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967Y1 - 무테안경테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무테안경테의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2967Y1 KR200252967Y1 KR2020010021965U KR20010021965U KR200252967Y1 KR 200252967 Y1 KR200252967 Y1 KR 200252967Y1 KR 2020010021965 U KR2020010021965 U KR 2020010021965U KR 20010021965 U KR20010021965 U KR 20010021965U KR 200252967 Y1 KR200252967 Y1 KR 2002529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feldspar
- frameless
- frame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렌즈에 연결홈을 뚫지 않고 렌즈와 코.다리를 결합하는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치에 관한것으로,
렌즈와 접촉하는 연결장석 내측부를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로 도포함으로서 렌즈에 흠집 발생을 방지하고 렌즈와 코.다리의 결합력 향상을 이루도록 하며,
연결장석 연결부에 날개를 형성시켜 연결장석을 렌즈와 조립하면, 안경을 사용할 때 고정 볼트를 중심한 회전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형태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장석 내측부 내각과 내측부 상의 너트의 나사산형성방향을 변경하여 렌즈 두께에 따른 조립과 결합성을 향상시켜 안정된 형태의 무테안경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렌즈에 연결홈을 뚫지 않고 렌즈와 코.다리를 결합하는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치에 관한것으로,
형태의 연결장석으로 렌즈와 코.다리를 연결토록 하되, 연결장석 내측부분에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로 도포하고, 렌즈의 형태에 맞추어 조립성과 결합성을 높이기 위해 연결장석을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렌즈의 굴곡면에 맞도록 볼트의 단부의 형상을 쐐기형으로 하고, 너트의 나사형성방향을 연결장석 연결부쪽으로 향하게 하여 결합력이 우수한 무테안경태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테 안경테에 있어서, 렌즈와 코.다리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첫째, 렌즈에 연결홈을 형성시켜 ㄴ자 형태의 연결고리를 사용 볼트.너트 또는 코일스프링 등으로 조이는 방법이 있다.
현재 무테안경테는 대부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이러한 ㄴ자 형태의 연결고리를 사용 하면 렌즈에 홈을 뚫어야 하는데 이 홈을 형성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연결홈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렌즈의 연결홈위치 선정이 어렵고 렌즈의 파손이 많이 발생해서 불량율이 높아 채산성이 떨어지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조립된 무테안경은 렌즈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홈 부분이 충격에 취약해서 작은 외부 충격에도 렌즈가 깨져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리 렌즈는 상기와 같은 연결홈 형성작업이 불가능해 다양한 소재를 무테안경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는 렌즈에 연결홈을 형성시키지 않고 일측에 너트(30)가 형성된자 형태의 연결장석과 볼트(20)를 이용해서 렌즈(40)와 안경의 코와 다리를 상호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는 실용신안 출원 제1999-15815호가 있는데
상기 고안은 평평한 형태의 금속판(10:니켈합금)을 ㄷ자 형태로 접고 뒷쪽에 해당하는 면에 너트(30)를 형성시켜, 기존ㄴ자 형태의 연결고리와 마찬가지로 코·다리 부분과의 용접 작업에 큰 차이점은 없으나 렌즈(40)와 코·다리도 상호간의 조립작업에는 렌즈(40)에 구멍을 뚫지 않고 ㄷ자 형태의 앞면에 렌즈(40)를 밀착시키고 반대쪽에서 볼트(20)로 조여줌으로써 결합시키도록 하여, 위치가 잘못되었을 경우에도 수정작업이 용이하며 렌즈(40) 파손을 막을수 있고 또한 렌즈(40)에 구멍을 뚫지 않으므로 유리렌즈를 이용한 무테안경도 만들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ㄷ자 형태의 금속판(10)으로 렌즈(40)와 코.다리를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ㄷ형태의 금속판(10)으로 렌즈(40)를 고정시킴으로서 금속판(10)과의 접촉시 렌즈(10)에 흠집이 나게되며 볼트(20)를 너무 세게 조이게 됨으로서 렌즈(40)가 쉽게 파손된다.
2. 렌즈(40)는 완전평면한 사각, 원형 또는 타원체가 아니고 두께의 차이가 있는 굴곡체이기 때문에 ㄷ자형태의 금속판(10)으로 고정시키면 렌즈(40)에 손상이 가고 조립시 렌즈(40)와 금속판(10)과의 접촉면에 틈이 발생되어 결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너트(30)의 나사산형성방향이 금속판(10)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굴곡체인 렌즈(40)와 접촉할때 렌즈(40)면에 대해서 수직이 되지 않음으로써 너트와 렌즈의 접촉면이 적게되어 렌즈(40)를 결합성이 떨어지게 된다.
3. 렌즈(40)와 ㄷ자형태의 금속판(10)이 금속판(10) 내측에 형성된 너트(30)축상에 볼트(20)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후 무테안경을 사용할 때 상기 무테안경테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때 너트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쉽게 안경 형태가변형 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렌즈와 접촉하는 연결장석 내측부를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로 도포함으로서 렌즈에 흠집 발생을 방지하고 렌즈와 코.다리의 결합력 향상을 이루도록 하며,
연결장석 연결부에 날개를 형성시켜 연결장석을 렌즈와 조립하면, 안경을 사용할 때 고정 볼트를 중심한 회전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형태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장석 내측부 내각과 내측부 상의 너트의 나사산형성방향을 변경하여 렌즈 두께에 따른 조립과 결합성을 향상시켜 안정된 형태의 무테안경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석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 고안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석 내측에 실리콘이 도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고안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석 내측부와 연결부의 내각이 예각을 이루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4의 (가)와 (나)는 본 고안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석 연결부에 날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전개도와 사시도
도5는 본 고안 연결장석 내.외측부에 하나 또는 두개의 너트를 형성시킨 연결장석을 나타내는 전개도
도6는 본 고안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석 내측부에 형성된 너트의 나사산형성방향을 연결부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7는 본 고안 무테안경테의 단부가 쐐기형으로 형성된 볼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고안 무테안경테의 단부가 오목한 원형체로 형성된 볼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연결장석 101: 연결장석 외측부
102: 연결장석 연결부 103: 연결장석 내측부
104: 연결장석 도포층 105: 연결장석 날개
110: 볼트 111: 오목한 원형 단부형상의 볼트
112: 쐐기형 볼트 120: 렌즈
130: 너트 a: 연결장석 내각
b: 렌즈중심 직경 c: 렌즈외각 직경
d: 날개 세로너비 e: 연결장석 연결부 세로너비
g: 날개 가로너비 f: 연결장석의 가로너비
h: 종래 너트의 나사산형성각도 h′: 본 고안 너트의 나사산형성각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본 고안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석 내측에 실리콘이 도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은 본 고안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석 내측부와 연결부의 내각이 예각을 이루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4의 (가)와 (나)는 본 고안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석 연결부에 날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전개도와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 연결장석 내.외측부에 하나 또는 두개의 너트를 형성시킨 연결장석을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6는 본 고안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석 내측부에 형성된 너트의 나사산형성방향을 연결부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는 본 고안 무테안경테의 단부가 쐐기형으로 형성된 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8은 본 고안 무테안경테의 단부가 오목한 원형체로 형성된 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구성)
제 1 실시예 : 무테안경에 있어서, 렌즈에 연결홈을 형성시키지 않고 일측에 너트(30)가 형성된형상의 연결장석(10)과 볼트를 이용해, 렌즈(40)와 안경테의 코와 다리를 연결하도록 한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렌즈를 연결장석에 고정함에 결합성 향상을 위해 렌즈와 접촉하는 연결장석 내측면에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도포한 무테 안경테의 연결장치.
제 2 실시예 :형상의 연결장석 내측부(103)와 연결부(102)가 만나 이루는 내각(a)을 예각으로 형성한 무테 안경테의 연결장치.
제 3 실시예 : 렌즈(120)와 연결장석(100)의 결합 안정성을 위하여 연결장석 연결부(102)에 날개(105)를 형성한 무테 안경테의 연결장치.
제 4 실시예 : 렌즈(120)와 연결장석(100)의 결합 안정성을 위해 연결장석 내측부(103) 또는 외측부(101)에 너트(130)를 한개 또는 두개를 형성한 무테 안경테의 연결장치.
제 5 실시예 : 연결장석 내측부(103)에 형성된 너트(130)의 나사산형성각도(h′)가 예각으로 형성한 무테 안경테의 연결장치.
제 6 실시예 : 렌즈(120)와 연결장석(100)의 밀착성 향상을 위해 볼트(110)의 단부의 형상을 오목한 원형상 또는 쐐기형상으로 한 무테 안경테의 연결장치.
(본 고안의 작용 예)
연결장석의 재질은 스텐레스나 알미늄 또는 티타튬 등 통상의 안경 코.다리의 재질로 사용되는 것은 어느 것이라도 사용가능한데, 그 재질이 금속성일 경우 렌즈와의 접촉하게 될때 밀착성이 떨어지거나 렌즈표면에 흠집을 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렌즈와 접촉하는 연결장석 내측부분을 실리콘 또는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코팅처리하여 렌즈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켜 결합력을 높여주도록 하고 렌즈표면에 발생되는 흠집도 방지하게 된다.
안경에 사용되는 렌즈는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렌즈의 형상은 가운데 부분은 얇고 가장자리는 두꺼운 형상을 하고 있어 렌즈의 바깥쪽이 볼록하고 안쪽은 오목한 형태의 비구면체로 되어있다.
이와 같은 비구면체인 렌즈와 코.다리를형상의 연결장석으로 결합시키면 너트가 형성된 연결장석부 내측부와 렌즈 내측면이 완전히 접촉되게 연결되지 않고 틈이 생기게 된다. 이를 위해서 연결장석 형상을형태에서 너트가 형성된 연결장석 부분을 안쪽으로 기울어지도록형상으로 제작한 후 렌즈와 코.다리를 결합하도록 하면 렌즈와 연결장석의 접촉면에 틈이 생기지 않아 보다 견고히 밀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태의 렌즈에 있어서 연결장석을 보다 효과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연결장석 내측부에 형성된 너트의 나사형성방향을 렌즈 가장자리 즉 연결장석의 연결부를 향하도록 형성한 후, 볼트로 연결장석을 조이면 굴곡면을 가진 렌즈의 형태로 렌즈를 조이는 힘이 가운데로 생기게되어 결합성이 높아지며,
연결장석을 조이는 볼트의 형태에 있어서도 렌즈와 접촉하는 볼트 단부를 오목한 원형체 또는 쐐기()형상체로 제작함으로써 렌즈와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결합강화를 이루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석 내측부(103)에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로 도포(104)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렌즈(120)와 연결장석(100)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결합력을 높이도록 한 것이며, 실리콘 도포층(104)의 두께는 통상 0.5mm 또는 1mm정도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실리콘 도포층(104)의 두께는 상기와 같이 한정 할 필요는 없으며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의 성상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적용되는 색상에 있어서도 완성된 무테안경테의 목적에 따라 도포되는 실리콘의 색상을 렌즈(120) 또는 연결장석(100)의 색깔과 맞추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3은 연결장석의 내측부(103)와 연결부(102)가 만나 이루는 내각을 예각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렌즈(120)는 중심부(b)와 가장자리(c)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연결장석(100)과 결합할 때 틈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틈 없이 렌즈(120)와 연결장석(100)을 보다 잘 결합하도록 렌즈(120) 내측과 접촉되며 너트(130)가 형성된 연결장석 내측부(103)와 연결부(102)가 이루는 내각(a)을 예각으로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내각(a)은 렌즈(120)형상에 따라 달라지는데 통상 85 ~ 90°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연결장석(100)을 렌즈(120)와 결합하면 연결장석 내측부(103)와 렌즈(100) 사이의 접촉면이 넓어져 연결장석(100)이 렌즈(120)에 완전히 밀착됨으로서 조립성과 결합성이 향상되고 또한 조립시 볼트(110)를 조일때 발생되는 힘에 의해 렌즈가 파손 또는 훼손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4의 (가)와 (나)는 연결장석 연결부(102)에 날개(105)를 형성시킨 연결장석(100)의 전개도와 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렌즈(120)의 앞.뒤 양면에 연결장석(100)이 접촉되고 한쪽 방향에서 볼트(110)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된 본 고안 무테안경테를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 너트축을 중심해서 그 회전 방향으로 외부힘이 가해지게 되면 나사축을 중심으로 쉽게 회전하게 되어 무테안경테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결장석 연결부(102)에 날개(105)를 형성하되, 연결장석 외측부(101)측 연결부(102)쪽에 연결장석 연결부(102) 너비(d)의 1/2이하 너비(g)로 날개(105)를 형성토록 한다.
상기한 크기로 너비를 제한하고, 연결장석 외측부(101)측 연결부(102)상에 날개(105)를 형성시킨 것은, 조립 후 사용자가 사용할 때 사용자의 얼굴 가까운 쪽에 날개(105)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날개(105)에 대한 거부감과 안경 착용시 예기치 않은 충격으로 상기 날개(105)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상방지를 위한 것이다.
또한 렌즈(120)와 코.다리를 조립할 때 렌즈(120)의 형태가 사각일 경우는 날개(105)가 형성된 연결장석(100)을 렌즈(120)에 통상의 방식으로 결합하면 되고, 렌즈(120)의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일 경우에는 상기 날개(105)를 렌즈(120) 외형의 곡선을 감싸도록 원형으로 제작하여 조립하면 렌즈(120)와 연결장석(1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관 또한 미려하게 된다.
도5는 본 고안 연결장석 내.외측부(103)(101)에 하나 또는 두개의 너트(130)가 형성된 연결장석(100)의 전개도이다.
렌즈(120)의 두께가 두껍고 큰 사이즈의 렌즈(120)는 하나의 조임 볼트(110)와 너트(130)로 고정시키면 결합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연결장석 내측(103) 또는 외측(101)에 렌즈(120)의 크기에 따라 한개 또는 두개의 연결 너트(130)를 형성시켜 렌즈(120)와 결합하게 함으로써 결합력이 향상된 무테안경테를 제공할 수 있다.
도6는 본 고안 연결장석(100) 내측부(103)에 형성된 너트(130)의 나사산형성방향을 연결장석 연결부(102)를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운데와 가장자리의 두께가 다름으로서 굴곡면을 가진 렌즈(120)를 연결장석(100)과 보다 견고히 결합하도록 렌즈(120)의 굴곡면에 맞추어 연결장석 내측부(103)에 형성된 너트(130)의 나사산형성방향을 연결부(102)를 향하도록 구성한다. 너트의 나사산형성각도(h′)는 예각을 이루되 렌즈 굴곡율에 따라 80 ~ 90°정도가 바람직하다.
도7과 도8는 연결장석(100)을 렌즈(120)에 고정시킬때 사용하는 조임용 볼트(110)의 단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120)의 폭 두께는 일정하지 않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꺼워짐으로서 렌즈(120)를 고정시키는 볼트(112)의 단부 형태를 도8에서와 같이 쐐기 형상(112)으로 함으로써 렌즈(120)와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게 한 것이며,
다르게는 볼트(111)의 단부를 오목한 원형으로 형성하도록 한 것인데, 일반적으로 볼트(111)가 렌즈표면에서 0.05~0.1mm 깊이로 편칭되면 렌즈와의 결합성이 좋아지는데 상기와 같은 볼트(111)를 사용하면 렌즈(120)를 고정 파악하는 힘이 향상되어 렌즈(120)와 연결장석(100)을 보다 견고히 결합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첫째, 렌즈와 접촉하는 연결장석 내측부에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를 도포함으로써 렌즈와 코.다리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형태의 변형 발생이 적은 제품을 제공하도록 하고,
둘째, 연결장석 내측부 내각을 직각보다 작게 하고 연결 너트의 형성각도를 연결장석 연결부쪽으로 기울어지게 제작함으로써 렌즈 두께 차이로 인해 연결장석과 렌즈가 연결 할때 빈틈없이 결합되도록 하며, 또한 날개를 연결장석에 형성시켜 본 고안 무테안경테 사용시 외부충격으로 조립된 상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Claims (6)
- 무테안경에 있어서, 렌즈에 연결홈을 형성시키지 않고 일측에 너트(30)가 형성된형상의 연결장석(10)과 볼트를 이용해, 렌즈(40)와 안경테의 코와 다리를 연결하도록 한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치에 있어서,렌즈(120)를 연결장석(100)에 고정시 결합성 향상을 위해 렌즈(120)와 접촉하는 연결장석 내측부(103)에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 안경테의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형상의 연결장석 내측부(103)와 연결부(102)가 만나 이루는 내각(a)을 예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 안경테의 연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렌즈(120)와 연결장석(100)의 결합 안정성을 위하여 연결장석 연결부(102)에 날개(10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 안경테의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렌즈(120)와 연결장석(100)의 결합 안정성을 위해 연결장석 내측부(103) 또는 외측부(101)에 너트(130)를 한개 또는 두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테의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연결장석 내측부(103)에 형성된 너트(130)의 나사산형성각도(h′)가 예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 안경테의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렌즈(120)와 연결장석(100)의 밀착성 향상을 위해 볼트(110)의 단부의 형상을 오목한 원형상 또는 쐐기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 안경테의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1965U KR200252967Y1 (ko) | 2001-07-20 | 2001-07-20 | 무테안경테의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1965U KR200252967Y1 (ko) | 2001-07-20 | 2001-07-20 | 무테안경테의 연결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2967Y1 true KR200252967Y1 (ko) | 2001-11-17 |
Family
ID=7310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1965U KR200252967Y1 (ko) | 2001-07-20 | 2001-07-20 | 무테안경테의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2967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4430B1 (ko) * | 2002-01-25 | 2005-10-26 | 이철우 | 무테 안경의 연결구 |
KR102097233B1 (ko) * | 2018-10-22 | 2020-05-28 | 서원우 | 개량 무테 안경 |
-
2001
- 2001-07-20 KR KR2020010021965U patent/KR20025296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4430B1 (ko) * | 2002-01-25 | 2005-10-26 | 이철우 | 무테 안경의 연결구 |
KR102097233B1 (ko) * | 2018-10-22 | 2020-05-28 | 서원우 | 개량 무테 안경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52967Y1 (ko) | 무테안경테의 연결구조 | |
JP2986376B2 (ja) | リムレス眼鏡におけるブリッジ及びリムレス眼鏡 | |
JP3883676B2 (ja) | リムレス眼鏡のレンズ止着構造 | |
WO2020074980A1 (en) | Eyeglasses and assembly including a component mounted to a lens | |
KR102679454B1 (ko) | 안경 | |
US6170951B1 (en) | Spectacle frame with a cradle for receiving and engaging against non-notched portions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a pair of lenses | |
JP3208605U (ja) | メガネフレームのリム構造 | |
JP3053252U (ja) | 縁なしメガネ | |
JP3005376U (ja) | メガネフレームのレンズ連結部材 | |
KR200246391Y1 (ko) | 절곡철선 안경테 | |
JP3381160B2 (ja) | メガネのレンズ止着構造 | |
JP3005681U (ja) | メガネ及びレンズ外周に当接する当たり片 | |
JP2001166264A (ja) | 縁無しメガネにおけるレンズ止着構造 | |
JPH0322736Y2 (ko) | ||
JP3212603U (ja) | 縁なしメガネ | |
JPH0738901Y2 (ja) | レンズ厚調整パイプを有するレンズ連結機構 | |
JP3004813U (ja) | メガネ及びメガネ用ビス | |
JP3088320U (ja) | メガネ | |
JP2003307711A (ja) | ネジ緩み防止構造を有する眼鏡 | |
JP3004965U (ja) | 眼 鏡 | |
JP3043006U (ja) | 縁なし眼鏡 | |
JP3091753B1 (ja) | 眼鏡レンズのネジ止め機構 | |
JPH11281932A (ja) | 縁なし眼鏡のパッドアーム取付構造 | |
JP2001108946A (ja) | メガネフレーム | |
JP3087787U (ja) | 縁なしサングラ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