2 카드 (11) 가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유지부재 (7, 8) 에, 상기 제 1 및 제 2 카드 (10, 11) 의 유지용오목부 (10e, 11c) 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편부 (7b, 8b) 와, 이 걸어맞춤편부 (7b, 8b) 를 탄성지지하는 지지편부 (7a, 8a) 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 (1) 및 커버부재 (9) 에는, 카드의 배출위치에서는 상기 지지편부 (7a, 8a) 와는 이간되어 있는 동시에,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서는 상기 지지편부 (7a, 8a) 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걸어맞춤편부 (7b, 8b) 를 상기 제 1 및 제 2 카드 (10, 11) 의 유지용오목부 (10e, 11c) 에 걸어맞춤시키기 위한 상기 가압맞닿음부 (9a, 1j) 를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카드를 삽입장착한 상태에서는 걸어맞춤부의 탄발력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카드의 배출시에는 걸어맞춤부의 탄발력을 약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카드의 삽입장착시에 있어서는 카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가 있고, 카드의 배출시에는 카드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 (10) 는 폭이 넓고 또한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카드 (11) 는 상기 제 1 카드 (10) 보다 폭이 좁고 또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카드 (10) 를 수용하는 상기 제 1 카드수용부 (6a) 에 형성된 상기 제 1 걸림부 (6c, 6d) 는,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내측부의 대향된 위치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걸림부 (6c, 6d) 간의 폭치수를 상기 제 1 카드 (10) 의 폭치수보다도 좁고, 또한 상기 제 2 카드 (11) 의 폭치수보다도 넓게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제 2 카드 (11) 의 삽입시에는, 상기 제 2 카드 (11) 가 상기 제 1 걸림부 (6c, 6d) 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걸림부 (6e) 와 맞닿음으로써, 삽입과정에서 상기 제 2 카드 (11) 가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와 슬라이딩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 2 카드 (11) 의 접촉단자부 (11a) 를 상기 제 2 커넥터단자 (3) 와 직접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 (6) 는, 상기 복귀스프링 (4) 에 의해서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부재 (6) 를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로크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에 상기 하트형캠홈 (6h) 을 형성하여, 이 하트형캠홈 (6h) 과 일단부가 걸어맞춤하는 상기 걸어맞춤핀 (5) 의 타단부를 상기 하우징 (1) 에 축지지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카드를 삽입장착위치에 로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카드를 배출위치에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있다.
도 21 및 도 22 에 나타내는 것은, 상기 슬라이드부재 (6) 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구성과 다른 것은, 상기 슬라이드부재 (6) 를 제 1 슬라이드부재 (16) 와 제 2 슬라이드부재 (26) 로 분할하여 구성한 점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4 에서 설명한 동일부품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제 1 슬라이드부재 (16) 에는, 상기 제 1 카드 (10) 가 수용되는 제 1 카드수용부 (16a) 와, 이 제 1 카드수용부 (16a) 의 내측부의 대향한 위치에는, 상기 제 1 카드 (10) 의 양측 전단부와 맞닿는 한 쌍의 제 1 걸림부 (16c, 16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걸림부 (16c, 16d) 상호간의 폭치수는, 상기 제 1카드 (10) 의 폭보다도 좁고, 또한, 상기 제 2 카드 (11) 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수용부 (16a) 의 앞부분에는, 옆문창살형상으로 걸쳐진 누름판부 (16f)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판부 (16f) 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16) 가 카드의 배출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과 맞닿아,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이 상기 수납부 (1a) 내로 돌출하는 것을 규제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수용부 (16a) 의 일측면부에는, 수용되는 상기 제 1 카드 (10) 의 측면부에 형성된 유지용오목부 (10e) 에 걸어맞춤하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유지부재 (17) 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일단측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16) 를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제 1 복귀스프링 (14) 이 배치되어 있고, 타단측에는, 상기 하우징 (1) 에 축지지된 로크핀 (도시하지 않음) 이 슬라이딩 접촉되는 하트형캠홈 (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슬라이드부재 (26) 에는, 상기 제 2 카드 (11) 가 수용되는 제 2 카드수용부 (26a) 와, 이 제 2 카드수용부 (26a) 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 2 카드 (11) 의 앞가장자리부와 맞닿는 옆문창살형상의 제 2 걸림부 (26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카드수용부 (26a) 의 일측면부에는, 수용되는 상기 제 2 카드 (11) 의 측면부에 형성된 유지용오목부 (11c) 에 걸어맞춤하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유지부재 (18) 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 의 스프링 수용부 (1i) 에 수용된, 제 2 복귀스프링 (24) 의 일단측이 걸리는 스프링걸림부 (26c)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26) 의 일단측에는, 상기 하우징 (1) 에 축지지된 로크핀 (25) 이 슬라이딩접촉되는 하트형캠홈 (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23 내지 도 30 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카드 (10), 및 제 2 카드 (11) 를 커넥터장치에 삽입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초기의 상태, 즉 상기 제 1 카드 (10) 가 배출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16) 및 제 2 슬라이드부재 (26) 는 전후에 겹친 상태로 상기 제 1 복귀스프링 (14) 및 제 2 복귀스프링 (24) 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힘이 인가되어 있고,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16) 의 누름판부 (16f) 에 의해 상기 수납부 (1a) 내로 돌출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카드 (10) 의 접촉단자부 (10a) 는 상기 접촉편 (2b) 의 접점부 (2c) 와는 이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카드 (10) 는, 상기 제 1 유지부재 (17) 에 의해 상기 제 1 카드수용부 (16a) 에 유지되어 있다. (도 23,도 24)
다음에, 상기 제 1 카드 (10) 를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 1 카드 (10) 의 절결부 (10b) 와 타단측의 각부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16) 의 제 1 카드수용부 (16a) 의 제 1 걸림부 (16c, 16d) 와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16) 및 제 2 슬라이드부재 (26) 가 상기 제 1 카드 (10) 의 삽입에 따라 삽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 1 복귀스프링 (14) 및 제 2 복귀스프링 (2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16) 및 제 2 슬라이드부재 (26) 의 양쪽이 함께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로크핀 (25) 등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하트형캠홈의 로크위치에 로크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16) 의 누름판부 (16f) 가,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의 규제위치로부터 벗어나, 상기 제 1 카드 (10) 의 접촉단자부 (10a) 와 상기 접촉편 (2b) 의 접점부 (2c) 와 접촉하게 된다. (도 25, 도 26)
다음에, 상기 제 2 카드 (11) 가 초기의 상태, 즉 배출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16) 및 제 2 슬라이드부재 (26) 는 상기 제 1 복귀스프링 (14) 및 제 2 복귀스프링 (24) 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힘이 인가되어 있고,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16) 의 누름판부 (16f) 에 의해 상기 수납부 (1a) 내로 돌출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카드 (11) 의 접촉단자부 (11a) 는 상기 제 2 커넥터단자 (3) 의 접촉편 (3b) 의 접점부 (3c) 와는 이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카드 (11) 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16) 의 제 1 카드수용부 (16a) 를 삽입통과하여, 상기 제 2 유지부재 (18) 에 의해 상기 제 2 카드수용부 (26a) 에 유지된다. (도 27, 도 28)
다음에, 상기 제 2 카드 (11) 를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 2 카드 (11) 의 앞가장자리부가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26) 의 제 2 카드수용부 (26a) 의 제 2 걸림부 (26b) 와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26) 가상기 제 2 카드 (11) 의 삽입에 따라 삽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 2 복귀스프링 (2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26) 만이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로크핀 (25) 에 의하여 도시하지 않는 하트형캠홈의 로크위치에 로크 된다. (도 29, 도 30)
이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16) 는 이동하지 않고, 누름판부 (16f) 가,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을 규제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 2 카드 (11) 의 저면과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일없이, 상기 제 2 카드 (11) 가, 카드의 삽입장착위치까지 삽입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단자 (2) 의 접촉편 (2b) 가 상기 수납부 (1a) 내로 돌출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카드 (11) 와 같이 길이가 긴 카드를 삽입할 때, 삽입저항이 커지거나, 마모 등의 발생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는, 슬라이드부재에 의해서 제 1 카드 및 제 2 카드의 양쪽을 배출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대형화하는 일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제 1 카드 및 제 2 카드의 양쪽을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길이가 짧은 제 1 카드와, 길이가 긴 제 2 카드의 양쪽이 삽입장착 가능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수납부의 카드삽입방향에 따라 전후 이열로 병설되고, 제 1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속되는 제 1 커넥터단자와, 제 2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속되는 제 2 커넥터단자와, 카드의 삽입에 따라 카드삽입방향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부재와, 이 슬라이드부재를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로크하는 로크수단을 구비하고, 슬라이드부재에는, 카드의 배출위치에 있어서 제 1 커넥터단자와 맞닿아 제 1 커넥터단자가 수납부내로 돌출하는 것을 규제하는 누름판부와, 전면측에 형성되고 제 2 카드와는 맞닿지 않고 제 1 카드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1 걸림부와, 이 제 1 걸림부보다 후면측에 형성되고 제 2 카드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2 걸림부를 형성하며, 제 2 카드의 삽입시에는, 제 2 카드가 제 1 걸림부를 통과하여 제 2 걸림부와 맞닿은 후에 슬라이드부재가 카드의 배출위치로부터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이동함으로써, 제 1 커넥터단자가 누름판부의 규제로부터 벗어나 카드수납부내로 돌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 2 카드가, 카드의 삽입장착위치까지 삽입되는 과정에 있어서, 제 1 커넥터단자의 접촉편이 수납부내로 돌출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카드와 같이 길이가 긴 카드를 삽입할 때, 삽입저항이 커지거나, 마모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길이가 짧은 제 1 카드와, 길이가 긴 제 2 카드의 양쪽이 삽입장착 가능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수납부의 카드삽입방향에 따라 전후 이열로 병설되어, 제 1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속되는 제 1 커넥터단자와, 제 2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속되는 제 2 커넥터단자와, 카드의 삽입에 따라 카드삽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부재와, 이 슬라이드부재를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로크하는 로크수단을 구비하고, 슬라이드부재는, 전후 둘로 분할된 제 1 슬라이드부재와 제 2 슬라이드부재로 형성되며, 제 1 슬라이드부재에는, 카드의 배출위치에 있어서 제 1 커넥터단자와 맞닿아 제 1 커넥터단자가 수납부내로 돌출하는 것을 규제하는 누름판부와, 전면측에 형성되고 제 2 카드와는 맞닿지 않고 제 1 카드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1 걸림부를 형성하고, 제 2 슬라이드부재에는, 후면측에 형성되고 제 2 카드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2 걸림부를 형성하여, 제 1 카드의 삽입시에는, 제 1 카드가 제 1 걸림부와 맞닿은 후에 제 1 슬라이드부재가 제 2 슬라이드부재를 누르면서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이동하고, 제 2 카드의 삽입시에는, 제 2 카드가 제 1 걸림부를 통과하여 제 2 걸림부와 맞닿은 후에 제 2 슬라이드부재만이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이동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 1 슬라이드부재는 이동하지 않고, 누름판부가, 제 1 커넥터단자의 접촉편을 상시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카드의 저면과 제 1 커넥터단자의 접촉편이 슬라이딩접촉하는 일없이, 제 2 카드와 같이 길이가 긴 카드를 삽입할 때, 삽입저항이 커지거나, 마모 등의 발생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드는 폭이 넓고 또한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제 2 카드는 제 1 카드보다 폭이 좁고 또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걸림부는 슬라이드부재의 내측부의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는 동시에, 제 1 걸림부사이의 폭을 제 1 카드의 폭보다도 좁고, 또한 제 2 카드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제 2 카드의 삽입시에는, 제 2 카드가 제 1 걸림부를 통과하여 제 2 걸림부와 맞닿기 때문에, 삽입과정에 있어서 제 2 카드가 제 1 커넥터단자와 슬라이딩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제 2 카드의 접촉단자부를 직접 제 2 커넥터단자와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서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는 동시에, 로크수단은, 슬라이드부재 또는 하우징의 어느 일방에 형성된 하트형캠홈과, 다른쪽에 형성되며, 이 하트형캠홈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핀으로 구성되었으므로, 간단한 구조로, 카드를 삽입장착위치에 로크할 수 있는 동시에, 카드를 배출위치에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 길이가 짧고 폭이 넓은 제 1 카드와,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제 2 카드의 양쪽이 삽입장착 가능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카드삽입방향에 따라 전후 이열로 병설 (竝設) 되고, 상기 제 1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속되는 제 1 커넥터단자와, 상기 제 2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속되는 제 2 커넥터단자와, 카드의 삽입ㆍ제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로크하는 로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상기 제 2 카드와 맞닿지 않고 통과시켜 상기 제 1 카드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1 걸림부와, 이 제 1 걸림부보다 카드삽입에 대하여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카드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2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로크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카드배출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카드 및 상기 제 2 카드가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 길이가 짧은 제 1 카드와, 길이가 긴 제 2 카드의 양쪽이 삽입장착 가능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카드삽입방향에 따라 전후 이열로 병설되고, 상기 제 1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속되는 제 1 커넥터단자와, 상기 제 2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속되는 제 2 커넥터단자와, 카드의 삽입에 따라 카드삽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부재와, 이 슬라이드부재를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로크하는 로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카드의 배출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단자와 맞닿으며 상기 제 1 커넥터단자가 상기 수납부내로 돌출하는 것을 규제하는 누름판부와, 전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카드와는 맞닿지 않고 상기 제 1 카드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1 걸림부와, 이 제 1 걸림부보다 후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카드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2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카드의 삽입시에는, 상기 제 2 카드가 상기 제 1 걸림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걸림부와 맞닿은 후에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카드의 배출위치로부터 카드의 삽입장착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단자가 상기 누름판부의 규제로부터 벗어나 상기 수납부내로 돌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 길이가 짧은 제 1 카드와, 길이가 긴 제 2 카드의 양쪽이 삽입장착 가능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카드삽입방향에 따라 전후 이열로 병설되고, 상기 제 1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속되는 제 1 커넥터단자와, 상기 제 2 카드의 접촉단자부와 접속되는 제 2 커넥터단자와, 카드의 삽입에 따라 카드삽입방향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부재와, 이 슬라이드부재를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로크하는 로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전후 둘로 분할된 제 1 슬라이드부재와 제 2 슬라이드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에는, 카드의 배출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단자와 맞닿아 상기 제 1 커넥터단자가 상기 수납부내로 돌출하는 것을 규제하는 누름판부와, 전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카드와는 맞닿지 않고 상기 제 1 카드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1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에는, 후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카드의 전단부만 맞닿는 제 2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카드의 삽입시에는, 상기 제 1 카드가 상기 제 1 걸림부와 맞닿은 후에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가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를 누르면서 카드의 삽입장착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 2 카드의 삽입시에는, 상기 제 2 카드가 상기 제 1 걸림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걸림부와 맞닿은 후에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만이 카드의 삽입장착위치에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드는 폭이 넓고 또한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카드는 상기 제 1 카드보다 폭이 좁고 또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걸림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내측부의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걸림부사이의 폭을 상기 제 1 카드의 폭보다도 좁고, 또한 상기 제 2 카드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드는 폭이 넓고 또한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카드는 상기 제 1 카드보다 폭이 좁고 또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걸림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내측부의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걸림부사이의 폭을 상기 제 1 카드의 폭보다도 좁고, 또한 상기 제 2 카드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서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는 동시에, 상기 로크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 또는 상기 하우징의 어느 일방에 형성된 하트형캠홈과, 다른 쪽에 형성되며, 이 하트형캠홈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서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는 동시에, 상기 로크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 또는 상기 하우징의 어느 일방에 형성된 하트형캠홈과, 다른 쪽에 형성되며, 이 하트형캠홈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 또는 상기 하우징의 어느 일방에 형성된 하트형캠홈과, 다른 쪽에 형성되며, 이 하트형캠홈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카드 및 상기 제 2 카드를 일단 가압함으로써 상기 로크수단의 로크를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212518 | 2001-07-12 | ||
JP2001212518A JP4297633B2 (ja) | 2001-07-12 | 2001-07-12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JP2001234696A JP3868772B2 (ja) | 2001-08-02 | 2001-08-02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JPJP-P-2001-00234696 | 2001-08-0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07012A true KR20030007012A (ko) | 2003-01-23 |
KR100495888B1 KR100495888B1 (ko) | 2005-06-16 |
Family
ID=2661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36922A KR100495888B1 (ko) | 2001-07-12 | 2002-06-28 | 카드용 커넥터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641413B2 (ko) |
EP (1) | EP1276179A3 (ko) |
KR (1) | KR100495888B1 (ko) |
CN (1) | CN1191662C (ko) |
TW (1) | TW574774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4537B1 (ko) * | 2005-06-16 | 2008-01-17 |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카드 장착 장치 |
KR101051840B1 (ko) * | 2003-07-31 | 2011-07-25 |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0037791T2 (de) | 1999-11-05 | 2009-01-15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Karten-verbinder |
US7295443B2 (en) | 2000-07-06 | 2007-11-13 | Onspec Electronic, Inc. | Smartconnect universal flash media card adapters |
US6438638B1 (en) | 2000-07-06 | 2002-08-20 | Onspec Electronic, Inc. |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memory cards with or without a PC |
US6981885B2 (en) * | 2001-12-11 | 2006-01-03 | Molex Incorporated | Secure digital memory card socket |
TW553444U (en) * | 2002-09-09 | 2003-09-11 | Carry Computer Eng Co Ltd | Tray-type silicon card reader |
US6932275B2 (en) * | 2002-10-03 | 2005-08-23 | Onspec Electronic Inc. | Frame kit to accommodate multiple host processing system connector interfaces |
TWM243685U (en) * | 2002-12-17 | 2004-09-11 | Carry Computer Eng Co Ltd | Improved structure of memory adapting device |
JP3949060B2 (ja) * | 2003-01-08 | 2007-07-25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TWM241838U (en) * | 2003-02-24 | 2004-08-21 | Tai Sol Electronics Co Ltd | Card connector with card ejecting function |
JP4287673B2 (ja) * | 2003-02-26 | 2009-07-01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TWI226733B (en) * | 2003-05-20 | 2005-01-11 | Benq Corp | Internal connector |
US6776653B1 (en) * | 2003-09-17 | 2004-08-17 | Wem Technology Inc. | 5-in-1 connector |
JP2007041629A (ja) * | 2003-11-04 | 2007-02-15 | Renesas Technology Corp | メモリカード及び半導体装置 |
CN2682617Y (zh) * | 2003-11-25 | 2005-03-02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子卡连接器 |
CN2687868Y (zh) * | 2003-12-12 | 2005-03-23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子卡连接器 |
JP4210224B2 (ja) * | 2004-01-23 | 2009-01-14 | 山一電機株式会社 | 電子機器用カード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 |
CN100369057C (zh) * | 2004-02-24 | 2008-02-13 |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 卡用转接器 |
US6932652B1 (en) * | 2004-05-10 | 2005-08-23 | Kingconn Technology Co., Ltd. | Memory card connector |
TWM257528U (en) * | 2004-05-14 | 2005-02-21 | Molex Taiwan Ltd | Electronic card connector |
JP4673006B2 (ja) * | 2004-06-09 | 2011-04-20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カード用コネクタ |
US7044767B2 (en) * | 2004-06-29 | 2006-05-16 | Intel Corporation | Hybrid card interconnect |
CN100365875C (zh) * | 2004-07-09 | 2008-01-30 | 佳必琪国际股份有限公司 | 卡插接装置 |
US6974350B1 (en) * | 2004-10-07 | 2005-12-13 | Jess-Link Products Co., Ltd. | Card reception device |
TWI264160B (en) * | 2004-10-12 | 2006-10-11 | Tai Sol Electronics Co Ltd | Memory card connector with protecting effect |
JP4076228B2 (ja) * | 2004-10-12 | 2008-04-16 |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 複数のカードと接続するコネクタ |
US7044797B1 (en) * | 2005-01-26 | 2006-05-16 | Taisol Electronics Co., Ltd. | Memory card connector |
JP4104603B2 (ja) * | 2005-03-01 | 2008-06-1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カードコネクタ |
TWM280565U (en) * | 2005-03-11 | 2005-11-1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ard connector |
JP4231023B2 (ja) * | 2005-04-01 | 2009-02-25 | 山一電機株式会社 | Icカード用コネクタ |
TWM277144U (en) * | 2005-05-30 | 2005-10-01 | Tai Sol Electronics Co Ltd | Card adaptor containing terminal protection function |
TWM277143U (en) | 2005-05-30 | 2005-10-01 | Tai Sol Electronics Co Ltd | Card adaptor with terminal protection function |
US7175452B1 (en) * | 2005-09-23 | 2007-02-13 | Itw Tech. Co., Ltd. | Memory card connector |
JP4664170B2 (ja) * | 2005-09-27 | 2011-04-06 | 富士通株式会社 | カードコネクタ装置 |
TWM289915U (en) * | 2005-10-07 | 2006-04-21 | Molex Taiwan Ltd | Connector of electronic card |
JP4669384B2 (ja) | 2005-12-09 | 2011-04-13 | 山一電機株式会社 | Icカード誤挿入防止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るicカード用コネクタ |
TWI322382B (en) * | 2005-12-12 | 2010-03-2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ard connector |
CN100440625C (zh) * | 2005-12-14 | 2008-12-03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子卡连接器 |
US7226318B1 (en) * | 2006-07-19 | 2007-06-05 | Yun-Hsiu Lee | Card adapter structure |
JP4795995B2 (ja) * | 2007-03-07 | 2011-10-19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KR100936570B1 (ko) | 2007-08-30 | 2010-01-13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메모리 카드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
CN201197013Y (zh) * | 2008-04-08 | 2009-02-18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子卡连接器 |
JP4607217B2 (ja) * | 2008-07-23 | 2011-01-05 | 山一電機株式会社 | カードコネクタ |
JP5533028B2 (ja) | 2009-04-01 | 2014-06-25 | 山一電機株式会社 | Icカード用コネクタ |
JP5013278B2 (ja) | 2009-08-04 | 2012-08-29 | 山一電機株式会社 | Icカード用コネクタ |
JP2011118905A (ja) * | 2009-12-07 | 2011-06-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メモリカード及び電子機器 |
US8177564B1 (en) | 2010-12-03 | 2012-05-15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Receptacle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
USD667830S1 (en) * | 2011-11-29 | 2012-09-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D memory card |
CN104795651B (zh) * | 2014-01-22 | 2017-10-13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子卡连接器 |
USD836641S1 (en) | 2016-10-19 | 2018-12-25 | Nintendo Co., Ltd. | Memory card |
JP6867775B2 (ja) * | 2016-10-19 | 2021-05-12 | 任天堂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8538Y2 (ja) * | 1990-01-23 | 1996-03-06 | シャープ株式会社 | Icカードのイジェクト装置 |
JPH0636834A (ja) * | 1992-07-20 | 1994-02-10 | Kiyousera Elco Kk |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装置 |
JPH08250167A (ja) * | 1995-03-08 | 1996-09-27 | Alps Electric Co Ltd | Pcカード用コネクタ |
US5716221A (en) * | 1995-10-20 | 1998-02-10 | Itt Corporation | Stacked IC card assembly for insertion into stacked receivers |
JPH10302030A (ja) * | 1997-02-28 | 1998-11-13 | Toshiba Corp | 接続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
FR2763413B1 (fr) * | 1997-05-13 | 1999-07-02 | Itt Mfg Enterprises Inc | Connecteur electrique pour le raccordement simultane de plusieurs cartes a circuit(s) integre(s) a contact |
US5933328A (en) * | 1998-07-28 | 1999-08-03 | Sandisk Corporation | Compact mechanism for removable insertion of multiple integrated circuit cards into portable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
US6004155A (en) | 1998-07-28 | 1999-12-21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Card connector |
FR2783622B1 (fr) * | 1998-09-22 | 2000-10-27 | Itt Mfg Enterprises Inc | Connecteur electrique pour le raccordement simultane de deux cartes a memoire electronique |
JP3396457B2 (ja) * | 2000-02-08 | 2003-04-14 | 山一電機株式会社 | カードコネクタ |
JP4671484B2 (ja) * | 2000-10-11 | 2011-04-20 | ケル株式会社 | カードコネクタ |
EP1204064B1 (en) * | 2000-11-03 | 2008-10-15 |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 Smart card connector for two smart cards |
TW495110U (en) * | 2000-11-27 | 2002-07-11 | Kinpo Elect Inc | Common seat for memory card |
-
2002
- 2002-06-03 TW TW91111896A patent/TW574774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6-25 US US10/180,246 patent/US6641413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6-28 KR KR10-2002-0036922A patent/KR1004958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2-07-08 EP EP02014937A patent/EP1276179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2-07-12 CN CNB021410631A patent/CN1191662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1840B1 (ko) * | 2003-07-31 | 2011-07-25 |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 커넥터 |
KR100794537B1 (ko) * | 2005-06-16 | 2008-01-17 |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카드 장착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276179A2 (en) | 2003-01-15 |
CN1398024A (zh) | 2003-02-19 |
EP1276179A3 (en) | 2003-11-19 |
US6641413B2 (en) | 2003-11-04 |
KR100495888B1 (ko) | 2005-06-16 |
CN1191662C (zh) | 2005-03-02 |
TW574774B (en) | 2004-02-01 |
US20030013334A1 (en) | 2003-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95888B1 (ko) | 카드용 커넥터장치 | |
KR100484570B1 (ko) | 카드용 커넥터장치 | |
KR100416284B1 (ko) | 카드용 커넥터장치 | |
KR100495889B1 (ko) | 카드용 커넥터장치 | |
KR100503101B1 (ko) | 카드용 커넥터장치 | |
KR100452800B1 (ko) | 카드용 커넥터장치 | |
JP2002298980A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JP4012708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JP3948938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JP3827584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KR100500197B1 (ko) | 카드용 커넥터장치 | |
JP3827582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JP2004259051A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JP3868772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JP3827578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US7291026B2 (en) | Memory card connector | |
JP3939727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JP3827586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JP2003045560A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JP3765708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KR101076652B1 (ko) |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 |
JP4374017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JP4756086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