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944Y1 - 고기구이판 - Google Patents

고기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944Y1
KR200214944Y1 KR2020000027738U KR20000027738U KR200214944Y1 KR 200214944 Y1 KR200214944 Y1 KR 200214944Y1 KR 2020000027738 U KR2020000027738 U KR 2020000027738U KR 20000027738 U KR20000027738 U KR 20000027738U KR 200214944 Y1 KR200214944 Y1 KR 200214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plate
oil
metal frame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김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2020000027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9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944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에서 유출되는 기름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고기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면에 고기를 올려 놓고 구울 수 있도록 된 고기구이판(50)에 있어서, 상기 고기구이판(50)은 황토 또는 게르마늄 등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성형된 가열판(10)과, 상기 가열판(10)의 둘레부에 결합되어 수평면에 대해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버너(1)에 거치되는 금속재프레임(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재프레임(10)의 경사진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버너(1)의 둘레부까지 외향연장되는 기름유도홈(24)이 마련되고, 상기 기름유도홈(24)의 단부에는 기름배출공(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50)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고기구이판{roast pan}
본 고안은 고기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판이 원적외선방사물질로 되어 원적외선에 의해 고기맛이 좋아지고, 고기에서 유출되는 기름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고기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흔히 고기구이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판형상으로 된 프레임(4)의 일측에 기름배출공(5)이 형성되어, 고기를 구울 때에는 상기 기름배출공(5)의 하측에 별도의 기름받이용기(7)를 배치하여 기름배출공(5)을 통해 배출되는 기름이 기름받이용기(7)에 모이도록 한다.
그리고, 흔히 고기를 구워먹을 때에는 휴대용 가스버너(1)를 사용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기름배출공(5)의 하측에 기름받이용기(7)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고기구이판(4)의 사이즈가 가스버너(1) 보다 커서 고기구이판(4)의 둘레부가 휴대용 가스버너(1)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야 한다. 그런데 휴대용 가스버너(1)보다 큰 사이즈의 고기구이판(4)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염에 의한 열기가 상부로 배출되지 못하여 가스버너(4)를 가열하게 되므로 부탄가스가 폭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가스버너(1) 보다 작은 사이즈의 고기구이판(4)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가스버너(1) 보다 작은 사이즈의 고기구이판(4)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름배출공(5)의 하측에 기름받이용기(7)를 직접 배치하기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박지(8) 등을 이용해 기름배출공(5)과 기름받이용기(7)를 연결하여 기름이 배출되도록 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하였으며, 기름배출공(5)과 은박지사이에서 기름이 새어서 식탁주변이 지저분해지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앙부에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된 가열판이 구비되어 원적외선에 의해 고기가 연하게 되는 등 고기의 맛이 좋아지며, 일측에 형성된 기름배출공의 하측에 기름받이용기를 직접 배치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성의 고기구이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고기구이판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고기구이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열판 20. 금속재프레임
24. 기름유도홈 25. 돌출연장부
26. 기름배출공 30. 높이조절부재
50. 고기구이판
본 고안에 따르면, 상면에 고기를 올려 놓고 구울 수 있도록 된 고기구이판(50)에 있어서, 상기 고기구이판(50)은 황토 또는 게르마늄 등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성형된 가열판(10)과, 상기 가열판(10)의 둘레부에 결합되어 수평면에 대해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버너(1)에 거치되는 금속재프레임(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재프레임(10)의 경사진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버너(1)의 둘레부까지 외향연장되는 기름유도홈(24)이 마련되고, 상기 기름유도홈(24)의 단부에는 기름배출공(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50)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열판(10)이 결합된 금속재프레임(20)은 그 저면에 결합되는 착탈식 높이조절부재(30)에 의해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50)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사용상태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고기구이판은 고기에서 유출되는 기름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중앙부에는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된 가열판(10)이 구비된다.
상기 가열판(10)은 맥반석이나 게르마늄 등과 같은 원적외선방사 원석 또는 황토나 점토 등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세라믹을 이용해 대략 사각형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이 가열판(10)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고기가 연하게 되고, 고기의 누린내가 제거되며, 고기의 속까지 고르게 익게 되어 고기의 맛이 좋아진다.
상기 금속재프레임(20)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에는 가열판(10)이 결합되는 결합홈(23)이 형성된다. 이러한 금속재프레임(20)의 일측단부에는 외향으로 돌출되는 돌출연장부(25)가 마련되는데, 이 돌출연장부(25)에는 상기 가열판(10)의 단부로 부터 외향연장되는 기름유도홈(24)이 형성되며, 이 기름유도홈(24)의 단부에는 기름배출공(26)이 형성된다. 이러한 금속재프레임(20)는 그 저면 일측에 괘지된 높이조절부재(30)에 의해 돌출연장부(25)가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버너(1)에 거치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금속재프레임(20) 자체를 돌출연장부(25)가 하향으로 경사되도록 주조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경사지게 배치된 금속재프레임(20)의 저면에 걸림돌기(27)가 형성되어, 이 걸림돌기(27)가 가스버너의 화구 둘레에 배치되는 지지대(9)의 단부에 걸려 유동되지 않고 버너(1)에 견고하게 거치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기름유도홈(24)이 프레임(20)에서 외향연장되어 형성되므로, 휴대용 가스버너(1)에 고기구이판(50)을 올려놓으면, 상기 기름유도홈(24)의 단부에 형성된 기름배출공(26)이 가스버너(1)보다 외측으로 돌출연장되어 기름배출공(26)의 하측에 기름받이용기(7)를 직접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구이판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경사 하단부에는 버너외측으로 연장된 기름유도홈과 기름배출공이 형성되어 고기에서 유출되는 기름이 식탁위에 배치된 기름배출용기에 직접 낙하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성이 우수한 고기구이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원에 의한 고기구이판은 중앙부에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된 가열판이 구비되어 원적외선에 의해 고기가 연하게 되고 고기의 누린내를 없앨 수 있으며, 고기의 겉과 속이 고르게 익어서 고기를 맛있게 구울 수 있다.

Claims (2)

  1. 상면에 고기를 올려 놓고 구울 수 있도록 된 고기구이판(50)에 있어서, 상기 고기구이판(50)은 황토 또는 게르마늄 등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성형된 가열판(10)과, 상기 가열판(10)의 둘레부에 결합되어 수평면에 대해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버너(1)에 거치되는 금속재프레임(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재프레임(10)의 경사진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버너(1)의 둘레부까지 외향연장되는 기름유도홈(24)이 마련되고, 상기 기름유도홈(24)의 단부에는 기름배출공(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5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10)이 결합된 금속재프레임(20)은 그 저면에 결합되는 착탈식 높이조절부재(30)에 의해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50)
KR2020000027738U 2000-10-05 2000-10-05 고기구이판 KR200214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738U KR200214944Y1 (ko) 2000-10-05 2000-10-05 고기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738U KR200214944Y1 (ko) 2000-10-05 2000-10-05 고기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944Y1 true KR200214944Y1 (ko) 2001-02-15

Family

ID=73089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738U KR200214944Y1 (ko) 2000-10-05 2000-10-05 고기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9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292B1 (ko) * 2009-05-19 2009-09-03 이진희 개량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200461238Y1 (ko) 2010-04-09 2012-07-04 박상현 높이 조절용 다리를 구비한 불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292B1 (ko) * 2009-05-19 2009-09-03 이진희 개량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200461238Y1 (ko) 2010-04-09 2012-07-04 박상현 높이 조절용 다리를 구비한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504209A (ja) 食料品、特にフライ用の外側なベ付き加熱装置
KR200214944Y1 (ko) 고기구이판
KR200207366Y1 (ko) 화덕용 구이판
US20200337500A1 (en) Cooking vessel with an opening for drainage
KR100520912B1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200225766Y1 (ko) 고기구이팬의 기름배출 유도장치
KR102114976B1 (ko) 다용도 가마솥
KR200185653Y1 (ko) 육류 구이기
KR200264145Y1 (ko) 가스버너용 로스터
KR200213233Y1 (ko) 고기 구이기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190091086A (ko) 캠핑용 버너
KR200359184Y1 (ko) 구이기
KR200252248Y1 (ko) 과열 방지 구이판
KR200214938Y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이용한 가열용기
KR101096581B1 (ko) 다기능 불판
KR102126775B1 (ko)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0845765B1 (ko) 다기능 직화 조리용기
KR200347886Y1 (ko) 고기구이용 받침대 및 그 받침대와 한 벌을 이루는 돌 불판
KR200267822Y1 (ko) 원 세라믹 가스버너
KR200298909Y1 (ko) 구이판
KR100408843B1 (ko) 맥반석 육류 구이판
KR101867909B1 (ko) 인덕션 레인지용 불판(ih)
KR200185661Y1 (ko) 솥뚜껑 구이판
KR200355866Y1 (ko) 압력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